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6099Y1 - 건설폐기물의 선별 및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건설폐기물의 선별 및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6099Y1
KR200396099Y1 KR20-2005-0018635U KR20050018635U KR200396099Y1 KR 200396099 Y1 KR200396099 Y1 KR 200396099Y1 KR 20050018635 U KR20050018635 U KR 20050018635U KR 200396099 Y1 KR200396099 Y1 KR 2003960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conveyor
discharge
tank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86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성
Original Assignee
태성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성개발(주) filed Critical 태성개발(주)
Priority to KR20-2005-00186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60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60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609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6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water impul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설폐기물로부터 골재를 선별해 내기 위한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적정크기로 파쇄된 건설폐기물 중의 재활용 가능한 골재에 포함된 불순물을 골재로부터 분리 제거할 수 있도록 된 건설폐기물 선별 및 그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의 건설폐기물 재생처리장치에서는, 침수조 상부로 투입되는 분쇄물이 이송콘베어를 이탈 하지 않도록 안내하기 위한 이탈방지슈트가 설치되고, 침수조 내부로는 고압의 압축공기와 분출수를 분출하는 고압분사관이 설치되어 폐 콘크리트와 함께 묻어온 비닐, 목제, 스치로폼, 폐섬유 등의 비중이 가벼운 불순물은 상부로 부상시키도록 하고, 부상된 불순물을 외부로 유도 및 배출하기 위한 유도배출장치가 설치되어 불순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조를 이루고, 침수조 하부로는 길이 방향으로서 완만한 경사부를 이루면서 저부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침전물배출을 위한 세척골재 이송콘베아가 설치되되, 체인콘베어는 철재 콘베아를 사용하고 체인콘베어 일정 간격마다 스크래퍼 기능을 겸하는 이송브레이드를 설치하는 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재활용골재 생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건설폐기물의 선별 및 분리장치{Apparatus for separating wastes from the scrapped materials in recycling system of waste materials}
본 고안은 건설폐기물로부터 골재를 선별해 내기 위한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방법 및 그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적정크기로 파쇄된 건설폐기물 중의 재활용 가능한 골재에 포함된 불순물을 골재로부터 분리 제거할 수 있도록 된 건설폐기물 선별 및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시화 및 산업화의 진행과정에서 생겨난 많은 구조물, 즉 교량이나 도로 및 각종 건축물들은 세월이 지남에 따라 점차 노후되어 가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주거문화의 개선을 위해 많은 지역에서 재건축 및 재개발이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노후 구조물의 해체나 재건축 및 재개발이 추진되는 과정에서 많은 건설폐기물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건설폐기물을 그대로 매립할 경우에는 매립지의 확보가 힘들 뿐 아니라 매립비용이 많이 들며, 환경에도 막대한 영향을 주게됨으로 자연환경의 보호와 함께 자원의 재활용이라는 2가지 측면에서 건설폐기물을 재활용 처리하기 위한 갖가지 대책들이 강구되어 왔으며, 국내에서도 건설폐기물에 대한 여러가지 처리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건설폐기물은 폐목재류를 비롯하여, 스치로폼 등의 폐합성수지류, 철근과 같은 금속류, 폐종이류, 시멘트 강화제로 사용되는 폐섬유류 등이 포함되는 혼합 불순물로 나눌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다양한 불순물이 혼재되어 있는 건설폐기물은 처리과정을 통해서 소각용 및 재생용으로 분리하게 되며, 특히 근년에는 절대량이 부족한 골재자원을 보충하기 위하여 건설폐기물로 부터 골재를 분리 및 재생시켜 재활용하고자 하는데 높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은 건설폐기물을 파쇄하여 골재 이외의 이물질인 폐목재류, 스치로폼, 폐종이류, 폐섬유류 등의 불순물을 손쉽게 분리하면서 재생골재의 입자 사이즈별로 선별할 수 있는 건설 폐기물의 선별 및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 부터 사용되어 오는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 골재 생산을 위한 처리장치로서는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64696호, 공개특허 10-05-18077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건설 폐기물의 재생을 위한 생산장치는 통상 죠 크라셔에 의해 건설폐자재류를 파쇄시켜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하는 과정에서 쇠붙이 철편 분리기인 자력선별기를 거치면서 철근과 같은 금속물질을 분리시키는 한편 진동식 스크린에 의해 일부 토사를 분리시킨 다음, 호퍼에 투입하여 낙하하거나 컨베이어 벨트에서 바로 낙하시키는 과정에서 송풍기에 의해 일부 가벼운 쓰레기들을 분리시키는 구조를 이루게 되는바, 종래의 기술을 나타내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채원진 집수조(1) 상부에서 컨베이어 벨트(2)를 통하여 건설폐기물(10)이 낙하되는 투입부에는 이송컨베어(2)의 끝단 하부에 인접해서 모터(3)에 의하여 구동되는 송풍기(4)로 부터 압송되는 바람이 파쇄된 폐콘크리트가 낙하하는 부위에 집중적으로 송풍시킬 수 있게 송풍덕트(5)의 끝단부위(6)가 위치하고, 상기 끝단부위(6)의 대향측엔 풍력에 의하여 집수조(1)로 낙하하는 파쇄된 건설폐기물(10) 중의 저비중 불순물을 모아 별도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가이드 덕트(8)의 흡입부(7)가 설치되는 구조와 집수조(1)내부에는 세척골재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기구(9)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 골재 생산을 위한 처리장치는 송풍기(4)의 풍력에 의해 불순물을 미리 분리하고, 집수조(1) 내부로 낙하하는 파쇄된 건설폐기물(10)도 낙하 위치에 따라 비중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재생골재로부터 불순물을 분리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는 있으나, 상기의 주요 처리장치들 즉, 풍력분리장치인 송풍시설과 또한 송품에 따른 분진물들을 처리하기 위한 부대설비를 수반하여 기본적으로 부지를 과다하게 점유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 방식에 이한 송풍장치에서는 구조적으로 바람의 세기를 약하게 하면 일부 가벼운 쓰레기만 날려보낼 뿐, 폐목재나 폐수지와 같이 다소 크기가 큰 폐재류는 제대로 분리시킬 수 없고, 바람의 세기를 강하게 하면 폐목재나 폐합성수지와 같은 비교적 큰 폐재류도 분리 선별될 수 있지만 동시에 재사용 가능한 세골재들도 함께 날아가게 되므로, 재활용의 의미가 없어질 뿐 아니라 분진의 비산 등 작업환경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건설폐기물을 파쇄하여 유입되는 재생골재와 불순물들을 선별 및 분리하기 위한 시설로서, 침수조 내부로 처리하고자 하는 파쇄된 폐콘크리트를 투입시키고, 침수조 내부에서 선별, 제거해야할 불순물을 부유시켜 부유물배출수단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단을 제공하고, 불순물이 제거된 세척골재는 별도의 침전물배출기구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건설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재생골재와 불순물들을 효율적으로 선별 및 분리하여 재생골재의 제조 코스트를 낮출 수 있는 선별 및 분리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은 재생골재와 불순물들을 효율적으로 선별 및 분리하기 위하여, 물이 채워진 침수조 내부로 파쇄된 폐콘크리트를 투입시키고, 침수조 내부에서 부유되는 불순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하여 유도배출장치가 설치되며, 불순물이 제거된 재생골재는 별도의 배출기구에 의하여 외부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으로 운전되는 건설폐기물 선별처리 장치 및 방법에서, 침수조 상부로는 콘베어 또는 폐기물 투입호퍼에서 낙하 하는 파쇄된 분쇄물이 콘베어를 이탈 하지 않도록 안내하기 위한 이탈방지슈트가 설치되어 폐콘크리트분쇄물이 투입되는 단계와, 침수조 내부에는 고압의 압축공기와 분출수를 분출하는 고압분사관이 설치되어 고압의 압축공기와 분출수가 분출되면서 폐 콘크리트 분쇄물에 세척효과를 주면서 폐 콘크리트와 함께 묻어온 비닐, 목제, 스치로폼 등의 비중이 가벼운 불순물은 상부로 부상시키도록 하고, 부상된 불순물을 외부로 유도 및 배출하기 위해 별도의 유도배출장치가 설치되어 불순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 침수조 하부로는 길이 방향으로서 완만한 경사부를 이루면서 저부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송 체인콘베아 배출기구가 설치되어 침전물 및 세척골재를 이송시키되, 체인콘베어는 철재 콘베아를 사용하고 체인콘베어 위에 밸트를 부착시키고 체인과 체인 사이를 평철로 고정하며 콘베어의 일정 간격마다 스크래퍼 기능을 겸하는 이송브레이드가 특정각도로 설치되어 체인콘베아가 상향일 때는 세척골재를 외부로 이송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고 체인콘베아가 하향으로 향할 때는 침수조 저부에 침적될 수 있는 슬러지를 밀고 내려오는 스크래퍼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전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건설폐기물 선별 처리방법과 그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부상된 불순물 유도배출장치는 이물질을 안내하기 위한 유도수로를 이루고 갈매기 형태의 유도장치에 의해 U턴시켜 배출시키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침전물배출기구에 설치되는 스크래퍼 기능을 겸하는 이송브레이드에는 탄성제 고무판을 일정높이로 부착시켜 체인콘베아가 상향일 때는 침전물 및 세척골재를 효율적으로 이송시키면서, 체인콘베아가 하향일 때는 고무판이 침수조 바닥부 사이에 슬러지가 쌓이지 않을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는 높이로 설치되는 건설폐기물 재활용 골재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의 기술사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겸하에 제시된 도면을 참조하며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서 종래의 건설폐기물 분리시설의 대부분은 도시된 바와 같이 물이 채원진 집수조(1) 상부에서 컨베이어 벨트(2)를 통하여 건설폐기물(10)이 낙하투입되고 투입부에는 이송컨베어(2)의 끝단 하부에 인접해서 모터(3)에 의하여 구동되는 송풍기(4)로 부터 압송되는 바람이 파쇄된 폐콘크리트가 낙하하는 부위에 집중적으로 송풍시킬 수 있게 송풍덕트(5)의 끝단부위(6)가 위치하고, 상기 끝단부위(6)의 대향측엔 풍력에 의하여 집수조(1)로 낙하하는 파쇄된 건설폐기물(10) 중의 저비중 불순물을 불어주고 이들을 모아 별도로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가이드 덕트(8)의 흡입부(7)가 설치되는 구조를 갖고, 집수조(1)내부에는 세척골재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기구(9)를 갖고 통상적인 건설폐기물 재활용 처리장치를 이루는 종래기술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 골재 생산을 위한 처리장치는 송풍기(4)의 풍력에 의해 불순물을 미리 분리하고, 집수조(1) 내부로 낙하하는 파쇄된 건설폐기물(10)도 낙하 위치에 따라 일부 비중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재생골재로부터 불순물을 분리시키는 효율은 높일 수 있으나, 상기의 주요 처리장치들 즉, 풍력분리장치인 송풍시설과 또한 송풍에 따른 분진물들을 처리하기 위한 부대설비를 수반하여 기본적으로 부지를 과다하게 점유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도 2는 본 고안의 건설 폐기물의 선별장치를 나타내고 있는바, 본 고안의 선별장치는 통상 죠 크라셔에 의해 건설폐기물을 파쇄시켜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하는 과정에서 쇠붙이 철편 분리기인 자력선별기를 거치면서 철근과 같은 금속물질을 분리시키는 한편 진동식 스크린에 의해 일부 토사를 분리시킨 다음, 도 2에 도시된 침수조 상부로 폐콘크리트 분쇄물이 투입되는바, 침수조(100) 상부에서 유입하는 파쇄된 건설폐기물(10)이 외부로 이탈 하지 않도록 안내하기 위한 투입슈트(20)의 하단부가 침수조에 잠겨 건설폐기물(10)이 비산하지 않도록 유입된다.
침수조(100) 내부에는 고압의 압축공기와 분출수를 분사하는 고압분사관(50)이 설치되어 유입되는 건설폐기물(10)에 고압의 압축공기(51)와 압축분출수(52)를 분사시키면서 유입 건설폐기물(10)에 세척효과를 주면서 폐 콘크리트와 함께 묻어온 비닐, 목제, 스치로폼 등의 비중이 가벼운 부유폐기물과(16)은 상부로 부상시키도록 기능하고, 또한 침수조(100)의 양쪽 측벽부로는 날개 모양의 분리판(32)을 수면위로 돌출시켜 형성하여 줌으로 부상된 부유폐기물을 안내하여 배출시키게 되는바, 분리판(32)의 일단에서는 고압수분사노즐(31)로부터 고압수를 분사시켜 부유물을 밀어내고 분리판(32)의 타단에는 갈매기형 차단판(33)이 설치되어 분리판(32)외부 양쪽으로 유로를 형성하여 부유물을 침수조배출구(34)로 밀어주며 부유물과 오버플로우하는 배출수를 이송시키는 구성을 이루게 된다.
또한 비중이 무거운 침전물과 세척골재로 된 침전골재층(15)은 이송콘베이어(40)를 통하여 이송브레이드(41)에 실려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는바 이송브레이드(41)에는 ㄴ 자 평철(42)에 고무판(43)이 일정 길이로 부착되어 침수조(100) 저부면 폭과 높이에 근접할 정도로 유지하여 바닥의 전부위에 걸쳐 침전물을 긁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이루고 침전골재층(15)을 이송하는 이송콘베이어(40) 끝단에는 고압세척수 분사장치(45)가 설치되어 이송브레이드(41)에 침전골재층과 함께 실려 외부로 배출되는 슬러지분을 분사장치(45)의 분출수로 세척시켜 진동스크린(60)을 경유하여 배출호퍼(61)로 배출시키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침수조(100) 처리를 거친 배출물은 이송콘베이어(40)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세척골재 및 침전물은 진동스크린(60)을 경유하게 되며, 일정 입도 이상의 굵은 골재는 별도의 파쇄공정으로 보내지거나 또는 입도별 저장고에 저장되기 위하여 배출컨베이어(70)을 타고 이송되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진동스크린(60)의 하부엔 일정 입도 이하의 세골재 및 침전물이 담기는 배출호퍼(61)가 설치되는 구조를 갖고, 배출호퍼(61)의 하부로는 침전물 및 세골재, 물 등과 함께 배출되는 세골재를 세척하고 물과 골재를 분리하는 세골재세척기(80)가 별도로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세골재세척기(80)는 상향 경사되는 구조로 외측 케이싱(81)으로 감싸지며 내부로는 세척스크류(82)가 내장, 결합되는 형태이고, 상기 세척스크류(82)는 구동모터(83)에 의하여 작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세골재세척기(80)일측으로 넘치게 되는 배출수는 별도로 마련되는 슬러지침전조(90)의 입구부(91)로 보내져서 별도의 처리공정이 수행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건설 폐기물의 선별장치의 특징부인 부유폐기물 이탈방지 유도장치(30)와 이송콘베이어(40)의 상세구조를 나타내 보여주기 위한 상부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는바, 건설 폐기물을 폐기물투입호퍼(11)를 통해 받아서 건축폐기물을 파쇄하는 파쇄기(12)와, 상기 파쇄기(12)에서 파쇄된 건설 폐기물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 예를 들면 크기가 비교적 크고 장척의 금속, 폐목 등이 제거된 건설 폐기물을 배출하는 배출 컨베이어(13)와, 상기 배출 컨베이어(13)를 통해 건설 폐기물을 받아서 잔토와 골재로 선별하는 선별기(14)와, 상기 선별기(14)에서 선별되지 않은 일정 크기 이상(예를 들면 입자 사이즈가 40mm 이상)의 건설폐기물(10)인 파쇄골재와 이물질이 투입슈트(20)를 통하여 본 고안의 침수조(100)에 낙하될 경우에, 본 고안의 침수조(100)는 길이 방향으로서 완만한 상향경사부를 이루면서 침수조 상부는 넓고 하부가 좁아지는 상광하협의 구조(도 4참조)를 이루고 침수조 내부에는 고압의 압축공기와 분출수를 분출하는 고압분사관(도 2에 도시)이 설치되어 고압의 압축공기(51)와 분출수(52)가 분출되면서 폐 콘크리트 분쇄물에 세척효과를 주게되고 폐 콘크리트와 함께 묻어온 비닐, 목제, 스치로폼 등의 비중이 가벼운 부유폐기물(16)은 상부로 부상시키도록 하고, 부상된 불순물을 외부로 유도 및 배출하기 위해 별도의 부유폐기물 이탈방지 유도장치(30)가 설치되어 불순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정이 수행되는바, 일측으로는 고압분출수 분사노즐(31)에서 고압수를 분출시키며 부유폐기물(16)을 밀어 내 주며 타측으로는 밀려오는 부유폐기물(16)을 유턴시키기 위한 갈매기형 차단판(33)이 설치되어 방향을 바꿔주고 부유물을 침수조 배출구(34)로 밀어주며 배출시키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고, 침수조 하부로는 길이 방향으로서 완만한 상향경사부를 이루며 설치된 이송 체인콘베아(40) 배출기구가 설치되어 침전폐기물(15)인 침전물 및 세척골재를 이송시켜 진동스크린(60) 상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이송 체인콘베아(40) 구조를 나타내고 있는바, 본 고안의 체인콘베아(40)는 철재 콘베아를 사용하여 벨트콘베이어의 단점인 헤드풀리의 미끄럼 현상과 벨트를 지지하는 롤러나 베어링의 부식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철콘베어를 축으로 위로 벨트를 부착하여 폐콘크리트의 낙차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폐콘크리트의 미끄럼 현상을 없애주며 폐콘크리트를 콘베어 내측으로 모아주게하기 위해 내향경사면을 갖는 적체물 유도장치(44)를 갖는 구조를 이루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침수조(100) 형상과 부유폐기물 이탈방지 유도장치(30)의 형상의 특징부를 나타내기 위해 다른 설비는 생략한 채 이들 요부만을 도시한 사시도인바, 본 고안에서 침수조의 실시예로 제조한 규격을 설명하면 침수조(100)는 길이 14000 ㎜ × 높이 3200 ㎜ × 상부폭 2000 ㎜ (하부폭 1200 ㎜ )규격으로 하고 바닥면이 약 15 ° 정도의 상향 경사를 갖는 규격으로 침수조를 만들었으며, 침수조 내부에 설치되는 부유폐기물 이탈방지 유도장치는 중앙부로 분리판(32)사이의 거리가 약 900 ㎜ 의 유로 폭을 확보하면서 분리판(32)의 일측이 침수조 내부로 300 ㎜ 잠겨 침수조 측벽으로 용접하여 붙이는 구조를 이루고 분리판(32)의 일측은 수면 위로 50 ㎜ 돌출되도록 분리판을 만들었으며, 배출구(34)지점에서 6000 ㎜ 지점에 갈매기형 차단판(33)를 설치하고 침수조(100)의 일측으로는 부유물과 물이 오버플로우 할 수 있도록 약간 낮은 배출구(34)를 형성하고 있는 구조를 만들어 실험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침수조 구조는 반듯이 상광하협구조가 아닌 상하 동일폭으로 설계하고 운용할 수 있으며 분리판(32) 및 갈매기형 차단판(33)의 설치 위치도 부유폐기물의 특성에 따라 얼마든지 위치이동이 될 수 있음은 물론 가능하다 할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건설 폐기물 선별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고 도 6은 도 5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는바, 본 고안의 침수조 상부에서 유입하는 파쇄된 건설폐기물(10)의 투입슈트(20')의 도 2와는 반대방향으로 침수조의 중간 이후에서 투입되고, 침수조 내부에서 분출되는 고압분사관(50')도 투입슈트(20')의 하단으로 설치되어 유입되는 건설폐기물(10)에 고압의 압축공기(51)와 분출수(52)를 분출시키면서 건설폐기물(10)에 세척효과를 주면서 폐 콘크리트(11)와 함께 묻어온 비닐, 목제, 스치로폼 등의 비중이 가벼운 부유폐기물(16)은 전면 상부로 부상시키도록 기능하고, 부상된 부유폐기물(16)을 외부로 유도 및 배출하기 위해 도2 및 도4에서의 갈매기형 차단판(33) 및 분리판(32)의 설치 대신 침수조 상부에 레일을 형성하고 하부에 이송판(36)을 갖는 이송장치(35)가 설치되되, 부유물을 이송시에는 이송판(36)을 세워서 부유물을 이송시키는 구조를 이루고 이송장치(35)가 후진할 때는 이송판을 뉘어서 후진시키는 구조로 왕복운동을 시켜 부유물을 배출구 쪽으로 이송시키는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슬러지침전조(90)에 대한 설명이 없으나 슬러지침전조는 적정한 위치에 설치되어 침수조 배출구를 통하여 나오는 부유침전물과 물을 스크린을 경유하여 부유침전물은 별도로 수거하여 처리하고 처리수는 슬러지침전조의 침전조 입구부(91)에 받아 침전시켜 침전물은 별도로 처리되고 상등수 여액은 침전조에 투입되어 재사용되어 질 수 있으며, 또한 세골재세척기(80)를 통하여 나오는 세척수도 침전조 입구부(91)에 투입되어 함께 처리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슬러지침전조(90)에 대하여 다른 특별한 기술구성은 없고 일반적으로 폐수처리 및 정화처리에서 사용되는 공법으로 유출구를 상하로 형성시켜 침전물은 배출하고 상등수는 재활용하여 사용하게 되는 구조를 이룰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도 2 내지 도 6를 통항여 본 고안의 기술사상을 설명하고 있는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은 상기 제시된 도면에 의거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이 종래 기술의 송풍기를 사용하여 부유물을 제거하는 대신 침수조 내부에 고압의 압축공기와 분출수를 분사시켜 부유폐기물을 부상시키고 부상물을 배출하기 위해 유도배출장치가 갈매기형 분리판을 설치하여 유로를 만들어주고 배출시키거나 또는 하수처리장에서 거품제거에 사용하는 이송판(32)을 일정 간격으로 배열시켜 회전시키는 구조를 이루면서 부유물을 배출구 쪽으로 이송시키는 구조를 이루고, 침전골재층 이송장치인 체인콘베아에 철재 콘베아를 사용하여 벨트콘베이어의 단점인 헤드풀리의 미끄럼 현상과 벨트를 지지하는 롤러나 베어링의 부식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과 철콘베어를 축으로 위로 벨트를 부착하여 폐콘크리트의 낙차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키는 동시에 침전골재층의 미끄럼 현상을 없애주며 침전골재층을 콘베어 내측으로 모아 주게 하기 위해 내향경사면을 갖는 적체물 유도장치를 갖고, 이송콘베이어의 이송브레이드의 ㄴ 자 평철에 고무판을 일정 길이로 부착되어 침수조 저부면 폭과 근접할 정도로 그 높이를 유지하여 바닥의 전부위에 걸쳐 침전물을 긁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이루는 기술구성은 본 고안의 기술사상에 속한다 할 것이며, 이러한 기술사상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의해 더욱 구체화 될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건설 폐기물 재활용 골재 처리장치가 송풍기의 풍력에 의해 불순물을 분리시키기 때문에 이들의 주요 처리장치들 즉, 풍력분리장치인 송풍시설과 또한 송풍에 따른 분진물들을 처리하기 위한 부대설비를 수반하여 기본적으로 부지를 과다하게 점유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해소하고 또한 종래 방식에 이한 송풍장치에서는 구조적으로 바람의 세기를 약하게 하면 일부 가벼운 쓰레기만 날려보낼 뿐, 폐목재나 폐수지와 같이 다소 크기가 큰 폐재류는 제대로 분리시킬 수 없고, 바람의 세기를 강하게 하면 폐목재나 폐합성수지와 같은 비교적 큰 폐재류도 분리 선별될 수 있지만 동시에 재사용 가능한 세골재들도 함께 날아가게 되므로, 재활용 효율이 낮고 분진의 비산 등 작업환경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많았던바, 본 고안에서는 건설폐기물을 파쇄하여 유입되는 재생골재와 불순물들을 선별 및 분리하기 위한 시설로서, 침수조 내부로 파쇄된 폐콘크리트를 투입 및 처리하여 먼지 비산문제를 해결하고, 침수조 내부에서 고압의 분사공기와 압출수로 선별, 제거해야할 불순물을 부유시켜 부유물배출수단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단을 제공하고, 불순물이 제거된 세척골재는 별도의 침전물배출기구에 의하여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간단하고도 효율성이 높은 건설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 종래 건설폐기물 분리시설의 일 실시예
도 2 : 본 고안의 건설폐기물 선별 및 분리시설 실시예.
도 3 : 본 고안의 건설폐기물의 선별장치의 상부평면 실시예 예시도.
도 4 : 본 고안의 침수조와 부유폐기물 이탈방지 유도장치의 사시도.
도 5 : 본 고안의 침수조 구조와 부유폐기물 이탈방지 유도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 예시도.
도 6 : 도 5의 부유폐기물 이탈방지 유도장치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건설폐기물 11 : 폐기물 투입호퍼
12 : 파쇄기 13 : 배출 컨베이어
14 : 선별기 15 : 침전골재층
16 : 부유폐기물 20 : 투입슈트
30 : 폐기물 이탈방지 유도장치 31 : 고압수 분사노즐
32 : 분리판 33 : 갈매기형 차단판
34 : 침수조 배출구 35 : 부유물이송장치
36 : 부유물 이송판 40 : 이송콘베이어
41 : 이송브레이드 42 : ㄴ 자 평철
43 : 고무판 44 : 적체물 유도장치
45 : 고압세척수 분사장치 50 : 고압분사관
51 : 고압의 압축공기 52 : 고압분출수
60 : 진동스크린 61 : 배출호퍼
70 : 배출컨베이어 80 : 세골재세척기
81 : 세척기 케이싱 82 : 세척스크류
83 : 구동모터 90 : 슬러지침전조
91 : 침전조입구부 100 : 침수조

Claims (3)

  1. 재생골재를 생산하기 위하여 물이 채워진 침수조 내부로 파쇄된 폐콘크리트를 투입시키고, 침수조 내에서 부유되는 부유페기물은 외부로 배출시키며, 부유물이 제거된 침전폐기물은 별도의 배출기구에 의하여 외부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건설폐기물 선별처리장치에 있어서,
    침수조 상부로는 콘베어 또는 폐기물 투입호퍼에서 낙하 하는 파쇄된 분쇠물이 콘베어를 이탈 하지 않도록 안내하기 위한 이탈방지슈트가 설치되고,
    침수조 내부에는 고압의 압축공기와 분출수를 분출하는 고압분사관이 설치되어 고압의 압축공기와 분출수가 분출되면서 폐 콘크리트에는 세척효과를 주면서 폐 콘크리트와 함께 묻어온 비닐, 목제, 스치로폼 등의 비중이 가벼운 부유폐기물은 상부로 부상시키도록 하고, 부상된 부유물을 외부로 유도 및 배출하기 위해 유도배출장치가 설치되어 부유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조를 이루고,
    침수조 하부로는 길이 방향으로서 완만한 상향경사부를 이루면서 침전골재층을 이송하는 체인콘베아가 설치되되, 체인콘베어는 철재 콘베아를 사용하고 체인콘베어 위에 밸트를 부착시키며 체인 과 체인 사이를 평철로 고정하고 콘베어의 일정 간격마다 스크래퍼 기능을 겸하는 이송브레이드가 설치되는 구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재활용 골재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부상된 부유폐기물 유도배출장치는 부유폐기물을 안내하기 위해 고압수 분사노즐(31)과 분리판(32)과 갈매기형 차단판(33)을 이용한 유도수로를 이루고 부유폐기물을 U턴시켜 배출시키는 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재활용 골재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침전물배출기구에 설치되는 스크래퍼 기능을 겸하는 이송브레이드에는 탄성제 고무판이 부착시키되, 고무판의 높이는 콘베이어와 침수조 바닥부 사이에 슬러지가 쌓이지 않을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는 높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폐기물 재활용 골재 처리장치.
KR20-2005-0018635U 2005-06-28 2005-06-28 건설폐기물의 선별 및 분리장치 KR2003960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635U KR200396099Y1 (ko) 2005-06-28 2005-06-28 건설폐기물의 선별 및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8635U KR200396099Y1 (ko) 2005-06-28 2005-06-28 건설폐기물의 선별 및 분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6102A Division KR100688123B1 (ko) 2005-06-28 2005-06-28 건설폐기물의 선별 처리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6099Y1 true KR200396099Y1 (ko) 2005-09-15

Family

ID=43697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8635U KR200396099Y1 (ko) 2005-06-28 2005-06-28 건설폐기물의 선별 및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609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62855A (zh) * 2016-08-30 2017-02-01 河南威猛振动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轻物质湿式分拣设备
KR102031973B1 (ko) 2019-04-24 2019-10-14 은성환경(주) 건설폐기물 분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62855A (zh) * 2016-08-30 2017-02-01 河南威猛振动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轻物质湿式分拣设备
KR102031973B1 (ko) 2019-04-24 2019-10-14 은성환경(주) 건설폐기물 분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8123B1 (ko) 건설폐기물의 선별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588836B1 (ko) 건설 폐기물의 선별 및 분리장치
KR100235319B1 (ko) 건설폐기물 처리와 재활용을 위한 중간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1685120B1 (ko) 건설 폐토사 내 이물질 선별장치
KR100850762B1 (ko) 진동스크린의 변형구조를 이용한 이물질 분리방법 및 그장치
KR100650509B1 (ko) 침강저류조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진동스크린 분리방법 및그 장치
KR100981949B1 (ko) 폐토사의 재생장치
KR100533738B1 (ko) 건설폐기물 습식 이물질 분류 장치
KR20040004294A (ko) 재생골재를 위한 건설폐기물 이물질 선별장치
KR100765852B1 (ko) 건설폐기물 재생장치
KR102138869B1 (ko) 골재 자동 선별장치
KR100510328B1 (ko) 이물질 분리제거장치가 구비된 건설폐기물 파분쇄장치
KR100453932B1 (ko) 건설폐기물의 수조식 골재선별 처리장치
KR20000058365A (ko)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200396099Y1 (ko) 건설폐기물의 선별 및 분리장치
KR200409534Y1 (ko) 고효율 순환식 골재 세척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100850372B1 (ko) 재생 골재용 분리 세척 수조장치
KR100525357B1 (ko)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골재 세척장치
KR20070052104A (ko) 고효율 순환식 골재 세척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100674006B1 (ko) 건설폐기물 재생용 골재 세척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20070019780A (ko) 건설폐기물 토사처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0314386B1 (ko) 건설폐재류의 선별세척장치 및 그 방법
KR100654250B1 (ko) 골재재생용 이물질 분리 세척 수조 장치
KR20050051428A (ko) 건설폐기물인 폐 콘크리트를 이용한 모래 재생방법 및재생장치
KR200332864Y1 (ko) 건설폐기물 재생처리 시스템의 골재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908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