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4180B1 - 귀뚜라미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귀뚜라미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4180B1
KR102034180B1 KR1020170117997A KR20170117997A KR102034180B1 KR 102034180 B1 KR102034180 B1 KR 102034180B1 KR 1020170117997 A KR1020170117997 A KR 1020170117997A KR 20170117997 A KR20170117997 A KR 20170117997A KR 102034180 B1 KR102034180 B1 KR 102034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icket
sorting
friction member
side wall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7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0495A (ko
Inventor
신경호
Original Assignee
신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경호 filed Critical 신경호
Priority to KR1020170117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4180B1/ko
Publication of KR20190030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1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귀뚜라미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좌·우로 이동하지 않고 직진방향으로 이동하며 위협 또는 인기척을 느끼게 되면 이동하려는 곤충의 특성을 이용하여 건강상태가 양호한 귀뚜라미와, 건강상태가 양호하지 않거나 죽은 귀뚜라미를 선별할 수 있도록 한 귀뚜라미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귀뚜라미 선별장치는, 상부를 개방시켜 형성된 투입구(110)와, 상기 투입구(110)를 통해 투입되는 귀뚜라미(C)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20)과, 상기 수용공간(120)에 투입된 귀뚜라미가 미끄러지지 않고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일측벽 내면에 설치된 마찰부재(130)와, 상기 마찰부재(130)가 설치된 일측벽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메인몸체(100); 상기 메인몸체(100)의 일측벽 외측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에는 배출구(210)가 형성된 선별몸체(200); 상기 선별몸체(2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에는 상기 배출구(210)와 연통되는 유입구(310)가 형성된 저장몸체(300);로 구성되며,
상기 마찰부재(130)가 설치된 일측벽 상부에는 상기 마찰부재(130)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한 귀뚜라미(C) 상기 선별몸체(200)로 승월할 수 있도록 승월홈(150)이 형성되어, 귀뚜라미(C)가 상기 마찰부재(130)가 설치된 일측벽 방향으로만 이동하게 되고 상기 승월홈(150)을 통해 상기 선별몸체(200)로 이동한 후, 상기 저장몸체(300)에 저장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귀뚜라미 선별장치{THE SORTING APPARATUS FOR CRICKET}
본 발명은 귀뚜라미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좌·우로 이동하지 않고 직진방향으로 이동하며 위협 또는 인기척을 느끼게 되면 이동하려는 곤충의 특성을 이용하여 건강상태가 양호한 귀뚜라미와, 건강상태가 양호하지 않거나 죽은 귀뚜라미를 선별할 수 있도록 한 귀뚜라미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귀뚜라미는 메뚜기목 귀뚜라미과의 갑각류 곤충이며, 이러한 귀뚜라미에는 오메가-3 계열 지방산, 특히 DHA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키토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근래에 지구촌 곳곳에서 곡물과 육류 등 기초식량 부족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기초식량 부족현상에 대비하여 대안 식량이 요구되고 있고, 세계적으로 선호도가 높고 안정성이 입증된 2종의 곤충인 고소개(갈색거저리 유충)와 쌍별귀뚜라미가 일반식품원료로 등록되면서 식용곤충 산업이 활성화될 전망이다.
상기와 같이 귀뚜라미를 식용곤충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대량 사육이 선행되어야 하고, 대량 사육된 귀뚜라미는 이물질과 분류함은 물론 사육과정에서 죽게 되는 귀뚜라미 그리고 건강상태가 양호하지 못한 귀뚜라미와 분류하는 작업을 거친 후 세척하여 가공하게 되는 것이다.
귀뚜라미를 선별하기 위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83382호(2015.06.10, 귀뚜라미용 선별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사육된 귀뚜라미(C)를 이물질(1)로부터 선별 가능하도록 하는 선별기구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되어 귀뚜라미(C)와 이물질(1)을 수용 가능하고, 양측 끝단에 수용된 귀뚜라미(C)의 도약을 방해하여 미끄러지듯 배출하게 돌부(12)를 지닌 도약방지수단을 갖는 배출구(11)와, 개방된 상부를 막아 귀뚜라미(C)의 이탈을 방지하게 덮개(14)를 구비하는 동체(10); 상기 동체(10)의 내부에 귀뚜라미(C)를 이물질(1)로부터 선별하고, 이물질(1)을 낙하시키도록 구비하는 걸림망(20); 상기 동체(10)의 양측에 귀뚜라미(C)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30); 및 상기 동체(10)의 내부에 걸림망(20)으로부터 걸러진 이물질(1)을 수용하고, 배출구(11)로부터 선별된 귀뚜라미(C)를 수용하는 채반통(40A)(4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귀뚜라미용 선별기구는 귀뚜라미와 이물질을 선별할 수 있도록 된 것이지만, 사육된 귀뚜라미의 건강상태에 따라 선별할 수는 없어 작업자가 재차 수작업을 통해 귀뚜라미의 상태를 확인하며 선별작업을 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공보 제10-1683382호(2016.11.30, 귀뚜라미용 선별기구)
본 발명의 목적은 사육된 귀뚜라미를 선별하는 장치를 제공하되,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선별하지 않고, 귀뚜라미와 이물질을 분류할 수 있음은 물론, 곤충의 특성을 이용하여 건강상태가 양호한 귀뚜라미와, 건강상태가 양호하지 못한 귀뚜라미 및 죽은 귀뚜라미를 선별할 수 있는 귀뚜라미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귀뚜라미 선별장치는, 상부를 개방시켜 형성된 투입구(110)와, 상기 투입구(110)를 통해 투입되는 귀뚜라미(C)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20)과, 상기 수용공간(120)에 투입된 귀뚜라미가 미끄러지지 않고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일측벽 내면에 설치된 마찰부재(130)와, 상기 마찰부재(130)가 설치된 일측벽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메인몸체(100); 상기 메인몸체(100)의 일측벽 외측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에는 배출구(210)가 형성된 선별몸체(200); 상기 선별몸체(2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에는 상기 배출구(210)와 연통되는 유입구(310)가 형성된 저장몸체(300);로 구성되며,
상기 마찰부재(130)가 설치된 일측벽 상부에는 상기 마찰부재(130)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한 귀뚜라미(C) 상기 선별몸체(200)로 승월할 수 있도록 승월홈(150)이 형성되어, 귀뚜라미(C)가 상기 마찰부재(130)가 설치된 일측벽 방향으로만 이동하게 되고 상기 승월홈(150)을 통해 상기 선별몸체(200)로 이동한 후, 상기 저장몸체(300)에 저장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귀뚜라미 선별장치에 따르면,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선별하지 않고 곤충의 특성을 활용하여, 귀뚜라미와 이물질을 분류할 수 있고 건강상태가 양호한 귀뚜라미와, 건강상태가 양호하지 못한 귀뚜라미 및 죽은 귀뚜라미를 선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귀뚜라미를 선별하는 작업시간을 단축하며 인건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귀뚜라미 선별장치를 나타낸 사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귀뚜라미 선별장치를 나타낸 분리 사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귀뚜라미 선별장치를 나타낸 단면 상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귀뚜라미 선별장치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귀뚜라미 선별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귀뚜라미 선별장치는 메인몸체(100), 선별몸체(200), 저장몸체(30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메인몸체(1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를 개방시켜 형성된 투입구(110)와, 상기 투입구(110)를 통해 투입되는 귀뚜라미(C)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20)과, 상기 수용공간(120)에 투입된 귀뚜라미가 미끄러지지 않고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일측벽 내면에 설치된 마찰부재(130)와, 상기 마찰부재(130)가 설치된 일측벽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다.
상기 마찰부재(130)는 경사각도가 90°인 수직이거나 90°내지 85°의 가파른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야 건강상태가 양호한 귀뚜라미(C)만이 그 마찰부재(130)를 타고 오르며 이동할 수 있고, 건강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귀뚜라미(C)는 상기 마찰부재(130)를 타고 오르지 못하고 낙하하여 상기 수용공간(120)에 잔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경사부(140)가 형성됨에 따라 수용공간(120)으로 투입된 귀뚜라미(C)가 상기 마찰부재(130) 방향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메인몸체(100)를 이루는 재질은 귀뚜라미(C)가 타고 오를 수 없도록 된 재질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무방하며, 요철이 없는 금속판 등을 사용하거나 비닐과 같은 귀뚜라미(C)가 미끄러질 수 있는 재질을 메인몸체(100)의 내면에 덧대어 형성해도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귀뚜라미(C)가 미끄러지는 재질로 형성된 메인몸체(100)의 일측벽에 설치된 상기 마찰부재(130)는 촘촘한 그물망 형태로 직조된 직물이나, 그 외에도 일정한 마찰력을 갖으며 귀뚜라미(C)가 타고 올라갈 수 있는 재질로 된 것이면 어떠한 재질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선별몸체(200)는 상기 메인몸체(100)의 일측벽 외측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에는 배출구(210)가 형성된 것으로, 그 재질은 상기 메인몸체(100)의 재질과 동일하게 귀뚜라미(C)가 미끄러질 수 있는 재질로 형성하면 된다.
또한, 상기 메인몸체(100)에서 상기 선별몸체(200)로 이동해 온 귀뚜라미(C)가 하방의 배출구(210)로 모여 배출될 수 있도록, 상기 선별몸체(200)의 배출구(210)는 개구된 상부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선별몸체(200)의 내부공간은 상기 배출구(210)를 향하여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저장몸체(300)는 상기 선별몸체(2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에는 상기 배출구(210)와 연통되는 유입구(310)가 형성된 것으로 그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유입된 귀뚜라미(C)를 세척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쉽게 빼내어 사용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메인몸체(100)와, 선별몸체(200)와, 저장몸체(3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형성하여 결합시켜도 되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상기 마찰부재(130)가 설치된 일측벽 상부에는 승월홈(150)이 형성되어, 상기 마찰부재(130)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한 귀뚜라미(C)가 상기 선별몸체(200)로 승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몸체(100)와 선별몸체(200)의 상부에는 귀뚜라미(C)가 상기 메인몸체(100)에 투입되고 또 그 메인몸체(100)에서 선별몸체(200)로 승월하는 과정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메인몸체(100)와 선별몸체(200)를 커버하는 덮개(160)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덮개(160)에는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창(161)을 형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메인몸체(100)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투입구(110)로 귀뚜라미(C)가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승월홈(150)의 상부에 위치하는 이탈방지수단(400)이 설치할 수 있으며 그 실시 예는 다음과 같다.
상기 이탈방지수단(400)의 첫 번째 실시 예는 상기 승월홈(150)의 상부에 위치하는 외주면에 브러쉬가 형성된 롤러(411)와 상기 롤러(411)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어 그 롤러(411)를 회전시키는 손잡이(412)로 구성된 이탈방지롤러(410)일 수 있으며, 상기 손잡이(412)를 사용자가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롤러(411)가 회전하게 되고 그 회전방향은 상기 마찰부재(130)를 타고 올라오는 귀뚜라미(C)가 상기 선별몸체(200)로 떨어질 수 있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되는 것이다.
상기 이탈방지수단(400)의 두 번째 실시 예는 상기 승월홈(15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용공간(120)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이탈방지패널(420)로 구성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120)을 향해 경사진 형태로 되어 있어 상기 마찰부재(130)를 타고 올라온 귀뚜라미(C)가 상기 승월홈(150)을 통해 상기 선별몸체(200)로 이동하지 않고 상방으로 뛰어 이탈하려고 하더라도 상기 이탈방지패널(420)에 부딪히며 상기 수용공간(120)으로 재차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메인몸체(100)의 수용공간(120)에는 건강상태가 양호한 귀뚜라미(C)들이 상기 선별몸체(200)로 모두 이동한 후, 귀뚜라미(C)가 배출한 배설물을 포함한 이물질과, 건강상태가 양호하지 못해 상기 선별몸체(200)로 이동하지 못한 귀뚜라미(C) 및 죽은 귀뚜라미(C)들이 남겨지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수용공간(120)의 청소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마찰부재(130)가 설치된 메인몸체(100)의 일측벽과 마주하는 타측벽과 상기 경사부(140)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몸체(100)로부터 서랍형태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형성하여, 상기 타측벽과 경사부(140)를 상기 메인몸체(100)로부터 분리시켜 이물질 및 잔여 귀뚜라미(C)를 쉽게 배출시킬 수 있고, 상기와 같이 타측벽이 개방됨에 따라 상기 수용공간(120)을 세척하는 작업 역시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귀뚜라미 선별장치를 통해 건강상태에 따라 귀뚜라미가 선별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 투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으로 다수 투입된 귀뚜라미들은 곤충의 특성상 외부로 이동하려 하게 되며, 이때 상기 메인몸체의 재질이 미끄러지는 재질로 되어 있어 귀뚜라미들은 마찰부재를 따라 기어올라갈수 밖에 없게 되는 것이다.
상기 마찰부재의 상단까지 기어올라간 귀뚜라미는 더 이상 상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상기 승월홈을 통해 상기 선별몸체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건강상태가 양호하지 못한 귀뚜라미는 상기 마찰부재를 기어올라가지 못하며, 따라서 건강상태가 양호하지 못한 귀뚜라미는 자연스럽게 수용공간에 남게 되고 건강상태가 양호한 귀뚜라미만이 선별몸체를 통해 저장몸체로 저장되게 되는 것이며 동시에 귀뚜라미의 배설물을 포함한 이물질과 죽은 귀뚜라미도 수용공간에 남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선별몸체로 이동된 귀뚜라미는 배출구와 유입구를 통해 상기 저장몸체에 저장되고 그 저장몸체에 저장된 건강상태가 양호한 귀뚜라미만을 작업자가 쉽게 꺼내어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귀뚜라미 선별장치에 따르면, 작업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선별하지 않고 곤충의 특성을 활용하여, 귀뚜라미와 이물질을 분류할 수 있고 건강상태가 양호한 귀뚜라미와, 건강상태가 양호하지 못한 귀뚜라미 및 죽은 귀뚜라미를 선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귀뚜라미를 선별하는 작업시간을 단축하며 인건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일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밀착유닛 110 : 투입구
120 : 수용공간 130 : 마찰부재
140 : 경사부 150 : 승월홈
200 : 선별몸체 210 : 배출구
300 : 저장몸체 310 : 유입구
400 : 이탈방지수단

Claims (7)

  1. 상부를 개방시켜 형성된 투입구(110)와, 상기 투입구(110)를 통해 투입되는 귀뚜라미(C)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120)과, 상기 수용공간(120)에 투입된 귀뚜라미가 미끄러지지 않고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일측벽 내면에 설치된 마찰부재(130)와, 상기 마찰부재(130)가 설치된 일측벽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메인몸체(100);
    상기 메인몸체(100)의 일측벽 외측에 설치되며 상부가 개구되고 하부에는 배출구(210)가 형성된 선별몸체(200);
    상기 선별몸체(2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에는 상기 배출구(210)와 연통되는 유입구(310)가 형성된 저장몸체(300);로 구성되며,
    상기 마찰부재(130)가 설치된 일측벽 상부에는 상기 마찰부재(130)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한 귀뚜라미(C) 상기 선별몸체(200)로 승월할 수 있도록 승월홈(150)이 형성되어, 귀뚜라미(C)가 상기 마찰부재(130)가 설치된 일측벽 방향으로만 이동하게 되고 상기 승월홈(150)을 통해 상기 선별몸체(200)로 이동한 후, 상기 저장몸체(30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마찰부재(130)가 설치된 메인몸체(100)의 일측벽과 마주하는 타측벽과 상기 경사부(140)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메인몸체(100)로부터 서랍형태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 선별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몸체(200)의 배출구(210)는 개구된 상부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선별몸체(200)의 내부공간은 상기 배출구(210)를 향하여 하방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 선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100)와 선별몸체(200)의 상부에는 그 메인몸체(100)와 선별몸체(200)를 커버하는 덮개(160)가 형성되고, 상기 덮개(160)에는 투명창(16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 선별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몸체(100)의 상부 일측에는 상기 투입구(110)로 귀뚜라미(C)가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승월홈(150)의 상부에 위치하는 이탈방지수단(40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 선별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400)은 상기 승월홈(150)의 상부에 위치하는 외주면에 브러쉬가 형성된 롤러(411)와 상기 롤러(411)의 일측 끝단에 설치되어 그 롤러(411)를 회전시키는 손잡이(412)로 구성된 이탈방지롤러(4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 선별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400)은 상기 승월홈(15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용공간(120)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 이탈방지패널(4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귀뚜라미 선별장치.
KR1020170117997A 2017-09-14 2017-09-14 귀뚜라미 선별장치 KR102034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997A KR102034180B1 (ko) 2017-09-14 2017-09-14 귀뚜라미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7997A KR102034180B1 (ko) 2017-09-14 2017-09-14 귀뚜라미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495A KR20190030495A (ko) 2019-03-22
KR102034180B1 true KR102034180B1 (ko) 2019-10-18

Family

ID=65949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7997A KR102034180B1 (ko) 2017-09-14 2017-09-14 귀뚜라미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41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675B1 (ko) * 2019-06-03 2021-09-02 임호영 굼벵이 선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546Y1 (ko) 2001-11-02 2002-03-18 김동화 마늘 선별기
KR200477103Y1 (ko) 2015-01-26 2015-05-06 이삼구 귀뚜라미 대량 포집기
KR101683382B1 (ko) * 2015-06-10 2016-12-06 최재화 귀뚜라미용 선별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666Y1 (ko) * 2014-11-14 2017-02-20 대한민국 곤충 관찰 상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2546Y1 (ko) 2001-11-02 2002-03-18 김동화 마늘 선별기
KR200477103Y1 (ko) 2015-01-26 2015-05-06 이삼구 귀뚜라미 대량 포집기
KR101683382B1 (ko) * 2015-06-10 2016-12-06 최재화 귀뚜라미용 선별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495A (ko) 2019-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55684B2 (ja) 粗選別装置
KR101683382B1 (ko) 귀뚜라미용 선별기구
KR102034180B1 (ko) 귀뚜라미 선별장치
KR200440261Y1 (ko) 콩 탈곡기
DE69727892T2 (de) Maschine zur Farbsortierung von Getreidekörnern oder dergleichen mit Staubsammelvorrichtung
Zhang et al. Development and preliminary evaluation of a new bin filler for apple harvesting and in-field sorting machine
CN106733651A (zh) 自动翻转分离机构
CN207899606U (zh) 一种离心分离型沙石筛分装置
CN106307248A (zh) 一种红薯自动加工装置
US2006018051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sifting material
KR101302871B1 (ko) 피잣 선별장치
KR101103911B1 (ko) 참깨 자동 가공장치
CN206046474U (zh) 一种自动分选装置
CN106072178A (zh) 一种红薯加工装置
CN210248190U (zh) 自动化牡蛎清洗分级装置
US444884A (en) howell
US723826A (en) Apparatus for assorting potatoes, fruits, or the like.
KR101611551B1 (ko) 배추 시레기 선별장치
CN113877815A (zh) 一种豆制品加工用黄豆筛选设备
KR20100034943A (ko) 농작물 세척 선별기
KR101688733B1 (ko) 밀웜용 선별기구
KR102209326B1 (ko) 무동력 곡물 분산기능이 구비된 곡물 정선장치
CN109731770A (zh) 一种泥鳅大小分拣装置
CN215113680U (zh) 一种中药加工用自动除杂烘干装置
US3847245A (en) Ladder for picking fruit or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