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563B1 -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 - Google Patents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563B1
KR102082563B1 KR1020180040851A KR20180040851A KR102082563B1 KR 102082563 B1 KR102082563 B1 KR 102082563B1 KR 1020180040851 A KR1020180040851 A KR 1020180040851A KR 20180040851 A KR20180040851 A KR 20180040851A KR 102082563 B1 KR102082563 B1 KR 102082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watering
vacuum
aggregate
water
dehyd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7910A (ko
Inventor
안두혁
Original Assignee
안두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두혁 filed Critical 안두혁
Priority to KR1020180040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563B1/ko
Publication of KR20190117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7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4/00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02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using shaken, pulsated or stirred beds as the principal means of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7/00Combinations of wet processes or apparatus with other processes or apparatus, e.g. for dressing ores 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분을 함유한 잔골재인 함수잔골재를 연속적으로 탈수시킬 수 있는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는, 회전되는 원통 형상의 탈수드럼;과 탈수드럼의 상부에 고정되되 함수잔골재가 살포되는 탈수스크린;을 포함하는 탈수부;와, 탈수부의 내부에서 함수잔골재로부터 수분을 흡입시키는 진공을 발생시키는 흡입부;와, 탈수부의 내부와 흡입부를 연결시키는 흡기관;과 탈수부의 하부에 밀착고정되되 흡기관의 외부에 형성되는 이중관으로 형성되여 흡기관 사이의 공간을 통해 수분을 배출시키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A dehydrator for fine aggregates using vacuum}
본 발명은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분을 함유한 잔골재인 함수잔골재를 연속적으로 탈수시킬 수 있는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잔골재를 생산하기 위해 세척 공정 이후 탈수를 시행하는데 있어, 종래에는 진동을 이용한 탈수 장치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9713호'에 세척수의 탈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9713호'와 같은 탈수 장치는 소음 및 진동으로 인해 작업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고, 중력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함수율을 효과적으로 낮추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스크린망을 진동시켜 잔골재로부터 세척수를 탈수시키는 것은, 모래의 가장 중요한 초미사(0.075mm~0.5mm)가 물과 함께 스크린 망 사이로 통과되어 물과 함께 배출됨으로써 조립율이 초과되기 때문에, 해사 및 자연사를 섞어 사용하게 되는 2차적 문제까지 야기시킨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2364호'에는 진공을 이용한 모래 탈수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2364호'는 여전히 진동을 이용하고 있어 종래의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하지 못했고, 모래가 진동에 의해 이송되는 구조적 문제로 다량의 모래를 연속적으로 탈수시키는데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89713호 (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6236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되지 않는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잔골재를 연속적으로 탈수시킬 수 있는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함수율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는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는, 회전되는 원통 형상의 탈수드럼;과 탈수드럼의 상부에 고정되되 함수잔골재가 살포되는 탈수스크린;을 포함하는 탈수부;와, 탈수부의 내부에서 함수잔골재로부터 수분을 흡입시키는 진공을 발생시키는 흡입부;와, 탈수부의 내부와 흡입부를 연결시키는 흡기관;과 탈수부의 하부에 밀착고정되되 흡기관의 외부에 형성되는 이중관으로 형성되여 흡기관 사이의 공간을 통해 수분을 배출시키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는, 탈수부의 상부로 함수잔골재를 투입시키는 투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투입부는, 일방하측의 함수잔골재를 타방상측으로 이송시키는 투입스크류;와, 투입스크류의 외측에 형성되어 투입스크류에 의해 이송되는 함수잔골재의 이탈을 방지하며, 함수잔골재의 일방하측에서의 공급을 위한 공급구 및 함수잔골재의 타방상측에서의 투입을 위한 투입구가 구비되는 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탈수부는, 상측에서 낙하되는 함수잔골재를 탈수스크린 상부에 투입시키는 호퍼;와, 탈수스크린;과, 탈수드럼;과, 탈수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호퍼의 탈수스크린 회전 방향측에 탈수스크린의 중심과 탈수스크린의 외측을 가로질러 위치되어, 호퍼에서 투입되는 함수잔골재를 평탄화높이로 평탄화시키는 블레이드;와, 호퍼의 탈수스크린 회전 반대방향측에 탈수스크린의 중심점과 탈수스크린의 외측을 가로질러 위치되어, 수집높이 이상의 함수잔골재를 수집하는 수집가이드;와, 수집가이드의 탈수스크린 회전 반대방향측에 위치되되, 스크류의 회전을 통해 탈수스크린의 중심점으로부터 탈수스크린의 외측으로 함수잔골재를 배출시키는 수집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탈수드럼은, 원형관 형상의 상부드럼;과, 상부드럼의 하부에 연결되는 깔대기 형상의 하부드럼;과, 탈수드럼의 중심과 탈수드럼의 외측을 가로지르는 방사형의 수직벽인 다수의 지지벽;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탈수스크린은, 함수잔골재로부터 수분을 필터링하는 탈수매쉬;와, 탈수매쉬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수평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탈수부는, 블레이드와 수집가이드의 사이에 배치되되, 함수잔골재를 가열시킬 수 있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탈수부는, 블레이드와 수집가이드의 사이에 배치되되, 함수잔골재를 상부의 외기로부터 분리시키는 보호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탈수부는, 탈수부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는 흡기관의 개방된 일측의 주변부 및 상부에 배치되어 흡기관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수분유입방지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흡입부는,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발생기;와, 진공발생기와 상기 흡기관의 사이에 배치되어 흡기관에 일정한 부압을 전달시키는 진공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진공챔버는, 진공발생기와 상기 흡기관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챔버;와, 상부챔버와 연결되되 상부챔버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챔버;와, 상부챔버와 상기 하부챔버의 사이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제1챔버밸브;와,상기 하부챔버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2챔버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배출부는, 흡기관;과, 배출관;과, 배출관의 하부에 위치되어 배출된 수분을 저장시키는 침전탱크;와, 침전탱크의 상측 주변부에 위치되어 침전탱크에서 범람되는 수분을 배출시키는 배출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는,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는, 잔골재를 연속적으로 탈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는, 함수율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탈수부 및 배출부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탈수부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탈수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탈수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탈수부의 탈수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탈수스크린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흡입부의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배출부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탈수부 및 배출부의 조립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는, 회전되는 원통 형상의 탈수드럼(130)과 탈수드럼의 상부에 고정되되 세척수를 포함하는 함수잔골재가 살포되는 탈수스크린(120)을 포함하는 탈수부(100)와, 탈수부의 내부에서 함수잔골재로부터 수분을 흡입시키는 진공을 발생시키는 흡입부(300)와, 탈수부의 내부와 흡입부를 연결시키는 흡기관(210)과 탈수부의 하부에 밀착고정되되 흡기관의 외부에 형성되는 이중관으로 형성되여 흡기관 사이의 공간을 통해 수분을 배출시키는 배출관(220)을 포함하는 배출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는, 탈수부(100) 및 배출부(20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프레임(5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는, 탈수부의 상부로 함수잔골재를 투입시키는 투입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투입부(400)는, 일방하측의 함수잔골재를 타방상측으로 이송시키는 투입스크류(410)와, 투입스크류의 외측에 형성되어 투입스크류에 의해 이송되는 함수잔골재의 이탈을 방지하며, 함수잔골재의 일방하측에서의 공급을 위한 공급구(421) 및 함수잔골재의 타방상측에서의 투입을 위한 투입구(422)가 구비되는 케이싱(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탈수부(100)는 프레임(500)의 상측에 위치되는 바, 상기 탈수부(100)에 함수잔골재를 투입시키기 위해 투입부(400)가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투입부(400)는 세척수를 포함하는 함수잔골재로부터 투입스크류(410) 및 케이싱(420) 내부면의 마찰에 의해 알칼리성분 등을 포함하는 이물질을 2차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탈수부(100) 및 배출부(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에 이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탈수부의 조립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탈수부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탈수부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탈수부의 탈수 공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탈수부(100)는, 상측에서 낙하되는 함수잔골재를 탈수스크린 상부에 투입시키는 호퍼(110)와, 탈수스크린(120)과, 탈수드럼(130)과, 탈수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140)과, 호퍼의 탈수스크린 회전 방향측에 탈수스크린의 중심과 탈수스크린의 외측을 가로질러 위치되어, 호퍼에서 투입되는 함수잔골재를 평탄화높이로 평탄화시키는 블레이드(150)와, 호퍼의 탈수스크린 회전 반대방향측에 탈수스크린의 중심점과 탈수스크린의 외측을 가로질러 위치되어, 수집높이 이상의 함수잔골재를 수집하는 수집가이드(160)와, 수집가이드의 탈수스크린 회전 반대방향측에 위치되되, 스크류의 회전을 통해 탈수스크린의 중심점으로부터 탈수스크린의 외측으로 함수잔골재를 배출시키는 수집스크류(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탈수부(100)에서 수직을 축으로 회전되는 부분은 탈수스크린(120) 및 탈수드럼(130)이고, 프레임(500)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아니하는 부분은 호퍼(110) 및 구동수단(140) 및 블레이드(150) 및 수집가이드(160) 및 수집스크류(170)이다. 탈수드럼(130)은 수직축 회전을 원활히 하기 위해 상부에 드럼회전축(136)을 포함할 수 있고, 드럼회전축의 하부에 드럼회전축과 탈수드럼을 연결시키는 드럼회전링(137)을 포함할 수 있다. 드럼회전축(136)의 상측부분은 프레임(500)에 위치고정되는 것이 가능하고, 하중의 일부를 전달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탈수드럼(130)은 수직축 회전을 원활히 하기 위해 하부의 프레임(500)과의 접촉부분에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호퍼(110)는 상측에서 낙하되는 함수잔골재를 안정적으로 탈수스크린(120) 상부에 투입시킨다. 또한 호퍼(110)의 하부투입구는 탈수스크린의 중심점과 탈수스크린의 외측을 가로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탈수스크린(120) 상부에 함수잔골재를 고르게 살포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호퍼(110)에서 투입된 함수잔골재는 블레이드(150)에 의해 평탄화높이로 평탄화된다. 평탄화높이는 탈수스크린(120) 상에서 함수잔골재가 탈수되기 위해 살포되는 높이이다. 블레이드(150)는 탈수스크린(120) 상의 함수잔골재의 평탄화높이를 동일하게 만드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블레이드(150)는 탈수스크린(120)과 평행한 일직선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평탄화높이는 회전드럼() 내부의 부압에 의해 잔골재의 수분이 탈수될 수 있는 최대 높이보다 작아야 한다. 따라서 상기 평탄화높이는 부압의 강도 및 잔골재 입자의 크기 등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평탄화를 시행하는 것은 탈수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탈수스크린(120) 상의 함수잔골재에 고르게 부압이 작용되어야 탈수가 원활하게 진행되는데, 균일하게 부압이 작용되기 위해서는 탈수스크린(120) 상의 함수잔골재가 고르게 살포되어 있어야 한다. 함수잔골재가 고르게 살포되어 있지 않게 되면, 함수잔골재가 적게 살포된 부분에 부압이 집중되게 되어 다른 부분에는 탈수 효과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탈수부(100)는, 블레이드와 수집가이드의 사이에 배치되되, 함수잔골재를 가열시킬 수 있는 가열수단(180)과, 블레이드와 수집가이드의 사이에 배치되되, 함수잔골재를 상부의 외기로부터 분리시키는 보호커버(19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열수단(180) 또는 보호커버(190)는 동절기에 탈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수단이다. 동절기에는 수분이 응고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가열수단(180)을 이용해 응고를 방지한다. 또한 가열수단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함수잔골재가 외기의 영향에서 분리시키기 위해 보호커버(190)를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보호커버(190)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수분을 차단시키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가열수단(180)은 보호커버(190)의 하측의 내부공간에 열을 전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호커버(190)는 외기를 차단하지 아니하고 통기가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탈수부(100)는, 탈수부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는 흡기관의 개방된 일측의 주변부 및 상부에 배치되어 흡기관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수분유입방지벽(138)을 포함할 수 있다. 수분유입방지벽(138)은 상부가 폐쇄되고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수분유입방지벽(138)의 외주면은 하기의 지지벽(135)들에 밀착되어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탈수드럼(130)은, 원형관 형상의 상부드럼(131)과, 상부드럼의 하부에 연결되는 깔대기 형상의 하부드럼(132)과, 탈수드럼의 중심과 탈수드럼의 외측을 가로지르는 방사형의 수직벽인 다수의 지지벽(13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부드럼(132)의 하부에는 하부파이프(133)가 연장될 수 있고, 탈수드럼(130)의 하부의 외주면에는 구동수단(140)에서 전달되는 동력을 받을 수 있는 하부기어(134)가 설치될 수 있다.
상부드럼(131)에는 탈수스크린(120)이 설치되고, 하부드럼(132)은 부압에 의해 탈수된 수분을 일방향으로 모으는 역할을 하고, 지지벽(135)은 탈수스크린(120)을 지지한다.
구동수단(140)은 모터(141) 및 모터의 동력을 탈수드럼(130)에 전달시키는 구동기어(143) 및 모터의 동력을 구동기어에 전달시키는 동력전달수단(142)을 포함할 수 있다. 탈수드럼(130)은 느리게 회전될수록 탈수 성능이 향상되는데 모터(141)의 회전수는 구동기어(143)에 의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구동기어(143)는 모터에 의한 회전의 방향을 전환시키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41)의 수평축 회전을 탈수드럼(130)의 수직축 회전으로의 변환이 구동기어(143)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동력전달수단(142)은 팬밸트 또는 V밸트 또는 체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집가이드(160)와 수집스크류(170)에 의해 탈수된 잔골재가 회수된다. 수집가이드(160)는 잔골재 전부를 회수하지 아니하고, 탈수스크린 상에 일부를 수집높이 만큼 남겨 잔류시킨다. 수집높이는 탈수스크린 상에 상시 잔존되는 잔골재의 높이이다. 이것은 탈수스크린이 외기에 노출되어 부압이 노출된 탈수스크린 상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수집높이만큼 탈수스크린 상에 잔골재가 잔존하여 상기 부압을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수집가이드(160)의 탈수스크린 회전 방향측에는 호퍼(110)가 최소한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수스크린 상에 잔골재가 수집높이의 살포되는 면적은 가능한 최소로 유지되는 것이 탈수 효율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수집가이드(160)의 하측은 수집스크류(170) 측으로 일부가 만곡되는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잔골재를 수집가이드(160)의 측면에 적체시키는 것과 수집스크류(170)가 잔골재를 수집하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수집스크류(170)는 수집가이드(160)의 측면에 적체되는 잔골재를 탈수스크린(120) 및 탈수드럼(130)의 외부로 이동시킨다. 수집스크류(170)에 의해 이동된 잔골재는 콘베이어밸트(101)에 의해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 외부로 이송된다.
도 6에 탈수부의 탈수공정이 도시되어 있다. 호퍼(110)에서 함수잔골재가 살포되면 탈수스크린(120)의 회전에 의해 함수잔골재의 이동이 시작된다. 함수잔골재는 블레이드(150)에 의해 평탄화되고 탈수드럼(130) 내부의 진공에 의해 탈수가 시행된다. 탈수 시 가열수단(180)은 함수잔골재의 수분이 응결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탈수가 완료된 잔골재는 수집가이드(160) 및 수집스크류(170)에 의해 탈수드럼의 외부로 배출된다. 수집가이드(160)에 의해 수집높이가 된 잔골재는 다시 호퍼(110)의 하부로 이동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탈수스크린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탈수스크린(121,122)은, 함수잔골재로부터 수분을 필터링하는 탈수매쉬(121,122)와, 탈수매쉬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수평지지부재(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탈수매쉬는 적어도 2겹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부에 위치되는 탈수매쉬는 하부의 탈수매쉬 보다 망의 눈크기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의 실시예에서, 탈수매쉬는 제1탈수매쉬(121)와 제2탈수매쉬(122)를 포함하는데, 제1탈수매쉬(121)의 망의 눈크기는 제2탈수매쉬(122)의 망의 눈크기 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이를테면, 도 7에서 제1탈수매쉬(121)의 망의 눈크기는 05.mm로, 제2탈수매쉬(122)의 망의 눈크기는 2mm로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입자 선별용 스크린의 매쉬와 반대의 구조인데, 이것은 필터링하는 대상이 입자가 아니라 수분이기 때문이다. 또한, 하부로 갈수록 공동의 체적이 증가되는 구성을 통해 수분의 유출이 더욱 용이해지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수평지지부재(123)는 다수의 천공에 형성된 판 상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테면 수평지지부재(123)는 타공판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수직지지부재(124)는 지지벽(135)과 수평지지부재(123)를 구조적으로 연결시킨다. 수직지지부재(124)의 하부에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완충재(125)가 설치될 수 있다. 완충재(125)는 탈수스크린에 전달되는 진동 또는 외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탈수스크린(120)은 지지벽(135)을 따라 분할될 수 있다. 이것은 탈수스크린(120)의 설치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흡입부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흡입부(300)는,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발생기(310)와, 진공발생기와 상기 흡기관의 사이에 배치되어 흡기관에 일정한 부압을 전달시키는 진공챔버(3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진공챔버(320)는, 진공발생기와 상기 흡기관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챔버(321)와, 상부챔버와 연결되되 상부챔버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챔버(322)와, 상부챔버와 하부챔버의 사이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제1챔버밸브(323)와, 하부챔버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2챔버밸브(3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챔버밸브(323)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부챔버(321) 만이 흡기관에 일정한 부압을 전달시키게 된다. 제2챔버밸브(324)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제1챔버밸브(323)를 개방시키면 흡기관을 통해 유입되어서 상부챔버(321)의 하부에 모인 수분이 하부챔버(322)로 이동된다. 제1챔버밸브(323)를 폐쇄시킨 상태에서 제2챔버밸브(324)를 개방시키면 하부챔버(322)로 이동된 수분이 외부로 배출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배출부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배출부(200)는, 흡기관(210)과, 배출관(220)과, 배출관의 하부에 위치되어 배출된 수분을 저장시키는 침전탱크(230)와, 침전탱크의 상측 주변부에 위치되어 침전탱크에서 범람되는 수분을 배출시키는 배출트레이(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출관(220)의 하측부는 침전탱크(230)의 내부공간에 위치된다. 침전탱크(230)는 상부가 개방된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배출관(220)의 하측부가 침전탱크(230)의 개방부 보다 하측이 위치되는 것이다. 이것은 침전탱크(230)가 가득차 있고 흡기관(210)과 배출관(220)의 사이공간에 수분이 충전되어 있어야 탈수드럼(130)의 내부에 부압이 작용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관(210)은 탈수드럼의 내부공간에 상부가 진입되지만 접촉 및 고정은 되지 않아 회전되지 않는다. 반면, 배출관(220)은 탈수드럼의 하부에 고정되어 탈수드럼과 함께 회전된다. 즉, 흡기관(210)은 하부가 고정되고 배출관(220)은 상부가 고정되며, 상호 이중관의 형상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배출관(220)의 설치에 있어 문제가 발생된다. 즉, 배출관(220)이 일체화된 파이프의 형상이라면 흡기관의 외부에 배출관을 설치하는데 공정상의 난해함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의 배출관(220)은 횡으로 분리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한쌍의 하프파이프를 상호 결합시켜 배출관(220)을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배출관(220)을 제외시킨 채 탈수부 및 배출부를 조립하고, 흡기관의 외부에 한 쌍의 배출관 부품을 조립시킨 후 배출관의 상부를 탈수드럼의 하부에 고정시켜 보다 용이하게 배출관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배출관의 유지보수도 매우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침전탱크(230)가 가득차 있는 상태에서 흡기관(210)과 배출관(220)의 사이로 탈수된 수분이 내려와 침전탱크(230)로 부터 범람하는 수분은 배출트레이(240)로 배출된다. 배출트레이(240)의 하부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경사면의 하측에는 수분을 배출트레이(240)의 외부로 내보내는 배출파이프(241)가 설치될 수 있다.
침전탱크(230)의 하부에는 침전탱크밸브(231)가 설치된다. 침전탱크(230)는 수분을 수집하여 저장시키는 동안에 탈수된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침전시키게 되는데 침전된 이물질은 침전탱크(230)의 하부에 모이게 된다. 이러한 이물질은 침전탱크밸브(231)통해 손쉽게 제거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는, 회전되는 탈수드럼 및 탈수스크린을 포함하는 탈수부;와, 탈수부 상부의 수분을 흡입하는 흡입부;를 포함하여, 잔골재로부터 효과적으로 수분을 탈수시킬 수 있는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탈수부
110...호퍼
120...탈수스크린
121...제1탈수매쉬
122...제2탈수매쉬
123...수평지지부재
124...수직지지부재
125...완충재
130...탈수드럼
131...상부드럼
132...하부드럼
133...하부파이프
134...하부기어
135...지지벽
136...드럼회전축
137...드럼회전링
138...수분유입방지벽
140...구동수단
141...모터
142...동력전달수단
143...구동기어
150...블레이드
160...수집가이드
170...수집스크류
180...가열수단
190...보호커버
101...콘베이어밸트
200...배출부
210...흡기관
220...배출관
230...침전탱크
231...침전탱크밸브
240...배출트레이
241...배출파이프
300...흡입부
310...진공발생기
320...진공챔버
321...상부챔버
322...하부챔버
323...제1챔버밸브
324...제2챔버밸브
400...투입부
410...투입스크류
420...케이싱
421...공급구
422...투입구
500...프레임

Claims (12)

  1. 회전되는 원통 형상의 탈수드럼, 및 상기 탈수드럼의 상부에 고정되되 함수잔골재가 살포되는 탈수스크린을 포함하는 탈수부;
    상기 탈수부의 내부에서 상기 함수잔골재로부터 수분을 흡입시키는 진공을 발생시키는 흡입부;
    상기 탈수부의 내부와 상기 흡입부를 연결시키는 흡기관, 및 상기 탈수부의 하부에 밀착고정되되 상기 흡기관의 외부에 형성되는 이중관으로 형성되여 상기 흡기관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수분을 배출시키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배출부; 및
    상기 탈수부의 상부로 상기 함수잔골재를 투입시키는 투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부는, 일방하측의 상기 함수잔골재를 타방상측으로 이송시키는 투입스크류, 및 상기 투입스크류의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투입스크류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함수잔골재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함수잔골재의 일방하측에서의 공급을 위한 공급구 및 상기 함수잔골재의 타방상측에서의 투입을 위한 투입구가 구비되는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탈수부는, 상측에서 낙하되는 상기 함수잔골재를 상기 탈수스크린 상부에 투입시키는 호퍼와, 상기 탈수스크린과, 상기 탈수드럼과, 상기 탈수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호퍼의 상기 탈수스크린 회전 방향측에 상기 탈수스크린의 중심과 상기 탈수스크린의 외측을 가로질러 위치되어, 상기 호퍼에서 투입되는 상기 함수잔골재를 평탄화높이로 평탄화시키는 블레이드와, 상기 호퍼의 상기 탈수스크린 회전 반대방향측에 상기 탈수스크린의 중심점과 상기 탈수스크린의 외측을 가로질러 위치되어, 수집높이 이상의 상기 함수잔골재를 수집하는 수집가이드, 및 상기 수집가이드의 상기 탈수스크린 회전 반대방향측에 위치되되, 스크류의 회전을 통해 상기 탈수스크린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탈수스크린의 외측으로 상기 함수잔골재를 배출시키는 수집스크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드럼은,
    원형관 형상의 상부드럼;과,
    상기 상부드럼의 하부에 연결되는 깔대기 형상의 하부드럼;과,
    상기 탈수드럼의 중심과 상기 탈수드럼의 외측을 가로지르는 방사형의 수직벽인 다수의 지지벽;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스크린은,
    상기 함수잔골재로부터 수분을 필터링하는 탈수매쉬;와,
    상기 탈수매쉬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수평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는,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수집가이드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함수잔골재를 가열시킬 수 있는 가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는,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수집가이드의 사이에 배치되되, 상기 함수잔골재를 상부의 외기로부터 분리시키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부는,
    상기 탈수부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는 상기 흡기관의 개방된 일측의 주변부 및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흡기관으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수분유입방지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는,
    진공을 발생시키는 진공발생기;와,
    상기 진공발생기와 상기 흡기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흡기관에 일정한 부압을 전달시키는 진공챔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챔버는,
    상기 진공발생기와 상기 흡기관의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챔버;와,
    상기 상부챔버와 연결되되 상기 상부챔버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챔버;와,
    상기 상부챔버와 상기 하부챔버의 사이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제1챔버밸브;와,
    상기 하부챔버의 하측에 위치되는 제2챔버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흡기관;과,
    상기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의 하부에 위치되어 배출된 수분을 저장시키는 침전탱크;와,
    상기 침전탱크의 상측 주변부에 위치되어 상기 침전탱크에서 범람되는 수분을 배출시키는 배출트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
KR1020180040851A 2018-04-09 2018-04-09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 KR102082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851A KR102082563B1 (ko) 2018-04-09 2018-04-09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0851A KR102082563B1 (ko) 2018-04-09 2018-04-09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910A KR20190117910A (ko) 2019-10-17
KR102082563B1 true KR102082563B1 (ko) 2020-02-27

Family

ID=68424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851A KR102082563B1 (ko) 2018-04-09 2018-04-09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56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510B1 (ko) * 2006-05-19 2006-09-07 김원기 건식 여과사 재생공법 및 그의 장치
KR101559914B1 (ko) * 2015-07-03 2015-10-14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골재의 미분 분리장치
CN105032756A (zh) * 2015-09-09 2015-11-11 徐州天科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真空负压固液分离振动筛
KR101687633B1 (ko) * 2016-01-19 2016-12-19 정지화 진공챔버를 이용한 폐합성수지 탈수 장치
KR101785001B1 (ko) * 2016-04-12 2017-10-12 주식회사 한미이엔씨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
KR101797591B1 (ko) * 2016-04-12 2017-12-12 주식회사 한미이엔씨 재생 잔골재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2364Y1 (ko) 2004-06-23 2004-09-16 크라텍주식회사 모래 탈수 장치
KR101489713B1 (ko) 2014-05-22 2015-02-04 주식회사 일진도시환경 폐 건축 골재 재생 시스템용 토분 혼합 세척수의 탈수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510B1 (ko) * 2006-05-19 2006-09-07 김원기 건식 여과사 재생공법 및 그의 장치
KR101559914B1 (ko) * 2015-07-03 2015-10-14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골재의 미분 분리장치
CN105032756A (zh) * 2015-09-09 2015-11-11 徐州天科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真空负压固液分离振动筛
KR101687633B1 (ko) * 2016-01-19 2016-12-19 정지화 진공챔버를 이용한 폐합성수지 탈수 장치
KR101785001B1 (ko) * 2016-04-12 2017-10-12 주식회사 한미이엔씨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
KR101797591B1 (ko) * 2016-04-12 2017-12-12 주식회사 한미이엔씨 재생 잔골재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7910A (ko) 2019-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260298U (zh) 一种用于污水处理的防堵塞过滤装置
CN205949077U (zh) 一种固液分离装置
JPH052047B2 (ko)
CN111841138A (zh) 一种负压筛
CN109107721A (zh) 一种建筑工程用新式研磨筛分装置
CN111807667A (zh) 一种污泥无害化环保处理系统及工艺
KR101431161B1 (ko) 모래 및 협잡물 여과, 탈수 장치
KR102082563B1 (ko)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
CN206882291U (zh) 一种超声波搅拌清洗纺织用亚麻的装置
CN208555030U (zh) 一种旋振谷物清理筛
KR20120011990A (ko) 브러쉬형 미세 협잡물처리기
EP0072590B1 (en) Vibrating dewatering screen for an apparatus for recovery of particulate matter from suspension
CN108187400A (zh) 一种化工设备用物料过滤机构
CN108126416A (zh) 旋流式内排污固体滤料清洗分离装置及方法
CN108970240A (zh) 一种砂水分离器
CN210620449U (zh) 一种用于炉渣处理的水循环系统
CN211412755U (zh) 一种稻米油原料预加工装置
CN210358067U (zh) 一种大豆除杂装置
CN215040531U (zh) 斜筛式固液分离机
CN207614499U (zh) 一种污水处理用旋流除砂器
CN207507129U (zh) 井下钻孔气液固三相分离装置
KR20090028134A (ko) 회전드럼식 고액분리기
KR102003271B1 (ko) 고품질 순환 잔골재 생산용 이물질 제거 장치
CN109986718A (zh) 一种用于生活垃圾分选系统的塑料清洗及提纯装置
CN218132574U (zh) 一种混合物料预分离过滤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