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2871B1 - 피잣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피잣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871B1
KR101302871B1 KR1020110060288A KR20110060288A KR101302871B1 KR 101302871 B1 KR101302871 B1 KR 101302871B1 KR 1020110060288 A KR1020110060288 A KR 1020110060288A KR 20110060288 A KR20110060288 A KR 20110060288A KR 101302871 B1 KR101302871 B1 KR 101302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frame
bracket
hole
rotation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0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40507A (ko
Inventor
홍성표
Original Assignee
홍성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표 filed Critical 홍성표
Priority to KR1020110060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871B1/ko
Publication of KR20120140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40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5/00Machines for hulling, husking or cracking nuts
    • A23N5/08Machines for hulling, husking or cracking nuts for removing fleshy or fibrous hulls of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02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with perforate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Abstract

본 발명은 피잣 외피를 제거하는 장치로 피잣을 투입하기 위해 크기별로 피잣을 선별하는 피잣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방이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경사진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이한 크기를 가지는 통공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망체의 분류통; 상기 프레임과 분류통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분류통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피잣 선별장치에 따르면, 회전가능하며 경사지게 구비된 분류통을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고, 구간별로 상이한 크기를 가지는 통공을 형성하여, 분류통으로 투입된 피잣이 통공을 통과하여 같은 크기를 가지는 피잣 끼리 선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후 피잣의 외피를 제거하는 장치로 선별된 피잣을 투입시킬 때 외피 제거장치를 그냥 통과하거나 백잣까지 파쇄되어 상품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피잣 선별장치{Sorting Apparatus for Pine Nut}
본 발명은 피잣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잣 외피를 제거하는 장치로 피잣을 투입하기 위해 크기별로 피잣을 선별하는 피잣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잣은 잘 익은 잣 송이를 파쇄하여 딱딱한 외피로 덮힌 피잣을 모은 후, 피잣의 외피를 제거하는 과정을 거쳐 내부에 수용된 백잣을 요리에 사용하거나 또는 과자나 술안주용 식품으로 판매하고 있다.
종래의 피잣의 외피를 제거하는 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동롤러(10)와,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롤러(10)로부터 이격되어 고정 구비된 지지부(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피잣(50)은 컨베이어(미도시) 등의 이송수단을 통해 외피를 제거하는 장치로 이송되어 순차적으로 정렬될 수 있으며, 정렬된 피잣(50)은 구동롤러(10)의 돌기부에 얹혀진 상태로 구동롤러(10)와 지지부(30) 사이로 인입된다.
이어서, 피잣(50)은 상기 구동롤러(10)와 지지부(3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가압됨과 동시에 구동롤러(10)의 회전방향에 대한 역방향으로 가압되어 외피가 비틀어지면서 피잣(50)으로부터 외피가 벗겨지게 된다.
이어서, 송풍기(미도시) 등으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을 통해 벗겨진 외피를 날려버리면, 외피가 제거된 백잣을 수거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외피가 제거된 백잣을 다량 수거할 수 있다.
한편, 외피를 제거하기 위해 이송되는 피잣(50)의 크기는 다양할 수가 있으며, 구동롤러(10)와 지지부(30) 사이의 간격에 비해 피잣(50)의 크기가 작으면, 피잣(50)은 구동롤러(10)와 지지부(30) 사이에서 가압되지 않고 통과하게 되어 외피가 제거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면, 구동롤러(10)와 지지부(30) 사이의 간격에 비해 피잣(50)의 크기가 너무 크면, 구동롤러(10)와 지지부(30) 사이에서 피잣(50)이 가압될 때 외피뿐만 아니라 내부의 백잣까지 가압되어 파쇄되면서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회전가능하며 경사지게 구비된 분류통을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고, 구간별로 상이한 크기를 가지는 통공을 형성하여, 분류통으로 투입된 피잣이 통공을 통과하여 같은 크기를 가지는 피잣 끼리 선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후 피잣의 외피를 제거하는 장치로 선별된 피잣을 투입시킬 때 외피 제거장치를 그냥 통과하거나 백잣까지 파쇄되어 상품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피잣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피잣 선별장치는, 전방이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경사진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이한 크기를 가지는 통공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망체의 분류통; 상기 프레임과 분류통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분류통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은, 육면체 형상의 뼈대 구조로 이루어진 제1프레임부와, 상기 제1프레임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사각 형상의 뼈대 구조이며 후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진 제2프레임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프레임부와 제2프레임부의 전방에 높이조절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분류통은 상이한 크기를 가지는 통공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망체부와, 상기 망체부의 전단에 구비되어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전방브라켓과, 상기 망체부의 후단에 구비되어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후방브라켓과, 상기 전방브라켓과 후방브라켓 사이에 이격 구비되어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중간브라켓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지지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 상부와 상기 분류통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며 구동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분류통과 일체로 회전되는 제1회전지지부와; 상기 프레임의 타측 상부와 상기 분류통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며 분류통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분류통과 일체로 회전되는 제2회전지지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프레임에는 일측과 타측에서 상부로 각각 연장되어 단부가 이격된 상태로 상기 분류통을 감싸도록 이탈방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이탈방지부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 사이에는 자중에 의해 상기 망체부에 접촉된 끼임방지부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피잣 선별장치에 따르면, 회전가능하며 경사지게 구비된 분류통을 복수의 구간으로 나누고, 구간별로 상이한 크기를 가지는 통공을 형성하여, 분류통으로 투입된 피잣이 통공을 통과하여 같은 크기를 가지는 피잣 끼리 선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추후 피잣의 외피를 제거하는 장치로 선별된 피잣을 투입시킬 때 외피 제거장치를 그냥 통과하거나 백잣까지 파쇄되어 상품성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피잣의 외피 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잣 선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잣 선별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잣 선별장치의 타측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잣 선별장치의 후방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잣 선별장치의 전방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잣 선별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잣 선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잣 선별장치의 일측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잣 선별장치의 타측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잣 선별장치의 후방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잣 선별장치의 전방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3에서의 가로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 하고, 왼쪽을 '전방', 오른쪽을 '후방'이라 하며, 지면에 수직하는 방향을 '폭 방향'이라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잣 선별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00), 회전지지부, 분류통(500), 이탈방지부(600), 끼임방지부(700) 및 구동부(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육면체 형상의 뼈대 구조로 이루어진 제1프레임부(110)와, 상기 제1프레임부(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사각 형상의 뼈대 구조로 이루어진 제2프레임부(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100)은 금속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제1프레임부(110)는 2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각각 사각 형상의 뼈대 구조로 이루어진 하부 프레임부 및 상부 프레임부와, 상부 프레임부와 하부 프레임부 사이에 연결된 수직 프레임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프레임부(120)는 상기 상부 프레임부의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회전지지부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프레임부(120)의 일측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구비된 제1회전지지부(300)와, 상기 제2프레임부(120)의 타측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구비된 제2회전지지부(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회전지지부(30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기둥부(310)와, 제2기둥부(320)와, 제1회전축(330)과, 제1회전가이드부(3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기둥부(310)와 제2기둥부(320)는 상기 제2프레임부(120)의 일측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상부로 돌출 구비된다.
상기 제2기둥부(320)의 상부에는 회전축이 폭 방향이 되도록 하여 제1지지롤러부(36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회전축(330)은 상기 제1기둥부(310)와 제2기둥부(320)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며, 전단은 상기 제1기둥부(3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은 상기 제2기둥부(320)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회전가이드부(340)는 상기 제1회전축(330)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제1회전가이드부(340)는 상기 제1회전축(330)과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가이드부(340)는 제1회전축(33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돌기부(341)와, 상기 돌기부(341)와 돌기부(341) 사이에서 제1회전축(330)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오목한 가이드홈부(345)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회전지지부(400)는 도 2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기둥부(410)와, 제4기둥부(420)와, 제2회전축(430)과, 제2회전가이드부(44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기둥부(410)와 제4기둥부(420)는 상기 제2프레임부(120)의 타측 전방과 후방에서 각각 상부로 돌출 구비된다.
상기 제4기둥부(420)의 상부에는 회전축이 폭 방향이 되도록 하여 제2지지롤러부(46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2회전축(430)은 상기 제3기둥부(410)와 제4기둥부(420)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며, 전단과 후단은 상기 제3기둥부(410) 및 제4기둥부(42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2회전가이드부(440)는 상기 제2회전축(430)에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제2회전가이드부(440)는 상기 제2회전축(430)과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가이드부(440)는 제2회전축(430)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돌기부(441)와, 상기 돌기부(441)와 돌기부(441) 사이에서 제2회전축(430)의 반경방향 내측으로 오목한 가이드홈부(445)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2회전지지부(400)에서 상기 제2회전축(430)의 전단과 후단은 상기 제3기둥부(410)와 제4기둥부(420)에 각각 일체로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제2회전가이드부(440)가 상기 제2회전축(430)을 축으로 하여 회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분류통(50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프레임부(12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으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 망 형상의 망체부(510)와, 전방브라켓(520), 후방브라켓(550), 제1중간브라켓(530) 및 제2중간브라켓(5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망체부(510)는 전방과 후방이 개방된 중공의 원통 형상이며,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망체부(510)를 제1구간(511), 제2구간(513) 및 제3구간(515)으로 나눌 수 있으며, 상기 통공은 구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크기를 다르게 하여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구간(511)에는 상기 통공 중 상대적으로 제일 작은 크기의 통공인 제1통공(5111)을 형성하고, 제2구간(513)에는 중간 크기의 통공인 제2통공(5131)을 형성하고, 제3구간(515)에는 제일 큰 크기의 통공인 제3통공(5151)을 형성한다.
이렇게 하여, 제1구간(511)에서 제2구간(513)을 거쳐 제3구간(515)으로 갈수록 순차적으로 통공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3가지 종류의 크기를 가지는 통공을 형성하였기에 망체부(510)에서 구간을 3개로 나누었으나, 통공 크기의 종류에 따라 구간의 수를 감소 또는 증가시킬 수가 있다.
상기 전방브라켓(520)과 후방브라켓(550)은 상기 망체부(510)의 전단 및 후단에서 각각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구비된다.
제1중간브라켓(530) 및 제2중간브라켓(540)은 전방브라켓(520)과 후방브라켓(550) 사이에서 이격되어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중간브라켓(530, 540)은 상기 망체부(510)에서 구간과 구간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전방브라켓(520), 후방브라켓(550), 제1중간브라켓(530) 및 제2중간브라켓(540)은 링 형상일 수 있다.
따라서, 제1중간브라켓(530)은 제1구간(511)과 제2구간(513) 사이에 구비될 수 있고, 제2중간브라켓(540)은 제2구간(513)과 제3구간(515)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방브라켓(520)과 후방브라켓(550) 사이에 2개의 중간브라켓(530, 540)을 구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 감소 또는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전방브라켓(520), 제1중간브라켓(530), 제2중간브라켓(540) 및 후방브라켓(550)은 제1회전가이드부(340) 및 제2회전가이드부(440)의 가이드홈부(345, 445)에 각각 접촉된다.
상기 제2기둥부(320)의 제1지지롤러부(360)와 제4기둥부(420)의 제2지지롤러부(460)는 상기 후방브라켓(550)의 후면에 접촉된다.
상기 전방브라켓(520), 제1중간브라켓(530), 제2중간브라켓(540) 및 후방브라켓(550)의 원주면과 이에 대응되는 각각의 가이드홈부(345, 445)의 원주면은 접촉력이 큰 기어치나 톱니 형상으로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무 등의 마찰력이 큰 부재가 각각 구비되어 서로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회전축(330)이 회전하여 각각의 제1회전가이드부(340)가 일체로 회전하면, 전방브라켓(520), 제1중간브라켓(530), 제2중간브라켓(540) 및 후방브라켓(550)과 각각의 가이드홈부(345)의 접촉에 의해 상기 분류통(500)이 회전한다.
이와 동시에 전방브라켓(520), 제1중간브라켓(530), 제2중간브라켓(540) 및 후방브라켓(550)의 원주면과 제2회전가이드부(440)의 가이드홈부(445)도 접촉에 상기 제2회전가이드부(440)도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회전가이드부(3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면, 상기 분류통(50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2회전가이드부(44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반대로 상기 제1회전가이드부(34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면, 상기 분류통(500)과, 상기 제2회전가이드부(440)는 각각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이탈방지부(6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프레임부(120)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후 이어서 상부로 각각 연장되고 이어서 폭방향 내측으로 연장되어 단부가 이격된 상태로 구비된다.
상기 이탈방지부(600)는 상기 분류통(500)을 감싸도록 구비된다.
상기 이탈방지부(600)는 제1구간(511), 제2구간(513) 및 제3구간(515)에서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끼임방지부(7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부(600)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 사이에 구비되며 자중에 의해 상기 망체부(510)에 접촉된다.
상기 끼임방지부(700)는 고무 또는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진 중실의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연장 구비된다.
상기 끼임방지부(700)는 제1구간(511), 제2구간(513) 및 제3구간(515)에서 상기 이탈방지부(600)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 사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끼임방지부(700)와 끼임방지부(700)는 연결부(710)를 통해 서로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8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805)와, 모터(805)에 연결된 구동축(810)과, 구동축(810)에 연결된 제1스프라켓(850)과, 상기 제1회전축(330)의 후단에 연결된 제2스프라켓(870)과, 제1스프라켓(850)과 제2스프라켓(870)을 연결하는 체인(89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1스프라켓(850)과 제2스프라켓(870) 대신에 풀리를, 체인(890) 대신에 밸트를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모터(805)가 구동하면, 제1스프라켓(850)과 체인(890) 및 제2스프라켓(870)구동되어, 제2스프라켓(870)에 연결된 제1회전축(330)이 회전하고, 제1회전축(330)에 일체로 연결된 제1회전가이드부(340)가 회전한다.
이어서, 제1회전가이드부(340)의 회전에 의해 분류통(500)이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제2회전가이드부(440) 및 제2회전축(430)이 회전한다.
상기 분류통(500)이 회전하면 회전력에 의해 끼임방지부(700)는 분류통(500)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끼임방지부(700)의 전방 및 후방으로 상기 전방브라켓(520), 제1중간브라켓(530), 제2중간브라켓(540), 후방브라켓(550)이 각각 막혀있고, 이탈방지부(600)가 각각 측면을 막고 있어서, 상기 끼임방지부(700)는 이탈되지 않고 분류통(50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상기 제1프레임부(110)의 상부프레임의 전방과 상기 제2프레임부(120)의 전방 사이에는 상하 방향으로 높이조절부재(150)가 구비된다.
상기 높이조절부재(15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이 상기 상부프레임의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단이 상기 제2프레임부(120)의 전방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된 조절부(151)와, 조절부(151)의 상단에 고정 구비된 손잡이부(155)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절부(151)와 제2프레임부(120)와 상부프레임은 나사 결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손잡이부(155)를 돌려 높이조절부재(150)를 회전시키면, 높이조절부재(150)의 하단은 상부프레임부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하부로 이동되지 못하고, 나사 결합방식에 의해 제2프레임부(120)가 상대적으로 상하로 이동된다.
상부프레임부의 후단과 제2프레임부(120)의 후단은 서로 경첩(170)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2프레임부(120)는 상하로 이동될 때 경사진 상태가 된다.
제2프레임부(120)의 전단이 상하로 이동될 때, 제2프레임부(120)의 후단은 경첩(170)에 의해 상하로 회전하게 된다.
제2프레임부(120)가 상하로 이동되어 경사지면, 제1회전지지부(300), 제2회전지지부(400), 분류통(500), 이탈방지부(600) 및 끼임방지부(700)도 동시에 경사진 상태가 된다.
상기 제2기둥부(320)의 제1지지롤러부(360)와 제4기둥부(420)의 제2지지롤러부(460)가 상기 후방브라켓(550)의 후면에 접촉되어 가압 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 분류통(500)이 경사진 상태가 되더라도 후방으로 밀리지 않게 된다.
한편, 제2프레임부(120)가 상하로 이동되어 경사지면, 상기 제1회전축(330)에 연결된 제2스프라켓(870)도 동시에 경사진 상태가 되어, 상기 제2스프라켓(870)으로부터 체인(890)이 이탈될 수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제2프레임부(120)와 모터부(805)를 연결하는 별도의 거치부재(미도시)를 구비하여, 상기 제2스프라켓(870)이 경사진 상태가 되면 상기 제2모터부(805), 제1스프라켓(850) 및 체인(890)도 동시에 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하여, 제2스프라켓(870)으로부터 체인(89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피잣 선별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측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피잣 선별장치가 이루어지면, 컨베이어 등의 이송수단(910)과, 이송수단(910)으로부터 분류통(500)의 내측을 향하도록 슈트(950)를 구비한다.
이어서, 높이조절부재(150)를 조절하여 상기 분류통(500)이 경사진 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분류통(500)은 전방이 높고, 후방이 낮은 상태가 된다.
이어서, 구동부(800)를 구동시켜 분류통(500)을 회전시키고, 피잣을 이송수단(910)으로 이송시켜 슈트(950)를 통해 분류통(500) 내부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피잣은 별도의 잣 송이를 파쇄하는 과정을 거쳐 모인 것으로, 그 크기는 다양할 수가 있다.
이어서, 분류통(500)의 전방으로부터 내부로 삽입된 피잣은 상기 분류통(500)이 회전함에 따라 발생되는 원심력과, 전방이 높고 후방이 낮은 경사에 따른 중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망체부(510)에는 제1구간(511)에서 제1통공(511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통공(5111)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피잣은 제1통공(51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어서, 제1통공보다(5111)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피잣은 후방으로 회전하면서 계속 이동되고, 제2구간(513)에서 제2통공(513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통공(5131)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피잣은 제2통공(51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어서, 제2통공보다(5131)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피잣은 후방으로 회전하면서 계속 이동되고, 제3구간(515)에서 제3통공(515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3통공(5151)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는 피잣은 제3통공(515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어서, 제3통공보다(5151)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피잣은 후방으로 회전하면서 계속 이동되어 분류통(500)의 후방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통공(5111), 제2통공(5131), 제3통공(5151)을 원형으로 형성한다면, 제1통공(5111)의 지름은 8mm, 제2통공(5131)의 지름은 9mm, 제3통공(5151)의 지름은 10mm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크기가 8mm, 9mm, 10mm 및 분류통(500)의 후방으로 배출되는 10mm 이상의 피잣으로 각각 선별할 수가 있다.
이렇게 하여, 4가지 크기별로 피잣을 선별할 수가 있으며, 통공의 크기에 따른 종류를 증가 또는 감소하여 피잣의 선별되는 종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가 있다.
한편, 피잣이 제1구간(511)에서 제2구간(513)을 거쳐 제3구간(515)으로 이동 중에, 제1통공(5111), 제2통공(5131) 및 제3통공(5151)보다 각각 큰 크기를 가지는 피잣으로 인해 제1통공(5111), 제2통공(5131) 및 제3통공(5151)이 막힐 수가 있다.
이때, 분류통(500)이 회전하면서, 피잣이 걸린 통공 부분이 상기 끼임방지부(700)로 접촉되고, 끼임방지부(700)의 자중으로 통공에 걸린 피잣을 가압함으로써, 각각의 통공으로부터 피잣이 이탈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크기별로 선별된 피잣을 모을 수 있다.
상기 제1구간(511), 제2구간(513), 제3구간(515)의 하부에는 별도의 수납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통공을 통해 배출되는 피잣을 모을 수가 있다.
이렇게 각각 크기별로 선별된 피잣은, 피잣의 외피를 제거하는 별도의 과정을 거쳐 내부에 수용된 백잣을 요리에 사용하거나 또는 과자나 술안주용 식품으로 판매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프레임 300: 제1회전지지부
400: 제2회전지지부 500: 분류통

Claims (5)

  1. 전방이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100)의 상부에 경사진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이한 크기를 가지는 통공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망체의 분류통(500), 상기 프레임(100)과 분류통(500)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분류통(500)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100)은 뼈대 구조로 이루어진 제1프레임부(110)와, 상기 제1프레임부(110)의 상부에 구비되어 후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진 제2프레임부(12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프레임부(110)와 제2프레임부(120)의 전방에 높이조절부재(1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피잣 선별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통(500)은 상이한 크기를 가지는 통공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망체부(510)와, 상기 망체부(510)의 전단에 구비되어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전방브라켓(520)과, 상기 망체부(510)의 후단에 구비되어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후방브라켓(550)과, 상기 전방브라켓(520)과 후방브라켓(550) 사이에 이격 구비되어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중간브라켓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피잣 선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지지부는 상기 프레임(100)의 일측 상부와 상기 분류통(500)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며 구동부(80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분류통(500)과 일체로 회전되는 제1회전지지부(300)와; 상기 프레임(100)의 타측 상부와 상기 분류통(500)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구비되며 분류통(50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분류통(500)과 일체로 회전되는 제2회전지지부(4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피잣 선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통(500)은 상이한 크기를 가지는 통공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망체부(510)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100)에는 일측과 타측에서 상부로 각각 연장되어 단부가 이격된 상태로 상기 분류통(500)을 감싸도록 이탈방지부(600)가 구비되고, 상기 이탈방지부(600)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 사이에는 자중에 의해 상기 망체부(510)에 접촉된 끼임방지부(700)가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 피잣 선별장치.
KR1020110060288A 2011-06-21 2011-06-21 피잣 선별장치 KR101302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288A KR101302871B1 (ko) 2011-06-21 2011-06-21 피잣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0288A KR101302871B1 (ko) 2011-06-21 2011-06-21 피잣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507A KR20120140507A (ko) 2012-12-31
KR101302871B1 true KR101302871B1 (ko) 2013-09-05

Family

ID=47906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0288A KR101302871B1 (ko) 2011-06-21 2011-06-21 피잣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28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87214A (zh) * 2013-12-04 2015-06-10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自动核桃破壳机
CN109894690A (zh) * 2019-04-17 2019-06-18 郑州航空工业管理学院 一种具有分拣功能的机械加工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3299A (zh) * 2019-08-08 2019-11-01 西安理工大学 一种破壳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410Y1 (ko) * 2002-05-22 2002-08-30 주식회사 광풍 과실선별기
KR100500567B1 (ko) * 2003-01-25 2005-07-12 카본코리아 주식회사 여과재 선별장치
KR20090014046A (ko) * 2007-08-03 2009-02-06 손창구 곡물 선별기
KR20120063418A (ko) * 2010-12-07 2012-06-15 홍성표 피잣 분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410Y1 (ko) * 2002-05-22 2002-08-30 주식회사 광풍 과실선별기
KR100500567B1 (ko) * 2003-01-25 2005-07-12 카본코리아 주식회사 여과재 선별장치
KR20090014046A (ko) * 2007-08-03 2009-02-06 손창구 곡물 선별기
KR20120063418A (ko) * 2010-12-07 2012-06-15 홍성표 피잣 분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87214A (zh) * 2013-12-04 2015-06-10 桂林电子科技大学 一种自动核桃破壳机
CN109894690A (zh) * 2019-04-17 2019-06-18 郑州航空工业管理学院 一种具有分拣功能的机械加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40507A (ko) 201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64649A1 (en) Method for separating the shell from seeds or fruit, sifting device, and selection device
US6135020A (en) Nut sheller bypass
KR101377380B1 (ko) 농산물 선별기
KR101403562B1 (ko) 과일 선별장치
US7481157B2 (en) Nutcracker
FR2920277A1 (fr) Egrappoir lineaire a mouvements oscillants alternatifs
CN108993855B (zh) 筛分装置
KR100777970B1 (ko) 어류 선별기
KR101302871B1 (ko) 피잣 선별장치
CN207857323U (zh) 草莓分级筛选机
KR20150078718A (ko) 농산물 선별기
US4230034A (en) Apparatus for continuous produce surface treatment
EP0364365B1 (fr) Dispositif de séparation primaire du grain pour une moissonneuse-batteuse de céréales
US4258069A (en) Method for continuous produce surface treatment
US3612273A (en) Separator
KR101282235B1 (ko) 구근 선별기
KR100799397B1 (ko) 해산물 선별기
KR101357334B1 (ko) 피잣 분리장치
JP2011139984A (ja) 洗浄選別装置
US3672505A (en) Cleaning and sorting machine for particulate materials
CN115644463A (zh) 一种花椒自动化处理设备
KR20130003489A (ko) 트로멜 및 이 트로멜을 포함하는 폐기물 선별기
US3389711A (en) Silverware sorting machine
KR20170114328A (ko) 멍게선별기
KR102288061B1 (ko) 마늘 쪽 분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