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675B1 - 굼벵이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굼벵이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675B1
KR102297675B1 KR1020190065443A KR20190065443A KR102297675B1 KR 102297675 B1 KR102297675 B1 KR 102297675B1 KR 1020190065443 A KR1020190065443 A KR 1020190065443A KR 20190065443 A KR20190065443 A KR 20190065443A KR 102297675 B1 KR102297675 B1 KR 102297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slugs
unit
slug
br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8990A (ko
Inventor
임호영
양승춘
Original Assignee
임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호영 filed Critical 임호영
Priority to KR1020190065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675B1/ko
Publication of KR20200138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8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07B1/30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jigging or moving to-and-fro within their own plane in or approximately in or transverse to the direction of convey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3Containers presenting a continuous stacking profile along the upper or lower edge of at least two opposite sid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굼벵이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측면부가 구비되고 전면부와 상면부가 개방되는 몸체부의 상부에서 모터의 구동에 의해 가이드부를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선별부에 성충, 톱밥 및 먹이를 투입하고, 상기 선별부 바닥면 하부에 삽입된 슬라이딩플레이트를 제거하며, 상기 몸체부에 장착된 제어부를 이용해 모터를 작동시켜 선별부의 메쉬망으로 형성된 바닥면을 통해 알 또는 부화된 굼벵이를 선별해 상기 선별부 하부에서 몸체부에 수납되는 사육상자부로 떨어져 자라도록 하여 굼벵이가 사육주기별로 해당 굼벵이 사육상자부에서 각각 자라 일정한 크기별로 사육됨으로써 노동력을 절감하고, 굼벵이 선별작업의 정확도와 사육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굼벵이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굼벵이 선별장치{White grub breeding automation screening device}
본 발명은 굼벵이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측면부가 구비되고 전면부와 상면부가 개방되는 몸체부의 상부에서 모터의 구동에 의해 가이드부를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선별부에 성충, 톱밥 및 먹이를 투입하고, 상기 선별부 바닥면 하부에 삽입된 슬라이딩플레이트를 제거하며, 상기 몸체부에 장착된 제어부를 이용해 모터를 작동시켜 선별부의 메쉬망으로 형성된 바닥면을 통해 알 또는 부화된 굼벵이를 선별해 상기 선별부 하부에서 몸체부에 수납되는 사육상자부로 떨어져 자라도록 하여 굼벵이가 사육주기별로 해당 굼벵이 사육상자부에서 각각 자라 일정한 크기별로 사육됨으로써 노동력을 절감하고, 굼벵이 선별작업의 정확도와 사육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굼벵이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굼벵이는 매미, 흰점박이꽃무지, 풍뎅이, 하늘소와 같은 딱정벌레목의 에벌레로서 변태를 하는 곤충류에서 나타나는 유충으로, 성충으로서의 생존 기간은 보통 10~20일간으로 매우 짧은 반면 유충인 굼벵이로서의 생존 기간은 17년으로서 매우 길다고 알려져 있다.
성충이 산란관을 이용하여 주로 말라 죽은 가지 속과 같은 식물조직내에 낳은 알은 약 10개월 이내에 부화되고, 유충은 자발적으로 땅 위에 떨어져서 흙의 틈 사이를 찾아 땅 속으로 기어들어 가며, 1~2mm 크기의 1령 유충은 뿌리에서 수액을 빨아먹으면서 성장하고, 4회의 탈피를 되풀이한 뒤 종령이 되는데, 이 무렵 흰색이었던 몸이 갈색이 되고 일 내지 수년 뒤에 성충으로 변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굼벵이는 원래 단백질, 지방, 무기물질 등이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와 같은 굼벵이가 최근 각광받기 시작한 것은 악혈과 어혈을 풀어주고 제거하는 혈액순환 활성화 기능이 있어서 근육과 뼈가 손상되어 쑤시고 아픈 증상, 여자의 생리가 끊어지고 배가 아픈 경우, 산모의 젖이 잘 안나오는 경우, 산후에 차가운 바람을 맞은 경우, 목구멍이 마비된 증상, 단독, 치루, 옹저 등을 치료하는 한약재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간의 기능을 강화시키고 간경화로 발생하는 복수를 내려주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서는 간암에도 특효가 있는 것이 알려지면서 부터이다.
최근에는 매미의 유충뿐만 아니라, 다른 곤충의 유충에도 매미의 굼벵이와 동일한 약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굼벵이라는 말이 풍뎅이 또는 딱정벌레류 곤충의 유충을 통칭하는 말로 사용되고 있으며, 시중에 통용되는 굼벵이 역시 이와 같은 곤충들의 유충이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통상적으로 사육하는 굼벵이는 풍뎅이 또는 딱정벌레류 곤충의 유충을 일컫는다.
이중에서 성충이 풍뎅이인 흰점박이꽃무지의 애벌레인 굼벵이는 꽃무지 또는 꽃벵이라고 불리우며 종래 초가집의 썩은 이엉 속이나 흙속, 농작물을 비롯한 각종 식물의 뿌리 근처를 파헤쳐 채집하는 것으로 그 수요를 충족하여 왔는데, 근래 농약 등에 의한 환경오염과 초가집, 두엄 등 서식처의 소실이 원인이 되어 그 수가 점점 줄어듦으로써 수요량은 폭증한 데 비하여 공급이 그 균형을 맞추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현실을 극복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굼벵이 사육 방법 및 장치의 개발을 위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는 상황인데, 이와 같은 연구의 대부분은 사육 환경과 사육시 제공되는 먹이에 관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현재까지는 비닐하우스 내에서 나무를 분쇄하여 만든 톱밥으로 굼벵이의 자연 서식환경이라고 할 수 있는 부숙 산야초 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조성한 후 먹이로서 수박, 사과, 바나나 등의 과일을 공급하여 사육하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굼벵이는 사육시 성충과 알, 그리고 발효톱밥을 분리하는 과정과 시기에 따라 1내지 3령의 크기로 선별하는 과정과 출하를 앞둔 종령들을 발효톱밥에서 분리하는 과정 등 수많은 선별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 상기와 같이 굼벵이 사육 과정에서 다양한 선별을 위한 장치가 마련되지 않아 걸름망 등을 이용하여 수작업 수행하고 있는 실정이며, 부득이 자동화를 위해서는 굼벵이와 유사한 종의 밀웜 선별기 등을 이용하여 선별 작업을 수행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별기는 단순히 배지와 밀웜을 분류하는 2종 분류 구조로 이루는 것인바, 굼벵이 사육시 어느 한 과정에서는 적용되었으나, 다수의 선별과정에서는 그 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굼벵이 사육장치는 다단의 선반에 사육박스를 적층하고 박스 내부에 암수 성충을 넣어 먹이와 수분을 공급하면서 굼벵이를 낳아 사육하고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이들 박스 내부에서 굼벵이를 크기별로 선별 분리하여 생산 및 판매를 해오고 있다.
이러한 굼벵이 사육장치 중 한국등록특허 제10-1845377호에는 굼벵이의 먹이가 되는 사료가 지속적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섞이도록 사육통이 회전될 수 있도록 구비하며, 사육통 및 사육통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굼벵이 사육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굼벵이 사육장치는 주행성인 성충이 자라는 환경과 야행성인 굼벵이가 자라는 환경이 동일 공간에 존재함으로써 불빛이 요구되는 성충과 어둠이 요구되는 굼벵이 사이의 경계가 명확하지 않아 이들의 사육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굼벵이 사육장치는 알에서 부화된 굼벵이를 선별하여 날짜별로 서로 다른 박스에 넣어 사육하고, 알에서 부화된지 45일이 지나면 다 자란 애벌레로서 판매가 이루어지나, 알에서 부화된 굼벵이는 크기가 작아 선별하기가 쉽지 않고, 선별된 굼벵이별로 분리하여 사육시켜도 선별되지 못한 굼벵이가 있어 다 자란 굼벵이의 상품성이 낮아지고, 선별이 되지 못한 굼벵이는 원하지 않는 상태로 성충이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굼벵이 사육장치는 알에서 부화된 후 이루어진 선별작업 중 크기가 작아 선별이 되지 않은 굼벵이가 있기에 부화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다시 선별을 하여 크기별로 굼벵이를 분리하여야 하기 때문에 요구되는 노동력이 매우 커서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도 있다.
KR10-1464734 (등록번호) 2014.11.18 KR10-1845377 (등록번호) 2018.03.29 KR10-2019-0023161 (공개번호) 2019.03.08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양측면부가 구비되고 전면부와 상면부가 개방되는 몸체부의 상부에서 모터의 구동에 의해 양측의 가이드부를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선별부에, 성충 등을 투입하고, 상기 선별부 바닥면 하부에 삽입된 슬라이딩플레이트를 선별시에 제거하며, 상기 몸체부에 장착된 제어부를 이용해 모터를 작동시켜 선별부의 메쉬망으로 형성된 바닥면을 통해 알 또는 부화된 굼벵이가 몸체부에 수납되는 사육상자부로 떨어지도록 한 후, 다시 새로운 사육상자부를 삽입시켜 다음 선별시에 부하된 굼벵이 또는 알이 낙하하도록 하며 굼벵이가 사육주기별로 해당 굼벵이 사육상자부에서 각각 자라 일정한 크기별로 사육됨으로써 노동력을 절감하고, 굼벵이 선별작업의 정확도와 사육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굼벵이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별한 굼벵이를 사육하는 사육상자부를 서로 겹쳐서 적층시킨 상태로 보관가능하므로 다수의 사육상자부에 담긴 굼벵이를 시기별로 분리해서 사육할 수 있는 굼벵이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 사육주기(1주일)에 성충 사육상자부에서 부화된 굼벵이를 선별부를 통해 다른 사육상자부로 떨어져 자라도록 하여 굼벵이가 사육주기별로 굼벵이 사육상자부에서 일정한 크기별로 사육되도록 함으로써 노동력의 절감으로 굼벵이의 생산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굼벵이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굼벵이가 사육주기별로 사육상자부에 사육됨으로써 굼벵이의 선별에 오류가 적은 굼벵이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육주기별로 부화된 굼벵이의 수량을 일정하게 조정하여 사육과 이동 및 관리의 편의성을 높이는 굼벵이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육상자부의 상부와 하부에 다수의 사육상자부를 적층하기 위한 상부 결합부 및 하부 결합부가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적층되도록 하는 굼벵이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사육상자부를 적층시 사육상자부의 내부가 밀폐되지 않도록 상부 결합부의 하부 외주면에 공기순환용 환풍구를 형성하여 내부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굼벵이가 사육되는데 적당한 환경을 조성하도록 하는 굼벵이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별부의 가로길이와 세로길이가 사육상자부보다 작아서 선별부가 전후방으로 이동하며 사육상자부 상부에서 알 또는 굼벵이를 떨어뜨려도 굼벵이가 외부로 떨어지지 않고 안전하게 선별되도록 하는 굼벵이 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좌측면부(111)와 우측면부(112)가 구비되고, 상기 좌측면부(111)와 우측면부(112)의 내측벽면부 상부에 서로 대향되는 슬라이드바(113)가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의 몸체부(110)와; 하면부가 메쉬망(121)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메쉬망(121)의 하부에는 판형상의 슬라이딩플레이트(160)가 삽입되는 슬라이딩홈(125)이 구비되되, 상기 몸체부(110)에 장착되는 모터(12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수단(123)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수단(123)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며, 성충이 투입되는 선별부(120)와; 상기 몸체부(110)의 양측 상단에서 상기 선별부(120)가 전후로 이동할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30)와; 상기 선별부(120)의 모터(122)를 구동하고, 상기 모터(122)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140)와; 상기 몸체부(110)에 슬라이드바(113)를 따라 삽입되고, 상기 몸체부(110)의 개방된 전면부를 통해 출몰되며,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60)가 슬라이딩홈(125)에서 제거된 상태로 상기 모터(122)의 회전으로 상기 선별부(120)에서 메쉬망(121)을 통과한 알 또는 부하된 굼벵이가 낙하하는 사육상자부(150);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60)는 상기 선별부(120) 내의 알 또는 부화된 굼벵이가 낙하하지 못하도록 전체가 막힌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별부(120) 내에서 성충이 낳은 알 또는 알에서 부화된 굼벵이를 사육주기별로 선별할때에 상기 선별부(120)의 슬라이딩홈(125)에서 제거하며, 상기 선별기(120)는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60)가 삽입된 상태에서 성충이 투입되어 알을 낳고, 알에서 부화된 굼벵이가 자라며,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60)를 분리한 후에 하부의 사육상자부(150)로 알 또는 부하된 굼벵이가 낙하시킨다.
본 발명의 상기 사육상자부(150)는 상부와 하부에 다수의 사육상자부(150)를 적층하기 위한 상부 결합부(151) 및 하부 결합부(152)가 형성되고, 다수의 사육상자부(150)를 적층시 사육상자부(150)의 내부가 밀폐되지 않도록 상부 결합부(151)의 하부 외주면에 공기순환용 환풍구(153)가 이격되어 다수 구비된다.
본 발명의 상기 선별부(120)는 가로길이와 세로길이가 상기 사육상자부(150)보다 작다.
본 발명의 상기 가이드부(130)는 중심축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바(131)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바(131)의 양측에 상기 몸체부(110)의 상단에 고정설치되는 고정구(132)가 구비되며, 상기 선별부(120)와 결합되고 상기 지지바(131)에 외삽되어 지지바(131)에서 전후로 이동하는 이동수단(133)으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몸체부(110)에 장착 구비되며, 상기 모터(122)를 on/off하기 위한 전원버튼(141)과, 상기 모터(122)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버튼(142)과, 상기 모터(122)의 회전속도를 표시하는 표시부(143)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선별부(120) 상부에는 투명한 덮개판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에는 바퀴(114)가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굼벵이 선별장치는 양측면부가 구비되고 전면부와 상면부가 개방되는 몸체부의 상부에서 모터의 구동에 의해 양측의 가이드부를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선별부에, 성충 등을 투입하고, 상기 선별부 바닥면 하부에 삽입된 슬라이딩플레이트를 선별시에 제거하며, 상기 몸체부에 장착된 제어부를 이용해 모터를 작동시켜 선별부의 메쉬망으로 형성된 바닥면을 통해 알 또는 부화된 굼벵이가 몸체부에 수납되는 사육상자부로 떨어지도록 한 후, 다시 새로운 사육상자부를 삽입시켜 다음 선별시에 부하된 굼벵이 또는 알이 낙하하도록 하며 굼벵이가 사육주기별로 해당 굼벵이 사육상자부에서 각각 자라 일정한 크기별로 사육됨으로써 노동력을 절감하고, 굼벵이 선별작업의 정확도와 사육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굼벵이 선별장치는 선별한 굼벵이를 사육하는 사육상자부를 서로 겹쳐서 적층시킨 상태로 보관가능하므로 다수의 사육상자부에 담긴 굼벵이를 시기별로 분리해서 사육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굼벵이 선별장치는 매 사육주기(1주일)에 성충 사육상자부에서 알 또는 부화된 굼벵이를 선별부를 통해 다른 사육상자부로 떨어져 자라도록 하여 매 사육주기별 굼벵이가 각 굼벵이 사육상자부에서 일정한 크기별로 사육되도록 함으로써 굼벵이의 생산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굼벵이 선별장치는 굼벵이가 사육주기별로 사육상자부에 사육됨으로써 굼벵이의 선별에 오류가 없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굼벵이 선별장치는 사육주기별로 부화된 굼벵이의 수량을 일정하게 조정하여 사육과 이동 및 관리의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굼벵이 선별장치는 사육상자부의 상부와 하부에 다수의 사육상자부를 적층하기 위한 상부 결합부 및 하부 결합부가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적층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굼벵이 선별장치는 다수의 사육상자부를 적층시 사육상자부의 내부가 밀폐되지 않도록 상부 결합부의 하부 외주면에 공기순환용 환풍구를 형성하여 내부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굼벵이가 사육되는데 적당한 환경을 조성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굼벵이 선별장치는 선별부의 가로길이와 세로길이가 사육상자부보다 작아서 선별부가 전후방으로 이동하며 사육상자부 상부에서 알 또는 굼벵이를 떨어뜨려도 굼벵이가 외부로 떨어지지 않고 안전하게 선별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굼벵이 선별장치의 개략적인 사시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굼벵이 선별장치를 후방에서 본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굼벵이 선별장치의 몸체부로부터 사육상자부와 슬라이딩플레이트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굼벵이 선별장치의 선별부에 슬라이딩플레이트가 삽입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굼벵이 선별장치의 선별부로부터 슬라이딩플레이트가 제거되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굼벵이 선별장치의 선별부와 가이드부의 사시도이고,
도 5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굼벵이 선별장치의 슬라이딩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굼벵이 선별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굼벵이 선별장치의 선별부가 작동하여 선별부로부터 사육상자부로 굼벵이와 톱밥 등이 떨어지는 상태의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굼벵이 선별장치의 선별부로터 사육상자로 굼벵이가 떨어지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굼벵이 선별장치의 사육상자부를 적층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굼벵이 선별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면부(111)와 우측면부(112)가 구비되고, 상면부와 전면부가 개방되며, 상기 좌측면부(111)와 우측면부(112)의 내측벽면부 상부에 서로 대향되는 슬라이드바(113)가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의 몸체부(110)와,
성충(풍뎅이), 톱밥 및 먹이 등을 투입하도록 상면부가 개방되고, 하면부가 메쉬망(121)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메쉬망(121)의 하부에는 판형상의 슬라이딩플레이트(160)가 삽입되는 슬라이딩홈(125)이 구비되되, 상기 몸체부(110)에 장착되는 모터(12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수단(123)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수단(123)의 회전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하며 굼벵이를 선별하는 선별부(120)와,
상기 몸체부(110)의 양측 상단에 상기 선별부(120)가 전후로 이동할때 가이드되도록 설치되는 가이드부(130)와,
상기 선별부(120)의 모터(122)를 구동하고, 상기 모터(122)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140)와,
상기 몸체부(110)에 슬라이드바(113)를 따라 삽입되고, 상기 몸체부(110)의 개방된 전면부를 통해 출몰이 가능하며, 상기 선별부(120)에서 메쉬망(121)을 통과한 굼벵이 또는 알이 낙하하는 사육상자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사육상자부(150)는 도면에서 1개만 도시하였으나, 슬라이드바(113)를 복수개 구비하고 사육상자부를 복수개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몸체부(110)는 전면이 전체적으로 개방되도록 도시하였으나, 하면이 상기 사육상자부(150)의 밑에 위치하고 하부에는 4개의 다리가 형성되며 그 하부에 바퀴(114)그 형성되도록 설치할수도 있다.
본 발명의 굼벵이 선별장치(100)는 양 측면부가 구비되고 전면부와 상면부가 개방되는 몸체부(110)의 상부에서 모터(122)의 구동에 의해 가이드부(130)를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선별부(120)에, 사육상자부(150)에 담긴 성충, 톱밥, 먹이 등을 투입하고, 상기 선별부(120) 하부, 몸체부(110) 상부에 사육상자부(150)를 삽입하고 상기 선별부(120) 바닥면(하면부) 하부에 삽입된 슬라이딩플레이트(160)를 분리하며, 상기 몸체부(110)에 장착된 제어부(140)에 전원버튼(141)을 켜서 상기 모터(122)를 작동시켜 선별부(120)의 메쉬망(121)으로 형성된 바닥면을 통해 알 또는 부화된 굼벵이를 자동으로 선별함으로써, 상기 선별부(120) 하부에서 몸체부(110)에 수납되는 사육상자부(150)로 떨어져 자라도록 하여 굼벵이가 사육주기별로 해당 굼벵이 사육상자부(150)에서 자라 일정한 크기별로 사육되도록 한다.
이때, 선별기에 의한 선별은 일정 주기별(예를 들어 1주일)에 한번씩 슬라이딩플레이트(160)를 제거한 후에 모터(122)를 회전시켜 선별부(120)를 앞뒤를 이동하면서 충격을 주어 선별부(120) 내의 일정 주기내에서 낳은 알 및 알에서 부하된 굼벵이가 메쉬망(121)을 통과하여 사육상자부(150)에 떨어진다. 사육상사부(150)에 떨어진 알 또는 부하된 굼벵이는 사육을 위하여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고, 새로운 사육상자부(150)가 삽입된다. 성충이 새로운 알을 낳고 알에서 굼벵이가 부하하는 주기(1주일) 후에 다시 동일한 동작을 반복하여 사육상자부(150)에서는 1주일동안 낳은 알 또는 부하된 굼벵이만 존재하여 자동으로 유사한 크기의 굼벵이가 사육되게 된다.
본 발명의 굼벵이 선별장치(100)에서 사육하는 굼벵이는 풍뎅이 또는 딱정벌레류 곤충의 유충으로, 성충(풍뎅이)이 알을 낳은 후 약 45일 전후 사육된 굼벵이가 가장 좋은 상품으로 취급된다.
한편, 상기 성충은 주행성이므로 빛이 공급되어야 음식물을 잘 섭취하며 건강한 알을 낳을 수 있고, 반면에 성충에서 낳은 알로부터 부화된 애벌레(굼벵이)는 야행성으로 어둡고 28도 정도로 따뜻하며 50~60% 정도의 습도가 있는 곳에서 잘 성장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성충의 먹이는 크고 거친 사과나 바나나 조각을 으깨 만든 형태인 반면 굼벵이의 먹이는 생참나무를 잘라 만든 톱밥에 쌀겨와 밀겨 등을 섞은 첨가제를 발효한 것을 주로 사용하며 이들의 먹이는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주어진다.
상기와 같은 성충과, 굼벵이를 사육하는 사육상자부(150)는 따로 보관하도록 하며, 보관되는 장소는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곳으로 한다.
상기 사육상자부(150)는 상부와 하부에 다수의 사육상자부(150)를 적층하기 위한 상부 결합부(151) 및 하부 결합부(152)가 형성되고, 적층시 하부에 위치한 사육상자부(150)의 상부 결합부(151)와, 상부에 위치한 사육상자부(150)의 하부 결합부(152)가 서로 맞물리도록 하며, 이때, 상기 사육상자부(150)의 내부가 밀폐되지 않도록 상부 결합부(151)의 하부 외주면에 공기순환용 환풍구(153)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 구비되어 공기가 순환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사육상자부(150)는 성충과 굼벵이를 분리하기 전에 성충과 굼벵이가 같이 존재하기 때문에 성충 먹이와 굼벵이 먹이를 함께 공급하며, 암수의 성충을 같이 넣어 사육시킨다.
통상적으로 성충의 암수비율은 대략 3:1 정도로 하여 사육시키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사육상자부(150)는 560(세로) × 820(가로) × 100(높이)mm 로 할 때, 대략 암성충 70마리와 수성충 28마리를 넣어 사육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였으나 그 이외의 비율이나 마리수의 변경도 가능하다.
상기 몸체부(110)는 상부에서 상기 선별부(120)가 전후진 가능하도록 가이드부(130)에 설치되고, 내측은 상기 사육상자부(150)가 내부에 수납될 수 있는 서랍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몸체부(110)는 좌측면부(111)와 우측면부(112)와 후면부가 구비되고, 상면부와 전면부, 하면부가 개방되는 육면체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110)는 모서리부분은 판으로 서로 연결구비되어 안정적으로 결합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10)의 좌측면부(111)와 우측면부(112)의 내측벽면부 상부에 서로 대향되는 슬라이드바(113)가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바(113)에는 상기 사육상자부(150)가 슬라이드되며 출몰하게 된다.
상기 몸체부(110)의 개방된 전면부를 통해 상기 사육상자부(150)가 상기 몸체부(110)에 수납되고, 상기 몸체부(110)의 개방된 상면부를 통해 선별부(120)로부터 선별되는 굼벵이가 사육상자부(150)에 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부(110)는 하부에 이동수단인 바퀴(114)가 설치되어 이동이 용이하며, 상기 바퀴(114)는 모터(122)의 구동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별부(120)는 바닥면이 일정한 크기의 통공이 다수로 형성되는 메쉬망(121)으로 구비되는 채반으로 구성되며, 상기 모터(122)의 구동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하며 진동을 발생시켜 부하된 굼벵이 또는 아직 미부화된 알을 선별하도록 한다. 이때 선별부(120) 상부는 투명한 재질의 덮개판(미도시)을 덮어놓아 성충(풍뎅이)가 날아가지 못하고 습도를 유지하면서 빛이 선별부(120)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상기 모터(122)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10)의 후면부 상부측에서 중심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회전수단(123)이 상부에서 회전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수단(123)과 선별부(120)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선별부(120)의 후면부에 돌출되는 고정수단(124)과 결합되는 연결수단(123a)에 의해 선별부(120)를 잡고 상기 회전수단(123)에 회전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구비된다.
상기 연결수단(123a)은 상기 회전수단(123)이 회전해도 고정수단(124)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회전수단(123)과 결합되는 측이 베어링으로 구비되게 된다.
상기 선별부(120)는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에서 전후방으로 이동할 때 가이드부(130)에 의해 가이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130)는 중심축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바(131)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바(131)의 양측에 상기 몸체부(110)의 상단에 고정설치되는 고정구(132)가 구비되며, 상기 선별부(120)와 결합되되 상기 선별부(120)의 양측에 돌출되는 돌출면 하부에서 결합되고 상기 지지바(131)에 외삽되어 상기 지지바(131)에서 전후로 이동하는 이동수단(133)이 구비된다.
상기 선별부(120)는 상기 몸체부(110)의 개방된 상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몸체부(110)의 상면부 양측에서 내측으로 일정간격 돌출된 고정플레이트에 가이드부(130)의 고정구(132)가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130)와 상기 선별부(120)의 양측면에 돌출되는 날개 형태의 돌출면에 이동수단(133)이 고정결합되어 상기 선별부(120)와 결합된 이동수단(133)이 가이드부(130)의 지지바(131)에서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130)가 고정구(132)에 의해 몸체부(110)에 고정설치되게 된다.
상기 선별부(120) 하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상의 슬라이딩플레이트(160)가 삽입되도록 ㄴ자 형태의 슬라이딩홈(125)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60)를 탈착가능하게 되며,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60)는 선별부(120) 하부에 사육상자부(150)가 몸체부(110)에 삽입되면 분리하여 선별부(120)로부터 굼벵이를 선별하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60)에는 전방측에 슬라이딩플레이트 손잡이(161)가 구비되며, 사용자는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 손잡이(161)를 잡고 쉽게 슬라이딩플레이트(160)를 선별부(120)로부터 제거하도록 한다.
상기 사육상자부(150)는 상기 선별부(120)보다 가로 세로길이가 더 크게 구비되어 상기 선별부(120)에서 떨어지는 굼벵이 등을 안정적으로 받아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선별부에서 사육상자부 사이의 간격은 부하된 굼벵이가 낙하해도 충격이 없을 정도로 가깝게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사육상자부(150)는 쌓아서 보관하도록 상부 결합부(151) 및 하부 결합부(152)가 형성되고, 환풍구(153)가 구비되며, 양측면에 사육상자부 손잡이(154)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사육상자부(150)를 들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사육상자부(150)는 외주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세로바가 형성되어 사육상자부(150)를 쌓았을 때 일정한 무게까지 버틸 수 있도록 견고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굼벵이 선별장치는 상기 선별부(120)의 모터(122)를 구동하고, 상기 모터(122)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부(140)가 상기 몸체부(110)에 장착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140)는 모터(122)를 on/off하기 위한 전원버튼(141)과, 상기 모터(122)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버튼(142)과, 상기 모터(122)의 회전속도를 숫자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부(143)로 이루어진다.
이에 사용자는 전원버튼(141)을 눌러 선별부(120)를 구동하고 원하는 속도를 조절버튼(142)을 이용해 설정하며 표시부(143)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140)에서 타이머 설정기능을 갖도록 하여 원하는 시간동안 선별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굼벵이 선별장치(100)는 양측면부가 구비되고 전면부와 상면부가 개방되는 몸체부(110)의 상부에서 모터(122)의 구동에 의해 양측의 가이드부(130)를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선별부(120)에, 성충, 톱밥, 먹이 등을 투입하고, 상기 선별부(120) 바닥면 하부에 삽입된 슬라이딩플레이트(160)를 제거하며, 상기 몸체부(110)에 장착된 제어부(140)를 이용해 모터(122)를 작동시켜 선별부(120)의 메쉬망(121)으로 형성된 바닥면을 통해 알 또는 부화된 굼벵이를 자동으로 선별하여 상기 선별부(120) 하부에서 몸체부(110)에 수납되는 사육상자부(150)로 떨어져 자라도록 하여 굼벵이가 사육주기별로 해당 굼벵이 사육상자부(150)에서 각각 자라 일정한 크기별로 사육됨으로써 노동력을 절감하고, 굼벵이 선별작업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굼벵이 선별장치(100)는 선별한 굼벵이를 사육하는 사육상자부(150)를 서로 겹쳐서 적층시킨 상태로 보관가능하므로 굼벵이를 시기별로 분리해서 사육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굼벵이 선별장치(100)는 매 사육주기(1주일)에 성충 사육상자부(1500에서 부화된 굼벵이를 선별부(120)를 통해 다른 사육상자부(150)로 떨어져 자라도록 하여 매 사육주기별 굼벵이가 각 굼벵이 사육상자부(150)에서 일정한 크기별로 사육되도록 함으로써 굼벵이의 생산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굼벵이 선별장치(100)는 굼벵이가 사육주기별로 다른 사육상자부(150)에 사육됨으로써 굼벵이의 선별에 오류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굼벵이 선별장치(100)는 사육주기별로 부화된 굼벵이의 수량을 일정하게 조정하여 사육과 이동 및 관리의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굼벵이 선별장치(100)는 사육상자부(150)의 상부와 하부에 다수의 사육상자부(150)를 적층하기 위한 상부 결합부(151) 및 하부 결합부(152)가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적층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굼벵이 선별장치(100)는 다수의 사육상자부(150)를 적층시 사육상자부(150)의 내부가 밀폐되지 않도록 상부 결합부(151)의 하부 외주면에 공기순환용 환풍구(153)를 형성하여 내부 환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져 굼벵이가 사육되는데 적당한 환경을 조성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굼벵이 선별장치(100)는 선별부(120)의 가로길이와 세로길이가 사육상자부(150)보다 작아서 선별부(120)가 전후방으로 이동하며 사육상자부(150)로 굼벵이를 떨어뜨려도 굼벵이가 외부로 떨어지지 않고 안전하게 선별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100 : 굼벵이 선별장치
110 : 몸체부 111 : 좌측면부
112 : 우측면부 113 : 슬라이드바
114 : 바퀴
120 : 선별부 121 : 메쉬망
122 : 모터 123 : 회전수단
123a : 연결수단 124 : 고정수단
125 : 슬라이딩홈
130 : 가이드부 131 : 지지바
132 : 고정구 133 : 이동수단
140 : 제어부 141 : 전원버튼
142 : 조절버튼 143 : 표시부
150 : 사육상자부 151 : 상부 결합부
152 : 하부 결합부 153 : 환풍구
154 : 사육상자부 손잡이
160 : 슬라이딩플레이트 161 : 슬라이딩플레이트 손잡이

Claims (7)

  1. 좌측면부(111)와 우측면부(112)가 구비되고, 상기 좌측면부(111)와 우측면부(112)의 내측벽면부 상부에 서로 대향되는 슬라이드바(113)가 형성되는 육면체 형상의 몸체부(110)와;
    하면부가 메쉬망(121)으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110)의 상부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메쉬망(121)의 하부에는 판형상의 슬라이딩플레이트(160)가 삽입되는 슬라이딩홈(125)이 구비되되, 상기 몸체부(110)에 장착되는 모터(122)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수단(123)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수단(123)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며, 성충이 투입되는 선별부(120)와;
    상기 몸체부(110)의 양측 상단에서 상기 선별부(120)가 전후로 이동할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30)와;
    상기 선별부(120)의 모터(122)를 구동하고, 상기 모터(122)의 회전속도를 조절하는 제어부(140)와;
    상기 몸체부(110)에 슬라이드바(113)를 따라 삽입되고, 상기 몸체부(110)의 개방된 전면부를 통해 출몰되며,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60)가 슬라이딩홈(125)에서 제거된 상태로 상기 모터(122)의 회전으로 상기 선별부(120)에서 메쉬망(121)을 통과한 알 또는 부하된 굼벵이가 낙하하는 사육상자부(150);를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60)는 상기 선별부(120) 내의 알 또는 부화된 굼벵이가 낙하하지 못하도록 전체가 막힌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선별부(120) 내에서 성충이 낳은 알 또는 알에서 부화된 굼벵이를 사육주기별로 선별할때에 상기 선별부(120)의 슬라이딩홈(125)에서 제거하며;
    상기 선별부(120)는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60)가 삽입된 상태에서 성충이 투입되어 알을 낳고 알에서 부화된 굼벵이가 자라며,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160)를 분리한 후에 하부의 사육상자부(150)로 알 또는 부하된 굼벵이가 낙하시키는
    굼벵이 선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육상자부(150)는 상부와 하부에 다수의 사육상자부(150)를 적층하기 위한 상부 결합부(151) 및 하부 결합부(152)가 형성되고, 다수의 사육상자부(150)를 적층시 사육상자부(150)의 내부가 밀폐되지 않도록 상부 결합부(151)의 하부 외주면에 공기순환용 환풍구(153)가 이격되어 다수 구비되는 굼벵이 선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120)는 가로길이와 세로길이가 상기 사육상자부(150)보다 작은 굼벵이 선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30)는 중심축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바(131)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바(131)의 양측에 상기 몸체부(110)의 상단에 고정설치되는 고정구(132)가 구비되며, 상기 선별부(120)와 결합되고 상기 지지바(131)에 외삽되어 지지바(131)에서 전후로 이동하는 이동수단(133)으로 구비되는 굼벵이 선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몸체부(110)에 장착 구비되며, 상기 모터(122)를 on/off하기 위한 전원버튼(141)과, 상기 모터(122)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버튼(142)과, 상기 모터(122)의 회전속도를 표시하는 표시부(143)로 이루어지는 굼벵이 선별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120) 상부에는 투명한 덮개판이 구비되는 굼벵이 선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10)의 하부에는 바퀴(114)가 구비되는 굼벵이 선별장치.
KR1020190065443A 2019-06-03 2019-06-03 굼벵이 선별장치 KR102297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443A KR102297675B1 (ko) 2019-06-03 2019-06-03 굼벵이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443A KR102297675B1 (ko) 2019-06-03 2019-06-03 굼벵이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990A KR20200138990A (ko) 2020-12-11
KR102297675B1 true KR102297675B1 (ko) 2021-09-02

Family

ID=73786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443A KR102297675B1 (ko) 2019-06-03 2019-06-03 굼벵이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67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25687A1 (en) * 2005-12-01 2007-06-07 Kutryk Edward A Screen assembly for a vibratory separator
KR101176415B1 (ko) * 2011-12-30 2012-08-28 이미정 학습용 다단 크기 선별기구
KR101738635B1 (ko) * 2015-09-01 2017-05-22 황명회 제진기에 마련된 전위 스크린의 전, 후 왕복 장치
KR101888654B1 (ko) * 2017-02-15 2018-08-1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주이엔팜 공용성이 확보된 꽃무지 풍뎅이 사육용 선별 분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734B1 (ko) 2013-11-29 2014-11-27 김민기 밀웜분리유닛과 이를 마련한 밀웜선별기
KR101845377B1 (ko) 2016-03-24 2018-04-04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굼벵이 사육 장치
KR20190023161A (ko) 2017-08-28 2019-03-08 정순규 굼벵이사육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굼벵이 사육방법
KR102034180B1 (ko) * 2017-09-14 2019-10-18 신경호 귀뚜라미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25687A1 (en) * 2005-12-01 2007-06-07 Kutryk Edward A Screen assembly for a vibratory separator
KR101176415B1 (ko) * 2011-12-30 2012-08-28 이미정 학습용 다단 크기 선별기구
KR101738635B1 (ko) * 2015-09-01 2017-05-22 황명회 제진기에 마련된 전위 스크린의 전, 후 왕복 장치
KR101888654B1 (ko) * 2017-02-15 2018-08-14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해주이엔팜 공용성이 확보된 꽃무지 풍뎅이 사육용 선별 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8990A (ko) 202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1270B1 (ko) 굼벵이 사육 장치
JP5579122B2 (ja) 有機肥料製造システム
NL2019344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the climate of an insect rearing climate area.
CN113939190B (zh) 自动昆虫饲养系统和容器
NL2015124B1 (en) Insect breeding facility and method for the industrial scale production of mature larvae from egg-laying mother beetles.
JP5718033B2 (ja) 有機肥料製造方法
Kennedy Survival and development of Bradysia impatiens (Diptera: Sciaridae) on fungal and non-fungal food sources
KR20190110257A (ko) 유충 사육 자동화 장치
CN110537526B (zh) 一种尺蠖幼虫及其寄生蜂饲养实验系统及其实现方法
CN112243921A (zh) 一种水产养殖用鱼苗筛分装置
KR100443585B1 (ko) 집파리 유충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의처리 시스템
CN108124823A (zh) 虫、鱼、菜生态种养方法
CN108012995A (zh) 一种绿翅绢野螟的室内饲养方法及装置
KR102297675B1 (ko) 굼벵이 선별장치
CN115380875A (zh) 一种用于饲养及加工幼虫的自动化系统
CN106577555A (zh) 一种黄粉虫幼虫加速生长的养殖方法
KR102142926B1 (ko) 곤충 사육 장치 및 방법
Knud-Hansen et al. Hatchery techniques for egg and fry production of Clarias batrachus (Linnaeus)
DE TROIS et al. Comparative performance of three edible snail species using intensive cage housing system in Cameroon
TWM551534U (zh) 便於收集蟲體及飼養黑水虻之廢料處理裝置
CN208928579U (zh) 一种农业种子扬场除杂设备
JP2009195130A (ja) ビニールハウス内でキャベツを採取してハチミツを採取する養蜂方法
KR200498024Y1 (ko) 동애등에 전용 선별장치
KR102181684B1 (ko) 굼벵이 선별장치
TAHA et al. BIOLOGICAL STUDIES ON THE STORED GRAIN MITE, CARPOGLYPHUS LACTIS (LINNE)(ACARI: ASTIGMATA: CARPOGLYPHIDA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