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1234B1 -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순환모래를 재생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순환모래를 재생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1234B1
KR100651234B1 KR1020060014725A KR20060014725A KR100651234B1 KR 100651234 B1 KR100651234 B1 KR 100651234B1 KR 1020060014725 A KR1020060014725 A KR 1020060014725A KR 20060014725 A KR20060014725 A KR 20060014725A KR 100651234 B1 KR100651234 B1 KR 100651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water
soil
vortex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4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주)모악환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악환경산업 filed Critical (주)모악환경산업
Priority to KR10200600147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12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1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1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16Fixing lighting devices to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21V23/026Fastening of transformers or ballas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F21V25/02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coming into action when lighting device is disturbed, dismounted, or broke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순환모래를 재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설폐기물로부터 골재를 재생하는 과정 중에 재생된 모래로부터 토분을 제거하여 양질의 순환모래를 재생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순환모래를 재생하는 장치는, 다수의 모래선별공(11)이 구비되어 파분쇄된 폐기물 중 모래를 선별하는 모래선별 스크린(10)과; 상기 모래선별 스크린에서 선별된 모래를 모으는 모래슈트(20)와; 상기 모래슈트로 낙하하는 모래에 물을 살수하는 살수기(30)와; 상기 모래슈트로부터 공급되는 모래와 물이 소용돌이치면서 흐르도록 유도하는 와류기(40)와; 바닥부(51)에 다수의 토분선별공(52)을 가지며 진동모터에 의해 떨면서 상기 와류기에서 배출되는 모래를 타측으로 이송하는 중에 토분과 물이 상기 토분선별공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모래선별기(50)와; 상기 모래선별기에서 낙하하는 토분과 물을 집수하는 집수기(60)와; 그리고, 상기 집수기의 토분배출공과 이송관(62)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집수기에서 배출되는 토분과 물을 공급받아 토분과 물로 분리하는 침전조(70)로 구성된다.
건설폐기물, 파분쇄, 순환모래, 와류, 물, 스크린

Description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순환모래를 재생하는 장치{APPARATUS FORREPRODUCING RECYCLE-SAND, CRUSHING CONSTRUCTION-WAS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순환모래를 재생하는 장치에 의한 순환모래의 재생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순환모래를 재생하는 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순환모래를 재생하는 장치에 적용된 와류기의 내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순환모래를 재생하는 장치에 적용된 와류기의 와류안내베인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순환모래를 재생하는 장치에 적용된 침전조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모래선별 스크린, 11 : 모래선별공
20 : 모래슈트, 30 : 살수기
40 : 와류기, 41 : 본체
42 : 투입구, 43 : 배출구
44 : 와류형성부, 45 : 와류형성베인
50 : 모래선별기, 52 : 토분선별공
53 : 모래배출부, 54 : 컨베이어
55 : 탄성부재, 60 : 집수기
61 : 토분배출공, 62 : 이송관
70 : 침전조, 71 : 방향전환유도부
80 : 펌프, 81 : 리턴관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순환모래를 재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폐기물의 재생과정을 통해 재생된 모래로부터 토분을 선별하여 고품질의 순환모래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한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순환모래를 재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른바, 개발우선정책과 고도성장주의의 정책추진에 따라 이제까지 국내에서는 그 역기능인 환경문제는 고려의 대상에서 다소 벗어나 있었음이 현실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위주 정책의 결과 그 부산물의 각종의 폐기물과 오염물질의 증가는 이제 더 이상 미뤄질 수 없는 절박한 시점에 도달되어 있다.
특히, 각종 건축, 토목공사의 건설산업폐기물은 매우 급격한 증가를 보이고 있는바, 이는 도시와 지방 건축물의 노후화 및 기능저하에 따라 최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재개발, 재건축의 활성화 및 구조물의 해체에 주로 기인한다.
일반적으로, 건설폐기물이라 함은 쓰레기, 폐자재등이 섞인 흙이나 모래, 자갈, 토석 또는 이들이 혼합된 형태의 토사와, 콘크리트덩이, 폐목재, 아스팔트 콘크리트덩이 및 건설 오니 등을 지칭하는 것이며, 그 주요 특성의 하나가 건설폐기물의 대부분이 무기물로 구성되어 있어 인체에 무해하다는 것과, 다종의 폐기물이 혼재된 상태로 배출되어 그 처리가 복잡, 곤란하다는 것으로 바로 이점이 그 동안 유용재로 활용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 처리에 관한 정부와 업계의 무관심의 원인을 제공한 것이라 할 것이다.
이러한 무관심은 귀중한 자원의 낭비를 수반하였고, 그나마 이루어지고 있던 재생골재의 품질저하를 유발시키게 되어, 재생골재의 활용도는 성토나, 복토 및 매립용등 대부분이 토사대용으로 사용되는데 그치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폐기물의 관리를 통해 실질적인 재활용을 가능하게 함으로 환경오염의 최소화와 부족자원의 대체화, 그리고 건설산업기반의 원가절감을 적극적으로 도모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는 최근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이 의무화되기 시작하였으며, 비로소 재활용을 위한 각종 생산설비가 제작되어 각종 산업 현장에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상기에서와 같이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의무화에 따라 종래 단순 소거처리의 폐기물 처리방식에서 벗어나 부분적, 혹은 폐기물 처리에서부터 재생까지의 일괄적 인 처리를 담당하는 여러 장치가 제안되었다.
현재, 각 건설업체에서는 해당 건설현장에 크러셔(CRUSHER)를 반입하여 폐자재의 재활용을 도모하고 있으나, 이는 건설폐자재가 다종다양한 것이 혼합되어 배출되는 경우가 많고, 이동식 기기의 성능상 소정의 품질을 확보하기가 곤란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각 장치들의 대부분은 건설폐기물이 발생특성이 국내, 성상과는 상이한 외국의 제품이나, 그 기술을 모방한 것으로 효용성이 매우 낮아 그 사용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또한, 건설폐기물을 이용하여 재생골재를 생산하거나, 또는 쓰레기를 자동으로 분리하는 방법은 선진화된 외국의 기술로도 그 품질개선을 기대할 수 없었다.
종래 기술에 따른 건설폐기물 재생장치는, 대개 건설폐기물가 투입되는 호퍼, 호퍼를 통해 배출되는 건설폐기물을 파쇄하는 하나 이상의 파쇄수단, 건설폐기물에서 철근류를 선별하는 자석수단, 건설폐기물을 세척하는 세척수단, 건설폐기물을 입도별로 선별하는 스크린, 건설폐기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들 장치들이 적재적소에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도 비중이 가벼운 폐기물(토사, 스티로폼, 종이, 목재 등)을 송풍력에 의해 선별하는 비중선별장치가 설치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 비중선별장치는 건설폐기물의 이송경로 상 어느 한 곳에 설치되어 건설폐기물이 낙하하는 중에 비중이 작은 폐기물을 선별하는데, 이때 비중이 작은 모든 폐기물이 선별되지 못하기 때문에 재생골재에 비중이 작은 이물질이 포함되므로 골재의 품질이 떨어지 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비중선별장치를 여러 곳에 설치하여 비중이 작은 폐기물을 선별할 수 있지만, 이렇게 되면 설치 및 유지비용이 상승되고 재생시설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자력 선별기에 의해 건설폐기물에서 철근류를 선별할 수 있지만, 자력 선별기가 컨베이어의 상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자력 선별기에서 가까운 곳의 철근류는 충분히 선별할 수 있지만 이송중인 건설폐기물의 안쪽에 배치된 철근류와 다른 종류의 건설폐기물과 고착된 상태의 철근류 등은 컨베이어의 상부에 배치된 자력 선별기의 자력이 미치지 못하기 때문에 선별되지 못한다. 따라서, 생산되는 골재에 철근류가 포함되기 때문에 재생 골재의 품질이 떨어지고, 재생 골재의 품질 향상을 위해서는 자력 선별기를 다수개 설치하거나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건설폐기물을 뒤져 철근류를 선별하여야 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건설폐기물은 중량이 무거우면서 단단한 골재 등이 포함되기 때문에 재생공정 중에서 특히 골재가 스크린에서 선별될 때 스크린에 부딪치면서 충격소음이 발생되어 외부로 퍼지게 되므로 소음에 의한 민원이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건설폐기물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조 내의 세척수는 슬러지조와 침전조를 경유하여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로 세척수조에 재공급되는데, 이때,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침전조에서 부유하고 침전조 바닥부에 쌓이게 되며, 종래에는 이와 같은 침전조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여 세척수가 정화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설폐기물의 재생과정에 의해 재생된 모래로부터 토분을 제거하여 양질의 순환모래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한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순환모래를 재생하는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순환모래를 재생하는 장치는, 파분쇄된 골재로부터 모래를 선별하는 선별기와; 상기 선별기에 의해 선별된 모래를 물과 함께 공급하는 모래슈트와; 상기 모래슈트로부터 공급되는 모래와 물을 소용돌이치도록 유도하는 와류기와; 상기 와류기를 거친 모래와 물 중에서 모래표면의 토분과 물을 모래로부터 선별하는 모래선별기와; 상기 모래선별기에 의해 선별된 토분과 물을 토분과 물로 선별하는 침전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 여 순환모래를 재생하는 장치는, 폐기물의 재생공정(1회 이상의 파쇄공정, 1회 이상의 선별(철괴류, 이물질, 골재의 입도별 선별)공정을 거친 골재를 말함)을 거친 골재 중 모래를 선별하는 모래선별 스크린(10)과, 모래선별 스크린(10)에 의해 선별된 모래를 모으는 모래슈트(20)와, 모래슈트(20)에 모이는 모래에 물을 살수하는 살수기(30)와, 모래슈트(20)에 의해 모아진 모래(물이 혼합된 상태)를 공급받아 모래가 와류를 형성하도록 하는 와류기(40)와, 와류기(40)를 통해 와류를 형성하며 배출된 모래를 이송하면서 모래에 호합된 토분과 물을 배출토록 하는 모래선별기(50)와, 모래선별기(50)에서 배출된 토분과 물을 집수하는 집수기(60)와, 그리고, 집수기(60)에서 배출되는 토분과 물을 공급받아 토분과 물로 분리하는 침전조(70)로 구성되며, 이하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모래선별 스크린(10)은, 바닥부에 다수의 모래선별공(11)이 형성된 판상 구조이며, 전처리 공정(파쇄-선별-세척 등의 기존 골재 재생공정)을 통해 재생된 골재를 일정 입도(입도는 사용자가 임의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수치로 한정하지 않는다) 이상의 골재(A)와 모래(S)로 선별한다. 즉, 모래선별공(11)의 직경보다 작은 입도의 모래만 모래선별공(11)을 통과하여 하부의 모래슈트(20)로 낙하하는 것이다.
모래슈트(20)는 상측이 개구된 통구조로서 모래선별 스크린(10)의 하부에 배치(모래의 이송이 원활하도록 와류기(40)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됨)되어 모래선별 스크린(10)의 모래선별공(11)을 통과한 모래를 와류기(40)에 공급한다.
살수기(30)는 모래선별 스크린(10)에 의해 선별된 모래에 물을 살수하여 모 래로부터 토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물탱크, 물탱크 내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 상기 펌프의 펌핑에 의해 공급되는 물의 유동을 안내하는 살수관 및 상기 살수관에 형성되어 모래슈트(20)에 낙하하는 모래에 살수하는 살수노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3에서와 같이, 와류기(40)는 중공의 본체(41), 본체(41)의 상하부에 각각 갖추어지는 투입구(42)와 배출구(43), 본체(41)의 내벽에 형성되는 와류형성부(44) 및 본체(41)의 배출구(43)에 설치되어 모래와 물이 와류를 형성하면서 배출되도록 하는 다수의 와류안내베인(45)으로 구성된다.
본체(41)는 물에 의해 부식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부에서부터 직경이 동일한 원통부(41a)와 하부의 배출구(43)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부(41b)가 연속된 통 구조이다. 다수의 와류안내베인(45)은 각각 곡선형으로 이루어져 본체(41)의 배출구(43)에 일측이 본체(41)에 고정되며 자유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면서 근접하는 와류안내베인(45)과 일부분이 중첩되도록 결합되어 모래와 물이 와류를 형성하면서 배출되도록 한다.
모래선별기(50)는 상측이 개방되며 바닥부(51)에 다수의 토분선별공(52)이 구비되고 타측(와류기(40)로부터 원거리측)에 모래배출부(53)가 형성된 통 구조이며, 일측 단부 상에 와류기(40)의 배출구(43)가 대응되도록 설치된다. 모래선별기(50)는 진동모터(미도시)에 의해 진동되면서 와류기(40)에서 배출된 모래와 물 중 모래는 소용돌이를 그리면서 튕겨 타측의 모래배출부(53)측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토분과 물은 토분선별공(52)을 통해 하부의 집수기(60)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토 분이 제거된 양질의 모래를 선별하는 것이다. 여기서, 모래와 물이 와류기(40)에서 배출될 때 모래와 물 모두 소용돌이형태를 그리면서 배출되는데, 모래선별기(50)의 바닥부(51)가 모래배출부(53)측으로 하향 경사지거나 수평이면 토분과 물이 모래배출부(53)로 배출될 수 있으므로 모든 토분과 물이 집수기(60)로 배출되도록 모래선별기(50)의 바닥부(51)는 모래배출부(53)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경사각은 5°~ 9°인 것이 바람직하다.
와류기(40)에서 배출된 모래와 토분과 물 중 모래(S)는 자중이 토분과 물보다 무겁기 때문에 와류에 의해 모래선별기(50)의 바닥부(51)에 튕기면서 바닥부(51)를 타고 모래배출부(5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모래배출부(53)의 하부에는 배출되는 모래를 이송하는 컨베이어(54) 또는 모래 적재부가 형성된다.
집수기(60)는 모래선별기(50)의 바닥부(51)보다 크거나 같은 면적을 가지며 상측이 개방되고 단부에 토분배출공(61)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모래선별기(50)의 토분선별공(52)에서 배출된 토분과 물을 토분배출공(61)으로 모아 이송관(62)을 통해 침전조(70)로 안내한다.
와류기(40), 모래선별기(50) 및 집수기(60)의 결합구조는 다음과 같다. 집수기(60)의 상부와 와류기(40)의 하부에 각각 서로 연결되는 다수개(바람직하게 4개)의 지지다리(63,46)가 형성되어 이들(63,46)이 체결구로 체결 고정되며, 모래선별기(50)는 와류기(40)와 집수기(6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면서 다수의 탄성부재(55)(예컨대 코일스프링)를 통해 집수기(60)에 진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침전조(70)는 집수기(60)에 모인 토분과 물을 이송관(62)을 통해 공급받아 일정시간동안 방치함으로써 토분이 바닥에 침전되도록 한다. 도 5에서 보이는 것처럼, 나아가서 침전조(70)에 유입된 토분과 물이 침전조(7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흐르도록 하며 침전조(70) 내부에 물의 흐름을 전환할 수 있는 다수의 방향전환유도부(71)를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하여 물이 방향전환유도부(71)를 타고 방향이 전환되어 유속이 늦어지도록 함으로써 토분(P)은 침전조(70)에 잔류하고 물은 침전조(70)에서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토분(P)이 침전조(70) 내에서 신속하게 침전하도록 약품(석회석 등)을 투입할 수도 있다.
또한, 침전조(70)에 투입되어 토분(P)이 선별된 물은 다시 살수기(30) 또는 와류기(40)에 공급되도록 구성되며, 예컨대, 침전조(70) 내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80), 펌프(80)에 의해 펌핑된 물을 살수기(30) 또는/및 와류기(40)에 공급하기 위한 리턴관(81)으로 구성된다.
토분(P)과 물이 침전조(70)를 통과하는 중에 토분(P)과 물로 분리되며, 이 중 토분(P)은 포크레인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회수된다. 회수된 토분(P)은 수분이 함유되기 때문에 탈수기(90)(도 1참조)를 통해 탈수된다. 탈수기는, 토분(P)은 빠지지 않으면서 물이 빠질 수 있는 구멍을 갖는 탈수조(91)(마대 등), 탈수조(91)에 담긴 토분(P)을 압착하여 물을 빼는 압착기(92), 탈수조(91)의 저부에 갖추어져 탈수조(91)에서 배출되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93)로 구성된다. 수조(93)에 저장되는 물은 재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이를 위하여 수조(93)에 저장된 물을 살수기(30) 또는 와류기(40)에 공급하기 위한 리턴관(94)을 더 포함한다. 예컨대, 리턴관(94)은 침전조(70)와 와류기(40)를 연결하는 리턴관(81)에 연결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은 파쇄기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순환모래 재생장치는 기존 건설폐기물 재생장치에 추가 설치되어 하나의 재생라인을 구축할 수도 있고, 별도의 독립된 라인으로서 골재를 공급받아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순환모래를 재생하는 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파쇄기(1)에 의해 파쇄된 골재(모래가 혼합된 상태)는 모래선별 스크린(10)에 투입되어 모래선별공(11)의 직경보다 입도가 작은 입도의 모래(토분(P)이 혼합된 상태)(S)는 모래선별공(11)을 빠져나와 하부의 모래슈트(20)로 모이게 되어 모래선별 스크린(10)을 통과하는 중에 골재(골재(A)와 모래(S)가 혼합된 상태)가 자연적으로 골재(A)와 모래(S)로 선별된다.
모래(S)와 토분(P)은 모래슈트(20)를 따라 와류기(40)로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살수기(30)에 의해 물이 살수되어 모래(S), 토분(P) 및 물이 함께 와류기(40)의 투입구(42)를 통해 와류기 본체(41)에 유입된다. 모래(S)에 물이 살수됨에 따라 모래(S) 표면에 붙은 토분(P)이 모래(S)로부터 씻겨져 이 후 공정에서 모래(S)에서 토분(P)을 깨끗하게 제거할 수 있다.
와류기 본체(41)에 유입된 모래 혼합물(모래(S), 토분(P), 물 혼합물을 칭함)은 투입구(42)에서 배출구(43)를 향해 직하방으로 낙하하지 않고 와류형성부(44)를 경유하여 배출구(43)측으로 흐르다가 와류안내베인(45)을 거쳐 와류를 형성하면서 배출구(43)에서 배출된다.
와류기(40)에서 배출된 모래혼합물은 모래선별기(50)의 진동에 의해 떨리면서 이동되는데, 모래혼합물 중 자중이 상대적으로 큰 모래(S)는 와류기(40)에서 배출되는 상태를 유지하여 원을 그리며 모래선별기(50)의 바닥부(51)에 튕기면서 모래배출부(53)로 향하고, 토분(P)과 물은 모래선별기(50)의 바닥부(51)가 상향 경사지기 때문에 모래(S)처럼 튕기면서 모래배출부(53)측으로 향하지 못하고 모래선별기(50)의 토분선별공(53)을 통해 하부의 집수기(60)로 낙하한다. 즉, 모래선별기(50)를 통과하면서 모래혼합물 중 모래(S)는 모래배출부(53)를 통해 배출되어 컨베이어(54)에 의해 이송되거나 적재되고, 토분(P)과 물은 집수기(60)를 거쳐 침전조(70)에 모이게 된다.
침전조(70)에 투입된 토분(P)과 물 중 토분(P)은 자중에 의해 침전조(70) 바닥에 침전되고, 침전조(70) 내부에 방향전화유도부(71)가 갖추어진 경우 물의 유속이 느려지기 때문에 토분(P)이 물과 함께 배출되지 않고 전량 침전된다.
침전조(70)에 침전된 토분(P)은 포크레인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탈수기(90)의 탈수조(91)에 담긴 후 압착기(92)를 거쳐 탈수되거나 자연 건조된다.
전조(70)에 투입된 후 토분(P)이 침전 제거된 물은 펌프(80)의 펌핑력에 의해 리턴관(81)으로 펌핑되어 살수기(30)나 와류기(40)에 재공급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순환모래를 생산하는 장치에 의하면, 순환모래의 질을 떨어뜨리는 토분을 모래로부터 제거하여 고품질의 순환모래를 얻을 수 있고, 모래에서 토분만 분리하여 토분을 순환사용할 수 있으므로 자원재활용에 따른 이익을 창출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다수의 모래선별공(11)이 구비되어 파분쇄된 폐기물 중 모래를 선별하는 모래선별 스크린(10)과; 상기 모래선별 스크린의 하부에 배치되어 모래를 모으는 모래슈트(20)와; 상기 모래슈트 상에서 모래에 물을 살수하는 살수기(30)와; 중공의 본체(41), 상기 본체의 상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투입구(42)와 배출구(43), 상기 본체의 내주벽에 형성되는 와류형성부(44) 및 상기 배출구에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되면서 일측이 결합되고 근접하는 것들과 일부분이 중첩되어 상기 본체 내에 투입된 모래가 와류를 형성하면서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다수의 와류안내베인(45)으로 이루어져 상기 모래슈트를 통해 모래와 물을 공급받아 모래와 물이 소용돌이치면서 흐르도록 유도하는 와류기(40)와; 상측이 개방되며 바닥부(51)에 다수의 토분선별공(52)을 가지며 상기 와류기에서 멀어질수록 상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진동모터에 의해 떨면서 상기 와류기에서 배출되는 모래를 타측으로 이송하는 중에 토분과 물이 상기 토분선별공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타측에서 모래만 선별하는 모래선별기(50)와; 상측이 개구되며 상기 와류기로부터 원거리측에 토분배출공(61)이 형성된 통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모래선별기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모래선별기의 토분선별공을 통과한 토분과 물을 집수하는 집수기(60)와; 그리고, 상기 집수기의 토분배출공과 이송관(62)을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집수기에서 배출되는 토분과 물을 공급받아 토분과 물로 분리하는 침전조(70)와; 상기 침전조 내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80)와; 상기 펌프의 펌핑력에 의해 상기 침전조 내의 물이 상기 살수기 또는 와류기에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리턴관(81)을 포함하여 구성된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순환모래를 생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의 내부에는 일측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토분과 물이 방향을 바꾸면서 타측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어 토분이 원활하게 가라앉도록 하는 방향전환유도부(71)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순환모래를 재생하는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조에 침전된 토분이 담기며 상기 토분에 포함된 물이 배출되는 구멍을 갖는 탈수조(91), 상기 탈수조에 담긴 토분을 압착하여 물을 제거하는 압착기(92), 상기 탈수조 저부에 갖추어져 상기 탈수조에서 배출되는 물을 저장하는 수조(93) 및 상기 수조와 상기 와류기를 연결하여 상기 수조에 저장된 물을 상기 와류기에 공급하는 리턴관(94)으로 이루어진 탈수기(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순환모래를 재생하는 장치.
KR1020060014725A 2006-02-15 2006-02-15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순환모래를 재생하는 장치 KR100651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725A KR100651234B1 (ko) 2006-02-15 2006-02-15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순환모래를 재생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4725A KR100651234B1 (ko) 2006-02-15 2006-02-15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순환모래를 재생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1234B1 true KR100651234B1 (ko) 2006-11-30

Family

ID=37714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4725A KR100651234B1 (ko) 2006-02-15 2006-02-15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순환모래를 재생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12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4658A (ko) 2018-03-02 2019-09-11 정병인 폐숏크리트 재생장치
CN113638290A (zh) * 2021-08-23 2021-11-12 德州市公路事业发展中心武城分中心 一种公路养护工程使用的碎石均匀化撒布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5864A (ko) * 2002-03-21 2003-09-26 (주)대우건설 접합 연결철물을 사용한 철골 기둥-거더 연결 구조
KR20030076380A (ko) * 2002-03-20 2003-09-26 세코 툴스 에이비 Pvd 코팅된 커팅툴 인서트
KR20050073963A (ko) * 2004-01-12 2005-07-18 삼흥종합환경 (주) 건설폐기물의 폐아스콘 분리방법과 그 처리장치
KR20050110513A (ko) * 2004-05-19 2005-11-23 (주)성인건기 건설폐기물의 분리장치
KR100533737B1 (ko) * 2005-03-28 2005-12-05 오광기업(주) 건설폐기물로부터 사이클론을 이용한 이물질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380A (ko) * 2002-03-20 2003-09-26 세코 툴스 에이비 Pvd 코팅된 커팅툴 인서트
KR20030075864A (ko) * 2002-03-21 2003-09-26 (주)대우건설 접합 연결철물을 사용한 철골 기둥-거더 연결 구조
KR20050073963A (ko) * 2004-01-12 2005-07-18 삼흥종합환경 (주) 건설폐기물의 폐아스콘 분리방법과 그 처리장치
KR20050110513A (ko) * 2004-05-19 2005-11-23 (주)성인건기 건설폐기물의 분리장치
KR100533737B1 (ko) * 2005-03-28 2005-12-05 오광기업(주) 건설폐기물로부터 사이클론을 이용한 이물질 제거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4658A (ko) 2018-03-02 2019-09-11 정병인 폐숏크리트 재생장치
CN113638290A (zh) * 2021-08-23 2021-11-12 德州市公路事业发展中心武城分中心 一种公路养护工程使用的碎石均匀化撒布装置
CN113638290B (zh) * 2021-08-23 2022-12-20 德州市公路事业发展中心武城分中心 一种公路养护工程使用的碎石均匀化撒布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5319B1 (ko) 건설폐기물 처리와 재활용을 위한 중간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850762B1 (ko) 진동스크린의 변형구조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방법 및 그장치
KR100582847B1 (ko) 건축 폐기물 순환골재 선별장치 및 그 선별방법
CN201442005U (zh) 建筑垃圾综合处理设备
CN107282253A (zh) 建筑垃圾处置方法
JP2008080329A (ja) 材料回収システム及び材料回収方法
KR100470486B1 (ko)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재생골재를 생산하는 장치 및 방법
CN209531690U (zh) 建筑垃圾综合处理装置
JP3052126U (ja) 建設廃棄物処理装置
KR100765852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100358687B1 (ko)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방법
KR100518919B1 (ko)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KR100533737B1 (ko) 건설폐기물로부터 사이클론을 이용한 이물질 제거 장치
KR100660142B1 (ko) 건식 모래 생산 방법 및 그 시스템
CN213559097U (zh) 一种建筑垃圾的分类处理系统
KR100574675B1 (ko) 건설폐기물의 재생선별방법
KR100651234B1 (ko)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순환모래를 재생하는 장치
KR100434799B1 (ko)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을 통한 재생 모래의 제조 방법 및그 장치
KR100570319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20100128212A (ko) 물과 가압공기를 이용하여 건설폐기물로부터 가연물을 선별 분리하는 장치 및 방법
JP5478483B2 (ja) 混合処理物の選別処理システム
KR100931471B1 (ko) 물과 가압공기를 이용하여 건설폐기물로부터 가연물을 선별 분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488241B1 (ko) 파분쇄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102197340B1 (ko) 골재 수처리장치의 침전조와 탈수스크린 사이에 설치되는 금속 분리장치
KR100595006B1 (ko) 건설폐기물 처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