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8919B1 -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8919B1
KR100518919B1 KR1020050018232A KR20050018232A KR100518919B1 KR 100518919 B1 KR100518919 B1 KR 100518919B1 KR 1020050018232 A KR1020050018232 A KR 1020050018232A KR 20050018232 A KR20050018232 A KR 20050018232A KR 100518919 B1 KR100518919 B1 KR 100518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waste
aggregate
plate
reinforc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주)모악환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모악환경산업 filed Critical (주)모악환경산업
Priority to KR1020050018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89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8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89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02C21/02Transportable disintegrating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6Waste materials; Refuse from building or ceramic indus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파분쇄공정을 순환하지 않아도 골재를 원하는 입도별로 선별할 수 있으며, 철거현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여 폐기물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는, 상호간에 높이차를 두면서 일렬로 배열되어 공급되는 폐기물을 입도별로 선별하는 두 개 이상의 선별플레이트(100,200,700,800)와; 상기 선별플레이트 중 폐기물 공급즉과 근접된 선별플레이트(100) 상에 설치되어 골재에 포함된 철근이 노출되도록 유도하는 철근노출유도수단(300)과; 상기 철근노출유도수단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철근노출유도부에 의해 노출된 철근을 제거하는 자력선별기(400)와; 송풍구(521,531,541)가 상기 선별플레이트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선별플레이트들의 사이를 통해 바람을 공급하여 윗단의 플레이트에서 낙하하는 골재 중 이물질을 비산 제거하는 송풍수단(500)과; 그리고, 상기 송풍수단의 송풍구와 대응 설치되어 바람에 의해 비산되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이물질 저장고(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성요소들이 탑재되며 이동차량에 연결되는 차대를 통해 이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A construction waste sorting machine}
본 발명은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공정을 순환하지 않고 골재를 원하는 입도의 재활용품으로 선별할 수 있으며, 제품의 선별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철거현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여 폐기물을 선별하며, 별도의 선별장치를 거치지 않고 폐기물을 토분, 골재, 폐목, 폐비닐 등으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한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른바, 개발우선정책과 고도성장주의의 정책추진에 따라 이제까지 국내에서는 그 역기능인 환경문제는 고려의 대상에서 다소 벗어나 있었음이 현실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위주 정책의 결과 그 부산물의 각종의 폐기물과 오염물질의 증가는 이제 더 이상 미뤄질 수 없는 절박한 시점에 도달되어 있다.
특히, 각종 건축, 토목공사의 건설산업폐기물은 매우 급격한 증가를 보이고 있는바, 이는 도시와 지방 건축물의 노후화 및 기능저하에 따라 최근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재개발, 재건축의 활성화 및 구조물의 해체에 주로 기인한다.
일반적으로, 건설폐기물이라 함은 쓰레기, 폐자재등이 섞인 흙이나 모래, 자갈, 토석 또는 이들이 혼합된 형태의 토사와, 콘크리트덩이, 폐목재, 아스팔트 콘크리트덩이 및 건설 오니 등을 지칭하는 것이며, 그 주요 특성의 하나가 건설폐기물의 대부분이 무기물로 구성되어 있어 인체에 무해하다는 것과, 다종의 폐기물이 혼재된 상태로 배출되어 그 처리가 복잡, 곤란하다는 것으로 바로 이점이 그 동안 유용재로 활용할 수 있는 건설폐기물 처리에 관한 정부와 업계의 무관심의 원인을 제공한 것이라 할 것이다.
이러한 무관심은 귀중한 자원의 낭비를 수반하였고, 그나마 이루어지고 있던 재생골재의 품질저하를 유발시키게 되어, 재생골재의 활용도는 성토나, 복토 및 매립용등 대부분이 토사대용으로 사용되는데 그치고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폐기물의 관리를 통해 실질적인 재활용을 가능하게 함으로 환경오염의 최소화와 부족자원의 대체화, 그리고 건설산업기반의 원가절감을 적극적으로 도모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는 최근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이 의무화되기 시작하였으며, 비로소 재활용을 위한 각종 생산설비가 제작되어 각종 산업 현장에 적용되기 시작하였다.
상기에서와 같이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의무화에 따라 종래 단순 소거처리의 폐기물 처리방식에서 벗어나 부분적, 혹은 폐기물 처리에서부터 재생까지의 일괄적인 처리를 담당하는 여러 장치가 제안되었다.
현재, 각 건설업체에서는 해당 건설현장에 크러셔(CRUSHER)를 반입하여 폐자재의 재활용을 도모하고 있으나, 이는 건설폐자재가 다종다양한 것이 혼합되어 배출되는 경우가 많고, 이동식 기기의 성능상 소정의 품질을 확보하기가 곤란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각 장치들의 대부분은 건설폐기물이 발생특성이 국내, 성상과는 상이한 외국의 제품이나, 그 기술을 모방한 것으로 효용성이 매우 낮아 그 사용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또한, 건설폐기물을 이용하여 재생골재를 생산하거나, 또는 쓰레기를 자동으로 분리하는 방법은 선진화된 외국의 기술로도 그 품질개선을 기대할 수 없었다.
종래 건설폐기물 처리방법은 호퍼 투입 - 죠크라샤에 의해 파쇄 - 철근선별 - 스크린을 이용한 토사분리 - 수조를 이용한 선별 - 물분리 - 죠크라샤에 의한 파쇄 - 스크린을 이용한 제품선별 - 콘크라샤에 의해 분쇄공정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제품을 원하는 입도별로 선별할 수 있도록 스크린을 이용한 제품선별 - 콘크라샤에 의한 분쇄공정이 연속 순환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하면, 콘크라샤, 콘크라샤와 스크린을 연결하기 위한 컨베이어 등을 설치하기 위한 부지를 확보해야 하므로 협소한 부지에는 적용하기 어렵고, 유지비용이 더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골재의 품질을 높이기 위하여 골재 이외의 이물질(폐비닐, 폐목, 폐스티로폼, 폐철근, 먼지 등)을 완벽하게 선별하여야 하는데, 대개 파분쇄에 의해 일정 입도의 제품을 얻고자 하는데에만 기술개발을 집중하기 때문에 최종 생상되는 제품의 품질이 떨어지는 단점도 있다.
그리고, 종래 건설폐기물 처리방법은 재건축 현장에서 철거시에 발생되는 콘크리트,토사, 철근등이 포함된 폐기물을 매립처리장으로 이송시켜 폐기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로 인한 매립지의 확보문제와 자연환경을 파괴하는 등의 환경보호운동에 역행하고 있으며 분리 선별을 통한 재활용이 가능한 폐기물도 선별장치가 구비되지 않아 모든 폐기물을 매립 처리하므로 자원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건축물 철거현장으로 이동하여 현장에서 건설폐기물을 선별하는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가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건설폐기물 선별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건설폐기물을 트롬멜을 통과시켜 트롬멜의 선별공을 통과하는 입도의 토분, 선별공을 통과하지 못하는 입도의 폐목, 폐비닐 등을 선별하는 것이기 때문에 선별공을 통과하지 못하고 배출된 폐기물에는 토분을 제외한 폐목, 폐비닐, 철근, 입도가 큰 골재 등이 혼합된 상태이다. 따라서, 트롬멜에서 배출된 각종 폐기물을 다시 종류별로 선별하여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트롬멜에서 배출된 각종 폐기물을 선별처리장으로 운반하거나 별도의 선별장치를 트롬멜측으로 이동하여 재선별하여야 하므로 선별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분쇄공정을 연속순환하지 않아도 원하는 입도의 제품을 생산하고, 특히, 좁은 부지에서 골재를 이송시키면서 골재를 원하는 입도별로 선별 및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축물 철거현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여 철거현장에서 건설폐기물을 입도별, 종류별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는, 서로 다른 직경의 선별공을 갖는 선별플레이트를 다단으로 하여 연속배열하여 상기 각각의 선별플레이트를 통해 서로 다른 입도의 골재, 토사를 선별하고, 골재가 이송되는 중에 송풍수단에 의해 바람을 공급하여 이물질을 선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동차량을 통해 이동 가능하도록 차대에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선별된 골재를 세척 및 비중차에 의해 선별한 후, 선별된 부유물을 그 자리에서 다시 바람을 통해 선별할 수 있도록 송풍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 실시예 1 >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는, 공급되는 골재를 입도별로 선별하는 제1선별플레이트(100)와; 제1선별플레이트의 배출단 하부에 높이차를 두고 설치되며 제1선별플레이트(100)를 통과한 골재를 입도별로 선별하는 제2선별플레이트(200)와; 제1선별플레이트(100) 상에 설치되어 골재에 포함된 철근이 노출되도록 유도하는 철근노출유도수단(300)과; 철근노출유도수단(300) 상부에 장착되어 철근노출유도수단(300)을 통과하는 철근을 선별하는 자력선별기(400)와; 제1선별플레이트(100)의 배출단과 제2선별플레이트(200)의 입구단 사이를 통해 바람을 공급하여 제1선별플레이트(100)에서 제2선별플레이트(200)로 낙하하는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비산시켜 선별하는 송풍수단(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선별플레이트(100)는 호퍼, 파분쇄기 등을 통해 공급되는 골재를 입도별로 선별하는 것으로, 골재가 골고루 분산된 후 선별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판상의 분산/철근선별구간(110), 선별공(121)을 갖는 선별구간(120)으로 구분된다. 즉, 공급되는 골재가 분산/철근선별구간을 통과하면서 넓게 퍼지게 되고, 이 상태에서 선별구간(120)을 통과하여 선별공(121)보다 작은 입도의 토사 등이 선별되는 것이다.
제2선별플레이트(200)는 다수의 선별공(201)이 구비되어 제1선별플레이트(100)에서 배출되는 골재 중 선별공(201)보다 작은 입도의 토사 등을 선별한다.
도 3에서와 같이, 철근노출유도수단(300)은 분산/철근선별구간(110)에서 선별구간(120)으로 이동되는 골재(A)와 철근(S)을 분산 및 자력선별기(400)측으로 근접시켜 철근을 효과적으로 선별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며, 그 구조는 예컨대, 골재와 철근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으면서 분산/접근이 용이하도록 대략 산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철근(S)이 부착되지 않은 서서(SUS)를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산형태의 철근노출유도수단(300)은 고무판(310)에 다수개가 일렬로 결합된 상태로 제1선별플레이트(100)에 볼트(미도시) 등으로 결합된다.
자력선별기(400)는 예컨대, 컨베이어타입으로서 철근노출유도수단(300)에 의해 분산/근접되는 철근을 선별한다.
송풍수단(500)은 바람을 발생하는 송풍기(510), 송풍구(521)가 제1선별플레이트(100)의 배출단과 제2선별플레이트(200)의 입구단 사이에 배치되며 송풍기(510)에 의해 발생되는 바람이 송풍구(521)를 통해 제1,2선별플레이트(100,200) 사이에 공급되도록 안내하는 덕트(520)로 이루어져, 제1선별플레이트(100)에서 배출되는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폐비닐, 폐목, 먼지 등)을 선별한다.
이물질 저장고(600)는 송풍수단(500)에 의해 비산되는 이물질을 포집하여 일정 장소에 적재토록 유도하는 것으로, 도 4a에서 보이는 것처럼, 전방(송풍수단(500)측)이 개구된 통구조로 이루어지면서 포집된 이물질이 원활히 적재되도록 좌우측 중 어느 일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질 수 있으며, 도 4b에서와 같이, 주름관 형태일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되었지만 목재, 직물 등을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2선별플레이트(200)의 배출단에는 제3선별플레이트(700)가 더 연결된다. 제3선별플레이트(700)는 다수의 선별공(701)을 가지며, 제2선별플레이트(200)의 배출단 하부에 높이차를 두고 배치된다.
그리고, 제3선별플레이트(700)의 배출단 하부에는 구멍이 형성되지 않은 제품플레이트(800)가 더 채용된다.
이에 따라, 제2선별플레이트(200)와 제3선별플레이트(700)의 사이, 제3선별플레이트(700)와 제품플레이트(800)의 사이에는 송풍수단(500)의 송풍기(510)에서 바람을 공급받아 안내하는 덕트(530,540)가 더 설치된다.
제1,2,3선별플레이트(100,200,700)의 선별공(121,201,701)의 직경은 제1선별공(121)<제2선별공(201)<제3선별공(701)의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C1, C2, C3, C4은 각각 토사, 골재를 이송하는 컨베이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는 기존 건설폐기물 선별시스템에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사용될 수도 있고, 차대(1)(도 5참고)에 설치되어 이동차량을 통해 이동식으로도 사용가능하며, 도면 기준 좌우측만 개구된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케이스없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제1선별플레이트(100)에 투입된 골재는 제1선별플레이트(100)의 분산/철근선별구간(110)을 통과하면서 넓게 퍼지게 되어 정체현상없이 적절량씩 그 다음 공정으로 공급된다.
이후, 골재는 철근노출유도수단(300)을 통과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자력선별기(400)에 의해 골재에 포함된 철근이 선별되고,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골재(A)와 철근(S)이 철근노출유도수단(300)에 부딪치면서 분산된 후 철근노출유도수단(300)의 산을 넘어가게 되고, 이때, 철근노출유도수단(300)에 의해 골재(A)와 철근(S)이 자력선별기(400)에 근접되어 철근(S)이 효과적으로 자력선별기(400)의 자력에 의해 부착된다. 철근노출유도수단(300)이 다수개 설치됨에 따라 이러한 과정을 통해 철근(S)이 선별되고, 특히, 철근(S)이 골재(A)에 묻힌 상태로 이동되더라도 철근노출유도수단(300)을 통과하는 중에 자력선별기(400)에 노출되어 모든 철근(S)을 제거할 수 있다.
자력선별기(400)를 통과한 골재는 제1선별플레이트(100)의 선별구간(120)을 통과하게 되며, 선별공(121) 이하 입도의 토사 등은 선별공(121)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어 제1컨베이어(C1)을 통해 이송되고, 선별공(121) 입도 이상의 골재는 제2선별플레이트(200)에 공급된다.
골재가 제1선별플레이트(100)에서 제2선별플레이트(200)로 낙하할 때 송풍기(510)에서 발생된 바람이 덕트(520)를 통해 안내되어 송풍구(521)로 공급됨으로써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송풍기(510)의 바람에 의해 비산될 수 있는 비중의 폐비닐, 폐목, 먼지를 말함)이 비산되어 이물질 저장고(600)에 모아진다.
이물질이 제거된 골재가 제2선별플레이트(200)를 통과하는 중에 선별공(201)의 직경보다 작은 입도의 토사 등은 선별공(201)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어 제2컨베이어(C2)를 통해 이송되고, 선별공(201)의 직경보다 입도가 큰 골재만 제3선별플레이트(700)에 공급된다.
골재가 제2선별플레이트(200)에서 제3선별플레이트(700)로 낙하할 때도 제1,2선별플레이트(100,200)의 통과시와 마찬가지로 송풍구(531)를 통해 공급되는 바람에 의해 이물질이 선별되어 이물질 저장고(600)에 포집된다.
송풍력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된 골재가 제3선별플레이트(700)를 통과하는 중에 선별공(701)의 직경보다 작은 입도의 토사 등은 선별공(701)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어 제3컨베이어(C3)를 통해 이송되고, 선별공(701)의 직경보다 입도가 큰 골재만 제품플레이트(800)에 배출되어 제4컨베이어(C4)를 따라 이송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골재가 서로 다른 직경의 선별공(121,201,701)을 갖는 제1 내지 제3선별플레이트(100,200,700)를 통과하면서 제1 내지 제3선별공(121,201,701)을 통과한 토사와 제3선별플레이트(700)를 통과한 골재를 획득할 수 있다. 특히, 골재와 함께 공급된 철근을 보다 용이하면서 골재에 묻힌 철근도 선별할 수 있고, 골재가 선별플레이트(100,200,700)를 통과하는 중에 이물질을 선별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선별플레이트(100,200,700)의 선별공(121,201,701)의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선별플레이트(100,200,700)의 선별공(121,201,701)을 통과한 골재의 입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컨베이어(C1,C2,C3)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다수의 선별플레이트(100,200,700)의 선별공(121,201,701)의 직경이 동일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다수의 선별플레이트(100,200,700)를 통과한 골재의 입도가 동일하므로 하나의 컨베이어를 사용한다.
< 실시예 2 >
본 실시예에 따른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는, 전술한 실시예 1의 파분쇄 선별장치의 제품플레이트(800)를 통과한 골재를 세척 및 비중차에 의해 이물질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위하여 제품플레이트(800)를 통과한 골재를 세척 및 비중차를 이용하여 종류별로 선별하는 수조(900)와; 수조(900)에 설치되어 수조(900)의 세척수에 가라앉는 골재를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910)와; 수조(900)에 장착되어 수조(900)에서 부유하는 비중이 작은 이물질(폐비닐, 폐목, 폐의류 등)을 외부로 배출하는 부유물 제거기(920)와, 그리고, 부유물 제거기(920)에 의해 수조(900)의 외부로 배출되는 이물질을 송풍력에 의해 선별하는 송풍기(9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조(900)는 제3선별플레이트(700)에서 배출된 폐기물(골재, 폐비닐, 폐목, 폐의류 등)을 세척수에 의해 세척 및 세척수에 대한 비중차에 의해 종류별(골재, 폐비닐, 폐목, 폐의류 등)으로 선별한다.
배출컨베이어(910)는 일부분이 수조(900) 내의 세척수에 잠기면서 나머지 부분이 세척수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면서 수조(900)의 세척수에 침전되는 폐기물(골재와 같이 무거운 폐기물)을 외부로 배출한다.
도 7에서와 같이, 부유물 제거기(920)는, 회전축(921)의 둘레부에 다수의 분리판(922)이 방사상으로 형성된 형태이다. 분리판(922)은 그 일부분이 수조(900)의 세척수에 적어도 잠기도록 설치된다.
분리판(922)은, 세척수가 배출되도록 다수의 배출공(미도시)이 구비된 판상이거나, 배출공을 갖는 판상과 다수의 걸림바(미도시)가 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송풍기(930)는 부유물 제거기(920)의 배출단 하부에 설치되어 부유물 제거기(920)에서 낙하하는 폐기물에 송풍력을 가하여 비중에 의해 폐기물을 다시 비중이 무거워 송풍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직하방으로 낙하하는 폐목 등, 비중이 가벼워 송풍력에 의해 일정 장소로 날아가는 폐비닐 등으로 선별한다. 즉, 폐기물을 비중차에 의해 선별할 수 있도록 송풍기(930)에 의한 송풍력의 크기가 조절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는 이동식으로도 사용가능하다.
이동식의 경우 본 실시에에 따른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는 도 5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이동차량(미도시)에 의해 필요 장소로 이동되면서 사용될 수 있도록 이동차량에 연결되며 다리(1a)와 바퀴(1b)를 갖는 차대에 설치된다. 이때, 실시예 1에 의한 부분과 실시예 2에 의한 부분은 하나의 차대(1)에 설치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차대(1,2)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선별플레이트(100)에 폐기물을 공급하기 위한 호퍼(10)와 피더(20)(예컨대, 공급컨베이어)가 함께 갖추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차대(1)(수조용 차대(2)가 연결된 상태)를 차량에 연결하여 본 실시예에 의한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를 건축물 철거현장으로 이동한 후, 다리(1a)를 지면에 지지함으로써 선별현장에 셋팅한다.
포크레인 등의 장비를 이용하여 폐기물을 호퍼(10)에 투입하면, 폐기물은 피더(20)에 의해 제1선별플레이트(100)에 공급된다.
제1선별플레이트(100)에 공급된 폐기물의 선별과정은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본 실시예에 의한 신규한 작용만을 설명한다.
제품플레이트(800)에서 공급되는 골재는 수조(900)의 세척수에 투입된다.
수조(900)의 세척수에 투입된 골재(이물질이 혼합된 상태일 수 있음)는 비중차에 의해 세척수에 가라앉는 골재와 세척수에 부유하는 부유물(폐목, 폐비닐 등)로 구분된다. 세척수에 가라앉는 골재는 배출컨베이어(910)에 의해 수조(900)의 외부로 배출되고, 세척수에 부유하는 부유물은 부유물 제거기(920)에 의해 수조(9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즉, 수조(900)에 투입된 폐기물(토분이 제거된 폐기물)이 다시 골재와 부유물로 선별되는 것이다.
부유물 제거기(920)에 의해 수조(900)의 외부로 배출되는 폐기물은 폐목, 폐비닐 등이 혼합된 상태로서, 송풍기(930)에 의한 송풍력에 의해 다시 송풍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직하방으로 낙하하는 폐목 등, 송풍력에 의해 직하방으로 낙하하지 않고 일정장소로 날아가 모이는 폐비닐 등으로 선별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에 의하면, 철거현장에서 철거된 폐기물을 다른 선별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토분, 골재, 폐비닐, 폐목 등으로 선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에 의하면, 골재를 다단으로 배치된 선별플레이트에 통과시켜 각각의 선별플레이트의 선별공을 통해 서로 다른 입도의 골재(토사)로 선별할 수 있으며, 골재가 다음 단의 선별플레이트로 낙하하는 중에 이물질을 선별할 수 있으므로 넓은 부지를 확보할 필요가 없으며, 별도의 파분쇄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초기 투자/유지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양질의 제품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철근이 골재에 포함되더라도 자력선별기를 통과할 때 골재와 분리되어 노출됨과 아울러 자력선별기측에 근접되어 철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건축물 철거현장으로 이동하여 건설폐기물을 선별하며, 건설폐기물을 입도, 비중 등을 이용하여 선별할 수 있는 선별플레이트, 수조, 부유물 제거기 등이 하나로 일체화되어 다른 선별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폐기물을 종류별로 선별할 수 있으므로 폐기물을 선별하기 위한 다른 선별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선별된 폐기물을 재차 선별할 필요가 없으므로 폐기물 선별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의 구성을 보인 요부 발췌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적용된 철근노출유도수단과 자력선별기의 확대도.
도 4a와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에 적용된 이물질 저장고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의한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에 적용된 수조와 부유물 제거기의 확대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차대, 10 : 호퍼
20 : 피더, 100,200,700 : 선별플레이트
300 : 철근노출유도수단, 400 : 자력선별기
500 : 송풍수단, 600 : 이물질 저장고
900 : 수조, 910 : 배출컨베이어
920 : 부유물 제거기, 930 : 송풍기

Claims (5)

  1. 상호간에 높이차를 두면서 일렬로 배열되어 공급되는 폐기물을 선별하는 두 개 이상의 선별플레이트(100,200,700,800)와;
    상기 선별플레이트 중 폐기물 공급즉과 근접된 선별플레이트(100) 상에 설치되어 골재에 포함된 철근이 노출되도록 유도하는 철근노출유도수단(300)과;
    상기 철근노출유도수단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철근노출유도부에 의해 노출된 철근을 제거하는 자력선별기(400)와;
    송풍구(521,531,541)가 상기 선별플레이트들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선별플레이트들의 사이를 통해 바람을 공급하여 윗단의 플레이트에서 낙하하는 골재 중 이물질을 비산 제거하는 송풍수단(500)과; 그리고,
    상기 송풍수단의 송풍구와 대응 설치되어 바람에 의해 비산되는 이물질을 포집하는 이물질 저장고(6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노출유도수단은 골재와 철근의 흐름이 원활하면서 상기 제1선별플레이트 표면보다 돌출된 높이를 가지며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이물질 저장고는 주름관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는 이동 차량에 연결되며 다리(1a)와 바퀴(1b)가 구비된 차대(1)를 통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대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차대(2)에 설치되며 상기 선별플레이트 중 최하단 선별플레이트의 선별공을 통과하지 못한 폐기물이 투입되는 수조(900)와; 상기 수조에 투입된 폐기물 중 골재를 배출하는 배출컨베이어(910)와; 상기 수조의 세척수에 부유하는 부유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부유물 제거기(920)와; 그리고, 상기 부유물 제거기에 의해 배출되는 부유물을 송풍력에 의해 선별하는 송풍기(9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KR1020050018232A 2005-03-04 2005-03-04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KR100518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232A KR100518919B1 (ko) 2005-03-04 2005-03-04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232A KR100518919B1 (ko) 2005-03-04 2005-03-04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18919B1 true KR100518919B1 (ko) 2005-10-05

Family

ID=37305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232A KR100518919B1 (ko) 2005-03-04 2005-03-04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891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493B1 (ko) 2005-10-26 2006-03-10 (주)모악환경산업 파분쇄된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0582028B1 (ko) 2005-10-18 2006-05-22 신명환경(주) 송풍식 선별장치
KR100628212B1 (ko) 2005-09-30 2006-09-25 주식회사 신텍 양방향 다중 콘베어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장치
KR100652452B1 (ko) * 2006-05-08 2006-12-01 (주)거산기계 진동플레이트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경이물질 선별기
KR101193093B1 (ko) 2011-08-08 2012-10-19 박준상 고추선별방법
WO2017119559A1 (ko) * 2016-01-07 2017-07-1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다단 와전류 선별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212B1 (ko) 2005-09-30 2006-09-25 주식회사 신텍 양방향 다중 콘베어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장치
KR100582028B1 (ko) 2005-10-18 2006-05-22 신명환경(주) 송풍식 선별장치
KR100557493B1 (ko) 2005-10-26 2006-03-10 (주)모악환경산업 파분쇄된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KR100652452B1 (ko) * 2006-05-08 2006-12-01 (주)거산기계 진동플레이트를 이용한 건설폐기물 경이물질 선별기
KR101193093B1 (ko) 2011-08-08 2012-10-19 박준상 고추선별방법
WO2017119559A1 (ko) * 2016-01-07 2017-07-1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다단 와전류 선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5319B1 (ko) 건설폐기물 처리와 재활용을 위한 중간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US5992774A (en) Method and system for recycling construction waste articles
KR100850762B1 (ko) 진동스크린의 변형구조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방법 및 그장치
KR100582847B1 (ko) 건축 폐기물 순환골재 선별장치 및 그 선별방법
KR101223668B1 (ko)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KR100518919B1 (ko) 파분쇄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JP3052126U (ja) 建設廃棄物処理装置
KR20100053953A (ko) 건설 폐기물의 선별 분리장치
KR100730688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중 파쇄된 건설폐기물로부터이물질을 선별하는 장치
KR100765852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100587023B1 (ko) 파쇄된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KR100870648B1 (ko) 토사 및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장치
KR100533737B1 (ko) 건설폐기물로부터 사이클론을 이용한 이물질 제거 장치
KR100660142B1 (ko) 건식 모래 생산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0436545B1 (ko) 건설폐기물에서의 재생골재 선별장치
KR100467868B1 (ko) 건설폐기물 파쇄 및 선별시스템
KR100570319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200377657Y1 (ko) 파분쇄 건설폐기물 비중선별장치
KR100488241B1 (ko) 파분쇄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100518918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200284248Y1 (ko) 건설폐기물의 풍력 선별 원통스크린 장치
KR102051412B1 (ko) 건축폐기물 처리장치
JP2012130877A (ja) 混合処理物の選別処理システム及び混合処理物の選別方法
KR200396099Y1 (ko) 건설폐기물의 선별 및 분리장치
KR200346569Y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