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666Y1 - 곤충 관찰 상자 - Google Patents

곤충 관찰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666Y1
KR200482666Y1 KR2020140008347U KR20140008347U KR200482666Y1 KR 200482666 Y1 KR200482666 Y1 KR 200482666Y1 KR 2020140008347 U KR2020140008347 U KR 2020140008347U KR 20140008347 U KR20140008347 U KR 20140008347U KR 200482666 Y1 KR200482666 Y1 KR 2004826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grooves
growth
pollen
growth groov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8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738U (ko
Inventor
윤형주
이경용
이영보
김남정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2020140008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666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7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7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6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6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A01K67/0331Snai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3/00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3/36Models for scientific, medical, or mathematical purposes,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for zoology

Abstract

본 고안은 뿔가위벌류의 농가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농가에서 뿔가위벌류의 생태적 특성을 관찰할 수 있게 하는 곤충 관찰 상자에 관한 것으로, 상부면 및 하부면이 평행하게 되면서 상부면에는 어두운 곳을 좋아하는 화분매개곤충이 생육되는 본체; 및 본체를 덮어 어두운 환경을 조성하는 덮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곤충 관찰 상자{INSECT OBSERVATION CAGE}
본 고안은 곤충 관찰 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뿔가위벌류 및 그 번데기를 관찰할 수 있게 하는 곤충 관찰 상자에 관한 것이다.
화분매개곤충 중 벌목(Hymenoptera) 꿀벌과(Apidae) 가위벌아과(Megachilidae)의 뿔가위벌속(Osmia spp.)과 가위벌속(Megachile spp.)은 광범위한 목초재배지나 과수원에서의 중요한 화분매개곤충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뿔가위벌속(Osmia spp.)의 경우 과수의 화분매개곤충으로서 산업화가 많이 이루어졌는데, 화분매개곤충으로서 뿔가위벌류를 이용하기 시작한 연구는 1900년대 초에 유럽에서 벌들의 생태 및 습성 연구를 시작으로, 그 지역의 자생 가위벌류를 연구 및 이용하기 시작하였다.
대표 종으로는 덴마크와 영국에서는 Osmia rufa (L.), 스페인, 이탈리아 및 세르비아에서는 Osmia cornuta(Latreille)를 들 수 있다. 미국에서는 1970년대부터 미국 자생종인 Blue orchard bee, Osmia lignaria가 과수원에서 이용되기 시작하여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으며, 1980년대 초에는 일본에서 머리뿔가위벌을 수입하여 사용하기도 하였다.
화분매개곤충인 뿔가위벌류를 과수재배 중에서도 특히 사과의 수분작용에 적합하도록 개발해서 가장 성공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나라는 일본으로, 1940년대에 머리뿔가위벌(Osmia cornifrons Radoszkowski)을 아오모리현의 사과원에서 처음사용하기 시작하여 최근에는 일본 중부와 북부를 중심으로 사과를 비롯하여 단버찌, 건자두의 화분매개곤충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배, 블루베리 등 노지 과수 외에, 시설딸기, 시설메론, 시설수박 등 시설작물에서도 이용법이 연구되고 있다. 중국에서 뿔가위벌류의 이용은 노지과수에 머리뿔가위벌을 사용하고 있으며, 최근 자생종 중 한 종인 꼬마민뿔가위벌(Osmia jacoti)에 대한 이용 연구가 진행 중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92년 경북 청송군 현동면 창양리 사과 수출농가에서 일본의 아오모리현으로부터 머리뿔가위벌(Osmia cornifrons Radoszkowski)을 도입하여, 경북지방을 중심으로 이용하기 시작했으며, 그 후 정부의 지원 하에 토종 머리뿔가위벌류의 야외 채집 대량증식기술이 개발되어 1990년 말과 2000년 초에 각 사과 주산지역 농업기술센터를 통해 전국으로 보급되었다. 현재는 예천군 곤충연구소와 경상북도 농업자원관리원 잠사곤충사업장에서는 유상 분양실시를 하고 있으며, 부족분은 일부 농가에서 자가생산해서 사용하거나 판매를 하고 있는 등 화분매개곤충의 요구량은 해마다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까지 뿔가위벌류의 생태적 특성을 확인 및 관찰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뿔가위벌류의 농가 이용률은 경부 일부지역을 제외하고 극히 미미한 수준이다.
그러나 농가에서는 화분매개곤충의 대량 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화분매개곤충들의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지 못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 0436604 호(등록일자: 2007년 09월 04일, 명칭: 장수풍뎅이, 사슴벌레, 하늘소의 유충에서 성충까지의 변태과정 관찰장치), 및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제 2014-0002921 호(공개일자: 2014년 05월 16일, 명칭: 사슴벌레 유충 사육 및 관찰 키트)가 있다.
본 고안의 제 1의 목적은 뿔가위벌류의 농가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농가에서 뿔가위벌류의 생태적 특성을 관찰할 수 있게 하는 곤충 관찰 상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제 2의 목적은 뿔가위벌류의 유충, 번데기, 및 성충의 성장과정을 관찰할 수 있게 함으로써, 관찰자의 호기심을 충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의 섭리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과학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게 하는 곤충 관찰 상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곤충 관찰 상자는 상부면 및 하부면이 평행하게 제공되며, 상부면에는 어두운 곳을 좋아하는 화분매개곤충이 생육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다수의 생육장홈이 형성되는 본체; 및 본체를 덮어 어두운 환경을 조성하는 덮개;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체에는 화분매개곤충이 생육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다수의 생육장홈이 형성되며, 생육장홈들은 본체의 일측면에서부터 본체의 타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면서 길이방향으로 마주하도록 본체에 이격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체의 상부면에는 각각의 생육장홈에서 생육되는 화분매개곤충을 관찰할 수 있도록 관찰장홈이 생육장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체의 상부에는 관찰장홈을 통해 화분매개곤충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면서 생육되는 화분매개곤충을 관찰할 수 있도록 투시창이 덮어진다.
구체적으로 생육장홈이 노출된 본체의 일측면 및 타측면 상에는 생육장홈의 양단을 마감할 수 있도록 측벽판이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본체의 상부면에는 각각의 생육홈들에 교차되는 슬릿홈들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각각의 생육장홈들은 슬릿홈들에 끼워지는 격판에 의해 다수의 생육단홈들로 분할된다.
구체적으로 본체의 상부면에는 각각의 생육장홈의 위치 및 생육단홈들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글자 또는 숫자로 이루어진 횡렬 식별표시 및 종렬 식별표시가 새겨진다.
구체적으로 덮개는 본체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평판 형상으로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덮개는 경첩에 의해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면서 본체의 상부면을 덮거나 또는 본체의 상부면을 개방한다.
구체적으로 덮개는 본체의 상부면을 덮은 상태에서 외압에 의해 쉽게 열리지 않도록 잠금장치에 의해 본체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덮개의 상부면에는 또 다른 곤충 관찰 상자의 본체가 적층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본체의 하부면 상에는 또 다른 곤충 관찰 상자의 덮개에 형성된 결합돌기가 끼워지는 수용홈이 형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곤충 관찰 상자는 뿔가위벌류의 생활사 관찰로 뿔가위벌류의 증식 및 번식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화분매개곤충 뿔가위벌류의 종 보전 및 육성에 기여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곤충 관찰 상자는 뿔가위벌류의 유충, 번데기, 및 성충의 성장과정을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관찰자의 호기심을 충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의 섭리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과학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곤충 관찰 상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체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곤충 관찰 상자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곤충 관찰 상자(100)는 어두운 곳을 좋아하는 곤충이 생육되는 본체(110), 및 본체(110)를 덮어 본체(110) 내부에 어두운 환경을 조성하는 덮개(130)를 포함한다.
먼저, 본체(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 및 하부면이 평행한 육면체 형상으로 제공된다.
본체(110)에는 어두운 곳을 좋아하는 곤충, 특히 화분매개곤충, 예를 들면 뿔가위벌류의 유충, 번데기, 및 성충이 생육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다수의 생육장홈(112)이 형성된다.
생육장홈(112)들은 본체(110)의 일측면에서부터 본체(110)의 타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생육장홈(112)들은 길이방향으로 마주하도록 본체(110)에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때 본체(110)의 상부면 상에는 각각의 생육장홈(112)에서 생육되는 뿔가위벌류의 유충, 번데기, 및 성충을 관찰할 수 있도록 관찰장홈(114)이 생육장홈(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생육장홈(112)이 노출된 본체(110)의 일측면 및 타측면 상에는 생육장홈(112)의 양단을 마감할 수 있도록 측벽판(116)이 장착된다.
한편, 각각의 생육장홈(112)들은 뿔가위벌류의 유충, 번데기 및 성충을 나누어 관찰할 수 있도록 다수로 분할된다. 이를 위해서 본체(110)의 상부면에는 생육장홈(112)들에 교차되는 슬릿홈(118)들이 서로 이격되면서 본체(110)의 하부 측으로 침강되게 형성되고, 각각의 슬림홈(118)에는 격판(120)이 끼워진다.
즉, 각각의 생육장홈(112)들은 슬릿홈(118)에 끼워지는 격판(120)들에 의해 다수의 생육단홈(113)으로 분할된다. 그리고 본체(110)의 상부면 상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격판(120)에 각각의 생육장홈(112)의 위치 및 격판(120)들에 의해 분할된 생육단홈(113)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글자 또는 숫자로 이루어진 종렬식별표시(122), 및 횡렬식별표시(124)가 새겨진다.
이렇게 형성된 본체(110)에는 관찰장홈(114)을 통해 뿔가위벌류의 유충, 번데기, 및 성충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면서 생육장홈(112), 또는 생육단홈(113)에서 생육되는 뿔가위벌류의 유충, 번데기, 및 성충을 관찰할 수 있도록 본체(110)의 상부면을 덮는 투시창(126)이 배치된다.
여기서 본체(110), 측벽판(116), 격판(120)은 MDF 합판과 같은 목재, 또는 스티로폼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리고 투시창(126)은 투명아크릴, 폴리카보네이트, 유리, PP필름 중 어느 하나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덮개(130)는 본체(11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평판 형상으로 제공된다. 덮개(130)는 통상의 경첩(132)에 의해 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데, 덮개(130)는 경첩(132)에 의해 본체(110)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면서 본체(110)의 상부면을 덮거나 또는 뿔가위벌류의 유충, 번데기, 및 성충을 관찰할 수 있도록 본체(110)의 상부면을 개방한다.
그리고 덮개(130)는 본체(110)의 상부면을 덮은 상태에서 외압에 의해 쉽게 열리지 않도록 통상의 잠금장치(134)에 의해 본체(110)에 고정된다. 일례로 잠금장치(13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에 장착되는 고리 형상의 고정구(136)와, 고정구(136)가 삽입되는 삽입공(138)이 형성된 잠금편(140) 및 잠금편(140)과 힌지 결합되면서 덮개(130)에 장착되는 장착편(14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곤충 관찰 상자(100)들은 덮개(130)가 본체(110)의 상부면을 덮은 상태로 적층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서 덮개(130)의 상부면 상에는 결합돌기(144)들이 돌출되게 형성되며, 본체(110)의 하부면 상에 결합돌기(144)를 수용하는 수용홈(128)이 형성된다.
여기서, 덮개(130)는 본체(110)와 마찬가지로 MDF 합판과 같은 목재, 또는 스티로폼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에 따른 곤충 관찰 상자(100)는 뿔가위벌류의 유충, 번데기, 및 성충의 성장과정을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관찰자의 호기심을 충족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의 섭리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과학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곤충 관찰 상자(100)는 뿔가위벌류의 생활사 관찰로 뿔가위벌류의 증식 및 번식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화분매개곤충 뿔가위벌류의 종 보전 및 육성에 기여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은 곤충 관찰 상자(100)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곤충 관찰 상자 110 : 본체
112 : 생육장홈 113 : 생육단홈
114 : 관찰장홈 116 : 측벽판
118 : 슬릿홈 120 : 격판
122 : 종렬식별표시 124 : 횡렬식별표시
126 : 투시창 128 : 수용홈
130 : 덮개 132 : 경첩
134 : 잠금장치 144 : 결합돌기

Claims (11)

  1. 상부면 및 하부면이 평행하게 제공되며, 상부면에는 어두운 곳을 좋아하는 화분매개곤충이 생육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다수의 생육장홈이 형성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를 덮어 어두운 환경을 조성하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는 각각의 상기 생육장홈에서 생육되는 화분매개곤충을 관찰할 수 있도록 관찰장홈이 상기 생육장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상부에는 상기 관찰장홈을 통해 화분매개곤충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면서 생육되는 화분매개곤충을 관찰할 수 있도록 투시창이 덮어지며,
    상기 덮개는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을 수 있는 평판 형상으로 제공되고, 경첩에 의해 상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면서 상기 본체의 상부면을 덮거나 또는 상기 본체의 상부면을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관찰 상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생육장홈은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서부터 상기 본체의 타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면서 길이방향으로 마주하도록 상기 본체에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관찰 상자.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생육장홈이 노출된 상기 본체의 일측면 및 타측면 상에는 상기 생육장홈의 양단을 마감할 수 있도록 측벽판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관찰 상자.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는 각각의 상기 생육장홈들에 교차되는 슬릿홈들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생육장홈들은 상기 슬릿홈들에 끼워지는 격판에 의해 다수의 생육단홈들로 분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관찰 상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는 각각의 상기 생육장홈의 위치 및 상기 생육단홈들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글자 또는 숫자로 이루어진 횡렬 식별표시 및 종렬 식별표시가 새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관찰 상자.
  8. 삭제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본체의 상부면을 덮은 상태에서 외압에 의해 쉽게 열리지 않도록 잠금장치에 의해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관찰 상자.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의 상부면에는 또 다른 곤충 관찰 상자의 본체가 적층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하부면 상에는 또 다른 곤충 관찰 상자의 덮개에 형성된 결합돌기가 끼워지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곤충 관찰 상자.


KR2020140008347U 2014-11-14 2014-11-14 곤충 관찰 상자 KR2004826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347U KR200482666Y1 (ko) 2014-11-14 2014-11-14 곤충 관찰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8347U KR200482666Y1 (ko) 2014-11-14 2014-11-14 곤충 관찰 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738U KR20160001738U (ko) 2016-05-24
KR200482666Y1 true KR200482666Y1 (ko) 2017-02-20

Family

ID=56098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8347U KR200482666Y1 (ko) 2014-11-14 2014-11-14 곤충 관찰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6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869A (ko) 2018-02-13 2019-08-2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곤충 행동관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곤충의 행동특성 확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7063Y1 (ko) * 2016-06-08 2018-08-30 대한민국 지네 산란 기구
KR102034180B1 (ko) * 2017-09-14 2019-10-18 신경호 귀뚜라미 선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48966B2 (ja) * 1995-02-06 1998-05-13 株式会社採種実用技術研究所 ハナバチ類用人工巣
KR20090009012A (ko) * 2007-07-19 2009-01-22 (주)대림테크놀로지 지렁이 사육상자
KR20120000771U (ko) * 2010-07-20 2012-02-02 주식회사 렙타일리아 곤충 사육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869A (ko) 2018-02-13 2019-08-2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곤충 행동관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곤충의 행동특성 확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738U (ko) 201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2982B2 (en) Mite rearing methods
KR200482666Y1 (ko) 곤충 관찰 상자
CN102273432A (zh) 应用丽蚜小蜂作为繁殖寄主生产浅黄恩蚜小蜂雄蜂的方法
Mürrle et al. Mass production of small hive beetles (Aethina tumida, Coleoptera: Nitidulidae)
de Oliveira et al. Biological parameters and thermal requirements of Trichogramma pretiosum for the management of the tomato fruit borer (Lepidoptera: Crambidae) in tomatoes
Dingha et al. Laboratory rearing of the brown marmorated stink bug (Hemiptera: Pentatomidae) and the impact of single and combination of food substrates on development and survival
CN104026078B (zh) 一种散白蚁室内集约化饲养方法
Scheffknecht et al. Seedling establishment of epiphytic orchids in forests and coffee plantations in Central Veracruz, Mexico
US20190075762A1 (en) Breeding comb for solitaire bees
Aslam Organic management of root knot nematodes in tomato with spent mushroom compost
CN104872068B (zh) 一种黄胸蓟马室内养虫装置和饲养方法
Singh Traditional meliponiculture by Naga tribes in Nagaland, India
Mwatawala et al. Preference of Zeugodacus cucurbitae (Coquillett) for three commercial fruit vegetable hosts in natural and semi natural conditions
US20150128865A1 (en) Entomopathogenic nematode do-it-yourself application and rearing system
CN106386710B (zh) 板栗象甲为中间寄主扩繁复壮管氏肿腿蜂的方法及其用途
Potter et al. A survey of sap beetles (Coleoptera: Nitidulidae) in strawberry fields in West Central Florida
Sudo et al. Seasonal fluctuations in foliar mite populations on Viburnum erosum Thunb. var. punctatum Franch. et Sav.(Adoxaceae) and sympatric shrubs in temperate secondary forests in western Japan
CN103947608B (zh) 一种食真菌类线虫的培养装置
CN107114326B (zh) 一种松褐天牛肿腿蜂的人工繁育方法及在防治林木蛀干害虫中的应用
KR101893763B1 (ko) 나비생활사 관찰 키트
CN105265398B (zh) 一种能观察林木种实害虫生活史的绿枝养虫装置
CN102523870A (zh) 一种番茄种质烟粉虱抗性的鉴定方法
Nicholls et al. Crop–pollinator interactions in urban and peri‐urban farms in the United Kingdom
KR200475009Y1 (ko) 사슴벌레 유충 사육 및 관찰 키트
Zollinger et al. Microbiological control of carpocoris fuscispinus (hemiptera: pentatomidae), a pest of onion and leek seed cro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