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4787B1 - 이물질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이물질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4787B1
KR102504787B1 KR1020220068391A KR20220068391A KR102504787B1 KR 102504787 B1 KR102504787 B1 KR 102504787B1 KR 1020220068391 A KR1020220068391 A KR 1020220068391A KR 20220068391 A KR20220068391 A KR 20220068391A KR 102504787 B1 KR102504787 B1 KR 102504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plate
water
discharge
separation case
case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8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선
Original Assignee
(주)성원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원환경 filed Critical (주)성원환경
Priority to KR1020220068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4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4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4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03B5/3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using heavy liquids or suspensions
    • B03B5/36Devices therefor, other than using centrifugal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11/00Feed or discharge devices integral with washing or wet-separating equip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질 분리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알루미늄과 플라스틱이 혼합된 이물질을 알루미늄과 플라스틱으로 분리할 수 있는 이물질 분리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분리장치는 분리케이스수단과, 물주입수단과, 베이스수단과, 가진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분리케이수단은 제1배출판과, 제2배출판과, 배출구와, 메쉬망을 구비한다. 상기 제1배출판은 양단이 개방되고 상기 양단 중 일단이 타단보다 높게 기울어지며 상기 이물질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2배출판은 일단이 개방되어 타단보다 높게 기울어지며 상기 제1배출판의 타단에서 떨어지는 상기 이물질을 수용할 수 있게 상기 제1배출판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2배출판의 타단에 장착된다. 상기 메쉬망은 상기 제2배출판의 타단에서 상기 배출구로 물은 배출되고 상기 이물질은 배출되지 않도록 장착된다. 상기 물주입수단은 상기 제1배출판에 수용된 이물질 중 물 보다 가벼운 소재를 상기 제1배출판의 타단을 통하여 상기 제2배출판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배출판에 상기 물을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수단은 상기 분리케이스수단을 지지한다. 상기 가진수단은 상기 이물질이 상기 제1배출판의 일단과, 상기 제2배출판의 일단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베이스수단에서 상기 분리케이스수단을 가진시킨다.

Description

이물질 분리장치{Apparatus for separating waste material}
본 발명은 이물질 분리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알루미늄과 플라스틱이 혼합된 이물질을 알루미늄과 플라스틱으로 분리할 수 있는 이물질 분리장치에 대한 것이다.
친환경적 측면 및 자원의 재활용 측면에서 폐자재는 매립되지 않고 소정의 장소로 수집된 후 중간처리공정을 통해 양질의 자원으로 생산되고 있다. 이때 폐자재들은 한 종류의 자재들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여러 자재들이 혼합되어 있고, 그 크기도 다양한다. 그래서 폐자재들을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폐자재들을 수집한 후 먼저 파쇄기에 의해 적당한 크기로 파쇄된다. 그리고 파쇄된 폐자재들은 이물질 분리장치에 의하여 각각의 물질들로 분리된다. 이때 이물질들은 송풍 및 회전 등의 방법으로 분리배출되거나, 진동스크린, 또는 고압의 물 분사나 크기에 따른 선별기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분리배출된다.
공개특허 제10-2010-0138730호(공개일자 2010년 12월 31일) 등록특허 제10-0699492호(등록일자 2007년 03월 19일) 등록특허 제10-0965087호(등록일자 2010년 06월 11일) 등록특허 제10-1067584호(등록일자 2011년 09월 19일)
알루미늄의 경우 물보다 무겁지만, 플라스틱은 물보다 가벼워서 물에 뜰 수 있다. 이물질을 분리하여 선별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사용되고 있지만, 알루미늄과 플라스틱을 적절하게 분리할 수 있는 이물질 분리장치가 없다.
본 발명은 알루미늄과 플라스틱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이물질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분리장치는 분리케이스수단과, 물주입수단과, 베이스수단과, 가진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분리케이수단은 제1배출판과, 제2배출판과, 배출구와, 메쉬망을 구비한다. 상기 제1배출판은 양단이 개방되고 상기 양단 중 일단이 타단보다 높게 기울어지며 상기 이물질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제2배출판은 일단이 개방되어 타단보다 높게 기울어지며 상기 제1배출판의 타단에서 떨어지는 상기 이물질을 수용할 수 있게 상기 제1배출판의 하부에 위치한다. 상기 배출구는 상기 제2배출판의 타단에 장착된다. 상기 메쉬망은 상기 제2배출판의 타단에서 상기 배출구로 물은 배출되고 상기 이물질은 배출되지 않도록 장착된다. 상기 물주입수단은 상기 제1배출판에 수용된 이물질 중 물 보다 가벼운 소재를 상기 제1배출판의 타단을 통하여 상기 제2배출판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배출판에 상기 물을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수단은 상기 분리케이스수단을 지지한다. 상기 가진수단은 상기 이물질이 상기 제1배출판의 일단과, 상기 제2배출판의 일단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베이스수단에서 상기 분리케이스수단을 가진시킨다.
또한, 상기의 이물질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수단은 베이스프레임과, 유연한 지지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연한 지지대는 일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분리케이스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분리케이스수단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의 이물질 분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진수단은 가진암과,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진암은 일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분리케이스수단에 결합된다.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가진암이 상기 분리케이스수단을 진동시키도록 작동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알루미늄과, 플라스틱이 혼합된 이물질에 물을 공급하여 진동시키면 알루미늄은 진동에 의하여 제1배출판을 따라 이동하고 플라스틱은 물과 함께 제2배출판을 따라 이동한다. 그래서 알루미늄과 플라스틱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분리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분리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물질 분리장치는 분리케이스수단(10)과, 물주입수단(20)과, 베이스수단(30) 및 가진수단(40)을 포함한다.
분리케이스수단(10)은 알루미늄과, 플라스틱을 분리배출시키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분리케이스수단(10)은 제1배출판(11)과, 제2배출판(13)과, 배출구(15)와, 메쉬망(17)을 구비한다.
제1배출판(11)은 양단(11a, 11b)으로 이물질이 배출될 수 있도록 양단(11a, 11b)이 개방되고, 일단(11a)이 타단(11b)보다 높게 기울어지며, 이물질(A, B)을 수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물질(A, B)은 알루미늄(A)과 플라스틱(B)이 혼합되어 있으며, 파쇄기에 의해 잘게 파쇄된 후 공급구(1)를 통해서 제1배출판(11)으로 공급된다.
제2배출판(13)은 제1배출판(11)의 하부에서 제1배출판(11)의 타단(11b)에서 떨어지는 이물질(B)을 수용할 수 있도록 2단으로 결합된다. 이때 제2배출판(13)도 일단(13a)이 타단(13b)보다 높게 기울어지며, 일단(13a)으로 플라스틱(B)이 배출될 수 있게 개방된다.
배출구(15)는 제2배출판(13)의 타단(13b)에 장착된다. 제2배출판(13)으로 물이 떨어지면 물이 배출구(15)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메쉬망(17)은 제2배출판(13)의 타단(13b)에서 배출구(15)로 물은 배출되지만 플라스틱(B)은 배출되지 않도록 배출구(15)로 나가는 제1배출판(13)의 타단(13b)에 장착된다.
물주입수단(20)은 제1배출판(11)에 수용된 이물질(A, B)로 물을 배출시킨다. 본 실시예의 경우 물주입수단(20)은 물탱크(21)와, 배출호스(23) 및 공급호스(25)를 구비한다. 물탱크(21)는 공급호스(25)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이를 저장한다. 배출호스(23)는 물탱크(21)에 저장된 물을 제1배출판(11)으로 배출시킨다. 제1배출판(11)은 일단(11a)이 타단(11b)보다 높게 경사져 있으므로 물주입수단(20)에서 제1배출판(11)으로 물이 주입되면 물은 제1배출판(11)의 타단(11b)으로 흘러간다. 이때 이물질(A, B) 중 알루미늄(A)은 물보다 무겁기 때문에 제1배출판(11)의 타단(11b)로 가지 않지만 플라스틱(B)은 물보다 가볍기 때문에 물이 제1배출판(11)의 타단(11b)으로 흘러갈 때 같이 흘러간다. 제1배출판(11)의 타단(11b)으로 흘러간 플라스틱(B)과 물은 제2배출판(13)으로 떨어진다. 제2배출판(13)의 경우에도 일단(13a)이 타단(13b)보다 높게 경사져 있으므로 타단(13b)으로 흘러간 물은 타단(13b)에 장착된 메쉬망(17)을 통해 배출구(15)로 배출된다. 플라스틱(B)은 메쉬망(17) 때문에 배출구(15)로 배출되지 못하고 제2배출판(13)에 수용된다.
베이스수단(30)은 분리케이스수단(10)을 지지한다. 이를 위해서 베이스수단(30)은 베이스프레임(31)과 지지대(33)를 구비한다. 베이스프레임(31)은 분리케이스수단(10)의 아래에 위치하며, 지지대(33)는 일단은 베이스프레임(31)에 결합되고 타단은 분리케이스수단(10)에 결합되어 분리케이스수단(10)을 베이스프레임(31)에서 지지하여 준다. 이때 지지대(33)는 유연성이 있어서 탄성을 가진다. 지지대(33)는 스프링 등이 될 수 있으며, 또는 유연한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분리케이스수단(10)이 지지대(33)에 지지되어 진동될 수 있다.
가진수단(40)은 제1배출판(11)과 제2배출판(13)에서 이물질(A, B)이 이송될 수 있도록 분리케이스수단(10)을 진동시켜준다. 이를 위해서 가진수단(40)은 가진암(41)과, 구동모터(43)를 구비한다.
가진암(41)은 일단은 베이스프레임(31)에 결합되고 타단은 분리케이스수단(10)에 결합된다. 여기서 가진암(41)이 작동하면 분리케이스수단(10)이 베이스프레임(31)에서 진동을 한다. 분리케이스수단(10)이 진동을 하면 제1배출판(11)에 수용된 알루미늄(A)은 제1배출판(11)의 일단(11a)으로 이송되고, 플라스틱(B)은 제1배출판(13)의 일단(13a)으로 이송된다. 제1배출판(11)의 일단(11a)의 아래에는 알루미늄(A)을 수거하는 수거함이 놓여지고, 제2배출판(13)의 알단(13a)의 아래에는 플라스틱(B)을 수거하는 수거함이 놓여진다.
구동모터(43)는 가진암(41)을 작동시킨다.
본 실시예의 경우 파쇄기에 의해서 알루미늄(A)과 플라스틱(B)의 이물질이 잘게 부수어지면 공급구(1)에 의하여 제1배출판(11)으로 공급된다. 그러면 물주입수단(20)에 의하여 물이 제1배출판(11)에 공급되어 이물질(A,B)로 흘러간다. 이때 플라스틱(B)은 물 보다 가벼우므로 물이 제1배출판(11)의 타단(11b)으로 흘러갈 때같이 흘러간다. 그래서 제1배출판(11)에서 제2배출판(13)으로 물과 플라스틱(B)이 함께 공급된다. 제2배출판(13)으로 공급된 물은 메쉬망(17)을 통하여 배출구(15)로 유출된다. 따라서 제1배출판(11)에는 알루미늄(A)이 남게 되고 제2배출판(13)에는 플라스틱(B)이 남게 된다.
가진수단(40)이 작동하면 분리케이스수단(10)이 진동을 하므로 제1배출판(11)에 있는 알루미늄(A)은 제1배출판(11)의 일단(11a)으로 이동하여 떨어지고, 제2배출판(13)에 있는 플라스틱(B)은 제2배출판(13)의 일단(13a)으로 이동하여 떨어진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알루미늄(A)과 플라스틱(B)이 혼합된 이물질을 알루미늄(A)과 플라스틱(B)으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1 : 공급구 10 : 분리케이스수단
11 : 제1배출판 11a : 제1배출판의 일단
11b : 제1배출판의 타단 13 : 제2배출판
13a : 제2배출판의 일단 13b : 제2배출판의 타단
15 : 배출구 17 : 메쉬망
20 : 물주입수단 21 : 물탱크
23 : 배출호스 25 : 공급호스
30 : 베이스수단 31 : 베이스프레임
33 : 지지대 40 : 가진수단
41 : 가진암 43 : 구동모터

Claims (3)

  1. 양단이 개방되고 상기 양단 중 물이 일단에서 타단으로 흐르도록 상기 일단이 상기 타단보다 높게 기울어지며 상부에서 공급되는 이물질을 수용할 수 있는 제1배출판과, 일단이 개방되어 타단보다 높게 기울어지며 상기 제1배출판의 타단에서 떨어지는 상기 물과 상기 이물질을 수용할 수 있게 상기 제1배출판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배출판과 결합된 제2배출판과, 상기 제2배출판의 타단에 장착된 배출구와, 상기 제2배출판의 타단에서 상기 배출구로 물은 배출되고 상기 이물질은 배출되지 않도록 장착된 메쉬망을 구비하는 분리케이스수단과,
    상기 제1배출판에 수용된 이물질 중 물 보다 가벼운 소재를 상기 제1배출판의 타단을 통하여 상기 제2배출판으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물질이 상기 제1배출판에 공급되는 부위보다 더 높은 부위의 상기 제1배출판에 상기 물을 제공하기 위한 물주입수단과,
    상기 분리케이스수단을 지지하게 위한 베이스수단과,
    상기 이물질이 상기 제1배출판의 일단과, 상기 제2배출판의 일단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베이스수단에서 상기 분리케이스수단을 가진시키는 가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수단은
    베이스프레임과,
    일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분리케이스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분리케이스수단을 지지하는 유연한 지지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분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진수단은
    일단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분리케이스수단에 결합된 가진암과,
    상기 가진암이 상기 분리케이스수단을 진동시키도록 작동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분리장치.
KR1020220068391A 2022-06-03 2022-06-03 이물질 분리장치 KR102504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391A KR102504787B1 (ko) 2022-06-03 2022-06-03 이물질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8391A KR102504787B1 (ko) 2022-06-03 2022-06-03 이물질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4787B1 true KR102504787B1 (ko) 2023-03-07

Family

ID=85513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8391A KR102504787B1 (ko) 2022-06-03 2022-06-03 이물질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478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492B1 (ko) 2005-01-03 2007-03-27 김동환 재생골재의 이물질 분리장치
KR100965087B1 (ko) 2009-11-10 2010-06-23 박은균 진동분리장치
KR20100138730A (ko) 2010-03-29 2010-12-31 우정환경주식회사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KR101067584B1 (ko) 2009-11-10 2011-09-27 박은균 폐플라스틱 재생시스템 및 여기에 적용되는 물의 재활용 방법
KR101478998B1 (ko) * 2014-07-24 2015-01-05 (주)타이밍 진동 선별장치
KR101873496B1 (ko) * 2017-04-20 2018-07-02 홍순옥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
KR20210109924A (ko) * 2020-02-28 2021-09-07 박광석 폐전선 구리 재활용 습식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9492B1 (ko) 2005-01-03 2007-03-27 김동환 재생골재의 이물질 분리장치
KR100965087B1 (ko) 2009-11-10 2010-06-23 박은균 진동분리장치
KR101067584B1 (ko) 2009-11-10 2011-09-27 박은균 폐플라스틱 재생시스템 및 여기에 적용되는 물의 재활용 방법
KR20100138730A (ko) 2010-03-29 2010-12-31 우정환경주식회사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KR101478998B1 (ko) * 2014-07-24 2015-01-05 (주)타이밍 진동 선별장치
KR101873496B1 (ko) * 2017-04-20 2018-07-02 홍순옥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
KR20210109924A (ko) * 2020-02-28 2021-09-07 박광석 폐전선 구리 재활용 습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7250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기
JPH09267076A (ja) 粗選石抜装置
KR20100108652A (ko) 곡물 선별기
JP2021519207A (ja) 砂を等級付けし、洗浄する方法および装置
KR101907579B1 (ko) 3단트롬멜을 갖는 수조식 골재 선별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골재 선별방법
KR102138869B1 (ko) 골재 자동 선별장치
KR100870648B1 (ko) 토사 및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장치
GB255936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ashing and grading aggregate
KR100764643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순환골재의 생산방법 및 그 장치
KR102504787B1 (ko) 이물질 분리장치
JP2009154108A (ja) ろ過材のリサイクル装置及びろ過材のリサイクル方法
CZ261897A3 (cs) Způsob a zařízení na třídění odpadu, zejména smíšeného stavebního odpadu
KR102094862B1 (ko) 타격-진동-송풍-흡입 연속공정에 의한 건설폐토석 내 이물질 선별 장치
JP2003117492A (ja) 建設廃材の処理システム
KR100689796B1 (ko) 블러스터를 이용한 재생 굵은골재용 모르타르 박리기
KR101528308B1 (ko) 물 분사방식을 이용한 골재 선별시스템 및 방법
KR100883538B1 (ko) 유리 파쇄시스템
KR100533616B1 (ko) 골재 선별 세척장치
KR101739115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중 발생되는 폐기물의 펌프식 이물질 처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조식 골재 처리 시설
KR100421812B1 (ko) 이물질 분류기
KR100464790B1 (ko) 골재의 입형개선 및 그 속에 포함된 이물질 선별 시스템
KR20100128212A (ko) 물과 가압공기를 이용하여 건설폐기물로부터 가연물을 선별 분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843016B1 (ko) 골재의 선별 및 탈수장치
JP2005118685A (ja) 工場等の床清掃土分別機
CN219253287U (zh) 振动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