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901B1 - 다단 선별기 - Google Patents

다단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901B1
KR101181901B1 KR1020120034783A KR20120034783A KR101181901B1 KR 101181901 B1 KR101181901 B1 KR 101181901B1 KR 1020120034783 A KR1020120034783 A KR 1020120034783A KR 20120034783 A KR20120034783 A KR 20120034783A KR 101181901 B1 KR101181901 B1 KR 101181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coupled
coupling
protrusion
coupl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4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1901B9 (ko
Inventor
김용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07417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8190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Priority to KR1020120034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901B1/ko
Publication of KR101181901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901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이 용이하고, 좁은 공간에서도 선별 대상물을 크기에 따라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다단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하부 선별망들을 갖는 제1단 선별유닛; 상기 제1단 선별유닛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상부 선별망들을 갖는 제2단 선별유닛; 상기 제1단 선별유닛과 상기 제2단 선별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하단부는 이웃하는 두 개의 하부 선별망들과 결합되고, 상단부는 이웃하는 두 개의 상부 선별망들과 결합되는 중간 지지부재; 상기 복수 개의 하부 선별망들 중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 하부 선별망의 테두리와 결합되는 제1 측벽;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상부 선별망들 중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 상부 선별망의 테두리와 결합되는 제2 측벽을 포함하는 다단 선별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단 선별기{Multi-stage s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다단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립이 용이하고, 좁은 공간에서도 선별 대상물을 크기에 따라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다단 선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산에서 채취된 쇄석은 쇄석 선별기에 의하여 입자의 크기에 따라 분류된다. 상기 쇄석 선별기에는 상기 쇄석을 크기에 따라 분류하기 위하여 금속재질의 쇄석 선별망이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쇄석 선별망은 상기 쇄석과의 마찰로 인하여 쉽게 마모되어 수명이 짧아지고, 잦은 교체작업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상기 쇄석의 선별 작업중에 많은 소음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쇄석 선별망은 외력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진동하게 하게 되는데, 상기 진동에 의하여 상기 쇄석 선별망과 지지프레임을 결합시키는 볼트 조임력의 이완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쇄석 선별망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쇄석 선별망은 하나의 평면상에서 상기 쇄석에 대한 분류가 수행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의 쇄석을 효율적으로 분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상기 쇄석 선별망의 체결구조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5827(고안의 명칭: 쇄석선별기의 쇄석선별망 설치구조)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조립이 용이하고, 좁은 공간에서도 선별 대상물을 크기에 따라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다단 선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하부 선별망들을 갖는 제1단 선별유닛; 상기 제1단 선별유닛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상부 선별망들을 갖는 제2단 선별유닛; 상기 제1단 선별유닛과 상기 제2단 선별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하단부는 이웃하는 두 개의 하부 선별망들과 결합되고, 상단부는 이웃하는 두 개의 상부 선별망들과 결합되는 중간 지지부재; 상기 복수 개의 하부 선별망들 중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 하부 선별망의 테두리와 결합되는 제1 측벽;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상부 선별망들 중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 상부 선별망의 테두리와 결합되는 제2 측벽을 포함하는 다단 선별기를 제공한다.
상기 중간 지지부재는 지지부재 몸체와, 상기 지지부재 몸체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이웃하는 두 개의 상부 선별망들과 함께 결합되는 제1 상부 돌출부와, 상기 지지부재 몸체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이웃하는 두 개의 하부 선별망들과 동시에 결합되는 제1 하부 돌출부 및 제2 하부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부 선별망과 제2 하부 선별망이 이웃하여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하부 돌출부는 상기 제1 하부 선별망의 우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제2 상면 결합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2 하부 돌출부는 상기 제2 하부 선별망의 좌측 테두리에 형성되는 제1 상면 결합홈에 동시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측벽은 제2 측벽몸체와, 상기 제1 상부 선별망의 테두리에 형성된 제3 결합홈과 결합되는 제2 측면 돌출부와, 상기 제1 측벽의 상단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2 측벽몸체의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제3 하부돌출부 및 제4 하부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측벽은 제1 측벽몸체와, 상기 제1 측벽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결합부와, 상기 제1 측벽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결합부에는 상기 제3 하부돌출부 및 상기 제4 하부돌출부와 각각 결합되는 제5 결합홈 및 제6 결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단 선별기는 상기 제1단 선별유닛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 상에 고정되는 앵글부재와, 상기 앵글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재의 제2 상부 돌출부는 상기 이웃하는 두 개의 하부 선별망들의 하부와 한꺼번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은 일체로 성형가공되며, 상기 앵글부재, 상기 결합부재, 상기 복수 개의 하부 선별망들, 상기 중간 지지부재, 상기 복수 개의 상부 선별망들,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은 형상맞춤을 통한 끼움결합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선별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제1단 선별유닛과 제2단 선별유닛을 상하로 배치하고, 중간 지지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1단 선별유닛과 상기 제2단 선별유닛을 동시에 조립식으로 결합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선별 대상물을 크기에 따라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하나의 하부프레임 상에서 상기 제1단 선별유닛과 상기 제2단 선별유닛이 한꺼번에 지지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선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상기 제1단 선별유닛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하부 선별망들과, 상기 제2단 선별유닛을 구성하는 복수 개의 상부 선별망들이 서로 형상맞춤을 통하여 끼움결합됨과 동시에 측벽들과도 형상맞춤을 통하여 끼움 결합됨으로써 선별망들이 반복적인 진동하중에 대해서도 안정적인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선별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다단 선별기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1의 다단 선별기에 구비된 제2 하부선별망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1의 다단 선별기에 구비된 제2 하부선별망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1의 다단 선별기에 구비된 제2 상부선별망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b는 도 1의 다단 선별기에 구비된 제2 상부선별망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1의 다단 선별기에 구비된 중간지지부재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1의 다단 선별기에 구비된 중간지지부재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a은 도 1의 다단 선별기에 구비된 제1 측벽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6b은 도 1의 다단 선별기에 구비된 제1 측벽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a은 도 1의 다단 선별기에 구비된 제2 측벽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b은 도 1의 다단 선별기에 구비된 제2 측벽에 대한 단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선별기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다단 선별기는 쇄석을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선별 대상물을 크기에 따라 분류하는데 적용된다. 도 1 내지 도 7b을 참조하면, 상기 다단 선별기는 선별기 외벽(10), 상기 선별기 외벽(10)과 결합되는 지지프레임(20), 상기 지지프레임(20)과 결합되는 하부프레임(40), 상기 하부프레임(40)상에 고정되는 앵글부재, 상기 앵글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재(5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단 선별기는 상기 앵글부재와 결합되는 결합부재, 상기 결합부재와 결합되는 복수개의 하부 선별망들을 갖는 제1단 선별유닛(100), 상기 제1단 선별유닛(1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단 선별유닛(200), 상기 제1단 선별유닛(100)과 상기 제2단 선별유닛(200)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지지부재, 상기 제1단 선별유닛(100)의 좌우에 각각 구비되는 제1 측벽(400) 및 제3 측벽(1400), 그리고 상기 제2단 선별유닛(200)의 좌우에 각각 구비되는 제2 측벽(500) 및 제4 측벽(1500)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선별망들 및 상기 상부 선별망들의 갯수는 다단 선별기의 폭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가능하고, 상기 앵글부재, 상기 중간지지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의 갯수는 상기 선별망들의 개수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하부 선별망들이 4개, 상기 상부 선별망들이 4개 구비되는 경우에 한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단 선별유닛(100)은 좌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 하부선별망(110), 상기 제1 하부선별망(110)을 기준으로 우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웃하여 결합되는 제2 하부선별망(120), 제3 하부선별망(130) 및 제4 하부선별망(14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단 선별유닛(200)은 좌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 상부선별망(210), 상기 제1 상부선별망(210)을 기준으로 우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웃하여 결합되는 제2 상부선별망(220), 제3 상부선별망(230) 및 제4 상부선별망(24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간지지부재는 상기 제1 하부선별망(110)과 상기 제2 하부선별망(120)에 결합되는 제1 중간지지부재(310)와, 상기 제1 중간지지부재(310)를 기준으로 우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일정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제2 중간지지부재(320) 및 제3 중간지지부재(3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앵글부재는 상기 제1 측벽(400)과 결합되는 제1 앵글부재(710), 상기 제1 앵글부재(710)를 기준으로 우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일정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제2 앵글부재(720), 제3 앵글부재(730), 제4 앵글부재(740) 및 제5 앵글부재(75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2 앵글부재(720)와 결합되는 제1 결합부재(610), 상기 제3 앵글부재(730)와 결합되는 제2 결합부재(620), 상기 제4 앵글부재(740)와 결합되는 제3 결합부재(63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상기 하부 선별망들은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제2 하부선별망(120)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나머지 하부 선별망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b을 참조하면, 상기 제2 하부선별망(120)은 프레임 코어(128)와 상기 프레임 코어(128)를 둘러싸면서 상기 제2 하부선별망(120)의 외형을 형성하는 코팅체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코어(128)는 금속으로 제작되며, 상기 코팅체는 폴리우레탄으로 제작된다. 상기 제2 하부선별망(120)에는 선별 대상물을 선별하기 위한 제1 선별공(121)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하부선별망(120)의 좌측 테두리에는 상기 제1 중간지지부재(310)의 하부와 결합되는 제1 상면 결합홈(122)과, 상기 제1 결합부재(610)의 상부와 결합되는 제1 하면 결합홈(1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상면 결합홈(122)은 제1 상부 경사면(122a)과, 상기 제1 상부 경사면(122a)의 끝단에 함몰 형성된 제1 상면 함몰부(12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상부 경사면(122a)은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며, 상기 제1 상면 함몰부(122b)와 연결되는 부위에서는 상기 제1 상면 함몰부(122b)의 내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1 중간지지부재(310)와 상기 제2 하부선별망(120)과의 결합이 용이하게 수행되면서도 상기 제2 하부선별망(120)이 상하방향으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하부선별망(120)의 우측 테두리에는 상기 제2 중간지지부재(320)의 하부와 결합되는 제2 상면 결합홈(123)과, 상기 제2 결합부재(620)의 상부와 결합되는 제2 하면 결합홈(125)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상면 결합홈(123)은 제2 상부 경사면(123a)과, 상기 제2 상부 경사면(123a)의 끝단에 함몰 형성된 제2 상면 함몰부(123b)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상면 결합홈(123)도 상기 제1 상면 결합홈(122)과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2 하부선별망(120)의 하단에는 상기 제1 결합부재(610) 및 상기 제2 결합부재(620)와의 원활한 결합을 위한 제1 하부 경사면(126)와 제2 하부 경사면(12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하부선별망(120)은 상기 제1 결합부재(610)와 상기 제2 결합부재(62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가압되면서 끼움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 하부 경사면(126) 및 상기 제2 하부 경사면(127)이 존재함으로 인하여 상기 제2 하부선별망(120)이 상기 제1 결합부재(610)와 상기 제2 결합부재(620) 사이에서 부드럽게 삽입되면서 결합된다.
상기 제1 선별공(121)의 형상은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바뀔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타원형의 형상을 가지지만, 원형 또는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선별공(121)의 단면적은 상기 제2 하부선별망(120)을 하부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점점 커지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선별공(121)의 크기는 상기 제2 하부선별망(12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상부선별망(220)의 제2 선별공(22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단 선별유닛(200)은 상기 제1단 선별유닛(10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며, 이웃하여 배치되면서 결합되는 복수 개의 상부 선별망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선별망들은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도 1, 도 2, 도 4a 및 4b를 참조하여, 상기 제2 상부선별망(220)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나머지 상부 선별망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 상부선별망(220)은 상기 제2 하부선별망(120)과 마찬가지로, 프레임 코어(228)와 상기 프레임 코어(228)를 둘러싸면서 상기 제2 상부 선별망(220)의 외형을 형성하는 코팅체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 코어(228)는 금속으로 제작되며, 상기 코팅체는 폴리우레탄으로 제작된다. 상기 제2 상부선별망(220)에는 선별 대상물을 선별하기 위한 제2 선별공(221)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상부선별망(220)의 좌측 테두리에는 상기 제1 중간지지부재(310)의 상부와 결합하기 위한 제3 결합홈(2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상부선별망(220)의 우측 테두리에는 상기 제2 중간지지부재(320)의 상부와 결합을 위한 제4 결합홈(2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상부선별망(220)의 하단에는 상기 제1 중간지지부재(310) 및 상기 제2 중간지지부재(320)와의 원활한 결합을 위한 제3 하부 경사면(224)과 제4 하부 경사면(225)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상부선별망(220)은 상기 제1 중간지지부재(310)와 상기 제2 중간지지부재(320)가 설치된 상태에서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가압되면서 끼움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3 하부 경사면(224) 및 상기 제4 하부 경사면(225)이 존재함으로 인하여 상기 제2 상부선별망(220)이 상기 제1 중간지지부재(310)와 상기 제2 중간지지부재(320) 사이에 부드럽게 삽입되면서 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선별공(221)의 형상도 용도에 따라 타원형, 원형 또는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중간지지부재는 상단에서는 이웃하는 두 개의 하부 선별망들과 결합되고, 하단에서는 이웃하는 두 개의 상부 선별망들과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중간지지부재들은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2 중간지지부재(320)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나머지 중간지지부재들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 중간지지부재(320)는 지지부재 몸체(323)와, 상기 지지부재 몸체(323)의 상부로 돌출되어 이웃하는 두 개의 상부 선별망들과 함께 결합되는 제1 상부돌출부(321)와, 상기 지지부재 몸체(323)의 하부로 돌출되어 이웃하는 두 개의 하부 선별망들과 동시에 결합되는 제1 하부돌출부(325) 및 제2 하부돌출부(327)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상부돌출부(321)는, 도 2의 B에서와 같이, 상기 제2 상부 선별망의 제4 결합홈(223)과 상기 제3 상부 선별망의 제3 결합홈(222)에 형상맞춤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상부돌출부(321)는 반구형상의 상부헤드(321a)와 상기 상부헤드(321a)를 지지하는 상부연장부(321b)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헤드(321a)는 상기 제2 상부선별망(220)과 상기 제3 상부선별망(230)이 상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 2의 D에서와 같이, 상기 제2 하부선별망(120)과 상기 제3 하부선별망(130)이 이웃하여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하부돌출부(325)는 상기 제2 하부선별망(120)의 우측 테두리에 형성된 제2 상면 결합홈(123)에 삽입되고, 상기 제2 하부돌출부(327)는 제3 하부 선별망의 제1 상면 결합홈(132)에 동시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제1 하부돌출부(325)는 구형상의 제1 하부헤드(325b)와 제1 하부 연장부(325a)를 가지며, 상기 제2 하부돌출부(327)는 구형상의 제2 하부헤드(327b)와 제2 하부 연장부(327a)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제1 하부 연장부(325a)는 하부로 갈수록 단면폭이 좁아지며, 상기 제1 하부헤드(325b)와 연결되는 부위에서는 상기 제1 하부헤드(325b)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하부헤드(325b)는 상기 제2 상면 함몰부(123b)에 끼움결합되어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이탈되지 않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하부돌출부(327)도 상기 제3 하부 선별망의 제1 상면 결합홈(132)과 끼움결합된다.
상기 결합부재들은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도 2를 참조하여, 제2 결합부재(620)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나머지 결합부재들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 결합부재(620)는 상기 제3 앵글부재(730)와 결합되는 결합헤드(625), 상기 결합헤드(625)와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3 앵글부재(730)와 상기 제2 하부선별망(120) 사이에 배치되는 날개부(623), 그리고, 상기 날개부(623)에서 연장형성되어 돌출되는 제2 상부돌출부(621)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헤드(625)는 하부는 상기 제3 앵글부재의 앵글홈(731)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결합헤드(625)의 하부는 쐐기형상으로 구비되어 상기 앵글홈(731)에 끼움결합되어 이탈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상부 돌출부(621)는 이웃하는 두 개의 하부 선별망들의 하부, 예를 들면, 상기 제2 하부 선별망의 제2 하면 결합홈(125) 및 상기 제3 하부 선별망의 제1 하면 결합홈(134)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제1 측벽(400)은 상기 복수 개의 하부 선별망들 중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 하부선별망(110)의 테두리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측벽(400)과 상기 제3 측벽(1400)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도 1,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제1 측벽(40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제1 측벽(400)은 제1 측벽몸체(410)와, 상기 제1 측벽몸체(4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결합부(420)와, 상기 제1 측벽몸체(41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결합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결합부(420)에는 함몰형성된 제5 결합홈(421) 및 제6 결합홈(423)이 형성된다. 상기 제5 결합홈(421)은 제5 경사면(421a)과, 상기 제5 경사면(421a)의 끝단에 함몰 형성된 제5 함몰부(42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5 경사면(421a)은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며, 상기 제5 함몰부(421b)와 연결되는 연결부위는 상기 제5 함몰부(421b)의 내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6 결합홈(423)은 제6 경사면(423a)과, 제6 함몰부(423b)를 포함하며, 상기 제5 결합홈(421)과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하부 결합부(430)에는 측벽 함몰부(431), 제1 측면돌출부(433), 측벽 날개부(435) 및 측벽 결합헤드(43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벽 결합헤드(437)는 제1 헤드날개(437a)와 제2 헤드날개(437b)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헤드날개(437a)와 상기 제2 헤드날개(437b) 사이에는 완충홈(437c)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측벽 결합헤드(437)는 전체적으로 쐐기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앵글부재(710)의 제1 앵글홈(711)에 삽입되어 끼움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헤드날개(437a)와 상기 제2 헤드날개(437b)가 상기 제1 앵글홈(711)에 삽입되는 동안에는 상기 완충홈(437c)의 방향으로 변형되었다가 삽입이 완료된 이후에는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면서 상기 측벽 결합헤드(437)가 상기 제1 앵글부재(7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측벽 날개부(435)는 상기 제1 앵글부재(710)의 상면과 상기 제1 하부선별망(110)의 하면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측벽 함몰부(431)에는 상기 제1 하부선별망(110)의 좌측 테두리의 일부분이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1 측면돌출부(433)는 상기 제1 하부선별망(110)의 제1 하면 결합홈(114)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하부 선별망의 제1 상면 결합홈(112)에는 결합되는 구성이 없기 때문에 상기 제1 상면 결합홈이 없어도 무방하지만,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 상면 결합홈이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제1 하부선별망(110)이 상기 제1 측벽(400)과 결합된다.
왜냐하면. 동일한 제품의 대량 생산을 위하여 하부 선별망들이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제2 측벽(500)은 상기 복수 개의 상부 선별망들 중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 상부선별망(210)의 테두리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측벽(500)과 상기 제4 측벽(1500)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도 2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제2 측벽(50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제2 측벽(500)은 제2 측벽몸체(510)와, 상기 제2 측벽몸체(510)에서 연장되는 상단 테두리(520)와, 상기 제2 측벽몸체(5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하부결합부(530)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하부결합부(530)에는 상기 제1 상부선별망(210)의 제3 결합홈(212)과 결합되는 제2 측면돌출부(531)와, 상기 제1 측벽(400)의 상단부와 결합되도록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제3 하부돌출부(533) 및 제4 하부돌출부(535)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하부돌출부(533)는 구형상의 제3 하부헤드(533b)와 제3 하부 연장부(533a)를 가지며, 상기 제4 하부돌출부(535)는 구형상의 제4 하부헤드(535b)와 제4 하부 연장부(535a)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제3 하부 연장부(533a)는 하부로 갈수록 단면폭이 좁아지며, 상기 제3 하부헤드(533b)와 연결되는 부위에서는 상기 제3 하부헤드(533b)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3 하부헤드(533b)는 상기 제1 측벽(400)의 상기 제5 함몰부(421b)에 끼움결합되어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이탈되지 않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 하부돌출부(535)도 상기 제1 측벽의 제6 결합홈(423)과 끼움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 측면돌출부(531)는 상기 제1 상부선별망의 제3 결합홈(212)에 결합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측벽(400)과 상기 제2 측벽(500)은 일체로 성형가공되고, 상기 제3 측벽(1400)과 상기 제4 측벽(1500)도 일체로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 상기 복수 개의 하부 선별망들, 상기 중간 지지부재, 상기 복수 개의 상부 선별망들, 상기 제1 측벽(400), 상기 제2 측벽(500), 상기 제3 측벽(1400) 및 상기 제4 측벽(1500)의 표면층은 모두 폴리우레탄 재질로 구비되어 서로 탄력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앵글부재, 상기 결합부재, 상기 측벽들, 상기 복수 개의 하부선별망들, 상기 복수 개의 상부 선별망들, 상기 중간지지부재들이 모두 형상맞춤을 x통하여 끼움결합됨으로써 다단 선별기의 조립작업이 편리하고 조립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도 7b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선별기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다단 선별기의 조립방법은 하부프레임(40)에 고정된 복수 개의 앵글부재들에 측벽의 일단 및 결합부재의 일단이 각각 삽입되어 끼움결합되는 단계; 상기 측벽, 상기 결합부재들 사이에 하부 선별망이 각각 끼움결합되어 제1단 선별유닛(100)이 형성되는 단계; 중간지지부재의 하단부가 이웃하는 두 개의 하부 선별망들에 동시에 끼움결합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측벽, 상기 중간지지부재들 사이에 상부 선별망들이 각각 끼움결합되어 제2단 선별유닛(200)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프레임(40)에는 앵글부재들이 고정설치된다. 물론, 상기 하부프레임(40)은 지지프레임(20)과 결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20)은 선별기 외벽(10)과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선별기 외벽(10)과 상기 지지프레임(20)은 별도의 볼트부재(30)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지지프레임(20)은 상기 하부프레임(40)과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프레임(40)은 상기 제1단 선별유닛(100)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2단 선별유닛(200)도 지지하게 된다.
즉, 하나의 횡단 지지프레임에 해당하는 상기 하부 프레임(40)으로 상기 제1단 선별유닛(100)과, 상기 제2단 선별유닛(200)을 한꺼번에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단 선별유닛(200)을 지지하기 위한 별도의 횡단 지지프레임이 필요 없게 됨으로써 선별기의 제작비용이 줄어들게 된다. 뿐만 아니라, 하나의 하부 프레임 상에 선별유닛들이 다단으로 배치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선별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제1 앵글부재(710)에 제1 측벽(400)이 결합되고, 제2 앵글부재(720)에 제1 결합부재(610)가 결합되고, 제3 앵글부재(730)에 제2 결합부재(620)가 결합되고, 제4 앵글부재(740)에 제3 결합부재(630)가 결합되고, 제5 앵글부재(750)에 제3 측벽(1400)이 끼움결합된다.
다음으로, 제1 하부선별망(110)이 상기 제1 측벽(400)과 상기 제1 결합부재(610) 사이에 끼움결합된다. 그리고, 제2 하부선별망(120)이 상기 제1 결합부재(610)와 상기 제2 결합부재(620) 사이에 끼움결합되고, 제3 하부선별망(130)이 상기 제2 결합부재(620)와 상기 제3 결합부재(630) 사이에 끼움결합되고, 제4 하부선별망(140)이 상기 제3 결합부재(630)와 상기 제3 측벽(1400) 사이에 끼움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중간지지부재(310)가 상기 1 하부선별망(110)과 상기 제2 하부선별망(120)에 동시에 결합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중간지지부재(320)가 상기 제2 하부선별망(120)과 상기 제3 하부선별망(130)에 한번에 결합되고, 상기 제3 중간지지부재(330)는 상기 제3 하부선별망(130)과 상기 제4 하부선별망(140)에 한번에 끼움 결합된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중간 지지부재의 제1 하부돌출부(325)는 상기 제2 하부 선별망의 제2 상면 결합홈(123)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중간지지부재의 제2 하부돌출부(327)는 상기 제3 하부선별망의 제1 상면 결합홈(132)에 동시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 측벽(500)은 상기 제1 측벽(400)의 상부에서 상기 제1 측벽(400)과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4 측벽(1500)은 상기 제3 측벽(1400)의 상부에서 상기 제3 측벽(1400)과 끼움결합된다. 물론, 상기 제1 측벽(400) 및 상기 제2 측벽(500)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3 측벽(1400) 및 제4 측벽(1500)도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상부선별망(210)이 상기 제2 측벽(500)과 상기 제1 중간지지부재(310) 사이에 끼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상부선별망(220)이 상기 제1 중간지지부재(310)와 상기 제2 중간지지부재(320) 사이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제3 상부선별망(230)이 상기 제2 중간지지부재(320)와 상기 제3 중간지지부재(330) 사이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4 상부 선별망이 상기 제3 중간지지부재(330)와 상기 제4 측벽(1500) 사이에 끼움결합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앵글부재, 상기 결합부재, 상기 복수 개의 하부 선별망들, 상기 중간 지지부재, 상기 복수 개의 상부 선별망들, 상기 제1 측벽(400), 상기 제2 측벽(500), 제3 측벽(1400) 및 제4 측벽(1500)은 형상맞춤을 통하여 끼움 결합됨으로써 다단 선별기의 조립이 용이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선별기 외벽 40: 하부프레임
100: 제1단 선별유닛 110: 제1 하부선별망
120: 제2 하부선별망 200: 제2단 선별유닛
210: 제1 상부선별망 220: 제2 상부선별망
310: 제1 중간지지부재 320: 제2 중간지지부재
400: 제1 측벽 500: 제2 측벽
610: 제1 결합부재 620: 제2 결합부재
710: 제1 앵글부재 720: 제2 앵글부재

Claims (8)

  1. 선별기 외벽과 결합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과 결합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하부프레임 상면에 고정되는 앵글부재;
    상기 앵글부재의 측면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앵글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재;
    상기 앵글부재의 앵글홈에 끼움결합되는 결합헤드와, 상기 결합헤드에서 연장형성되며 상기 앵글부재의 상면에 배치되는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에서 연장형성되어 돌출되는 제2 상부돌출부를 갖는 결합부재;
    상기 제2 상부돌출부에 함께 결합되면서 서로 이웃하는 두 개의 하부선별망들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하부 선별망들을 갖는 제1단 선별유닛;
    상기 제1단 선별유닛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상부 선별망들을 갖는 제2단 선별유닛;
    상기 제1단 선별유닛과 상기 제2단 선별유닛 사이에 배치되며, 하단부는 상기 이웃하는 두 개의 하부선별망들과 결합되고, 상단부는 이웃하는 두 개의 상부 선별망들과 결합되는 중간 지지부재;
    상기 복수 개의 하부 선별망들 중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 하부 선별망의 테두리와 결합되는 제1 측벽;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상부 선별망들 중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 상부 선별망의 테두리와 결합되는 제2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지지부재는 지지부재 몸체와, 상기 지지부재 몸체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이웃하는 두 개의 상부 선별망들과 함께 결합되는 제1 상부 돌출부와, 상기 지지부재 몸체의 하부로 돌출되어 상기 이웃하는 두 개의 하부 선별망들과 동시에 결합되는 제1 하부 돌출부 및 제2 하부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웃하는 두 개의 하부선별망 중 제2 하부선별망의 우측 테두리에는 제2 상면결합홈과 제2 하면결합홈이 형성되고, 제3 하부선멸망의 좌측 테두리에는 제1 상면결합홈과 제1 하면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상면결합홈은 상기 제1 하부돌출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2 하면결합홈은 상기 제2 상부돌출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1 상면결합홈은 상기 제2 하부돌출부와 결합되며, 상기 제1 하면결합홈은 상기 제2 상부돌출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1 하부돌출부는 하부로 갈수록 단면폭이 좁아지는 제1 하부연장부와, 상기 제1 하부연장부에서 연장되는 구형상의 제1 하부헤드를 가지고, 상기 제1 하부연장부 중 상기 제1 하부헤드와 연결되는 부위에서 상기 제1 하부연장부의 단면폭은 상기 제1 하부헤드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제2 상면결합홈은 하부로 갈수록 단면폭이 좁아지는 제2 상부경사면과, 상기 제2 상부경사면의 끝단에 함몰형성된 제2 상면함몰부를 가지고, 상기 제2 상부경사면 중 상기 제2 상면함몰부와 연결되는 부위에서 상기 제2 상부경사면의 단면폭은 상기 제2 상면함몰부의 내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1 하부헤드는 상기 제2 상면함몰부와 형상맞춤되고, 상기 제1 하부연장부는 상기 제2 상부경사면과 형상맞춤되어 결합되며,
    상기 제2 하부선별망의 우측 테두리부 하면에는 상기 제2 하부선별망과 상기 결합부재의 원활한 결합을 위한 제2 하부경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3 하부선별망의 좌측 테두리부 하면에는 상기 제3 하부선별망과 상기 결합부재의 원활한 결합을 위한 제1 하부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하부선별망들 각각은 금속으로 제작되는 프레임코어와, 상기 프레임코어를 둘러싸면서 외형을 형성하는 폴리우레탄 재질의 코팅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선별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측벽은 제2 측벽몸체와, 상기 제1 상부 선별망의 테두리에 형성된 제3 결합홈과 결합되는 제2 측면 돌출부와, 상기 제1 측벽의 상단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제2 측벽몸체의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제3 하부돌출부 및 제4 하부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선별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벽은 제1 측벽몸체와, 상기 제1 측벽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결합부와, 상기 제2 측벽몸체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결합부에는 상기 제3 하부돌출부 및 상기 제4 하부돌출부와 각각 결합되는 제5 결합홈 및 제6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선별기.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20034783A 2012-04-04 2012-04-04 다단 선별기 KR101181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783A KR101181901B1 (ko) 2012-04-04 2012-04-04 다단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4783A KR101181901B1 (ko) 2012-04-04 2012-04-04 다단 선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1901B1 true KR101181901B1 (ko) 2012-09-11
KR101181901B9 KR101181901B9 (ko) 2022-08-19

Family

ID=47074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4783A KR101181901B1 (ko) 2012-04-04 2012-04-04 다단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9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988Y1 (ko) * 2019-04-11 2020-02-03 주식회사 라우텍 보수가 용이한 우레탄 쇄석 선별 장치
KR200491449Y1 (ko) * 2019-08-22 2020-05-15 서석호 보수가 용이한 2단 우레탄 쇄석 선별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827Y1 (ko) * 2002-11-14 2003-03-03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쇄석선별기의 쇄석선별망 설치구조
KR200344818Y1 (ko) * 2003-12-09 2004-03-10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쇄석 선별장치
KR200354046Y1 (ko) * 2004-03-25 2004-06-29 송인란 광석 선별 장치의 스크린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827Y1 (ko) * 2002-11-14 2003-03-03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쇄석선별기의 쇄석선별망 설치구조
KR200344818Y1 (ko) * 2003-12-09 2004-03-10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쇄석 선별장치
KR200354046Y1 (ko) * 2004-03-25 2004-06-29 송인란 광석 선별 장치의 스크린 고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988Y1 (ko) * 2019-04-11 2020-02-03 주식회사 라우텍 보수가 용이한 우레탄 쇄석 선별 장치
KR200491449Y1 (ko) * 2019-08-22 2020-05-15 서석호 보수가 용이한 2단 우레탄 쇄석 선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1901B9 (ko) 2022-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52993B2 (en) Injection molded screening apparatuses and methods
US8256623B2 (en) Vibrating screen panel
KR101256897B1 (ko) 골재 선별용 러버 스크린 모듈 제조방법
KR101181901B1 (ko) 다단 선별기
CN103658058A (zh) 一种色选机下料振动筛
KR200462438Y1 (ko) 다단 쇄석 선별장치
US9308555B2 (en) Screen panel
JP2004532119A (ja) 振動式フィーダのバースクリーンモジュール
US9421577B2 (en) Screen panels
CN104907250A (zh) 基于宝石分拣的直线振动筛
KR200465249Y1 (ko) 쇄석 선별장치
CN103203322B (zh) 具有带孔的陶瓷部件的筛子中膜元件
KR20140142042A (ko) 판형 스크린망
KR101629237B1 (ko) 개선된 개구를 가지는 스크린 패널
US20120118796A1 (en) Screening panel
KR101232452B1 (ko) 체용 마스크
EP2691185B1 (en) Sieve carrier frame
KR20080092027A (ko)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
KR101342617B1 (ko) 슬래그 볼의 2열 병렬화 진동선별장치
KR200491449Y1 (ko) 보수가 용이한 2단 우레탄 쇄석 선별 장치
KR200395460Y1 (ko) 선별장치용 선별판 구조
CN210058911U (zh) 用于免烧砖制造的回收矿渣粒径分级装置
EP2796211B1 (en) Screening media
KR102061124B1 (ko) 물배출과 골재 선별 기능을 향상시킨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CN206770340U (zh) 一种快速安装方管连接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8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0001589;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525

Effective date: 2022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