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4566B1 - 입도별 모래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입도별 모래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4566B1
KR100614566B1 KR1020060006378A KR20060006378A KR100614566B1 KR 100614566 B1 KR100614566 B1 KR 100614566B1 KR 1020060006378 A KR1020060006378 A KR 1020060006378A KR 20060006378 A KR20060006378 A KR 20060006378A KR 100614566 B1 KR100614566 B1 KR 100614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screen
particle size
mixture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6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환
Original Assignee
김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환 filed Critical 김동환
Priority to KR1020060006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45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Landscapes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도별 모래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래와 잔토 등의 혼합물을 입도별로 분리하는 공정과, 분리된 혼합물을 탈수하여 모래와 잔토를 분리하는 과정을 하나의 장치에서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일측부에 투입구(101)로 공급된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을 분리시키기 위해 이동시키도록 펌프(42)가 연결된 사이클론(40);과, 모래와 잔토가 혼합된 혼합물을 모래와 잔토로 분리 배출시키도록 진동모터(34)가 연결된 스크린판(31)이 형성되는 탈수스크린(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래분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수스크린의 내부는, 상기 사이클론의 하부배출구 하측에 설치되어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에서 일정입도별로 분리하고 일정입도 외의 혼합물을 상단배출로(13)로 배출하는 상단스크린(10);과 상기 상단스크린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단스크린에서 분리된 각각의 입도별 혼합물에서 모래와 잔토를 세척 분리하여 모래는 입도별로 하단배출로(23)를 통해 배출되고 잔토는 하측으로 분리하는 하단스크린(2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에서 일정 입도별로 모래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도별 모래선별장치 {DEVICE FOR SEPARATING SAND BY GRAIN SIZE}
도 1은 종래의 입도별 모래선별장치의 구성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도별 모래선별장치의 구성상태를 나타내는 전면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도별 모래선별장치의 상하스크린의 구성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상단스크린 20. 하단스크린
30. 탈수스크린 40. 사이클론
50. 리사이클링박스
본 발명은 모래와 잔토 등의 혼합물에서 탈수과정을 거쳐 잔토를 분리 제거 하여 재생가능한 모래를 선별하는 동시에 모래를 입도별로 분리 배출할 수 있는 입도별 모래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래가 혼합된 혼합물을 모래와 잔토 및 물 등으로 선별 분리하는 입도별 모래선별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부에 투입구(102)로 공급된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을 분리시키기 위해 이동시키도록 펌프(42)가 연결된 측부공급구(41)가 형성되고, 하부에 하부배출구(44)가 위치되며, 상부에 잔토와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상부배출구(45)가 형성되어 분급몸체의 일측에 위치되는 사이클론(40);과, 모래와 잔토가 혼합된 혼합물을 모래와 잔토로 분리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배출구(44)의 하측이면서 스크린몸체(35)의 하부에 스크린판(31)이 형성되며, 스크린몸체(35)의 전후 양측에 진동스프링(32)이 형성되면서 스크린몸체(35)의 일측에 진동모터(34)가 형성되는 탈수스크린(30);과, 상기 상부배출구(45)와 연결되어 유입되는 잔토와 물을 침전조로 배출시키는 침전수배출구(51)가 일측에 형성되고, 잔토와 물의 일부가 공급되어 모래분급몸체(100)의 일정 수위를 유지하도록 플로팅밸브(53)가 장착된 침전수공급구(52)가 모래분급몸체(100)와 연결되는 리사이클링박스(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입도별 모래선별장치는 재생 가능한 모래와 잔토를 탈수하여 분리시킬 수는 있지만, 잔토와 분리된 모래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입도의 모래를 사용용도에 맞게 입도의 크기마다 별도로 다시 선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 모래와 잔토 등의 혼합물을 일정한 입도로 분리하는 공정과, 분리된 혼합물을 탈수하여 모래와 잔토를 분리하는 과정을 하나의 장치에서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입도별 모래선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혼합물을 일정한 입도로 분리하되 동시에 하나 이상의 여러 입도별로 분리할 수 있는 입도별 모래선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입도별 모래선별장치는, 일측부에 투입구(102)로 공급된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을 분리시키기 위해 이동시키도록 펌프(42)가 연결된 측부공급구(41)가 형성되고, 하부에 하부배출구(44)가 위치되며, 상부에 잔토와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상부배출구(45)가 형성되어 분급몸체의 일측에 위치되는 사이클론(40);와 모래와 잔토가 혼합된 혼합물을 모래와 잔토로 분리 배출시키도록 상기 하부배출구(44)의 하측이면서 스크린몸체(35)의 하부에 다수의 스크린판이 형성되며, 스크린몸체(35)의 전후 양측에 진동스프링(32)이 형성되면서 스크린몸체(35)의 일측에 진동모터(34)가 형성되는 탈수스크린(30);와 상기 상부배출구(45)와 연결되어 유입되는 잔토와 물을 침전조로 배출시키는 침전수배출구(51)가 일측에 형성되고, 잔토와 물의 일부가 공급되어 모래분급몸체(100)의 일정 수위를 유지하도록 플로팅밸브(53)가 장착된 침전수공급구(52)가 모래분급몸체(100)와 연결되는 리사이클링박스(5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모래가 혼합된 혼합물을 모래와 잔토로 선별하는 입도별 모래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수스크린의 내부는, 상 기 사이클론의 하부배출구 하측에 설치되어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에서 일정입도별로 분리하고 일정입도 외의 혼합물을 상단배출로(13)로 배출하는 상단스크린(10);과 상기 상단스크린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단스크린에서 분리된 각각의 입도별 혼합물에서 모래와 잔토를 세척 분리하여 모래는 입도별로 하단배출로(23)를 통해 배출되고 잔토는 하측으로 분리하는 하단스크린(2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에서 일정 입도별로 모래를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단스크린은 입도별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상단스크린판(11)와, 상기 상단스크린판 사이에 설치되는 상단분리벽(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도별 모래선별장치를 제공한다.
하단스크린은 모래와 잔토를 세척 분리하기 위한 일정한 동일입도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하단스크린판(21)과, 상기 하단스크린판 사이에 설치되는 하단분리벽(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도별 모래선별장치를 제공한다.
상단스크린판은 착탈 가능하여 분리하고자 하는 모래의 입도와 양에 따라 교체되고, 하단스크린판은 착탈 가능하여 분리하고자 하지 않는 입도의 위치에는 설치되지 않음으로써 하단스크린판이 설치되지 않은 부위로 낙하하는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은 사이클론으로 이동되어 재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도별 모래선별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도별 모래선별장치의 구성상태를 나타내는 전면상태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도별 모래선별장치는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을 선별하되 사이클론(40)을 통해 잔토와 모래를 분리하고 탈수스크린(30)을 통해 재생 가능한 모래를 입도별로 선별하며 모래를 선별하고 남은 잔여물을 재차 사이클론(40)으로 이동시켜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결과적으로 모래를 선별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입도별 모래선별장치는 모래분급몸체(100)의 일측 중간에 형성된 투입구(102)로 공급된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을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모래분급몸체(100)의 일측 측면부에 사이클론(40)이 형성된다.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을 투입시키기 위해 모래분급몸체(100)의 투입구(102)에 투입로(101)가 연결 형성된다.
사이클론(40)은 공급된 혼합물을 사이클론(40)의 내부로 이동시키도록 일측부에 펌프(42)와 연결된 측부공급구(41)가 형성되되, 측부공급구(41)는 측부공급관(43)에 의해 펌프(42)와 연결되고 상기 펌프(42)는 측부공급관(43)에 의해 모래분급몸체(100)의 하부에 연결 형성된다.
사이클론(40)은 하부에 하부배출구(44)가 위치되되 하부배출구(44)는 모래분급몸체(100)의 상부인 스크린판(11)(후술됨)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측부에 잔토와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상부배출구(45)가 형성되며, 사이클론(40)은 상하부배출구(44,45)를 통해 각각 잔토와 모래가 용이하게 분리 배출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부배출구(45)에는 상부배출관(46)이 연결되고, 모래분 급몸체(100)의 하부는 혼합물이 하부로 모이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모래분급몸체(100)의 상부 내측에는 사이클론(40)에 의해 잔토가 일부 분리되어 하부배출구(44)로 배출된 모래와 잔토가 혼합된 혼합물을 모래와 잔토로 분리할 수 있도록 탈수스크린(30)이 형성된다.
탈수스크린(30)은 스크린몸체(35)의 내부에 혼합물이 분리되도록 스크린판(11,21)이 형성되되 하부배출구(44)의 하측에 스크린판의 일단이 위치되며, 스크린몸체(35)의 스크린판이 진동되어 모래와 잔토가 분리되도록 스크린몸체(35)의 전후 양측에 진동연결구(33)가 형성되면서 진동연결구(33)와 모래분급몸체(100)의 일측에 진동스프링(32)이 형성되고, 스크린몸체(35)의 일측에 진동모터(34)가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도별 모래선별장치의 상하스크린의 구성상태를 나타낸다.
탈수스크린 내부는 상단스크린과 하단스크린이 설치되어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에서 일정입도별로 모래를 분리할 수 있다.
상단스크린(10)은 사이클론의 하부배출구 하측에 설치되어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에서 일정입도별로 분리하고 일정입도 외의 혼합물을 상단배출로(13)로 배출한다.
하단스크린(20)은 상단스크린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단스크린에서 분리된 각각의 입도별 혼합물에서 모래와 잔토를 세척 분리하여 모래는 입도별로 하단배출로(23)를 통해 배출되고 잔토는 하측으로 분리한다.
상단스크린은 입도별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상단스크린판(11)과, 상단스크린판 사이에 설치되는 상단분리벽(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단스크린판은 착탈 가능하여 분리하고자 하는 모래의 입도와 양에 따라 교체된다. 상단스크린판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단분리벽에 의해 4가지의 입도별로 형성될 수 있고, 각기 다른 입도에 따라 그 개수는 가변적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4개의 상단스크린판을 설치하고 일부 상단스크린판의 메쉬를 막아 상단스크린판의 개수보다 적은 가지수의 입도별 모래 선별도 가능하다. 상단스크린판의 일측(사이클론의 하부배출구의 반대측)의 스크린몸체가 일부 개방되고, 개방된 부위에 상단배출로의 일단이 연결되며, 상단배출로의 타단은 지면에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때 상단스크린판과 상단분리벽은 상단배출로가 설치된 상단스크린 내부에는 설치되지 않는다. 각기 다른 입도별 상단스크린판에서 걸러지지 않은 잔여분이 상단스크린판의 일측에 모여 상단배출로로 배출된다.
하단스크린은 모래와 잔토를 세척 분리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하단스크린판(21)과, 하단스크린판 사이에 설치되는 하단분리벽(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하단스크린판은 일정한 동일입도로 되어 상단스크린판으로부터 입도별로 분리된 모래와 잔토 등의 혼합물을 탈수하여 모래와 그 외 잔토 등으로 분리한다. 하단스크린판의 메쉬 크기는 재생가능한 모래는 낙하되지 않고 사용하기 어려운 잔토는 낙하될 정도의 크기이다.
하단분리벽은 상단분리벽과 동일 수직선상에 설치되어 상단스크린판에서 분리된 각기 다른 입도의 모래가 바로 아래의 하단스크린판으로 낙하한다. 하단스크 린판 일단부(사이클론의 하부배출구의 반대측)의 스크린몸체가 개방되고, 개방된 부위에 하단배출로가 설치된다. 하단분리벽은 상단분리벽과는 달리, 하단스크린의 길이방향에 전체적으로 설치되어 하단배출로까지 연결된다. 하단배출로는 하단분리벽과 연결되어 각각 별도로 지면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아울러 하단스크린판은 착탈 가능하여 분리하고자 하지 않는 입도의 하단스크린판은 설치되지 않음(개방상태)으로써 하단스크린판이 설치되지 않은 부위로 낙하하는, 분리하고자 하지 않는 입도의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은 모래분급몸체로 낙하된 후 사이클론으로 이동되어 재선별된다.
하단스크린판은 모래가 보다 용이하게 선별되어 배출되도록 상하단스크린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사이클론(40)의 일측이면서 모래분급몸체(100)의 일측에는 상부배출구(45)로 배출되는 잔토와 물이 일시적으로 모였다가 잔토와 물의 대부분이 침전조(도시 생략)로 배출된다. 잔토와 물의 일부는 모래분급몸체(100)의 내부로 재공급될 수 있도록 리사이클링박스(50)가 형성된다.
리사이클링박스(50)는 일측에 상부배출관(46)에 의해 상부배출구(45)와 연결되어 유입되는 잔토와 물을 침전조로 배출시키는 침전수배출구(51)가 형성된다. 리사이클링박스의 타측에는 잔토와 물의 일부가 공급되어 모래분급몸체(100)의 일정 수위를 유지하도록 플로팅밸브(53)가 장착된 침전수공급구(52)가 모래분급몸체(100)와 연결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입도별 모래선별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이 모래분급몸체(100)에 투입되어 사이클론으로 펌핑된다. 사이클론(40)을 통해 잔토와 모래를 분리한 후 다시 상하단스크린(10,20)을 통해 재생가능한 모래를 입도별로 선별한다. 모래를 선별하고 남은 잔토 등의 잔여물을 재차 사이클론(40)으로 이동시키는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결과적으로 모래를 입도별로 분리 선별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이 물과 함께 투입로(101)를 통해 이동되다가 모래분급몸체의 투입구로 투입된다.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혼합물은 모래분급몸체(100) 하부로 모이게 되고, 모래분급몸체(100)의 내부에 모여 섞인 혼합물은 펌프(42)에 의해 사이클론(40)의 측부공급구(41)로 공급된다.
측부공급구(41)로 공급되는 혼합물은 사이클론(40) 내부에서 공급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비중이 작은 잔토와 물은 상부배출구(45)로 배출되고, 비중이 큰 모래가 주를 이루는 혼합물은 하부배출구(44)로 배출된다.
하부배출구(44)로 배출되는 혼합물은 상단스크린판 위로 낙하되어 입도별로 모래를 선별하면서 잔토와 물을 모래분급몸체(100)로 낙하시킨다.
혼합물은 탈수스크린(30)의 상단스크린판(11)으로 낙하되어 진동되는 각각의 입도가 다른 상단스크린판에 의해 재생가능한 모래와 잔토 등의 혼합물을 선별한다. 각각의 상단스크린판의 메쉬 크기보다 작은 입도의 모래 등 혼합물은 해당 입 도크기를 갖는 메쉬의 상단스크린판 하부로 낙하된다. 각각의 상단스크린판의 메쉬 크기보다 큰 입도의 모래 등 혼합물은 해당 입도크기를 갖는 메쉬의 상단스크린판 상부를 따라 진동방향으로 이동되었다가 상단분리벽의 단부에서 모여 상단배출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단스크린판에서 하단스크린판으로 낙하된 각 해당 메쉬의 입도보다 작은 모래 등 혼합물은 물에 의해 탈수되면서 진동방향으로 이동된다. 모래 등 혼합물에서 씻긴 잔토(재생가능한 모래보다 작은 입도의 잔여물)는 물과 함께 하단스크린판 하측으로 낙하하여 모래분급몸체(100) 하부에 모여 다시 사이클론으로 펌핑되어 이동한다. 이때 하단스크린판의 메쉬 크기는 잔토보다 크고, 재생가능한 입도의 모래보다 작다. 재생가능한 입도의 모래는 탈수되면서 진동방향으로 이동하고, 하단분리벽을 따라 각각의 하단배출로를 통해 외부 배출된다.
상하단스크린판의 메쉬 크기의 수치적인 일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단스크린판의 메쉬 크기는 4 가지 입도별 상단스크린판을 설치한 경우 1, 2, 3, 4 mm 이고, 하단스크린판의 메쉬 크기는 0.5 mm 이다. 각각의 상단스크린판에서 해당 입도보다 작은 입도의 모래 등 혼합물은 바로 아래의 해당 하단스크린판으로 낙하한다. 각각의 상단스크린판에서 해당 입도보다 큰 입도의 모래 등 혼합물은 상단분리벽을 따라 진동방향으로 이동하고, 상단분리벽이 설치되지 않은 상단스크린에서 모였다가 상단배출로로 배출된다.
4가지 입도별 하단스크린판에 낙하된 모래 등 혼합물은 탈수과정을 거친다. 0.5 이하 입도의 잔토는 물에 씻기면서 하단스크린판 하측으로 낙하된다. 0.5 이상 해당 입도 이하의 모래는 진동방향으로 이동되다가 하단배출로로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된 재생가능한 모래는 각각 0.5-1, 0.5-2, 0.5-3, 0.5-4 mm의 입도별로 선별된다. 상기의 입도 크기는 일예로서 한정되지 않으며, 상하단스크린판이 교체됨에 따라 메쉬의 크기가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 다른 사용예로 상단스크린판의 메쉬 크기는 4 가지 입도별 상단스크린판을 설치한 경우 1, 2, 3, 4 mm 이고, 하단스크린판의 메쉬 크기는 0.5 mm 이다. 이번에는 0.5-2, 0.5-3 mm의 입도를 갖는 모래만 선별하고자 한다. 이 경우 1, 4 mm의 입도 크기에 해당하는 상단스크린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단스크린판을 제거하여 개방상태로 둔다.
각각의 상단스크린판에서 해당 입도보다 작은 입도의 모래 등 혼합물은 상단스크린판의 아래로 낙하한다. 각각의 상단스크린판에서 해당 입도보다 큰 입도의 모래 등 혼합물은 상단분리벽을 따라 진동방향으로 이동하고, 상단분리벽이 설치되지 않은 상단스크린에서 모였다가 상단배출로로 배출된다.
1, 4 mm의 입도크기에 해당하는 상단스크린판으로부터 낙하된 모래 등 혼합물은 바로 모래분급몸체 내부로 낙하한다. 2, 3 mm 입도의 해당 하단스크린판에 낙하된 모래 등 혼합물은 탈수과정을 거친다. 0.5 이하 입도의 잔토는 물에 씻기면서 하단스크린판 하측으로 낙하된다. 0.5 이상 해당 입도 이하의 모래는 진동방향으로 이동되다가 하단배출로로 배출된다. 이렇게 배출된 재생가능한 모래는 각각 0.5-2, 0.5-3 mm의 입도별로 선별된다.
1, 4 mm 입도크기의 해당 상단스크린판으로부터 낙하된 모래 등 혼합물과, 탈수되어 씻겨진 0.5 이하 입도의 잔토 및 물은 펌핑되어 사이클론으로 이동되어 재순환된다.
한편 사이클론의 상부배출구(45)로 배출되는 잔토와 물은 리사이클링박스(50)로 이동된다. 리사이클링박스(50)로 이동된 잔토와 물은 대부분 침전수배출구(51)를 통해 침전조로 이동되고, 잔토와 물의 일부는 펌프(42)에 의해 혼합물을 강제 이동시키는 매체로 사용되도록 침전수공급구(52)를 통해 모래분급몸체(100)에 다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침전수공급구(52)에는 플로팅밸브(53)가 장착되어 모래분급몸체(100)의 수위에 따라 침전수공급구(52)를 개폐하여 작동하게 되므로, 모래분급몸체(100)의 수위가 낮아 잔토가 혼합된 물이 부족해지면 플로팅밸브(53)가 침전수공급구(52)를 개방시키고 모래분급몸체(100)의 수위가 높아 잔토가 혼합된 물이 충분해지면 플로팅밸브(53)가 침전수공급구(52)를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입도별 모래선별장치는 모래와 잔토를 분리 선별하는 장치로서, 석산에서 채취된 골재에서 모래를 선별하는 데 사용할 수 있고, 그 외에 건설폐기물 중 재생골재를 선별하는 과정에 사용되는 등 모래를 분리 선별할 수 있는 경우라면 다른 어떤 경우에도 사용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상기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 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입도별 모래선별장치는 일정한 입도로 혼합물을 선별하기 위한 상단스크린과, 탈수를 통해 잔토를 제거하기 위한 하단스크린이 상하 이단으로 구성됨으로써, 상측에 모래와 잔토 등의 혼합물을 일정한 입도로 분리하는 공정과, 분리된 혼합물을 탈수하여 모래와 잔토를 분리하는 과정을 하나의 장치에서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상단스크린이 구간을 달리하여 하나 이상의 다양한 입도크기를 갖는 상단스크린판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혼합물을 일정한 입도로 분리하되 동시에 하나 이상의 여러 입도별로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일측부에 투입구(102)로 공급된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을 분리시키기 위해 이동시키도록 펌프(42)가 연결된 측부공급구(41)가 형성되고, 하부에 하부배출구(44)가 위치되며, 상부에 잔토와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상부배출구(45)가 형성되어 분급몸체의 일측에 위치되는 사이클론(40);
    모래와 잔토가 혼합된 혼합물을 모래와 잔토로 분리 배출시키도록 상기 하부배출구(44)의 하측이면서 스크린몸체(35)의 하부에 다수의 스크린판이 형성되며, 스크린몸체(35)의 전후 양측에 진동스프링(32)이 형성되면서 스크린몸체(35)의 일측에 진동모터(34)가 형성되는 탈수스크린(30); 및
    상기 상부배출구(45)와 연결되어 유입되는 잔토와 물을 침전조로 배출시키는 침전수배출구(51)가 일측에 형성되고, 잔토와 물의 일부가 공급되어 모래분급몸체(100)의 일정 수위를 유지하도록 플로팅밸브(53)가 장착된 침전수공급구(52)가 모래분급몸체(100)와 연결되는 리사이클링박스(5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모래가 혼합된 혼합물을 모래와 잔토로 선별하는 입도별 모래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수스크린의 내부는,
    상기 사이클론의 하부배출구 하측에 설치되어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에서 일정입도별로 분리하고 일정입도 외의 혼합물을 상단배출로(13)로 배출하는 상단스크린(10);과 상기 상단스크린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단스크린에서 분리된 각각의 입도별 혼합물에서 모래와 잔토를 세척 분리하여 모래는 입도별로 하단배출로(23)를 통해 배출되고 잔토는 하측으로 분리하는 하단스크린(2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에서 일정입도별로 모래를 분리할 수 있고,
    상기 상단스크린은 입도별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상단스크린판(11)와, 상기 상단스크린판 사이에 설치되는 상단분리벽(12)을 포함하며, 상기 하단스크린은 모래와 잔토를 세척 분리하기 위한 일정한 동일입도로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하단스크린판(21)과, 상기 하단스크린판 사이에 설치되는 하단분리벽(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도별 모래선별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단스크린판은 착탈 가능하여 분리하고자 하는 모래의 입도와 양에 따라 교체되고, 하단스크린판은 착탈 가능하여 분리하고자 하지 않는 입도의 위치에는 설치되지 않음으로써 하단스크린판이 설치되지 않은 부위로 낙하하는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은 사이클론으로 이동되어 재순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도별 모래선별장치.
KR1020060006378A 2006-01-20 2006-01-20 입도별 모래선별장치 KR100614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6378A KR100614566B1 (ko) 2006-01-20 2006-01-20 입도별 모래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06378A KR100614566B1 (ko) 2006-01-20 2006-01-20 입도별 모래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4566B1 true KR100614566B1 (ko) 2006-08-25

Family

ID=37601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6378A KR100614566B1 (ko) 2006-01-20 2006-01-20 입도별 모래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456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00628A (zh) * 2010-09-16 2011-04-06 陈利华 一种细砂回收装置
KR101443810B1 (ko) * 2013-10-01 2014-10-30 주식회사 원덕산업기계 모래 선별 및 탈수 장치
CN104923380A (zh) * 2015-06-26 2015-09-23 洛阳隆中重工机械有限公司 新型洗砂机
KR101902813B1 (ko) 2018-01-26 2018-10-01 (주)상원엔텍 세컨드이펙트(Second effect)형 스마트 골재 밀도선별장치
KR101907828B1 (ko) * 2018-05-09 2018-10-12 이재익 모래 채취 장치
CN111921690A (zh) * 2020-08-06 2020-11-13 浙江通惠矿山机械有限公司 一种水洗砂洗砂脱水分离一体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69576A2 (en) 1986-11-18 1988-06-01 Libra S.A. Equipment and method for the separate recovery of coarse aggregates, fine aggregates and residual water and cement from concrete mix
JPH08155396A (ja) * 1994-12-08 1996-06-18 Fusako Kaneoka 篩機の金網に付着する原料の防止装置
KR200205219Y1 (ko) 2000-07-05 2000-12-01 장재영 골재선별장치
KR200218203Y1 (ko) 2000-09-16 2001-03-15 송인란 광석 선별 장치
KR200395460Y1 (ko) 2005-06-13 2005-09-14 맑은환경산업 주식회사 선별장치용 선별판 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69576A2 (en) 1986-11-18 1988-06-01 Libra S.A. Equipment and method for the separate recovery of coarse aggregates, fine aggregates and residual water and cement from concrete mix
JPH08155396A (ja) * 1994-12-08 1996-06-18 Fusako Kaneoka 篩機の金網に付着する原料の防止装置
KR200205219Y1 (ko) 2000-07-05 2000-12-01 장재영 골재선별장치
KR200218203Y1 (ko) 2000-09-16 2001-03-15 송인란 광석 선별 장치
KR200395460Y1 (ko) 2005-06-13 2005-09-14 맑은환경산업 주식회사 선별장치용 선별판 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00628A (zh) * 2010-09-16 2011-04-06 陈利华 一种细砂回收装置
KR101443810B1 (ko) * 2013-10-01 2014-10-30 주식회사 원덕산업기계 모래 선별 및 탈수 장치
CN104923380A (zh) * 2015-06-26 2015-09-23 洛阳隆中重工机械有限公司 新型洗砂机
KR101902813B1 (ko) 2018-01-26 2018-10-01 (주)상원엔텍 세컨드이펙트(Second effect)형 스마트 골재 밀도선별장치
KR101907828B1 (ko) * 2018-05-09 2018-10-12 이재익 모래 채취 장치
CN111921690A (zh) * 2020-08-06 2020-11-13 浙江通惠矿山机械有限公司 一种水洗砂洗砂脱水分离一体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4566B1 (ko) 입도별 모래선별장치
KR101823975B1 (ko)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
KR20080058076A (ko) 진동스크린의 변형구조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방법 및 그장치
CN206643072U (zh) 细砂分级分选清洗机
KR100650265B1 (ko) 쇄석골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785001B1 (ko)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
KR100574675B1 (ko) 건설폐기물의 재생선별방법
KR100277280B1 (ko) 습식 공정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재활용 방법 및 장치
RU2355476C1 (ru) Способ обогащения золотосодержащих россыпей и передвиж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6722503B2 (en) Integrally formed separator/screen feedbox assembly
RU2571112C2 (ru) Моби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сыпучего материала
KR100498773B1 (ko)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재생골재의 생산방법 및 장치
KR100633765B1 (ko) 건설폐기물의 재생선별방법
KR100487089B1 (ko) 건설폐기물 선별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22569B1 (ko) 트로멜과 버켓을 이용한 골재 선별 방법 및 그 장치
CN206824186U (zh) 在石灰岩石料中提取石屑、机制砂和矿粉的设备
KR200370528Y1 (ko) 재활용 모래 선별세척장치
KR100533616B1 (ko) 골재 선별 세척장치
KR100614568B1 (ko) 모래분급장치
KR100631036B1 (ko) 건설폐기물 중 이물질 및 경량모래 선별방법
US3023893A (en) Process for separating particles of solid x
CN210097932U (zh) 一种震动式细砂回收机
KR100572091B1 (ko) 건설폐기물의 재생장치
KR200205219Y1 (ko) 골재선별장치
KR100959586B1 (ko) 순환모래의 이물질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