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364Y1 - 모래 탈수 장치 - Google Patents

모래 탈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364Y1
KR200362364Y1 KR20-2004-0017764U KR20040017764U KR200362364Y1 KR 200362364 Y1 KR200362364 Y1 KR 200362364Y1 KR 20040017764 U KR20040017764 U KR 20040017764U KR 200362364 Y1 KR200362364 Y1 KR 2003623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sand
water
tank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77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점룡
Original Assignee
크라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라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크라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177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3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3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3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using momentum effects
    • B07B13/11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using momentum effects involving travel of particles over surfaces which separate by centrifugal force or by relative friction between particles and such surfaces, e.g. helical so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Landscapes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골재 선별장치에서 선별할 때 모래 중에 포함된 수분을 효과적으로 탈수하기 위한 모래 탈수 장치가 개시된다.
종래에는 진동에 의해 선별되는 모래 중에 포함된 수분이 진동력에 의해 탈수가 이루어짐으로써 함수율이 많게 되어 제조 설비 및 주변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운반시 차량이나 도로 등을 2차적으로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물과 골재가 저장된 골재 탱크와, 상기 골재 탱크 내의 모래를 진동에 의해 선별하여 이송시키는 스크린체를 구비한 골재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골재 탱크(21)의 상측에는 스크린체(20)에서 낙하하는 골재와 물을 안내하는 안내 경사판(22)이 장착되고, 상기 안내 경사판(22)의 상측에는 에어 펌프(24)의 작동에 따라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골재 탱크(21)의 내부에 부압이 작용하도록 하는 배기관(2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탈수 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골재 탱크 내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배출시켜 내부 압력을 부압으로 형성시킴으로써 탈수 효과를 향상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제조된 모래의 함수율이 최소로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제조 설비 및 그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운송 중의 도로 오염이나 운반 차량의 오염 등의 2차 오염을 방지하고 제조 시간을 단축시키며 더욱 향상된 품질의 골재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모래 탈수 장치{A sand dehydrating apparatus}
본 고안은 모래 탈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별된 모래 중에 포함된 수분을 효과적으로 탈수하여 함수율을 최소화할 수 있는 모래 탈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래는 광산 등에서 채취한 암석을 일정 크기로 파쇄 또는 분쇄하여 골재 선별기에서 일정 크기 별로 분리하여 얻거나 강, 바다 등에서 채취한 모래를 일정 크기 별로 골재 선별기에서 선별한 후 건축용 등의 모래로 사용하게 된다.
종래에 이와 같은 모래의 채취는 광산 및 강이나 바다에서 채취 한 골재는 물을 투입하여 세척한 후 선별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골재 선별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과 함께 골재가 저장된 골재 탱크(10)의 상측에는 진동 모터(11)의 작동에 따라 진동을 행하면서 일정 크기의 골재를 선별하는 스크린체(12)가 일단 또는 다단으로 설치되고, 그 일측에는 상기 스크린체(12)로 골재중의 미세 골재를 분리하여 공급하는 사이클론(13)이 설치되며, 상기 사이클론(13)에는 골재 탱크(10) 내의 골재와 물을 펌프(14)의 작동에 의해 강제적으로 흡입하는 압송관(15) 및 미세 입자의 골재를 배출하는 배출관(16)이 각각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체(12)의 선단에는 이송된 골재를 안내하는 회수 호퍼(17)가 구비되고, 상기 회수 호퍼(17)의 하측에는 낙하된 골재를 이송시켜 골재 저장부(18)에 저장시키는 이송 컨베이어(19)가 설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골재 탱크(10) 내로 골재 및 물이 투입된 상태에서 펌프(14)가 작동하면 압송관(15)을 통하여 골재와 함께 물이 강제로 압송되어 사이클론(13)의 내부로 유입되면 내부에서 물과 골재의 소용돌이에 의해 비교적 입자가 큰 65㎛ 이상의 모래는 원심 분리되어 스크린체(12)로 낙하되고 입자가 미세한 미사, 점토, 황토 등과 같은 65㎛ 이하의 미분을 포함한 물은 배출관(16)을 통하여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체(12)로 낙하된 골재는 진동 모터(11)의 작동에 따라 진동하는 스크린체(12)에 의해 크기가 선별되어 회수 호퍼(17)를 통하여 이송 컨베이어(19)로 공급되어 골재 저장부(18)에 저장되는 것이다.
상기 스크린체(12)를 통하여 이송되는 골재, 즉 모래에 포함된 수분은 자연 낙하하여 함수율이 13~17% 정도로 되는데, 이와 같이 제조된 모래에서 함수율이 많게 되면 곧바로 운반이 어렵게 되며, 곧바로 운반할 경우에는 물이 운반 차량에서 낙하됨에 따라 도로를 오염시키는 한 요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운반 적재량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고, 세척에 따른 세척수의 소비량이 많게 되고 생산 설비 및 그 주변부가 오염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선별되는 골재 중에 포함된 수분을 효과적으로 탈수하여 함수율을 종래보다 현저하게 감소시켜 세척수에 의한 생산 설비 및 운반 차량 등의 오염을 방지함과 아울러 세척수의 소비량을 절감하고 운반 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모래 탈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모래 선별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모래 탈수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모래 탈수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스크린체 21: 골재 탱크
22: 안내 경사판 23: 배기관
23a: 공기 유입부 24: 에어 펌프
25: 망체 30: 안내판
31: 공기 유입구 S: 모래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모래 탈수 장치는, 물과 골재가 저장된 골재 탱크와, 상기 골재 탱크 내의 모래를 진동에 의해 선별하여 이송시키는 스크린체를 구비한 골재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골재 탱크(21)의 상측에는 스크린체(20)에서 낙하하는 골재와 물을 안내하는 안내 경사판(22)이 장착되고, 상기 안내 경사판(22)의 상측에는 에어 펌프(24)의 작동에 따라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골재 탱크(21)의 내부에 부압이 작용하도록 하는 배기관(2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골재 탱크 내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배출시켜 내부 압력을 부압으로 형성시킴으로써 탈수 효과를 향상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제조된 모래의 함수율이 최소로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제조 설비 및 그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운송 중의 도로 오염이나 운반 차량의 오염 등의 2차 오염을 방지하고 제조 시간을 단축시키며 더욱 향상된 품질의 골재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모래 탈수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진동에 의해 유동되면서 모래(S)를 크기에 따라 선별하는 스크린체(20)는 프레임(20a)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크린체(20)의 하측에는 골재와 물이 혼합되어 저장된 골재 탱크(2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골재 탱크(21)의 상측에는스크린체(20)로부터 낙하된 골재를 안내하는 안내 경사판(22)이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내 경사판(22)은 양측 가장자리가 높게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선단에는 낙하된 골재와 물이 골재 탱크(21) 내의 물속으로 투입되도록 투입구(22a)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크린체(20)와 안내 경사판(22)의 사이에는 내부 공기를 배기시키는 배기관(23)의 선단이 위치되어 있으며, 타단은 골재 탱크(21)의 외측에 위치되어 에어 펌프(24)의 작동에 의해 골재 탱크(21) 내의 공기를 배출시키도록 하고 있다.
상기 배기관(23)의 선단은 공기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깔때기 형상의 공기 유입부(2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 유입부(23a)에는 모래 등의 이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망체(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기관(23)의 선단에 형성된 공기 유입부(23a)는 복수 개를 형성하여 위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골재 탱크(21)의 일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펌프의 작동에 의해 사이클론으로 물과 골재를 강제적으로 압송하기 위한 압송관(21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래 탈수 장치는 세척된 모래 등의 골재가 스크린체(20)로 공급되면 도시하지 않은 진동 모터의 작동에 의해 진동되면서 모래(S)를 크기에 따라 선별하여 도시하지 않은 이송 컨베이어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스크린체(20)에서 이동되는 모래(S)는 일정 크기 이하는 낙하하여 물과 함께 안내 경사판(22)으로 낙하되고, 상기 안내 경사판(22)으로 낙하된 물과 모래는 투입구(22a)를 통하여 골재 탱크(21) 내로 투입되어 진다.
이때, 에어 펌프(24)가 작동하여 상기 스크린체(20)와 안내 경사판(22) 사이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배기관(23)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면 상기 골재 탱크(21) 내에는 부압이 발생됨으로써 스크린체(20)로 이송되는 모래(S) 중에 포함된 수분은 더욱 더 탈수 효과가 향상됨으로써 모래 중에 포함된 함수율을 최소로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케 되는데, 이때의 함수율은 종래보다 훨씬 낮은 10%이하의 함수율을 갖도록 하는 것이 가능케 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관(23)의 선단에는 깔때기 형상의 공기 유입부(23a)가 형성되고, 이 공기 유입부(23a)에는 망체(25)가 형성됨으로써 이물질 등이 배기관(23)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더욱 배기 효율이 향상됨은 물론 고장 등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모래 탈수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그 구성은 일 실시예와 동일하나 다만 안내 경사판(22)의 상측에 양측으로 경사지는 복수 개의 안내판(30)을 설치하고, 상기 안내판(30)의 하측에는 에어 펌프(24)의 작동에 의해 내부 공기를 강제적으로 배출시키는 배기관(23)이 복수 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배기관(23)의 선단에는 복수 개의 공기 유입구(31)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스크린체(20)에서 낙하되는 모래(S)는 안내 경사판(22)으로 이동된후 골재 탱크(21)로 투입되는데, 이때 에어 펌프(24)의 작동에 따라 배기관(23)의 공기 유입구(31)를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내부의 공기압을 부압으로 형성시킴으로써 모래(S) 중에 포함된 수분을 더욱 효과적으로 탈수하여 함수율이 최소로 유지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안내 경사판(22)과 스크린체(20)의 사이에서 배기되는 내부 공기는 양측으로 경사지는 안내판(30)에 의해 물과 미세 모래 등이 배기관(23)의 공기 유입구(31)를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공기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미세 모래 등에 의해 공기 유입구(31)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어떤 골재 선별장치에 적용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골재 탱크 내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배출시켜 내부 압력을 부압으로 형성시킴으로써 탈수 효과를 향상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제조된 모래의 함수율이 최소로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제조 설비 및 그 주변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운송 중의 도로 오염이나 운반 차량의 오염 등의 2차 오염을 방지하고 제조 시간을 단축시키며 더욱 향상된 품질의 골재를 얻을 수 있는 등의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물과 골재가 저장된 골재 탱크와, 상기 골재 탱크 내의 모래를 진동에 의해 선별하여 이송시키는 스크린체를 구비한 골재 선별장치에 있어서,
    상기 골재 탱크(21)의 상측에는 스크린체(20)에서 낙하하는 골재와 물을 안내하는 안내 경사판(22)이 장착되고, 상기 안내 경사판(22)의 상측에는 에어 펌프(24)의 작동에 따라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골재 탱크(21)의 내부에 부압이 작용하도록 하는 배기관(2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탈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23)의 선단은 공기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직경이 크게 형성된 공기 유입부(23a)가 형성되고, 이 공기 유입부(23a)에는 망체(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탈수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경사판(22)의 상측에는 양측으로 경사지는 안내판(30)이 설치되고, 상기 안내판(30)의 하측에는 복수 개의 공기 유입구(31)가 형성된 배기관(23)의 선단이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탈수 장치.
KR20-2004-0017764U 2004-06-23 2004-06-23 모래 탈수 장치 KR2003623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764U KR200362364Y1 (ko) 2004-06-23 2004-06-23 모래 탈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764U KR200362364Y1 (ko) 2004-06-23 2004-06-23 모래 탈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364Y1 true KR200362364Y1 (ko) 2004-09-16

Family

ID=49350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764U KR200362364Y1 (ko) 2004-06-23 2004-06-23 모래 탈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3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910A (ko) 2018-04-09 2019-10-17 안두혁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7910A (ko) 2018-04-09 2019-10-17 안두혁 잔골재 진공 탈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14956B (zh) 一种浓相气固流化床干法分选系统及工艺
CN109516665B (zh) 盾构渣土脱水设备及盾构渣土脱水方法
CN108855587A (zh) 一种建筑垃圾筛选分离方法
US8153003B2 (en) Belt filter apparatus
JP2022509901A (ja) 粒状物質を洗浄および等級付け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8636592A (zh) 一种建筑垃圾分选系统
CN208583471U (zh) 一种建筑垃圾分选系统
CN112007936A (zh) 一种渣土资源化处理系统
CN210817295U (zh) 一种能够使钢铸造水玻璃废砂再利用的再生系统
KR100358687B1 (ko)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방법
KR101050435B1 (ko) 석재 및 건설 폐기물을 이용한 골재 제조장치
JP3342851B2 (ja) 混合廃棄物の分別処理システム
KR200362364Y1 (ko) 모래 탈수 장치
KR20140121678A (ko) 모래선별장치
CN212309080U (zh) 具有有孔橡胶输送带式泥水分离机的盾构机泥浆分离设备
CN111729399A (zh) 具有有孔橡胶输送带式泥水分离机的盾构机泥浆分离设备
CN219092342U (zh) 一种渣土分类资源化处理设备
KR100502973B1 (ko) 건설 폐기물을 이용한 골재 제작 시스템
CN217083091U (zh) 一种带热交换装置的石英砂烘干系统
CN211275850U (zh) 建筑垃圾处理系统
JP2006007173A (ja) 回転ドラム式沈砂分級機
CN111957716B (zh) 一种免烧砖建渣装置系统
CN212703649U (zh) 一种渣土资源化处理系统
JP2005114223A (ja) ボイラ炉底灰処理における粒度調整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粒度調整装置
CN209005944U (zh) 一种高灰矸石泥的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