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4818Y1 - 쇄석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쇄석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4818Y1
KR200344818Y1 KR20-2003-0038386U KR20030038386U KR200344818Y1 KR 200344818 Y1 KR200344818 Y1 KR 200344818Y1 KR 20030038386 U KR20030038386 U KR 20030038386U KR 200344818 Y1 KR200344818 Y1 KR 2003448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orting
support member
crushed stone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83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Priority to KR20-2003-00383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48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48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48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Abstract

본 고안은, 쇄석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석산에서 파쇄한 쇄석을 포함하여 일반 석재들을 그 크기별로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선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쇄석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은,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그 상측에 적어도 4곳의 확장플랜지부를 형성하고 있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확장플랜지부와 대응하여 쌍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연장플랜지를 외향 돌설하고 있는 케이스와; 상기 지지부재의 확장플랜지 및 상기 케이스의 연장플랜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상기 케이스를 완충시키는 완충부재; 상기 케이스 내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어 쇄석을 선별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선별망과;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선별망에 진동을 유발시키는 진동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쇄석 선별장치 {Apparatus for sorting rubble}
본 고안은, 쇄석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석산에서 파쇄한 쇄석을 포함하여 일반 석재들을 그 크기별로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선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쇄석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별장치란, 품질, 규격 등에 따라 대량 생산된 부품이나 제품, 혹은 물품의 전체수량을 검사하여 불량품을 골라내거나 같은 품질이나 종류, 혹은 크기를 갖는 것을 분류하여 선별하는 것이다.
선별하고자 하는 종류에 따라 선별기는 다양한 종류를 가지고 있는데 그 대표적인 것으로서, 곡물 선별기라 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곡물 선별기는, 수확한 곡물 중에 포함된 미숙립, 피해립 등의 불완전립과, 지푸라기, 흙, 잔돌 잡초, 풀씨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계로써, 이물질의 크기, 모양, 비중 등이 서로 다른 점을 이용하여 선별한다. 이때 채용될 수 있는 것으로는 스크린선별기, 홈선별기, 기류선별기, 비중선별기, 자력선별기 등이 있는데, 스크린선별기가 가장 많이 이용된다.
스크린 선별기는 철판 또는 플라스틱 판에 구멍을 뚫은 천공사로 만든 스크린을 여러 층 설치한 구조로, 스크린 구멍의 치수가 층별로 각각 다르며, 요동하는 스크린 위를 곡물이 흘러내려 오면서 입자의 크기에 따라서 완전립, 불완전립 및 이물질로 분리된다.
이처럼 스크린 타입을 이용한 선별기는 비단 곡물의 선별에만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본 고안에서와 같이 석산에서 파쇄한 쇄석을 입자별, 크기별로 선별하거나 분류하고자 할 경우에도 널리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석산에서 파쇄한 쇄석을 포함하여 일반 석재들을 그 크기별로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선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쇄석선별장치를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석산에서 파쇄한 쇄석을 포함하여 일반 석재들을 그 크기별로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선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쇄석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주된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쇄석 선별장치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쇄석 선별장치의 측면도 및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지부재, 10a: 수평프레임, 10b: 수직프레임, 12: 푸트부, 14: 확장플랜지, 20: 케이스, 20a: 연장플랜지, 30: 완충부재, 41,42: 선별망, 50: 진동부재, 60: 실링커버, 60a: 개구부, 70: 이탈저지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그 상측에 적어도 4곳의 확장플랜지부를 형성하고 있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확장플랜지부와 대응하여 쌍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연장플랜지를 외향 돌설하고 있는 케이스와; 상기 지지부재의 확장플랜지 및 상기 케이스의 연장플랜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상기 케이스를 완충시키는 완충부재; 상기 케이스 내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어 쇄석을 선별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선별망과;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선별망에 진동을 유발시키는 진동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쇄석선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쇄석선별장치의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쇄석선별장치는, 석산에서 파쇄한 쇄석을 포함하여 일반 석재들을 그 크기별로 선별하는 것으로써, 지지부재(10)와, 지지부재(10)의 상부에 마련되는 케이스(20)와, 케이스(20) 내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어 쇄석을 선별하는 복수의 선별망(41,42)과, 지지부재(10)의 측면에 마련되어 선별망(41,42)에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부재(50) 및 케이스(20)의 상부에 마련되는 실링커버(60)를 갖는다.
지지부재(10)는 본 쇄석선별장치의 하부 기초를 형성하는 부분으로써, 이는복수개의 수평프레임(10a)과 복수개의 수직프레임(10b)의 조합으로 이루어며, 상하 한쌍으로 구성되는 수평프레임(10a)의 상측에는 또한 확장플랜지(14)가 설치된다.
수평프레임(10a)은 내부가 빈 사각파이프가 정방형으로 용접되어 형성되어 있고, 수직프레임(10b)은 수평프레임(10a)의 네 모서리 영역으로부터 사각파이프를 상측으로 기립하게 용접하여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지지부재(10)의 형상은 충분히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각파이프가 아닌 원형단면의 파이프로 제조할 수도 있고, 혹은 수평프레임(10a)과 수직프레임(10b)을 구분하여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테이블 타입으로 지지부재(10)를 마련하여도 본 고안이 요구하는 소정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전혀 문제가 되지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수평프레임(10a)의 하부 푸트부(12)를 형성함에 있어, 도 1의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고정형으로 구성하지 않고, 구름 이동가능한 이동바퀴의 형태로 푸트부(12)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때 이동형의 푸트부(12)를 준비하였다면 반드시 푸트부(12)를 정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브레이크장치를 갖추어야 할 것임은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지지부재(10)의 상부에는 그 내부에 복수의 선별망(41,42)이 마련된 케이스(20)가 마련되어 있다. 케이스(20)는 그 내부에서 실질적인 선별작업이 이루어지는 곳으로써, 일정한 두께를 가진 판상의 철판을 통형상으로 구부리고 용접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20)의 측면에는 측면에 대해 가로방향을 연장된연장플랜지(20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장플랜지(20a)와 수직프레임(10b)의 확장플랜지(14) 사이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완충될 수 있는 완충부재(30)가 개재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20)의 내부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복수의 선별망(41,42)이 배치되어 있다. 즉, 실시예인 도 1을 볼 때, 선별망(41,42)은 측방향으로도 상호 결합된 복수개로 배치되고 상하방향으로도 2층으로 층상배열되어 있으며 그 표면에는 복수의 선별구멍(H)이 형성되어 있다. 선별망(41,42)에 형성된 선별구멍(H)의 크기와 형상은 선별대상물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본 고안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이와같이 측상 배열된 선별망(41)은 공급된 쇄석을 단계적으로 분류하게 되는 것인데, 이중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쇄석을 상층의 선별망(41)을 따라 이동하여 분류하게 되고, 크기가 작아 상층의 선별망(41)의 선별구멍(H)을 통과한 쇄석은, 하층의 선별망(42)을 통해 다시 분류하게 된다.
결국, 도 1에 의하면, 2개의 층으로 상호 층상배열된 선별망(41,42)으로 인해 쇄석은 2가지의 크기로 분류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20)의 내부에 3개 이상의 층으로 선별망을 마련해 놓는다면 쇄석들을 좀 더 다양한 크기별로 분류할 수 있다.
이때, 선별되어진 쇄석들을 모으기 위한 방법으로 도시하고 있지는 않으나, 각 선별망(41,42)들의 단부에 별도의 슈트부를 두어 각 선별망(41,42)들에 의해 선별되어진 쇄석들을 분리하는 것 또한 하나의 실시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케이스(20)의 상부에는 본 쇄석선별장치의 상면 구조를 이룰 뿐만 아니라 선별대상의 쇄석이 공급되는 실링커버(60)가 마련되어 있다. 실링커버(60)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상면은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실링커버(60)의 상면 개구부(60a)에는 별도의 이송컨베이어와 같은 이송수단이 배치되어 선별대상의 쇄석을 연속적으로 공급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실링커버(60)와 케이스(20) 사이에는, 케이스(20) 내의 선별망(41,42)에 의해 선별되는 쇄석이 케이스(2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이탈저지판(70)이 마련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이탈저지판(70)은 그 형상으로 미루어볼 때, 케이스(20)와 실링커버(60)의 측단에 슬라이딩 맞물림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용접이나 볼트 결합의 방법을 채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쇄석선별장치의 지지부재(10) 측면에는 진동부재(50)가 마련되어 있다. 진동부재(50)는 실제로 선별망(41,42)에 진동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진동소자나 혹은 액추에이터로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선별망(41,42)에 상하방향으로의 진동을 부여하는 진동모터로써 진동부재(50)를 대체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진동모터로 되어 있는 진동부재(50)는 장치에서 비교적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진동부재(50)에 의해 발생한 진동의 방향은 경사진 상하방향으로의 진동이 되는데, 선별효율을 높이기 위한 방편 중 하나인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쇄석선별장치를 이용하여 쇄석을 크기별로 분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석산 등에서 파쇄한 쇄석이나 돌가루 등을 도시 않은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이송시켜 실링커버(60)의 상부 개구부(60a)로 투입한다.
선별 대상의 쇄석을 투입함과 동시에 진동부재(50)에 전원이 인가되어 작동함으로써 지지부재(10)를 포함한 케이스(20)에 경사진 상하방향으로의 진동이 부여된다. 이처럼 진동부재(50)가 지지부재(10)와 케이스(20) 전체에 진동이 부여되면, 지면에 고정된 지지부재(10)에 대해 케이스(20)가 진동하게 되는데 이때 연장플랜지(20a)와 수직프레임(10b)상의 확장플랜지(14) 사이에 마련된 완충부재(30)로 인해 그 진동효과는 배가될 수 있게 된다.
진동부재(50)에 의해 선별망(41,42)에 진동이 부여되고 그 선별망(41,42)으로 선별 대상의 쇄석이 낙하하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쇄석은 상층의 선별망(41)을 따라 이동하여 분류되고,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아 상층의 선별망(41)에 형성된 선별구멍(H)을 통해 하방으로 낙하한 쇄석은, 하층의 선별망(42)을 따라 이동되어 분류된다. 따라서, 쇄석을 입자별 혹은 크기별로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선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석산에서 파쇄한 쇄석을 포함하여 일반 석재들을 그 크기별로 분류 혹은 선별하는 것에 관해 설명하였지만, 쇄석 외의 선별물품 역시본 선별장치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선별망(41,42)을 총 2개의 층으로 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선별되는 쇄석의 종류와 활용 상태에 따라 3개의 층 이상으로 선별망을 마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석산에서 파쇄한 쇄석을 포함하여 일반 석재들을 그 크기별로 용이하게 선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선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쇄석선별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4)

  1.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그 상측에 적어도 4곳의 확장플랜지부를 형성하고 있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의 확장플랜지부와 대응하여 쌍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연장플랜지를 외향 돌설하고 있는 케이스와;
    상기 지지부재의 확장플랜지 및 상기 케이스의 연장플랜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 상기 케이스를 완충시키는 완충부재;
    상기 케이스 내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되어 쇄석을 선별하는 적어도 하나이상의 선별망과;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선별망에 진동을 유발시키는 진동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석선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망은, 측방향으로 상호 결합가능하고, 적어도 2층 이상으로 상호 층상배열되어 상기 쇄석을 크기별, 그리고 단계적으로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석선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마련되어 선별대상의 쇄석이 공급되는 실링커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석선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실링커버 사이에 마련되어 선별되는 쇄석이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이탈저지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쇄석선별장치.
KR20-2003-0038386U 2003-12-09 2003-12-09 쇄석 선별장치 KR2003448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386U KR200344818Y1 (ko) 2003-12-09 2003-12-09 쇄석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8386U KR200344818Y1 (ko) 2003-12-09 2003-12-09 쇄석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4818Y1 true KR200344818Y1 (ko) 2004-03-10

Family

ID=49344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8386U KR200344818Y1 (ko) 2003-12-09 2003-12-09 쇄석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4818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275B1 (ko) 2007-04-04 2008-04-25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진동흡수력을 갖는 비산방지스커트의 결합구조
KR101181901B1 (ko) * 2012-04-04 2012-09-11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다단 선별기
KR200462438Y1 (ko) 2012-04-16 2012-09-11 용현폴리텍주식회사 다단 쇄석 선별장치
KR200465249Y1 (ko) * 2012-04-21 2013-02-07 용현폴리텍주식회사 쇄석 선별장치
KR200491449Y1 (ko) * 2019-08-22 2020-05-15 서석호 보수가 용이한 2단 우레탄 쇄석 선별 장치
JP2020099876A (ja) * 2018-12-24 2020-07-02 株式会社アイシンナノテクノロジーズ ジェットミル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275B1 (ko) 2007-04-04 2008-04-25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진동흡수력을 갖는 비산방지스커트의 결합구조
KR101181901B1 (ko) * 2012-04-04 2012-09-11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다단 선별기
KR200462438Y1 (ko) 2012-04-16 2012-09-11 용현폴리텍주식회사 다단 쇄석 선별장치
KR200465249Y1 (ko) * 2012-04-21 2013-02-07 용현폴리텍주식회사 쇄석 선별장치
JP2020099876A (ja) * 2018-12-24 2020-07-02 株式会社アイシンナノテクノロジーズ ジェットミル
JP7360645B2 (ja) 2018-12-24 2023-10-13 株式会社アイシンナノテクノロジーズ ジェットミル
KR200491449Y1 (ko) * 2019-08-22 2020-05-15 서석호 보수가 용이한 2단 우레탄 쇄석 선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89846B2 (en) Hybrid screen
JP5925248B2 (ja) 揺動選別機
JPH04504078A (ja) 主に建築現場廃棄物からの有価物質の回収の方法及び装置
JP2007000814A (ja) 分別装置
KR101071464B1 (ko) 퇴비용 이물질 선별장치
KR100468630B1 (ko)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용 스크린
KR100652225B1 (ko) 선별기
CN105836430A (zh) 一种物料分级筛选输送装置
KR200344818Y1 (ko) 쇄석 선별장치
KR101786946B1 (ko) 건설오니의 파쇄 및 마쇄 스크린 장치
KR101872486B1 (ko) 다중 스크린망을 이용한 수직형 순환골재 생산장치
KR100703028B1 (ko) 골재 선별장치
CN104907250A (zh) 基于宝石分拣的直线振动筛
KR20040027828A (ko) 선별기
KR20040002833A (ko) 재생골재 선별장치
JP4221010B2 (ja) 篩網及び篩網による分別方法
KR100641400B1 (ko) 건설폐기물의 파쇄선별장치
CN210207647U (zh) 谷物精选机
CN210045577U (zh) 一种固体垃圾分拣机装置
KR101342617B1 (ko) 슬래그 볼의 2열 병렬화 진동선별장치
CN106694381A (zh) 蚕茧分选机
CN207839392U (zh) 花生仁分级筛选装置
JP2003334494A (ja) 縦落ち防止篩機
JP2003300019A (ja) 振動篩機とそれを備えた篩設備
CN110340009A (zh) 一种多功能建筑垃圾筛分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