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7280B1 - 구형 가래떡 제조장치 및 구형 가래떡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구형 가래떡 제조장치 및 구형 가래떡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280B1
KR101467280B1 KR20140018843A KR20140018843A KR101467280B1 KR 101467280 B1 KR101467280 B1 KR 101467280B1 KR 20140018843 A KR20140018843 A KR 20140018843A KR 20140018843 A KR20140018843 A KR 20140018843A KR 101467280 B1 KR101467280 B1 KR 101467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kneading
rice cake
spherical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18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철민
Original Assignee
장철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철민 filed Critical 장철민
Priority to KR20140018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2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280B1/ko
Priority to PCT/KR2015/001593 priority patent/WO201512613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16Extruding machin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10Mould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형 떡볶이 제조장치 및 구형 떡볶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쌀가루를 반죽하여 반죽물을 형성하는 반죽부와 상기 반죽물이 치댐되어지는 치댐부와 치댐되어진 반죽물을 냉각하는 냉각부와 상기 냉각되어진 반죽물을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냉각되어진 반죽물을 압출하여 가래떡을 형성하는 압출부를 포함하는 가래떡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래떡 제조장치는 압출되어진 가래떡을 구형으로 제작하기 위한 롤링판을 포함하는 구롤링기 또는 반구홈 컨베이어 및 반구성형홈을 포함하는 구성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형 가래떡 제조장치 및 구형 가래떡 제조방법{Ball-shaped Rice Cake Manufacturing Equipment and Ball-shaped Rice Cak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구형 가래떡 제조장치 및 구형 가래떡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반죽부, 치댐부, 냉각부, 이송부 및 압출부를 포함하는 가래떡 제조장치에 추가적으로 압출되어진 가래떡을 구형으로 제작하는 구성형부를 더 포함하는 구형 가래떡 제조장치 및 구형 가래떡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래떡은 멥쌀이나 찹쌀을 이용하여 만든 한국의 전통떡으로서, 떡국용으로 먹는 경우가 많았으나, 근래에는 전 국민의 기호 식품인 떡볶이의 주재료로서 대량으로 생산, 유통 및 판매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래떡은 원기둥 형상으로 길게 압출되고 있다. 이에 가래떡을 떡볶이의 재료로 사용할 경우, 어린 아이나 노인이 먹기에 불편한 형상이었으며, 뜨겁고 매운 떡볶이의 특성상 취식이 매우 어려워, 입가에 양념이 묻거나 양념이 흘러내리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가래떡 제조장치는 압출하는 장치만이 사용되었으며, 반죽과 치댐 및 냉각 등의 과정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뿐, 자동화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또한, 상기 과정들이 수작업으로 진행됨에 따라 반죽물을 이동시키고 주입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화상을 입는 위험성이 있었으며, 균질한 떡볶이를 생산해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92182호(2011. 12. 02. 등록) '가래떡 및 그 제조장치'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일반적인 가래떡의 형상에서 탈피하여 구형 가래떡을 제공하며, 반죽과정과 찌는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고, 반죽과정부터 가래떡 생산과정까지 공정이 자동화도록 하며, 치댐과정과 가래떡 압출과정에서 반죽이 더욱 찰지게 하고, 구형 가래떡이 자동화로 성형되도록 하는 구형 가래떡 제조장치 및 구형 가래떡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형 가래떡 제조장치(RE)는, 쌀가루를 반죽하여 반죽물을 형성하는 반죽부(100)와 상기 반죽물이 치댐되어지는 치댐부(200)와 치댐되어진 반죽물을 냉각하는 냉각부(300)와 상기 냉각되어진 반죽물을 이송하는 이송부(400)와 상기 냉각되어진 반죽물을 압출하여 가래떡(RC)을 형성하는 압출부(500)를 포함하는 가래떡 제조장치(RE)에 있어서, 상기 가래떡 제조장치(RE)는 압출되어진 가래떡(RC)을 구형으로 제작하기 위한 롤링판(632)을 포함하는 구롤링기(630) 또는 반구홈 컨베이어(640) 및 반구성형홈(651)을 포함하는 구성형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반죽부(100)는 상기 쌀가루가 주입되는 반죽호퍼(11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반죽호퍼(110)의 하부에 임펠러(121)가 구비되어진 반죽탱크(120)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임펠러(121)는 반죽용 회전모터(130)에 의하여 회전되어지며, 상기 회전모터(130)는 변속장치(140)에 의하여 변속되어지고, 상기 반죽탱크(120)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장치(150)와 소금물을 공급하는 소금물 공급기(160)가 구비되어 반죽물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치댐부(200)는 상기 반죽물이 주입되는 치댐호퍼(21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치댐호퍼(210)의 하부에 이송스크류(230)가 내부에 구비되어진 원통몸체(220)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이송스크류(230)는 스크류윙(231)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원통몸체(220)의 일측에 구비되어진 치댐용 회전모터(240)에 의하여 회전되어지며, 상기 원통몸체(220)의 타측에는 치댐되어진 반죽물이 배출되는 치댐노즐(250)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400)는 냉각되어진 반죽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41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컨베이어(410)의 상부에는 쌀가루를 구비하되 롤러(421)와 브러쉬 롤러(422)를 회전하여 상기 쌀가루를 분사하는 가루분사기(420)가 마련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압출부(500)는 이송되어진 반죽물이 주입되는 압출호퍼(51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압출호퍼(510)의 하부에 이송스크류(530)가 내부에 구비되어진 원통몸체(520)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이송스크류(530)는 스크류윙(531)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원통몸체(520)의 일측에 구비되어진 압출용 회전모터(540)에 의하여 회전되어지며, 상기 원통몸체(520)의 타측에는 압출되어진 가래떡(RC)이 배출되는 압출노즐(550)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이송스크류(530)는 상기 스크류윙(531)의 역방향으로 리버스윙(53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이송스크류(530)의 타측 단부에는 돌출핀(533)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형 가래떡 제조방법(RM)은, 쌀을 일정시간 물에서 침지하는 쌀 침지단계(S100); 침지하여 불린 쌀을 분쇄하는 쌀가루 형성단계(S200); 분쇄되어진 쌀가루를 반죽하여 반죽물을 형성하는 반죽단계(S300); 상기 반죽물을 치댐하는 치댐단계(S400); 치댐되어진 반죽물을 냉각하는 냉각단계(S500); 냉각되어진 반죽물을 압출하여 가래떡(RC)을 형성하는 가래떡 형성단계(S600);를 포함하는 가래떡 제조방법(RM)에 있어서, 상기 가래떡 제조방법(RM)은, 압출되어진 가래떡(RC)을 롤링판(632)을 포함하는 구롤링기(630) 또는 반구홈 컨베이어(640) 및 반구성형홈(651)을 포함하는 구성형부(600)를 이용하여 구형으로 제작하는 구형 성형단계(S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그리고 컨베이어(410)가 구비되어진 이송부(400)에 의하여 냉각되어진 반죽물을 이송하는 이송단계(S5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형 가래떡 제조장치에 의하면, 구성형부가 포함되어 일반적인 가래떡의 형상에서 탈피하여 구형 가래떡을 자동화로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임펠러와 스팀장치를 구비한 반죽부에 의하여 반죽과정과 찌는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되, 변속장치를 이용하여 반죽물의 팽윤 또는 호화상태에 따라 임펠러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속적으로 호퍼와 노즐을 형성하여 반죽과정부터 가래떡 생산과정까지 공정이 자동화도록 구성할 수 있어, 작업자의 노동력이 감소되며, 균질한 가래떡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복수 개의 치댐부를 구성하고, 압출부의 이송스크류에 리버스윙과 돌출핀을 형성하여 치댐과정과 가래떡 압출과정에서 반죽물이 더욱 찰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형 가래떡을 공급하여 노약자도 취식이 용이하며, 더욱 뛰어난 미감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형 가래떡 제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형 가래떡 제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부 및 구성형부를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출부 및 구성형부를 도시한 단면도 및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출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형 가래떡 제조방법을 도시한 블록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형 가래떡 제조장치(RE)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한편, 종래의 가래떡 제조장치는, 쌀가루를 반죽하여 반죽물을 형성하는 반죽부(100)와 상기 반죽물이 치댐되어지는 치댐부(200)와 치댐되어진 반죽물을 냉각하는 냉각부(300)와 상기 냉각되어진 반죽물을 이송하는 이송부(400)와 상기 냉각되어진 반죽물을 압출하여 가래떡(RC)을 형성하는 압출부(500)가 각각 별개의 장치로 분리되어 일부 장치만을 사용하거나, 전체 장치를 사용하더라도 과정이 연속적으로 진행되지 않아 작업자의 수작업이 요구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래떡 제조장치(RE)는 상기 장치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공정이 자동화되도록 구성할 수 있어, 작업자의 노동력이 감소되며, 균질한 가래떡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압출되어진 가래떡(RC)을 구형으로 제작하는 구성형부(600)를 더 포함하여, 일반적인 가래떡의 형상에서 탈피하여 구형 가래떡을 자동화로 제공할 수 있고, 이로써, 노약자도 취식이 용이하며, 더욱 뛰어난 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성형부(600)는 일 실시예로, 압출되어진 가래떡(RC)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기(610)와 절단되어진 가래떡(RC)을 이송하는 컨베이어(620) 및 상기 컨베이어(620)의 상부에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구동모터(631)에 의하여 전후 좌우로 이동하면서 상기 가래떡(RC)이 구형이 되도록 롤링하는 롤링판(632)을 포함하는 구롤링기(630)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상기 절단기(610)는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는 날에 의하여 가래떡(RC)이 절단되도록 구성하거나, 롤링되어지는 두 회전체의 사이에 가래떡(RC)이 구비되도록 하여 회전체에 형성된 날에 의하여 절단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절단되어진 가래떡(RC)은 짧은 원기둥 형상을 가지는 바, 컨베이어(620)에 의하여 이동되어지면서 구롤링기(630)의 롤링판(632)에 의하여 구형으로 빚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가래떡(RC)이 점성을 지니는 바, 쌀가루를 분사하여 롤링판(632)의 하부에서 상기 가래떡(RC)이 보다 원할하게 빚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롤링기(630)의 롤링판(632)이 전후 좌우 방향으로 랜덤하게 이동되도록 하여 일정한 속도로 저속 이동되어지는 가래떡(RC)이 상기 롤링판(632)의 하부에서 불규칙적으로 구르게 되는바, 구형으로 빚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구형'은 완전한 구형이 아니더라도, 일반수요자가 일견하여 둥근 형상을 지니는 것으로 인식하는 형상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성형부(600)는 압출되어진 가래떡(RC)이 안착되어지는 가이드홈(641)과 상기 가이드홈(641)에 형성되어진 복수 개의 반구성형홈(642)을 포함하고, 상기 가래떡(RC)을 이송하는 반구홈 컨베이어(640) 및 저면에 반구성형홈(651)이 형성되어 상기 반구홈 컨베이어(640)의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가래떡(RC)이 구형이 되도록 가압하는 가압판(650)으로 구성되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가래떡(RC)은 길게 압출되어진 가래떡(RC)이 상기 반구홈 컨테이너(640)의 가이드홈(641)에 의하여 일정한 위치에 안착되어지고, 상부에 구비된 가압판(650)이 하부로 이동하면서 가래떡(RC)을 가압하여 상기 반구홈 컨테이너(640)의 반구성형홈(642)과 가압판(650)의 반구성형홈(651)에 의하여 구형으로 성형되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홈(641)은 반구성형홈(642) 보다 넓은 폭을 지니도록 형성되어, 가래떡(RC)이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가압판(650)이 가압함에 따라 압력에 의하여 상기 반구성형홈(642)(651)에 자연스럽게 가래떡(RC)이 구비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반구홈 컨베이어(640)는 가래떡(RC)이 구비된 이후에 일시정지하고, 상기 가압판(650)이 하강하도록 하고, 상기 가래떡(RC)의 압출을 일시중단한 후, 가압판(650)이 상승하면 재차 이송되도록 한다.
상기 반구홈 컨베이너(640)와 가압판(650)에는 유분을 도포하여, 구형 가래떡이 용이하게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반죽부(100)는 상기 쌀가루가 주입되는 반죽호퍼(11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반죽호퍼(110)의 하부에 임펠러(121)가 구비되어진 반죽탱크(120)가 형성되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쌀가루는 일정기간 물에 침지하여 불려진 쌀을 분쇄하여 제작하게 되며, 쌀은 멥쌀이나 찹쌀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죽호퍼(110)에 주입된 쌀가루는 임펠러(121)에 반죽탱크(120)에서 교반되어지는 것으로, 상기 임펠러(121)는 반죽용 회전모터(130)에 의하여 회전되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모터(130)는 변속장치(140)에 의하여 변속되어지고, 상기 반죽탱크(120)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장치(150)와 소금물을 공급하는 소금물 공급기(160)가 구비되어 반죽물이 형성되어질 수 있다.
소금물 공급부(160)에 의하여 주입되어진 소금물과 상기 쌀가루는 임펠러(121)의 고속 회전으로 반죽하여 반죽물이 팽윤상태에 이르도록 한다.
팽윤상태란, 곡물가루의 아밀로오스 또는 아밀로펙틴 분자 간의 수소결합이 가수분해되는 상태를 지칭하는 것이다. 따라서, 고속 회전되는 임펠러(121)에 의하여 뭉치는 부분 없이 골고루 반죽물이 팽윤상태에 이르도록 하는 것이다.
이후, 스팀장치(150)에 의하여 고온의 수증기가 팽윤상태의 반죽물에 분사되면, 질서정연하게 배열되어 있던 전분 분자들이 흩어져 되돌아갈 수 없을 정도로 붕괘된 알파 상태의 졸(sol) 상태의 콜로이드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를 호화상태라 한다.
호화상태에 다다르기 위해서는 고온이나 고압이 요구되는 것으로 고온의 수증기에 반죽물이 충분히 노출되도록 상기 반죽탱크(120)와 반죽물의 충돌의 감소시켜야 하는바, 상기 임펠러(121)의 속도를 저속으로 전환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스팀장치(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발생기(151)에서 수증기를 형성하고, 이를 상기 반죽탱크(120) 내부에 구비된 스팀노즐(152)을 통하여 반죽물에 분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증기가 효과적으로 반죽물에 분사되도록 하기 위하여 스팀노즐(152)에서 반죽탱크(152)의 벽면을 따라 스팀유도관(15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임펠러(121)와 스팀장치(150)를 구비한 반죽부(100)에 의하여 반죽과정과 찌는 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댐부(200)는 상기 반죽물이 주입되는 치댐호퍼(21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치댐호퍼(210)의 하부에 이송스크류(230)가 내부에 구비되어진 원통몸체(220)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이송스크류(230)는 스크류윙(231)이 형성되어질 수 있다.
상기 치댐호퍼(210)는 상기 반죽부(100)의 호화상태의 반죽물이 주입되는 구성으로, 이송스크류(230)를 통과하면서 치댐되어져 점성이 향상되고, 반죽물이 더욱 찰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이송스크류(230)는 상기 원통몸체(220)의 일측에 구비되어진 치댐용 회전모터(240)에 의하여 회전되어지며, 상기 원통몸체(220)의 타측에는 치댐되어진 반죽물이 배출되는 치댐노즐(250)이 형성되어 냉각부(300)로 반죽물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댐부(200)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치댐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 공급관(310)을 통하여 유입된 냉각수가 냉각탱크(320)에 저장되어지고, 상기 냉각탱크(320)를 치댐되어진 반죽물이 통과하여 60 내지 70℃의 반죽물로 냉각되어진다.
이때, 상기 냉각수의 온도는 상온도 상당하는 온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냉각탱크(320)를 통과한 반죽물은 이송부(400)로 전달된다.
상기 냉각탱크(320)의 저면에는 드레인관(330)이 구비되어, 이물질 등으로 오염되어진 냉각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연속적인 냉각수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이송부(400)는 냉각되어진 반죽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41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컨베이어(410)의 상부에는 쌀가루를 구비하되 롤러(421)와 브러쉬 롤러(422)를 회전하여 상기 쌀가루를 분사하는 가루분사기(420)가 마련되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루분사기(420)는 공급관으로부터 쌀가루를 지속적으로 공급받아 호퍼를 통하여 배출하되, 상기 호퍼의 하부에는 롤러(421)가 브러쉬 롤러(422)의 브러쉬가 접하도록 구비되어, 브러쉬의 탄성력에 의하여 쌀가루가 분사되어진다.
상기 가루분사기(420)는 냉각되어진 반죽물이 점성에 의하여 컨베이어(410)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롤러(421)와 브러쉬 롤러(422)의 사이에서 상기 콘베이어(410)로 곡물가루를 분사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압출부(500)는 이송되어진 반죽물이 주입되는 압출호퍼(51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압출호퍼(510)의 하부에 이송스크류(530)가 내부에 구비되어진 원통몸체(520)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이송스크류(530)는 스크류윙(531)이 형성되어질 수 있다.
상기 압출호퍼(510)는 이송되어진 반죽물이 주입되는 구성으로, 이송스크류(530)를 통과하면서 치댐되어져 점성이 향상되고, 반죽물이 더욱 찰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원통몸체(520)의 일측에 구비되어진 압출용 회전모터(540)에 의하여 회전되어지며, 상기 원통몸체(520)의 타측에는 압출되어진 가래떡(RC)이 배출되는 압출노즐(550)이 형성되어질 수 있다.
상기 압출노즐(5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 형성되어, 하나의 원통몸체(520)에서 다수 개의 가래떡(RC)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스크류(530)는 상기 스크류윙(531)의 역방향으로 리버스윙(53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이송스크류(530)의 타측 단부에는 돌출핀(533)이 형성되어질 수 있다.
상기 리버스윙(532)는 스크류윙(531)의 날개방향과 반대로 구비되어지는 것으로, 반죽물이 역방향으로 밀리게 되어, 응집된 반죽물이 상기 리버스윙(531)에 의하여 재차 파쇄되어진다.
또한, 상기 돌출핀(533)은 압축노즐(550)에 의하여 가래떡(RC)으로 배출되기 직전에 반죽물을 다시 한번 비벼지고, 뒤섞이게 하여, 반죽물을 확실하게 파쇄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구형 가래떡 제조방법(RM)은, 쌀 침지단계(S100), 쌀가루 형성단계(S200), 반죽단계(S300), 치댐단계(S400), 냉각단계(S500), 가래떡 형성단계(S600) 및 구형 성형단계(S7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쌀 침지단계(S100) 내지 가래떡 형성단계(S600)는 종래의 가래떡(RC) 제조방법에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쌀 침지단계(S100)는 쌀을 일정시간 물에서 침지하는 단계로서, 짧게는 30분에서 길게는 하루 정도 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쌀가루 형성단계(S200)는 쌀 침지단계(S100)에서 침지하여 불린 쌀을 분쇄기에 주입 분쇄하여 분말로 만드는 단계이다.
이후, 반죽단계(S300) 내지 구형 성형단계(S700)는 상기한 구형 가래떡 제조장치(RE)를 이용하여 진행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반죽단계(S300)는 분쇄되어진 쌀가루를 반죽하여 반죽물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반죽단계(S300)는 팽윤상태를 거쳐 호화상태의 반죽물이 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후, 치댐단계(S400)는 상기 반죽물을 치댐하는 단계로서, 반죽물이 더욱 찰지도록 제작하는 단계이다.
상기 냉각단계(S500)는 치댐되어진 반죽물을 냉각하는 단계로서, 상온의 냉각수를 이용하여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냉각수가 오염되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순환시켜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가래떡 형성단계(S600)는 냉각되어진 반죽물을 압출하여 가래떡(RC)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가래떡 형성단계(S600)를 거쳐 일반적인 원기둥 형상의 긴 가래떡을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래떡 제조방법(RM)은, 압출되어진 가래떡(RC)을 구형으로 제작하는 구형 성형단계(S700)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구형상의 가래떡(RC)을 제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형 성형단계(S700)는, 압출되어진 가래떡(RC)을 절단기(610)를 이용하여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단계(S711) 및 절단되어진 가래떡(RC)을 이송하는 컨베이어(620)의 상부에서 구롤링기(630)를 전후 좌우로 이동하여 상기 가래떡(RC)이 구형이 되도록 롤링하는 롤링단계(S7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구형 성형단계(S700)는, 반구홈 컨베이어(640)의 가이드홈(641)에 압출되어진 가래떡(RC)을 안착하는 안착단계(S721) 및 안착되어진 가래떡(RC)의 상부에서 반구성형홈(651)이 형성되어진 가압판(650)을 상하로 이동하면서 상기 가래떡(RC)이 구형이 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단계(S7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도면에서 개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절단기를 반대로 회전하는 두 개의 날로 구성하되, 상기 날의 형상을 반구형으로 제작하여, 절단과 동시에 구형 가래떡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냉각단계(S500) 이후에는 컨베이어(410)가 구비되어진 이송부(400)에 의하여 냉각되어진 반죽물을 이송하는 이송단계(S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구형 가래떡 제조장치 및 구형 가래떡 제조방법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특허청구범위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RC:가래떡 RE:가래떡 제조장치
100:반죽부 110:반죽호퍼
120:반죽탱크 121:임펠러
130:반죽용 회전모터 140:변속장치
150:스팀장치 151:스팀발생기
152:스팀노즐 153:스팀유도관
160:소금물 공급기
200:치댐부 210:치댐호퍼
220:원통몸체 230:이송스크류
231:스크류윙 240:치댐용 회전모터
250:치댐노즐 300:냉각부
310:냉각수 공급관 320:냉각탱크
330:드레인관 400:이송부
410:컨베이어 420:가루분사기
421:롤러 422:브러쉬롤러
500:압출부 510:압출호퍼
520:원통몸체 530:이송스크류
531:스크류윙 532:리버스윙
533:돌출핀 540:압출용 회전모터
550:압출노즐 600:구성형부
610:절단기 620:컨베이어
630:구롤링기 631:구동모터
632:롤링판 640:반구홈 컨베이어
641:가이드홈 642:반구성형홈
650:가압판 651:반구성형홈
RM:가래떡 제조방법 S100:쌀 침지단계
S200:쌀가루 형성단계 S300:반죽단계
S400:치댐단계 S500:냉각단계
S550:이송단계 S600:가래떡 형성단계
S700:구형 성형단계 S711:절단단계
S712:롤링단계 S721:안착단계
S722:가압단계

Claims (11)

  1. 쌀가루를 반죽하여 반죽물을 형성하는 반죽부(100)와 상기 반죽물이 치댐되어지는 치댐부(200)와 치댐되어진 반죽물을 냉각하는 냉각부(300)와 상기 냉각되어진 반죽물을 이송하는 이송부(400)와 상기 냉각되어진 반죽물을 압출하여 가래떡(RC)을 형성하는 압출부(500)를 포함하는 가래떡 제조장치(RE)에 있어서,
    상기 가래떡 제조장치(RE)는 압출되어진 가래떡(RC)을 구형으로 제작하기 위한 롤링판(632)을 포함하는 구롤링기(630) 또는 반구홈 컨베이어(640) 및 반구성형홈(651)을 포함하는 구성형부(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가래떡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부(100)는 상기 쌀가루가 주입되는 반죽호퍼(11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반죽호퍼(110)의 하부에 임펠러(121)가 구비되어진 반죽탱크(120)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임펠러(121)는 반죽용 회전모터(130)에 의하여 회전되어지며, 상기 회전모터(130)는 변속장치(140)에 의하여 변속되어지고, 상기 반죽탱크(120)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장치(150)와 소금물을 공급하는 소금물 공급기(160)가 구비되어 반죽물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가래떡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댐부(200)는 상기 반죽물이 주입되는 치댐호퍼(21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치댐호퍼(210)의 하부에 이송스크류(230)가 내부에 구비되어진 원통몸체(220)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이송스크류(230)는 스크류윙(231)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원통몸체(220)의 일측에 구비되어진 치댐용 회전모터(240)에 의하여 회전되어지며, 상기 원통몸체(220)의 타측에는 치댐되어진 반죽물이 배출되는 치댐노즐(250)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가래떡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400)는 냉각되어진 반죽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41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컨베이어(410)의 상부에는 쌀가루를 구비하되 롤러(421)와 브러쉬 롤러(422)를 회전하여 상기 쌀가루를 분사하는 가루분사기(420)가 마련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가래떡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부(500)는 이송되어진 반죽물이 주입되는 압출호퍼(51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압출호퍼(510)의 하부에 이송스크류(530)가 내부에 구비되어진 원통몸체(520)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이송스크류(530)는 스크류윙(531)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원통몸체(520)의 일측에 구비되어진 압출용 회전모터(540)에 의하여 회전되어지며, 상기 원통몸체(520)의 타측에는 압출되어진 가래떡(RC)이 배출되는 압출노즐(550)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이송스크류(530)는 상기 스크류윙(531)의 역방향으로 리버스윙(53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이송스크류(530)의 타측 단부에는 돌출핀(533)이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가래떡 제조장치.
  8. 쌀을 일정시간 물에서 침지하는 쌀 침지단계(S100); 침지하여 불린 쌀을 분쇄하는 쌀가루 형성단계(S200); 분쇄되어진 쌀가루를 반죽하여 반죽물을 형성하는 반죽단계(S300); 상기 반죽물을 치댐하는 치댐단계(S400); 치댐되어진 반죽물을 냉각하는 냉각단계(S500); 냉각되어진 반죽물을 압출하여 가래떡(RC)을 형성하는 가래떡 형성단계(S600);를 포함하는 가래떡 제조방법(RM)에 있어서,
    상기 가래떡 제조방법(RM)은,
    압출되어진 가래떡(RC)을 롤링판(632)을 포함하는 구롤링기(630) 또는 반구홈 컨베이어(640) 및 반구성형홈(651)을 포함하는 구성형부(600)를 이용하여 구형으로 제작하는 구형 성형단계(S7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가래떡 제조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컨베이어(410)가 구비되어진 이송부(400)에 의하여 냉각되어진 반죽물을 이송하는 이송단계(S55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형 가래떡 제조방법.
KR20140018843A 2014-02-19 2014-02-19 구형 가래떡 제조장치 및 구형 가래떡 제조방법 KR101467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8843A KR101467280B1 (ko) 2014-02-19 2014-02-19 구형 가래떡 제조장치 및 구형 가래떡 제조방법
PCT/KR2015/001593 WO2015126138A1 (ko) 2014-02-19 2015-02-17 구형 가래떡 제조장치 및 구형 가래떡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8843A KR101467280B1 (ko) 2014-02-19 2014-02-19 구형 가래떡 제조장치 및 구형 가래떡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7280B1 true KR101467280B1 (ko) 2014-12-01

Family

ID=52677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18843A KR101467280B1 (ko) 2014-02-19 2014-02-19 구형 가래떡 제조장치 및 구형 가래떡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67280B1 (ko)
WO (1) WO201512613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96100A (zh) * 2016-06-29 2016-10-12 芜湖市佳谷豆工贸有限公司 年糕挤出装置
KR20200097032A (ko) * 2019-02-07 2020-08-18 이선재 떡볶이용 떡 연속 제조장치
KR20230139228A (ko) * 2022-03-25 2023-10-05 광동제약 주식회사 환약 금박 롤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27554B (zh) * 2017-12-20 2023-06-30 浙江森蓝食品有限公司 一种发糕自动生产装置及其生产方法
KR101919022B1 (ko) 2018-09-02 2018-11-15 이태엽 가래떡 가공 장치
CN109567101B (zh) * 2019-01-23 2022-05-20 湖北老巴王生态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萝卜糕休闲食品的制备系统及制备方法
KR102592422B1 (ko) * 2023-04-12 2023-10-23 주식회사 굿마인드 굳지 않는 떡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669Y1 (ko) * 2003-02-21 2003-05-22 김형일 가루분말 살포장치
KR20050025680A (ko) * 2003-09-08 2005-03-14 박태우 떡볶이용 치즈떡, 떡볶이용 치즈떡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의한 떡볶이용 치즈떡
KR20080099199A (ko) * 2007-05-08 2008-11-12 성호정 떡볶이용 가래떡 제조장치
KR101049274B1 (ko) * 2010-11-09 2011-07-13 최문영 떡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0736Y1 (ko) * 1993-04-21 1996-01-25 손병수 가래떡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669Y1 (ko) * 2003-02-21 2003-05-22 김형일 가루분말 살포장치
KR20050025680A (ko) * 2003-09-08 2005-03-14 박태우 떡볶이용 치즈떡, 떡볶이용 치즈떡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의한 떡볶이용 치즈떡
KR20080099199A (ko) * 2007-05-08 2008-11-12 성호정 떡볶이용 가래떡 제조장치
KR101049274B1 (ko) * 2010-11-09 2011-07-13 최문영 떡 제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96100A (zh) * 2016-06-29 2016-10-12 芜湖市佳谷豆工贸有限公司 年糕挤出装置
KR20200097032A (ko) * 2019-02-07 2020-08-18 이선재 떡볶이용 떡 연속 제조장치
KR102209312B1 (ko) 2019-02-07 2021-01-28 이선재 떡볶이용 떡 연속 제조장치
KR20230139228A (ko) * 2022-03-25 2023-10-05 광동제약 주식회사 환약 금박 롤링 장치
KR102613554B1 (ko) 2022-03-25 2023-12-14 광동제약 주식회사 환약 금박 롤링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26138A1 (ko) 2015-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7280B1 (ko) 구형 가래떡 제조장치 및 구형 가래떡 제조방법
KR100923120B1 (ko) 떡볶이용 가래떡 제조장치
JP2000093069A (ja) ペ―スト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ペ―スト製品の製造装置
TW201540188A (zh) 生產及分配烘焙物料之方法及系統
CN100352359C (zh) 用于生产食料的规则薄膜的装置和方法
US20050123663A1 (en) Shredded food products and methods of producing and applying shredded food products
FR2572899A1 (fr) Procede et installation de fabrication d'un produit fourre
KR101137914B1 (ko) 다중 구조의 속재료를 충진함과 동시에 외관을 땅콩 모양으로 성형하는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
TW201817351A (zh) 食品處理系統及相關聯之方法
KR20140096496A (ko) 국수 제조장치
US8757997B2 (en) Deposited hard shell and soft chewy center candy and method of making
KR20200015130A (ko) 또띠아용 반죽볼 성형기의 롤링 유니트
KR20190057477A (ko) 커플 웰빙 곡물과자 제조방법
KR101444797B1 (ko) 냉떡국 제조방법
KR101959125B1 (ko) 맛살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맛살 제조 방법
JP3182754U (ja) 食品の成形装置
JP3088995B2 (ja) たこ焼き製造装置
US20180168181A1 (en) Deposited hard shell and soft chewy center candy and method of making
JP3947068B2 (ja) 油脂性菓子の製造方法
KR101444796B1 (ko) 냉떡국 제조장치
JP6105450B2 (ja) 環状形ベイカリイ製品の連続的な製造方法と、ベイカリイ生地供給装置、及びベイカリイ製品
US20100209545A1 (en) Apparatus for releasing food slurry along predetermined course
EP0667744B1 (en) Method and an apparatus for making pasta, gnocchi, and the like on a continuous basis
Varghese et al. 3D Printing of Foods: Concepts, Applications, and Prospects
KR101668523B1 (ko) 떡 치댐성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