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0142B1 - 건식 모래 생산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식 모래 생산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0142B1
KR100660142B1 KR1020050006302A KR20050006302A KR100660142B1 KR 100660142 B1 KR100660142 B1 KR 100660142B1 KR 1020050006302 A KR1020050006302 A KR 1020050006302A KR 20050006302 A KR20050006302 A KR 20050006302A KR 100660142 B1 KR100660142 B1 KR 100660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aggregate
screen
crushed
vib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6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5438A (ko
Inventor
이명섭
Original Assignee
이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섭 filed Critical 이명섭
Priority to KR1020050006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0142B1/ko
Publication of KR20060085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0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0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16Mills provided with vib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gyratory or cone cr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18Adding fluid, other than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fluid energy
    • B02C23/20Adding fluid, other than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fluid energy after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02C23/22Adding fluid, other than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fluid energy after crushing or disintegrating with recirculation of material to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Abstract

본 발명은 건식 모래 생산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량 생산이 가능한 파쇄 장비를 이용하여 미세 골재를 생산함으로써, 모래의 생산 효율을 높이는 한편 모래와 미분의 선별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건식 모래 생산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건식 모래 생산 방법 및 시스템의 구성은, 각각 다른 규격의 골재를 진동에 의해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도록 프레임 내부에 구멍의 크기가 다른 스크린망을 복수단으로 설치한 진동선별기를 이용하여 모래를 선별 및 생산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있어서, 호퍼에 투입되는 골재를 조크러셔와 제1콘크러셔로 파쇄하되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제1진동선별기로 이송시키고, 상기 제1진동선별기에 투입되는 골재의 크기에 따라 제1진동선별기의 상단, 하단스크린망을 통해 선별한 후 각각 이송시켜 제2콘크러셔와 샌드 콘크러셔로 파쇄 및 분쇄하거나 제2진동선별기에 바로 투입하되, 상기 제2콘크러셔를 통해 파쇄된 골재는 제1진동선별기에 재투입 및 재선별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골재를 제2진동선별기로 이송시키며, 상기 제2진동선별기에 투입되는 골재의 크기에 따라 제2진동선별기의 상단, 중앙, 하단스크린망을 통해 선별한 후 각각 이송시켜 샌드 콘크러셔로 분쇄하거나 모래와 미분으로 구분 선별하되, 상기 샌드 콘크러셔를 통해 분쇄된 골재는 상기 제2진동선별기에 재투입 및 재선별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모래와 미분을 구분 확보하여 건식 모래를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풍력에 의해 비산 먼지와 이물질을 제거하지 않고 최종단계에서 모래와 미분을 구분 확보하므로, 모래와 미분의 선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골재 분쇄 장비로 비교적 상위 파쇄 장비이면서 높은 생산성을 갖는 콘크러셔를 이용하여 미세 골재를 생산하므로, 모래의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으며, 또한 자력선별기를 이용하여 자성을 띄는 이물질을 선별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순수한 모래의 생산이 거능한 효과도 있는 것이다.
건식 모래, 미분, 샌드 콘크러셔, 진동선별기, 스크린, 건설 폐기물

Description

건식 모래 생산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dried sand}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재생모래 생산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2는 다른 종래 기술에 의한 모래 생산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진동선별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식 모래 생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진동선별기의 스크린망 결합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2진동선별기의 스크린망 결합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건식 모래 생산 방법을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건식 모래 생산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흐름도.
*도면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호퍼 200 - 조크러셔
300 - 제1콘크러셔 400 - 제1진동선별기
410 - 상단스크린망 430 - 하단스크린망
500 - 제2콘크러셔 600 - 샌드 콘크러셔
700 - 제2진동선별기 710 - 상단스크린망
720 - 중앙스크린망 730 - 하단스크린망
M1, M2, M3, M4 - 자력선별기 S100 - 제1진동선별기 이송단계
S200 - 제2진동선별기 이송단계 S300 - 모래 및 미분 확보단계
본 발명은 건식 모래 생산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량 생산이 가능한 파쇄 장비를 이용하여 미세 골재를 생산함으로써, 모래의 생산 효율을 높이는 한편 모래와 미분의 선별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건식 모래 생산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모래는 지름이 매우 작은 암석편이나 광물편을 총칭하는 것으로, 광물조성에 따라 석영사, 흑사(黑砂), 녹사(綠砂) 등으로 나뉘고, 성인 및 퇴적장소에 따라 산사(山砂), 강사(江砂), 해사(海砂), 사구사(砂丘砂), 화산회사(火山灰砂) 등으로 나뉘어지기도 한다.
이와 같은, 모래 중에서 특히 강사 및 해사는 토목 및 건축의 재료로 매우 중요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초기에는 건설 경기의 활성화로 인해 무분별한 모래의 채취가 이루어질 수 있었다.
그러나, 이처럼 천연적으로 생산되는 강사는 근래에 이르러 일정량 이상의 채취가 제한되어 있어 모래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고, 해사 또한 무분별한 모래의 채취에 따른 생태계의 피해 및 파괴의 이유로 인해 채취량이 제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가 낮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해사의 특성상 원거리에서의 채취작업이 불가피함으로써, 많은 물류 비용으로 모래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도 있었다.
이러한 모래 품귀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수입 골재를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이 또한 골재의 수입에 소요되는 비용의 지출이 높아짐으로써, 물류 비용의 상승을 감수해야 하는 폐단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한 모래 품귀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 석산 등에서 인공모래를 생산하거나 폐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재생모래(리싸이클링)를 생산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모래 생산 설비는 파쇄 단계를 거친 골재를 물을 이용하여 세척 선별하고, 이후에 정수 처리하는 습식 생산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첨부도면 도 1은 상기와 같은 재생 모래 생산 설비의 일예를 나타낸 종래의 국내 특허 등록번호 제10-0404922호(명칭:건축 폐기물을 이용한 재생모래 생산장치)에 대한 것으로, 크게 진동 스크린(10)과, 노즐(30)과, 스크류 콘베어(20)와, 물탱크(35)와, 브러시 콘베어(40)와, 슬러지 콘베어(50)로 구성된다.
이하 간단하게 설명하면, 먼저 호퍼(15)에 투입된 건축 폐기물을 석분 형태로 파쇄하여 진동스크린(10)에 의해 선별한 후, 노즐(30)을 이용해 상기 석분에 수막 형태로 물을 분사하여 1차 세척시키고, 상기 석분을 물탱크(35)에 설치된 스크류 콘베어(20)로 이송시키면서 2차 세척하게 된다.
그리고, 물탱크(35) 상부에 떠 있는 부유 쓰레기와 물탱크(35) 하부에 가라 앉은 슬러지는 브러시 콘베어(40)와 슬러지 콘베어(50)에 의해 제거됨으로써, 깨끗한 재활용 모래를 생산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건축 폐기물을 이용한 재생모래 생산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물을 이용하여 모래를 세척 선별하고, 정수 처리하는 습식 생산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므로, 모래 생산설비 작업에 많은 비용이 지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모래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다량 물에 세척되므로, 수질 오염의 우려가 있었고, 이로 인한 별도의 폐기물 처리 시설을 설치해야 하는 등 생산비용이 높아지는 문제도 있었다.
첨부도면 도 2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른 종래 모래 생산 설비의 일예를 나타낸 국내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4-55909호(명칭:부순 모래 생산을 위한 시스템 구성 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으로, 이하 설명하면 먼저 진동휘더(12)에서 토분이 제거된 돌을 조크러셔(10)와 콘크러셔(20)에서 각각 1,2차 파쇄하고, 상기 콘크러셔(20)에서 파쇄된 돌은 진동선별기(30)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상기 진동선별기(30)의 제1금속망(31)을 통과하지 못한 돌은 임펙트크러셔(40)로 이송시키고, 상기 임펙트크러셔(40)에서 파쇄된 돌은 다시 진동선별기(30)로 공급한다. 또한, 상기 진동선별기(30)의 제2금속망(32)을 통과하지 못한 돌은 제트크러셔(50)로 이송시키고, 상기 제트크러셔(50)에서 파쇄된 돌은 진동선별기(30)의 제2금속망(32)에 다시 투입하여 통과시킴으로써, 모래 입자를 선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부순 모래 생산을 위한 시스템 구성 장치 및 그 방법은 습식 모래 생산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는 있으나, 진동스크린의 특성상 굵은 모래 크기의 그 이상과 이하로만 구분할 뿐 모래와 미분을 선별할 능력이 없고, 이에 따라 상기 종래의 진동스크린을 거친 모래는 석분에 지나지 않는 저급 골재로 취급받게 되는 우려가 있었다.
더욱이, 임팩트 크러셔와 제트 크러셔 등과 같은 골재 분쇄 장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대당 골재 생산 효율이 떨어져 여러 대를 설치해야 함으로써, 설비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고, 특히 임팩트 크러셔와 같은 경우 장비의 특성상 파쇄 골재와 미분이 함께 투입되었을 때 파쇄면에 미분이 붙어 미분의 선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골재의 선별 효율을 높여 용도에 따라 규격이 다른 모래를 생산할 뿐만 아니라 모래와 미분의 선별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건식 모래 생산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대량 생산이 가능한 파쇄 장비를 이용하여 미세 골재를 생산함으로써, 모래의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건식 모래 생산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식 모래 생산 방법의 구성은, 각각 다른 규격의 골재를 진동에 의해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도록 프레임 내부에 구멍의 크기가 다른 스크린망을 복수단으로 설치한 진동선별기를 이용하여 모래를 선별 및 생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호퍼에 투입되는 골재를 조크러셔와 제1콘크러셔로 파쇄하되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제1진동선별기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진동선별기에 투입되는 골재의 크기에 따라 제1진동선별기의 상단, 하단스크린망을 통해 선별한 후 각각 이송시켜 제2콘크러셔와 샌드 콘크러셔로 파쇄 및 분쇄하거나 제2진동선별기에 바로 투입하되, 상기 제2콘크러셔를 통해 파쇄된 골재는 제1진동선별기에 재투입 및 재선별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골재를 제2진동선별기로 이송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진동선별기에 투입되는 골재의 크기에 따라 제2진동선별기의 상단, 중앙, 하단스크린망을 통해 선별한 후 각각 이송시켜 샌드 콘크러셔로 분쇄하거나 모래와 미분으로 구분 선별하되, 상기 샌드 콘크러셔를 통해 분쇄된 골재는 상기 제2진동선별기에 재투입 및 재선별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모래와 미분을 구분 확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식 모래 생산 시스템의 구성은, 각각 다른 규격의 골재를 진동에 의해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도록 프레임 내부에 구멍의 크기가 각각 다른 스크린망을 복수단으로 설치한 진동선별기를 이용하여 모래를 선별 및 생산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호퍼에 투입되는 골재를 조크러셔와 제1콘크러셔로 각각 파쇄하되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제1진동선별기로 이송시키고, 상기 제1진동선별기에 투입되는 골재의 크기에 따라 제1진동선별기의 상단, 하단스크린망을 통해 선별한 후 각각 이송시켜 제2콘크러셔와 샌드 콘크러셔로 파쇄 및 분쇄하거나 제2진동선별기에 바로 투입하되, 상기 제2콘크러셔를 통해 파쇄된 골재는 제1진동선별기에 재투입 및 재선별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골재를 제2진동선별기로 이송시키며, 상기 제2진동선별기에 투입되는 골재의 크기에 따라 제2진동선별기의 상단, 중앙, 하단스크린망을 통해 선별한 후 각각 이송시켜 샌드 콘크러셔로 분쇄하거나 모래와 미분으로 구분 선별하되, 상기 샌드 콘크러셔를 통해 분쇄된 골재는 상기 제2진동선별기에 재투입 및 재선별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모래와 미분을 구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건식 모래 생산 방법 및 그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 먼저 본 발명의 건식 모래 생산 시스템은 다수의 파쇄기와 컨베이어 벨트와 복수의 진동선별기로 구성된다.
도 4를 통하여 설명하면, 건설 폐기물 및 자연골재 등을 투입할 수 있도록 호퍼(100)를 마련하고, 상기 호퍼(100) 일측에는 조크러셔(200)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조크러셔(200) 일측에는 제1콘크러셔(300)를 설치하되, 상기 조크러셔(200)에서 파쇄된 골재를 제1콘크러셔(300) 내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조크러셔(200) 하부와 제1콘크러셔(300) 상부 사이에 컨베이어 벨트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제1콘크러셔(300) 일측에는 제1진동선별기(400)를 설치하되, 상기 제1콘크러셔(300)에서 파쇄된 골재를 제1진동선별기(400) 내부로 투입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콘크러셔(300) 하부와 제1진동선별기(400) 상부 사이에 컨베이어 벨트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1진동선별기(400)는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국내 실용신안등록 출원번호2004-36584호(명칭:진동 선별기에 의한 부순 모래 생산장치)를 적용한 것으로, 도 3을 통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프레임(10) 일측에 구동부(30)를 설치하고, 상기 양측 프레임(10) 각각에는 상기 구동부(30)와 연결된 진동발생부(40)를 설치하며, 상기 진동발생부(40) 사이는 유니버설 샤프트(50)를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양측 프레임(10) 사이에는 각각 다른 규격의 골재를 상기 진동발생부(40)의 진동에 의해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도록 구멍의 크기가 각각 다른 스크린망을 상부에서 하부로 순차적으로 복수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진동선별기의 작동상태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구동부(30)에 의해 진동발생부(40)가 작동되어 스크린망에 진동을 전달하게 되는데, 상기 스크린망이 진동되는 것은 진동발생부(40)의 제1,2축(41)(42)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동됨에 따라 상기 제1,2축(41)(42)에 설치된 웨이트(46)가 회전하면서 진동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선출원된 진동선별기를 참조한, 본 발명의 제1진동선별기(400) 상부의 상, 하단에는 도 5와 같이 상단스크린망(410)과 하단스크린망(430)을 각각 설치하게 되는데, 상기 상단스크린망(410)은 40㎜이상 크기의 골재를 선별할 수 있도록 구멍을 형성하고, 하단스크린망(430)은 6㎜~40㎜ 크기의 골재를 선별할 수 있도록 구멍을 형성한다.
한편, 도 4와 같이 상기 제1진동선별기(400)의 상, 하단스크린망(410)(430) 단부와 상기 제1진동선별기(400) 하부에는 선별된 골재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각각 컨베이어 벨트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상단스크린망(410)에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 단부 위치에는 제2콘크러셔(500)를 설치하여 상단스크린망(410)에서 선별된 골재가 제2콘크러셔(500)에 투입되어 다시 파쇄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제2콘크러셔(500)에서 파쇄된 골재를 다시 제1진동선별기(400)로 투입할 수 있도록 상기 제2콘크러셔(500) 하부에 컨베이어 벨트를 설치하되, 상기 컨베이어 벨트의 단부는 제1콘크러셔(300)와 제1진동선별기(400) 사이에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 상부에 위치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하단스크린망(430)에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의 단부 위치에는 샌드 콘크러셔(600)를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샌드 콘크러셔(600)에서 분쇄된 골재를 제2진동선별기(700) 내부에 투입할 수 있도록 상기 샌드 콘크러셔(600) 하부에 컨베이어 벨트를 설치하되, 상기 컨베이어 벨트 단부를 제2진동선별기(700) 상부에 위치시킨다.
또, 상기 제1진동선별기(400) 하부에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는 그 단부를 상기 제2진동선별기(700) 상부에 위치시켜 하단스크린망(730)을 통과한 작은 골재가 제2진동선별기(700)에 바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한 제2진동선별기(700)는 상술한 제1진동선별기(400)의 구성과 유사한 구성으로써, 첨부도면 도 6과 같이 제2진동선별기(700) 상부에 상단스크린망(710)과 중앙스크린망(720)과 하단스크린망(730)의 3단의 스크린망이 각각 설치되는데, 상기 상단스크린망(710)은 6㎜이상 크기의 골재를 선별할 수 있도록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중앙스크린망(720)은 2.5㎜~6㎜ 크기의 골재를 선별할 수 있도록 구멍을 형성하며, 하단스크린망(730)은 0.5㎜~2.5㎜ 크기의 골재를 선별할 수 있도록 구멍을 형성한다.
한편, 도 4와 같이 상기한 제2진동선별기(700)의 상, 하단스크린망(710)(730) 단부와 상기 제2진동선별기(700) 하부에는 선별된 골재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각각 컨베이어 벨트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상단스크린망(710)에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는 그 단부를 샌드 콘크러셔(600) 상부에 위치시켜 선별된 골재가 다시 분쇄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하단스크린망(730)에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에는 중앙스크린망 (720)과 하단스크린망(730)에서 선별된 골재를 이송하여 결과적으로, 모래를 야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제2진동선별기(700) 하부에 설치된 컨베이어 벨트에는 하단스크린망(730)을 통과한 골재를 이송하여 결과적으로 미분을 야적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한 조크러셔(200)와 제1,2콘크러셔(300)(500)와 샌드 콘크러셔(600) 후방에 위치한 컨베이어 벨트 상부에는 자력선별기(M1)(M2)(M3)(M4)를 설치하여, 파쇄 및 분쇄된 골재 중에서 자성을 띄는 이물질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건식 모래 생산 방법은 도 7과 같이 제1진동선별기 이송단계(S100)와, 제2진동선별기 이송단계(S200)와, 모래 및 미분 확보단계(S300)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도 4 또는 도 8을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제1진동선별기 이송단계(S100)에서는 호퍼(100)에 투입되는 폐콘크리트 및 자연골재를 조크러셔(200)를 이용하여 60㎜~70㎜ 크기로 1차 파쇄하고, 파쇄된 골재를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제1콘크러셔(300) 내부에 투입한다. 그리고, 상기 골재를 제1콘크러셔(300)를 이용하여 40㎜ 이하의 크기로 2차 파쇄한 후, 파쇄된 골재를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제1진동선별기(400) 내부에 투입한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에서는 파쇄된 골재 중에 나무조각이나 플라스 틱과 같은 이물질을 수작업으로 걸러내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제2진동선별기 이송단계(S200)에서는 상기 제1진동선별기(400)에 투입되는 골재의 크기에 따라 제2콘크러셔(500)와 샌드 콘크러셔(600)로 파쇄 및 분쇄한 후, 상기 제1진동선별기(400)에 각각 설치된 상단, 하단스크린망(410)(430)을 통해 재선별하거나 바로 통과시키되,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제2진동선별기(700)로 이송시키게 된다.
도 8을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진동선별기(400)에 투입되는 골재의 크기가 40㎜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1진동선별기(400) 최상단에 설치된 상단스크린망(410)을 통해 상기 골재를 선별한 후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제2콘크러셔(500) 내부에 투입한다. 그리고, 상기 제2콘크러셔(500)로 상기 골재를 다시 파쇄하고, 파쇄된 상기 골재를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이송시켜 제1진동선별기(400)에 다시 투입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진동선별기(400)에 투입되는 골재의 크기가 6㎜~40㎜인 경우에는 상기 상단스크린망(410) 하단에 설치된 하단스크린망(430)을 통해 상기 골재를 선별한 후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샌드 콘크러셔(600) 내부에 투입한다. 그리고, 상기 샌드 콘크러셔(600)를 통해 분쇄된 상기 골재를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이송시켜 제2진동선별기(700)에 투입하게 된다.
또, 상기 제1진동선별기(400)에 투입되는 골재의 크기가 6㎜이하인 경우에는 제1진동선별기(400)의 하단스크린망(430)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단스크린망(430)을 통과한 골재는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송시켜 제2진동선별기(700)에 바로 투입하게 된다.
다음으로, 모래 및 미분 확보단계(S300)에서는 상기 제2진동선별기(700)에 투입되는 골재의 크기에 따라 상기 샌드 콘크러셔(600)로 분쇄한 후, 상기 제2진동선별기(700)에 각각 설치된 상단, 중앙, 하단스크린망(710)(720)(730)을 통해 재선별하거나 바로 통과시키되,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송시킴으로써, 모래와 미분을 구분 확보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2진동선별기(700)에 투입되는 골재의 크기가 6㎜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제2진동선별기(700)의 최상단에 설치된 상단스크린망(710)을 통해 상기 골재를 선별한 후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하여 샌드 콘크러셔(600) 내부에 투입함으로써, 상기 골재를 다시 분쇄한다. 그리고, 상기 샌드 콘크러셔(600)를 통해 분쇄된 상기 골재를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해 이송시켜 제2진동선별기(700)에 다시 투입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진동선별기(700)에 투입되는 골재의 크기가 2.5㎜~6㎜인 경우에는 상기 상단스크린망(710) 하부에 설치된 중앙스크린망(720)을 통해 상기 골재를 선별하고, 골재의 크기가 0.5㎜~2.5㎜인 경우에는 상기 중앙스크린망(720) 하부에 설치된 하단스크린망(730)을 통해 상기 골재를 선별한 후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해 이송시켜 순수 모래를 야적 및 확보하게 된다.
즉, 골재의 크기가 0.5㎜~6㎜인 경우에 제2진동선별기(700)의 중앙스크린망(720)과 하단스크린망(730)을 통해 선별하여 순수 모래를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제2진동선별기(700)에 투입되는 골재의 크기가 0.5㎜이하인 경우에는 제2진동선별기(700)의 하단스크린망(730)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단스크린망(730)을 통과한 골재를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이송시켜 미분을 야적 및 확보 하게 되므로, 상기 미분은 도료업, 요업의 표면처리제, 아스팔트 포장 첨가제 등으로 재활용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한 선별 과정 중 조크러셔(200)와 제1,2콘크러셔(300)(500)와 샌드 콘크러셔(600) 후방에 설치된 각각의 자력선별기(M1)(M2)(M3)(M4)를 통해 파쇄 및 분쇄 골재 중에서 자력을 갖는 이물질을 선별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건식 모래 생산 방법 및 그 시스템은 풍력에 의해 가벼운 이물질은 걸러 내고, 제1,2진동선별기를 통하여 골재의 크기에 따라 구분 선별함으로써, 생산 공정이 간단하고 그에 따른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래와 미분의 선별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건식 모래 생산 방법 및 그 시스템은 기존의 단순매립되거나 보조 기층용으로 사용되었던 건설폐기물을 사용하여 모래를 재생산함으로써, 폐기물 처리에 따른 환경파괴 문제와, 골재자원의 고갈 문제 등을 해결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건식 모래 생산 방법 및 그 시스템은 파쇄 및 분쇄되는 골재의 이송 과정 중에 자력선별기(M1)(M2)(M3)(M4)를 이용하여 자성을 띄는 이물질을 선별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순수한 모래의 생산이 가능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건식 모래 생산 방법 및 그 시스템은 비교적 상위 파쇄 장비이면서 높은 생산성을 갖는 콘크러셔를 이용하여 미세 골재를 생산함으로써, 모래의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반면, 기존의 분쇄 장비인 임팩트 크러셔와 로드밀, 제트 크러셔 등은 모래 의 생산 효율이 떨어져 여러 대를 설치해야 함으로써, 설비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고, 임팩트 크러셔와 같은 경우 장비의 특성상 파쇄 골재와 미분이 함께 투입되었을 때 파쇄면에 미분이 붙어 미분의 선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풍력에 의해 가벼운 이물질은 제거하고, 진동선별기에 의해 모래와 미분을 구분 확보함으로써, 생산 공정이 간단하고 그에 따른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래와 미분의 선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골재 분쇄 장비로 비교적 상위 파쇄 장비이면서 높은 생산성을 갖는 콘크러셔를 이용하여 미세 골재를 생산함으로써, 모래의 생산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단순매립되거나 보조 기층용으로 사용되었던 건축폐기물을 사용하여 모래를 재생산함으로써, 폐기물 처리에 따른 환경파괴 문제와, 골재자원의 고갈 문제 등을 해결할 수도 있는 효과도 있고, 또한 파쇄 및 분쇄되는 골재의 이송 과정 중에 자력선별기를 이용하여 자성을 띄는 이물질을 선별하도록 함 으로써, 보다 순수한 모래의 생산이 거능한 효과도 있는 것이다.

Claims (6)

  1. 각각 다른 규격의 골재를 진동에 의해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도록 프레임 내부에 구멍의 크기가 다른 스크린망을 복수단으로 설치한 진동선별기를 이용하여 모래를 선별 및 생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호퍼(100)에 투입되는 골재를 조크러셔(200)와 제1콘크러셔(300)로 파쇄하되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제1진동선별기(400)로 이송시키는 단계(S100)와;
    상기 제1진동선별기(400)에 투입되는 골재의 크기에 따라 제1진동선별기(400)의 상단, 하단스크린망(410)(430)을 통해 선별한 후 각각 이송시켜 제2콘크러셔(500)와 샌드 콘크러셔(600)로 파쇄 및 분쇄하거나 제2진동선별기(700)에 바로 투입하되, 상기 제2콘크러셔(500)를 통해 파쇄된 골재는 제1진동선별기(400)에 재투입 및 재선별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골재를 제2진동선별기(700)로 이송시키는 단계(S200)와;
    상기 제2진동선별기(700)에 투입되는 골재의 크기에 따라 제2진동선별기(700)의 상단, 중앙, 하단스크린망(710)(720)(730)을 통해 선별한 후 각각 이송시켜 샌드 콘크러셔(600)로 분쇄하거나 모래와 미분으로 구분 선별하되, 상기 샌드 콘크러셔(600)를 통해 분쇄된 골재는 상기 제2진동선별기(700)에 재투입 및 재선별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모래와 미분을 구분 확보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모래 생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진동선별기 이송단계(S100)에서는, 파쇄된 골재 중에서 나무조각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이물질을 수작업으로 선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모래 생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진동선별기 이송단계(S200)에서는,
    제1진동선별기(400)에 투입되는 골재의 크기가 40㎜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1진동선별기(400)의 상단스크린망(410)을 통해 선별한 후 이송시켜 제2콘크러셔(500)로 파쇄하되, 파쇄된 상기 골재를 이송시켜 제1진동선별기(400)에 다시 투입하고,
    제1진동선별기(400)에 투입되는 골재의 크기가 6㎜~40㎜인 경우에 상기 제1진동선별기(400)의 하단스크린망(430)을 통해 선별한 후 이송시켜 샌드 콘크러셔(600)로 분쇄하되, 분쇄된 상기 골재를 이송시켜 제2진동선별기(700)에 투입하며,
    제1진동선별기(400)에 투입되는 골재의 크기가 6㎜이하인 경우에 상기 제1진동선별기(400)의 하단스크린망(430)을 통과하되, 통과한 골재를 이송시켜 제2진동선별기(700)에 바로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모래 생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래 및 미분 확보단계(S300)에서는,
    제2진동선별기(700)에 투입되는 골재의 크기가 6㎜이상인 경우에 상기 제2진동선별기(700)의 상단스크린망(710)을 통해 선별한 후 이송시켜 샌드 콘크러셔(600)로 분쇄하되, 분쇄된 상기 골재를 이송시켜 제2진동선별기(700)에 다시 투입하고,
    제2진동선별기(700)에 투입되는 골재의 크기가 0.5㎜~6㎜인 경우에 상기 제2진동선별기(700)의 중앙스크린망(720)과 하단스크린망(730)을 통해 선별한 후 이송시켜 모래를 확보하고,
    제2진동선별기(700)에 투입되는 골재의 크기가 0.5㎜이하인 경우에 제2진동 선별기(700)의 하단스크린망(730)을 통과하되, 통과한 골재를 이송시켜 미분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모래 생산 방법.
  5. 각각 다른 규격의 골재를 진동에 의해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도록 프레임 내부에 구멍의 크기가 각각 다른 스크린망을 복수단으로 설치한 진동선별기를 이용하여 모래를 선별 및 생산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호퍼(100)에 투입되는 골재를 조크러셔(200)와 제1콘크러셔(300)로 각각 파쇄하되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제1진동선별기(400)로 이송시키고,
    상기 제1진동선별기(400)에 투입되는 골재의 크기에 따라 제1진동선별기(400)의 상단, 하단스크린망(410)(430)을 통해 선별한 후 각각 이송시켜 제2콘크러셔(500)와 샌드 콘크러셔(600)로 파쇄 및 분쇄하거나 제2진동선별기(700)에 바로 투입하되, 상기 제2콘크러셔(500)를 통해 파쇄된 골재는 제1진동선별기(400)에 재투입 및 재선별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골재를 제2진동선별기(700)로 이송시키며,
    상기 제2진동선별기(700)에 투입되는 골재의 크기에 따라 제2진동선별기(700)의 상단, 중앙, 하단스크린망(710)(720)(730)을 통해 선별한 후 각각 이송시켜 샌드 콘크러셔(600)로 분쇄하거나 모래와 미분으로 구분 선별하되, 상기 샌드 콘크러셔(600)를 통해 분쇄된 골재는 상기 제2진동선별기(700)에 재투입 및 재선별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모래와 미분을 구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모래 생산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크러셔(200)와 제1,2콘크러셔(300)(500)와 샌드 콘크러셔(600) 후방에는 자력을 갖는 이물질을 선별할 수 있도록 자력선별기(M1)(M2)(M3)(M4)를 각각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모래 생산 시스템.
KR1020050006302A 2005-01-24 2005-01-24 건식 모래 생산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660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302A KR100660142B1 (ko) 2005-01-24 2005-01-24 건식 모래 생산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302A KR100660142B1 (ko) 2005-01-24 2005-01-24 건식 모래 생산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438A KR20060085438A (ko) 2006-07-27
KR100660142B1 true KR100660142B1 (ko) 2006-12-20

Family

ID=37175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302A KR100660142B1 (ko) 2005-01-24 2005-01-24 건식 모래 생산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01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841B1 (ko) * 2008-01-02 2009-01-15 주식회사 이지엠 모래 및 골재의 선별처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0435B1 (ko) * 2008-10-13 2011-07-19 박희달 석재 및 건설 폐기물을 이용한 골재 제조장치
KR101616633B1 (ko) 2014-09-23 2016-04-28 안두혁 건식 모래용 분급기
CN109046774B (zh) * 2018-09-29 2023-11-10 天津辰安自动化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永磁磁浮干式强磁选机
KR20220046099A (ko) 2020-10-07 2022-04-14 함순식 건식 모래 미분 분리기
KR102473500B1 (ko) * 2020-11-20 2022-12-02 김태완 모래 이물질 제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624A (ko) * 2001-12-08 2001-12-28 기준호 골재 제조방법 및 장치
KR20030024913A (ko) * 2000-09-05 2003-03-26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아릴피페라진 유도체 및 정신작용 약제로서의 이의 용도
KR20030037905A (ko) * 2001-11-07 2003-05-16 (주) 기산텔레콤 복소 주파수를 갖는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전송을 위한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0521764B1 (ko) * 2002-01-10 2005-10-17 주식회사 대호에코텍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부순모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4913A (ko) * 2000-09-05 2003-03-26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아릴피페라진 유도체 및 정신작용 약제로서의 이의 용도
KR20030037905A (ko) * 2001-11-07 2003-05-16 (주) 기산텔레콤 복소 주파수를 갖는 아날로그 신호의 디지털 전송을 위한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010113624A (ko) * 2001-12-08 2001-12-28 기준호 골재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521764B1 (ko) * 2002-01-10 2005-10-17 주식회사 대호에코텍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부순모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841B1 (ko) * 2008-01-02 2009-01-15 주식회사 이지엠 모래 및 골재의 선별처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438A (ko) 2006-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2847B1 (ko) 건축 폐기물 순환골재 선별장치 및 그 선별방법
KR100850762B1 (ko) 진동스크린의 변형구조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방법 및 그장치
CN201442005U (zh) 建筑垃圾综合处理设备
CN107377584A (zh) 建筑垃圾回收再利用方法
KR19990066128A (ko) 건설폐기물 처리와 재활용을 위한 중간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CN101927257A (zh) 固定式建筑垃圾处理装置
CN110976478B (zh) 一种拆建及装修废弃物的资源化处理工艺
KR20020090354A (ko) 건설 폐기물을 이용한 재생 세 골재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863184B1 (ko) 상승 송풍과 합성고무 회전체가 장착된 저속 vsi를 이용하여 순환골재의 이물질 분리 및 시멘트페이스트 제거 기술
KR100660142B1 (ko) 건식 모래 생산 방법 및 그 시스템
CN114309015A (zh) 一种不需人力分拣的建筑装修垃圾协同处理技术
KR100358687B1 (ko)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방법
CN201423382Y (zh) 移动式建筑垃圾处理装置
CN101927258A (zh) 移动式建筑垃圾处理装置
KR100771660B1 (ko) 참빗살 콘베이어를 이용한 토사 이물질 선별장치
KR100506369B1 (ko)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
KR100553024B1 (ko) 폐토사를 이용한 잔골재 제조장치
KR100498773B1 (ko)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재생골재의 생산방법 및 장치
KR100434799B1 (ko)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을 통한 재생 모래의 제조 방법 및그 장치
CN116889914A (zh) 基于固粉分离的建筑施工用垃圾回收设备
KR100570319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100453532B1 (ko) 건설 폐기물을 이용한 건식 재생모래 생산장치
KR200418149Y1 (ko)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
KR102051412B1 (ko) 건축폐기물 처리장치
KR100572091B1 (ko) 건설폐기물의 재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