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0261Y1 - 콩 탈곡기 - Google Patents

콩 탈곡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0261Y1
KR200440261Y1 KR2020070004988U KR20070004988U KR200440261Y1 KR 200440261 Y1 KR200440261 Y1 KR 200440261Y1 KR 2020070004988 U KR2020070004988 U KR 2020070004988U KR 20070004988 U KR20070004988 U KR 20070004988U KR 200440261 Y1 KR200440261 Y1 KR 2004402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shing
bean
screw
soybean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49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진
Original Assignee
정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진 filed Critical 정상진
Priority to KR20200700049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02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02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02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1/00Thresh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ize; Thresh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crops other than cere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18Thresh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4Grain cleaners; Grain separators

Abstract

본 고안은 콩 탈곡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콩 탈곡시 콩줄기에 콩이 미쳐 탈곡 되지 못한 채 배출되어 탈곡을 재차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함과, 탈곡 후 탈곡기 내부에 잔존해 있는 잔여 콩을 완벽히 걸러낼 수 있게 하고, 또, 돌과 같은 강성의 이물질이 기기 내부에 쌓여 끼이면서 부하 및 오작동을 유발하는 것을 방지될 수 있게 개량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탈곡실(B)의 검불 배출구(B2)와 근접되게 상단 내주면으로 톱니형 요철돌기(11)를 가진 일정높이의 정체판(1)을 선별망(B0) 내주면에 부착함과, 배출스크류(D2)의 하부에는 본체(A) 양측벽으로 부터 부착될 수 있는 스크류안내판(2)을 부착하되, 배출스크류(D2) 저부의 완곡면을 다각형으로 되는 보강부(20)로 형성시켜 그 일부를 절개하여 일단은 경첩(31), 타탄은 결속고리(32)와 걸림턱(33)을 구비한 개폐도어(3)로 구성하고, 상기 개폐도어(3) 완곡면 최하부에는 콩알보다 작은 크기로 되는 수개의 이물질 낙하공(30)을 구성하여서 되는 콩 탈곡기를 제공한다.
정체판, 스크류 안내판, 보강부, 개폐도어, 낙하공.

Description

콩 탈곡기{threshing grain bean}
도 1은 본 고안의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외형도
도 3은 본 고안의 정체판을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정체판을 평면에서 도시한 일부 단면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개폐도어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개폐도어을 도시한 일부 단면 예시도
도 7은 도 6의 실시 예시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A: 본체 A1: 커버
B: 탈곡실 B0: 선별망
B1: 콩줄기 투입구 B2: 검불 배출구
B3: 재선별 투입구 B30: 개폐문
C: 탈곡드럼 C1: 탈곡편
C2: 날개편 D: 선별실
D1: 갈퀴형 걸림대 D2: 배출스크류
D20: 콩 배출구 D3: 송풍기
D4: 쭉정이 배출구 D40: 경사 유도판
D5: 걸름판 E: 전동모터
1: 정체판 11: 요철돌기
2: 스크류 안내판 20: 보강부
3: 개폐도어 31: 경첩
32: 결속고리 33: 걸림턱
30: 낙하공
본 고안은 주로 콩을 탈곡하는 콩 탈곡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콩 탈곡기는 주로 콩 탈곡시 콩줄기에 콩이 미쳐 탈곡 되지 못한 채 배출되는 경우가 많아 이러한 콩줄기를 따로 모아서 탈곡을 재차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또한 콩줄기에서 탈곡된 콩은 그 무게에 의해 하부 선별실로 낙하 되어야 하나 검불에 쓰려서 그대로 배출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탈곡 후 탈곡기 내부에 잔존해 있는 콩이 많아 이를 배출하기 위해서 무리하게 기기를 공회전하는 경우가 많았다.
즉, 일예로 이전에 노란콩을 탈곡 후 다시 검정콩을 탈곡할 때 탈곡기 내부에 미쳐 빠져나오지 못한 이전의 노란콩이 잔존해 있어 서로 썩여서 배출되기 때문에 이를 다시 일일이 선별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으며,
또한, 기기 내에는 콩보다 무겁고 강한 돌과 같은 이물질이 배출스크류의 바닥에 쌓여 스크류의 틈새에 끼이면서 부하가 걸려 기기의 수명을 단축시켜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써, 본원 출원인이 이미 선출한 실용신안 20-0418324호의 콩 탈곡기를 개량하여 콩줄기에서 콩과 검불을 완벽히 분리함과, 탈곡 후 기기 내에 잔존해 있던 콩 및 돌과 같은 이물질을 완벽히 제거되게 한 것에 주안점을 두고 그 과제를 해결한 것인데,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1 내지 도2와 같이, 커버(A1)를 가진 본체(A)에 하부로 선별망(B0)을 구비한 탈곡실(B)을 형성하여 그 내부에 탈곡편(C1)과 스크류형 날개편(C2)이 장착된 탈곡드럼(C)을 설치하고, 탈곡실(B)의 일측에는 콩줄기 투입 구(B1)와 검불 배출구(B2)를 서로 반대 방향에 형성하되, 콩줄기 투입구(B1) 하측에는 내부에 개폐문(B30)을 가진 재선별 투입구(B3)를 구비하며, 탈곡실(B) 하부에는 갈퀴형 걸림대(D1)와, 배출스크류(D2)가 설치된 콩 배출구(D20)와, 송풍기(D3)에 의해 쭉쩡이을 배출하는 쭉쩡이배출구(D4)와, 쭉쩡이배출구(D4)의 경사유도판(D40) 상부에 계단식 걸름판(D5)을 구비한 선별실(D)로 구성하고, 본체(A)의 일측에는 전동모터(E)를 부착하여 탈곡드럼(C), 송풍기(D3), 배출스크류(D2)가 각각 구동가능케 연결한 콩 탈곡기에 있어서,
첨부도면 도3 내지 도4와 같이, 상기 탈곡실(B)의 검불 배출구(B2)와 근접되게 상단 내주면으로 톱니형 요철돌기(11)를 가진 일정높이의 정체판(1)을 선별망(B0) 내주면에 부착하고,
첨부도면 도5 내지 도7과 같이, 상기 배출스크류(D2)의 하부에는 본체(A) 양측벽으로 부터 부착될 수 있는 스크류안내판(2)을 부착하되, 배출스크류(D2) 저부의 완곡면을 다각형으로 되는 보강부(20)로 형성하여 그 일부를 절개시켜 일단은 경첩(31), 타탄은 결속고리(32)와 걸림턱(33)을 구비한 개폐도어(3)로 구성하여서 되는 콩 탈곡기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에서 스크류안내판(2)의 개폐도어(3) 완곡면 최하부에 콩알보다 작은 크기로 되는 수개의 이물질 낙하공(30)을 구성한 것을 포함한다.
즉, 본 고안에서 정체판(1)은 탈곡실(B)로 투입(B1)된 콩줄기가 탈곡드럼(C)에 의해 검불과 콩으로 분리되어 배출(B2)되는 경로에 격벽을 구성함으로써, 미쳐 탈곡되지 못한 콩줄기가 이 정체판(1)에 부딛혀 정체되면서 파쇄되기 까지 격벽을 등반하지 못하기 때문에 강제적으로 탈곡될 수 밖에 없고, 이때 요철돌기(11)은 등반 중에도 콩 줄기가 파쇄될 수 있게 하며, 여기 콩줄기에서 탈곡된 콩 역시 격벽을 등반하지 못하고 이 정체판(1)에 하부에 깔리면서 선별망(B0) 밑으로 낙하되게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 스크류 안내판(2)은 콩 탈곡 후 기기 내에 잔존해 있던 콩이 이 배출스크류(D2) 하부에 대부분 머물기 때문에 상기 스크류 안내판(2)의 최저부를 개폐도어(3)로 구성하여 개방케 함으로써 무리하게 기기를 공회전하지 않고도 완벽히 잔존해 있던 콩을 빼낼 수 있게 한 것이다.
한편, 상기 개폐도어(3)의 완곡면 최하부에 망체 또는 수개의 낙하공(30)을 마련하여 콩보다 작은 돌과 같은 이물질이 배출스크류(D2)의 하부에 쌓여 끼이지 않고 밑으로 낙하되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종래의 콩 탈곡기에 콩줄기에서 콩과 검불을 완전 분리되게 하는 정체판과, 탈곡 후 기기 내에 잔존해 있던 콩 및 돌과 같은 이물질을 전부 배출할 수 있는 개폐도어를 구성한 콩 탈곡기로 개량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탈곡실로 투입한 콩줄기가 미쳐 탈곡되지 못한채 그대로 배출되어 이를 따로 선별하여 탈곡작업을 재차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함과, 탈곡 시 콩줄기에서 분리된 콩이 검불에 쓸려 그대로 배출되는 폐단을 해소하고,
또한 탈곡 후 기기 내부에 잔존해 있는 콩이 다음 탈곡 작업에서 섞여 나와 일일이 선별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이러한 잔여 콩을 강제 배출하기 위해 무리하게 공회전하여 기기의 오작동 및 수명을 단축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또 기기 내에는 콩보다 무겁고 강한 돌과 같은 이물질이 배출스크류의 바닥에 쌓여 스크류의 틈새에 끼이면서 부하가 걸려 기기의 수명을 단축시켜는 등의 문제점이 완벽히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콩과 검불의 선별기능을 향상시킴과, 기기의 원활한 작동 및 그 기능을 더욱 신뢰할 수 있어 재탈곡 및 재선별 작업을 별도로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커버(A1)를 가진 본체(A)에 하부로 선별망(B0)을 구비한 탈곡실(B)을 형성하여 그 내부에 탈곡편(C1)과 스크류형 날개편(C2)이 장착된 탈곡드럼(C)을 설치하고, 탈곡실(B)의 일측에는 콩줄기 투입구(B1)와 검불 배출구(B2)를 서로 반대 방향에 형성하되, 콩줄기 투입구(B1) 하측에는 내부에 개폐문(B30)을 가진 재선별 투입구(B3)를 구비하며, 탈곡실(B) 하부에는 갈퀴형 걸림대(D1)와, 배출스크류(D2)가 설치된 콩 배출구(D20)와, 송풍기(D3)에 의해 쭉쩡이을 배출하는 쭉쩡이배출구(D4)와, 쭉쩡이배출구(D4)의 경사유도판(D40) 상부에 계단식 걸름판(D5)을 구비한 선별실(D)로 구성하고, 본체(A)의 일측에는 전동모터(E)를 부착하여 탈곡드럼(C), 송풍기(D3), 배출스크류(D2)가 각각 구동가능케 연결한 콩 탈곡기에 있어서,
    상기 탈곡실(B)의 검불 배출구(B2)와 근접되게 상단 내주면으로 톱니형 요철돌기(11)를 가진 일정높이의 정체판(1)을 선별망(B0) 내주면에 부착함과, 배출스크류(D2)의 하부에는 본체(A) 양측벽으로 부터 부착될 수 있는 스크류안내판(2)을 부착하되, 배출스크류(D2) 저부의 완곡면을 다각형으로 되는 보강부(20)로 형성시켜 그 일부를 절개하여 일단은 경첩(31), 타탄은 결속고리(32)와 걸림턱(33)을 구비한 개폐도어(3)로 구성하여서 되는 콩 탈곡기.
  2.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안내판(2)의 개폐도어(3) 완곡면 최하부에 콩알보다 작은 크기로 되는 수개의 이물질 낙하공(30)을 구성한 것을 포함하는 콩 탈곡기.
KR2020070004988U 2007-03-27 2007-03-27 콩 탈곡기 KR2004402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988U KR200440261Y1 (ko) 2007-03-27 2007-03-27 콩 탈곡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4988U KR200440261Y1 (ko) 2007-03-27 2007-03-27 콩 탈곡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0261Y1 true KR200440261Y1 (ko) 2008-06-03

Family

ID=41639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4988U KR200440261Y1 (ko) 2007-03-27 2007-03-27 콩 탈곡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0261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485B1 (ko) 2008-09-19 2010-10-22 서태자 콩깍지 배출구의 개폐와 먼지 비산 방지터널을 구비하는 콩탈곡기
CN103650788A (zh) * 2013-11-25 2014-03-26 河南农业大学 大豆室内单株脱粒机
KR200472054Y1 (ko) * 2014-01-21 2014-04-01 조효생 콩 탈곡기
KR101381473B1 (ko) * 2012-10-30 2014-04-04 김창동 콩 탈곡장치
KR101387827B1 (ko) * 2014-01-23 2014-04-22 이길선 정선기능을 가진 탈곡기
KR20160003262U (ko) 2015-03-16 2016-09-26 남영철 콩 탈곡기
CN108738722A (zh) * 2018-06-07 2018-11-06 汤玉章 一种农用一体式高效打稻机
CN110063144A (zh) * 2019-04-27 2019-07-30 林其峰 一种农业用梳水防粘结推挤破碎的打谷机
KR102511384B1 (ko) * 2022-04-14 2023-03-16 지용환 곡물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도정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485B1 (ko) 2008-09-19 2010-10-22 서태자 콩깍지 배출구의 개폐와 먼지 비산 방지터널을 구비하는 콩탈곡기
KR101381473B1 (ko) * 2012-10-30 2014-04-04 김창동 콩 탈곡장치
CN103650788A (zh) * 2013-11-25 2014-03-26 河南农业大学 大豆室内单株脱粒机
KR200472054Y1 (ko) * 2014-01-21 2014-04-01 조효생 콩 탈곡기
KR101387827B1 (ko) * 2014-01-23 2014-04-22 이길선 정선기능을 가진 탈곡기
KR20160003262U (ko) 2015-03-16 2016-09-26 남영철 콩 탈곡기
CN108738722A (zh) * 2018-06-07 2018-11-06 汤玉章 一种农用一体式高效打稻机
CN110063144A (zh) * 2019-04-27 2019-07-30 林其峰 一种农业用梳水防粘结推挤破碎的打谷机
CN110063144B (zh) * 2019-04-27 2021-11-02 浦江县含行科技有限公司 一种农业用梳水防粘结推挤破碎的打谷机
KR102511384B1 (ko) * 2022-04-14 2023-03-16 지용환 곡물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도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0261Y1 (ko) 콩 탈곡기
US20140215751A1 (en) Vacuum cleaner with debris collector
US20090301320A1 (en) Shelling-Separating Machine Especially For Almonds And Other soft-shelled nuts
KR101616525B1 (ko) 분진흡입장치가 구성된 씨앗 탈망 및 알곡선별기
KR200457188Y1 (ko) 콩 선별장치
CN110013912A (zh) 一种大豆筛分清洗一体机
KR100989485B1 (ko) 콩깍지 배출구의 개폐와 먼지 비산 방지터널을 구비하는 콩탈곡기
KR100855904B1 (ko) 분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급방법
KR20200064299A (ko) 검불 분리 및 선별이 가능한 과실 수확장치
KR200418324Y1 (ko) 콩 탈곡기
KR100804074B1 (ko)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558362B1 (ko) 곡물 탈곡장치
KR102633296B1 (ko) 미세 종자 자동 분리장치
KR200288679Y1 (ko) 풋콩 탈곡장치
KR100690955B1 (ko) 곡물 세척 석발기
KR20050058890A (ko) 콩 정선장치
KR200427299Y1 (ko) 콩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486548Y1 (ko) 잡곡 정선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344538Y1 (ko) 콩 정선이 가능한 콩 탈곡기
CN205799863U (zh) 混凝土配料机
KR101387827B1 (ko) 정선기능을 가진 탈곡기
KR101057043B1 (ko) 농작물 세척 선별기
KR200414000Y1 (ko) 콩 탈곡기
KR20200070860A (ko) 회전속도를 제어 가능한 탈곡장치
KR200439716Y1 (ko) 콩 선별기에 설치된 검불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