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5460Y1 - 선별장치용 선별판 구조 - Google Patents

선별장치용 선별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5460Y1
KR200395460Y1 KR20-2005-0016885U KR20050016885U KR200395460Y1 KR 200395460 Y1 KR200395460 Y1 KR 200395460Y1 KR 20050016885 U KR20050016885 U KR 20050016885U KR 200395460 Y1 KR200395460 Y1 KR 2003954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sand
network
repai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68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봉
Original Assignee
맑은환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맑은환경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맑은환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168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54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54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54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러 개의 모듈형 선별망을 모자이크 형태로 조립하여 사용수명을 연장하면서 수리점검이 용이하고, 파손부위만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교환하여 모래의 선별효율이 대폭적으로 증대하면서 경제적인 사용을 이루게 하는 선별판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모래선 구조는, 단위 선별망(10)의 상단에 가로와 세로로 배치되어 여러 개 형성되어 있는 격자선별공(20)으로 모래 및 골재를 유도하는 지지부(12a)(12b)(12c)(12d)와; 상기 단위 선별망(10)을 여러 개 조합하여 내장하는 지지틀(30)에 하나 이상의 체결공(32)이 형성되어 있는 선별판(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의하여, 부순 모래제조시설, 광산 및 건설폐기물에서 채취되는 재활용 모래 및 골재 등을 얻고자하는 입자의 선별작업이 용이하며 내마모성재질로 사용수명을 길게 하여 경제적인 사용을 이루게 하고, 선별망의 탈부착이 용이함과 동시에 부분파손시 일부분만을 간단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어 보수비용이 저렴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선별장치용 선별판 구조{Screen structure for crushing of construction waste}
본 고안은 선별용 선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개의 모듈형 선별망을 모자이크 형태로 조립하여 사용수명을 연장하면서 수리점검이 용이하고, 파손 부위만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교환하여 모래의 선별효율이 대폭적으로 증대하면서 경제적인 사용을 이루게 하는 선별장치용 선별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선별용 철망은 선별효율이 가장 뛰어 나지만 세장형의 입형이 좋지 않은 입자가 많이 들어가며, 수명이 짧아 교체시기를 놓치면 제품에 과대 입자가 유입될 확률이 높고, 빈번한 교환으로 기회손실(인력, 생산성)이 발생한다.
또 다른 형태의 라바망은 비교적 수명이 오래가나 망 막힘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망지지부 파손에 의한 망 파손 및 공진을 유발하여 스크린 데크파이프(Deck Pipe)를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다.
우레탄 망은 수명이 길어 기회손실을 감소시키고 품질관리가 용이하며, 세장형의 입자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품질향상을 기할 수 있으나, 망 가격이 고가이다. 우레탄 망은 텐션형과 모듈라형이 있으며, 텐션형은 모듈라형에 비하여 개공율이 높아 분급 효과가 크나, 망 설치시 정밀함을 요하고 사용중 파손이 생기면 교환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비용이 많다. 모듈형은 비교적 작은 조각으로 되어 있는 망을 모자이크 형태로 조립한 것으로 수명이 길고 망 파손시 교환시간이 짧으며, 파손부위의 조각만은 교환할 수 있어 보수비용이 저렴하고 근간에는 점차 모듈라형으로 개선하는 추세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여러 개의 모듈형 선별망을 선별판에 모자이크 형태로 조립하여 선별망의 간편하고 용이한 설치를 이루게 하면서 선별작업이 용이하여 회수량을 증대하면서 선별망의 사용수명을 연장하고 수리 및 점검이 용이함과 동시에 파손부위만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교환하여 모래의 선별효율이 대폭적으로 증대하면서 경제적인 사용을 이루게 하는 선별용 스크린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프레임의 상부에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연결되면서 진동수단과 스프링을 통하여 설치되는 선별판의 내측 면 상하 부에 다수의 격자관통공을 갖는 선별망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선별망을 통하여 선별되는 스크린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위 선별망의 상단에 가로와 세로로 배치되어 여러 개 형성되어 있는 격자선별공으로 골재나 모래를 유도하는 지지부와; 상기 단위 선별망을 여러 개 조합하여 내장하는 지지틀에 하나 이상의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선별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상기 단위 선별망과 선별판은 우레탄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선별판의 내측 상하부에 단위 선별망을 여러 개 배치하여 일체성 있게 성형 되어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선별장치용 선별판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선별망를 저면사시도로 나타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선별망을 평면도로 나타내고, 도 3은 도 2의 C-C선을 단면도로 나타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선별판을 평면도로 나타내고, 도 5는 도 4의 A-A선를 단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선별판 구조는 단위 형태의 선별망(10), 선별망(10)을 여러 개 배치하는 선별판(40)으로 구성 된다.
선별망(10)은 우레탄재질로 성형 되어 있으며 상단부에는 가로와 세로로 지지부(12a)(12b)(12c)(12d)가 형성되어 여러 개 형성되어 있는 격자선별공(20)으로 모래를 유도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선별판(40)은 우레탄재질로 성형 되어 있으며 상기 단위 선별망(10)을 지지틀(30) 내부에 여러 개 조합하여 일체성 있게 성형 되고 있다. 또한, 선별판(40)의 지지틀(30)에는 하나 이상의 체결공(32)이 형성하여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도시를 생략한 스크린본체와 체결을 이루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선별장치용 모래선별판 구조는 단위부재형태로 성형 되는 선별망(10)에 다수개의 격자선별공(20)이 형성되어 있어서 격자선별공(20)의 크기에 따라 모래의 입자를 선별할 수 있다.
그리고 선별망(10)의 상부에서 격자선별공(20)의 중심부를 향해 십자 상의 지지부(12a)(12b)(12c)(12d)가 마련되어서 선별작업시 경사도를 유지하는 선별망(10)으로 휩쓸려 이동되더라도 지지부(12a)(12b)(12c)(12d)에서 이를 제어하여 각 영역별 격자선별공(20)으로 선별된 후 용이하게 하부로 배출시켜 선별작업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선별망(10)은 우레탄재질을 채택하고 있어서 내마모성을 향상시켜 수명을 연장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제작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선별망(10)은 지지틀(30)에 다수 개가 모자이크 형태로 조립하여 일체성 있게 성형제작하고 있다.
따라서, 선별망(10)은 동일한 우레탄재질로 된 지지틀(30)에 다수 개를 배치하여 스크린망을 형성할 수 있고, 지지틀(30)의 격자테두리에 여러 개 형성되어 있는 체결공(32)을 통하여 보울트와 같은 체결수단으로 선별기의 프레임에 간단하고 용이한 조립을 이루어 작업공수를 절감할 수 있고, 부분적으로 파손이나 수리점검시에도 일부분에 대한 간편하고 용이한 작업을 이룰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부순모래·골재시설, 건설폐기물 및 기타 광업시설에서 부순 모래·골재 및 재활용골재·모래등을 얻고자하는 입자의 선별작업이 용이하며 내마모성 재질로 사용수명을 길게하여 경제적인 사용을 이루게 하고, 선별망의 탈부착이 용이함과 동시에 부분파손시 일부분만을 간단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어 보수 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선별망의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선별망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C-C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선별판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선별망 12a,12b,12c,12d : 지지부
20 : 격자선별공 30 : 지지틀
32 : 체결공 40 : 선별판

Claims (2)

  1. 프레임의 상부에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연결되면서 진동수단과 스프링을 통하여 설치되는 선별판의 내측면 상하부에 다수의 격자관통공을 갖는 선별망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선별망을 통하여 선별되는 스크린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위 선별망(10)의 상단에 가로와 세로로 배치되어 여러 개 형성되어 있는 격자선별공(20)으로 모래를 유도하는 지지부(12a)(12b)(12c)(12d)와;
    상기 단위 선별망(10)을 여러 개 조합하여 내장하는 지지틀(30)에 하나 이상의 체결공(32)이 형성되어 있는 선별판(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장치용 선별판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선별망(10)과 선별판(40)은 우레탄재질로 이루어지고 선별판(40)의 내측 상하 부에 단위 선별망(10)을 여러 개 배치하여 일체성 있게 성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장치용 선별판 구조.
KR20-2005-0016885U 2005-06-13 2005-06-13 선별장치용 선별판 구조 KR2003954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885U KR200395460Y1 (ko) 2005-06-13 2005-06-13 선별장치용 선별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6885U KR200395460Y1 (ko) 2005-06-13 2005-06-13 선별장치용 선별판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5460Y1 true KR200395460Y1 (ko) 2005-09-14

Family

ID=43696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6885U KR200395460Y1 (ko) 2005-06-13 2005-06-13 선별장치용 선별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54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566B1 (ko) 2006-01-20 2006-08-25 김동환 입도별 모래선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566B1 (ko) 2006-01-20 2006-08-25 김동환 입도별 모래선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8630B1 (ko)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용 스크린
KR101786946B1 (ko) 건설오니의 파쇄 및 마쇄 스크린 장치
CN104907250A (zh) 基于宝石分拣的直线振动筛
KR200395460Y1 (ko) 선별장치용 선별판 구조
KR200220036Y1 (ko) 진동식 스크린
CN210701135U (zh) 一种高弹性防堵塞聚氨酯筛板和筛分机
KR101272468B1 (ko) 광석 선별용 스크린망
KR20060084085A (ko) 순환골재 선별장치용 스크린
KR20110010086U (ko) 골재 선별용 진동 스크린의 막힘 방지 타격 장치
CN110694897A (zh) 一种高弹性防堵塞聚氨酯筛板及其制作方法和筛分机
JP5976018B2 (ja) スクリーンパネル、およびスクリーンパネルが取り付けられているスクリーニングデッキ
KR100642149B1 (ko) 광석 선별용 스크린
KR200462438Y1 (ko) 다단 쇄석 선별장치
KR101342617B1 (ko) 슬래그 볼의 2열 병렬화 진동선별장치
KR100468458B1 (ko) 개량된 하단 스크린 매트를 갖는 원료 입도선별기
KR200218203Y1 (ko) 광석 선별 장치
CN210207199U (zh) 一种筛砂洗砂一体机
KR101554781B1 (ko) 입도 선별장치
KR101281363B1 (ko) 원료 처리 장치
KR200369964Y1 (ko) 복합진동을 이용한 파분쇄 및 선별장치용 스크린
KR200428844Y1 (ko) 쇄석선별장치의 구조
KR200403390Y1 (ko) 그리즈리스크린이 장착된 골재선별기
CN213967622U (zh) 一种振动筛回收金的装置
KR200441646Y1 (ko) 선별 스크린
KR100533943B1 (ko) 광석 선별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