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001B1 -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001B1
KR101785001B1 KR1020160045093A KR20160045093A KR101785001B1 KR 101785001 B1 KR101785001 B1 KR 101785001B1 KR 1020160045093 A KR1020160045093 A KR 1020160045093A KR 20160045093 A KR20160045093 A KR 20160045093A KR 101785001 B1 KR101785001 B1 KR 101785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aggregate
aggregate
fine
washing water
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5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두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미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미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미이엔씨
Priority to KR1020160045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0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14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more than one sepa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CAPPARATUS USING FREE VORTEX FLOW, e.g. CYCLONES
    • B04C1/00Apparatus in which the main direction of flow follows a flat spiral ; so-called flat cyclones or vortex cha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3단의 스크린철망과 복수의 진동발생부를 통하여 재생 잔골재를 입도에 따라 선별하는 선별단계;와, 와류생성부와 복수의 공기유입덕트를 통하여 입도별 미분의 선별이 가능한 집진단계;와, 세척수를 투입시킬 때 상승하는 와류를 형성시켜서 이물질을 선별하고 재생 잔골재를 세척하는 세척단계;를, 포함하여, 건식 재생 잔골재 생산법의 생산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습식세척법을 통하여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선별 및 세척할 수 있는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Dry and Wet type Manufacturing Method of Recycling Fine Aggregate}
본 발명은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3단의 스크린철망과 복수의 진동발생부를 통하여 재생 잔골재를 입도에 따라 선별하는 선별단계;와, 와류생성부와 복수의 공기유입덕트를 통하여 입도별 미분의 선별이 가능한 집진단계;와, 세척수를 투입시킬 때 상승하는 와류를 형성시켜서 이물질을 선별하고 재생 잔골재를 세척하는 세척단계;를, 포함하여, 건식 재생 잔골재 생산법의 생산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습식세척법을 통하여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선별 및 세척할 수 있는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골재는 모래 또는 자갈로 건설공사에서 기초 재료로 쓰이는 것을 말한다. 골재는 크게 입도 5mm 이상인 굵은골재(조골재, 자갈)와, 입도 5mm 미만인 잔골재(세골재, 모래)로 구분된다.
이러한 골재는 과거에는 자연에서 채취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자연 자원의 고갈과 건설폐기물의 증가로 인하여, 건설폐기물로부터 골재를 재생하여 생산되는 재생골재의 사용이 점차 늘고 있는 추세이다.
재생골재 생산에는 물을 사용하지 않는 건식 생산법과 물을 사용하는 습식 생산법이 사용된다. 건식 생산법은 건설폐기물을 파쇄한 후 철망 등의 스크린을 통하여, 재생골재의 입도에 따라 재생골재를 분리하는 생산법으로, 폐수 및 슬러지 등의 폐기물의 발생은 적으나 미분 및 이물질의 선별이 용이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습식 생산법은 파쇄된 재생골재를 물에 침지시킨 후 입도 및 비중에 따라 재생골재 및 이물질을 분리하는 생산법으로, 재생골재의 품질은 높지만 다량의 폐수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습식 생산법은 공정을 시작하면서 파쇄된 재생골재를 물에 침지시키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경우 미분 및 이물질 및 골재가 동일하게 수분을 흡수하게 되어 비중차가 작아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물질과 골재를 분리시키는데는 입도보다는 비중차에 의한 방법이 더욱 효과적인데, 비중차가 줄어듦에 따라 이물질의 선별이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다.
이 두 가지 재생골재 생산법은 재생 굵은골재보다는 재생 잔골재를 생산할 때 각각의 단점이 더욱 두드러지게 된다.
재생 굵은골재를 습식 생산법으로 생산할 때는 생산되는 재생골재의 양에 비해 물과 접촉하는 재생골재의 전체 표면적이 적어서, 발생하는 폐수의 양이 비교적 적다. 하지만 재생 잔골재를 습식 생산법으로 생산할 경우, 재생골재의 입도가 작아져서 물과 접촉하는 재생골재의 전체 표면적 또한 증가하는 관계로 상대적으로 더 많은 양의 폐수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건식 생산법에 비하여 생산 효율이 떨어져서 다량의 재생골재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대규모의 설비가 필요하다.
재생 굵은골재를 건식 생산법으로 생산할 때는 골재 스크린을 통과시키는 것만으로 재생골재가 입도에 따라 분리된다. 하지만 재생 잔골재는 입도에 따른 분리도 중요하지만 입자 속에 포함되는 미분을 제거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미분을 제거하기 위해 싸이클론 집진기 등의 분급기를 이용해 미분을 분리하게 되는데, 이러한 분급기는 처리용량이 제한적이어서, 대규모의 재생 잔골재를 단시간에 생산하기 위해서는 대규모의 설비가 필요하게 되고, 필요 생산량의 변화에 대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재생골재를 재생하는데 있어서, 재생골재는 반드시 이물질을 선별하고 세척해야만 하는데 건식 생산법은 재생 잔골재 세척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건설폐기물에는 토사, 비닐, 목재, 직물, 유리, 금속, 스티로폼 등의 다양한 이물질이 포함되는데, 이런 이물질들은 골재의 입도의 차이가 크지 않아서 건식 생산법으로 이물질을 선별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재생골재는 천연골재와는 다르게 모르타르의 산화칼슘(CaO)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재활용시 물과 접촉하여 알카리성을 띠게 됨으로써 환경오염문제를 일으키게 되어 산화칼슘(CaO) 성분을 희석시키는 과정이 필수적이나, 건식 생산법으로는 산화칼슘(CaO) 성분을 희석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런데, 이러한 세척공정은 되도록 단시간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이물질이 수분을 흡수하게 되면 골재와의 비중차가 줄어들어 선별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수분을 흡수하는 이물질은 토사, 목재, 직물 등 물성과 비중이 골재와 대비되는 것들로, 골재의 품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들이다. 골재를 물에 장시간 침지시키면 산화칼슘(CaO) 성분을 제거하는데는 효과적이겠지만, 이물질의 선별은 어려워져 골재의 전체적 품질은 저하되게 된다.
종래,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건식 생산법과 습식 생산법을 혼용한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으나, 종래의 기술들은 종래의 건식 생산법과 종래의 습식 생산법을 단순하게 배열시킨 것에 불과하다. 즉, 건식으로 생산된 재생 잔골재에 습식 세척과정을 더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따라서 건식 재생 잔골재 생산법의 생산효율 증대 및 환경오염저감의 장점과, 습식 재생 잔골재 생산법의 재생골재 품질향상의 장점을 결합시키면서, 각각의 생산법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이 필요하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16357호 (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145877호
본 발명의 목적은, 건식 재생 잔골재 생산법의 생산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재생 잔골재 필요 생산량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설비의 크기 및 규모가 작아서 사용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한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고, 세척수의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폐수의 발생을 대폭 줄일 수 있는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은, 3단의 스크린철망과 복수의 진동발생부가 구비된 골재용 스크린 장치;를 통하여, 재생 잔골재를 입도에 따라 선별하는 선별단계;와, 호 형상의 공간을 갖도록 돌출되어 형성되어 내부에서 와류가 생성되는 와류생성부;와 복수의 공기유입덕트;를 통하여, 입도별 미분의 선별이 가능한 중력분급과정;과, 중력분급과정 이후의 재생 잔골재에서 잔여미분을 포집하는 싸이클론집진과정;을 포함하여, 재생 잔골재에서 미분을 선별하는 집진단계;와, 세척수를 투입시킬 때 상승하는 와류를 형성시켜서, 수면 위로 부유하는 이물질 및 비중차에 의해 와류의 내측으로 모인 이물질을 선별하는 원심분리과정;을 통하여, 재생 잔골재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하는 세척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선별단계는, 재생 잔골재를 균일한 분포로 공급하는 제1공급과정;과, 체 형태로 형성된 1차스크린철망을 통하여, 재생 잔골재를 입도에 따라 선별하는 1차선별과정;과, 체 형태로 형성된 2차스크린철망을 통하여, 재생 잔골재를 입도에 따라 선별하는 2차선별과정;과, 체 형태로 형성된 3차스크린철망을 통하여, 재생 잔골재를 입도에 따라 선별하는 3차선별과정;과, 잔골재의 입도보다 큰 재생 잔골재를 다시 파쇄하여 제1공급과정에 공급하는 재파쇄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1차선별과정 및 상기 2차선별과정 및 상기 3차선별과정은, 전동모터가 진동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진동발생부가 구비되되, 복수의 진동발생부의 전동모터들은 상호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되도록 동기화되는 골재용 스크린 장치;를 통하여, 재생 잔골재를 입도에 따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집진단계는, 재생 잔골재를 균일한 분포로 공급하는 제2공급과정;과, 호 형상의 공간을 갖도록 돌출되어 형성되어 내부에서 유입 공기의 와류가 생성되는 와류생성부;와 개폐가 가능한 개폐조절밸브가 설치되어, 공기의 유입량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공기유입덕트;를 통하여, 입도별로 미분의 선별이 가능한 중력분급과정;과, 싸이클론 집진기를 통하여, 중력분급과정 이후의 재생 잔골재에서 잔여미분을 포집하는 싸이클론집진과정;과, 백필터를 통하여, 싸이클론집진과정에서 포집된 미분을 여과하는 여과집진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와류생성부는, 유입 공기의 와류를 더욱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와류생성부의 돌출부의 반대쪽인 내측 공간에서 상측에서 하측으로의 수직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되, 공기의 와류의 진행방향에 대해 점진적으로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로 구성되는 와류증대수단;과, 외부와의 공기 유통량 조절을 위하여, 와류형성부의 타측면 일부가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분급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세척단계는, 재생 잔골재를 균일한 분포로 공급하는 제3공급과정;과, 재생 잔골재와 세척수가 원활하게 교반되는 교반과정;과, 세척수의 수면 위로 부유하는 이물질 및 비중차에 의해 와류의 내측으로 모인 이물질을 선별하는 원심분리과정;과, 원심분리과정에서 선별된 이물질에서 세척수를 제거하는 이물질탈수과정;과, 원심분리과정에서 선별된 재생 잔골재에서 세척수를 제거하는 모래탈수과정;과, 이물질탈수과정 및 모래탈수과정에서 제거된 세척수에 포함된 미분말을 침전시켜서, 세척수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침전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교반과정은, 원통형의 교반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세척수가 회전하면 분사되게 하는 1차세척수투입과정;과, 제3공급과정을 통하여, 상부에서 투입되는 재생 잔골재와 1차세척수투입과정을 통하여, 분사되는 세척수가 충돌하며 교반되는 충돌교반과정;과, 교반본체의 상부의 측부와 교반본체의 중앙부에 연결된 파이프를 통하여, 교반본체를 범람하는 세척수를 회수하여 원심분리과정으로 보내는 세척수회수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원심분리과정은, 원통형의 원심분리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되게 분사된 세척수가, 원심분리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수평방향의 리브(rib) 구조를 통과하며, 상승하는 와류를 형성하게 되는 2차세척수투입과정;과, 원심분리본체의 측부의 상부에 연결된 파이프를 통하여, 세척수의 수면 위로 부유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이물질탈수과정으로 배출시키는 부유선별과정;과, 원심분리본체의 중앙부에 연결된 파이프를 통하여, 비중차에 의해 세척수의 와류의 내측에 모인 이물질을 흡입하여 이물질탈수과정으로 배출시키는 비중차선별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제1공급과정 및 제2공급과정 및 제3공급과정은, 전동력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장치에 의해 진동을 재생 잔골재에 전달시키되, 일단부에서 타단부를 향해 점차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 진동공급판;을 통해, 재생 잔골재를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진동전달과정;과, 진동공급판의 타단부 전면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절단된 형상의 공급라인;을 통해, 균일하게 분포된 재생 잔골재가 진동에 의해 이동하다 공급라인에서 확산되어 낙하하게 되는 확산낙하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은, 건식 재생 잔골재 생산법의 생산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은, 재생 잔골재 필요 생산량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은, 설비의 크기 및 규모가 작아서 사용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고, 세척수의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폐수의 발생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전체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선별단계의 세부순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제1골재공급기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제1골재공급기의 단면도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제1골재공급기의 내부 평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골재용 스크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골재용 스크린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골재용 스크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집진단계의 세부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집진단계의 구성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중력분급기의 단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중력분급기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세척단계의 세부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세척단계의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교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원심분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전체 세부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전체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은, 3단의 스크린철망과 복수의 진동발생부가 구비된 골재용 스크린 장치;를 통하여, 재생 잔골재를 입도에 따라 선별하는 선별단계(S100);와, 호 형상의 공간을 갖도록 돌출되어 형성되어 내부에서 와류가 생성되는 와류생성부;와 복수의 공기유입덕트;를 통하여, 입도별 미분의 선별이 가능한 중력분급과정;과, 중력분급과정 이후의 재생 잔골재에서 잔여미분을 포집하는 싸이클론집진과정;을 포함하여, 재생 잔골재에서 미분을 선별하는 집진단계(S200);와, 세척수를 투입시킬 때 상승하는 와류를 형성시켜서, 수면 위로 부유하는 이물질 및 비중차에 의해 와류의 내측으로 모인 이물질을 선별하는 원심분리과정;을 통하여, 재생 잔골재에서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하는 세척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별단계(S100)는, 스크린철망을 이용해 골재를 선별하는 건식 재생 잔골재 생산법이고, 집진단계(S200)는, 중력분급기 및 집진기를 이용해 골재에서 미분을 선별하는 건식 재생 잔골재 생산법이고, 세척단계(S300)는, 세척수를 이용해 재생 잔골재에서 이물질을 선별하고 재생 잔골재를 세척하는 습식 건식 재생 잔골재 생산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은, 선별단계(S100) 및 집진단계(S200)에서는 건식 재생 잔골재 생산법의 생산효율을 증대시키고, 필요 생산량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세척단계(S300)에서는 종래의 습식 재생 잔골재 생산법보다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고, 세척수의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저감시킨다. 그리고 선별단계(S100) 및 집진단계(S200) 및 세척단계(S300)에서 사용되는 설비들은 크기 및 규모가 작아서 사용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의 특징들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선별단계의 세부순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선별단계(S100)는, 재생 잔골재를 균일한 분포로 공급하는 제1공급과정(S110);과, 재생 잔골재를 입도에 따라 선별하는 1차선별과정(S121);과, 재생 잔골재를 입도에 따라 선별하는 2차선별과정(S122);과, 재생 잔골재를 입도에 따라 선별하는 3차선별과정(S123);과,잔골재의 입도보다 큰 재생 잔골재를 다시 파쇄하여 제1공급과정에 공급하는 재파쇄과정(S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공급과정(S110)을 통하여, 선별과정(S120)에 재생 잔골재가 균일한 분포로 공급된다. 선별과정(S120)은 1차선별과정(S121)과 2차선별과정(S122)과 3차선별과정(S123)을 포함한다. 1차선별과정(S121)과 2차선별과정(S122)과 3차선별과정(S123)은 각각 상이한 크기의 구멍으로 형성된 철망인 스크린철망을 통해 재생 잔골재를 입도에 따라 선별한다. 잔골재의 입도 기준인 5mm 이하의 재생 잔골재는 집진단계(S200) 내지 세척단계(S300)로 보내지고, 5mm 이상의 재생 잔골재는 다시 파쇄되어 선별과정(S120)으로 다시 보내진다. 재파쇄과정(S130)에서는 해머크러셔 내지 임팩트크러셔 내지 조크러셔 등의 파쇄기들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제1골재공급기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제1골재공급기의 단면도이고,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제1골재공급기의 내부 평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제1골재공급기(1100)는, 제1골재공급기(1100)의 외관을 형성하고, 제1골재공급기(1100)에 전동력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장치(1111);를 포함하는 골재공급기프레임(1110);과, 불균일한 상태인 재생 잔골재에 진동을 가하여 균일하게 분포시키게 하는 진동공급판(1120);과, 원심분리기(1200)에 재생 잔골재를 균일한 분포로 투입시키는 공급라인(113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제1공급과정(S110)은, 전동력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발생장치에 의해 진동을 재생 잔골재에 전달시키되, 일단부에서 타단부를 향해 점차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 진동공급판(1120);을 통해, 재생 잔골재를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진동전달과정(S111);과, 진동공급판의 타단부 전면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절단된 형상의 공급라인(1130);을 통해, 균일하게 분포된 재생 잔골재가 진동에 의해 이동하다 공급라인에서 확산되어 낙하하게 되는 확산낙하과정(S1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골재공급기프레임(1110)는 제1골재공급기(1100)의 외관을 형성하여 투입된 재생 잔골재가 산개되거나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진동발생장치(1111)에서 발생한 진동을 진동공급판(1120)에 전달시키는 역할도 하게 된다. 상기 진동발생장치(1111)는 전동력을 이용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일 수 있다.
진동공급판(1120)은, 골재투입구(1140)에 재생 잔골재가 투입되어 상면에 재생 잔골재가 공급되고, 일단부에서 타단부를 향해 점차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진동공급판(1120)의 상변 일단부에 재생 잔골재가 투입되면 재생 잔골재는 진동에 의해 골재공급기프레임(1110) 내에서 균일한 분포로 퍼지게 되고, 투입되는 재생 잔골재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재생 잔골재는 점차 진동공급판(1120)의 타단부로 이동하게 된다.
공급라인(1130)은, 진동공급판(1120)의 타단부는 그 전면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절단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됨으로써, 공급라인(1130)의 길이는 최대한 길게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진동공급판(1120)을 위에서 바라볼 때에, 진동공급판(1120) 타단부의 모서리 부분이 사선방향으로 절단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진동공급판(1120)에서 모래가 떨어지는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이로 인해 모래가 한 곳에서 집중되어 떨어지지 않고 골고루 분산되어 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래 이어지는 설명의 제2공급과정 및 제3공급과정과, 제2골재공급기 및 제3골재공급기는, 이상 설명한 제1공급과정(S110)과 제1골재공급기(1100)와 동일한 과정과 동일한 장치이다. 즉, 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선별단계(S100) 및 집진단계(S200) 및 세척단계(S300)에 있어서, 각각의 단계별로 동일한 과정과 동일한 장치에 의하여 재생 잔골재가 공급되어, 각각의 단계별로 재생 잔골재가 한 곳에서 집중되어 떨어지지 않고 골고루 분산되어 공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골재용 스크린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골재용 스크린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골재용 스크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골재용 스크린 장치(1200)는, 전동모터가 진동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진동발생부(1240,1250)가 구비되되, 복수의 진동발생부(1240,1250)의 전동모터들은 상호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되도록 동기화되며, 체 형태로 형성된 1차스크린철망(1210)과 체 형태로 형성된 2차스크린철망(1220)과 체 형태로 형성된 3차스크린철망(1230)을 통하여 재생 잔골재를 입도에 따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크린 철망(1210,1220,1230)들은, 진동발생부(1240,1250)의 진동에 의해서 골재용 스크린 장치(1200)에 투입되는 골재를 선별할 수 있도록, 골재용 스크린 장치(1200)의 내부에 복수개가 설치된다.
스크린 철망(1210,1220,1230)들은, 선별구멍의 형태가 체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써, 각각의 스크린 철망의 상기 선별구멍은 서로 그 크기가 다른 것을 채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최상단에 설치된 1차스크린철망(1210)의 선별구멍이 가장 크고, 그 하부의 2차스크린철망(1220)은 적어도 위에 설치된 1차스크린철망(1210)보다는 선별구멍의 크기가 작은 것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2차스크린철망(1220) 하부의 3차스크린철망(1230)은 2차스크린철망(1220)보다 선별구멍의 크기가 작은 것을 설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1차스크린철망(1210)의 선별구멍은 8mm로, 2차스크린철망(1220)의 선별구멍은 5mm로, 3차스크린철망(1230)의 선별구멍은 3mm로, 형성된다. 따라서, 1차선별과정(S121)에 의해 8mm 이상의 골재와 8mm 미만의 골재로 분리되어, 8mm 이상의 골재는 재파쇄과정(S130)으로 보내지고 8mm 미만의 골재는 2차선별과정(S122)으로 보내진다. 2차선별과정(S122)에 의해 5mm 이상의 골재와 5mm 미만의 골재로 분리되어, 5mm 이상의 골재(5~8mm)는 재파쇄과정(S130)으로 보내지고 5mm 미만의 골재는 3차선별과정(S123)으로 보내진다. 3차선별과정(S123)에 의해 3mm 이상의 골재와 3mm 미만의 골재로 분리되어, 3mm 이상의 골재(3~5mm)는 세척단계(S300)로 보내지고 3m 미만의 골재는 집진단계(S200)으로 보내진다.
이상과 같이 다단의 스크린 철망을 통하여 다단의 선별과정을 거침으로써, 건식 재생 잔골재 생산법의 효율성 및 생산품질은 더욱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재용 스크린 장치(1200)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골재용 스크린 장치(1200)에 관통되게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제1진동발생부(1240)와,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골재용 스크린 장치(1200)에 관통되게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제2진동발생부(1250)를 포함할 수 있다. 골재용 스크린 장치(1200)는 복수의 진동발생부를 포함하는 바, 제1진동발생부(1240) 및 제2진동발생부(1250) 외 다른 진동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각각의 진동발생부는 독립된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각각의 독립된 전동모터 서로 동기화되어 각각의 진동발생부가 동일하게 진동을 발생시켜서 골재용 스크린 장치(1200)의 진동의 진폭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제1진동발생부(1240) 및 제2진동발생부(1250)는, 골재용 스크린 장치(1200)의 일측에 설치된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상호 동일한 진동폭 및 진동방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종래의 골재용 스크린 장치는, 복수의 진동부가 단일 구동부로 구동되고 타이밍 벨트를 이용하여 복수의 진동부를 동기화 하는데, 타이밍 벨트의 미끌림이 발생하거나 장력이 낮아지게 되면 진동부 간에 진동 타이밍이 어긋나게 되어 각각의 진동부의 편심추의 위치가 맞지 않아 골재용 스크린 장치에 발생하는 진동의 진폭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골재용 스크린 장치의 진폭이 약해지면 스크린 철망에서 골재를 선별하는 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재용 스크린 장치(1200)는, 상호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되도록 동기화되는 복수의 독립된 전동모터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진동발생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종래의 골재용 스크린 장치보다 더욱 안정적으로 진동을 발생시켜 재생 잔골재에 전달시킬 수 있게 되고,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진동의 진폭이 저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별단계(S100)는, 스크린 철망을 이용하는 건식 재생 잔골재 생산법에 있어서, 진동공급판(1120)과 공급라인(1130)을 통하여 재생 잔골재를 균일한 분포로 공급하는 제1공급과정(S110)과, 상호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되도록 동기화되는 복수의 독립된 전동모터가 구비된 복수의 진동발생부와 다단의 스크린 철망 구조를 통하여, 재생 잔골재를 입도에 따라 선별하는 선별과정(S120)을 포함하므로써, 건식 재생 잔골재 생산법의 생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집진단계의 세부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집진단계의 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집진단계(S200)는, 재생 잔골재를 균일한 분포로 공급하는 제2공급과정(S210);과, 중력분급기(2200)를 통하여, 입도별로 미분의 선별이 가능한 중력분급과정(S220);과, 싸이클론 집진기(2300)를 통하여, 중력분급과정 이후의 재생 잔골재에서 잔여미분을 포집하는 싸이클론집진과정(S230);과, 백필터(2400)를 통하여, 싸이클론집진과정에서 포집된 미분을 여과하는 여과집진과정(S2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중력분급기의 단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중력분급기의 측면도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중력분급기(2200)는, 중력분급기(2200)의 중앙부를 상하로 연결시켜 재생 잔골재가 투입되고 배출되는 메인덕트(2210);와,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방향조절레버(2221)가 마련되어, 상부에서 떨어지는 재생 잔골재를 메인덕트(2210)에 선택적으로 공급시킬 수 있는 우회덕트(2220);와, 개폐가 가능한 개폐조절밸브(2231,2241)가 설치되어, 공기의 유입량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공기유입덕트(2230,2240);와, 싸이클론 집진기(2300)에 연결되어 미분이 포함된 재생 잔골재를 싸이클론집진과정(S230)으로 보내는 집진덕트(2250);와, 호 형상의 공간을 갖도록 돌출되어 형성되어 내부에서 유입 공기의 와류가 생성되는 와류생성부(2260);를, 포함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중력분급기(2200)는, 도 7a에 도시된 단면의 구성이 횡방향으로 확장되어, 대용량의 분급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공기유입덕트(2230,2240)는, 단부가 상기 메인덕트(2210)에 연결되어 공기 유통되고, 공기 유통량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상기 공기유입덕트는, 제1공기유입덕트(2230)와 제2공기유입덕트(2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공기유입덕트(2230)의 일측은 메인덕트(2210)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제1공기유입덕트(2230)의 타측은 일측으로부터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공기유입덕트(2230)의 내부에는 제1공기유입덕트(2230)에 공기 유통되는 공기량을 조절 가능하도록 제1개폐조절밸브(2231)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제1개폐조절밸브(2231)는 제1공기유입덕트(2230) 내부에 설치된 개폐판의 회전 작동을 통해 공기 유통량의 조절이 가능하다.
제2공기유입덕트(2240)의 일측은 집진덕트(2250)의 하단에 위치한 메인덕트(221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제2공기유입덕트(2240)의 타측은 일측으로부터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공기유입덕트(2240)의 내부에는 제2공기유입덕트(2240)에 공기 유통되는 공기량을 조절 가능하도록 제2개폐조절밸브(2241)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제2개폐조절밸브(2241)는 제2공기유입덕트(2240) 내부에 설치된 개폐판의 회전 작동을 통해 공기 유통량의 조절이 가능하다.
집진덕트(2250)는, 상기 메인덕트(2210) 내부의 공기와 함께 모래로부터 선별된 미분을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단부가 상기 메인덕트(2210)와 연결되어 공기 유통되고, 타단부에는 싸이클론집진기(2300)가 연결되어, 상기 싸이클론집진기(2300)의 작동을 통해 메인덕트(2210) 내부의 공기 및 미분을 흡입하여 배출하게 된다.
와류생성부(2260)는 메인덕트(2210)의 하부 측면에 호 형상의 공간을 갖도록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와류생성부(2260)의 일단부가 상기 집진덕트(2250)의 일단부와 마주하고, 상기 와류생성부(2260)의 타단부가 상기 제2유입덕트(220)의 단부와 마주하도록 구비된다.
싸이클론집진기(2230) 작동시, 집진덕트(2250)에 의한 공기 흡입력에 의해 와류생성부(2260) 상단부의 공기 및 미분은 집진덕트(2250) 측으로 유입되고, 와류생성부(2260) 하단부의 공기 및 미분은 제2공기유입덕트(224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함께 와류생성부(2260) 내측면을 타고 오르면서 와류가 형성된다. 따라서, 와류생성부(2260)와 집진덕트 사이에 떨어지는 모래로부터 미분이 분리되고, 분리된 미분이 와류생성부(2260)에서 형성된 와류에 의해 집진덕트(225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와류생성부(2260)는, 유입 공기의 와류를 더욱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와류생성부(2260)의 돌출부의 반대쪽인 내측 공간에서 상측에서 하측으로의 수직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되, 공기의 와류의 진행방향에 대해 점진적으로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로 구성되는 와류증대수단(2261);과, 외부와의 공기 유통량 조절을 위하여, 와류형성부의 타측면 일부가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분급조절수단(22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집진덕트(2250)의 단부에는 집진덕트(2250) 하부의 공기 흡입량보다 집진덕트(2250) 상부의 공기 흡입량을 크게 하여 와류를 증대시키도록 와류증대수단(2261)이 마련될 수 있다.
집진덕트(2250)의 단부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블레이드가 구비되는데, 상기 블레이들이 구비된 각도를 서로 달리하여 집진덕트(2250)의 하부에서 집진덕트(2250)의 상부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공기 유통량이 증대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즉, 집진덕트(2250) 상부의 블레이드가 이루는 평면의 각도가, 집진덕트(2250) 하부의 블레이드가 이루는 평면의 각도에 비해 집진덕트(2250)의 단부를 통과하는 공기 진행방향과 더 나란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집진덕트(2250)의 하부보다 상부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량이 더욱 증대되는바, 와류를 더욱 증대시키게 되는 것이다.
분급조절수단(2262)은, 와류생성부(2260)의 일부를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것으로, 외부와의 공기 유통량을 조절할 수 있다. 와류생성부(2260)의 타측면 일부가 개폐 가능하도록 분급조절수단(2262)이 마련된다. 분급조절수단(2262)의 일단이 상기 와류생성부(2260)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이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함으로써, 분급조절수단(2262)이 일단의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개폐될 수 있다.
재생 잔골재를 생산하기 위해 1차로 선별이 끝난 재생 잔골재를 입도별로 분급시키도록 분급기가 사용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모래로부터 0.30mm ~ 1.5mm의 미분과 0.063mm ~ 0.30mm의 초미분을 제거하는 되는 서로 다른 구조를 갖는 분급기를 사용한다. 재생 잔골재의 용도에 따라 초미분이 함유된 것과 제거된 것이 동시에 필요한 경우가 자주 발생하는 것이다.
이에, 재생 잔골재 선별시 두 가지 타입의 분급기가 모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전체 플랜트설비를 다시 설치하기에는 설비비용이 증대되어 경제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미분골재는 일반적으로 일정 정도의 습기를 함유하고 있어 한곳에서 집중적으로 낙하시 미분끼리 달라붙어 덩어리를 만들어 구멍을 막고 선별을 방해한다. 이로 인해, 제품으로 생산되어 높은 부가가치를 만들수 있는 재생 골재가 저급의 혼합석으로 분류되어 수익율을 악화시키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중력분급기(2200)의 구성은 재생 잔골재의 용도별로 선별하는데 있어서, 두 가지 타입의 분급기를 사용하지 않고 하나의 분급기만으로 용도별 선별이 가능하도록 하게 한다. 이하에서는, 중력분급기(2200)를 이용하여 미분의 입도별로 미분을 선별하기 위한 예시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잔모래로부터 0.30mm ~ 1.5mm의 미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제1개폐조절밸브(2231) 및 제2개폐조절밸브(2241)를 이용하여 제1공기유입덕트(2230) 및 제2공기유입덕트(2240)를 폐쇄하고, 분급조절수단(2262)을 개방하여 싸이클론집진기(2300)를 작동시킨다. 이때에, 제1공기유입덕트(2230)는 경우에 따라 완전하게 폐쇄하지 않고 소정량의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러면, 분급조절수단(2262)을 통해 메인덕트(2210)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면서, 집진덕트(2250)로 메인덕트(2210) 내부의 공기와 함께 0.30mm ~ 1.5mm의 미분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잔모래로부터 0.063mm ~ 0.30mm의 초미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위와는 반대로 제1공기유입덕트(2230) 및 제2공기유입덕트(2240)를 개방하고, 분급조절수단(2262)을 폐쇄하여 싸이클론집진기(2300)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제1공기유입덕트(2230) 및 제2공기유입덕트(2240)를 통해 메인덕트(2210)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고, 특히 제2공기유입덕트(2240) 및 집진덕트(2250)에서의 공기 흐름방향에 의해 와류발생부 내부에 와류가 발생되면서 메인덕트(2210) 내부의 공기와 함께 0.063mm ~ 0.30mm의 초미분이 집진덕트(2250)를 통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단계(S200)는, 재생 잔골재의 용도 및 생산 환경 변화 및 필요 생산량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중력분급과정(S220);을 포함하므로써, 재생 잔골재의 용도에 따른 분급 및 생산 환경 변화에 따른 공정의 변화 및 필요 생산량의 변화에 따른 생산속도의 조절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세척단계의 세부순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세척단계의 구성도이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세척단계(S300)는, 재생 잔골재를 균일한 분포로 공급하는 제3공급과정(S310);과, 재생 잔골재와 세척수가 원활하게 교반되는 교반과정(S320);과, 세척수의 수면 위로 부유하는 이물질 및 비중차에 의해 와류의 내측으로 모인 이물질을 선별하는 원심분리과정(S330);과, 원심분리과정에서 선별된 이물질에서 세척수를 제거하는 이물질탈수과정(S340);과, 원심분리과정에서 선별된 재생 잔골재에서 세척수를 제거하는 모래탈수과정(S350);과, 이물질탈수과정 및 모래탈수과정에서 제거된 세척수에 포함된 미분말을 침전시켜서, 세척수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침전과정(S3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잔골재 세척장치는, 제3골재공급기(3100)와 원심분리기(3200)와 이물질탈수기(3300)와 모래탈수기(3400)와 침전조(3500)로 구성된다.
원심분리기(3200)는, 내부에 세척수를 투입시키면서 와류를 발생시키고, 재생 잔골재와 이물질이 비중차이에 의해 상기 와류 속에서 외측-내측 및 상부-하부로 분리되면, 원심분리기(3200) 내부의 일정 위치에 모인 이물질을 선별하는 역할을 한다.
이물질탈수기(3300)는, 이물질탈수스크린(3310)이 구비되어, 원심분리기(3200)에 의해 선별된 이물질에서 세척수를 제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물질탈수스크린(3310)은 이물질의 필터링이 가능한 철망일 수 있고, 또한, 전동력에 의해 진동하고 순환하는 컨베이어 밸트를 상기 철망 재질로 구성하여 효율적이고 계속적으로 탈수가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물질탈수기(3300)에 의해 탈수가 된 이물질은 상기 컨베이어 밸트를 통해 처리를 위해 일정장소에 배출될 수 있다.
모래탈수기(3400)는, 모래탈수스크린(3410)이 구비되어, 원심분리기(3200)에 의해 선별된 모래에서 세척수를 제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모래탈수스크린(3410)은 재생 잔골재의 필터링이 가능한 철망일 수 있고, 또한 전동력에 의해 진동하고 순환하는 컨베이어 밸트를 상기 철망 재질로 구성하여 효율적이고 계속적으로 탈수가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모래탈수기(3400)에 의해 탈수가 된 재생 잔골재는 상기 컨베이어 밸트를 통해 출고를 위해 일정장소에 배출될 수 있다.
제3골재공급기(3100)와 원심분리기(3200)와 이물질탈수기(3300)와 모래탈수기(3400)와 침전조(3500)는, 상부에서부터 제3골재공급기(3100)-원심분리기(3200)-이물질탈수기(3300)-모래탈수기(3400)-침전조(3500)의 순서대로 위치한다. 이러한 구성은, 세척수를 펌프로 원심분리기(3200)에 투입하는 것만으로도 세척작업이 이루어지게 하여, 동력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물질탈수기(3300) 및 모래탈수기(3400)는 지면으로부터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이물질 및 재생 잔골재를 별도의 공정 없이 낙하시켜 지면에 적재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작업의 효율을 증대시키게 된다.
침전조(3500)는, 이물질탈수기(3300) 및 모래탈수기(3400)를 통해 이물질 및 재생 잔골재에서 제거된 세척수에 포함된 미분말을 침전시키는 침전수조(3510,3520,3530);와, 미분말이 침전되어 제거된 이후의 세척수를 보관하는 보관수조(3540);를, 포함한다. 보관수조(3540)에 보관된 세척수는 미분말이 침전되어 제거된 세척수로, 세척작업에 재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침전수조는 다수의 침전수조들을 구비하여 침전과정의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 잔골재 세척장치의 침전수조는, 1차침전수조(3510)와 2차침전수조(3520)와 3차침전수조(3530)를 포함할 수 있다.
보관수조(3540)에 모인 세척수는 미분말이 침전작용에 의해 제거되어 재생 잔골재 세척에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생 잔골재 세척장치는, 사용 후의 세척수로부터 미분말을 제거하여 재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폐수의 양을 획기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슬러지를 별도로 필터링하거나 침전시킬 필요가 없이,침전조에 침전된 미분말을 정기적으로 수집함으로써 슬러지의 처리가 완료되므로, 슬러지의 처리가 용이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교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교반장치(3210)는, 원통형의 교반본체(3211);와, 교반본체(3211)의 측부에 교반본체(3211)의 중심점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연결된 파이프로써, 세척수가 파이프를 통해 교반본체(3211)로 투입되면 교반본체(3211)의 내주면을 따라 세척수가 회전하면 분사되게 하는 제1세척수투입구(3212);와, 교반본체(3211)의 내부에 고정된 구조물으로써, 상부에서 투입되는 재생 잔골재와 측부에서 투입되는 세척수가 상기 구조물에 충돌하여 교반되게 하는 교반프레임(3213);과, 일단부는 교반본체(3211)의 상부의 측부와 교반본체(3211)의 중앙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원심분리장치(3220)에 연결되는 파이프로써, 재생 잔골재와 세척수가 교반되는 과정 중 범람하는 세척수를 회수하기 위한 세척수회수부(3214);를 포함하여, 세척수를 투입시키는 수압만으로 재생 잔골재와 세척수를 원활하게 교반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교반과정(S320)은, 원통형의 교반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세척수가 회전하면 분사되게 하는 1차세척수투입과정(S321);과, 제3공급과정을 통하여 상부에서 투입되는 재생 잔골재와 1차세척수투입과정을 통하여 분사되는 세척수가 충돌하며 교반되는 충돌교반과정(S322);과, 교반본체의 상부의 측부와 교반본체의 중앙부에 연결된 파이프를 통하여, 교반본체를 범람하는 세척수를 회수하여 원심분리과정으로 보내는 세척수회수과정(S3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321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교반본체(3211)의 상부로부터 재생 잔골재가 투입되고, 교반본체(3211)의 측부로부터 세척수가 투입된다. 투입된 재생 잔골재는 교반프레임(3213)과 충돌하며 교반본체(3211)의 내부에 산개하게 된다. 교반프레임(3213)은 교반본체(3211)의 내부에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도 10에 제시된 일례에서, 교반프레임(3213)은 방사형으로 구성되었는데, 격자형 내지 마름모형 내지 원통형 내지 트러스 구조 등 다른 형상들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본 도 10에 제시된 일례에서, 교반프레임(3213)은 교반본체(3211)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묘사되었지만, 교반본체(3211)의 상부뿐 아니라 세척수가 투입되는 교반본체(3211)의 중앙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교반프레임(3213)은 재생 잔골재뿐 아니라 세척수와도 동시에 충돌하게 되어, 재생 잔골재와 세척수의 교반작용은 더욱 활성화된다.
제1세척수투입구(3212)는 교반본체(3211)의 측부에 중심점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연결되어, 워터펌프를 이용하여 세척수를 투입시킨다. 제1세척수투입구(3212)를 통해 투입되는 세척수는 교반본체(3211)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이것은 세척수가 교반본체(3211)의 내부에 골고루 퍼지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잔골재 세척장치는, 재생 잔골재가 골고루 분산되어 떨어질 수 있게 하는 제3골재공급기(3100)와, 재생 잔골재 및 세척수와 충돌하여 교반을 활성화시키는 교반프레임(3213)과, 세척수가 골고루 퍼지게 하는 제1세척수투입구(3212)를, 통하여 최적의 교반상태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3210)는, 재생 잔골재와 세척수가 교반되는 과정 중 범람하는 세척수를 회수하기 위한 세척수회수부(3214)를 포함한다. 세척수회수부(3214)는, 일단부가 교반본체(3211)의 상부의 측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원심분리장치(3220)에 연결되는 파이프인 상부세척수회수부(3215)와, 일단부가 교반본체(3211)의 중앙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원심분리장치(3220)에 연결되는 파이프인 중앙세척수회수부(3216)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세척수회수부(3215)와 중앙세척수회수부(3216)의 일단부는 교반본체(3211)의 상부측에 위치하며, 교반본체(3211)의 최상단부보다는 하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강한 수압으로 세척수가 분사되어 회전하는 와류가 상승하거나, 과다한 양의 세척수가 분사되어 세척수가 교반본체(3211)의 최상단부를 넘어갈 경우, 범람하는 세척수를 교반장치(3210)의 하측으로 회수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회수된 세척수는 교반장치(32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원심분리장치(3220)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반장치(3210)는, 교반본체(3211)의 하부에 깔대기 형상의 교반장치배출구(3217)를 포함할 수 있다. 교반장치(3210) 내부에서 재생 잔골재와 세척수는 회전하는 와류에 의해 교반본체(3211)의 외부측에 몰리게 된다. 이 상태로 교반된 재생 잔골재와 세척수가 하부로 배출되면 일정위치로 낙하하지 않고, 방사형으로 퍼져버리게 된다. 이것을 방지하고 배출되는 위치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 교반장치배출구(3217)가 설치될 수 있다. 교반장치배출구(3217)는 깔대기 형상으로 구성되어 방사형으로 퍼지려고 하는 재생 잔골재와 세척수를 중앙부로 모아주고, 따라서 교반된 재생 잔골재와 세척수는 하부의 일정한 위치로 낙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원심분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원심분리장치(3220)는, 원통형의 원심분리본체(3221);와, 원심분리본체(3221)의 측부의 상부에 연결된 파이프로써, 세척수와 교반된 재생 잔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이 세척수와의 비중차에 의해 세척수의 수면 위로 부유되면, 부유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이물질탈수기(3300)로 배출시키는 부유선별부(3222);와, 원심분리본체(3221)의 측부의 하부에 원심분리본체(3221)의 중심점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연결된 파이프로써, 세척수가 파이프를 통해 원심분리본체(3221)로 투입되면 원심분리본체(3221)의 내주면을 따라 세척수가 회전하면 분사되게 하여, 원심분리본체(3221)의 내주면을 따라 세척수가 흐르게 하여 원심분리본체(3221)의 내부에 와류를 발생시키는 제2세척수투입구(3223);와, 원심분리본체(3221)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수평방향의 리브(rib) 구조으로써, 제2세척수투입구(3223)에서 세척수가 투입되면 재생 잔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이 재생 잔골재와의 비중차에 의해 선별될 수 있도록 상승하는 와류를 형성시키는 상승와류발생부(3224);와, 원심분리본체(221)의 중앙부에 연결된 파이프로써, 상승와류발생부(3224)에 의해 발생한 와류 속에서 이물질이 비중차이 때문에 와류의 내측으로 모일 시, 내측에 모인 이물질을 흡입하여 이물질탈수기(3300)로 배출시키는 비중차선별부(3226);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원심분리과정(S330)은, 원통형의 원심분리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되게 분사된 세척수가, 원심분리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수평방향의 리브(rib) 구조를 통과하며, 상승하는 와류를 형성하게 되는 2차세척수투입과정(S331);과, 원심분리본체의 측부의 상부에 연결된 파이프를 통하여, 세척수의 수면 위로 부유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이물질탈수과정으로 배출시키는 부유선별과정(S332);과, 원심분리본체의 중앙부에 연결된 파이프를 통하여, 비중차에 의해 세척수의 와류의 내측에 모인 이물질을 흡입하여 이물질탈수과정으로 배출시키는 비중차선별과정(S3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장치(322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세척수투입구(3223)를 통해 원심분리본체(3221)의 측부의 하부에 세척수가 투입되면, 상승와류발생부(3224)를 따라 세척수가 상승하면서 회전하게 되는데, 이렇게 발생한 원심력으로 재생 잔골재 및 이물질은 비중차에 의해 와류 속에서 분리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승시키는 작용없이 와류를 생성시킬 시, 와류는 원심분리본체(3221)의 내부에서 장시간 회전을 하지못하게 되어 재생 잔골재 및 이물질은 비중차에 의해 분리되기도 전에 하부로 배출되게 되는데, 상승와류발생부(3224)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세척수를 상부로 이동시키며 와류를 생성시키게 된다. 세척수는 상승하는 동안과 하강하는 동안 계속해서 회전을 하여 와류 속에서 재생 잔골재 및 이물질이 분리되는 시간이 확보될 수 있다.
물보다 비중이 적은 이물질은 세척수의 상부로 부유하게 된다. 그리고 비중이 높은 재생 잔골재는 와류의 외측에 몰리게 되고, 비중이 작은 이물질은 와류의 내측에 몰리게 된다. 이때, 세척수의 상부로 부유하는 이물질은 부유선별부(3222)를 통해, 그리고 와류의 내측에 몰리는 이물질은 비중차선별부(3226)를 통해 흡입되게 된다.
따라서, 부유선별부(3222)는 세척수의 수면이 형성되는 원심분리본체(3221)의 상부에 위치하고, 비중차선별부(3226)는 와류의 중심이 형성되는 원심분리본체(3221)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그리고 부유선별부(3222)와 비중차선별부(3226)는 별도의 동력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워터펌프에 의해 제2세척수투입구(3223)로 세척수가 투입되어, 부유선별부(3222)와 비중차선별부(3226)의 일단부가 위치하는 일정면 이상으로 세척수가 차오르면, 자동적으로 부유선별부(3222)와 비중차선별부(3226)에 의해 세척수가 배출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세척수가 배출될 때, 회전하는 와류 속에서 원심력에 의해 분리된 이물질이 세척수와 함께 원심분리장치(220)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재생 잔골재 세척장치의 비중차선별부(3226)는, 원심분리본체(3221)의 중앙부에 연결된 비중차선별부(3226)의 파이프의 개구부의 하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격벽인 비중차선별부격벽(3227)을 포함한다. 비중차선별부격벽(3227)은 상승와류발생부(3224)에 의해 형성된 와류의 회전력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세척수투입구(3223)로 투입되는 세척수에 의해 세척수는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원심분리본체(3221) 내부에 담긴 세척수의 회전 동력원은 제2세척수투입구(3223)로 세척수를 투입시키는 워터펌프로 한정된다. 그러나 원심분리본체(3221) 내부에 담긴 세척수 전체를 회전시키는 것은 비효율적인 면이 있다. 실제로 회전력이 필요한 부분은 원심분리본체(3221)의 상부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원심분리장치(3220)로 교반된 재생 잔골재와 세척수가 투입되면 원심분리작용은 원심분리본체(3221)의 상부에서 대부분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원심분리본체(3221)의 상부에는 강한 회전이 필요하지만, 하부에서는 그렇지 않다. 비중차선별부격벽(3227)은, 상승와류발생부(3224)와 원심분리본체(3221)의 하부 중앙부를 분리시켜, 상승와류발생부(3224)와 원심분리본체(3221)의 상부에서의 회전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시키게 한다.
또한, 비중차선별부(3226)의 주위에서는 세척수가 강하게 회전해야할 필요가 없다. 비중차선별부(3226)의 주위에서 세척수가 회전하게 된다면, 원심분리본체(3221)의 중앙부에 군집된 이물질이 오히려 퍼져버릴 수가 있게 때문이다. 비중차선별부격벽(3227)은 원심분리본체(3221)의 중앙부에서 강한 회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심분리장치(3220)는, 원심분리본체(3221)의 하부에 깔대기 형상의 원심분리장치배출구(3228)를 포함할 수 있다. 원심분리장치(3220)로부터 교반된 재생 잔골재와 세척수가 하부로 배출되면 일정위치로 낙하하지 않거나, 방사형으로 퍼져버릴 수 있다. 이것을 방지하고 배출되는 위치를 일정하게 하기 위해 원심분리장치배출구(3228)가 설치될 수 있다. 원심분리장치배출구(3228)는 깔대기 형상으로 구성되어 재생 잔골재와 세척수를 중앙부로 모아주고, 따라서 교반된 재생 잔골재와 세척수는 하부의 일정한 위치로 낙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단계(S300)는, 재생 잔골재를 원활하게 교반시키는 교반과정(S320);과, 세척수의 수면 위로 부유하는 이물질과 재생 잔골재보다 비중이 작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선별하는 원심분리과정(S330);과, 사용한 세척수를 재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침전과정(S360);을 포함하므로써,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고, 세척수의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폐수의 발생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단계(S300)는, 단시간에 이물질을 선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척단계(S300)는, 재생 잔골재를 세척수에 장시간 침지시키지 않고, 재생 잔골재와 세척수를 교반과정(S320)을 통하여 단시간에 교반함으로써, 재생 잔골재가 세척수에 장시간 침지된 것과 같은 혼합효과를 볼 수 있다. 그리고, 원심분리과정(S330)이 진행되는 시간은 종래의 습식 세척법에 비해 짧아지게 된다. 교반과정(S320)을 통한 재생 잔골재와 세척수가 원심분리장치(3220)에 투입되자마자 부우하는 이물질 및 재생 잔골재보다 비중이 작은 이물질의 분리가 수행되고, 분리가 발생하게 되는 위치에 부유선별부(3222) 및 비중차선별부(3226)가 설치되므로 분리 수행 이후 즉시 각각의 이물질이 선별된다. 이것은 장시간 물에 침지되는 종래의 습식 세척법에 비해, 이물질의 수분 흡수가 거의 발생하지 않고, 따라서 수분 흡수에 따른 선별의 어려움도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작업시간이 감소함에 따라 시간당 생산량도 증가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의 전체 세부순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은, 선별단계(S100)와 집진단계(S200)와 세척단계(S300)에 있어서, 재생 잔골재의 입도에 따른 선별과 재생 잔골재의 미분 선별과 재생 잔골재의 이물질 제거 및 세척이 순차적으로 수행된다.
그리고, 선별단계(S100)에서는, 다단의 스크린 철망과 상호 동기화되는 복수의 진동발생부를 이용한 선별과정(S120)을 통하여 건식 재생 잔골재 생산법의 생산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집진단계(S200)에서는, 입도별로 미분의 선별이 가능한 중력분급과정(S220)을 통하여 재생 잔골재의 용도에 따른 분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세척단계(S300))에서는, 세척수의 수면 위로 부유하는 이물질과 재생 잔골재보다 비중이 작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선별하는 원심분리과정(S330)을 통하여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선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은, 건식 재생 잔골재 생산법의 장점과 습식 재생 잔골재 생산법의 장점을 합쳐놓은 재생 잔골재 생산법이고, 이에 더해 건식 재생 잔골재 생산법과 습식 재생 잔골재 생산법의 단점을 개량시키고 효율을 증대시킨 재생 잔골재 생산법인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은, 3단의 스크린철망과 복수의 진동발생부를 통하여 재생 잔골재를 입도에 따라 선별하는 선별단계;와, 와류생성부와 복수의 공기유입덕트를 통하여 입도별 미분의 선별이 가능한 집진단계;와, 세척수를 투입시킬 때 상승하는 와류를 형성시켜서 이물질을 선별하고 재생 잔골재를 세척하는 세척단계;를, 포함하여, 건식 재생 잔골재 생산법의 생산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습식세척법을 통하여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선별 및 세척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0...제1골재공급기
1110...골재공급기프레임
1111...진동발생장치
1120...진동공급판
1130...공급라인
1140...골재투입구
1150...골재배출구
1200...골재용 스크린 장치
1210...1차스크린철망
1220...2차스크린철망
1230...3차스크린철망
1240...제1진동발생부
1250...제2진동발생부
2100...제2골재공급기
2200...중력분급기
2210...메인덕트
2220...우회덕트
2221...방향조절레버
2230...제1공기유입덕트
2231...제1개폐조절밸브
2240...제2공기유입덕트
2241...제2개폐조절밸브
2250...집진덕트
2260...와류생성부
2261...와류증대수단
2262...분급조절수단
2300...싸이클론 집진기
2400...백필터
3100...제3골재공급기
3200...원심분리기
3210...교반장치
3211...교반본체
3212...제1세척수투입구
3213...교반프레임
3214...세척수회수부
3215...상부세척수회수부
3216...중앙세척수회수부
3217...교반장치배출구
3220...원심분리장치
3221...원심분리본체
3222...부유선별부
3223...제2세척수투입구
3224...상승와류발생부
3225...상승와류발생부격벽
3226...비중차선별부
3227...비중차선별부격벽
3228...원심분리장치배출구
3300...이물질탈수기
3310...이물질탈수스크린
3400...모래탈수기
3410...모래탈수스크린
3500...침전조
3510...1차침전수조
3520...2차침전수조
3530...3차침전수조
3540...보관수조

Claims (8)

  1. 3단의 스크린철망과 복수의 진동발생부가 구비된 골재용 스크린 장치;를 통하여, 재생 잔골재를 입도에 따라 선별하는 선별단계;와,
    호 형상의 공간을 갖도록 돌출되어 형성되어 내부에서 와류가 생성되는 와류생성부;와 복수의 공기유입덕트;를 통하여, 입도별 미분의 선별이 가능한 중력분급과정;과, 상기 중력분급과정 이후의 재생 잔골재에서 잔여미분을 포집하는 싸이클론집진과정;을 포함하여, 재생 잔골재에서 미분을 선별하는 집진단계;와,
    세척수를 투입시킬 때 상승하는 와류를 형성시켜서, 재생 잔골재에서 이물질을 선별 및 제거하여 재생 잔골재를 세척하는 세척단계;를,
    포함하는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척단계는,
    원통형의 교반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세척수가 회전하며 분사되게 하는 1차세척수투입과정;과, 상부에서 투입되는 재생 잔골재가 격자 또는 원통 또는 트러스 구조의 교반프레임;을 거쳐서, 상기 1차세척수투입과정을 통하여 분사되는 세척수와 충돌하며 교반되는 충돌교반과정;과, 상기 교반본체의 상부의 측부와 상기 교반본체의 중앙부에 연결된 파이프를 통하여, 상기 교반본체를 범람하는 세척수를 회수하는 세척수회수과정;을 포함하는 교반과정;과,
    원통형의 원심분리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회전되게 분사된 세척수가, 상기 원심분리본체의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형성된 수평방향의 리브(rib) 구조를 통과하며, 상승하는 와류를 형성하게 되는 2차세척수투입과정;과, 상기 원심분리본체의 측부의 상부에 연결된 파이프인 부유선별부;를 통하여, 세척수의 수면 위로 부유된 이물질을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부유선별과정;과, 상기 원심분리본체의 중앙부에 연결된 파이프인 비중차선별부;를 통하여, 비중차에 의해 세척수의 와류의 내측에 모인 상기 이물질을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비중차선별과정;을 포함하는 원심분리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원심분리본체는, 와류의 회전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비중차선별부의 개구부의 하측에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격벽인 비중차선별부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단계는,
    재생 잔골재를 균일한 분포로 공급하는 제1공급과정;과,
    체 형태로 형성된 3단의 상기 스크린철망을 통하여, 재생 잔골재를 입도에 따라 선별하는 선별과정;과,
    잔골재의 입도보다 큰 재생 잔골재를 다시 파쇄하여 상기 제1공급과정에 공급하는 재파쇄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선별과정은,
    진동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상기 진동발생부가 구비되고 상기 진동발생부들은 각각 독립된 전동모터들로 구동되되, 복수의 상기 진동발생부의 상기 전동모터들은 상호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되도록 동기화되는 상기 골재용 스크린 장치;를 통하여, 재생 잔골재를 입도에 따라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단계는,
    재생 잔골재를 균일한 분포로 공급하는 제2공급과정;과,
    호 형상의 공간을 갖도록 돌출되어 형성되어 내부에서 유입 공기가 상승하는 방향으로의 와류가 생성되는 상기 와류생성부;와, 개폐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개폐조절밸브;가 설치되어 공기의 유입량 조절이 가능한 복수의 상기 공기유입덕트;를 통하여, 입도별로 미분의 선별이 가능한 상기 중력분급과정;과,
    싸이클론 집진기를 통하여, 상기 중력분급과정 이후의 재생 잔골재에서 잔여미분을 포집하는 상기 싸이클론집진과정;과,
    백필터를 통하여, 상기 싸이클론집진과정에서 포집된 미분을 여과하는 여과집진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생성부는,
    유입 공기의 와류를 더욱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와류생성부의 돌출부의 반대쪽인 내측 공간에서 상측에서 하측으로의 수직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되되, 공기의 와류의 진행방향에 대해 점진적으로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상부를 향하여 점차적으로 공기 유통량이 증대시키는 판 형상의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와류증대수단;과,
    외부와의 공기 유통량 조절을 위하여, 상기 와류생성부의 타측면 일부가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분급조절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단계는,
    재생 잔골재를 균일한 분포로 공급하는 제3공급과정;과,
    상기 원심분리과정에서 선별된 이물질에서 세척수를 제거하는 이물질탈수과정;과,
    상기 원심분리과정에서 선별된 재생 잔골재에서 세척수를 제거하는 모래탈수과정;과,
    이물질탈수과정 및 상기 모래탈수과정에서 제거된 세척수에 포함된 미분말을 침전시켜서, 세척수의 재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침전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045093A 2016-04-12 2016-04-12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 KR101785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093A KR101785001B1 (ko) 2016-04-12 2016-04-12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093A KR101785001B1 (ko) 2016-04-12 2016-04-12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5001B1 true KR101785001B1 (ko) 2017-10-12

Family

ID=60141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093A KR101785001B1 (ko) 2016-04-12 2016-04-12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00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7081B1 (ko) * 2018-11-20 2019-06-10 주식회사 한미이엔씨 건식 재생 모래골재 분급 방법 및 건식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
KR102003271B1 (ko) * 2018-08-29 2019-07-24 안두혁 고품질 순환 잔골재 생산용 이물질 제거 장치
KR20190117910A (ko) * 2018-04-09 2019-10-17 안두혁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
KR20210115748A (ko) * 2020-03-16 2021-09-27 박훈일 재활용 모래 선별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286B1 (ko) * 2003-02-12 2004-07-21 성안산업개발 주식회사 골재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286B1 (ko) * 2003-02-12 2004-07-21 성안산업개발 주식회사 골재 제조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910A (ko) * 2018-04-09 2019-10-17 안두혁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
KR102082563B1 (ko) * 2018-04-09 2020-02-27 안두혁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
KR102003271B1 (ko) * 2018-08-29 2019-07-24 안두혁 고품질 순환 잔골재 생산용 이물질 제거 장치
KR101987081B1 (ko) * 2018-11-20 2019-06-10 주식회사 한미이엔씨 건식 재생 모래골재 분급 방법 및 건식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
KR20210115748A (ko) * 2020-03-16 2021-09-27 박훈일 재활용 모래 선별 방법
KR102363028B1 (ko) * 2020-03-16 2022-02-15 박훈일 재활용 모래 선별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975B1 (ko)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
US6000645A (en) Axial flow, bi-rotor concrete reclaimer
KR100529690B1 (ko) 건축 폐기물 분류장치 및 그 방법
KR101785001B1 (ko)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
US7387266B2 (en) Aggregate recycling apparatus having air circulation type foreign substance and fine particle separation means, and method thereof
JP5058203B2 (ja) 農業用プラスチック製品の分別再生プラント
KR101223668B1 (ko)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CN104815835B (zh) 一种轻柔薄片物料的回收处理成套设备
KR101464647B1 (ko) 골재-미분말 선별 생산 장치
KR20100138730A (ko)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KR101907579B1 (ko) 3단트롬멜을 갖는 수조식 골재 선별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골재 선별방법
KR101797591B1 (ko) 재생 잔골재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KR20010088626A (ko) 건조성을 향상시킨 진동선별기와 그 진동선별기의 선별공정
KR100559483B1 (ko) 재활용 골재 생산 시스템
KR100722569B1 (ko) 트로멜과 버켓을 이용한 골재 선별 방법 및 그 장치
KR100434799B1 (ko)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을 통한 재생 모래의 제조 방법 및그 장치
KR101884797B1 (ko) 건식 미분 선별기의 미분 제거장치
CN204638700U (zh) 一种轻柔薄片物料的回收处理成套设备
KR100904303B1 (ko) 비중 차를 이용한 폐 플라스틱류 습식 선별방법
JP4376178B2 (ja) シュレッダーダストの処理方法及びその設備
KR102597517B1 (ko) 골재에 포함되어 있는 미분을 공기순환 방식에 의해 분리하는 미분 분리장치
KR102597523B1 (ko) 공기 순환방식의 미분 선별이 우수한 건식 순환 잔골재 생산장치
KR100464805B1 (ko) 골재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4686309B2 (ja) 分粒分級装置
CN219253287U (zh) 振动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