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496B1 -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3496B1
KR101873496B1 KR1020170051312A KR20170051312A KR101873496B1 KR 101873496 B1 KR101873496 B1 KR 101873496B1 KR 1020170051312 A KR1020170051312 A KR 1020170051312A KR 20170051312 A KR20170051312 A KR 20170051312A KR 101873496 B1 KR101873496 B1 KR 101873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gs
frame
vibration
sorting
scre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옥
Original Assignee
홍순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순옥 filed Critical 홍순옥
Priority to KR1020170051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34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3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3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크기로 타공된 4단계에 걸친 걸름망을 이용함으로써, 굼벵이를 사육하는 과정에서 수행되는 성충과 알 및 발효톱밥의 분리와 시기에 따른 굼벵이들의 1~종령 별 크기의 선별과 출하를 앞둔 종령들을 발효톱밥에서 분리하는 등 한 번의 작업으로 채란 작업과 크기 선별 작업이 가능하게 하며, 또한, 습기가 포함된 발효톱밥의 용이한 분리가 가능하게 하면서도, 외부 충격시 몸을 둥글게 마는 굼벵이의 특성을 이용하여 선별 과정에서 진동을 주어 굼벵이가 걸름망에 걸리는 것이 방지되게 하는 등 완전한 선별과 굼벵이의 보호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Sorting divice for white grub breeding}
본 발명은 굼벵이(꽃벵이) 사육용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굼벵이를 사육하는 과정에서 자동 선별방식으로 채란 작업과 크기 선별 작업의 편리하면서도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게 하면서도, 양질의 굼벵이를 얻을 수 있게 하는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굼벵이(꽃벵이)는 흰점박이꽃무지, 매미, 풍뎅이, 하늘소와 같은 딱정벌레목의 애벌레로써 변태를 하는 곤충류에서 나타나는 유충으로, 산란관을 이용하여 주로 말라 죽은 가지 속과 같은 식물조직내에 낳은 매미의 알은 약 10개월 이내에 부화되고, 유충은 자발적으로 땅 위로 떨어져서 흙의 틈 사이를 찾아 땅 속으로 기어들어 가며, 1-2mm 크기의 1령 유충은 뿌리에서 수액을 빨아먹으면서 성장하고, 4회의 탈피를 되풀이한 뒤 종령이 되는데, 이 무렵 흰색이었던 몸이 갈색이 되고 일 내지 수년 뒤에 성충으로 변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굼벵이는 원래 단백질, 지방, 무기물질 등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와 같은 굼벵이가 최근 각광받기 시작한 것은 악혈과 어혈을 풀어주고 제거하는 혈액순환 활성화 기능이 있어서 근육과 뼈가 손상되어 쑤시고 아픈 증상, 여자의 생리가 끊어지고 배가 아픈 경우, 산모의 젖이 잘 안나오는 경우, 산후에 차가운 바람을 맞은 경우, 목구멍이 마비된 증상, 단독, 치루, 옹저 등을 치료하는 한약재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간의 기능을 강화시키고 간경화로 발생하는 복수를 내려주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서는 간암에도 특효가 있는 것이 알려지면서부터이다.
이렇게 약용으로 유용한 굼벵이는 종래 초가집의 썩은 이엉 속이나 흙속, 농작물을 비롯한 각종 식물의 뿌리 근처를 파헤쳐 채집하는 것으로 그 수요를 충족하여 왔는데, 근래 농약 등에 의한 환경오염과 초가집, 두엄 등 서식처의 소실이 원인이되어 그 수가 점점 줄어듦으로써 수요량은 폭증한 데 비하여 공급이 그 균형을 맞추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현실을 극복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굼벵이 사육 방법 개발을 위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는 상황인데, 이와 같은 연구의 대부분은 사육 환경과 사육시 제공되는 먹이에 관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현재까지는 비닐하우스 내에서 나무를 분쇄하여 만든 발효된 톱밥으로 굼벵이의 자연 서식환경이라고 할 수 있는 부숙 산야초 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조성한 후 먹이로서 수박, 사과, 바나나 등의 과일을 공급하여 사육하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굼벵이는 사육시 성충과 알, 그리고 발효톱밥을 분리하는 과정과 시기에 따라 1 내지 3령의 크기로 선별하는 과정과 출하를 앞둔 종령들을 발효톱밥에서 분리하는 과정 등 수많은 선별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 상기와 같이 굼벵이 사육 과정에서 다양한 선별을 위한 장치가 마련되지 않아 부득이 걸름망 등을 이용하여 수작업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며, 부득이 자동화를 위해서는 굼벵이와 유사한 종의 밀웜 선별기 등을 이용하여 선별 작업을 수행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별기는 단순히 배지와 밀웜을 분류하는 2종 분류 구조로 이루는 것인바, 굼벵이 사육시 어느 한 과정에서는 적용되었으나, 다수의 선별과정에서는 그 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등록공보 제10-1464734호. 대한민국특허등록공보 제10-168873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서로 다른 크기로 타공된 4단계에 걸친 걸름망을 이용함으로써, 굼벵이를 사육하는 과정에서 수행되는 성충과 알 및 발효톱밥의 분리와 시기에 따른 굼벵이들의 1~종령 별 크기의 선별과 출하를 앞둔 종령들을 발효톱밥에서 분리하는 등 한 번의 작업으로 채란 작업과 크기 선별 작업이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습기가 포함된 발효톱밥의 용이한 분리가 가능하게 하면서도, 외부 충격시 몸을 둥글게 마는 굼벵이의 특성을 이용하여 선별 과정에서 진동을 주어 굼벵이가 걸름망에 걸리는 것이 방지되게 하는 등 완전한 선별과 굼벵이의 보호가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두개 한 조를 이루며 하단에 전방바퀴가 형성된 일측의 전방 지지각과, 전방 지지각과 대항되게 이격 형성되는 두개 한 조를 이루며 하단에 후방바퀴가 형성된 타측의 후방 지지각과, 전,후방 지지각의 상단을 연결하며 중앙에는 양측으로 구획되어 상,하로 관통되는 제3,4 배출구가 형성된 지지프레임으로 된 본체;
본체의 양측에서 지지프레임의 상부로 돌출되는 4개 한 조를 이루는 진동 스프링;
중앙 관통형 틀체로 구성되어 둘레가 진동 스프링의 상단에 고정되며 중앙은 제3,4 배출구와 연통되는 진동프레임과, 진동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어 진동프레임에 진동력을 부여하는 진동수단으로 된 진동유닛; 및
진동프레임의 상부를 덮어 마감하며, 진동프레임과 함께 진동하면서 선별물의 서로 다른 크기로 선별을 수행하는 선별유닛을 포함하여 구성하며,
본체는,
전방 지지각이 후방 지지각보다 높게 구성되어, 지지프레임과 진동유닛과 선별유닛이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를 이루게 구성하며,
선별유닛은,
진동프레임에 힌지 연결되어 상,하 회동 및 제2 록킹수단으로 고정되는 제2 채반과, 제2 채반의 상부에 힌지 연결되어 상,하 회동 및 제1 록킹수단으로 고정되는 제1 채반으로 구성하되,
제1 채반은,
상부로 개방되는 제1 수용부를 이루며, 바닥면이 다수의 제1 통공이 타공된 일측의 제1 걸름망과, 다수의 제2 통공이 타공된 타측의 제2 걸름망으로 구성되고, 제2 걸름망 측에는 외부로 개방되는 제1 배출구가 형성되게 구성하며,
제2 채반은,
상부로 개방되어 제1,2 통공과 연통되는 제2 수용부를 이루며, 바닥면이 다수의 제3 통공이 타공된 일측의 제3 걸름망과, 다수의 제4 통공이 타공된 타측의 제4 걸름망으로 구성되고, 제4 걸름망 측에는 외부로 개방되는 제2 배출구가 형성되게 구성하며,
제1 배출구는,
평면상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폭을 이루는 제1 배출트레이를 이루게 구성하고,
제2 배출구는,
평면상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폭을 이루는 제2 배출트레이를 이루게 구성하되,
제2 배출트레이의 중간부에는 하부로 관통되는 제2 배출공을 이루어 제1 배출트레이의 단부를 통해 배출되는 선별물과 단차 배출이 가능하게 구성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는, 경사 및 진동구조를 갖는 선별유닛에 각기 다른 크기로 타공된 걸름망이 구성된 것인바, 한 번의 작업으로 성충과 알 및 발효톱밥의 분리와 시기에 따른 굼벵이들의 1~종령 별 크기의 선별과 출하를 앞둔 종령들을 발효톱밥에서 분리가 가능하게 되는 등 채란 작업과 크기 선별 작업의 편리함과 효율성이 한층 향상되며, 특히 정확한 선별로 굼벵이 사육의 편리함을 가져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진동을 이용한 선별로 습기가 포함된 발효톱밥도 진동에 의한 분산이 가능하게 되는 등 그 선별 성능이 한 층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충격시 몸을 둥글게 마는 굼벵이의 자기 보호 작용을 이용한 선별이 가능한 것인바, 선별 과정에서 굼벵이가 걸름망에 걸려 상처 입는 것이 방지되는 등 선별 과정에서의 손실 최소화 및 이에 따른 품질의 향상과 굼벵이 사육 농가의 수익성 증대를 가져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의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의 선별유닛 요부도.
도 6은 본 발명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의 제1,2 채반 요부도.
도 7은 본 발명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의 다른 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의 채란 작업 작동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의 크기 선별 작업 작동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 상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의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의 선별유닛 요부도이다.
도 1 내지 도 5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1)는, 본체(100)와, 진동 스프링(200)(200)과, 진동유닛(300)과, 선별유닛(40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본 발명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1)의 기초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먼저 전방 지지각(110)이 구성된다.
이때, 전방 지지각(110)은 선별하고자 하는 굼벵이가 투입되는 측(도면중 우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격 형성되는 두개가 한 조를 이루게 구성되며, 지면으로부터 상부로 수직 구성되며, 하단에는 이동용 전방바퀴(111)가 구성된다.
또한, 본체(100)에는 후방 지지각(120)이 구성된 것으로, 후방 지지각(120)은 전방 지지각(110)으로부터 타측(도면중 좌측)으로 이격 및 대항되는 형태를 이루며, 이격 형성되는 두개가 한 조를 이루게 구성되며, 지면으로부터 상부로 수직 구성되며, 하단에는 이동용 후방바퀴(121)가 구성된다.
또한, 본체(100)에는 지지프레임(130)이 구성된 것으로, 지지프레임(130)은 좌,우 길이를 이루는 중앙 관통형 직사각형 틀체로 구성된 것으로, 네 모서리가 전,후방 지지각(110, 120)의 상단에 연결되게 구성된다.
이때, 지지프레임(130)의 중앙에는 양측으로 구획 형성되며 상,하로 관통되는 상광하협 형태의 제3,4 배출구(140, 150)가 각각 형성된 것으로, 제3 배출구(140)가 일측에 구성되고, 제4 배출구(150)가 타측에 구성된다.
한편, 본체(100)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전방 지지각(110)과 후방 지지각(120)은 서로 다른 길이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전방 지지각(110)이 후방 지지각(120)보다 길게 구성되어 지지프레임(130)이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소정의 하방 경사를 이루게 구성된다.
상기 진동 스프링(200, 200')은 하기하는 진동유닛(300)의 진동을 유도하게 구성된 것으로, 본체(100)의 양측에 각각 두개씩 4개가 한 조를 이루게 구성된다.
이때, 진동 스프링(200, 200')은 코일스프링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본체(100)의 상부에서 전,후,좌,우 배열 및 지지프레임(130)의 상부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 진동 스프링(200, 200')을 본체(100)에 형성되는 위치에 있어서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브라켓(도면중 미도시함) 등을 이용하여 전,후방 지지각(110, 120) 상부에 형성하고, 지지프레임(130)의 상부에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진동유닛(300)은, 본체(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굼벵이를 선별하는 과정에서 진동력을 부여하게 구성된 것으로, 먼저 진동프레임(310)이 구성된다.
이때, 진동프레임(310)은 좌,우 길이를 이루는 관통형 직사각형 틀체로 구성된 것으로, 그 둘레 즉, 네 모서리가 각각의 진동 스프링(200, 200')의 상단에 고정되게 구성되며, 관통된 중앙은 제3,4 배출구(140, 150)와 연통되게 구성된다.
또한, 진동유닛(300)에는 진동프레임(310)에 진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진동수단(320)이 구성된 것으로, 진동수단(320)은 진동프레임(310)의 일측에 구성된다.
이때, 진동수단(320)은 새롭게 구현되는 것이 아니라, 통상의 캠 작동에 의한 것이면 가능한 것으로, 일예로 모터 구동식이나 실린더 구동식 등 다양하게 구현 가능할 것이다.
즉, 진동유닛(300)은 상기 경사 형태의 지지프레임(130)과 같은 경사를 이루게 구성되며, 진동수단(320)이 작동시 진동프레임(310)에 진동력이 부여되며, 이때 진동프레임(310)은 본체(100)에 진동 스프링(200, 200') 연결된 것인바, 그 진동 스프링(200, 200')의 유동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선별유닛(400)은, 진동유닛(300)의 진동프레임(310)에 결합되어 성충과 알과 발효톱밥과 굼벵이를 크기별로 선별하게 구성된 것으로, 적어도 한 단 이상의 채반 구조를 이루게 구성하되, 각각의 채반에는 서로 다른 크기의 걸름이 가능한 복수의 걸름망 구조를 이루게 구성하여 다양한 크기의 선별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각각의 걸름망 구조는 타공 또는 망체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선별유닛(400)은, 바람직하게는 제1 채반(410)과 제2 채반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먼저 진동프레임(310)의 상부로 제2 채반(420)이 적층 형성되고, 제2 채반(420)의 상부로 제1 채반이 적층되게 구성된다.
먼저, 제1 채반(410)은 진동프레임(310)과 같이 좌,우 길이를 이루는 직사각형 함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부로 개방되는 제1 수용부(410a)를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1 채반(410)의 바닥면은 중앙을 기준으로 일측의 제1 걸름망(411)과 타측의 제2 걸름망(412)을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제1 걸름망(411)에는 다수의 제1 통공(411a)이 타공 형성되고 제2 걸름망(412)에는 다수의 제2 통공(412a)이 타공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1 채반(410)에는 제2 걸름망(412) 측으로 제1 수용부(410a)가 외부로 개방되는 제1 배출구(415)가 구성된다.
이때, 제1 배출구(415)는 평면상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폭을 이루게 사다리꼴 형태를 이루는 제1 배출트레이(416)로 구성된 것으로, 그 선별된 내용물은 제1 배출트레이(416)의 단부로 배출되게 구성된다.
또한, 제2 채반(420)은 진동프레임(310)과 같이 좌,우 길이를 이루는 직사각형 함체 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부로 개방되는 제2 수용부(420a)를 이루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2 채반(420)의 바닥면은 중앙을 기준으로 일측의 제3 걸름망(421)과 타측의 제4 걸름망(422)을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제3 걸름망(421)에는 다수의 제3 통공(421a)이 타공 형성되고 제4 걸름망(422)에는 다수의 제4 통공(422a)이 타공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2 채반(420)에는 제4 걸름망(422) 측으로 제2 수용부(420a)가 외부로 개방되는 제2 배출구(425)가 구성된다.
이때, 제2 배출구(425)는 평면상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폭을 이루게 사다리꼴 형태를 이루는 제2 배출트레이(426)로 구성된 것으로, 그 제2 배출트레이(426)의 중간부에는 하부로 연통되어 선별된 내용물의 배출이 가능한 제2 배출공(427)이 구성된다.
즉, 제1 배출구(415) 및 제2 배출구(425)는 서로 상,하로 중첩되는 형태를 이루게 구성된 것인바, 제1 배출구(415)의 제1 배출트레이(416) 끝단으로 배출되는 내용물과 제2 배출구(416)의 제2 배출트레이(426)에 구성된 제2 배출공(427)로 배출되는 단차를 이루게 구성하여 선별된 내용물이 배출과정에서 섞이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한편, 선별유닛(400)을 진동유닛(300)에 결합함에 있어서는, 먼저 제2 채반(420)은 진동프레임(310)의 상부에 적층되는 한편, 진동프레임(310)과 폭 방향 일측이 힌지(H) 연결되어 상,하 회동 개폐가 가능하게 구성되며, 힌지(H)의 반대측은 제2 록킹수단(429)을 통해 진동프레임(310)과 고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제1 채반(410)은 제2 채반(420)의 상부에 적층되는 한편, 제2 채반(420)과 폭 방향 일측이 힌지(H) 연결되어 상,하 회동 개폐가 가능하게 구성되며, 힌지(H)의 반대측은 제1 록킹수단(419)을 통해 제2 채반(420)과 고정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제1 내지 제4 걸름망(411, 412, 421, 422)에 형성되는 각각의 제1 내지 제4 통공(411a, 412a, 421a, 422a)은 서로 다른 직경을 이루어 서로 다른 크기로의 선별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도 6을 참조하여 제2 걸름망(412)의 제2 통공(412a)이 가장 큰 직경을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일예로 통상의 종령 크기의 굼벵이 및 큰 크기의 성충이 걸러지는 직경을 이루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제1 걸름망(411)의 제1 통공(411a)이 큰 직경을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일예로 통상의 3령 크기의 굼벵이 및 큰 크기의 성충이 걸리지는 직경을 이루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제4 걸름망(422)의 제4 통공(422a)이 큰 직경을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일예로 통상의 3령 크기의 굼벵이 및 중간 크기의 성충이 걸러지는 직경을 이루게 구성된다.
다음으로, 제3 걸름망(421)의 제3 통공(421a)이 가장 작은 직경을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일예로 통상의 2령 크기의 굼벵이 및 작은 크기의 성충이 걸러지는 직경을 이루게 구성되며, 통상의 초령 및 1령 크기의 굼벵이 및 알과 발효톱밥이 통과하는 직경을 이루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내지 제4 통공(411a, 412a, 421a, 422a)의 직경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각각의 크기에 비례하여 다양한 크기로 선별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즉, 선별유닛(400)은 상기 진동프레임(310)과 함께 경사를 이루게 구성된 것으로, 진동과 함께 굼벵이가 각각의 제1 내지 제4 걸름망(411, 412, 421, 422)을 이동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제1 내지 제4 통공(411a, 412a, 421a, 422a)을 통해 크기에 따른 선별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 다른 실시예로, 도 7의 도시와 같이 굼벵이가 선별 배출되는 과정에서 소정의 시간 동안 정체가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제1 걸름망(411)에는 평면상 측면을 향하는 경사를 이루는 다수의 제1 경사돌기(411b)가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걸름망(412)에는 평면상 측면을 향하는 경사를 이루는 다수의 제2 경사돌기(412b)가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걸름망(421)에는 평면상 측면을 향하는 경사를 이루는 다수의 제3 경사돌기(421b)가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걸름망(422)에는 평면상 측면을 향하는 경사를 이루는 다수의 제4 경사돌기(422b)가 더 포함되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제1 내지 제4 걸름망(411, 412, 421, 422)에 형성되는 각각의 제1 내지 제4 경사돌기(411b, 412b, 421b, 422b)는 선별되는 굼벵이 및 성충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정체 시간을 두게 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1)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굼벵이를 사육하는 과정에서 수시로 수행되는 채란 작업과 크기 선별 작업시 그 편리함과 정확한 선별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먼저 도 8의 도시와 같이 채란 작업시에는, 먼저 진동유닛(300)의 진동수단(320)을 구동시킨 상태에서 성충과 초령 및 1령의 굼벵이와 알과 발효톱밥이 혼합된 혼합물 전체를 제1 걸름망(411)으로 투입하면 된다.
이에, 혼합물은 선별유닛(400)의 제1 채반(410)에 형성되는 제1 걸름망(411)의 상부로 낙하되게 되며, 그 낙하된 혼합물은 진동 및 경사를 이루는 선별유닛(400)을 따라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분리되게 된다.
이에, 제1 걸름망(411)에 투입된 혼합물은 그 제1 통공(411a)을 통해 중간 크기 이상의 성충은 걸러지고, 작은 크기의 성충과 초령 및 1령의 굼벵이와 알과 발효톱밥이 통과하여 제2 채반(420)의 제3 걸름망(421)으로 낙하되게 되며, 이에 제3 걸름망(421)에서는 제3 통공(421a)을 통해 작은 크기의 성충은 걸러져 제4 걸름망(422)으로 이동 및 제4 통공(422a)을 통해 제4 배출구로 배출되고, 초령 및 1령의 굼벵이와 알과 발효톱밥은 제3 통공(421a)을 통과하여 제3 배출구(140)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제1 걸름망(411)에서 걸러진 중간 크기 이상의 성충은 제2 걸름망(41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큰 크기의 성충은 걸러져 제1 배출구(415)를 통해 배출되게 되고, 중간 크기의 성충은 제2 통공(412a)을 통해 제2 채반(420)의 제4 걸름망(422)으로 낙하되어 혹시 포함된 작은 성충은 제4 통공(422a)을 통해 제4 배출구로 배출되고, 중간 크기의 성충은 제2 배출구(425)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제1 배출구(415)와 제2 배출구(425)로 배출되는 성충 들은 그 제2 배출구(425)의 제2 배출트레이(426)에 형성된 제2 배출공(427)을 통한 단차 구성으로 서로 다른 위치로의 배출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배출 과정에서 선별된 성충이 다시 섞이는 것이 방지될 것이다.
즉, 채란 작업시에는 한 번의 작업으로 제2 걸름망(412)에서 걸려져 제1 배출구(415)를 통해 배출되는 큰 성충과, 제4 걸름망(422)에서 걸려져 제2 배출구(425)를 통해 배출되는 중간 크기의 성충과, 제3 걸름망(421)에서 걸러져 제4 배출구(150)로 배출되는 작은 크기의 성충과, 걸러지지 않아 제3 배출구(140)로 배출되는 초령 및 1령의 굼벵이와 알과 발효톱밥의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9의 도시와 같이 굼벵이의 선별 작업시에는, 먼저 진동유닛(300)의 진동수단(320)을 구동시킨 상태에서 선별하고자 하는 굼벵이와 발효톱밥이 혼합된 혼합물 전체를 제1 걸름망(411)으로 투입하면 된다.
이에, 혼합물은 선별유닛(400)의 제1 채반(410)에 형성되는 제1 걸름망(411)의 상부로 낙하되게 되며, 그 낙하된 혼합물은 진동 및 경사를 이루는 선별유닛(400)을 따라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분리되게 된다.
이에, 제1 걸름망(411)에 투입된 혼합물은 그 제1 통공(411a)을 통해 3령 크기 이상의 굼벵이는 걸러지고 나머지 굼벵이 및 발효톱밥은 통과하여 제2 채반(420)의 제3 걸름망(421)으로 낙하되게 되며, 이에 제3 걸름망(421)에서는 제3 통공(421a)을 통해 2령 크기의 굼벵이는 걸러져 제4 걸름망(422)로 이동 및 제4 통공(422a)을 통해 제4 배출구(150)로 배출되고, 나머지 초령 및 1령 크기의 굼벵이와 발효톱밥은 제3 통공(421a)을 통과하여 제3 배출구(140)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제1 걸름망(411)에서 걸러진 3령 이상의 굼벵이는 제2 걸름망(412)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종령 크기의 굼벵이는 걸려져 제1 배출구(415)를 통해 배출되게 되고, 3령 크기 이하의 굼벵이는 제2 통공(412a)을 통해 제2 채반(420)의 제4 걸름망(422)으로 낙하되어 혹시 포함된 2령 크기의 굼벵이는 제4 통공(422a) 통공을 통해 제4 배출구로 배출되고, 3령 크기의 굼벵이는 제4 통공(422a)에서 걸려져 제2 배출구(425)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제1 배출구(415)와 제2 배출구(425)로 배출되는 굼벵이들은 그 제2 배출구(425)의 제2 배출트레이(426)에 형성된 제2 배출공(427)을 통한 전,후 단차 구성으로 서로 다른 위치로의 배출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배출 과정에서 선별된 굼벵이가 다시 섞이는 것이 방지될 것이다.
즉, 굼벵이 크기 선별 작업시에는 한번의 작업으로 제2 걸름망(412)에서 걸려져 제1 배출구(415)를 통해 배출되는 종령의 굼벵이와, 제4 걸름망(422)에서 걸러져 제2 배출구(425)를 통해 배출되는 3령의 굼벵이와, 제3 걸름망(421)에서 걸려져 제4 배출구(150)로 배출되는 2령의 굼벵이와, 제3 걸름망(421)에서 걸러지지 않아 제3 배출구(140)로 배출되는 초령 및 1령의 굼벵이와 발효톱밥의 선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채란 작업시에는 선별 작업시 제1 내지 제4 배출구(415, 425, 140, 150)를 통해 배출 선별되는 성충과 굼벵이와 알과 발효톱밥은 각각의 수거함(11, 12, 13, 14)통해 분리 수거되게 될 것이다.
한편, 도 7을 참조하여 도 10의 도시와 같이 제1 내지 제4 걸름망(411, 412, 421, 422)에 각각 제1 내지 제4 경사돌기(411b, 412b, 421b, 422b)를 더 구성하게 되면, 성충과 굼벵이와 알과 발효톱밥이 하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걸려 소정의 정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인바, 보다 완전한 선별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1)를 사용함에 있어, 선별유닛(400)의 제2 채반(420)은 진동프레임(310)과 힌지(H) 연결되고 제1 채반(410)은 제2 채반(420)과 힌지(H) 연결되어 회동 가능한 구조를 이루는 것인바, 이는 본 발명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1)의 청소 등 유지 관리시 각각 개방하여 사용 가능하게 된다.
또한, 선별유닛(400)의 제2 채반(420)은 진동프레임(310)과 제2 록킹수단(429)으로 고정되고, 제1 채반(410)은 제1 록킹수단(419)을 통해 제2 채반(420)에 고정되는 것인바, 이는 진동 과정에서 서로간에 유동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는, 굼벵이 사육 과정에서 수행되는 채란 작업과 굼벵이 크기의 선별 작업을 한 번의 작업으로 가능하게 하면서도 정확한 선별이 가능하며, 특히 충격시 몸을 둥글게 마는 굼벵이의 자기보호 작용을 이용한 걸름 구조로 굼벵이가 걸름망에 걸리는 것이 방지되게 하는 등 완전한 선별과 굼벵이의 보호가 가능하게 하게 된다.
100 : 본체 110 : 전방 지지각
111 : 전방바퀴 120 : 후방 지지각
121 : 후방바퀴 130 : 지지프레임
140 : 제3 배출구 150 : 제4 배출구
200,200' : 진동 스프링
300 : 진동유닛 310 : 진동프레임
320 : 진동수단
400 : 선별유닛 410 : 제1 채반
410a : 제1 수용부 411 : 제1 걸름망
411a : 제1 통공 411b : 제1 경사돌기
412 : 제2 걸름망 412a : 제2 통공
412b : 제2 경사돌기 415 : 제1 배출구
416 : 제1 배출트레이
419 : 제1 록킹수단 420 : 제2 채반
421 : 제3 걸름망 421a : 제1 통공
421b : 제3 경사돌기 422 : 제4 걸름망
422a : 제4 통공 422b : 제4 경사돌기
425 : 제2 배출구 426 : 제2 배출트레이
427 : 제2 배출공 429 : 제2 록킹수단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두개가 한 조를 이루며 하단에 전방바퀴(111)가 형성된 일측의 전방 지지각(110)이 구비되고, 전방 지지각(110)과 대항되게 이격되어 두개가 한 조를 이루며 하단에 후방바퀴(121)가 형성된 타측의 후방 지지각(120)이 구비되며, 전,후방 지지각(110, 120)의 상단을 연결하며 중앙에는 양측으로 구획되어 상,하로 관통되는 상광하협 형태의 제3,4 배출구(140, 150)가 형성된 지지프레임(130)이 구비되고, 전방 지지각(110)이 후방 지지각(120)보다 높게 구성되어, 지지프레임(130)이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갈수록 하방 경사를 이루게 구성된 본체(100);
    본체(100)의 양측에서 지지프레임(130)의 상부로 돌출되는 4개가 한 조를 이루는 진동 스프링(200, 200');
    좌,우 길이를 이루는 중앙 관통형 틀체로 구성되어 둘레가 진동 스프링(200, 200')의 상단에 고정되며 중앙은 제3,4 배출구(140, 150)와 연통되는 진동프레임(310)이 구비되고, 진동프레임(3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진동프레임(310)에 진동력을 부여하는 진동수단(320)으로 된 진동유닛(300); 및
    진동프레임(310)의 상부를 덮어 마감하며, 진동프레임(310)과 함께 진동하면서 성충과 알과 발효톱밥과 굼벵이를 크기별로 선별을 수행하도록 적어도 한 단 이상의 채반 구조를 이루게 구성하되, 각각의 채반에는 서로 다른 크기의 걸름이 가능한 복수의 걸름망 구조를 이루게 구성된 선별유닛(400)을 포함하되,
    선별유닛(400)은,
    진동프레임(310)에 힌지(H) 연결되어 상,하 회동 및 제2 록킹수단(429)으로 고정되는 제2 채반(420)과, 제2 채반(420)의 상부에 힌지(H) 연결되어 상,하 회동 및 제1 록킹수단(419)으로 고정되는 제1 채반(410)으로 구성하되,
    제1 채반(410)은,
    진동프레임(310)과 같이 좌,우 길이를 이루는 직사각형 함체 형태로 상부로 개방되는 제1 수용부(410a)를 이루며, 바닥면은 중앙을 기준으로 일측에는 다수의 제1 통공(411a)이 타공된 제1 걸름망(411)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다수의 제2 통공(412a)이 타공된 제2 걸름망(412)이 구비되며, 제2 걸름망(412) 측에는 외부로 개방되는 제1 배출구(415)가 형성되게 구성하며,
    제2 채반(420)은,
    진동프레임(310)과 같이 좌,우 길이를 이루는 직사각형 함체 형태로 상부로 개방되어 제1,2 통공(411a, 412a)과 연통되는 제2 수용부(420a)를 이루며, 바닥면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다수의 제3 통공(421a)이 타공된 제3 걸름망(421)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다수의 제4 통공(422a)이 타공된 제4 걸름망(422)이 구비되며, 제4 걸름망(422) 측에는 외부로 개방되는 제2 배출구(425)가 형성되게 구성하며,
    제1 배출구(415)는,
    평면상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폭을 이루는 제1 배출트레이(416)를 이루게 구성하고,
    제2 배출구(425)는,
    평면상 외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폭을 이루는 제2 배출트레이(426)를 이루게 구성하되,
    제2 배출트레이(426)의 중간부에는 하부로 관통되는 제2 배출공(427)을 이루어 제1 배출트레이(416)의 단부를 통해 배출되는 선별물과 단차 배출이 가능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70051312A 2017-04-20 2017-04-20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 KR101873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312A KR101873496B1 (ko) 2017-04-20 2017-04-20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312A KR101873496B1 (ko) 2017-04-20 2017-04-20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3496B1 true KR101873496B1 (ko) 2018-07-02

Family

ID=62914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312A KR101873496B1 (ko) 2017-04-20 2017-04-20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349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960A (ko) 2018-08-01 2020-02-12 농업회사법인 성암인섹트(주) 선별장치
KR102168757B1 (ko) * 2020-08-03 2020-10-22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재생골재용 이물질 선별기
KR20200142750A (ko) 2019-06-13 2020-12-23 송상곤 굼벵이 선별 장치
CN112517182A (zh) * 2020-11-16 2021-03-19 石阡县夜郎苔茶有限公司 一种使用方便的红茶生产用发酵装置
KR20210152337A (ko) 2020-06-08 2021-12-15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엔토모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
KR20220006754A (ko) 2020-07-09 2022-01-18 제이아이테크 주식회사 선별기
KR102464075B1 (ko) * 2021-05-27 2022-11-09 주식회사 반달소프트 곤충 선별장치
KR102504787B1 (ko) * 2022-06-03 2023-03-07 (주)성원환경 이물질 분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336Y1 (ko) * 2003-07-29 2003-10-23 여인희 진동분리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1336Y1 (ko) * 2003-07-29 2003-10-23 여인희 진동분리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960A (ko) 2018-08-01 2020-02-12 농업회사법인 성암인섹트(주) 선별장치
KR20200142750A (ko) 2019-06-13 2020-12-23 송상곤 굼벵이 선별 장치
KR20210152337A (ko) 2020-06-08 2021-12-15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엔토모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
KR20220006754A (ko) 2020-07-09 2022-01-18 제이아이테크 주식회사 선별기
KR102168757B1 (ko) * 2020-08-03 2020-10-22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재생골재용 이물질 선별기
CN112517182A (zh) * 2020-11-16 2021-03-19 石阡县夜郎苔茶有限公司 一种使用方便的红茶生产用发酵装置
KR102464075B1 (ko) * 2021-05-27 2022-11-09 주식회사 반달소프트 곤충 선별장치
KR102504787B1 (ko) * 2022-06-03 2023-03-07 (주)성원환경 이물질 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3496B1 (ko)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
KR101553976B1 (ko) 패류 종패 선별기
US8025027B1 (en) Automated insect separation system
KR101634678B1 (ko) 귀뚜라미 사육 상자 및 귀뚜라미 사육용 구획벽
KR20190066925A (ko) 굼벵이 사육 장치
KR101747928B1 (ko) 곤충 선별 장치
KR102013800B1 (ko) 애벌레 자동선별장치
DE602005003642T2 (de) System für die aufzucht, den transport und die freisetzung von jung-crustacea und verwendung des systems
US4014293A (en) Fish egg incubator
US7305936B2 (en) Retractable, ramped bird feeder
US1974549A (en) Device for rearing and capturing insects
KR20170135574A (ko) 멍게 다단 선별기 및 이를 이용한 멍게 선별방법
JP2015188389A (ja) 稚貝選り分け方法、及び、稚貝選り分け装置
JPH05115230A (ja) 魚類の選別方法および育成装置
CN106577555A (zh) 一种黄粉虫幼虫加速生长的养殖方法
CN205848385U (zh) 一种待化蛹粘虫的自动分离装置
Turcek The ringing of trees by some European woodpeckers
CN206005576U (zh) 鱼苗驯化箱
KR102297675B1 (ko) 굼벵이 선별장치
JP2023530167A (ja) ニンフを含む混合物を選別するための昆虫選別装置
KR102212547B1 (ko) 굼벵이 선별 장치
KR200498024Y1 (ko) 동애등에 전용 선별장치
KR102181684B1 (ko) 굼벵이 선별장치
CN213549114U (zh) 一种大闸蟹捕捞装置
CN210207587U (zh) 一种黄粉虫自动分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