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2337A -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2337A
KR20210152337A KR1020200069311A KR20200069311A KR20210152337A KR 20210152337 A KR20210152337 A KR 20210152337A KR 1020200069311 A KR1020200069311 A KR 1020200069311A KR 20200069311 A KR20200069311 A KR 20200069311A KR 20210152337 A KR20210152337 A KR 202101523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rvae
separation
fecal soil
sorting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9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1115B1 (ko
Inventor
박기환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엔토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엔토모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엔토모
Priority to KR1020200069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115B1/ko
Publication of KR20210152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2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33Rearing or breeding invertebrates; New breeds of inverteb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 B07B1/4663Multi-layer screening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70Invertebrat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개시되는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는, 사육 상자로부터 혼합된 상태로 투입되는 유충과 분변토 및 유기성 폐기물을 각각 분리 선별하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순차적이게 배치되는 제 1, 제 2 및 제 3 스크린부를 가지는 선별 분리 수단; 유기성 폐기물, 유충 및 분변토가 분리 선별되게 하며 동시에 분리 선별된 유기성 폐기물, 유충 및 분변토의 배출되도록 선별 분리 수단에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 인가 수단; 및 선별 분리 수단 및 진동 인가 수단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LARVA AND FECES SOIL SEPARATION SELECTING DEVICE}
본 발명(Disclosure)은, 사육 상자로부터 혼합된 상태로 투입되는 유충과 분변토 및 먹이로 제공되고 남은 유기성 폐기물을 개별적으로 분리 선별할 수 있게 하는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발명에 관한 배경기술이 제공되며, 이들이 반드시 공지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is section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which is not necessarily prior art).
최근, 가축배설물이나 음식물쓰레기의 친환경적 처리를 위해 환경정화 곤충을 활용하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자연계에서 동식물이 죽어 자연으로 돌아가는 과정에서 수많은 곤충들이 관여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동물의 배설물, 사체, 죽은 나무와 낙엽 등의 분해자 역할을 미생물의 분해 작용 이전에 곤충들의 먹이로 활용되어 변환된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곤충 가운데 환경에 직접적인 청소효과 및 이익을 가져다주는 곤충을 환경정화곤충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환경정화곤충의 이용은 주로 축산분뇨의 처리와 관련하여 발전하기 시작하였으며, 환경정화곤충의 예로서는 소와 말 등 포유류의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는 소똥구리, 분료처리와 질 좋은 비료로 전환하는 능력을 갖고 있는 집파리, 음식물폐기물처리를 위한 아메리카 동애등에 등을 들 수 있다.
이중에서 아메리카 동애등에는 파리목 동애등에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파리와 비슷하지만 성충은 인간에게 전혀 피해를 주지 않는다. 성충이 되면 입이 퇴화되어 이슬만 먹으며 섭식 후에도 역류시키기 않으므로 병 매개가 없고, 인간의 거주지에는 침입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게다가 음식물쓰레기 10㎏에 약 5,000마리의 동애등에 유충을 투입할 경우 3~5일이면 음식물쓰레기 80%가 분해되어, 퇴비 등으로 자원화할 수 있고 유충 및 번데기는 사료로 활용이 가능한 아주 유용한 곤충이다.
이와 같은 장점 및 특징을 갖는 동애등에를 활용하여 수도권을 비롯한 대도시에서 많이 생산되고 있는 음식물쓰레기를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동애등에의 대량 증식 및 사육기술의 개발 및 보급이 늘어나고 있다.
한편, 아메리카 동애등에는 사육 과정에서 사육 상자 내부에 배설물(분변토)과 먹이로 제공되는 유기성 폐기물이 혼합되어 사육되기 때문에, 유충 생산 시 유충과 배설물 및 유기성 폐기물의 분리가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서 유충과 배설물 분리 작업은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종래에는 작업자가 직접 망체를 이용하여 분리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수동 작업으로 인해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의 발명자는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노력하였으며, 그 결과물로 본 발명을 특허 출원하기에 이르렀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47928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934960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73496호
본 발명(Disclosure)은, 사육 상자로부터 혼합된 상태로 투입되는 유충과 분변토 및 먹이로 제공되고 남은 유기성 폐기물을 진동을 통해 자동으로 개별 분리 선별할 수 있게 하는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의 제공을 일 목적으로 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요약(Summary)이 제공되며, 이것이 본 발명의 외연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This section provides a general summary of the disclosure and is not a comprehensive disclosure of its full scope or all of its features).
상기한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을 기술하는 여러 관점들 중 어느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는, 사육 상자로부터 혼합된 상태로 투입되는 유충과 분변토 및 유기성 폐기물을 각각 분리 선별하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순차적이게 배치되는 제 1, 제 2 및 제 3 스크린부를 가지는 선별 분리 수단; 유기성 폐기물, 유충 및 분변토가 분리 선별되게 하며 동시에 분리 선별된 유기성 폐기물, 유충 및 분변토의 배출되도록 선별 분리 수단에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 인가 수단; 및 선별 분리 수단 및 진동 인가 수단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에서, 제 1, 제 2 및 제 3 스크린부는 각각 상부 및 타측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제공되며, 제 1, 제 2 및 제 3 스크린부의 바닥은 개방된 타측을 통해 분리 선별된 유기성 폐기물, 유충 및 분변토가 배출되도록 각각 일측에서 개방된 타측으로 낮아지게 연장되되, 제 1 스크린부의 바닥에는 유기성 폐기물은 걸러내고 유충 및 분변토를 통과시키는 제 1 분리 배출공들이 형성되고, 제 2 스크린부의 바닥에는 유충은 걸러내고 분변토는 통과시키는 제 2 분리 배출공이 형성되며, 제 3 스크린부의 바닥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에서, 제 1 분리 배출공들은 제 1 스크린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장공의 형태로 천공되되, 어느 하나의 제 1 분리 배출공과 이웃한 또 다른 제 1 분리 배출공은 일부분이 겹쳐지도록 천공되고, 제 2 분리 배출공들은 원형의 형태로 천공되되, 어느 하나의 제 2 분리 배출공과 이웃한 또 다른 제 2 분리 배출공은 사선으로 마주하게 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에서, 제 1 분리 배출공은 5~6㎜ 폭 및 20~25㎜의 길이를 가지며, 제 2 분리 배출공은 2.5~3㎜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에서, 제 3 스크린부의 모서리부들에 인접하게는 와이어 연결고리가 장착되며, 각각의 와이어 연결고리에는 선별 분리 수단을 매달아 지지할 수 있도록 프레임의 상부면 측에서부터 연장된 와이어 로프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에서, 사육 상자 내 유충과 분변토 및 유기성 폐기물은 프레임에 지지되는 호퍼를 통해 제 1 스크린부로 장입되며, 호퍼는 제 1 스크린부의 일측 상부에 배치되고, 호퍼의 내측 하부에는 쐐기 형상의 분배판이 내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에서, 진동 인가 수단은, 부채꼴 형상을 가지며, 회전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 진동자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진동모터; 및 제 3 스크린부의 바닥을 가격해 선별 분리 수단에 연속적이면서 불규칙한 떨림을 제공하는 다수의 타격 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에서, 타격 볼들은 제 3 스크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부는 개방된 함체 형상의 가지되, 제 3 스크린부의 하부에 일체로 제공되는 챔버 내부에 제공되며, 타격 볼들은 진동자가 발생시키는 회전 진동을 전달받아 제 3 스크린부의 바닥을 가격하고, 챔버의 바닥은 섬유망체 또는 금속망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에서, 타격 볼의 직경에 대하여 챔버 바닥에서부터 제 3 스크린부 바닥까지의 거리는 1 : 1.3~1.8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에서, 진동자는 챔버의 양측에서부터 챔버의 하부 측으로 연장되는 서브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챔버의 하부 중심부와 마주하는 서브 프레임에는 진동자의 회전 중심부가 고정 장착되는 수직한 회전축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에서, 진동자는 23~28도 사이의 중심각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aspect)에 따른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에서, 진동모터는 선별 분리 수단의 일측에 인접한 서브 프레임 상에 고정 장착되며, 진동모터는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회전축과 연결되어 진동자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진동을 이용해 유기성 폐기물, 유충 및 분변토를 자동으로 분리 및 선별할 수 있기 때문에 분리 및 선별 작업에 따른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하는 진동자에 의한 회전 진동과 타격 볼들에 의한 연속적이면서 불규칙한 떨림을 선별 분리 수단 측으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분변토가 제 2 분리배출공에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별토가 원활하게 배출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스크린부의 바닥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제 2 스크린부의 바닥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선별 분리 수단과 프레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진동자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를 구현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형태를 치환 또는 변경의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는 범위를 포섭함을 밝힌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본질적인(intrinsic) 기술적 사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100)는 선별 분리 수단(110) 및 진동 인가 수단(14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100)는 선별 분리 수단(110) 및 진동 인가 수단(140)을 지지하는 프레임(130)을 더 포함한다.
먼저, 선별 분리 수단(110)은 사육 상자(T)로부터 혼합된 상태로 투입되는 유충과 분변토 및 유기성 폐기물을 선별하여 분리시킨다.
선별 분리 수단(110)은 일체로 형성되되,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순차적이게 배치되는 제 1 스크린부(112), 제 2 스크린부(116) 및 제 3 스크린부(120)를 포함한다.
제 1 내지 제 3 스크린부(112, 116, 120)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부 및 타측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제공된다.
그리고 제 1 내지 제 3 스크린부(112, 116, 120)의 바닥은 일측에서 개방된 타측으로 낮아지게 연장된다.
이때, 최상단에 배치된 제 1 스크린부(112)로는 사육 상자(T)로부터 혼합된 상태의 유충과 분변토 및 유기성 폐기물이 장입되며, 제 1 스크린부(112)는 유충 및 분변토는 통과시키고 유충 및 분변토 보다는 상대적으로 큰 유기성 폐기물은 걸러내어 개방된 타측을 통해 배출시킨다.
이를 위해서, 제 1 스크린부(112)의 바닥에는 유기성 폐기물은 걸러내고 유충 및 분변토를 통과시키는 제 1 분리 배출공(114; 도 2 참조)들이 형성되는데, 제 1 분리 배출공(114)들은 제 1 스크린부(112)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장공의 형태로 천공되고, 어느 하나의 제 1 분리 배출공(114)과 이웃한 또 다른 제 1 분리 배출공(114)은 조밀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일부분이 겹쳐지도록 천공된다.
여기서, 제 1 분리 배출공(114)의 크기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제 1 분리 배출공(114)은 5~6㎜ 폭 및 20~25㎜의 길이를 가지도록 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스크린부(116)로는 제 1 스크린부(112)의 제 1 분리 배출공(114)들을 통과한 유충과 분변토가 장입되며, 제 2 스크린부(116)는 분변토는 통과시키고 유충은 걸러내어 개방된 타측을 통해 배출시킨다.
이를 위해서, 제 2 스크린부(116)의 바닥에는 유충은 걸러내고 분변토는 통과시키는 제 2 분리 배출공(118; 도 3 참조)들이 형성되되, 제 2 분리 배출공(118)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형태로 천공되고, 어느 하나의 제 2 분리 배출공(118)과 이웃한 또 다른 제 2 분리 배출공(118)은 조밀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사선(斜線)으로 마주하게 천공된다.
여기서, 제 2 분리 배출공(118)의 유충이 통과하지 않도록 2.5~3㎜의 직경을 가지도록 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제 3 스크린부(120)로는 제 2 스크린부(116)의 제 2 분리 배출공(118)들을 통과한 분변토가 장입되고, 제 3 스크린부(120)는 장입된 분변토를 일시적으로 포집하는데, 제 3 스크린부(120)은 포집된 분변토를 개방된 타측을 통해 배출시킨다.
이때, 제 3 스크린부(120)의 바닥은 제 2 스크린부(116)로부터 장입된 분변토가 미끄러져 배출될 수 있도록 경사진 평평한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선별 분리 수단(110)은 진동 인가 수단(140)의 진동이 원활하게 제 1 내지 제 3 스크린부(112, 116, 120)에 전달 되도록 프레임(130)에 현수되어 지지된다(도 4 참조).
이를 위해서, 선별 분리 수단(110)의 하부, 즉 제 3 스크린부(120)의 각각의 모서리부에 인접하게는 와이어 연결고리(132)가 장착되며, 각각의 와이어 연결고리(132)에는 프레임(130)의 상부면 측에서부터 연장된 와이어 로프(134)가 연결된다.
그리고 혼합된 상태의 유충과 분변토 및 유기성 폐기물은 호퍼(136)를 통해 제 1 스크린부(112)로 장입되는데, 호퍼(136)는 제 1 스크린부(112)가 유기성 폐기물은 걸러내고 유충 및 분변토는 통과시킬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 1 스크린부(112)의 일측 상부에 배치된다.
또한, 호퍼(136)의 내측 하부에는 제 1 스크린부(112) 측으로 혼합된 상태로 장입되는 유충과 분변토 및 유기성 폐기물을 분배하여 장입시킬 수 있게 하는 쐐기 형상의 분배판(138)이 내장된다.
여기서, 호퍼(136)는 프레임(130) 상에 지지되며, 호퍼(136)와 프레임(130)은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기에 본 발명에서 호퍼(136)와 프레임(130)의 연결 관계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즉, 프레임(1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선별 분리 수단(110)을 와이어 로프(134)를 이용해 매달아 지지할 수 있으면서 호퍼(136)가 연결될 수 있다면 어떠한 형태 및 형상으로 제공되어도 무방하다.
진동 인가 수단(140)은 선별 분리 수단(110)에 진동을 제공해 유기성 폐기물, 유충 및 분변토가 분리 선별되게 하며 동시에 분리 선별된 유기성 폐기물, 유충 및 분변토의 배출을 안내한다.
진동 인가 수단(140)은 회전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146)와, 진동자(146)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진동모터(150)를 포함한다.
또한, 진동 인가 수단(140)은 제 3 스크린부(120)의 바닥을 가격해 선별 분리 수단(110)에 연속적이면서 불규칙한 떨림을 제공하는 다수의 타격 볼(142)들을 더 포함한다.
타격 볼(142)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스크린부(120)의 하부에 일체로 제공되는 챔버(144) 내부에 한정되어 제공되며, 이렇게 챔버(144) 내부에 제공된 타격 볼(142)들은 진동자(146)가 발생시키는 회전 진동을 전달받아 챔버(144)의 바닥과 제 3 스크린부(120) 바닥 사이 공간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제 3 스크린부(120)의 바닥을 가격한다.
이때, 제 3 스크린부(120)의 바닥을 가격하는 타격 볼(142)들은 제 3 스크린부(120)에 포집된 분변토의 배출을 도울 뿐만 아니라 제 2 스크린부(116)의 제 2 분리배출공(118)에 분변토가 끼이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챔버(144)는 타격 볼(142)들이 제 3 스크린부(120) 전체를 가격할 수 있도록 제 3 스크린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부는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제공되되, 챔버(144)의 바닥은 타격 볼(142)에 탄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섬유망체 또는 금속망체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타격 볼(142)들은 탄성력을 가지는 소재, 즉 고무 또는 실리콘 등과 같은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타격 볼(142)의 직경에 대하여 챔버(144) 바닥에서부터 제 3 스크린부(120) 바닥까지의 거리는 1 : 1.3~1.8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타격 볼(142)들은 30㎜의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챔버(144) 바닥에서부터 제 3 스크린부(120) 바닥 사이의 거리는 40㎜의 길이로 이격될 수 있다.
여기서, 타격 볼(130)의 직경에 대하여 챔버(144) 바닥에서부터 제 3 스크린부(120) 바닥까지의 거리 1.3 미만이면 타격 볼(142)의 움직임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제 3 스크린부(120)의 바닥을 가격하는 힘이 약해지게 되고, 타격 볼(130)의 직경에 대하여 챔버(144) 바닥에서부터 제 3 스크린부(120) 바닥까지의 거리 1.8을 초과하면 타격 볼(142)들이 제 3 스크린부(120)의 바닥을 가격하지 못하게 된다.
진동자(146)는 평면에서 봤을 때 대략 부채꼴 형상으로 제공되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챔버(144)의 하부 측에 배치된다.
이를 위해서, 챔버(144)의 하부 측에는 챔버(144)의 양측에서부터 챔버(144)의 바닥에 간섭되지 않게 챔버(144)의 하부 측으로 연장된 서브 프레임(도시되지 않음)이 장착되고, 챔버(144)의 하부 중심부와 마주하는 서브 프레임 상에는 진동자(146)의 회전 중심부가 고정 장착되는 수직한 회전축(148)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진동자(146)는 회전축(148)에 고정 장착되어 회전축(148)을 따라 회전할 때 진동자(146)는 회전축(148)의 일단 및 타단을 잇는 가상의 중심선 주위를 휘면서 선회하는데, 이에 의해 회전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이렇게 발생되는 회전 진동은 선별 분리 수단(110) 측으로 제공된다.
여기서, 부채꼴 형상을 가지는 진동자(146)는 23~28도 사이의 중심각(θ)을 형성하는데, 진동자(146)의 중심각(θ)이 23도 미만이면 상대적으로 진동자(146)의 면적이 작아지게 되고 그에 의해 진동자(146)의 무게가 가벼워 회전 진동 발생이 어려우며, 진동자(146)의 중심각(θ)이 28도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진동자(146)의 면적이 커지게 되고 그에 의해 진동자(146)의 무게가 너무 무거워 진동자(146)의 회전 뿐만 아니라 회전 진동 발생이 어렵게 된다.
한편, 진동모터(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 분리 수단(110)에 간섭되지 않게 선별 분리 수단(110)의 일측에 인접한 서브 프레임 상에 고정 장착되며, 이렇게 서브 프레임 상에 고정 장착된 진동모터(150)는 통상의 동력전달수단, 예를 들면 풀리 및 풀리벨트를 매개로 회전축(148)과 연결되어 진동자(146)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즉, 진동모터(150)의 원동축 상에는 원동풀리(152)가 장착되고 회전축(150) 상에는 진동자(146)에 간섭되지 않게 종동풀리(154)가 장착되는데, 원동풀리(152)와 종동풀리(154)는 풀리벨트(156)에 의해 연결된다.
여기서, 원동풀리(152), 종동풀리(154) 및 풀리벨트(156)를 매개로 진동모터(150)와 연결된 회전축(150) 및 진동자(146)의 회전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100)의 작동상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100)를 이용하여 사육 상자(T) 내 유충 및 분변토를 분리 선별하기 위해서는, 우선 진동 인가 수단(140)의 진동모터(150)를 작동시켜 진동자(146)를 회전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진동자(146)가 회전하면, 선별 분리 수단(110)에는 회전 진동이 전달되고, 또한 진동자(146)의 회전 진동을 받아 제 3 스크린부(120)의 하부를 타격하는 타격 볼(142)들에 의해 연속적이면서 불규칙한 떨림이 제공된다.
한편, 선별 분리 수단(110)에 회전 진동 및 떨림이 제공되면, 사육 상자(T)에 혼합된 유충과 분변토 및 유기성 폐기물을 호퍼(136)에 장입시킨다. 이때 호퍼(136)에 장입된 유충과 분변토 및 유기성 폐기물은 호퍼(136)를 통해 제 1 스크린부(112) 측으로 장입된다(도 6 참조).
그리고 제 1 스크린부(112)는 장입된 유충과 분변토 및 유기성 폐기물을 제공되는 회전 진동 및 떨림에 의해 일측에서 개방된 타측으로 유도하는데, 이렇게 제 1 스크린부(112)가 유충과 분변토 및 유기성 폐기물을 유도하는 과정에서 유충과 분변토는 제 1 분리배출공(114)을 통과해 제 2 스크린부(116) 측으로 장입되고, 제 1 분리배출공(114)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러진 유기성 폐기물은 제 1 스크린부(112)의 개방된 타측을 통해 제 1 스크린부(112) 외부로 배출된다(도 7 참조).
또한, 제 2 스크린부(116)는 장입된 유충과 분변토를 마찬가지로 제공되는 회전 진동 및 떨림에 의해 일측에서 개방된 타측으로 유도하는데, 이렇게 제 2 스크린부(116)가 유충 및 분변토를 유도되는 과정에서 분변토는 제 2 분리배출공(118)을 통과해 제 3 스크린부(120) 측으로 장입되고, 제 2 분리배출공(118)을 통과하지 못하고 걸리진 유충은 제 2 스크린부(116)의 개방된 타측을 통해 제 2 스크린부(116)의 외부로 배출된다(도 7 참조).
그리고 제 3 스크린부(120)는 장입된 분변토를 마찬가지로 제공되는 회전 진동 및 떨림에 의해 일측에서 개방된 타측으로 유도하는데, 이때 분변토는 제 3 스크린부(120)의 개방된 타측을 통해 배출된다(도 7 참조).
여기서, 제 1 내지 제 3 스크린부(112, 116, 120)에 걸러져 제 1 내지 제 3 스크린부(112, 116, 120) 외부로 배출된 유기성 폐기물, 유충 및 분변토는 선별 분리 수단(110)의 타측 하부에 배치된 수거함(160)에 수거되어 각각 사용처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100)는 진동을 이용해 유기성 폐기물, 유충 및 분변토를 자동으로 분리 및 선별할 수 있기 때문에 분리 및 선별 작업에 따른 작업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100)는 회전하는 진동자(146)에 의한 회전 진동과 타격 볼(142)들에 의한 연속적이면서 불규칙한 떨림을 선별 분리 수단(110) 측으로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분변토가 제 2 분리배출공(118)에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별토가 원활하게 배출되게 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사육 상자로부터 혼합된 상태로 투입되는 유충과 분변토 및 유기성 폐기물을 각각 분리 선별하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순차적이게 배치되는 제 1, 제 2 및 제 3 스크린부를 가지는 선별 분리 수단;
    유기성 폐기물, 유충 및 분변토가 분리 선별되게 하며 동시에 분리 선별된 유기성 폐기물, 유충 및 분변토의 배출되도록 상기 선별 분리 수단에 진동을 제공하는 진동 인가 수단; 및
    상기 선별 분리 수단 및 상기 진동 인가 수단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스크린부는 각각 상부 및 타측이 개방된 함체 형상으로 제공되며,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스크린부의 바닥은 개방된 타측을 통해 분리 선별된 유기성 폐기물, 유충 및 분변토가 배출되도록 각각 일측에서 개방된 타측으로 낮아지게 연장되되,
    상기 제 1 스크린부의 바닥에는 유기성 폐기물은 걸러내고 유충 및 분변토를 통과시키는 제 1 분리 배출공들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스크린부의 바닥에는 유충은 걸러내고 분변토는 통과시키는 제 2 분리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 3 스크린부의 바닥은 평평하게 형성되는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리 배출공들은 상기 제 1 스크린부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장된 장공의 형태로 천공되되, 어느 하나의 상기 제 1 분리 배출공과 이웃한 또 다른 제 1 분리 배출공은 일부분이 겹쳐지도록 천공되고,
    상기 제 2 분리 배출공들은 원형의 형태로 천공되되, 어느 하나의 상기 제 2 분리 배출공과 이웃한 또 다른 상기 제 2 분리 배출공은 사선으로 마주하게 천공되는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리 배출공은 5~6㎜ 폭 및 20~25㎜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제 2 분리 배출공은 2.5~3㎜의 직경을 가지는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3 스크린부의 모서리부들에 인접하게는 와이어 연결고리가 장착되며,
    각각의 상기 와이어 연결고리에는 상기 선별 분리 수단을 매달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의 상부면 측에서부터 연장된 와이어 로프가 연결되는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육 상자 내 유충과 분변토 및 유기성 폐기물은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호퍼를 통해 상기 제 1 스크린부로 장입되며,
    상기 호퍼는 상기 제 1 스크린부의 일측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호퍼의 내측 하부에는 쐐기 형상의 분배판이 내장되는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 인가 수단은,
    부채꼴 형상을 가지며, 회전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자;
    상기 진동자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진동모터; 및
    상기 제 3 스크린부의 바닥을 가격해 상기 선별 분리 수단에 연속적이면서 불규칙한 떨림을 제공하는 다수의 타격 볼;를 포함하는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타격 볼들은 상기 제 3 스크린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부는 개방된 함체 형상의 가지되, 상기 제 3 스크린부의 하부에 일체로 제공되는 챔버 내부에 제공되며,
    상기 타격 볼들은 상기 진동자가 발생시키는 회전 진동을 전달받아 상기 제 3 스크린부의 바닥을 가격하고,
    상기 챔버의 바닥은 섬유망체 또는 금속망체로 형성되는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타격 볼의 직경에 대하여 상기 챔버 바닥에서부터 상기 제 3 스크린부 바닥까지의 거리는 1 : 1.3~1.8 비율로 형성되는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는 상기 챔버의 양측에서부터 상기 챔버의 하부 측으로 연장되는 서브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챔버의 하부 중심부와 마주하는 상기 서브 프레임에는 상기 진동자의 회전 중심부가 고정 장착되는 수직한 회전축이 마련되는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는 23~28도 사이의 중심각을 형성하는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터는 상기 선별 분리 수단의 일측에 인접한 상기 서브 프레임 상에 고정 장착되며,
    상기 진동모터는 동력전달수단을 매개로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진동자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
KR1020200069311A 2020-06-08 2020-06-08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 KR102431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311A KR102431115B1 (ko) 2020-06-08 2020-06-08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311A KR102431115B1 (ko) 2020-06-08 2020-06-08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2337A true KR20210152337A (ko) 2021-12-15
KR102431115B1 KR102431115B1 (ko) 2022-08-11

Family

ID=78865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9311A KR102431115B1 (ko) 2020-06-08 2020-06-08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111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099Y1 (ko) * 1988-03-01 1994-04-06 얀마-노오끼 가부시기가이샤 곡립선별장치
KR20070006083A (ko) * 2005-07-07 2007-01-11 황성구 곡물 선별기
KR20150134182A (ko) * 2014-05-21 2015-12-01 김민기 밀웜 멀티 분변기
KR101747928B1 (ko) 2015-12-31 2017-06-19 농업회사법인 (주)한국유용곤충연구소 곤충 선별 장치
KR101873496B1 (ko) 2017-04-20 2018-07-02 홍순옥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
KR101934960B1 (ko) 2016-03-07 2019-04-05 정성희 유충 선별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2099Y1 (ko) * 1988-03-01 1994-04-06 얀마-노오끼 가부시기가이샤 곡립선별장치
KR20070006083A (ko) * 2005-07-07 2007-01-11 황성구 곡물 선별기
KR20150134182A (ko) * 2014-05-21 2015-12-01 김민기 밀웜 멀티 분변기
KR101747928B1 (ko) 2015-12-31 2017-06-19 농업회사법인 (주)한국유용곤충연구소 곤충 선별 장치
KR101934960B1 (ko) 2016-03-07 2019-04-05 정성희 유충 선별기
KR101873496B1 (ko) 2017-04-20 2018-07-02 홍순옥 굼벵이 사육용 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1115B1 (ko) 202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6282B1 (ko) 동애등에 우화 및 산란 유도 장치
CN108906172B (zh) 一种农用土壤破碎消毒装置
US8025027B1 (en) Automated insect separation system
KR100654253B1 (ko) 파리 사육 장치
KR102090204B1 (ko) 동애등에 사육시설용 유충 수거선별기
JP2004181379A (ja) 有機廃棄物処理方法および有機廃棄物処理装置
KR102123932B1 (ko) 분변토 및 유충 자동 분리장치
KR20220070695A (ko) 동애등에 사육시스템의 선별기
KR102431115B1 (ko) 유충 및 분변토 분리 선별장치
EA002461B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растительного волокнистого материала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CN113317283B (zh) 一种立体黑水虻养殖机构、养殖系统和养殖方法
CN212238189U (zh) 黑水虻的成虫与虫粪分离装置
CN106614068A (zh) 用于主动蹬轮气味辨识训练箱
CN109122584A (zh) 一种具有吸渣清扫功能的黑水虻养殖设备及其使用方法
CN110074066B (zh) 黑水虻立体循环养殖床
KR20210117040A (ko) 동애등에를 이용한 이동용 음식물 원점처리 장치
CN207138263U (zh) 一种蚯蚓粪有机肥分离提取振动筛
KR20200040440A (ko) 곤충 유충 선별장치
CN208018925U (zh) 一种有机肥生产用筛分机
CN207269658U (zh) 一种具有吸渣清扫功能的黑水虻养殖设备
CN110074007A (zh) 一种畜禽粪便处理方法
CN110013957A (zh) 一种黑水虻虫粪分离机
CN213644893U (zh) 一种畜牧业生产用饲料分选装置
JP3627018B2 (ja) 昆虫廃棄物又は死骸の分離・選別装置及び方法
KR20240081227A (ko) 동애등에 유충 분변토 선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