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5852B1 -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5852B1
KR100765852B1 KR1020070008432A KR20070008432A KR100765852B1 KR 100765852 B1 KR100765852 B1 KR 100765852B1 KR 1020070008432 A KR1020070008432 A KR 1020070008432A KR 20070008432 A KR20070008432 A KR 20070008432A KR 100765852 B1 KR100765852 B1 KR 1007658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aggregate
screen
washing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성태
Original Assignee
(주)디테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테코 filed Critical (주)디테코
Priority to KR1020070008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58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58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58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4/00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골재를 세척수에 의한 수처리방식으로 처리할 때 부유물과 침전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선별하여 골재의 품질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재생장치는, 상부가 개방되면서 바닥부가 일측에서부터 수평부 및 상향 경사부로 이루어져 상기 2차 선별스크린과 탈수스크린의 사이에 설치되며 세척수가 저장된 세척수조, 상기 세척수조 내부에 상기 수평부와 경사부에 걸쳐 설치되며 상기 2차 선별스크린을 통과하여 상기 세척수조의 세척수에 의해 세척된 골재를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 상면이 세라믹 코팅된 박스형태로서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일측 저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낙하하는 골재의 충돌을 완충하는 임팩트 바, 상기 세척수조 내의 세척수를 공급받아 분사함으로써 상기 세척수조 내에 부유하는 부유물을 일측으로 포집하는 폭기수단, 상기 세척수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폭기수단에 의해 포집되는 부유물을 제거하는 부유물 배출수단, 상기 세척수조의 바닥부에 장착되어 상기 세척수조의 바닥부에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스크류로 구성된다.
건설폐기물, 골재, 수처리, 세척수조, 부유물, 슬러지

Description

건설폐기물 재생장치{APPARATUS FOR REPRODUCING AGGREGATE CRUSHING CONSTRUCTION WAS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재생장치의 구성도.
도 2 내지 도 5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한 건설폐기물 재생장치에 적용된 세척수단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건설폐기물 재생장치에 적용된 포집기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세척수단, 11 : 세척수조
12 : 이송컨베이어, 13 : 임팩트바
14 : 폭기수단, 15 : 부유물 배출수단
16 : 슬러지 배출스크류,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폐기물로부터 순환골재를 생산하기 위하여 골재를 세척수로 세척할 때 골재로부터 이물 질(부유물, 침전 슬러지(이하 '슬러지'로 약칭함)을 효율적으로 선별하고, 선별된 부유물과 슬러지를 세척수조로부터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건설폐기물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른바, 개발우선정책과 고도성장주의의 정책추진에 따라 이제까지 국내에서는 그 역기능인 환경문제는 고려의 대상에서 다소 벗어나 있었음이 현실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위주 정책의 결과 그 부산물의 각종의 폐기물과 오염물질의 증가는 이제 더 이상 미뤄질 수 없는 절박한 시점에 도달되어 있다.
특히, 각종 건축, 토목공사의 건설산업폐기물은 매우 급격한 증가를 보이고 있는바, 이는 도시와 지방 건축물의 노후화 및 기능저하에 따라 최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재개발, 재건축의 활성화 및 구조물의 해체에 주로 기인한다.
일반적으로, 건설폐기물이라 함은 쓰레기, 폐자재등이 섞인 흙이나 모래, 자갈, 토석 또는 이들이 혼합된 형태의 토사와, 콘크리트덩이, 폐목재, 아스팔트 콘크리트덩이 및 건설 오니 등을 지칭하는 것이며, 그 주요 특성의 하나가 건설폐기물의 대부분이 무기물로 구성되어 있어 인체에 무해하다는 것과, 다종의 폐기물이 혼재된 상태로 배출되어 그 처리가 복잡, 곤란하다는 것으로 바로 이점이 그 동안 유용재로 활용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 처리에 관한 정부와 업계의 무관심의 원인을 제공한 것이라 할 것이다.
이러한 무관심은 귀중한 자원의 낭비를 수반하였고, 그나마 이루어지고 있던 재생골재의 품질저하를 유발시키게 되어, 재생골재의 활용도는 성토나, 복토 및 매립용등 대부분이 토사대용으로 사용되는데 그치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폐기물의 관리를 통해 실질적인 재활용을 가능하게 함으로 환경오염의 최소화와 부족자원의 대체화, 그리고 건설산업기반의 원가절감을 적극적으로 도모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는 최근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이 의무화되기 시작하였으며, 비로소 재활용을 위한 각종 생산설비가 제작되어 각종 산업 현장에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상기에서와 같이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의무화에 따라 종래 단순 소거처리의 폐기물 처리방식에서 벗어나 부분적, 혹은 폐기물 처리에서부터 재생까지의 일괄적인 처리를 담당하는 여러 장치가 제안되었다.
현재, 각 건설업체에서는 해당 건설현장에 크러셔(CRUSHER)를 반입하여 폐자재의 재활용을 도모하고 있으나, 이는 건설폐자재가 다종다양한 것이 혼합되어 배출되는 경우가 많고, 이동식 기기의 성능상 소정의 품질을 확보하기가 곤란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각 장치들의 대부분은 건설폐기물이 발생특성이 국내, 성상과는 상이한 외국의 제품이나, 그 기술을 모방한 것으로 효용성이 매우 낮아 그 사용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또한, 건설폐기물을 이용하여 재생골재를 생산하거나, 또는 쓰레기를 자동으로 분리하는 방법은 선진화된 외국의 기술로도 그 품질개선을 기대할 수 없었다.
종래 기술에 따른 건설폐기물 재생장치는, 대개 건설폐기물이 투입되는 호퍼, 호퍼를 통해 배출되는 건설폐기물을 파쇄하는 하나 이상의 파쇄수단, 건설폐기물에서 철근류를 선별하는 자석수단, 건설폐기물을 세척하는 세척수단, 건설폐기물 을 입도별로 선별하는 스크린, 건설폐기물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들 장치들이 적재적소에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에도 폐기물을 세척수에 투입하여 상기 세척수에 의한 수처리방식으로 골재를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있으나, 이는 단순히 폐기물을 세척수에 투입한 후 세척수조에 담긴 상기 세척수와의 마찰에 의해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물질의 세척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최종 생산된 제품의 품질이 떨어지고, 대개 세척수단을 통과한 후 파쇄, 선별 등의 공정을 거치는데, 세척수단을 거친 골재가 이물질을 갖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파쇄기 등의 효율성이 저하됨과 아울러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골재를 세척수조에 투입하여 세척할 때 세척수를 일정 압력 및 일정한 곳으로 분사하여 골재 표면에 묻은 이물질(부유물, 슬러지)을 깨끗하게 제거하며, 제거된 이물질을 세척수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건설폐기물 재생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건설폐기물 재생장치는, 크기별 선별공정과 각종 이물질(가연성 폐기물, 철재류 등)이 선별공정 및 파 쇄공정을 거친 골재를 세척하는 세척수조, 상기 세척수조 내에서 세척수를 일측으로 분사하여 부유물을 표면으로 부상시키는 폭기수단, 상기 세척수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폭기수단에 의해 모인 부유물을 배출하는 부유물 배출수단, 상기 세척수조의 바닥부에 침전된 슬러지를 일측으로 모아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설폐기물 재생장치는, 폐기물이 투입되는 호퍼(H)와; 호퍼(H)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을 공급하는 피더(F)와; 피더(F)에 의해 공급되는 폐기물 중 토분을 제거하는 1차 선별스크린(S-1)과; 1차 선별스크린(S-1)에 의해 토분이 선별된 폐기물로부터 철재류를 선별하는 1차 자석선별기(M-1)와; 1차 자석선별기(M-1)에 의해 철재류가 선별된 폐기물을 파쇄하는 1차 죠크러셔(C-1)와; 1차 죠크러셔(C-1)에 의해 파쇄된 골재를 입도별로 선별하는 2차 선별스크린(S-2)과; 2차 선별스크린(S-2)으로 이송되는 골재에 풍력을 가하여 이물질을 선별하는 1차 풍력선별기(W-1)와; 2치 선별스크린(S-2)에 의해 이물질이 비산된 골재를 세척하는 세척수단(10)과; 세척수단(10)을 통과한 골재를 탈수하는 탈수스크린(D)과; 탈수스크린(D)을 통과한 골재에 바람을 가하여 건조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2차 풍력선별기(W-2)와; 탈수스크린(D)을 거친 골재를 파쇄하는 2차 콘크러셔(C-2)와; 2차 콘크러셔(C-2)에 의해 파쇄된 골재를 선별하는 3차 선별스크린(S-3)과; 3차 선별스크린(S-3)에 의해 선별된 골재로부터 철재류를 선별하는 2차 자력선별기(M-2)와; 상기 3차 선별스크린(S-3)에 의해 파쇄된 골재 중 기준 입도 이상 크기의 골재를 재파쇄하는 3차 콘크러셔(C-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하,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피더(F)는 미도시된 진동모터를 통해 진동하면서 호퍼(H)에 투입되는 폐기물을 정체없이 균일하게 공급한다.
1차 선별스크린(S-1)은 폐기물에 포함된 토분을 제거하여 1차 죠크러셔(C-1)에 파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예컨대 125mm이하의 폐기물만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다수의 선별공이 구비된 판상이며, 진동모터(미도시)에 의해 진동하면서 투입된 폐기물에 진동을 가하여 토분과 125mm이상의 폐기물에 제거되도록 한다.
1차 자석선별기(M-1)는 1차 죠크러셔(C-1)에 파쇄가 필요한 골재만을 공급할 수 있도록 자력에 의해 폐기물에 포함된 철재류를 선별하는 것이다.
1차 죠크러셔(C-1)는 1차 선별스크린(S-1)을 통과하여 토분과 125mm이상의 폐기물이 제거된 폐기물을 파쇄한다.
2차 선별스크린(S-2)은 1차 죠크러셔(C-1)에 의해 파쇄된 골재 중 40mm 이하의 골재를 선별하여 40mm이상의 골재만을 그 다음 공정으로 공급하는 것으로, 40mm이하 입도의 골재를 배출하기 위한 다수의 선별공(미도시)이 구비된 판상이다.
1차 풍력선별기(W-1)는 1차 죠크러셔(C-1)에서 2차 선별스크린(S--2)으로 이송되는 골재에 풍력을 가하여 비중이 작은 먼지 등의 이물질을 선별하는 것으로, 송풍모터, 상기 송풍모터에 의해 회전하면서 송풍력을 발생하는 송풍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세척수단(10)은, 세척수가 저장되는 세척수조(11), 세척수조(11)에 투입되어 세척된 골재를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12), 골재가 낙하하는 이송컨베이어(12)의 저부에 설치되어 이송컨베이어(12)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는 임팩트바(13), 세척수조(11) 내의 세척수를 공급받아 분사하여 세척수조(11) 내에서 세척수에 의해 세척된 이물질 중 부유물을 세척수 표면으로 부상시키는 폭기수단(14), 폭기수단(14)에 의해 포집된 부유물을 세척수 외부로 배출하는 부유물 배출수단(15), 세척수조(11)내에서 세척수에 의해 세척된 이물질 중 바닥부에 침전되는 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스크류(16)로 구성된다.
세척수조(11)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이면서 바닥부가 일측에서부터 수평부(11a) 및 상향 경사부(11b)로 이루어져 2차 선별스크린(S-2)과 탈수스크린(D)의 사이에 설치되며 그 내부에 세척수가 저장된다.
이송컨베이어(12)는 세척수조(11)의 바닥부에 근접되며 수평부(11a)와 경사부(11b)에 걸쳐 설치되어 세척수조(11)에 낙하하여 세척수에 의해 세척된 골재를 후속 공정으로 이송하는 무한궤도 형태이다.
임팩트바(13)는 물에 의해 부식되지 않는 고강도 고무로서 사각 박스형태로 압축되며 상면에 세라믹 코팅부(13a)가 형성된 구조이고, 이송컨베이어(12)의 일 측(골재의 낙하부) 저부에 설치되어 이송컨베이어(12)에 낙하하는 골재로부터 가해지는 충돌에너지를 흡수하여 이송컨베이어(12)의 손상을 방지한다.
폭기수단(14)은 세척수조(11)와 세척수가 순환 가능하게 연결되는 탱크(14a), 탱크(14a) 내의 세척수를 펌핑하는 펌프(미도시), 상기 펌프와 연결되는 다수의 공급관(14b,14c,14d,14e), 세척수조(11)의 일측의 바닥부와 중앙 상부 및 타측 상부에 각각 배치되며 공급관(14b,14c,14d,14e)에 각각 장착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14f,14g,14h,14i)로 구성된다.
즉, 제1분사노즐(14f)는 세척수조(11)의 바닥부에서 표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고, 제2분사노즐(14g)는 세척수의 표면측에서 부유물 배출수단(15)을 향해세척수를 분사하며, 제3분사노즐(14h)은 세척수조(11)의 중앙 표면측에서 세척수를 일측으로 분사하고, 제4분사노즐(14i)은 세척수조(11)의 타측 표면에서 일측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한다. 각각의 분사노즐(14f,14g,14h,14i)에 의한 세척수 분사압력은 압력조절밸브에 의해 조절된다.
부유물 배출수단(15)은, 세척수조(11)의 일측 상단부 측방향으로 연통 형성되며 바닥부에 하향 경사진 배출덕트(15a)가 구비된 배출안내부(15b), 세척수조(11)와 배출안내부(15b)에 걸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다수의 배수공이 구비되어 세척수조(11) 내의 세척수에 부유하는 부유물을 배출안내부(15b)로 퍼내는 포집기(15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출안내부(15b)는 세척수조(11)와 연통되어 포집기(15c)에 의해 세척수와 부유물을 일시 저장 및 세척수는 다시 세척수조(11)에 복귀되도록 하는 한편 부유 물은 배출덕트(15a)에 유입되도록 경사진다.
도 6에서 보이는 것처럼, 포집기(15c)는 다수의 배수공이 천공된 판상이거나 와이어 등이 배수공을 갖도록 엮인 구조의 베인들이 갖추어진 형태일 수 있다.
슬러지 배출스크류(16)는 세척수조(11)의 수평부(11a)에 타구간보다 오목하게 형성된 홈 형태의 슬러지배출부(16a)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그 회전에 의해 세척수조(11) 바닥부에 쌓인 슬러지를 일측으로 이송한다. 슬러지배출부(16a)의 일측 저부에는 포집된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한 덮개(16b)가 구비된다.
탈수스크린(D)은, 다수의 배수공이 구비되며 진동모터에 의해 진동하면서 골재(세척수단(14)의 세척수에 의해 이물질이 세척된 골재)에 묻은 수분을 제거한다.
2차 풍력선별기(W-2)는 탈수스크린(D)을 통과하여 탈수된 골재가 2차 콘크러셔(C-2)에 공급되기 이전에 바람을 가하여 미처 탈수되지 못한 수분과 이물질을 제거한다. 2차 풍력선별기(W-2)는 1차 풍력선별기(W-1)와 동일한 구조이면서, 탈수를 위하여 히터가 더 구비되어 열풍을 가할 수 있다.
2차 콘크러셔(C-2)는, 탈수스크린(D)을 통과한 골재를 파쇄한다.
3차 선별스크린(S-3)은 2차 파쇄공정을 거친 골재를 입도별로 선별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것으로, 서로 다른 직경의 선별공을 갖는 다수의 선별판이 다단으로 적층된 구조로서, 공급되는 골재를 서로 다른 3가지 크기의 제품으로 선별한다.
3차 콘크러셔(C-3)는 3차 선별스크린(S-3)에 의해 선별된 3가지 크기의 골재 중 가장 큰 크기의 골재를 파쇄한다.
3차 콘크러셔(C-3)에 의해 파쇄된 골재는 다시 3차 선별스크린(S-3)에 공급 되어 다시 선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건설폐기물 재생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호퍼(H)에 투입된 폐기물은 피더(F)에 의해 일정 속도로 균일한 양으로 1차 선별스크린(S-1)에 공급되고, 이어서, 1차 선별스크린(S-1)에 의해 일정 입도(예컨대 125mm)이하의 골재가 선별된 후 1차 죠크러셔(C-1)에 의해 파쇄된다.
1차 파쇄된 골재는 2차 선별스크린(S-2)에 의해 2가지 크기의 골재(예를 들어 40mm 기준)로 선별되고, 이 중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골재(40mm 이상)의 골재는 세척수단(10)에 투입된다.
세척수조(11)에 투입된 골재는 세척수에 의해 표면의 이물질이 수세척되어 이송컨베이어(12)측으로 가라앉게 된다. 이때, 폭기수단(14)의 제1분사노즐(14f)는 세척수조(11)의 바닥부에서 표면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고, 제2분사노즐(14g)는 세척수의 표면측에서 부유물 배출수단(15)을 향해세척수를 분사하며, 제3분사노즐(14h)은 세척수조(11)의 중앙 표면측에서 세척수를 일측으로 분사하고, 제4분사노즐(14i)은 세척수조(11)의 타측 표면에서 일측을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여, 골재에서 제거된 이물질 중 부유물은 세척수에 부유하여 부유물 배출수단(15)으로 모이게 된다. 부유물 배출수단(15)의 포집기(15c)는 세척수와 함께 부유물을 퍼내며, 이때, 세척수는 포집기(15c)의 배수공을 통해 배수되어 세척수조(11)로 복귀되지만 부유물은 배출덕트(15a)에 유입되어 배출 및 보관된다. 배출덕트(15a)에 의해 배출되는 부유물은 야적되거나 별도의 적재함 등에 적재될 수 있다.
한편, 폭기수단(14)에 의해 분사되는 세척수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는 중량의 슬러지는 세척수조(11) 바닥에 침전되며, 이 침전된 슬러지는 슬러지 배출스크류(16)의 회전에 의해 일측으로 모아진 후 외부로 배출 제거된다.
이송컨베이어(12)에 의해 세척수조(11)에서 배출되는 골재는 탈수스크린(D)에 공급되어 탈수스크린(D)을 통과하는 중에 탈수된 후 2차 콘크러셔(C-2)로 공급되며, 이 과정에서 2차 풍력선별기(W-2)의 바람이 탈수스크린(D)에서 배출되어 낙하하는 골재에 가해짐으로써 골재가 탈수됨과 아울러 이물질 비산 제거된다.
2차 콘크러셔(C-2)에 투입된 골재는 파쇄된 후 3차 선별스크린(S-3)을 통해 서로 다른 3가지 입도의 골재로 선별된다. 이때 가장 작은 크기와 그 다음 크기의 골재는 제품으로 사용되기 위해 분리 보관되며, 가장 큰 크기로 선별된 골재는 3차 콘크러셔(C-3)에 의해 다시 파쇄된 후 3차 선별스크린(S-3)에 투입되어 다시 선별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분쇄 건설폐기물 재생장치에 의하면, 선별 - 파쇄 등을 거친 골재를 세척수조에 투입하여 세척수로 세척할 때 세척수를 세척수조의 바닥과 전방 및 일측에서 분사하여 골재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제거된 이물질 중 부유물을 부유물 배출수단측으로 모아줌으로써 부유물의 선별과 함께 부유물을 세척수조에서 배출함과 아울러 침전 슬러지를 제거하여 골재의 품질이 향상되고, 한편, 세척수가 부유물과 침전 슬러지에 의해 오염되지 않으므로 지속적으로 깨끗한 골재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이송컨베이어의 저부에 설치된 임팩트바에 의해 골재의 낙하에 의한 이송컨베이어의 파손을 줄일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세척수에 의한 골재의 세척효율을 높여 추후 공정에는 순수한 골재만 공급되므로 이물질의 파쇄 등에 의한 파쇄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폐기물이 투입되는 호퍼와; 상기 호퍼를 통해 투입되는 폐기물을 공급하는 피더와; 다수의 선별공이 구비되어 상기 피더에 의해 공급되는 폐기물 중 토분을 선별하는 1차 선별스크린과; 상기 1차 선별스크린에 의해 선별된 폐기물 중 철재류를 선별하는 자석선별기와; 상기 자석선별기를 통과한 폐기물을 파쇄하는 1차 파쇄수단과; 상기 1차 파쇄수단에 의해 파쇄된 골재를 입도별로 선별하는 2차 선별스크린과; 상기 1차 파쇄수단에서 상기 2차 선별스크린으로 이송되는 골재에 풍력을 가하여 이물질을 선별하는 1차 풍력선별기와; 상기 1차 풍력선별기를 통과한 골재를 세척하는 세척수단과; 상기 세척수단을 통과한 골재를 탈수하는 탈수스크린과; 탈수스크린을 통과한 골재에 바람을 가하여 건조 및 이물질을 제거하는 2차 풍력선별기와; 상기 탈수스크린을 거친 골재를 파쇄하는 2차 파쇄기와; 상기 2차 파쇄기에 의해 파쇄된 골재를 선별하는 3차 선별스크린과; 상기 3차 선별스크린에 의해 선별된 골재로부터 철재류를 선별하는 2차 자력선별기와; 상기 3차 선별스크린에 의해 파쇄된 골재 중 기준 입도 이상 크기의 골재를 재파쇄하는 3차 파쇄기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수단은,
    상부가 개방되면서 바닥부가 일측에서부터 수평부 및 상향 경사부로 이루어져 상기 2차 선별스크린과 탈수스크린의 사이에 설치되며 세척수가 저장된 세척수조, 상기 세척수조 내부에 상기 수평부와 경사부에 걸쳐 설치되며 상기 2차 선별스크린을 통과하여 상기 세척수조의 세척수에 의해 세척된 골재를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 상기 세척수조 내의 세척수를 공급받아 분사함으로써 상기 세척수조 내에 부유하는 부유물을 일측으로 포집하는 폭기수단, 상기 세척수조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폭기수단에 의해 포집되는 부유물을 제거하는 부유물 배출수단, 상기 세척수조의 바닥부에 장착되어 상기 세척수조의 바닥부에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스크류를 포함하며,
    상기 폭기수단은, 상기 세척수조와 세척수가 순환 가능하게 연결되는 탱크, 상기 탱크 내의 세척수를 펌핑하는 펌프, 상기 펌프와 연결되는 다수의 공급관, 상기 세척수조의 일측의 바닥부와 중앙 상부 및 타측 상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공급관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부유물 배출수단은,
    상기 세척수조의 일측 상단부 형성된 배출안내부, 상기 세척수조와 상기 배출안내부에 걸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다수의 배수공이 구비되어 상기 세척수조 내의 세척수에 부유하는 부유물을 상기 배출안내부로 퍼내는 회전포집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설폐기물 재생장치에 있어서,
    물에 의해 부식되지 않는 고강도 고무로서 사각 박스형태로 압축되며 상면에 세라믹 코팅부(13a)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일측 저부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낙하하는 골재의 충돌을 완충하는 임팩트 바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 배출수단은, 상기 배출안내부의 바닥부에 하향 경사진 배출덕트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포집기에 의해 수거되는 부유물이 상기 배출덕트의 경사를 타고 포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1020070008432A 2007-01-26 2007-01-26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1007658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432A KR100765852B1 (ko) 2007-01-26 2007-01-26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432A KR100765852B1 (ko) 2007-01-26 2007-01-26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5852B1 true KR100765852B1 (ko) 2007-10-12

Family

ID=39419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432A KR100765852B1 (ko) 2007-01-26 2007-01-26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585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198B1 (ko) 2010-05-03 2010-10-11 (주) 삼우이엔지 차량에 탑재된 오염토양 세척 선별장치
KR100988043B1 (ko) 2010-05-03 2010-10-18 (주) 삼우이엔지 차량에 탑재된 오염토양의 슬러지 분리장치
KR100988942B1 (ko) 2010-05-03 2010-10-20 (주) 삼우이엔지 오염토양 세척 선별장치
KR101528308B1 (ko) * 2014-04-21 2015-06-12 김순동 물 분사방식을 이용한 골재 선별시스템 및 방법
CN109772857A (zh) * 2019-01-09 2019-05-21 永清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装修垃圾资源化利用装置及方法
KR102168707B1 (ko) * 2020-06-08 2020-10-22 박기선 수조를 이용한 부유 이물질 제거장치
CN114042725A (zh) * 2021-11-05 2022-02-15 浙江宇博新材料有限公司 一种再生骨料生产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958A (ja) 1981-07-21 1983-01-28 Hidehiro Kashiwagi 再生原料用廃フイルム処理方法ならびにその装置
KR20030004243A (ko) * 2002-12-05 2003-01-14 삼영플랜트주식회사 U.s. 롤러 밀을 이용한 재생 골재 제조 방법 및 장치
KR20040070362A (ko) * 2003-02-03 2004-08-09 우진환경개발 주식회사 폐 콘크리트 폐기물 재활용 방법 및 그 장치
KR100470486B1 (ko) 2004-05-07 2005-02-07 주식회사 남부환경개발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재생골재를 생산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510328B1 (ko) 2004-12-03 2005-08-25 (주)모악환경산업 이물질 분리제거장치가 구비된 건설폐기물 파분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958A (ja) 1981-07-21 1983-01-28 Hidehiro Kashiwagi 再生原料用廃フイルム処理方法ならびにその装置
KR20030004243A (ko) * 2002-12-05 2003-01-14 삼영플랜트주식회사 U.s. 롤러 밀을 이용한 재생 골재 제조 방법 및 장치
KR20040070362A (ko) * 2003-02-03 2004-08-09 우진환경개발 주식회사 폐 콘크리트 폐기물 재활용 방법 및 그 장치
KR100470486B1 (ko) 2004-05-07 2005-02-07 주식회사 남부환경개발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재생골재를 생산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510328B1 (ko) 2004-12-03 2005-08-25 (주)모악환경산업 이물질 분리제거장치가 구비된 건설폐기물 파분쇄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198B1 (ko) 2010-05-03 2010-10-11 (주) 삼우이엔지 차량에 탑재된 오염토양 세척 선별장치
KR100988043B1 (ko) 2010-05-03 2010-10-18 (주) 삼우이엔지 차량에 탑재된 오염토양의 슬러지 분리장치
KR100988942B1 (ko) 2010-05-03 2010-10-20 (주) 삼우이엔지 오염토양 세척 선별장치
KR101528308B1 (ko) * 2014-04-21 2015-06-12 김순동 물 분사방식을 이용한 골재 선별시스템 및 방법
CN109772857A (zh) * 2019-01-09 2019-05-21 永清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装修垃圾资源化利用装置及方法
CN109772857B (zh) * 2019-01-09 2021-11-05 永清环保股份有限公司 一种装修垃圾资源化利用装置及方法
KR102168707B1 (ko) * 2020-06-08 2020-10-22 박기선 수조를 이용한 부유 이물질 제거장치
CN114042725A (zh) * 2021-11-05 2022-02-15 浙江宇博新材料有限公司 一种再生骨料生产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8836B1 (ko) 건설 폐기물의 선별 및 분리장치
KR100235319B1 (ko) 건설폐기물 처리와 재활용을 위한 중간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650509B1 (ko) 침강저류조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진동스크린 분리방법 및그 장치
KR100765852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100850762B1 (ko) 진동스크린의 변형구조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방법 및 그장치
KR100582847B1 (ko) 건축 폐기물 순환골재 선별장치 및 그 선별방법
KR100688123B1 (ko) 건설폐기물의 선별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981949B1 (ko) 폐토사의 재생장치
KR100761554B1 (ko) 파분쇄된 순환골재 선별장치
KR100470486B1 (ko)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재생골재를 생산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358687B1 (ko)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방법
KR100518919B1 (ko)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CN111068896A (zh) 一种建筑垃圾环保处理方法
KR100533737B1 (ko) 건설폐기물로부터 사이클론을 이용한 이물질 제거 장치
KR20050050320A (ko) 건설폐기물 이물질 선별 방법 및 장치
KR20010007706A (ko) 건설폐재류의 와류인양식 선별세척장치 및 그 방법
KR100436545B1 (ko) 건설폐기물에서의 재생골재 선별장치
KR100764136B1 (ko) 소각로 폐열을 이용한 고온고압 스팀분사방식의 순환골재미립분 제거장치
KR100570319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100850372B1 (ko) 재생 골재용 분리 세척 수조장치
KR100651234B1 (ko) 건설폐기물을 파분쇄하여 순환모래를 재생하는 장치
KR100314386B1 (ko) 건설폐재류의 선별세척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19780A (ko) 건설폐기물 토사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200353052Y1 (ko) 초음파 발진원리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세척 및 이물질제거장치
KR200418149Y1 (ko) 건축폐기물의 재활용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