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72091B1 - 건설폐기물의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의 재생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572091B1 KR100572091B1 KR1020030079282A KR20030079282A KR100572091B1 KR 100572091 B1 KR100572091 B1 KR 100572091B1 KR 1020030079282 A KR1020030079282 A KR 1020030079282A KR 20030079282 A KR20030079282 A KR 20030079282A KR 100572091 B1 KR100572091 B1 KR 1005720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ushed
- sorting
- screen
- crushed material
- vibra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0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0000008929 regene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11069 regene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8261 styrofoa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9938 sal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9000010437 gem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29910001751 gemstone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3458 repro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555745 Sciur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38449 Sil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48 magnetic separ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Abstract
Description
한편,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제1~5진동선별기(3,7,40,50,80)들은 상기 제1진동선별기(3)의 설명과 마찬가지로 상하로 입도가 다른 선별망들이 배치되어서, 큰 크기의 폐기물들은 상측에 위치한 선별망에 잔류하게 되고 작은 크기의 폐기물들은 하부로 낙하되어 하부측에 위치한 선별망에 걸러지게 구성된다.
이러한 진동선별기들의 구성은 일반적인 것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하지 않아도 이 분야의 기술자라면 알것이다.
또한, 제1~5방향전환수단(210,220,230,240,250)의 구성은 도 6 내지 도 10에서와 같이 각 컨베이어벨트의 회전방향으로 바꿈으로써 방향전환을 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컨베이어벨트를 구동하는 모터의 회전방향을 바꿈으로써 방향전환이 가능해진다.
예컨대, 도 6을 참조하면, 컨베이어벨트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3진동선별기(40)로부터 낙하된 파쇄물은 제2콘크러셔(30)측으로 공급되게 되고, 컨베이어벨트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3진동선별기(40)로부터 낙하된 파쇄물은 제1콘크러셔(20)측으로 공급되게 된다.
또한, 진동공급기(2)는 모터에 의해서 편심회전되는 웨이트(weight)의 진동으로 약간 경사진 공급판 자체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호퍼(1)로부터 낙하된 폐기물들을 진동시키면 입자들이 큰 폐기물들이 먼저 제1진동선별기(3)측으로 이동되게 되어 제1진동선별기(3)에서의 선별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솔팅탱크(10)는 바닥에 경사컨베이어(11)가 설치되고 물이 충전된 탱크의 구조로서, 건설폐기물이 유입되면 무거운 폐기물은 가라앉아 컨베이어벨트(11)에 얹혀져서 상방향으로 이송되어 제2탈수스크린(13)측으로 이송되게 된다.
또한, 부유된 가벼운 폐기물은 넘쳐져서 제1탈수스크린(12)측으로 이송된다.
제1탈수스크린(12)에는 구멍이 다수 뚫어진 망이 경사지게 설치되어서 물은 망을 통해 낙해되고, 망에 잔류하는 나무, 스치로플과 같은 가벼운 폐기물들은 쓰레기처리된다.
마찬가지로 제2탈수스크린(13)에는 구멍이 다수 뚫어진 망이 경사지게 설치되어서 물은 낙하되고 망에 잔류하는 폐기물은 제1콘크러셔(20)로 공급되게 된다.
Claims (4)
- 건설폐기물을 파쇄하고 이로부터 목재, 스치로폼 등의 쓰레기를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및 파쇄유니트(300)와;상기 이물질이 제거된 건설폐기물을 일정크기로 파쇄하는 제1콘크러셔(20)와;상기 제1콘크러셔(20)에서 파쇄된 파쇄물중 일정크기 이상의 파쇄물을 선별해내는 제1선별망(41)과, 상기 제1선별망(41)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선별망(42)을 가지는 제3진동선별기(40)와;상기 제1콘크러셔(20)에서 파쇄된 파쇄물중 일정크기 이상의 파쇄물을 선별해내는 제1선별망(51)과, 상기 제1선별망(51)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2선별망(52)을 가지는 제4진동선별기(50)와;상기 제3,4진동선별기(40)(50)의 제1선별망(41)(51)을 통과하지 못한 파쇄물을 일정크기로 재파쇄하는 제2콘크러셔(30)와;상기 제3,4진동선별기(40)(50)의 제1선별망(41)(51)을 통과하지 못한 파쇄물을 상기 제1콘크러셔(40)와 제2콘크러셔(30)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1방향전환수단(210)과;상기 제2콘크러셔(30)에서 파쇄된 파쇄물을 재파쇄하는 제1임팩트크러셔(60)와;상기 제2콘크러셔(30)에서 파쇄된 파쇄물을 상기 제3,4진동선별기(40)(50)의 제1선별망(41)(51)과 상기 제1임팩트크러셔(60)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2방향전환수단(220)과;상기 제3,4진동선별기(40)(50)의 제2선별망(42)(52)을 통과하지 못한 파쇄물을 제1재생물로 얻어내거나 상기 제2콘크러셔(30)에 공급하는 제3방향전환수단(230)과;상기 제1임팩트크러셔(60), 상기 제3,4진동선별기(40)(50)의 제2선별망(42)(52)을 통과한 파쇄물이 공급되는 제1선별망(81)과, 상기 제1선별망(81)과 동일한 입도의 제2선별망(82)과, 상기 제1,2선별망(81)(82) 사이에 위치되는 차단판(83)을 가지는 제5진동선별기(80)와;상기 제3,4진동선별기(40)(50)의 제2선별망(42)(52)을 통과한 파쇄물을 제2재생물로 얻어내거나 상기 제5진동선별기(80)로 공급시키는 제4방향전환수단(240)과;상기 제5진동선별기(80)의 제1선별망(81)을 통과하지 못한 파쇄물을 재파쇄하여 상기 제2선별망(82)에 공급시키는 제2임팩트크러셔(70)와;상기 제5진동선별기(80)의 제2선별망(82)을 통과하지 못한 파쇄물을 제4재생물로 얻거나 상기 제2임팩트크러셔(70)에 공급시키는 제5방향전환수단(250);을 구비하고,상기 제5진동선별기(80)의 제2선별망(82)을 통과한 파쇄물을 제3재생물로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재생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제거 및 1차파쇄유니트는 건설폐기물이 투입되는 호퍼(1)와;상기 호퍼(1)에 투입된 파쇄물을 이동시키는 진동공급기(2)와;상기 진동공급기(2)로부터 이동된 파쇄물이 공급되는 제1선별망(3a)과, 제1선별망(3a)보다 입도가 작은 제2선별망(3b)을 구비하며 제2선별망을 통하여 토분을 제거시키고 일정크기 이하의 파쇄물을 바이패스(by-pass)시키는 제1진동선별기(3)와;상기 제1선별망(3a)을 통과하지 못한 파쇄물을 파쇄하는 제1크러셔(4)와;상기 제2선별망(3b)을 통과하지 못하고 바이패스된 파쇄물 및 상기 제1크러셔(4)에서 파쇄된 파쇄물중 목재, 폐아스콘 등의 이물질을 작업자가 선별해낼 수 있도록 마련되는 핸드픽캉룸(9)과;상기 핸드픽킹룸(9)을 경유한 파쇄물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물에 부유시키도록 물이 저장되고 파쇄물을 이송시키는 경사컨베이어(11)가 마련되는 솔팅탱크(sorting tank;30)와;상기 물에 부유된 이물질을 걸러내는 제1탈수스크린(12)과;상기 경사컨베이어(11)로부터 이물질이 제거된 파쇄물이 공급되고 물이 제거되어 상기 제1콘크러셔(20)에 파쇄물을 공급시키는 제2탈수스크린(13)을 구비하고,상기 제1,2탈수스크린(12)(13)으로부터 제거되는 물을 상기 제5진동선별기(80)에 분사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재생장치.
-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방향전환수단은 정역방향으로의 회전방향의 전환이 가능한 방향전환 컨베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재생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5진동선별기(80)의 제2선별망(82)을 통과하지 못한 파쇄물을 세척하고 이물질을 걸러내는 로그와셔(90)와, 상기 로그와셔(90)를 경유한 파쇄물로부터 탈수시키고 제4재생물로 배출시키는 탈수스크린(100)을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의 재생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79282A KR100572091B1 (ko) | 2003-11-06 | 2003-11-06 | 건설폐기물의 재생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30079282A KR100572091B1 (ko) | 2003-11-06 | 2003-11-06 | 건설폐기물의 재생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02813A KR20040002813A (ko) | 2004-01-07 |
KR100572091B1 true KR100572091B1 (ko) | 2006-04-17 |
Family
ID=37314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30079282A KR100572091B1 (ko) | 2003-11-06 | 2003-11-06 | 건설폐기물의 재생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572091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50265B1 (ko) | 2006-05-29 | 2006-11-28 | (주)영중개발 | 쇄석골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62492B1 (ko) * | 2005-11-18 | 2006-03-21 | (주)대명크라샤 | 재활용 골재 생산장치 |
CN100398214C (zh) * | 2006-06-01 | 2008-07-02 | 武汉理工大学 | 一种废弃混凝土组分分离的方法 |
KR100661842B1 (ko) * | 2006-09-28 | 2006-12-27 | 대길산업주식회사 | 골재 입도 분포 조절방법 및 장치 |
KR100689796B1 (ko) * | 2006-12-18 | 2007-03-12 | 미래환경 주식회사 | 블러스터를 이용한 재생 굵은골재용 모르타르 박리기 |
-
2003
- 2003-11-06 KR KR1020030079282A patent/KR100572091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50265B1 (ko) | 2006-05-29 | 2006-11-28 | (주)영중개발 | 쇄석골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0002813A (ko) | 2004-01-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97250B1 (ko) |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 |
KR100434799B1 (ko) |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을 통한 재생 모래의 제조 방법 및그 장치 | |
KR100650265B1 (ko) | 쇄석골재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
KR100572091B1 (ko) | 건설폐기물의 재생장치 | |
KR100277280B1 (ko) | 습식 공정을 이용한 건설폐기물 재활용 방법 및 장치 | |
KR100660142B1 (ko) | 건식 모래 생산 방법 및 그 시스템 | |
KR100574675B1 (ko) | 건설폐기물의 재생선별방법 | |
KR100514605B1 (ko) | 건설폐기물 및 매립폐기물용 토사 선별장치 | |
KR100506369B1 (ko) |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 | |
KR100633765B1 (ko) | 건설폐기물의 재생선별방법 | |
KR100498773B1 (ko) |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재생골재의 생산방법 및 장치 | |
KR100570319B1 (ko) |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 |
KR0152297B1 (ko) | 건축 폐기물의 선별 분리 방법 및 그 장치 | |
KR100516357B1 (ko) |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을 위한 습식 및 건식 겸용 재생골재의 제조방법 | |
KR100518918B1 (ko) |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 |
KR20050051428A (ko) | 건설폐기물인 폐 콘크리트를 이용한 모래 재생방법 및재생장치 | |
KR100610637B1 (ko) | 건설폐기물의 풍력선별장치 및 그 방법 | |
KR100651234B1 (ko) |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순환모래를 재생하는 장치 | |
KR100549295B1 (ko) |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쇄석 생산장치 및 방법 | |
KR200224687Y1 (ko) | 천연골재 추출장치 | |
KR200302005Y1 (ko) |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 | |
CN110340009A (zh) | 一种多功能建筑垃圾筛分机 | |
KR100467419B1 (ko) | 폐기물의 고도 처리방법 | |
KR200303298Y1 (ko) | 건축 폐기물을 이용한 재생모래 생산장치 | |
KR100523244B1 (ko) | 건설폐기물의 파/분쇄 및 선별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9033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402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9 Year of fee payment: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