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8730A -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138730A KR20100138730A KR1020100028115A KR20100028115A KR20100138730A KR 20100138730 A KR20100138730 A KR 20100138730A KR 1020100028115 A KR1020100028115 A KR 1020100028115A KR 20100028115 A KR20100028115 A KR 20100028115A KR 20100138730 A KR20100138730 A KR 2010013873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ggregate
- water
- circulating
- foreign matter
- circulating aggregat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6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437 gem Substances 0.000 claims 1
- 229910001751 gemsto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083 cement mort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12 desal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3 scrap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8—Construction or demolition [C&D] waste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 폐기물에 혼합된 잔골재 또는 굵은 골재를 파쇄하여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순환골재에 혼합된 다양한 이물질을 일정규격범위 내의 골재입자크기별로 분류함과 아울러, 순환골재와 이 순환골재에 혼합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선별/제거하여 양질의 순환골재를 생산할 수 있으며, 순환골재를 생산하기 위한 비용 및 장소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에 의하면, 투입되는 건설 폐기물을 낙하시키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일측에 형성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되게 설치되는 외곽프레임과, 상기 외곽프레임의 내부공간에 수용됨과 아울러, 일정구획 마다 바가 형성되고, 이의 사이에 다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되되, 상기 배출공은 일정구획에 따라 상이한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외곽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하향 되게 설치되며,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면서 건설 폐기물을 파쇄하는 드럼으로 이루어져, 건설 현장에서 발생되는 건설 폐기물로부터 재사용하는 잔골재 및 굵은골재 등의 골재, 원석 등을 선별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곽프레임의 하측으로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되게 기울어져 상기 드럼의 배출공을 통해 선별되어 낙하되는 순환골재를 슬라이딩 시키는 슬라이더부와, 상기 슬러이더부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부로부터 슬라이딩되는 순환골재를 배출하는 배출구로 배출슈트와; 상기 배출슈트의 하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공간에 물이 담수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낙하되는 순환골재를 수집하는 세척수조와; 상기 세척수조의 저부에 형성되어 가라앉은 순환골재를 진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골재 이송용 부재와; 상기 세척수조의 저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골재 이송용 부재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골재 이송용 부재로부터 이송되는 순환골재를 수집하는 수집부와; 상기 수집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수집부에 수집된 순환골재를 처리하는 순환골재 처리수단과; 상기 세척수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담수된 물의 수면으로 부유된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물질 처리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에 의하면, 투입되는 건설 폐기물을 낙하시키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일측에 형성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되게 설치되는 외곽프레임과, 상기 외곽프레임의 내부공간에 수용됨과 아울러, 일정구획 마다 바가 형성되고, 이의 사이에 다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되되, 상기 배출공은 일정구획에 따라 상이한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외곽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하향 되게 설치되며,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면서 건설 폐기물을 파쇄하는 드럼으로 이루어져, 건설 현장에서 발생되는 건설 폐기물로부터 재사용하는 잔골재 및 굵은골재 등의 골재, 원석 등을 선별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곽프레임의 하측으로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되게 기울어져 상기 드럼의 배출공을 통해 선별되어 낙하되는 순환골재를 슬라이딩 시키는 슬라이더부와, 상기 슬러이더부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부로부터 슬라이딩되는 순환골재를 배출하는 배출구로 배출슈트와; 상기 배출슈트의 하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공간에 물이 담수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낙하되는 순환골재를 수집하는 세척수조와; 상기 세척수조의 저부에 형성되어 가라앉은 순환골재를 진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골재 이송용 부재와; 상기 세척수조의 저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골재 이송용 부재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골재 이송용 부재로부터 이송되는 순환골재를 수집하는 수집부와; 상기 수집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수집부에 수집된 순환골재를 처리하는 순환골재 처리수단과; 상기 세척수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담수된 물의 수면으로 부유된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물질 처리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 폐기물에 혼합된 잔골재 또는 굵은 골재를 파쇄하여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순환골재에 혼합된 다양한 이물질을 일정규격범위 내의 골재입자크기별로 분류함과 아울러 순환골재와 이 순환골재에 혼합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선별/제거하여 양질의 순환골재를 제공할 수 있는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친환경적 측면 및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 건설 및 건축 구조물을 해체할 때 발생되는 폐기물은 매립되지 않고 소정의 장소로 수집된 후 중간처리공정을 통해 양질의 자원으로 생산되고 있으며, 특히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는 도시와 지방 건축물의 재건축 활성화에 따른 다량의 구조물 해체에 의해 그 활용도가 크게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건설폐기물의 중간처리공정을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수집된 건설폐기물은 파쇄기에 의해 1차 파쇄된 후, 전자석 선별기에 의해 고철이 분리 배출되며, 그 후 송풍과 회전으로 토사 및 이물질이 분리 배출된 후, 진동스크린에 의해 폐목재류 및 각종 쓰레기가 분리 배출된 후, 고압의 물 분사에 의해 기타의 이물질이 제거되며, 그런 다음 제2차 선택적으로 제3차 파쇄기에 의해 파쇄되어 순환골재로서 입형이 마무리되며, 선별기에 의해 다양한 크기의 순환골재가 획득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공정을 통해 획득된 순환골재라도 골재 표면에 부착된 시멘트 모르타르 및 이물질 등과 같은 슬러지로 인해 천연골재에 비해 골재의 입형 상태가 양호하지 못해 외관불량은 물론, 전반적인 입도가 편중되어 있어 품질이 저하되며, 이러한 골재는 현장 적용시 효율적으로 활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건축 폐기물에 혼합된 잔골재 또는 굵은 골재를 파쇄하여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순환골재에 혼합된 다양한 이물질을 일정규격범위 내의 골재입자크기별로 분류함과 아울러, 순환골재와 이 순환골재에 혼합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선별/제거하여 양질의 순환골재를 생산할 수 있으며, 순환골재를 생산하기 위한 비용 및 장소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단은 투입되는 건설 폐기물을 낙하시키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일측에 형성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되게 설치되는 외곽프레임과, 상기 외곽프레임의 내부공간에 수용됨과 아울러, 일정구획 마다 바가 형성되고, 이의 사이에 다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되되, 상기 배출공은 일정구획에 따라 상이한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외곽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하향 되게 설치되며,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면서 건설 폐기물을 파쇄하는 드럼으로 이루어져, 건설 현장에서 발생되는 건설 폐기물로부터 재사용하는 잔골재 및 굵은골재 등의 골재, 원석 등을 선별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곽프레임의 하측으로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되게 기울어져 상기 드럼의 배출공을 통해 선별되어 낙하되는 순환골재를 슬라이딩 시키는 슬라이더부와, 상기 슬러이더부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부로부터 슬라이딩되는 순환골재를 배출하는 배출구로 배출슈트와; 상기 배출슈트의 하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공간에 물이 담수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배출구를 통해 낙하되는 순환골재를 수집하는 세척수조와; 상기 세척수조의 저부에 형성되어 가라앉은 순환골재를 진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골재 이송용 부재와; 상기 세척수조의 저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골재 이송용 부재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골재 이송용 부재로부터 이송되는 순환골재를 수집하는 수집부와; 상기 수집부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수집부에 수집된 순환골재를 처리하는 순환골재 처리수단과; 상기 세척수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담수된 물의 수면으로 부유된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물질 처리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는 건축 폐기물에 혼합된 잔골재 또는 굵은 골재를 파쇄하여 순환골재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순환골재에 혼합된 다양한 이물질을 일정규격범위 내의 골재입자크기별로 분류함과 아울러, 잔골재 또는 굵은 골재의 입자크기에 대응하는 바람을 가하여 이물질을 제거함에 따라 순환골재 사용시 먼지가 발생되지 않아 사용에 적합한 품질을 갖는 순환골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입자크기별로 분류된 순환골재를 세척수조에서 수집하여 물의 부력에 의해 순환골재에 혼합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고, 물을 통해 세척된 순환골재에 잔존된 미세한 크기를 갖는 슬러지 또한 제거할 수 있어 사용에 적합한 품질을 갖는 순환골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의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에 적용된 스크류부의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의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의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에 적용된 스크류부의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의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의 실시예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에 적용된 스크류부의 실시예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의 실시예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는 상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는 호퍼(1)와, 외곽프레임(2)과, 드럼(10)과, 배출슈트(20)와, 분류부(30)와, 세척수조(30)와, 골재 이송용 부재(40)와, 수집부(50)와, 순환골재 처리수단(60)과, 이물질 처리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의 구성들은 차량 또는 프레임(미도시)에 설치된다.
상기 호퍼(1)는 파쇄기(미도시)를 통해 파쇄된 일정규격범위의 순환골재가 투입되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테이퍼진 형태로 이루어져 투입되는 건설 폐기물을 하측으로 낙하시킨다. 그리고 상기 호퍼(1)에서 낙하되는 건설 폐기물을 외곽프레임(2)에 효율적으로 이송하기 위해 상기 호퍼(1)의 하측에는 컨베이어(4)가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외곽프레임(2)은 상기 컨베이어(4)의 일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 및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외곽프레임(2)은 차량 또는 프레임(미도시) 상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일정각도 하향되게 설치되며, 설치방법은 용접 또는 볼트체결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곽프레임(2)의 끝단에는 일반적인 골재의 크기보다 비교적 작은 잔골재 또는 일반적인 골재의 크기보다 비교적 큰 굵은 골재와 분리된 건설 폐기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낙하유도 슈트(3)가 설치되고, 상기 낙하유도 슈트(3)의 하측에는 낙하된 건설 폐기물을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4')가 설치되며, 상기 컨베이어(4')의 하측에는 낙하되는 이물질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함(6)을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럼(10)은 상기 컨베이어(6)로부터 이송된 건설 폐기물에 혼합되어 있는 순환골재를 분리하여 골재를 생산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전체가 동일한 외경을 갖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곽프레임(2)의 내부공간에 설치되고, 외주연에 지지롤러(13)가 형성되어 상기 외곽프레임(2)의 내부공간에서 원활한 회전을 하게 되는 한편, 드럼(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구획 마다 바(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11)들의 사이 각각에는 크기가 상이한 배출공(12)이 형성되되, 상기 배출공(12)의 크기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점차 커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드럼(10)은 상기 외곽프레임(2)의 길이방향으로 하향 되게 기울어진 기울기를 갖도록 설치된다.
상기 드럼(10)에 투입된 건설 폐기물은 드럼(10)이 구동원을 통해 회전함으로 인해 드럼(10)의 내부공간에서 뒤집어지면서 이물질과 혼합된 순환골재가 드럼(10)의 배출공(12)을 통해 일정규격별로 분리되어 낙하된다.
또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드럼(10)의 형상을 육각형 또는 팔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를 적절히 선택하여 실시함에 따라 순환골재가 드럼(10)의 면을 타고 올라가게 하여 드럼(10)에 형성된 다수개의 배출공(12)을 통해 고루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원은 구동모터(M)와, 상기 구동모터(M) 및 드럼(10)에 체결되어 상기 구동모터(M)가 회전됨에 따라 드럼(10)을 회전시키는 체인(5)이 채용될 수 있으며, 이는 기존 트롬멜 스크린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배출슈트(20)는 슬라이더부(21)와, 배출구(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더부(21)는 드럼(10)의 입구측에서 출구측으로 하향되게 기울어진 형태이며, 상기 드럼(10)의 배출공을 통해 선별되어 낙하되는 순환골재를 슬라이딩시키고, 상기 배출구(22)는 상기 슬라이더부(21)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슬라이더부(21)로부터 슬라이딩되는 순환골재를 배출한다.
또한, 상기 외곽프레임(2)의 내측에는 슬라이더부(21)를 통해 슬라이딩 되는 순환골재가 보다 효율적으로 흘러내려 갈 수 있도록 별도의 살수장치(미도시)를 더 설치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세척수조(30)는 상기 배출슈트(20)의 하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배출구(22)를 통해 낙하되는 순환골재를 수집한다.
또한 상기 세척수조(30)의 내부공간에는 일정량의 물이 담수되어 수집된 순환골재는 가라앉고, 이물질은 수면위로 부유된다.
상기에서 골재 이송용 부재(40)는 구동모터(M)와, 스크류부(41)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모터(M)는 상기 세척수조(30)의 외측에 설치되며, 구동축은 상기 세척수조(30)을 관통하여 내부공간에 위치되며, 이러한 구동모터(M)는 한쌍을 이루어 설치된다.
상기 스크류부(41)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동모터(M)의 구동축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구동모터(M)에서 출력되는 구동동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수집된 순환골재를 수집부(50)측으로 이송시킨다. 이러한 스크류부(41)는 한쌍을 이루어 구동모터(M)에 각각 장착되어 순환골재를 보다 신속하게 이송시킨다.
또한, 상기 스크류부(41)는 이의 회전력으로 인해 고압살수기(81)에 의해 이송되는 부유물질의 이동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상기 세척수조(30)의 내부공간에 완전히 내장된다.
상기 수집부(50)는 세척수조(30)의 저부에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상부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스크류부(41)의 끝단과 마주보는 부분이 개방되어 상기 골재 이송용 부재(40)로부터 이송되는 순환골재를 내부로 수집한다.
상기 순환골재 처리수단(60)은 샌드펌프(61)와, 사이클론(62) 및 순환골재용 탈수스크린(6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샌드펌프(61)는 연결관(7)을 통해 상기 수집부(50)와 연결되며, 수집부(50)에 수집된 물, 순환골재 및 슬러지를 펌핑작용을 통해 흡입하여 배출한다.
상기 사이클론(62)은 세척수조(30)의 상부에 위치됨과 아울러 연결관(7)을 통해 샌드펌프(61)와 연결되어 상기 샌드펌프(61)에서 배출된 물, 순환골재 및 슬러지를 수집하며, 상기 사이클론(62)에 수집된 물, 순환골재는 원심력에 의해 낙하되고, 상기 물과 순환골재에 혼합된 슬러지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100메쉬 이하의 크기를 갖는 슬러지는 와류현상에 의해 분리된다.
상기 순환골재용 탈수스크린(63)은 사이클론(62)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사이클론(62)으로부터 낙화되는 물과 순환골재를 수집하여 탈수작용을 통해 물과 순환골재를 분리한다.
상기에서 분리된 물은 순환골재용 탈수스크린(63)에서 낙하되어 다시 세척수조(30)에 회수되도록 할 수 있으며, 낙하되는 물을 침전조(미도시)에서 수집하도록 하여 정수한 다음 세척수조(30)에 다시 회수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이물질 처리수단은 고압살수기(81)와, 부유물질 이송부(82)와, 부유물질용 탈수스크린(8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압살수기(81)는 세척수조(30)의 내부공간 일측에 다수개로 형성되며, 물을 분사하여 담수된 물의 수면위로 부유된 이물질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부유물질 이송부(82)는 기어(83)와, 체인(8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어(83)는 세척수조(30)의 양측벽에 베어링(미도시) 등을 통해 회전 가능케 결합되는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체인(84)은 기어(83)에 체결되며, 외주면에 다수개의 이송날개(85)가 등간격으로 이격형성되고, 상기 기어(83)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되면서 고압살수기(81)에 의해 이송된 부유물질을 세척수조(30)의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부유물질용 탈수스크린(86)은 상기 세척수조(30)의 하측에 위치되어 세척수조(30)로부터 낙하되는 물과 순환골재를 수집하여 탈수작용을 통해 물과 순환골재를 분리한다.
상기 순환골재용 탈수스크린(84)에는 별도의 펌프(미도시)를 더 설치하여 분리된 물을 바로 세척수조(30)에 공급할 수 있으며, 낙하되는 물을 침전조(미도시)에서 수집하도록 하여 정수한 다음 세척수조(30)에 회수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는 순환골재 처리수단의 실시예로써, 상기 순환골재 처리수단(70)은 이송부(72)와, 순환골재용 탈수스크린(7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이송부(72)는 케이스(71)와, 구동모터(M)와, 이송부(72)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71)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부 및 일측하부가 개방되며, 중앙을 중심으로 일측은 상기 세척수조(30)를 관통하여 수집부(50)의 저부에 위치되고, 타측은 상기 세척수조(3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부에 위치되며, 상기 골재 이송용 부재(40)로부터 낙하되는 물, 순환골재 및 슬러지를 수집하며, 이러한 케이스(71)는 중앙부분이 상기 세척수조(30)에 용접을 통해 고정된다.
상기 구동모터(M)는 상기 케이스(71)의 외측에 설치되며, 구동축은 상기 케이스(71)를 관통하여 내부공간에 위치되며, 이러한 구동모터(M)는 한쌍을 이루어 설치된다.
상기 스크류부(73)는 구동모터(M)의 구동축에 각각 장착되고, 상기 구동모터(M)에서 출력되는 구동동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수집된 순환골재를 상측으로 이송시켜 케이스(71)의 일측 하부에 개방된 부분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에서 스크류부(73)는 한쌍을 이루어 구동모터(M)에 각각 장착되어 순환골재를 보다 신속하게 이송시킨다.
상기 순환골재용 탈수스크린(74)은 상기 케이스(71)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케이스(71)로부터 낙하되는 물과 순환골재를 수집하여 탈수작용을 통해 물과 순환골재를 분리한다.
상기 순환골재용 탈수스크린(74)에는 별도의 펌프(미도시)를 더 설치하여 분리된 물을 바로 세척수조(30)에 공급할 수 있으며, 낙하되는 물을 침전조(미도시)에서 수집하도록 하여 정수한 다음 세척수조(30)에 회수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1 : 호퍼 2 : 외곽프레임
3 : 낙하유도 슈트 4,4' : 켄베이어
5 : 체인 6 : 수거함
7 : 연결관 10 : 드럼
11 : 바 12 : 배출공
13 : 지지롤러 20 : 배출슈트
21 : 테이퍼부 22 : 칸막이
23 : 배출구 30 : 분류부
31 : 송풍기 40 : 골재이송용 부재
41 : 케이스 42 : 스크류부
50 : 수집부 60 : 이물질 이송용 부재
3 : 낙하유도 슈트 4,4' : 켄베이어
5 : 체인 6 : 수거함
7 : 연결관 10 : 드럼
11 : 바 12 : 배출공
13 : 지지롤러 20 : 배출슈트
21 : 테이퍼부 22 : 칸막이
23 : 배출구 30 : 분류부
31 : 송풍기 40 : 골재이송용 부재
41 : 케이스 42 : 스크류부
50 : 수집부 60 : 이물질 이송용 부재
Claims (6)
- 투입되는 건설 폐기물을 낙하시키는 호퍼(1)와, 상기 호퍼(1)의 일측에 형성되고,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되게 설치되는 외곽프레임(2)과, 상기 외곽프레임(2)의 내부공간에 수용됨과 아울러, 일정구획 마다 바(11)가 형성되고, 이의 사이에 다수개의 배출공(12)이 형성되되, 상기 배출공(12)은 일정구획에 따라 상이한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외곽프레임(2)의 길이방향으로 하향 되게 설치되며, 구동원에 의해 회전하면서 건설 폐기물을 파쇄하는 드럼(10)으로 이루어져, 건설 현장에서 발생되는 건설 폐기물로부터 재사용하는 잔골재 및 굵은골재 등의 골재, 원석 등을 선별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곽프레임(2)의 하측으로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되게 기울어져 상기 드럼(10)의 배출공을 통해 선별되어 낙하되는 순환골재를 슬라이딩 시키는 슬라이더부(21)와, 상기 슬러이더부의 일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부(21)로부터 슬라이딩되는 순환골재를 배출하는 배출구(22)로 배출슈트(20)와;
상기 배출슈트(20)의 하측에 형성됨과 아울러, 내부공간에 물이 담수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배출구(22)를 통해 낙하되는 순환골재를 수집하는 세척수조(30)와;
상기 세척수조(30)의 저부에 형성되어 가라앉은 순환골재를 진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골재 이송용 부재(40)와;
상기 세척수조(30)의 저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골재 이송용 부재(40)와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골재 이송용 부재(40)로부터 이송되는 순환골재를 수집하는 수집부(50)와;
상기 수집부(50)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수집부(50)에 수집된 순환골재를 처리하는 순환골재 처리수단(60)과;
상기 세척수조(30)의 상부에 설치되어 담수된 물의 수면으로 부유된 이물질을 배출하는 이물질 처리수단(7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 이송용 부재(40)는 상기 세척수조(30)의 외측에 설치되되, 구동축이 상기 세척수조(30)를 관통하여 세척수조(30)의 내부공간에 위치되는 한쌍의 구동모터(M)와, 상기 구동모터(M)의 구동축에 각각 장착되어 구동모터(M)에서 출력되는 구동동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수집된 순환골재를 이송시키는 한쌍의 스크류부(4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골재 처리수단(60)은 연결관(7)을 통해 상기 수집부(50)와 연결되며, 수집부(50)에 수집된 물, 순환골재 및 슬러지를 펌핑작용을 통해 흡입하여 배출하는 샌드펌프(61)와, 상기 세척수조(30)의 상부에 위치됨과 아울러 상기 샌드펌프(61)와 연결되어 샌드펌프(61)에서 배출된 물, 순환골재 및 슬러지를 수집하여 물과 순환골재는 낙하시키고, 상기 물과 순환골재에 혼합된 슬러지를 분리하는 사이클론(62)과, 상기 사이클론(62)의 하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사이클론(62)으로부터 낙하되는 물과 순환골재를 수집하여 탈수시키는 순환골재용 탈수스크린(6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골재 처리수단은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부 및 일측하부가 개방되며, 중앙을 중심으로 일측은 상기 세척수조(30)를 관통하여 수집부(50)의 저부에 위치되고, 타측은 상기 세척수조(3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골재 이송용 부재(40)로부터 낙하되는 물, 순환골재 및 슬러지를 수집하는 케이스(71)와, 상기 케이스(71)의 외측에 설치되되 구동축이 상기 케이스(71)를 관통하는 한쌍의 구동모터(M)와, 상기 구동모터(M)의 구동축에 각각 장착되어 구동모터(M)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수집된 물과 순환골재를 이송시키는 한쌍의 스크류부(73)로 이루어지는 이송부(72)와, 상기 이송부(72)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이송부(72)로부터 낙하되는 물과 순환골재를 수집하여 탈수시키는 순환골재용 탈수스크린(7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처리수단(80)은 상기 세척수조(30)의 일측에 형성되며, 담수된 물의 수면으로 부유된 이물질을 일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다수개의 고압살수기(81)와, 상기 세척수조(30)의 타측에 회전가능케 결합되는 기어(83)와, 상기 기어(83)에 체결되며 외주면에 다수개의 이송날개(85)가 등간격으로 이격형성되고 상기 기어(83)에 의해 회전되면서 고압살수기(81)에 의해 이송된 부유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체인(84)으로 이루어지는 부유물질 이송부(82)와, 상기 세척수조(30)에서 배출된 물과 부유물질을 수집하여 탈수시키는 부유물질용 탈수스크린(8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10)은 육각형 또는 팔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28115A KR20100138730A (ko) | 2010-03-29 | 2010-03-29 |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28115A KR20100138730A (ko) | 2010-03-29 | 2010-03-29 |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090056180 Division | 2009-06-23 | 2009-06-23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38730A true KR20100138730A (ko) | 2010-12-31 |
Family
ID=43512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28115A KR20100138730A (ko) | 2010-03-29 | 2010-03-29 |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138730A (ko) |
Cited B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631982A (zh) * | 2012-04-24 | 2012-08-15 | 张伟铭 | 一种生活垃圾新型水分选系统 |
CN102974450A (zh) * | 2012-06-18 | 2013-03-20 | 帕克环保技术(上海)有限公司 | 处理餐厨垃圾的转鼓分离系统 |
CN103252317A (zh) * | 2013-05-14 | 2013-08-21 | 宁国市杰宇铸造有限公司 | 一种多段式球段分选机 |
WO2014157990A1 (ko) * | 2013-03-28 | 2014-10-02 |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 인조잔디에 포함되는 충진재를 리사이클하기 위한 선별방법 및 선별장치 |
KR101479377B1 (ko) * | 2012-05-23 | 2015-01-06 | 이승은 | 방해석으로부터 판상 결정을 이루고 있는 흑연 선별 방법 |
KR20150137869A (ko) * | 2014-05-30 | 2015-12-09 | 강선희 | 드럼통 세척액 회수 및 세척 볼의 세척장치 |
KR101685120B1 (ko) | 2016-03-21 | 2016-12-19 | 삼흥산업개발 (주) | 건설 폐토사 내 이물질 선별장치 |
KR101716709B1 (ko) | 2016-08-26 | 2017-03-20 | 백운석 | 밀도차 분리를 이용한 순환 토사 내 이물질 분리장치 |
WO2017094954A1 (ko) * | 2015-11-30 | 2017-06-08 | 태양산업주식회사 | 골재의 파쇄 및 입자별 수집이 가능한 파쇄시스템 |
CN109772857A (zh) * | 2019-01-09 | 2019-05-21 | 永清环保股份有限公司 | 一种装修垃圾资源化利用装置及方法 |
KR20190091024A (ko) | 2018-01-26 | 2019-08-05 | 정원우 | 재생 및 순환골재 선별기 |
KR102223600B1 (ko) * | 2019-11-14 | 2021-03-04 | 재단법인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 개량형 다축 방향 마쇄기 구조 |
KR102346805B1 (ko) * | 2021-03-31 | 2022-01-04 | 엔백 주식회사 | 타공드럼을 구비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용 이물질 분리장치 |
KR102504787B1 (ko) | 2022-06-03 | 2023-03-07 | (주)성원환경 | 이물질 분리장치 |
-
2010
- 2010-03-29 KR KR1020100028115A patent/KR2010013873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2631982A (zh) * | 2012-04-24 | 2012-08-15 | 张伟铭 | 一种生活垃圾新型水分选系统 |
KR101479377B1 (ko) * | 2012-05-23 | 2015-01-06 | 이승은 | 방해석으로부터 판상 결정을 이루고 있는 흑연 선별 방법 |
CN102974450A (zh) * | 2012-06-18 | 2013-03-20 | 帕克环保技术(上海)有限公司 | 处理餐厨垃圾的转鼓分离系统 |
US10052638B2 (en) | 2013-03-28 | 2018-08-21 | Kolonglotech, Inc | Sor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ing filler included in artificial turf |
WO2014157990A1 (ko) * | 2013-03-28 | 2014-10-02 |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 인조잔디에 포함되는 충진재를 리사이클하기 위한 선별방법 및 선별장치 |
CN104245143A (zh) * | 2013-03-28 | 2014-12-24 | 可隆科技特株式会社 | 用于对包含于人造草坪的填充材料进行重复利用的筛选方法及筛选装置 |
US9789491B2 (en) | 2013-03-28 | 2017-10-17 | Kolonglotech. Inc | Sor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recycling filler included in artificial turf |
CN103252317A (zh) * | 2013-05-14 | 2013-08-21 | 宁国市杰宇铸造有限公司 | 一种多段式球段分选机 |
KR20150137869A (ko) * | 2014-05-30 | 2015-12-09 | 강선희 | 드럼통 세척액 회수 및 세척 볼의 세척장치 |
WO2017094954A1 (ko) * | 2015-11-30 | 2017-06-08 | 태양산업주식회사 | 골재의 파쇄 및 입자별 수집이 가능한 파쇄시스템 |
KR101685120B1 (ko) | 2016-03-21 | 2016-12-19 | 삼흥산업개발 (주) | 건설 폐토사 내 이물질 선별장치 |
KR101716709B1 (ko) | 2016-08-26 | 2017-03-20 | 백운석 | 밀도차 분리를 이용한 순환 토사 내 이물질 분리장치 |
KR20190091024A (ko) | 2018-01-26 | 2019-08-05 | 정원우 | 재생 및 순환골재 선별기 |
CN109772857A (zh) * | 2019-01-09 | 2019-05-21 | 永清环保股份有限公司 | 一种装修垃圾资源化利用装置及方法 |
CN109772857B (zh) * | 2019-01-09 | 2021-11-05 | 永清环保股份有限公司 | 一种装修垃圾资源化利用装置及方法 |
KR102223600B1 (ko) * | 2019-11-14 | 2021-03-04 | 재단법인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 개량형 다축 방향 마쇄기 구조 |
KR102346805B1 (ko) * | 2021-03-31 | 2022-01-04 | 엔백 주식회사 | 타공드럼을 구비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용 이물질 분리장치 |
KR102504787B1 (ko) | 2022-06-03 | 2023-03-07 | (주)성원환경 | 이물질 분리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00138730A (ko) |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 |
KR101823975B1 (ko) |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 | |
JP4903653B2 (ja) | 材料回収システム | |
KR100650509B1 (ko) | 침강저류조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진동스크린 분리방법 및그 장치 | |
KR100582847B1 (ko) | 건축 폐기물 순환골재 선별장치 및 그 선별방법 | |
KR100816492B1 (ko) | 재생골재의 세척 및 이물질 선별장치 | |
KR101223668B1 (ko) |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 |
CN1834340A (zh) | 废纸废塑料混合物分离方法及系统 | |
KR100497318B1 (ko) | 건설 폐기물을 이용한 재생 세 골재 제조방법 및 장치 | |
KR100631436B1 (ko) | 이물질 제거장치 | |
KR100358687B1 (ko) |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방법 | |
JP2022509901A (ja) | 粒状物質を洗浄および等級付け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 |
KR101883989B1 (ko) | 건설폐기물 재활용 골재선별장치 | |
KR100660142B1 (ko) | 건식 모래 생산 방법 및 그 시스템 | |
KR101830273B1 (ko) | 친환경 다단집약형 멀티샌드 분리 농축 시스템 | |
KR100506369B1 (ko) |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 | |
JP5478483B2 (ja) | 混合処理物の選別処理システム | |
KR20030078574A (ko) | 재활용 모래 선별기 | |
CN113634546A (zh) | 一种混凝土废料收集的废水循环系统 | |
KR100722569B1 (ko) | 트로멜과 버켓을 이용한 골재 선별 방법 및 그 장치 | |
KR102197340B1 (ko) | 골재 수처리장치의 침전조와 탈수스크린 사이에 설치되는 금속 분리장치 | |
KR200353125Y1 (ko) | 세척 및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분급기 | |
KR20050051428A (ko) | 건설폐기물인 폐 콘크리트를 이용한 모래 재생방법 및재생장치 | |
CN2290406Y (zh) | 螺旋水筛 | |
KR20120056396A (ko) | 폐콘크리트 재활용 골재 및 파쇄석 골재 생산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