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9312B1 - 떡볶이용 떡 연속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떡볶이용 떡 연속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9312B1
KR102209312B1 KR1020190014272A KR20190014272A KR102209312B1 KR 102209312 B1 KR102209312 B1 KR 102209312B1 KR 1020190014272 A KR1020190014272 A KR 1020190014272A KR 20190014272 A KR20190014272 A KR 20190014272A KR 102209312 B1 KR102209312 B1 KR 102209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frame
hopper
hous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4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7032A (ko
Inventor
이선재
Original Assignee
이선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선재 filed Critical 이선재
Priority to KR1020190014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9312B1/ko
Publication of KR20200097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70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9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9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2Feeding mechanisms, e.g. skip lifting mechanisms
    • A21C1/1425Feeding mechanisms, e.g. skip lifting mechanisms for feeding in measured dos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5Controlling; Testing; Measur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00Mixing or kneading machines for the preparation of dough
    • A21C1/14Structural elements of mixing or kneading machines; Parts; Accessories
    • A21C1/149Receptacles, e.g. provided with means for carrying or guiding fluids, e.g. coolan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combined with cutt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떡볶이용 떡 연속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쌀가루 또는 밀가루(이하, '곡분'이라 한다)의 공급에서 곡분과 물의 배합, 증숙, 반죽, 성형, 계량, 절단, 포장기로의 이송 등의 일련의 동작을 자동제어에 의해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떡볶이용 떡의 다량 제조를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떡볶이용 떡의 연속 제조를 가능케 함에 따라 인력을 줄이고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운영비를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작업과정에서 작업장 내에 스팀이 방출되지 않아 작업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여 위생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떡볶이용 떡 연속 제조장치{Continuous manufacturing apparatus for rice cakes}
본 발명은 떡볶이용 떡 연속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쌀가루 또는 밀가루(이하, '곡분'이라 한다)의 공급에서 곡분과 물의 배합, 증숙, 반죽, 성형, 계량, 절단, 포장기로의 이송 등의 일련의 동작을 자동제어에 의해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떡볶이용 떡의 다량 제조를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인력을 줄이고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운영비를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작업과정에서 작업장 내에 스팀이 방출되지 않아 작업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여 위생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떡볶이용 떡 연속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떡볶이용 떡은 떡의 재료인 곡분을 증숙기에서 증숙한 증숙물을 이송장치로 성형기에 공급하면 성형기에서 소정 굵기의 가래떡으로 배출되고 수조를 거치면서 물냉각 후 일정길이로 절단하여 냉장 및 반건조한 것을 계량하여 포장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떡볶이용 떡의 제조과정은 증숙기에 곡분을 부대로 투입하고 물은 상수도에 연결하여 타이머나 전자변의 조작에 의해 적정량을 공급하게 되는 데, 오차나 고장 발생이 잦아 물 공급량의 부정확성으로 증숙상태가 고르지 못해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증숙기에 곡분을 투입할 때나 증숙기를 가동할 때마다 스팀을 수동으로 일일이 공급해야 하므로 수시로 인력이 동원되어야 할 뿐 아니라 스팀 압력으로 작업장에 스팀이 많이 방출됨에 따른 고온 다습한 공기로 인해 작업장의 작업환경이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곡분의 증숙으로부터 포장에 이르기까지 작업의 연속성을 최대한 유지하기 위해서는 오차나 고장 발생 시에 즉시 대처할 수 있는 대기 인력을 필요로 하므로 인건비가 많이 지출될 뿐만 아니라 수동 조작이나 고장 발생 요인 등으로 떡볶이용 떡의 다량 제조에는 적합치 않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9274호(2011.07.07. 등록) "떡 제조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26863호(2012.03.07. 등록) "떡볶이 떡의 제조장치"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곡분의 공급에서 곡분과 물의 배합, 증숙, 반죽, 성형, 계량, 절단, 포장기로의 이송 등의 일련의 동작을 자동제어에 의해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다량 제조를 가능하도록 한 떡볶이용 떡의 연속 제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떡볶이용 떡의 연속 제조를 가능케 함에 따라 인력을 줄이고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운영비를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한 떡볶이용 떡 연속 제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과정에서 작업장 내에 스팀이 방출되지 않으므로 작업장의 작업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여 위생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한 떡볶이용 떡 연속 제조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곡분공급통 본체와, 상기 곡분공급통 본체 상측의 곡분투입부를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곡분공급통 본체의 내부 상하에 모터에 의해 연동되는 양날개를 가진 회전축과 이송스크루와, 상기 이송스크루의 배출단측에 구비한 호퍼와 상기 호퍼 상부의 상단이 개방된 원통형 에어필터와 곡분 배출구로 이루어진 곡분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곡분공급통과; 상기 곡분 배출구와 이송관으로 연결되는 흡입구와 내부 상반부에 장착되는 상단이 개방된 미세한 망상 구조의 에어필터를 구비한 저장통과, 상기 저장통의 상단 개방부를 복개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상면 중앙에 상기 에어필터와 연통되게 설치되고 중심부를 관통하는 에어공급관을 구비한 배기관과, 상기 저장통 하부의 호퍼상에 마련된 센서의 신호에 의해 개폐 작동되어 저장통에 저장된 곡분의 배출을 제어하는 버터플라이밸브와, 상기 버터플라이밸브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호퍼의 수직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에서 유입되는 곡분을 하류측 배출구 측으로 정량을 이송하는 정량이송수단과, 상기 배출구의 하단부에 유입구가 위치되는 1차 배합수단을 포함하는 1차 배합기와; 상기 1차 배합기의 배출구 하부에 후단측의 유입구가 위치되고, 개방된 상단에 복개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가 상단에서 차지한 길이를 제외한 후단측에 상기 유입구와 선단측의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반원통형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길이방향으로 축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선,후단측에 각각 압송스크루가 마련되고, 상기 선,후단측의 압송스크루를 제외한 중간부분에 4줄의 교반날개가 나선상으로 배치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2차 배합기와; 상기 2차 배합기의 배출구의 하부에 후단측의 호퍼가 위치되고, 후단측 상면에 상기 호퍼와 선단측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실린더형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상면 중간부분의 원주의 약 1/4을 절취하여 제거한 절취부에 설치되는 상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증기상승공간이 마련된 함체와, 상기 함체의 상단을 복개하는 저면에 빗살 형태의 일렬로 일정 간격으로 하향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직봉과 상면에 손잡이가 구비된 덮개와,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의 저면 중간부분에 상기 함체와 동일 길이로 설치되며, 일측에 스팀공급구와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스팀분사공이 형성된 스팀챔버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는 덮개와는 플렉시블호스로 연결되고 그 반대쪽 끝단부에 형성된 사이렌서가 수용되며, 저면에는 관로에 드레인밸브가 연결된 배수관의 상기 드레인밸브의 외측 배수관 측에 오버플로우관이 연결되는 물탱크와, 상기 하우징 내에 길이방향으로 축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중공부를 가진 관상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막힌 후단측 반대편의 선단측 축단에 설치되어 중공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구가 형성된 로터리 조인트를 포함하는 증숙기와; 상기 증숙기의 배출구의 하부에 후단측의 호퍼가 위치되고, 개방된 상단에 개방부가 남도록 복개되는 2개의 덮개와, 후단측에 상기 호퍼와 선단측에 토출구가 마련되는 반원통형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축설치되어 한 쌍의 모터에 의해 서로 내측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축과, 상기 한 쌍의 회전축의 선단측에 마련된 압송스크루 및 상기 압송스크루가 차지하는 길이를 제외한 나머지 길이에 지그재그형으로 마련되는 4줄의 타격날개와, 상기 하우징 내측의 길이방향으로 양쪽의 반원통형 이음부를 따라 수직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타격날개가 서로 내측으로 회전되면서 이송되는 증숙물을 타격할 수 있도록 받쳐주는 타격받침턱과, 상기 반원통형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하부와 상방으로 연장된 양쪽을 감싸서 마련되는 냉각수 공급구와 배수구가 구비된 냉각수로와,상기 호퍼의 상면 일측에 상기 하우징과 직교방향으로 설치되는 길이가 긴 직육면체 형태의 증기수집후드를 포함하는 냉각이송기와; 상기 냉각이송기의 토출구의 하부에 경사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의 낮은 쪽 후단측이 위치되고, 상기 프레임에 경사상으로 설치되는 BM 벨트컨베이어의 선단측 수직 하방에 설치되는 호퍼와, 10∼12개의 노즐공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노즐이 구비되어 모터에 의해 가동되는 한 쌍의 성형기와, 상기 성형기의 노즐의 수직 하방에 설치되어 클러치 브레이크 모터에 의해 서로 마주보고 내측으로 회전하는 절단날 축과 롤러 축이 프레임상에 축설치되며, 상기 절단날 축의 길이방향의 중간에 상기 한 쌍의 성형기의 노즐에서 토출되는 20∼24줄의 가래떡을 10∼12줄씩 각각 분리하기 위해 설치되는 양쪽으로 경사면이 마련된 분리대와, 버킷 컨베이어의 버킷이 전자적인 제어신호에 의해 하방의 정위치에 도착하면 일정 길이로 절단되는 떡이 버킷에 담기도록 계량하는 절단기를 포함하는 성형 및 계량절단기와; 상기 절단기의 하부에 프레임의 낮은 쪽 후단이 위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양측 요소요소에 축설치된 스프로킷에 2줄의 무단 환상 체인을 걸어서 2줄의 체인과 체인 사이에 중력으로 아래로 드리워지는 복수개의 버킷을 달아서 순환되도록 설치되는 버킷 컨베이어와, 상기 버킷 컨베이어가 순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버킷 속의 정량의 떡을 쏟을 때마다 받아서 아래로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상기 프레임의 높은 쪽 하방에 전후로 설치된 폭이 하부로 내려가면서 점차 좁아지는 길이가 짧고 긴 유도관과, 상기 프레임의 낮은 쪽 길이방향으로 정량의 떡을 담은 버킷이 지나가는 구간에 상기 버킷이 담길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전후로 냉각수 공급구와 오버플로우관이 형성된 냉각수조을 구비하는 냉각이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떡볶이용 떡 연속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정량이송수단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량의 곡분을 하류측으로 이송하는 벨트컨베이어가 설치되며,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하류측 상방에 벨트의 상면과 일정 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천장에 설치되는 스크레이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1차 배합수단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형성되는 곡분 유입구와 물공급구로 공급되는 정량의 물을 수로를 통해 공급받아 분사하는 복수개의 분사공이 형성된 물분사재킷과,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개방상태로 형성되는 배출부와, 상기 프레임에 상하로 모터의 구동에 의해 동일 방향으로 고속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지그재그형으로 형성한 4줄의 회전날개와,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는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날개들의 사이사이에 해당하는 대응위치인 상기 프레임의 내면 일측면상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편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상의 회전축은 선,후단측에 압송스크루가 마련되고, 선,후단측의 상기 압송스크루를 제외한 중간부분에 나선상으로 배치되는 4줄의 날개와, 상기 4줄의 날개는 상기 회전축이 회전할 때 덮개의 저면에 일렬로 하향 배치된 복수개의 수직봉 사이사이를 지나면서 회전되며, 길이방향으로 상기 덮개의 저면에 일렬로 하향 배치된 복수개의 수직봉과 동일선상에 사방을 향하도록 중공부와 관통되게 형성한 스팀분사공과, 상기 수직봉의 하단부와 상기 스팀분사공 간에 형성한 간극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증기수집후드는 상면 일측단에 상방을 향하게 설치되는 증기배출관과, 상기 증기배출관에 상방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증기의 배출을 촉진할 수 있도록 주벽을 관통하여 설치한 공기주입관과, 상기 공기주입관에 공기를 공급하는 링브로워와, 저면에 하우징의 폭과 동일 폭으로 형성한 증기유입공과 그 일측의 상기 증기배출관의 수직 하방에 형성된 응축수 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떡볶이용 떡 연속 제조장치에 의하면, 곡분의 공급에서 곡분과 물의 배합, 증숙, 반죽, 성형, 계량, 절단, 포장기로의 이송 등의 일련의 동작을 자동제어에 의해 연속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다량 제조를 가능케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떡볶이용 떡 연속 제조장치에 의하면, 떡볶이용 떡의 연속 제조를 가능케 함에 따라 인력을 줄이고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운영비를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떡볶이용 떡 연속 제조장치에 의하면, 작업과정에서 작업장 내에 스팀이 방출되지 않으므로 작업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여 위생적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도 1 내지 도 22는 본 발명에 의한 떡볶이용 떡 연속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떡볶이용 떡 연속 제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곡분공급통의 사시도,
도 3은 곡분공급통의 좌측면도,
도 4는 곡분공급통의 종단 정면도,
도 5는 1차 배합기의 일부를 절개한 정면도,
도 6은 1차 배합기의 일부를 절개한 좌측면도,
도 7은 1차 배합기에 사용되는 회전축의 정면도,
도 8은 2차 배합기의 정면도,
도 9는 2차 배합기의 종단 정면도,
도 10은 증숙기의 정면도,
도 11은 증숙기의 좌측면도,
도 12는 증숙기의 종단 정면도,
도 13은 냉각이송기의 정면도,
도 14는 냉각이송기의 좌측면도,
도 15는 냉각이송기의 평면도,
도 16은 냉각이송기에 사용되는 회전축의 정면도,
도 17은 증기수집후드의 종단 좌측면도,
도 18은 성형 및 계량절단기의 정면도,
도 19는 성형 및 계량절단기의 좌측면도,
도 20은 성형 및 계량절단기의 평면도,
도 21은 냉각이송수단의 정면도,
도 22는 냉각이송수단의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떡볶이용 떡 연속 제조장치를 첨부도면에 예시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3은 본 발명에 의한 떡볶이용 떡 연속 제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떡볶이용 떡 연속 제조장치는 도 1 내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분공급통(10)과; 1차 배합기(20)와; 2차 배합기(30)와; 증숙기(40)와; 냉각이송기(50)와; 성형 및 계량절단기(60)와; 냉각이송수단(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곡분공급통(10)은 곡분공급통 본체(11)와, 상기 곡분공급통 본체(11) 상측의 곡분투입부(12a)를 개폐하는 덮개(12)와, 곡분공급통 본체(11)의 내부 상하에 하나의 모터(M1)에 의해 연동되도록 설치한 양날개(14)를 가진 회전축(13)과 이송스크루(15) 및 상기 이송스크루(15)의 배출단측에 구비되는 곡분 배출수단(16)을 포함한다(도 2 내지 도 4 참조).
상기 곡분공급통(10)은 곡분의 사용량에 따라 저장 용량이 적은 백덤핑이나 대용량의 싸이로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곡분 배출수단(16)은 호퍼(16a)와, 상기 호퍼(16a)의 상부에 수직상으로 상기 호퍼(16a)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상단이 개방된 원통형 에어필터(16b)와, 상기 호퍼(16a)의 하부에 설치되어 후술하는 흡입구와 이송관(도시생략)으로 연결되는 곡분 배출구(16c)를 포함한다.
상기 1차 배합기(20)는 저장통(21)과, 상기 저장통(21)의 하부에 설치되는 호퍼(22)상에 마련된 센서(22a)의 신호에 의해 개폐 작동되어 저장통(21)에 저장된 곡분의 배출을 제어하는 버터플라이밸브(23)와, 상기 버터플라이밸브(23)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호퍼(22)와, 상기 호퍼(22)의 수직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22)에서 유입되는 곡분을 하류측 배출구(24a) 측으로 정량을 이송하는 정량이송수단(24)과, 상기 배출구(24a)의 하단부에 유입구(25a)가 위치되는 1차 배합수단(25)을 포함한다(도 5 및 도 6 참조).
상기 저장통(21)은 상단이 개방되고 외측면 중반부의 일측에 상기 곡분 배출구(16c)와 이송관으로 연결되는 흡입구(21a)와, 내부의 상반부에 장착되는 상단이 개방된 미세한 망상 구조의 에어필터(21b)와, 상기 저장통(21)의 상단 개방부를 복개하는 덮개(21c)와, 상기 덮개(21c)의 상면 중앙에 상기 에어필터(21b)와 연통되도록 수직상으로 설치되는 배기관(21d)을 포함한다.
상기 배기관(21d)에는 수직관 상단의 막힌 중심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에어공급관(21e)이 설치된다.
상기 정량이송수단(24)은 프레임(24b)에 모터(M2)의 구동으로 가동되고 속도 조절에 의하여 곡분의 정량을 정확하게 이송하는 벨트컨베이어(24c)가 설치되며, 상기 벨트컨베이어(24c)의 하류측 상방의 상기 프레임(24b)의 천장에 벨트 상면과 일정 간극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스크레이퍼(24d)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레이퍼(24d)는 상기 호퍼(22)에서 상기 벨트컨베이어(24c)로 유입되는 곡분을 하류측 배출구(24a)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스크레이퍼(24d)를 통과하면서 일정 두께(간극)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1차 배합수단(25)은 프레임(26)과, 상기 프레임(26)의 상단에 형성되는 곡분 유입구(25a)와 물공급구(27)로 공급되는 정량의 물을 수로를 통해 공급받아 분사하는 복수개의 분사공(28a)이 형성된 물분사재킷(28)과, 상기 프레임(26)의 하단에 개방상태로 형성되는 배출부(26a)와, 상기 프레임(26)의 상하에 모터(도시생략)의 구동에 의해 동일 방향으로 고속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29a,29b)과, 상기 회전축(29a,29b)의 회전에는 방해가 되지 않도록 회전날개(29c)들의 사이사이에 해당하는 대응위치인 상기 프레임(26)의 내면 일측면상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편(26b)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축(29a,29b)은 길이방향으로 4줄의 회전날개(29c)가 지그재그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26)의 내면 일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편(26b)은 상기 회전축(29a,29b)의 회전날개(29c)와 회전날개(29c)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회전축(29a,29b)의 회전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상기 2차 배합기(30)는 개방된 상단에 선단측으로 치우치도록 덮개(33a)가 복개되고, 상기 덮개(33a)가 상단에서 차지한 길이를 제외한 후단측에 유입구(31)와 선단측 하부에 배출구(32)가 형성되는 반원통형 하우징(33)과, 상기 하우징(33) 내에 길이방향으로 축설치되어 모터(M3)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34)을 포함한다(도 8 및 도 9 참조).
상기 회전축(34)은 선,후단측에 압송스크루(34a,34b)가 마련되고, 상기 선,후단측 압송스크루(34a,34b)를 제외한 중간부분에는 4줄의 교반날개(34c)가 나선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도 9 참조).
상기 증숙기(40)는 후단측 상면에 호퍼(41)와 선단측 하부에 배출구(42)가 형성되는 실린더형 하우징(43)과, 상기 하우징(43)의 길이방향으로 상면 중간부분의 원주의 약 1/4을 절취하여 제거한 절취부에 설치되는 상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증기상승공간(44a)이 마련된 함체(44)와, 상기 함체(44)의 상단을 복개하는 저면에 빗살 형태의 일렬로 일정 간격으로 하향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직봉(45a)과 상면에 손잡이(45b)가 구비된 덮개(45)와, 상기 하우징(43)의 길이방향의 저면 중간부분에 상기 함체(44)와 동일 길이로 설치되며, 일측에 스팀공급구(46a)와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스팀분사공(46b)이 형성된 스팀챔버(46)와, 상기 하우징(43)의 일측에 설치되는 덮개(45)와는 플렉시블호스(47a)로 연결되고 그 반대쪽 끝단부에 형성된 사이렌서(47b)가 수용되며, 저면에는 관로에 드레인밸브(47c)가 연결된 배수관(47d)의 상기 드레인밸브(47c)의 외측 배수관(47d) 측에 오버플로우관(47e)이 연결되는 물탱크(47)와, 상기 하우징(43) 내에 길이방향으로 축설치되어 모터(M4)에 의해 회전되는 중공부(48a)를 가진 관(管)상의 회전축(48)과, 상기 회전축(48)의 막힌 후단측 반대편의 선단측 축단에 설치되어 중공부(48a)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구(49a)가 형성된 로터리 조인트(49)를 포함한다(도 10 내지 도 12 참조).
상기 회전축(48)은 선,후단측에 압송스크루(48b,48c)가 마련되고, 상기 선,후단측 압송스크루(48b,48c)를 제외한 중간부분에는 4줄의 날개(48d)가 나선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4줄의 날개(48d)는 상기 회전축(48)이 회전할 때 상기 덮개(45)의 저면에 일렬로 하향 배치된 복수개의 수직봉(45a) 사이사이를 지나면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48)은 길이방향으로 상기 덮개(45)의 저면에 일렬로 하향 배치된 복수개의 수직봉(45a)과 동일선상의 원주면에 사방으로 향하는 중공부(48a)와 관통되는 스팀분사공(48e)이 형성되며, 상기 수직봉(45a)의 하단부와 상기 스팀분사공(48e) 간에는 일정 간극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각이송기(50)는 개방된 상단에 2개의 덮개(51d)가 개방부가 남도록 복개되고, 후단측에 호퍼(51a)와 선단측에 한 쌍의 토출구(51b)가 마련되는 반원통형 하우징(51)과, 상기 하우징(51)의 길이방향으로 축설치되어 한 쌍의 모터(M5)에 의해 서로 내측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축(52a,52b)과, 상기 한 쌍의 회전축(52a,52b)의 선단측에 마련되는 압송스크루(52c)와 전체 길이 중 상기 압송스크루(52c)가 차지하는 길이를 제외한 나머지 길이에 지그재그형으로 마련되는 기울기 각도가 약 30°로 형성된 4줄의 타격날개(52d)와, 상기 하우징(51) 내측의 길이방향으로 양쪽의 반원통형 이음부를 따라 수직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타격날개(52d)가 서로 내측으로 회전되면서 이송되는 증숙물을 들어올렸다가 내려오면서 타격을 가할 때 받쳐주는 타격받침턱(51c)과, 상기 반원통형 하우징(51)의 길이방향으로 하부와 상방으로 연장된 양쪽을 감싸서 마련되는 도시하지 아니한 냉각수 공급구와 배수구가 구비된 냉각수로(51e)와, 상기 호퍼(51a)의 상면 일측에 상기 하우징(51)과 직교방향으로 설치되는 길이가 긴 직육면체 형태의 증기수집후드(53)를 포함한다(도 13 내지 도 17 참조).
상기 증기수집후드(53)는 상면 일측단에 상방을 향하게 설치되는 증기배출관(53a)과, 상기 증기배출관(53a)에 상방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증기의 배출을 촉진할 수 있도록 주벽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공기주입관(53b)과, 상기 공기주입관(53b)에 공기를 공급하는 링브로워(53c)와, 저면의 상기 하우징(51)의 폭과 동일한 폭의 증기유입공(53d)과 그 일측의 상기 증기배출관(53a)의 수직 하방에 형성된 응축수 배출관(53e)을 포함한다.
상기 성형 및 계량절단기(60)는 경사상으로 설치되는 PM(Plastic Modural) 벨트컨베이어(61)와, 상기 PM 벨트컨베이어(61)의 선단측 하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호퍼(62a,62b)와 10∼12개씩의 노즐공이 각각 형성된 노즐(63a,63b)이 구비되고, 모터(M6)에 의해 가동되는 한 쌍의 성형기(64a,64b)와, 상기 성형기(64a,64b)의 노즐(63a,63b)의 하방에 설치되어 클러치 브레이크 모터(도시생략)에 의해 서로 마주보고 내측으로 회전하는 절단날(66b) 축(66a)과 롤러(67b) 축(67a)이 프레임(68)상에 축설치되며, 상기 절단날(66b) 축(66a)의 길이방향의 중간에 양쪽으로 경사면이 마련된 분리대(66c)가 설치되는 절단기(69)를 포함한다(도 18 내지 도 20 참조).
상기 절단기(69)는 후술하는 버킷 컨베이어의 버킷이 전자적인 제어신호에 의해 그 하방의 정위치에 도착하면 절단되는 떡이 버킷에 정량이 담기도록 계량되며, 버킷에 담기는 양(무게)의 많고 적음은 버킷을 달고 순환되는 버킷 컨베이어의 속도 조절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절단기(69)의 절단날(66b)을 받치는 롤러(67b)는 절단날(66b)을 보호하기 위해 우레탄, 실리콘 등의 탄성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각이송수단(70)은 높낮이를 가지는 형태로 구성되는 프레임(71)의 양측 요소요소에 축설치된 스프로킷(72)에 2줄의 무단 환상 체인(73a,73b)을 걸어서 2줄의 체인(73a)과 체인(73b) 사이에 중력으로 아래로 드리워지는 복수개의 망상의 버킷(74a,74b)을 달아서 순환되도록 설치되는 버킷 컨베이어(75)와, 상기 버킷 컨베이어(75)가 순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버킷(74a,74b)에 담긴 정량의 떡을 쏟을 때마다 받아서 아래의 포장기 또는 수납용기(도시생략)로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상기 프레임(71)의 높은 쪽 하방에 전후로 설치되는 폭이 하부로 내려가면서 점차 좁아지는 길이가 짧고 긴 유도관(71a,71b)과, 상기 프레임(71)의 낮은 쪽 길이방향으로 떡을 담은 버킷(74a,74b)이 지나가는 구간에 상기 버킷(74a,74b)이 담기는 상태로 지나갈 수 있는 도시하지 아니한 냉각수 공급구와 오버플로우관이 구비되는 냉각수조(76)를 포함한다(도 21 및 도 22 참조).
상기 버킷(74a,74b)은 속에 담기는 떡이 미리 설정된 중량으로 계량이 되면 전자적 제어신호에 따라 버킷 컨베이어(75)가 상기 유도관(71a) 쪽을 향하여 이송하게 되고, 상기한 동작을 계속 반복하면서 상기 버킷(74a,74b)은 계량되는 정량의 떡을 담아 유도관(71a)에 도달하면 쏟은 후 계속 진행하게 된다.
상기 길이가 짧은 유도관(71a)은 그 아래에 위치하는 로타리식 자동포장기(도시생략)로 떨어트릴 때 사용되며, 상기 길이가 긴 유도관(71b)은 포장기가 고장났을 경우나 길이가 짧은 유도관(71a)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 버킷(74a,74b)이 길이가 짧은 유도관(71a)에 떡을 쏟지 않고 지나치면서 길이가 긴 유도관(71b)에 떡을 쏟아부어 수납용기에 담기도록 구성된다.
상기 곡분공급통(10)과, 1차 배합기(20)와, 2차 배합기(30)와, 증숙기(40)와, 냉각이송기(50)와, 성형 및 계량절단기(60)와, 냉각이송수단(70)으로 구성되는 떡볶이용 떡 연속 제조장치는 높이 및 수평조절이 가능한 지지대에 의하여 작업장의 바닥에 설치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80은 냉각이송기에서 토출되어 PM 벨트컨베이어로 이송되는 굵은 직경의 가래떡을 표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떡볶이용 떡 연속 제조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떡볶이용 떡 연속 제조장치는 곡분의 공급에서 곡분과 물의 배합, 증숙, 반죽, 성형, 절단, 계량, 포장기로의 이송 등의 전 과정이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 자동제어된다.
컨트롤 박스에 설치된 스타트 버튼을 누르면, 모터(M1)의 구동에 따라 곡분공급통(10) 내의 회전축(13)과 이송스크루(15)의 회전으로 상기 회전축(13)의 양날개(14)가 곡분을 휘저어서 이송스크루(15) 위로 흘리면 이송스크루(15)가 받아서 배출수단(16)의 호퍼(16a)로 이송하고, 상기 호퍼(16a)로 이송되는 곡분은 배출구(16c)를 통해 배출된다.
상기 배출구(16c)를 통해 배출되는 곡분은 배출구(16c)와 이송관으로 연결된 1차 배합기(20)의 저장통(21) 일측의 흡입구(21a)로 흡입력에 의해 유입되는 데, 상기 흡입구(21a)에서 발생되는 흡입력은 상기 저장통(21)의 덮개(21c) 상면에 에어필터(21b)와 연통되도록 설치된 배기관(21d)이 링브로워(도시생략)에 연결되어 링브로워에서 강한 흡입력을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기 링브로워의 흡입력으로 배기관(21d)을 통하여 공기가 흡입될 때는 상기 곡분공급통(10)의 곡분 배출구(16c)에 흡입력이 미치므로 에어필터(16b)로 흡입되는 공기와 함께 호퍼(16a)로 밀려드는 곡분은 배출구(16c)와 이어진 이송관을 통하여 상기 저장통(21)의 흡입구(21a)로 공기와 함께 흡입되어 저장통(21)의 내주면을 따라 소용돌이치면서 공기와 섞여 있는 곡분은 망상의 에어필터(21b)에서 걸러지고 공기만 배기관(21d)을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상기와 같이 배기가 이루어지는 동안 상기 에어필터(21b)에 흡착되는 곡분은 상기 배기관(21d)에 설치된 에어공급관(21e)을 통해 주기적으로 압축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에어필터(21b)로부터 쉽게 이탈된다.
상기 1차 배합기(20)의 저장통(21)에 흡입되어 저장되는 곡분은 하방의 호퍼(22)로 공급된 곡분의 잔류량이 적정치 이하로 떨어지면 이를 감지하는 호퍼(22)상에 마련된 센서(22a)의 제어신호에 의해 버터플라이밸브(23)가 개방되어 적정량의 곡분을 호퍼(22)에 공급하며, 호퍼(22)로 공급되는 곡분은 정량이송수단(24)의 모터(M2)에 의해 가동되는 벨트컨베이어(24c) 위로 유입된다.
상기 벨트컨베이어(24c) 위로 유입되는 곡분은 벨트컨베이어(24c)가 하류측의 배출구(24a)로 정확하게 정량으로 이송하게 되는데, 곡분의 정량 조절은 상기 벨트컨베이어(24c)의 속도에 의해 이루어지며, 곡분의 이송과정에서 벨트 상방의 스크레이퍼(24d)를 통과하면서 항상 일정 두께를 유지하게 된다.
곡분이 벨트컨베이어(24c) 상에서 스크레이퍼(24d)를 통과하면서 일정 두께로 배출구(24a)를 통해 1차 배합수단(25)의 유입구(25a)로 유입되면 물공급구(27)를 통해 물분사재킷(28)으로 계속해서 공급되는 정량의 물을 분사공(28a)에서 분사하게 됨에 따라 물 분사를 받으면서 흘러내려가는 곡분은 프레임(26) 상에 상하로 축설치되어 고속 회전하는 회전축(29a,29b)의 회전날개(29c)와 전방에 설치된 복수개의 돌편(26b)과의 협동 작용에 의해 1차 배합이 빠르게 진행되며, 1차 배합과정을 거친 1차 배합물은 하단의 배출부(26a)로 배출된다.
이때, 곡분과 물의 배합 비율은 1 : 0.65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차 배합기(20)의 배출부(26a)를 통해 배출되는 1차 배합물은 2차 배합기(30) 후단측의 유입구(31)로 유입되어 모터(M3)의 구동으로 저속 회전되는 회전축(34)에 의해 배출구(32)가 마련된 선단측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2차 배합이 이루어지는데, 배합작업은 상기 회전축(34)의 선,후단측 압송스크루(34a,34b)를 제외한 중간부분의 나선상으로 배치된 4줄의 교반날개(34c)의 교반작용으로 이루어지고, 배출구(32) 측으로 이송은 압송스크루(34a,34b)의 밀어붙이는 작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거치면서 2차 배합이 이루어진 2차 배합물은 상기 2차 배합기(30) 선단측의 배출구(32)를 통해 배출되어 증숙기(40) 후단측의 호퍼(41)로 유입된다.
상기 증숙기(40) 후단측의 호퍼(41)로 유입되는 2차 배합물은 모터(M4)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48)의 후단측 압송스크루(48c)가 밀어붙임에 따라 선단측으로 밀리면서 이송되고, 2차 배합물이 나선형으로 배치된 4줄의 날개(48d)가 위치하는 구간을 지날 때 선단측의 로터리 조인트(49)에 형성된 스팀공급구(49a)를 통하여 중공부(48a)로 공급되는 스팀은 길이방향의 원주면 사방으로 뚫린 스팀분사공(48e)으로 분사되고, 하방 일측의 스팀공급구(46a)를 통하여 스팀챔버(46)로 공급되는 스팀은 하우징(43)의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뚫린 스팀분사공(46b)으로 분사되므로, 2차 배합물은 스팀의 고열을 직접적으로 받으면서 증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상태로 이송되다가 선단측의 압송스크루(48b)에 접근하면 압송스크루(48b)가 증숙물을 이어받아 배출구(42) 측으로 밀어붙여서 배출구(42)를 통해 배출되게 하며, 배출구(42)를 통해 배출되는 증숙물은 냉각이송기(50) 후단측의 호퍼(51a)로 유입된다.
상기한 증숙과정을 거치면서 증숙물이 회전축(48) 상의 스팀분사공(48e)에 달라붙는 경우는 스팀분사공(48e)과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덮개(45)의 저면에 하향 배치된 수직봉(45a)의 하단부를 지나치면서 제거되어 트이게 된다.
또한, 증숙과정에서 이송 중 스팀 열이 가해지는 구간을 지나면서 증숙되어지는 2차 배합물이나 증숙물에서 나오는 증기(김)는 상방의 증기상승공간(44a)으로 계속 상승되고, 상기 증기상승공간(44a)으로 상승되는 증기는 덮개(45)에 연결된 플렉시블호스(47a)와 그 끝단부의 사이렌서(47b)를 거쳐 물탱크(47)로 유입되면서 압력이 소멸됨과 동시에 물과 혼합되어 응축수로 변하며, 응축수로 인해 일정 수위 이상으로 불어나는 물은 오버플로우관(47e)을 거쳐서 배수관(47d)으로 배수된다.
상기 배수관(47d)의 관로에 연결된 드레인밸브(47c)는 물탱크(47)를 청소하기 위해 물을 완전히 뺄때 사용된다.
상기 냉각이송기(50) 후단측의 호퍼(51a)로 유입되는 증숙물은 한 쌍의 모터(M5)의 구동에 의해 한 쌍의 회전축(52a,52b)이 서로 내측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선단측의 압송스크루(52c)에 도달할 때까지 이송되는 동안 상기 회전축(52a,52b)의 외주면에 나선상으로 배치된 타격날개(52d)가 증숙물을 위로 들어올렸다가 내측의 타격받침턱(51c)을 향하여 두드리듯 내리쳐서 타격 후 아래로 끌어당기는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함에 따라 증숙물이 타격에 의해 반죽물로 바뀌게 되고, 반죽물이 압송스크루(52c)에 도달하게 되면 압송스크루(52c)가 이어받아 토출구(51b) 쪽으로 밀어붙여서 양쪽의 토출구(51b)를 통해 2줄로 토출된다.
한편, 호퍼(51a)로 유입되는 증숙물이 반죽물로 바뀌면서 압송스크루(52c)에 도달할 때까지 이송되는 동안 도시하지 아니한 냉각수 공급구로 공급되는 냉각수가 냉각수로(51e)를 지나면서 열교환에 의해 반죽물을 냉각시킨 후 반죽물의 열을 흡수하여 데워진 온수는 배수구를 통하여 배수된다.
상기 냉각이송기(50)의 호퍼(51a)로 유입되는 증숙물이 한 쌍의 회전축(52a,52b)에 의해 토출구(51b) 측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하우징(51)과 직교방향으로 설치된 증기수집후드(53)의 하방을 지날 때 링브로워(53c)가 일측의 증기배출관(53a)의 주벽을 관통하여 설치한 공기주입관(53b)을 통하여 상방으로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증숙물에서 나오는 증기(김)를 상기 증기수집후드(53)의 저면에 형성된 증기유입공(53d)으로 흡입하여 증기배출관(53a)을 통하여 대기 중으로 배출하게 되고, 증기의 배출과정에서 공기주입관(53b)을 통하여 상방으로 주입되는 공기가 증기배출관(53a)으로 유입되는 증기를 빨아서 빠르게 배출시키므로 증기의 배출이 촉진되며, 증기가 증기배출관(53a)을 통해 배출될 때 발생되는 응축수는 증기배출관(53a)의 수직 하방에 마련된 응축수 배출관(53e)으로 배출되어 폐기된다.
상기 냉각이송기(50)의 양쪽 토출구(51b)를 통해 토출되는 2줄의 직경이 굵은 가래떡(80)은 상기 성형 및 계량절단기(60)의 경사상으로 설치된 PM 벨트컨베이어(61)에 얹혀서 선단측으로 이송되어 모터(M6)에 의해 가동되는 한 쌍의 성형기(64a,64b)의 호퍼(62a,62b)로 유입되고, 상기 호퍼(62a,62b)로 유입되는 2줄의 가래떡(80)은 10∼12개의 노즐공이 각각 형성된 노즐(63a,63b)을 통하여 20∼24줄의 떡볶기용 떡에 적합한 굵기의 가래떡으로 토출되면서 성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한 쌍의 성형기(64a,64b)의 노즐(63a,63b)을 통해 토출되는 20∼24줄의 가래떡은 하강하여 절단기(69)에서 절단되기 직전에 양쪽으로 10∼12줄로 분리되도록 설치한 절단날(66b)의 입구 중간의 분리대(66c)를 거치게 된다.
상기 성형과정을 거치면서 20∼24줄로 토출되는 가래떡은 하강하여 클러치 브레이크 모터(도시생략)에 의해 구동되는 절단기(69)의 절단날(66b)과 롤러(67b)의 사이를 지나칠 때 서로 마주보고 내측으로 회전하는 절단날(66b)과 롤러(67b)가 1회전할 때마다 일정 길이로 절단되어 후술하는 냉각이송수단(70)의 낮은 쪽 후단측의 버킷(74a,74b) 속으로 떨어지게 된다.
상기 절단기(69)는 후술하는 버킷 컨베이어(75)의 버킷(74a,74b)이 전자적인 제어신호에 의해 그 하방의 정위치에 도착하면 절단되는 떡이 상기 버킷(74a,74b)에 정량이 담기도록 계량을 하며, 버킷(74a,74b)에 담기는 양(무게)의 많고 적음은 버킷(74a,74b)을 달고 순환되는 버킷 컨베이어(75)의 속도 조절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버킷 컨베이어(75)의 속도를 빠르게 하면 버킷(74a,74b)에 담기는 떡의 양, 즉 중량이 줄어들고, 반대로 버킷 컨베이어(75)의 속도를 느리게 하면 버킷(74a,74b)에 담기는 떡의 중량이 늘어나게 된다.
상기 냉각이송수단(70)의 버킷 컨베이어(75)가 순환되면서 프레임(71)의 낮은 쪽 후단측의 정위치, 즉 상기 절단기(69)의 하방에 도달하는 버킷(74a,74b)에 상기 절단기(69)로부터 일정 길이로 절단되어 떨어지는 떡이 미리 설정된 중량으로 계량이 되면 전자적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버킷 컨베이어(75)가 정량의 떡을 담은 상기 버킷(74a,74b)을 상기 프레임(71)의 높은 쪽의 하방에 마련된 앞쪽의 길이가 짧은 유도관(71a)을 향하여 이송하게 되고, 상기한 동작을 계속적으로 반복하면서 버킷(74a,74b)은 계량되는 정량의 떡을 담아서 상기 유도관(71a)에 쏟은 후 빈 버킷(74a,74b)은 계량 위치로 계속 진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71)의 낮은 쪽 길이방향으로 정량의 떡을 담은 망상의 버킷(74a,74b)이 지나가는 구간에 상기 버킷(74a,74b)이 담기는 상태로 지나갈 수 있는 냉각수조(76)가 설치되어 도시하지 아니한 냉각수 공급구로 공급되는 냉각수가 냉각수조(76)를 지나면서 열교환에 의해 버킷(74a,74b)에 담긴 떡을 냉각시킨 후 떡의 열을 흡수하여 데워진 온수는 오버플로우관을 통하여 배수되게 하여 냉각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길이가 짧은 유도관(71a)에 이상이 있을 경우나 포장기가 고장났을 경우에는 버킷(74a,74b)이 길이가 짧은 유도관(71a)에 떡을 쏟지 않고 지나치면서 길이가 긴 유도관(71b)에 떡을 쏟아부어 수납용기에 담기게 한다
상기 유도관(71a)으로 쏟아진 정량의 떡은 그 아래의 통상의 로타리식 자동포장기(도시생략)로 떨어져서 포장된 후 살균과 냉각 과정을 거치면서 포장에 묻은 물기를 제거함으로써 상품으로 완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그 일예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곡분공급통 16 : 곡분 배출수단
20 : 1차 배합기 21 : 저장통
23 : 버터플라이밸브 24 : 정량이송수단
25 : 1차 배합수단 30 : 2차 배합기
33 : 하우징 34 : 회전축
40 : 증숙기 43 : 하우징
44: 함체 45 : 덮개
46 : 스팀챔버 47 : 물탱크
48 : 회전축 50 : 냉각이송기
51 : 하우징 51e : 냉각수로
52a,52b : 회전축 52d : 타격날개
53 : 증기수집후드 60 : 성형 및 계량절단기
61 : MB 벨트컨베이어 64a,64b : 성형기
69 : 절단기 70 : 냉각이송수단
71 : 프레임 71a,71b : 유도관
74a,74b : 버킷 75 : 버킷 컨베이어
76 : 냉각수조 M1∼M6 : 모터

Claims (5)

  1. 곡분공급통 본체와, 상기 곡분공급통 본체 상측의 곡분투입부를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곡분공급통 본체의 내부 상하에 모터에 의해 연동되는 양날개를 가진 회전축과 이송스크루와, 상기 이송스크루의 배출단측에 구비한 호퍼와 상기 호퍼 상부의 상단이 개방된 원통형 에어필터와 곡분 배출구로 이루어진 곡분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곡분공급통과;
    상기 곡분 배출구와 이송관으로 연결되는 흡입구와 내부 상반부에 장착되는 상단이 개방된 미세한 망상 구조의 에어필터를 구비한 저장통과, 상기 저장통의 상단 개방부를 복개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상면 중앙에 상기 에어필터와 연통되게 설치되고 중심부를 관통하는 에어공급관을 구비한 배기관과, 상기 저장통 하부의 호퍼상에 마련된 센서의 신호에 의해 개폐 작동되어 저장통에 저장된 곡분의 배출을 제어하는 버터플라이밸브와, 상기 버터플라이밸브의 하단부에 위치하는 호퍼의 수직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에서 유입되는 곡분을 하류측 배출구 측으로 정량을 이송하는 정량이송수단과, 상기 배출구의 하단부에 유입구가 위치되는 1차 배합수단을 포함하는 1차 배합기와;
    상기 1차 배합기의 배출구 하부에 후단측의 유입구가 위치되고, 개방된 상단에 복개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가 상단에서 차지한 길이를 제외한 후단측에 상기 유입구와 선단측의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반원통형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길이방향으로 축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선,후단측에 각각 압송스크루가 마련되고, 상기 선,후단측의 압송스크루를 제외한 중간부분에 4줄의 교반날개가 나선상으로 배치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2차 배합기와;
    상기 2차 배합기의 배출구의 하부에 후단측의 호퍼가 위치되고, 후단측 상면에 상기 호퍼와 선단측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는 실린더형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상면 중간부분의 원주의 1/4을 절취하여 제거한 절취부에 설치되는 상단이 개방되고 내부에 증기상승공간이 마련된 함체와, 상기 함체의 상단을 복개하는 저면에 빗살 형태의 일렬로 일정 간격으로 하향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직봉과 상면에 손잡이가 구비된 덮개와,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의 저면 중간부분에 상기 함체와 동일 길이로 설치되며, 일측에 스팀공급구와 길이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는 스팀분사공이 형성된 스팀챔버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는 덮개와는 플렉시블호스로 연결되고 그 반대쪽 끝단부에 형성된 사이렌서가 수용되며, 저면에는 관로에 드레인밸브가 연결된 배수관의 상기 드레인밸브의 외측 배수관 측에 오버플로우관이 연결되는 물탱크와, 상기 하우징 내에 길이방향으로 축설치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중공부를 가진 관상의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막힌 후단측 반대편의 선단측 축단에 설치되어 중공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구가 형성된 로터리 조인트를 포함하는 증숙기와;
    상기 증숙기의 배출구의 하부에 후단측의 호퍼가 위치되고, 개방된 상단에 개방부가 남도록 복개되는 2개의 덮개와, 후단측에 상기 호퍼와 선단측에 토출구가 마련되는 반원통형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축설치되어 한 쌍의 모터에 의해 서로 내측방향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축과, 상기 한 쌍의 회전축의 선단측에 마련된 압송스크루 및 상기 압송스크루가 차지하는 길이를 제외한 나머지 길이에 지그재그형으로 마련되는 4줄의 타격날개와, 상기 하우징 내측의 길이방향으로 양쪽의 반원통형 이음부를 따라 수직상으로 돌출되어 상기 타격날개가 서로 내측으로 회전되면서 이송되는 증숙물을 타격할 수 있도록 받쳐주는 타격받침턱과, 상기 반원통형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하부와 상방으로 연장된 양쪽을 감싸서 마련되는 냉각수 공급구와 배수구가 구비된 냉각수로와,상기 호퍼의 상면 일측에 상기 하우징과 직교방향으로 설치되는 길이가 긴 직육면체 형태의 증기수집후드를 포함하는 냉각이송기와;
    상기 냉각이송기의 토출구의 하부에 경사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의 낮은 쪽 후단측이 위치되고, 상기 프레임에 경사상으로 설치되는 BM 벨트컨베이어의 선단측 수직 하방에 설치되는 호퍼와, 10∼12개의 노즐공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노즐이 구비되어 모터에 의해 가동되는 한 쌍의 성형기와, 상기 성형기의 노즐의 수직 하방에 설치되어 클러치 브레이크 모터에 의해 서로 마주보고 내측으로 회전하는 절단날 축과 롤러 축이 프레임상에 축설치되며, 상기 절단날 축의 길이방향의 중간에 상기 한 쌍의 성형기의 노즐에서 토출되는 20∼24줄의 가래떡을 10∼12줄씩 각각 분리하기 위해 설치되는 양쪽으로 경사면이 마련된 분리대와, 버킷 컨베이어의 버킷이 전자적인 제어신호에 의해 하방의 정위치에 도착하면 일정 길이로 절단되는 떡이 버킷에 담기도록 계량하는 절단기를 포함하는 성형 및 계량절단기와;
    상기 절단기의 하부에 프레임의 낮은 쪽 후단이 위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양측 요소에 축설치된 스프로킷에 2줄의 무단 환상 체인을 걸어서 2줄의 체인과 체인 사이에 중력으로 아래로 드리워지는 복수개의 버킷을 달아서 순환되도록 설치되는 버킷 컨베이어와, 상기 버킷 컨베이어가 순환되는 과정에서 상기 버킷 속의 정량의 떡을 쏟을 때마다 받아서 아래로 떨어지도록 유도하는 상기 프레임의 높은 쪽 하방에 전후로 설치된 폭이 하부로 내려가면서 점차 좁아지는 길이가 짧고 긴 유도관과, 상기 프레임의 낮은 쪽 길이방향으로 정량의 떡을 담은 버킷이 지나가는 구간에 상기 버킷이 담길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전후로 냉각수 공급구와 오버플로우관이 형성된 냉각수조을 구비하는 냉각이송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떡볶이용 떡 연속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이송수단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량의 곡분을 하류측으로 이송하는 벨트컨베이어가 설치되며,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하류측 상방에 벨트의 상면과 일정 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프레임의 천장에 설치되는 스크레이퍼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떡볶이용 떡 연속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배합수단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형성되는 곡분 유입구와 물공급구로 공급되는 정량의 물을 수로를 통해 공급받아 분사하는 복수개의 분사공이 형성된 물분사재킷과, 상기 프레임의 하단에 개방상태로 형성되는 배출부와, 상기 프레임에 상하로 모터의 구동에 의해 동일 방향으로 고속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길이방향으로 지그재그형으로 형성한 4줄의 회전날개와,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는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회전날개들의 사이사이에 해당하는 대응위치인 상기 프레임의 내면 일측면상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돌편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떡볶이용 떡 연속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상의 회전축은 선,후단측에 압송스크루가 마련되고, 선,후단측의 상기 압송스크루를 제외한 중간부분에 나선상으로 배치되는 4줄의 날개와, 상기 4줄의 날개는 상기 회전축이 회전할 때 덮개의 저면에 일렬로 하향 배치된 복수개의 수직봉 사이사이를 지나면서 회전되며, 길이방향으로 상기 덮개의 저면에 일렬로 하향 배치된 복수개의 수직봉과 동일선상에 사방을 향하도록 중공부와 관통되게 형성한 스팀분사공과, 상기 수직봉의 하단부와 상기 스팀분사공 간에 형성한 간극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떡볶이용 떡 연속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수집후드는 상면 일측단에 상방을 향하게 설치되는 증기배출관과, 상기 증기배출관에 상방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증기의 배출을 촉진할 수 있도록 주벽을 관통하여 설치한 공기주입관과, 상기 공기주입관에 공기를 공급하는 링브로워와, 저면에 하우징의 폭과 동일 폭으로 형성한 증기유입공과 그 일측의 상기 증기배출관의 수직 하방에 형성된 응축수 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떡볶이용 떡 연속 제조장치.














KR1020190014272A 2019-02-07 2019-02-07 떡볶이용 떡 연속 제조장치 KR102209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272A KR102209312B1 (ko) 2019-02-07 2019-02-07 떡볶이용 떡 연속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4272A KR102209312B1 (ko) 2019-02-07 2019-02-07 떡볶이용 떡 연속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032A KR20200097032A (ko) 2020-08-18
KR102209312B1 true KR102209312B1 (ko) 2021-01-28

Family

ID=72265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4272A KR102209312B1 (ko) 2019-02-07 2019-02-07 떡볶이용 떡 연속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93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928B1 (ko) * 2021-08-10 2022-01-14 농업회사법인(주)영풍 이송스크류에 작용되는 부하를 감소시키는 떡 반죽장치
KR102592422B1 (ko) * 2023-04-12 2023-10-23 주식회사 굿마인드 굳지 않는 떡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280B1 (ko) 2014-02-19 2014-12-01 장철민 구형 가래떡 제조장치 및 구형 가래떡 제조방법
KR101920184B1 (ko) 2018-07-26 2018-11-19 양동규 가래떡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3120B1 (ko) * 2007-05-08 2009-10-23 성호정 떡볶이용 가래떡 제조장치
KR101126863B1 (ko) 2009-06-18 2012-04-13 강태석 떡볶이 떡의 제조장치
KR101049274B1 (ko) 2010-11-09 2011-07-13 최문영 떡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280B1 (ko) 2014-02-19 2014-12-01 장철민 구형 가래떡 제조장치 및 구형 가래떡 제조방법
KR101920184B1 (ko) 2018-07-26 2018-11-19 양동규 가래떡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7032A (ko) 202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9312B1 (ko) 떡볶이용 떡 연속 제조장치
US20120060446A1 (en) Dosing Method And Dosing Device
US20140109774A1 (en) Retort rice meal producing system
CN110325047B (zh) 用于对产品团进行搅拌揉捏的搅拌揉捏装置和方法
EA001153B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пиццы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1066976B1 (ko) 쌀국수 제조설비
KR101652587B1 (ko) 자동 도넛 제조장치
EP1894689A1 (en) Glue dispensing apparatus
KR101658220B1 (ko) 순대 제조 장치
CN111869690B (zh) 一种智能的面包烘烤隧道炉
US3682106A (en) Food applicator
KR100855363B1 (ko) 떡 보쌈 피 제조장치
CN103829161B (zh) 一种肠粉机
KR20180080540A (ko) 닭 사육장
EP2091360B1 (en) Tumble breading system
KR20090053253A (ko) 구운소금 제조시스템
CN107755332A (zh) 一种高效粮食淘洗烘干一体机
CN110623563B (zh) 油炸控制方法
US1786108A (en) Cluster enrobing machine
CN106489765A (zh) 肉兔饲养集中投料系统
KR100723933B1 (ko) 소보로 빵의 제조장치
CN106613462A (zh) 防料架空的穴盘装料机及其工作方法
EP2454009B1 (en) Mixer-dryer
JPH04136686A (ja) 連続焼成装置
CN114885860B (zh) 一种蛋鸡饲料用喂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