KR102091120B1 - 육류 가공 장치 - Google Patents

육류 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1120B1
KR102091120B1 KR1020190126752A KR20190126752A KR102091120B1 KR 102091120 B1 KR102091120 B1 KR 102091120B1 KR 1020190126752 A KR1020190126752 A KR 1020190126752A KR 20190126752 A KR20190126752 A KR 20190126752A KR 102091120 B1 KR102091120 B1 KR 102091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t
unit
raw
raw material
magnet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보
Original Assignee
박성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보 filed Critical 박성보
Priority to KR1020190126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11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1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1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8/00Plants, factories, or the like for processing meat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06Cutting or shaping meat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73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using visual recognition, X-rays, ultrasounds, or other contactless means to determine quality or size of portioned meat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17/00Other devices for processing meat or bones
    • A22C17/0093Handling, transporting or packaging pieces of meat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5/00Apparatus for mixing meat, sausage-meat, or meat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Abstract

육류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며, 육류 가공 장치는 정선부로부터 전달받은 정선된 원료육을 미리 설정된 크기로 커팅하는 커팅부; 상기 커팅부로부터 전달받은 커팅된 원료육과 양념소스 제조부로부터 전달받은 양념소스를 배합하여 양념 원료육을 전달하는 배합부; 상기 배합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양념 원료육을 미리 설정된 중량으로 계량한 후 포장 공정을 수행하여 포장된 원료육을 전달하는 포장부; 및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육류 가공 장치 {APPARATUS FOR PROCESSING MEAT}
본원은 육류 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육류 가공 방법은 소 또는 돼지의 육류를 도축한 상태에서 곧바로 시중에 유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일반적인 육류 가공 방법은, 도축된 소 또는 돼지의 육류가 시중에 유통되는 과정에서 금속 등 이물질의 선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섭취에 불안을 느끼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육류 가공 방법으로는 육류 내 불필요한 지방을 제거하거나 육류를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거나 가공된 육류를 포장하는 등의 과정(공정)이 사용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육류 가공 방법은 제품의 굵기가 균일하지 않고 생산성이 저조하고(육류를 가공함에 있어서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 비위생적인 문제가 있으며, 소비자에게 최상의 상태를 갖는 육류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02073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에 육류 가공 과정(공정)을 수작업으로 수행함에 따라 야기되는 문제(예를 들어, 육류 제품의 굵기가 균일하지 않고 생산성이 저조하고 비위생적이며, 최상의 상태를 갖는 육류의 공급이 이루이지지 못하는 문제 등)을 해소할 수 있는 육류 가공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가공 장치는, 정선부로부터 전달받은 정선된 원료육을 미리 설정된 크기로 커팅하는 커팅부; 상기 커팅부로부터 전달받은 커팅된 원료육과 양념소스 제조부로부터 전달받은 양념소스를 배합하여 양념 원료육을 전달하는 배합부; 상기 배합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양념 원료육을 미리 설정된 중량으로 계량한 후 포장 공정을 수행하여 포장된 원료육을 전달하는 포장부; 및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정선부는, 해동부로부터 전달받은 해동된 원료육에 존재하는 지방을 제거하는 정선 공정을 수행하여 정선된 원료육을 전달하되, 상기 해동된 원료육을 촬영하여 획득된 획득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상기 획득 이미지 내에서 지방인 것으로 의심되는 영역을 지방 의심 영역으로서 식별하고, 상기 식별에 기초하여 상기 정선 공정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해동된 원료육의 표면에 대해 레이저 스캐닝으로 반사강도를 획득하여 분석하되, 지방이 아닌 표면에 대한 기준강도와 대비하여 상기 지방 의심 영역에 대한 반사강도가 허용범위의 상한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상한값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는 지방 의심 영역을 지방 영역인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인식된 지방 영역에 대해 정선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육류 가공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에 육류 가공 과정(공정)을 수작업으로 수행함에 따라 야기되는 문제(예를 들어, 육류 제품의 굵기가 균일하지 않고 생산성이 저조하고 비위생적이며, 최상의 육류 상태로 소비자에게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 등)를 해소할 수 있다. 즉, 본원은 육류 제품을 균일한 굵기(두께)로 커팅(절단)할 수 있고, 생산성을 높이고 위생적이며, 최상의 육류 상태로 소비자에게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원에 의하면, 위생적이면서 육류 제품의 굵기(두께)가 균일하도록 육류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본원은 육류 가공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육류 가공의 자동화를 가능하게 하여 육류 가공 작업이 보다 쉽고 빠르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가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가공 장치의 배합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가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가공 장치(100)를 설명의 편의상 본 장치(100)라 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장치(100)는 해동부(110), 정선부(120), 커팅부(130), 세절부(140), 부재료 관리부(150), 양념 소스 제조부(160), 배합부(170), 포장부(180), 금속 검출부(190), 숙성부(200), 박스 포장부(210) 및 제어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20)는 본 장치(100)에 포함된 각 부(110, 120, …, 2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장치(100)에서 고려하는 원료육이라 함은 소고기 또는 돼지고기를 의미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육류가 고려될 수 있다.
해동부(110)는 냉동 원료육을 해동시킬 수 있다. 냉동 원료육은 냉동실에 보관되어 저장된 냉동된 원료육을 의미할 수 있다. 해동부(110)는 냉동 원료육을 해동시키고, 해동된 원료육을 정선부(120)로 전달(제공)할 수 있다.
해동부(110)는 일예로 냉동 원료육을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냉동 원료육을 해동시키는 시간(미리 설정된 시간)은 일예로 72시간 이하의 시간 중 어느 하나의 시간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리 설정된 시간의 단위는 예시적으로 시간 단위인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day), 분, 초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정선부(120)는 해동부(110)로부터 해동된 원료육을 전달(제공)받을 수 있다.
정선부(120)는 해동부(110)로부터 전달받은 해동된 원료육에 존재하는 지방을 제거하는 정선 공정을 수행하여 정선된 원료육을 커팅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정선 공정이라 함은, 원료육(해동된 원료육)에 붙어있는 근과 지방,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공정을 의미할 수 있다.
정선부(120)는 본 장치(100)에 포함된 제1 카메라(미도시)를 이용하여 해동된 원료육을 촬영하여 획득된 획득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획득 이미지 내에서 제거대상으로서 지방인 것으로 의심되는 영역을 지방 의심 영역으로서 1차 식별할 수 있다. 정선부(120)는 1차 식별에 기초하여 정선 공정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제1 카메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미도시)는 이미지 촬영부, 영상 획득부 등으로 달리 표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미도시)는 정선부(120)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1 카메라(미도시)는 정선부(120) 중 해동된 원료육에 대한 촬영이 가능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정선부(120)는 제1 카메라(미도시)로부터 획득된 획득 이미지(즉, 해동된 원료육에 대한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1차적으로 획득된 이미지 내에 지방 의심 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획득된 이미지의 분석시에는 기 알려져 있거나 향후 개발되는 다양한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이 적용될 수 있다.
정선부(120)는 이미지 분석시 이미지의 픽셀 값 등을 기초로 지방 의심 영역을 식별할 수 있다. 일예로, 정선부(120)는 획득 이미지 내에 미리 설정된 픽셀 값 이상인 픽셀 값을 갖는 영역을 지방 의심 영역으로 식별할 수 있다.
정선부(120)는 획득 이미지 내에 지방 의심 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1차 식별된 이후, 본 장치(100)에 포함된 본 장치(100)에 포함된 레이저 스캐너(미도시)를 이용하여 해동된 원료육의 표면에 대해 레이저 스캐닝으로 반사강도를 획득하여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정선부(120)는 지방이 아닌 표면에 대한 기준강도와 대비하여 지방 의심 영역에 대한 반사강도가 허용범위의 상한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한값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는 지방 의심 영역을 지방 영역인 것으로 2차 인식하여, 인식된 지방 영역에 대해 정선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정선부(120)는 1차적으로 제1 카메라(미도시)를 통해 획득된 획득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획득 이미지 내에 지방 의심 영역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정선부(120)는 지방 의심 영역에 대하여 즉시 정선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레이저 스캐너(미도시)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해동된 원료육의 표면(특히, 지방 의심 영역의 표면)에 대한 반사강도를 획득하여 획득된 지방 의심 영역에 대한 반사강도가 허용범위의 상한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정선부(120)는 2차 판단 결과 지방 의심 영역에 대한 반사강도가 허용범위의 상한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해당 지방 의심 영역이 지방 영역인 인식(최종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정선부(120)는 인식된 지방 영역에 대하여 해당 지방 영역을 제거하는 정선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정선부(120)는 지방 영역에 대한 정선 공정의 수행 이전에, 지방이 아닌 표면에 대한 기준강도와 대비하여 해동된 원료육의 표면 중 허용범위의 하한값 이하인 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하한값 이하인 영역을 포함하는 해동된 원료육이 가공 부적합 원료육인 것으로 인식하여, 인식된 가공 부적합 원료육을 정선 공정에서 제외시키는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지방이 아닌 표면에 대한 기준강도는, 해동된 원료육 중 지방이 아닌 영역(육류 영역)(즉, 정상 원료육)에 대한 반사강도를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강도는 레이저 스캐너를 통해 획득하는 반사강도 값과 관련하여, 제1 값 이상 제2 값 이하의 값 중 어느 하나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지방 의심 영역이 지방 영역인지를 판단하는데 기준이 되는 허용범위의 상한값은 제3 값(반사강도 값이 제3 값인 경우)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3 값은 제2 값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가공 부적합 원료육인지를 판단하는데 기준이 되는 허용범위의 하한값은 제4 값(반사강도 값이 제4 값인 경우)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제4 값은 제1 값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4 값은 제3 값보다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즉, 반사강도 값은 제4값 < 제1 값 < 제2 값 < 제3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정선부(120)는 해동된 원료육의 표면에 대한 반사강도를 획득하여 분석한 결과, 지방 의심 영역에 대한 반사강도가 허용범위의 상한값(즉, 제3 값) 이상인 경우, 해당 지방 의심 영역을 지방 영역인 것으로 2차 판단하여, 해당 지방 영역에 대하여 정선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원료육에 지방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원료육 내 지방 부위는 변색되지 않은 원료육(정상 원료육) 대비 밝은 색(흰색)을 띌 수 있다. 이처럼, 해동 원료육 내 지방 부위가 변색되지 않은 원료육 대비 밝은 색(흰색, 하얀색)을 띔에 따라, 지방 부위에 대한 반사강도(즉, 반사되는 레이저의 강도, 세기)는 변색되지 않은 원료육(정상 원료육)에 대한 반사강도 대비 더 큰 값으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정선부(120)는 지방 의심 영역에 대한 반사강도가 허용범위의 상한값(즉, 제3 값) 이상인 경우, 해당 지방 의심 영역을 지방 영역인 것으로 판단(인식)하여, 해당 지방 영역에 대하여 정선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정선부(120)는 1차로 판단된 지방 의심 영역에 대한 반사강도가 제3 값 이상이 아닌 경우(특히, 제3 값 미만이되 제4 값을 초과하는 경우), 지방 의심 영역이 지방 영역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지방 의심 영역에 대한 정선 공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정선부(120)는 해동된 원료육의 표면에 대한 반사강도를 획득하여 분석한 결과, 지방 의심 영역에 대한 반사강도가 허용범위의 하한값(즉, 제4 값) 이하인 경우, 해당 지방 의심 영역이 변색되거나 육류의 상태가 좋지 않음에 따라 해당 지방 의심 영역을 포함하는 해동된 원료육을 가공하기에 부적합한 원료육(즉, 가공 부적합 원료육)인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원료육의 상태가 좋지 않아 변색된 경우, 변색된 원료육의 색상은 변색되지 않은 원료육(정상 원료육) 대비 어두운 색을 띌 수 있다. 이처럼, 변색된 원료육이 변색되지 않은 원료육(정상 원료육) 대비 어두운 색을 띔에 따라, 변색된 원료육에 대한 반사강도(즉, 반사되는 레이저의 강도, 세기)는 변색되지 않은 원료육(정상 원료육)에 대한 반사강도 대비 더 낮은 값으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정선부(120)는 지방 의심 영역에 대한 반사강도가 허용범위의 하한값(즉, 제4 값) 이하인 경우, 해당 지방 의심 영역을 포함하는 해동된 원료육을 가공 부적합 원료육인 것으로 인식해 정선 공정에서 제외시킴으로써 정선 공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정선부(120)는 지방 의심 영역에 대한 반사강도가 허용범위의 하한값(즉, 제 4 값) 이하인 경우뿐만 아니라, 해동된 원료육의 표면 중 반사강도가 허용범위의 하한값(즉, 제 4값) 이하인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반사강도가 허용범위의 하한값 이하인 영역이 존재하는 해동된 원료육을 가공 부적합 원료육인 것으로 인식해 정선 공정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상술한 일예에서는, 정선부(120)가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해 획득된 반사강도를 기초로, 지방 의심 영역이 지방 영역인지 혹은 지방 의심 영역을 포함하는 해동된 원료육이 가공 부적합 원료육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에 대하여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일예로, 정선부(120)는 발광부(미도시) 및 수광부(미도시)를 이용한, 반사광의 정도(반사광량)를 이용하여 지방 의심 영역이 지방 영역인지 혹은 지방 의심 영역을 포함하는 해동된 원료육이 가공 부적합 원료육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본 장치(100)는 정선부(120)에 구비되는 발광부(미도시)와 수광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미도시)는 정선부(120)에 구비되고, 해동된 원료육에 대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발광부는 적외선, 가시광선 등 미리 설정된 파장을 갖는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발광부는 발광소자로서 일예로 엘이디(LED)일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광부는 다양한 발광소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광부(미도시)는 정선부(120)에 구비되고, 발광부와 미리 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수광부는 발광부로부터 해동된 원료육을 향하여 조사된 광에 대응하여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발광부와 수광부는 정선부(120)에서 해동된 원료육이 이동되는 방향(즉, 해동부로부터 전달받은 해동된 원료육이 커팅부로 전달되는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미리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발광부는 해동된 원료육을 향하여 광을 조사할 수 있으며, 수광부는 발광부로부터 조사된 광에 대응하는 반사광(즉, 해동된 원료육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신할 수 있다.
수광부(미도시)는 수신하는 반사광의 정도로서 반사광의 양을 측정(센싱)할 수 있다. 이러한 수광부가 측정(센싱)하는 반사광의 정도(반사광의 양, 반사광량)를 통해, 지방 의심 영역이 지방 영역인지, 혹은 지방 의심 영역을 포함하는 해동된 원료육이 가공 부적합 원료육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선부(120)는 1차로 식별된 지방 의심 영역에 대하여, 지방 의심 영역에 대한 반사광의 정도(반사광량)가 기설정된 기준 범위에 속하는 경우, 해당 지방 의심 영역이 정상 원료육에 해당하는 영역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정선부(120)는 1차로 식별된 지방 의심 영역에 대한 반사광의 정도(반사광량)가 기설정된 기준 범위의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 지방 의심 영역이 지방 영역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정선부(120)는 1차로 식별된 지방 의심 영역에 대한 반사광의 정도가 기설정된 기준 범위의 하한값 미만인 경우, 지방 의심 영역이 변색된 영역인 것으로 인식하여, 반사광의 정도가 하한값 미만인 지방 의심 영역을 포함하는 해동된 원료육을 가공 부적합 원료육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수광부가 수신하는 반사광의 정도(반사광량)는, '해동된 원료육에 변색된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 해동된 원료육에 지방 영역이나 변색된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즉, 정상 원료육만 존재하는 경우) < 해동된 원료육에 지방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의 순일 수 있다. 달리 표현해, 수광부가 수신하는 반사광의 정도(반사광량)는, '지방 의심 영역이 변색된 영역인 경우 < 지방 의심 영역이 정상 원료육에 해당하는 영역인 경우 < 지방 의심 영역이 지방 영역인 경우'의 순일 수 있다.
이때, 변색된 영역에 대한 반사광의 정도(반사광량)가 가장 적은 이유는, 변색된 영역이 다른 정상 원료육의 영역 혹은 지방 영역과 대비하여 어두운 색을 띔에 따라, 발광부(미도시)로부터 조사되는 광이 대부분 해동된 원료육 내 변색된 영역에서 흡수되어 반사되는 양이 적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지방 영역이 정상 원료육의 영역 대비 반사광의 정도(반사광량)가 더 큰 이유는, 밝은색(흰색)을 띔에 따라 발광부로부터 조사된 광이 지방 영역에서 대부분 반사되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정선부(120)는 지방 의심 영역에 대한 반사광의 정도(반사광량)가 기설정된 기준 범위의 하한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되면, 지방 의심 영역이 변색된 영역임에 따라 해당 지방 의심 영역을 포함하는 해동된 원료육을 가공 부적합 원료육인 것으로 인식하고, 가공 부적합 원료육을 정선 공정에서 제외시킬 수 있다. 또한, 정선부(120)는 지방 의심 영역에 대한 반사광의 정도가 기설정된 기준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지방 의심 영역이 정상 원료육인 것으로 판단하여 정선 공정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정선부(120)는 지방 의심 영역에 대한 반사광의 정도가 기설정된 기준 범위의 상한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지방 의심 영역이 지방 영역인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지방 영역에 대하여 정선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장치(100)는 해동된 원료육 내 지방이 존재하는지 여부(혹은, 정선 공정의 수행 여부)를 단순히 제1 카메라를 이용해 획득된 획득 이미지의 분석만을 이용하여 판단(식별)하는 것이 아니라, 획득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통한 1차 판단(즉, 지방 의심 영역인지의 1차 판단)과 1차 판단된 지방 의심 영역에 대한 2차 판단(즉, 지방 영역인지의 2차 판단)을 포함하는 이중 판단을 통해 지방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지방에 대한 정선 공정이 보다 높은 정확도로 이루어지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정선부(120)는 지방 의심 영역이 지방 영역인 것으로 인식된 경우, 인식된 지방 영역에 대해 정선 공정을 수행하고, 정선 공정이 수행된 해동된 원료육을 정선된 원료육으로서 커팅부(130)로 전달(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정선부(120)는 지방 의심 영역이 지방 영역이 아닌 정상 원료육에 해당하는 영역인 것으로 인식된 경우, 정성 원료육을 정선된 원료육으로서 커팅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정선부(120)는 지방 의심 영역이 변색 영역임에 따라 가공 부적합 원료육인 것으로 인식된 경우, 해당 가공 부적합 원료육에 대한 정선 공정을 수행하지 않고, 다음 해동된 원료육에 대하여 정선 공정의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커팅부(130)는 정선부(120)로부터 정선된 원료육을 전달받을 수 있다.
커팅부(130)는 정선부(120)로부터 전달받은 정선된 원료육을 미리 설정된 크기로 커팅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크기는 제품 규격에 맞는 크기로서,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커팅부(130)는 정선된 원료육을 미리 설정된 크기로서 미리 설정된 두께, 미리 설정된 너비 등으로 커팅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본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본 장치(100)를 통해 가공하고자 하는 육류 가공 제품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커팅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육류 가공 제품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정선된 원료육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대응하는 제품 규격에 맞는 크기로 커팅할 수 있다.
커팅부(130)는 정선된 원료육을 미리 설정된 크기로 커팅한 이후, 커팅된 원료육을 배합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배합부(170)는 커팅부(130)로부터 전달받은 커팅된 원료육과 양념소스 제조부(160)로부터 전달받은 양념소스를 배합하여 양념 원료육을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합부(170)는 커팅부(130)로부터 전달받은 커팅된 원료육과 양념소스 제조부(160)로부터 전달받은 양념소스를 배합할 수 있다. 이후, 배합부(170)는 커팅된 원료육과 양념소스를 배합함으로써 제조된 배합된 원료육을 양념 원료육으로서 포장부(18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육류 가공 장치(100)의 배합부(17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2a는 배합부(170)의 동작 제어에 있어서 기본 상태를 나타낸다. 도 2b는 제어부(220)에 의한 배합부(170)의 동작 제어 중 상태로서, 배합부(170)의 재료 수용부(18a)에 수용된 커팅된 원료육이 배합부(170)의 믹서부(18b)에서 양념 소스와 배합(믹서)되도록 하기 위해, 제어부(220)가 배합부(170)의 동작을 제어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c는 재료 수용부(18a)의 예를 나타내고, 도 4d는 믹서부(18b)의 예를 나타낸다.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배합부(170)는 재료 수용부(18a), 믹서부(18b) 및 재료 수용부(18a)와 믹서부(18b)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8c)를 포함할 수 있다. 배합부(170)는 제어부(220)에 의하여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재료 수용부(18a)는 커팅부(130)로부터 커팅된 원료육을 전달받아 수용할 수 있다. 믹서부(18b)는 재료 수용부(18a)에 수용된 커팅된 원료육을 전달받고, 양념 소스 제조부(160)로부터 양념 소스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전달받은 커팅된 원료육과 양념 소스를 배합(믹서)할 수 있다.
이때, 커팅된 원료육과 양념 소스의 배합을 위해, 제어부(220)는 일예로 도면을 기준으로 연결부재(18c)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재료 수용부(18a)에 수용된 커팅된 원료육이 믹서부(18b)에 전달되도록(부어지도록) 할 수 있다.
배합부(170)는 배합된 원료육, 즉 커팅된 원료육과 양념 소스가 배합된 양념 원료육을 포장부(180)로 전달할 수 있다.
포장부(180)는 배합부(170)로부터 전달받은 양념 원료육을 미리 설정된 중량으로 계량한 후 포장 공정을 수행하여 포장된 원료육을 전달할 수 있다.
즉, 포장부(180)는 배합부(170)로부터 전달받은 양념 원료육을 미리 설정된 중량으로 계량하고, 미리 설정된 중량으로 계량된 양념 원료육(즉, 계량된 원료육)에 대하여 포장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계량되는 미리 설정된 중량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육류 가공 제품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미리 설정된 중량은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포장부(18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포장부(180)는 제어부(220)의 제어에 의해, 양념 원료육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소진되도록 동작이 제어(포장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시간은 일예로 1시간일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포장부(180)는 배합부(170)에 의하여 배합된 양념 원료육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소진되지 않은 경우 포장 공정을 중단하고, 배합부(170)로부터 전달받은 양념 원료육 중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소진되지 않은 미소진 양념 원료육이 미소진 재료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도록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이때, 포장부(180)는 배합부(170)로부터 전달받은 양념 원료육 중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소진되지 않은 미소진 양념 원료육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포장부(180)에 구비된 이미지 센서, 무게 측정 센서 및 거리 측정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센싱부를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배합부(170)로부터 전달받은 배합된 원료육(양념 원료육)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소진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220)는 포장부(180)를 통해 수행되는 포장 공정(양념 원료육에 대한 포장 공정)을 중단시키고,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소진되지 않은 미소진 양념 원료육이 미소진 재료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도록, 포장부(18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포장부(180)는 배합부(170)로부터 전달받은 양념 원료육을 수용하는 양념 원료육 수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포장부(180)는 양념 원료육 수용부(미도시)에 수용된 양념 원료육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소진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포장부(180)는 양념 원료육 수용부(미도시)에 수용된 양념 원료육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소진되지 않은 경우, 양념 원료육 수용부(미도시) 내 미소진된 미소진 양념 원료육이 미소진 재료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때, 포장부(180)에는 배합부(170)로부터 전달받은 양념 원료육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소진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센싱부(미도시)는 포장부(180) 내 양념 원료육 수용부(미도시)에 구비될 수 있다.
센싱부(미도시)는 일예로 이미지 센서, 무게 측정 센서, 거리 측정 센서 등일 수 있으며,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물체의 존재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다양한 센서가 적용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센싱부(미도시)가 이미지 센서인 경우, 제어부(220)는 이미지 센서를 이용해 양념 원료육 수용부(미도시) 내 수용된 양념 원료육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양념 원료육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양념 원료육 수용부(미도시) 내에 양념 원료육(즉, 미소진 양념 원료육)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미지 분석 결과, 양념 원료육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소진되지 않아 양념 원료육 수용부(미도시) 내에 존재(즉, 미소진 양념 원료육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220)는 포장부(180)를 통해 수행되는 양념 원료육에 대한 포장 공정을 중단시키고, 미소진 양념 원료육이 미소진 재료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미도시)가 무게 센서인 경우, 제어부(220)는 무게 센서를 이용해 양념 원료육 수용부(미도시) 내 수용된 양념 원료육에 대한 무게를 센싱하고, 센싱된 양념 원료육에 대한 무게를 분석하여 양념 원료육 수용부(미도시) 내에 미소진 양념 원료육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센싱값(센싱된 무게값) 분석 결과, 센싱값이 미리 설정된 무게(예를 들어, 0kg)를 초과하는 경우, 제어부(22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소진되지 않은 미소진 양념 원료육이 양념 원료육 수용부(미도시) 내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따라 포장부(180)를 통해 수행되는 포장 공정을 중단시키고, 미소진 양념 원료육이 미소진 재료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미소진 재료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미소진 양념 원료육은, 금번 양념 원료육에 대한 포장 공정이 수행된 이후에, 다른 양념 원료육에 대한 포장 공정의 수행시 배합부(170)에 의하여 새롭게 배합된 양념 원료육 보다 우선하여 먼저 사용될 수 있다.
즉, 1차 육류 가공 제품에 대한 생산(가공)을 위하여, 배합부(170)는 1차 배합을 통해 양념 원료육을 제조하고 이를 포장부(180)로 전달할 수 있으며, 포장부(180)는 1차 제조된 양념 원료육에 대한 포장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1차 제조된 양념 원료육에 대한 포장 공정의 수행시 발생한 미소진 양념 원료육은 미소진 재료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다.
이후, 본 장치(100)를 통해 2차 육류 가공 제품에 대한 생산(가공)이 이루어지는 경우, 배합부(170)는 2차 육류 가공 제품이 1차 육류 가공 제품과 동일한 유형의 제품인지 판단할 수 있다.
이때, 2차 육류 가공 제품이 1차 육류 가공 제품과 동일한 유형의 제품인 경우, 배합부(170)는 2차 육류 가공 제품에 대한 생산(가공)을 위하여, 2차 배합을 통해 양념 원료육을 제조하고 이를 포장부(180)로 전달할 수 있으며, 포장부(180)는 2차 제조된 양념 원료육에 대한 포장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포장부(180)는 2차 육류 가공 제품이 1차 육류 가공 제품과 동일한 유형의 제품이므로, 2차 제조된 양념 원료육에 대한 포장 공정을 수행하기 이전에, 미소진 재료 저장부(미도시)에 기 저장된 미소진 양념 원료육이 2차 제조된 양념 원료육보다 우선하여(먼저) 포장 공정이 수행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2차 육류 가공 제품에 대한 생산(가공)의 수행시, 포장부(180)는 2차 제조된 양념 원료육 보다 미소진 재료 저장부(미도시)에 기 저장된 미소진 양념 원료육에 대한 포장 공정을 우선하여 수행하고, 이후 미소진 양념 원료육에 대한 포장 공정이 모두 이루어지면, 2차 제조된 양념 원료육에 대한 포장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0)는, 포장부(180)가 양념 원료육에 대하여 포장 공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포장 공정에 이용되는 양념 원료육으로서 배합부(170)에 의하여 새롭게 배합된 양념 원료육보다 미소진 재료 저장부(미도시)에 기 저장된 미소진 양념 원료육이 우선하여 먼저 포장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0)는 양념 원료육에 대한 포장 공정 내지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소진되지 않은 미소진 양념 원료육의 보관(저장)에 대한 공정이 제어부(220)의 제어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육류를 가공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과 생산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0)는 소비자에게 최상의 상태를 갖는 육류의 공급(제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장치(100)는 양질의 육류 가공 제품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포장부(180)는 양념 원료육을 미리 설정된 중량으로 계량하여 포장 공정으로서 진공 포장을 수행할 수 있다. 포장부(180)는 계량된 양념 원료육에 대하여 일예로 폴리에틸렌(PE) 소재로 이루어진 포장지로 내포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포장부(180)는 일예로 내포장부라 달리 표현될 수 있다.
포장부(180)는 비닐, 플라스틱 용기, 포장용기 등 다양한 포장 재료를 이용하여 계량된 양념 원료육에 대한 포장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포장부(180)는 포장 공정으로서 진공 포장, 벌크포장, 급냉포장 등의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포장부(180)는 포장 공정의 수행을 통해 포장된 원료육을 금속 검출부(190)로 전달할 수 있다.
금속 검출부(190)는 포장부(180)로부터 전달받은 포장된 원료육 내에 금속이물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금속검출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포장부(180)에 의하여 포장된 원료육은 내포장된 원료육으로서 내포장된 제품이라 달리 표현될 수 있다.
금속 검출부(190)는 포장부(180)로부터 전달받은 포장된 원료육(즉, 내포장된 제품)에 금속이물이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하는 금속검출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금속 검출부(190)는 내포장된 제품에 대하여, 금속이물(Fe 2.5mmΦ, SUS 3.5mmΦ 이상) 불검출 관련 금속검출(CCP-1P)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금속 검출부(190)는 금속 검출부(190)를 통과하는 내포장된 제품에 금속이물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키고, 금속이물이 포함된 내포장된 제품을 제외시킬 수 있다. 금속 검출부(190)는 복수의 내포장된 제품 중 금속 검출부(190)를 통해 식별된 금속이물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금속이물 미검출 제품(즉, 금속이물 미검출 원료육)에 대해서만 후술하는 숙성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
즉, 금속 검출부(190)는 포장부(180)로부터 전달받은 포장된 원료육에 대하여 금속검출 공정을 수행하고, 금속검출 공정의 수행 결과 금속이물이 검출되지 않은 포장된 원료육(금속이물이 검출되지 않은 내포장된 제품)을 금속이물 미검출 원료육(혹은, 금속이물 미검출 제품)으로서 숙성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
숙성부(200)는 금속 검출부(190)로부터 전달받은 금속이물 미검출 원료육에 대하여 적외선을 조사하여 금속이물 미검출 원료육을 숙성시키는 숙성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숙성부(220)는 금속이물 미검출 원료육에 대하여 적외선을 조사하는 적외선 조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본 장치(100)에 포함된 각 부(110, 120, ?, 2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금속이물 미검출 원료육의 원료육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파장 범위를 갖는 적외선이 조사되도록 숙성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220)는 금속이물 미검출 원료육의 원료육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파장 범위를 갖는 적외선이 조사되도록, 숙성부(200)의 적외선 조사부(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원료육 유형에는 제1 유형과 제2 유형이 포함될 수 있으며, 제1 유형은 원료육이 소고기인 경우의 유형을 의미하고, 제2 유형은 원료육이 돼지고기인 경우의 유형을 의미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금속이물 미검출 원료육의 원료육 유형이 소고기인 제1 유형인 경우, 제1 파장 범위를 갖는 적외선이 조사되도록 숙성부(200)의 적외선 조사부(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금속이물 미검출 원료육의 원료육 유형이 돼지고기인 제2 유형인 경우, 제1 파장 범위보다 높은 제2 파장 범위를 갖는 적외선이 조사되도록 숙성부(200)의 적외선 조사부(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파장 범위는 일예로 25μm 미만의 이상의 범위일 수 있고, 제2 파장 범위는 일예로 25μm 이상의 범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적외선은 0.75 이상 3μm미만의 파장 범위를 갖는 근적외선, 3 이상 25μm 미만의 파장 범위를 갖는 적외선, 25μm 이상의 파장 범위를 갖는 원적외선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파장 범위는 근적외선 및 적외선에 대응하는 파장 범위이고, 제2 파장 범위는 원적외선에 대응하는 파장 범위일 수 있다.
일예로, 숙성부(200)는 원료육 유형이 돼지고기인 제2 유형인 경우, 적외선 조사부(미도시)로부터 적외선으로서 제2 파장 범위(즉, 25μm 이상의 파장 범위) 중 어느 하나의 파장을 갖는 원적외선이 조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숙성부(200)는 금속이물 미검출 원료육에 대하여 원적외선이 조사되도록 함으로써, 원적외선으로 하여금 금속이물 미검출 원료육에 대하여 중금속제거와 탈취 및 세균번식이 억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숙성부(200)는 원적외선의 조사를 통해, 금속이물 미검출 원료육을 1분에 2,000번씩 미세하게 흔들어 줌으로 숙성 후 금속이물 미검출 원료육의 육질이 상당히 부드러워지도록 할 수 있다.
숙성부(200)는 원료육의 유형에 따라 조사되는 적외선의 파장 범위를 달리함으로써, 각 유형의 원료육에 대하여 최적화된 숙성이 이루어지도록 제공할 수 있다.
숙성부(200)는 금속이물 미검출 원료육을 숙성시킨 후, 숙성된 원료육(즉, 숙성된 금속이물 미검출 원료육)을 외포장부(210)로 전달할 수 있다.
외포장부(210)는 숙성부(200)로부터 전달받은 숙성된 원료육(즉, 숙성된 내포장된 제품)에 대한 외포장(외포장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외포장부(210)는 숙성된 원료육(숙성된 내포장된 제품)을 주문 요구에 따라 종이박스 또는 플라스틱 박스의 포장재에 담아 외포장을 수행할 수 있다. 외포장부(210)에 의하여 외포장된 원료육은 외포장된 제품이라 달리 표현될 수 있다.
외포장부(210)에 의하여 외포장된 제품은 냉장 또는 냉동으로 보관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여, 외포장된 제품의 냉장보관을 위해 제어부(220)는 외포장된 제품을 냉장실(완제품 보관 냉장실)로 전달하여 냉장으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외포장된 제품의 냉동보관을 위해 제어부(220)는 외포장된 제품을 냉동실(완제품 보관 냉동실)로 전달하여 냉동으로 보관할 수 있다.
이때, 외포장된 제품을 보관하는 냉장실의 온도는 일예로 0℃ 내지 10℃ 사이의 온도로 유지되도록 제어되고, 외포장된 제품을 보관하는 냉동실의 온도는 일예로 -18℃ 이하의 온도로 유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냉장 또는 냉동으로 보관되는 외포장된 제품은 냉동/냉장 차량(탑차)를 이용하여 출고(출하)될 수 있다. 이때, 냉장 보관되는 외포장된 제품을 출고하기 위해 이용되는 냉장차량은 냉장실의 온도가 0℃ 내지 10℃ 사이의 온도로 유지되도록 제어되고, 냉동 보관되는 외포장된 제품을 출고하기 위해 이용되는 냉동차량은 냉동실의 온도가 -18℃ 이하의 온도로 유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커팅부(130)는 커팅된 원료육을 배합부(170)로 전달할 수 있으며, 뿐만 아니라 커팅된 원료육을 세절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세절부(140)는 커팅부(130)로부터 전달받은 커팅된 원료육을 세절할 수 있다. 여기서, 세절은 잘게 자르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세절부(140)는 민서기부, 다짐부 등으로 달리 표현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육류 가공 장치(본 장치, 100)에 의한 육류 가공 유형에 따라 각 부의 동작을 달리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육류 가공 유형에는 제1 가공 유형인 양념 가공 유형 및 제2 가공 유형인 분쇄 가공 유형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육류 가공 유형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220)는 육류 가공 장치(본 장치, 100)에 의한 육류 가공 유형이 제1 가공 유형인 양념 가공 유형인 경우, 배합부(170)가 커팅부(130)로부터 전달받은 커팅된 원료육과 양념 소스 제조부(160)로부터 전달받은 양념소스를 배합하여 포장부(180)로 양념 원료육을 전달하도록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양념 원료육의 제조를 위해 고려되는 양념 소스는 제1 양념 소스로서, 이는 양념 육류 제조용 양념 소스라 달리 표현될 수 있다.
특히, 육류 가공 유형이 제1 가공 유형인 경우, 양념 소스 제조부(160)는 양념 원료육의 제조를 위해 고려되는 양념 소스인 제1 양념 소스(즉, 양념 육류 제조용 양념 소스)를 제조하고, 제조된 제1 양념 소스를 배합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220)는 육류 가공 장치(본 장치, 100)에 의한 육류 가공 유형이 제2 가공 유형인 분쇄 가공 유형인 경우, 배합부(170)가 세절부(140)로부터 전달받은 세절된 원료육, 양념소스 제조부(160)로부터 전달받은 양념소스 및 부재료 관리부(150)로부터 전달받은 복수의 부재료를 배합하여 포장부(180)로 혼합 원료육(떡갈비용 혼합 원료육)을 전달하도록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혼합 원료육의 제조를 위해 고려되는 양념 소스는 제2 양념 소스로서, 이는 떡갈비 제조용 양념 소스라 달리 표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장치(100)에 의한 육류 가공 유형이 제2 가공 유형인 분쇄 가공 유형인 경우, 커팅부(130)는 커팅된 원료육을 세절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이후, 세절부(140)는 커팅부(130)로부터 전달받은 커팅된 원료육을 세절할 수 있다. 이후, 세절부(140)는 세절된 원료육을 배합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육류 가공 유형이 제2 가공 유형(분쇄 가공 유형)인 경우, 배합부(170)는 부재료 관리부(150)로부터 떡갈비 제조를 위한 복수의 부재료를 전달받을 수 있다.
여기서, 부재료 관리부(150)는 떡갈비 제조시 고려되는 부재료를 보관하고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부재료는 떡갈비 제조시 고려되는 주재료인 원료육을 제외한 그 이외의 재료들을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부재료는 양파, 대파 등 각종 야채(채소)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재료 관리부(150)는 떡갈비 제조시 고려되는 복수의 부재료들을, 복수의 부재료들 각각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복수개의 재료 저장부 각각에 보관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때, 부재료 관리부(150)에 의하여 관리/보관되는 부재료들은 다져진 부재료들일 수 있다. 즉, 부재료 관리부(150)는 복수의 다져진 부재료들을 각각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재료 저장부에 보관하고 관리할 수 있다.
부재료 관리부(150)는 육류 가공 유형이 제2 가공 유형(분쇄 가공 유형)인 경우, 복수개의 재료 저장부에 보관된 복수의 부재료 각각을, 각 부재료마다 미리 설정된 중량으로 계량한 후 계량된 부재료들을 배합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합부(170)는 미리 설정된 중량으로 계량된 복수의 부재료를 부재료 관리부(150)로부터 전달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 부재료 관리부(150)는 미리 다져진 복수의 부재료 각각을 각 부재료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재료 저장부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때, 부재료 관리부(150)는 육류 가공 유형이 제2 가공 유형(분쇄 가공 유형)인 경우, 복수의 부재료 각각을 미리 설정된 중량으로 계량하여 배합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미리 설정된 중량으로 계량된 복수의 부재료는 다음과 같을 수 있다. 일예로, 세절된 원료육이 10 중량인 것을 기준으로, 다져놓은 양파는 1~3중량, 대파는 0.1~0.3중량, 배는 0.3~0.8 중량, 마늘은 0.1~0.3중량, 생강은 0.1~0.3중량으로 계량될 수 있다.
본원의 일예에서는, 복수의 부재료로서 양파, 대파, 배, 마늘 및 생강이 고려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부재료로는 청량고추, 당근, 버섯 등 다양한 재료들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육류 가공 유형이 제2 가공 유형(분쇄 가공 유형)인 경우, 양념 소스 제조부(160)는 혼합 원료육의 제조를 위해 고려되는 양념 소스인 제2 양념 소스(즉, 떡갈비 제조용 양념 소스)를 제조하고, 제조된 제2 양념 소스를 배합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일예로 세절된 원료육이 10 중량인 것을 기준으로, 양념 소스(제2 양념 소스)는 일예로 1.0~2.5 중량으로 계량되어 배합부(170)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중량은 kg, g 등의 단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르면, 육류 가공 유형이 제2 가공 유형(분쇄 가공 유형)인 경우, 배합부(170)는 세절부(140)로부터 전달받은 세절된 원료육과 부재료 관리부(150)로부터 전달받은 미리 설정된 중량으로 계량된 복수의 부재료와 양념 소스 제조부(160)로부터 전달받은 제2 양념 소스를 배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배합을 통해 혼합 원료육을 제조할 수 있다.
이후, 배합부(170)는 제조된 혼합 원료육(떡갈비용 혼합 원료육)을 포장부(180)로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본원의 일예에서는, 포장부(180)에 의한 포장 공정, 금속 검출부(190)에 의한 금속검출 공정, 숙성부(200)에 의한 숙성 공정 및 외포장부(210)에 의한 외포장 공정이 양념 원료육에 대하여 이루어지는 경우에 대해서만 예시하였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상술한 포장 공정, 금속검출 공정, 숙성 공정 및 외포장 공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혼합 원료육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포장부(180)는 배합부(170)로부터 혼합 원료육을 전달받은 경우, 혼합 원료육을 미리 설정된 중량으로 소분한 후 소분된 혼합 원료육을 떡갈비 형상으로 성형하여 포장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혼합 원료육의 소분을 위한 미리 설정된 중량은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기 설정될 수 있다.
포장 공정이 이루어진 혼합 원료육에 대하여 이후 금속 검출부(190)에 의한 금속검출 공정, 숙성부(200)에 의한 숙성 공정 및 외포장부(210)에 의한 외포장 공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서 자세히 설명했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부재료 관리부(150)는 복수개의 재료 저장부 각각의 무게를 센싱하기 위해, 각 재료 저장부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무게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부재료 관리부(150)는 복수개의 무게 센서부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재료 저장부 각각에 저장되는 각 부재료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무게 측정 결과, 부재료 관리부(150)는 복수개의 재료 저장부에 저장된 복수의 부재료 중 미리 설정된 임계 무게값 이하인 부재료로서 임계 미달 부재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임계 미달 부재료가 저장(보관)된 재료 저장부에 임계 미달 부재료에 해당하는 부재료가 추가로 공급되어 저장(보관)될 수 있도록, 알람을 발생시킬 수 있다. 혹은, 부재료 관리부(150)는 임계 미달 부재료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임계 미달 부재료가 저장된 재료 저장부에 임계 미달 부재료에 해당하는 부재료에 대한 추가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 미달 부재료라 함은, 재료 저장부에 저장(보관)되어 있는 부재료가 미리 설정된 임계 무게값 미만으로 남아있는 부재료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부재료 관리부(150)는 복수개의 재료 저장부 각각에 대한 재료 저장(보관) 온도를, 재료 저장부에 저장되는 각 재료의 특성에 따라 달리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외포장부(210)에 의하여 외포장된 제품은 냉장 또는 냉동으로 보관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여, 외포장된 제품의 냉장보관을 위해 제어부(220)는 외포장된 제품을 냉장실(완제품 보관 냉장실)로 전달하여 냉장으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외포장된 제품의 냉동보관을 위해 제어부(220)는 외포장된 제품을 냉동실(완제품 보관 냉동실)로 전달하여 냉동으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0)에서 숙성부(200)는 원료육에 대한 신선도 유지를 위해, 숙성 공정에 의하여 숙성된 원료육에 대하여 자기장을 조사하는 자기장 발생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20)는 금속이물 미검출 원료육의 원료육 유형에 따라 자기장 발생부(미도시)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유형을 달리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는, 자기장 발생부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유형으로서 자기장의 세기, 주파수, 시간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자기장 발생부(미도시)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은 일예로 펄스 전자기장(Pulsed Electromagnetic Fields, PEMF)일 수 있다. 또한, 자기장 발생부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은 정자계이거나 약 1 내지 300 가우스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미약 자기장일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일예로 자기장 발생를 통해 발생되는 자기장의 자속밀도 범위는 일예로 0mT 내지 100mT (1000 gauss)일 수 있다.
제어부(220)는 금속이물 미검출 원료육의 원료육 유형이 제1 유형(소고기)인 경우, 자기장 발생부(미도시)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유형을 제1 유형으로서 15Hz 미만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금속이물 미검출 원료육의 원료육 유형이 제2 유형(돼지고기)인 경우, 자기장 발생부(미도시)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유형을 제2 유형으로서 15 Hz 이상 30Hz 이하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자기장 발생부(미도시)는 숙성된 원료육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여 위치하는 제1 자기장 발생부와 제2 자기장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자기장 발생부가 N 펄스 자기장 자극을 발생시키는 경우 제2자기장 발생부는 S펄스 자기장 자극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제1자기장 발생부 및 제2자기장 발생부가 S펄스 자기장 자극 및 N 펄스 자기장 자극을 교대로 발생시키도록, 제1자기장 발생부 및 제2자기장 발생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장치(100)는 자기장 발생부(미도시)를 이용해 숙성된 원료육에 대하여 자기장을 조사함으로써(특히, 원료육 유형에 따라 자기장의 유형을 달리 함으로써), 조사되는 자기장으로 하여금 숙성된 원료육 전체에 걸쳐 미생물의 성장 및 숙성된 원료육의 산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원료육(숙성된 원료육)의 신선도가 효과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장치(100)에서 각 부의 동작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각 부의 동작 중 적어도 일부의 동작은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장치(육류 가공 장치, 100)는 자동화 육류 가공 장치 또는 반자동화 육류 가공 장치라 달리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장치(100)는 종래에 육류 가공 과정(공정)을 수작업으로 수행함에 따라 야기되는 문제(예를 들어, 육류 제품의 굵기가 균일하지 않고 생산성이 저조하고 비위생적이며, 최상의 상태를 갖는 육류의 공급이 이루이지지 못하는 문제 등)을 해소할 수 있다.
본 장치(100)는 육류 가공의 자동화를 이루어 작업이 용이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0)는 균일한 두께와 형태로 육류를 얇고, 연하게 대량 가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100)는 가공되는 육류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씹혀지는 질감(식감)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육류 가공 장치
110: 해동부 120: 정선부
130: 커팅부 140: 세절부
150: 부재료 관리부 160: 양념 소스 제조부
170: 배합부 180: 포장부
190: 금속 검출부 200: 숙성부
210: 외포장부 220: 제어부

Claims (14)

  1. 육류 가공 장치로서,
    정선부로부터 전달받은 정선된 원료육을 미리 설정된 크기로 커팅하는 커팅부;
    상기 커팅부로부터 전달받은 커팅된 원료육과 양념소스 제조부로부터 전달받은 양념소스를 배합하여 양념 원료육을 전달하는 배합부;
    상기 배합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양념 원료육을 미리 설정된 중량으로 계량한 후 포장 공정을 수행하여 포장된 원료육을 전달하는 포장부;
    상기 포장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포장된 원료육 내에 금속이물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금속검출 공정을 수행하는 금속 검출부;
    상기 금속 검출부로부터 전달받은 금속이물 미검출 원료육에 대하여 적외선을 조사하여 상기 금속이물 미검출 원료육을 숙성시키는 숙성 공정을 수행하는 숙성부; 및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선부는,
    해동부로부터 전달받은 해동된 원료육에 존재하는 지방을 제거하는 정선 공정을 수행하여 정선된 원료육을 전달하되,
    상기 해동된 원료육을 촬영하여 획득된 획득 이미지의 분석을 통해 상기 획득 이미지 내에서 지방인 것으로 의심되는 영역을 지방 의심 영역으로서 식별하고, 상기 식별에 기초하여 상기 정선 공정의 수행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해동된 원료육의 표면에 대해 레이저 스캐닝으로 반사강도를 획득하여 분석하되,
    지방이 아닌 표면에 대한 기준강도와 대비하여 상기 지방 의심 영역에 대한 반사강도가 허용범위의 상한값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상한값 이상인 것으로 나타나는 지방 의심 영역을 지방 영역인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인식된 지방 영역에 대해 정선 공정을 수행하고,
    상기 숙성부는, 원료육에 대한 신선도 유지를 위해 상기 숙성 공정에 의하여 숙성된 원료육에 대하여 자기장을 조사하는 자기장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기장 발생부는, 상기 숙성된 원료육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여 위치하는 제1 자기장 발생부와 제2 자기장 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자기장 발생부가 N 펄스 자기장 자극을 발생시키는 경우 상기 제2자기장 발생부는 S펄스 자기장 자극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금속이물 미검출 원료육의 원료육 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파장 범위를 갖는 적외선이 조사되도록 상기 숙성부를 제어하고,
    상기 금속이물 미검출 원료육의 원료육 유형에 따라 상기 자기장 발생부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유형을 달리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상기 제1자기장 발생부 및 상기 제2자기장 발생부가 S펄스 자기장 자극 및 N 펄스 자기장 자극을 교대로 발생시키도록 상기 제1자기장 발생부 및 상기 제2자기장 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인, 육류 가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선부는,
    상기 정선 공정의 수행 이전에, 지방이 아닌 표면에 대한 기준강도와 대비하여 상기 해동된 원료육의 표면 중 상기 허용범위의 하한값 이하인 영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하한값 이하인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해동된 원료육이 가공 부적합 원료육인 것으로 인식하여 상기 인식된 가공 부적합 원료육을 상기 정선 공정에서 제외시키는 것인, 육류 가공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양념 원료육이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소진되도록 동작이 제어되는 것인, 육류 가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부는,
    상기 양념 원료육이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소진되지 않은 경우 상기 포장 공정을 중단하고 상기 배합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양념 원료육 중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소진되지 않은 미소진 양념 원료육이 미소진 재료 저장부에 저장되도록 동작이 제어되는 것인, 육류 가공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료육 유형이 소고기인 제1 유형인 경우, 제1 파장 범위를 갖는 적외선이 조사되도록 상기 숙성부를 제어하고,
    상기 원료육 유형이 돼지고기인 제2 유형인 경우, 상기 제1 파장 범위보다 높은 제2 파장 범위를 갖는 적외선이 조사되도록 상기 숙성부를 제어하는 것인, 육류 가공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부로부터 전달받은 커팅된 원료육을 세절하는 세절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육류 가공 장치에 의한 육류 가공 유형이 양념 가공 유형인 경우, 상기 배합부가 상기 커팅된 원료육과 상기 양념소스를 배합하여 상기 포장부로 상기 양념 원료육을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육류 가공 유형이 분쇄 가공 유형인 경우, 상기 배합부가 상기 세절부로부터 전달받은 세절된 원료육, 상기 양념소스 제조부로부터 전달받은 양념소스 및 부재료 관리부로부터 전달받은 복수의 부재료를 배합하여 상기 포장부로 떡갈비용 혼합 원료육을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육류 가공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료 관리부는,
    미리 다져진 상기 복수의 부재료 각각을 각 부재료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는 재료 저장부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상기 육류 가공 유형이 분쇄 가공 유형인 경우, 상기 복수의 부재료 각각을 미리 설정된 중량으로 계량하여 상기 배합부로 전달하는 것인, 육류 가공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부는,
    상기 배합부로부터 상기 혼합 원료육을 전달받은 경우, 상기 혼합 원료육을 미리 설정된 중량으로 소분한 후 소분된 혼합 원료육을 떡갈비 형상으로 성형하여 포장 공정을 수행하는 것인, 육류 가공 장치.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장 발생부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유형으로서 자기장의 세기, 주파수, 시간 및 패턴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것인, 육류 가공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료육 유형이 제1 유형인 경우, 상기 자기장의 유형을 제1 유형으로서 15Hz 미만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로 제어하고,
    상기 원료육 유형이 제2 유형인 경우, 상기 자기장의 유형을 제2 유형으로서 15 Hz 이상 30Hz 이하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로 제어하는 것인, 육류 가공 장치.
  14. 삭제
KR1020190126752A 2019-10-14 2019-10-14 육류 가공 장치 KR102091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752A KR102091120B1 (ko) 2019-10-14 2019-10-14 육류 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752A KR102091120B1 (ko) 2019-10-14 2019-10-14 육류 가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1120B1 true KR102091120B1 (ko) 2020-03-19

Family

ID=69957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752A KR102091120B1 (ko) 2019-10-14 2019-10-14 육류 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11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05358A (zh) * 2022-03-08 2022-04-29 安徽鑫松亚食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风味肉食品均匀调味装置
KR102538438B1 (ko) 2022-12-30 2023-05-31 농업회사법인 마왕 주식회사 육류 가공 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866A (ko) * 2002-09-26 2004-04-01 강현철 원적외선을 이용한 양념육의 제조방법
JP2011502246A (ja) * 2007-10-24 2011-01-20 ヴェーバー マシーネンバオ ゲーエムベーハー ブレイデンバッハ 脂肪層測定デバイス
KR101013406B1 (ko) * 2010-07-14 2011-02-14 엘림식품(주) 대나무통 양념갈비의 제조방법
KR101420387B1 (ko) * 2012-07-25 2014-07-16 박규완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78488B1 (ko) * 2016-03-31 2016-11-22 대도물류 (주) 육류 포장 시스템
KR20170039539A (ko) * 2015-10-01 2017-04-11 (주)가업에프씨 돈육 양념갈비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732089B1 (ko) * 2016-10-12 2017-05-02 김태형 원료육 처리 방법
KR101787459B1 (ko) * 2017-07-19 2017-11-15 이광열 육류 종류에 따라 육류를 숙성시키는 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육류 숙성용 장치 및 방법
KR101820423B1 (ko) * 2015-10-21 2018-01-19 농업회사법인이촌티엠(주) 포장용 양념갈비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866A (ko) * 2002-09-26 2004-04-01 강현철 원적외선을 이용한 양념육의 제조방법
JP2011502246A (ja) * 2007-10-24 2011-01-20 ヴェーバー マシーネンバオ ゲーエムベーハー ブレイデンバッハ 脂肪層測定デバイス
KR101013406B1 (ko) * 2010-07-14 2011-02-14 엘림식품(주) 대나무통 양념갈비의 제조방법
KR101420387B1 (ko) * 2012-07-25 2014-07-16 박규완 가공식품을 이용한 떡갈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39539A (ko) * 2015-10-01 2017-04-11 (주)가업에프씨 돈육 양념갈비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1820423B1 (ko) * 2015-10-21 2018-01-19 농업회사법인이촌티엠(주) 포장용 양념갈비 제조방법
KR101678488B1 (ko) * 2016-03-31 2016-11-22 대도물류 (주) 육류 포장 시스템
KR101732089B1 (ko) * 2016-10-12 2017-05-02 김태형 원료육 처리 방법
KR101787459B1 (ko) * 2017-07-19 2017-11-15 이광열 육류 종류에 따라 육류를 숙성시키는 환경을 자동으로 설정하는 육류 숙성용 장치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05358A (zh) * 2022-03-08 2022-04-29 安徽鑫松亚食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风味肉食品均匀调味装置
CN114405358B (zh) * 2022-03-08 2022-10-11 安徽鑫松亚食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风味肉食品均匀调味装置
KR102538438B1 (ko) 2022-12-30 2023-05-31 농업회사법인 마왕 주식회사 육류 가공 장치
KR102580714B1 (ko) 2022-12-30 2023-09-20 농업회사법인 마왕 주식회사 세열 가공을 수행하는 육류 커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hd Khairi et al. Noninvasive techniques for detection of foreign bodies in food: A review
KR102091120B1 (ko) 육류 가공 장치
Porep et al. On-line application of near infrared (NIR) spectroscopy in food production
RU2613319C2 (ru) Способ оценки и контроля качества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на динамической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й линии
US20020040968A1 (en) Evaluation of irradiated foods and other items with telemetric dosimeters and associated methods
EP2251158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utting food products into portions
Lukinac et al. Application of computer vision and image analysis method in cheese-quality evaluation: a review.
EP1781110A1 (en) Quality control system
KR100749215B1 (ko) 밀리미터파 수신 장치를 이용한 미개봉 포장 김치 숙성도판별장치
CN105595245A (zh) 一种速冻菠菜加工方法
Imran et al. Characterization of quality degradation during chilled shrimp (Litopenaeus vannamei) supply chain
EP3425380A1 (en) Method for determining quality parameters in meat products and corresponding installation
Jiang et al. Evaluation of factors in development of Vis/NIR spectroscopy models for discriminating PSE, DFD and normal broiler breast meat
Hebbar Freshness of food detection using IoT and machine learning
Tang et al. Intelligent detection for fresh‐cut fruit and vegetable processing: Imaging technology
Mallick et al. Changes in instrumental and sensory properties of indian white shrimp in curry medium during retort pouch processing at different F0 values
Ryynänen et al. Perceived temperature effects on microwave heated meals and meal components
US1094213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water activity in food products
Hasell et al. Review of the microbiological standards for foods
Udayakumar Visible light imaging
Paul-Sadhu Impact of low refrigeration temperature on colour of milk
CN111435454B (zh) 识别米粒的种类的方法、装置和烹饪器具
Aboonajmi et al. Non-destructive quality assessment of table eggs for online sorting
Feng et al. Comparison between an acoustic firmness sensor and a near-infrared spectrometer in segregation of kiwifruit for storage potential
CN114839217A (zh) 一种食物解冻曲线获取方法及烹饪解冻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