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8630B1 -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용 스크린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용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8630B1
KR100468630B1 KR1020040063643A KR20040063643A KR100468630B1 KR 100468630 B1 KR100468630 B1 KR 100468630B1 KR 1020040063643 A KR1020040063643 A KR 1020040063643A KR 20040063643 A KR20040063643 A KR 20040063643A KR 100468630 B1 KR100468630 B1 KR 1004686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onstruction waste
frame
net
vib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3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용
Original Assignee
동신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신산업(주) filed Critical 동신산업(주)
Priority to KR1020040063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86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8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86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16Mills provided with vib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10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separator arranged in discharge path of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04Stationary flat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8Stretching devices for scre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용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연결부에 소정의 단차를 갖도록 복수의 스크린망이 다단으로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은 본체의 상부에 위치가변수단을 통하여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서, 분리되지 않고 되돌아 가는 입자의 량을 최소화 하여 시간당 생산량을 극대화 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용 스크린{a screen for sorter and crushing of construction waste}
본 발명은 천연암석이나 건설폐기물을 원료로 이를 파분쇄한후 선별시 사용되는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로는, 연결부에서 소정의 단차를 유지하는 다단의 스크린망이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망은 각각 본체의 상부에 위치가변수단을 통하여 연결되는 구성으로 스크린망에서 선별되지 않고 되돌아 가는 입자의 량을 최소화 하여 시간당 생산량을 극대화시킬수 있도록 하는 건설폐기물의 파분쇄 및 선별장치용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물의 잔해 및 공사현장에서 발생되는 다양한 크기 및 재질로 이루어진 각종 건축폐기물들의 재활용및 천연의 암석등을 원료로 골재를 생산할 때 상기 원료는 크러셔를 통하여 파쇄된후 일정한 입자크기를 갖는 다수의 스크린에 의해 입자별도 선별되고, 일정입도 이상의 입자는 재파쇄되고 스크린에 의해 선별되는 입자는 다음공정으로 보내지는 방법에 의해 일정입도를 갖는 골재로 재생된다.
이와같이 재활용을 위해 선별장치의 스크린으로 공급되는 건축폐기물은 대략 30∼50%정도가 입자크기가 작은 석분이나 토사로 이루어지고, 나머지는 일정크기를 갖는 골재형태를 이루고 있는 것인바, 이들 중 토사만이 스크린을 통과하여 토사 공급슈트를 거쳐 이송콘베어로 공급되어 토사에 대한 이물질 분리작업이 진행되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입자크기가 작은 토사와 일정크기를 갖는 골재형태의 폐기물을 분리 선별하도록 하는 종래의 건축폐기물 선별장치는, 실질적인 선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다단으로 걸름망을 설치한 채 일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되는 진동스크린 본체의 상면에 어떠한 진행억지구도 설치되지 않은 평면형태로 되어 있음으로 인해 선별을 위해 투입되는 건축폐기물들이 진동스크린 본체의 진동작동에 의해서만 하부로 흘러내리면서 골재 이송콘베어로 공급되게 되므로 건축폐기물의 상부에 포함된 토사가 진동걸름망에 의해 완벽하게 걸러지지 못한 채 골재와 함께 그대로 골재 이송콘베어로 공급되게 되어 건축폐기물을 이루는 골재와 토사에 대한 분리 선별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건축폐기물의 토사 선별장치(A)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01996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 도시한 바와같이, 진동스크린 본체(1)와 토사 공급슈트(2)로 이루어진다.
상기 진동스크린 본체(1)는, 걸름공(11a)을 갖으면서 하단에 배출구(11b)를 갖는 스크린망(11)에 금속 띠형태인 다수의 진행억지구(11c)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망의 하부에 다단의 다른 스크린망이 설치되어 그 단부의 배출구(12b)(13b)와 연결되며, 스크린을 통과한 원료를 배출하도록 이송컨베이어(3)가 설치된다.
더하여, 상기 진동스크린 본체(1)는, 진동수단(14)및 스프링(15)에 의해 자체 진동 가능한 상태로 프레임(4)에 일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되며, 저부에 배출공(22)을 갖는 토사공급슈트(2)가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토사 선별장치는, 동일한 규격의 메쉬를 갖는 스키린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되면서 진동토록 되어 스크린에 골재와 혼합되는 토사가 스크린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점차로 부착되어 스크린을 막게 되어 선별효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또한, 진행억지구(11c)가 위치하는 스크린에 토사가 집중되어 역류현상이 발생됨으로써 선별효율을 저하시킴은 물론 원활한 배출이 힘들게 되고, 작업상의 번거로움과 함께 토사 선별작업의 처리속도가 늦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으로 부터 얻고자 하는 입자의 크기별 분리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분리되지 않고 되돌아 가는 입자의 량을 최소화 하여 시간당 생산량을 극대화 하도록 하며, 스크린의 탈부착이 용이함은 물론 부분파손시 스크린 전체를 교환하여야 하는 불합리성을 제거하도록 하고, 동일량의 스크린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동력소모및 기타 제반비용을 줄일수 있도록 하며, 스크린의 수리및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 지도록 하고, 미분의 발생을 최소화 시키도록 하는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용 스크린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종래의 선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장치용 스크린의 분해도 이다.
도4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선별장치용 스크린을 도시한 측면도 이다.
도5a,b,c는 각각 스크린망과 스크린본체 지지용 위치가변수단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프레임 150...탄성부재
180...진동수단 200...진동스크린본체
220,240...격자프레임 350...스크린망
400...노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어 진동수단과 스프링을 통하여 진동되는 스크린본체의 내측에 소정의 입경을 갖는 스크린망이 내장되며, 상기 스크린망을 통하여 선별되는 일정입도의 모래및 골재등을 선별배출하도록 이송컨베이어가 연결 설치되는 스크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본체의 내측에 설치되는 소정의 단차를 갖는 복수의 스크린망이 다단으로 분할 설치되고, 상기 스크린망은 본체의 상부에 위치가변수단을 통하여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용 스크린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다수의 프레임(100) 상부에 진동스크린본체(200)가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0)과 진동스크린본체(200)의 연결부가 복수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150)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진동스크린본체(200)의 내측에 구동모터(160)로서 진동하는 진동수단(180)이 구비된다.
더하여, 상기 진동스크린본체(200)의 내측에는 다수의 가로바(220a)와 세로바(220b)로 이루어진 개체의 제1격자프레임(220)이 다단으로 각각 설치되고, 상부에 다수의 노즐(40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격자프레임(220)의 하단부와 진동스크린본체(200)의 상단이 이루는 높이는 각각 동일하면서 연결되는 개개의 격자프레임은 소정의 단차부를 갖도록 일체로 연결된다.
더하여, 상기 제1격자프레임(220)은, 각각이 진동스크린본체(200)의 상단부와 평행을 이루면서 개개의 격자프레임 사이는 소정의 단차부를 갖도록 일체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격자프레임(220)의 하측에 제2격자프레임(240)이 더 설치된다.
계속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진동스크린본체(200)의 저면에 호퍼가 더 연결 설치되고, 상기 호퍼에서 배출되는 원료및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하는 원료를 배출토록 이송컨베이어가 더 연결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격자프레임(220)의 상부에는 위치가변수단(300)을 통하여 격자홀(350a)을 갖는 스크린망(350)이 각각 연결된다.
이때, 개체의 스크린망(350)은, 각각 상이한 입경을 갖는 격자홀(350a)이 구비되어도 좋으며, 동일한 규격의 격자홀(350a)이 형성되어도 좋다.
더하여, 상기 제1격자프레임(220)의 양측면에 지지판(220a)이 각각 연결된다.
또한, 상기 위치가변수단(300)은, 상기 제1격자프레임(220)과 스크린망(350)에 각각 볼트결합토록 고정보스가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는 우레탄 또는 고무재로 이루어진 댐퍼(300a)로 이루어진다.
더하여, 상기 위치가변수단(300)은, 상기 제1격자프레임(220)과 스크린망(350)에 상하단이 격자프레임과 스크린망에 억지끼움등에 의해 각각 연결되는 코일스프링(300b)으로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 위치가변수단(300)은, 상기 제1격자프레임(220)과 스크린망(350)에 각각 연결되는 고정바(300c)로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바는 그 상부에 댐퍼가 밀착되는 연결편이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5에 도시한 바와같이,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프레임(100) 상부에는 진동스크린본체(200)이 수평방향에서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연결되어 파쇄되는 원료의 상측에 투입될때 스크린을 통하여 선별된후 용이하게 배출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100)의 상단에 연결되는 진동스크린본체(200)는 구동모터(160)의 동작시 회전되는 통상의 진동수단(180)에 의해 진동하게 되고, 상기 프레임(100)과 진동스크린본체(200)에 연결되는 복수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탄성부재(150)를 통하여 다방향의 복합적인 진동이 가능토록 된다.
더하여, 상기 진동스크린본체(200)의 내측에는 각각의 스크린망(350)을 지지토록 다수의 가로바(220a)와 세로바(220b)로 이루어진 개체의 제1격자프레임(220)이 다단으로 설치되어 각각에 스크린망(350)의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격자프레임(220)은 진동스크린본체(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소정의 단차를 갖도록 연결되어 원료가 하측으로 진행하면서 선별될때 각각의 단차부에서 낙하되면서 뒤 섞어져 스크린을 통과할수 있는 원료입자가 하부에 위치토록 되어 큰원료입자의 상부에 위치하여 선별되지 못하는 적은 원료입자의 미 선별현상을 방지토록 한다.
이에의하여, 스크린망을 통과할수 있는 적은 입자가 스크린망을 통과하지 못하고 다시 되돌아가 재 파쇄됨으로써 미분이 발생되거나 파쇄기의 성능을 저하시켜 생산량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문제점을 최소화 시킨다.
이때, 상기 스크린망(350)이 장착될때 단차부를 형성하는 격자프레임(220)의연결상태는 진동스크린본체(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격자프레임의 상부에 연결되는 스크린망(350)의 하단부와 진동스크린본체(200)의 상단사이의 거리가 각각 동일하게 형성되면서 스크린망(350) 사이에는 소정의 단차를 이루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스크린망의 높이차를 최소화 하면서 선별되는 원료의 섞임이 용이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 제1격자프레임(220)은 그 상측에 장착되는 개개의 스크린망(350)이 소정의 단차를 이루면서 각각 진동스크린본체(200)의 상단과 평행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스크린망의 높이차를 최소화 하면서 선별되는 원료의 섞임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격자프레임(220)의 스크린망(350)을 통하여 선별되는 적은 원료입자는 상기 제1격자프레임(22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격자프레임(240) 상의 스크린망(미도시)에 의해 다시한번 적은입자와 더 적은입자로 선별되어 배출토록 된다.
이때, 상기 진동스크린본체(200)의 진동에 따라 각각 상이하게 진동하는 스크린망(350)은, 그 진행방향 양측에 지지판(350b)이 각각 설치되어 원료가 스크린망에서 선별되지 못하고 곧바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1격자프레임(220)과 스크린망(350)을 연결하면서 진동스크린본체(200)와 상이한 진동을 갖도록 설치되는 위치가변수단(300)은 우레탄및 고무재의 댐퍼(300a), 스프링(300b)및 고정바(300c)로 이루어져 스크린망의 진동을 흡수함은 물론 진동스크린본체와 상이한 3차원의 진동을 갖도록 한다.
이때, 상기 댐퍼(300a)는 도5a에서와 같이 몸체의 상하단에 돌출되는 고정보스를 통하여 스크린망과 격자프레임에 각각 연결되고, 도5b와 같은 스프링(330b)은 스크린망과 격자프레임에 각각 형성되는 고정홈에 억지 끼움 결합되며, 도5c와 같은 고정바(300c)는, 하단에 격자프레임에 볼트결합되면서 상단의 탄성부재의 댐퍼가 밀착되는 연결편은 스크린망의 홈에 지지될때 스크린망이 댐퍼를 압축하면서 자유롭게 진동하도록 된다.
또한, 상기 진동스크린본체(200)의 상부에는 다수의 노즐(400)이 더 구비되어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비산먼지의 발생을 최소화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진동스크린본체(200)가 진동할때 소정의 단차를 갖도록 설치되는 격자프레임(220)에 의해 스크린망을 따라 이동하는 원료입자가 용이하게 뒤섞이게 되어 선별효율을 높이게 되고, 진동스크린본체(200)와 분리되는 스크린망(350)이 위치가변수단(300)을 통하여 연결되어 별도의 3차원 진동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 수리및 교환시 용이하게 분리및 결합할수 있어 작업성을 현저히 높일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드린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품으로 부터 얻고자 하는 입자의 크기별 분리능력을 향상시키고, 분리되지 않고 되돌아 가는 입자의 량을 최소화 하여 시간당 생산량을 극대화 하며, 스크린의 탈부착이 용이함은 물론 부분파손시 스크린 전체를 교환하여야 하는 불합리성을 제거하고, 동일량의 스크린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동력소모및 기타 제반비용을 줄이며, 스크린의 수리및 설치가 용이하고, 미분의 발생을 최소화 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 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 두고자 한다.

Claims (8)

  1. 프레임의 상부에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연결되면서 진동수단과 스프링을 통하여 진동되도록 설치되는 스크린본체의 내측면 상하부에 다수의 관통공을 갖는 스크린망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스크린망을 통하여 선별되는 일정입도의 모래및 골재등을 선별배출하도록 이송컨베이어가 연결 설치되는 스크린장치에 있어서,
    상기 진동스크린본체(200)의 내측에는 다수의 가로바(220a)와 세로바(220b)로 이루어진 개체의 제1격자프레임(220)이 소정의 단차부를 형성하면서 다단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격자프레임(220)에 위치가변수단(300)을 통하여 격자홀(350a)을 갖는 스크린망(350)이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용 스크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격자프레임(220)은, 개개의 격자프레임 하단부와 진동스크린본체(200)의 상단이 이루는 높이는 각각 동일하면서 각각 소정의 단차부를 갖도록 경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용 스크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격자프레임(220)은, 개개의 격자프레임이 진동스크린본체(200)의 상단과 평행을 이루면서 각각 소정의 단차부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용 스크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망(350)은, 그 양측면에 지지판(350b)이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용 스크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가변수단(300)은, 상기 제1격자프레임(220)과 스크린망(350)에 각각 연결되도록 상하단에 고정보스가 돌출되는 댐퍼(300a)로서 이루어져 스크린망이 진동스크린본체(200)와 상이한 3차원 진동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용 스크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가변수단(300)은, 상기 제1격자프레임(220)과 스크린망(350)에 각각 억지끼움 되는 스프링(300b)으로 이루어져 스크린망이 진동스크린본체(200)와 상이한 3차원 진동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용 스크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가변수단(300)은, 상기 제1격자프레임(220)에 볼트연결되며 스크린망(350)에 댐퍼를 갖은 연결편을 통하여 각각 연결되는 고정바(300c)로서 이루어져 스크린망이 진동스크린본체(200)와 상이한 3차원 진동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용 스크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스크린본체(200)은, 그 상부에 노즐(400)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용 스크린.
KR1020040063643A 2004-08-12 2004-08-12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용 스크린 KR100468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643A KR100468630B1 (ko) 2004-08-12 2004-08-12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용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3643A KR100468630B1 (ko) 2004-08-12 2004-08-12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용 스크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8630B1 true KR100468630B1 (ko) 2005-01-31

Family

ID=37224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3643A KR100468630B1 (ko) 2004-08-12 2004-08-12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용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8630B1 (ko)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766B1 (ko) 2005-06-16 2007-03-13 김덕기 이동식 파워 스크린 장치
KR100698024B1 (ko) 2006-05-30 2007-03-23 김이업 진동과 상하완충 수단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분급 이송 방법
KR100709488B1 (ko) * 2005-04-22 2007-04-20 용원기계공업(주) 진동 스크린
KR100722574B1 (ko) * 2005-04-18 2007-05-30 황용장 진동스크린
KR100785277B1 (ko) 2007-04-16 2007-12-13 유선주 세골재의 단입도 선별 방법 및 그 장치
KR100850674B1 (ko) 2008-02-22 2008-08-11 미래환경 주식회사 계단형 진동 스크린과 분할형 임팰러를 이용한 순환 굵은골재 박리 장치
KR101243255B1 (ko) 2010-12-27 2013-03-13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광의 입도 선별용 사목 가변 장치
KR200468274Y1 (ko) 2010-10-15 2013-08-02 삼호환경기술 주식회사 다단 진동식 입도 선별기
KR101347879B1 (ko) 2013-08-27 2014-01-15 진기철 토사용 금속 선별장치
KR101355785B1 (ko) 2011-05-16 2014-01-27 조기현 부하 대응 각 변위 스크린보드를 갖는 도로 공사용 재활용 골재 생산을 위한 진동 스크린
KR101389491B1 (ko) 2013-08-16 2014-04-25 조선덕 폐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장치
CN106362944A (zh) * 2016-12-05 2017-02-01 安徽睿知信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矿山用多级筛选设备
US10744535B2 (en) 2016-11-02 2020-08-18 Lg Chem, Ltd. System for detecting, removing, transferring, and retrieving incompletely dried raw material
CN111842139A (zh) * 2020-07-27 2020-10-30 许婷婷 一种工业物料筛选除尘装置
KR102420717B1 (ko) * 2022-03-25 2022-07-19 주식회사 동일 알앤이 MgO계 폐내화물 재활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 방법
KR102526645B1 (ko) * 2022-02-04 2023-04-26 이중부 석발기용 싸라기선별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5405A (ja) * 1996-02-21 1997-09-02 Nisshin Denshi Kogyo Kk 食品の異物除去装置
JPH1043689A (ja) * 1996-05-28 1998-02-17 Komaki Kogyo Kk 振動篩装置
JP2001129481A (ja) * 1999-11-08 2001-05-15 Sanshin Kogyo Kk 振動篩機及び振動篩設備
KR200301996Y1 (ko) * 2002-09-28 2003-01-24 유한회사 개암환경 건축폐기물의 토사 선별장치
KR200324087Y1 (ko) * 2003-05-14 2003-08-21 (유)남해환경 건축폐기물의 재생골재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5405A (ja) * 1996-02-21 1997-09-02 Nisshin Denshi Kogyo Kk 食品の異物除去装置
JPH1043689A (ja) * 1996-05-28 1998-02-17 Komaki Kogyo Kk 振動篩装置
JP2001129481A (ja) * 1999-11-08 2001-05-15 Sanshin Kogyo Kk 振動篩機及び振動篩設備
KR200301996Y1 (ko) * 2002-09-28 2003-01-24 유한회사 개암환경 건축폐기물의 토사 선별장치
KR200324087Y1 (ko) * 2003-05-14 2003-08-21 (유)남해환경 건축폐기물의 재생골재 선별장치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574B1 (ko) * 2005-04-18 2007-05-30 황용장 진동스크린
KR100709488B1 (ko) * 2005-04-22 2007-04-20 용원기계공업(주) 진동 스크린
KR100694766B1 (ko) 2005-06-16 2007-03-13 김덕기 이동식 파워 스크린 장치
KR100698024B1 (ko) 2006-05-30 2007-03-23 김이업 진동과 상하완충 수단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분급 이송 방법
KR100785277B1 (ko) 2007-04-16 2007-12-13 유선주 세골재의 단입도 선별 방법 및 그 장치
KR100850674B1 (ko) 2008-02-22 2008-08-11 미래환경 주식회사 계단형 진동 스크린과 분할형 임팰러를 이용한 순환 굵은골재 박리 장치
KR200468274Y1 (ko) 2010-10-15 2013-08-02 삼호환경기술 주식회사 다단 진동식 입도 선별기
KR101243255B1 (ko) 2010-12-27 2013-03-13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광의 입도 선별용 사목 가변 장치
KR101355785B1 (ko) 2011-05-16 2014-01-27 조기현 부하 대응 각 변위 스크린보드를 갖는 도로 공사용 재활용 골재 생산을 위한 진동 스크린
KR101389491B1 (ko) 2013-08-16 2014-04-25 조선덕 폐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장치
KR101347879B1 (ko) 2013-08-27 2014-01-15 진기철 토사용 금속 선별장치
WO2015030287A1 (ko) * 2013-08-27 2015-03-05 주식회사 제이엠에스네트웍스 토사용 금속 선별장치
US10744535B2 (en) 2016-11-02 2020-08-18 Lg Chem, Ltd. System for detecting, removing, transferring, and retrieving incompletely dried raw material
CN106362944A (zh) * 2016-12-05 2017-02-01 安徽睿知信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矿山用多级筛选设备
CN111842139A (zh) * 2020-07-27 2020-10-30 许婷婷 一种工业物料筛选除尘装置
KR102526645B1 (ko) * 2022-02-04 2023-04-26 이중부 석발기용 싸라기선별기
KR102420717B1 (ko) * 2022-03-25 2022-07-19 주식회사 동일 알앤이 MgO계 폐내화물 재활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8630B1 (ko)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용 스크린
US6889846B2 (en) Hybrid screen
KR101782330B1 (ko) 합성진동 기능을 갖는 폐토사 선별용 스크린
JP6365262B2 (ja) 砕砂製造装置および砕砂製造装置の運転方法
KR100541073B1 (ko) 골재 선별용 스크린 장치
JP2012206015A (ja) 破砕機
KR101786946B1 (ko) 건설오니의 파쇄 및 마쇄 스크린 장치
CN210753123U (zh) 一种机制砂破碎生产线
KR101872486B1 (ko) 다중 스크린망을 이용한 수직형 순환골재 생산장치
CN211070404U (zh) 一种带有预筛的移动式破碎站
CN107583854A (zh) 一种多级筛分装置
KR100804785B1 (ko) 건설폐기물을 입도 조절된 순환골재로 생산하는 방법과 장치 및 순환골재의 입도 균질화 장치
CN206483707U (zh) 高效钢球筛分机
KR200369964Y1 (ko) 복합진동을 이용한 파분쇄 및 선별장치용 스크린
CN112246407A (zh) 一种能够生产不同粒度磨料的装置
DE202010014959U1 (de) Baustoff-Recyclingsieb
CN209174086U (zh) 一种浮置式破碎单塔
CN115193691B (zh) 一种砂石加工骨料可调节筛分系统及使用方法
CN214717034U (zh) 一种水溶性肥料分级破碎机
KR20120042573A (ko) 병렬타입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CN113102246B (zh) 一种间断级配碎石筛分装置及其筛分方法
CN211217462U (zh) 一种振动筛分机
CN212468802U (zh) 混凝土骨料粒径筛选分离装置
CN209886156U (zh) 一种给料机多级预筛分系统
KR200344818Y1 (ko) 쇄석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