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2569B1 - 트로멜과 버켓을 이용한 골재 선별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트로멜과 버켓을 이용한 골재 선별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722569B1 KR100722569B1 KR1020060113025A KR20060113025A KR100722569B1 KR 100722569 B1 KR100722569 B1 KR 100722569B1 KR 1020060113025 A KR1020060113025 A KR 1020060113025A KR 20060113025 A KR20060113025 A KR 20060113025A KR 100722569 B1 KR100722569 B1 KR 1007225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ggregate
- trommel screen
- bucket
- discharge
- trommel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title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claims 4
- 230000001351 cycling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187 sel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847 Jaw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19 gr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03 everyda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14 obstruc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4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mechanical classifiers
- B03B5/52—Spiral classifi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11/00—Feed or discharge devices integral with washing or wet-separating equip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9/00—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 B03B9/06—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B03B9/061—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 B03B9/065—General arrangement of separating plant, e.g. flow sheet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the refuse being industrial the refuse being building rub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04—Sorting according to siz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11/00—Feed or discharge devices integral with washing or wet-separating equipment
- B03B2011/008—Screw dischargers
Abstract
본원은 건설폐기물을 파쇄하여 한국공업규격(KS F 2573)의 1종 규격을 충족시키는 품질을 갖는 순환골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순환골재의 생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단면반원형 구조의 수조 물에 반쯤 잠긴 상태에서 구동되는 트로멜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조는 트로멜스크린과 트로멜스크린에 설치된 투입 버켓, 배출 버켓의 크기에 맞추어진 단면 반원형 수조로서, 일 측으로부터 물이 공급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수조 내부로 물을 채우면서 반대 측으로는 물을 배출하는 수단을 마련하고, 배출 버켓을 통하여 배출되는 골재들을 모아 저장장소로 이송하는 안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트로멜스크린은, 외면 일측단으로는 투입버켓이 설치되고 타측단과 중간단에는 다수 개의 배출버켓이 설치되며, 상기 버켓과 버켓 사이에는 이송스크류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스크류 사이에는 트로멜스크린에서 골재가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는 체망이 형성되되, 각 배출 버켓의 사이마다 체망의 크기가 서로 달리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배출되는 골재의 입자별 크기를 달리하여 골재를 입도별로 분류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골재 선별기, 골재선별장치, 트로멜, 버켓, 체망, 골재 생산처리
Description
도 1은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골재선별장치 계통도.
도 2는 본원의 골재선별장치를 바람직한 실시 예로 구성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골재선별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3에서 A-A' 투입버켓의 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 B-B' 배출버켓의 단면도.
도 6은 골재선별장치의 측면도.
도 7은 기울어진 형태의 골재선별장치의 실시 예.
도 8은 트로멜스크린 내부로 가이드스크류가 구비되는 형태의 골재선별장치의 실시 예.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수조 110 : 단면반원홈
130 : 투입호퍼 150 : 물분사장치
160 : 배출구 170 : 이물질분리스크린
180 : 탈수스크린 181 : 이송콘베아
190 : 수로
200 : 트로멜스크린 205 : 배출공
210 : 샤프트 230 : 투입버켓
235 : 안내가이드 240 : 배출버켓
245 : 버켓 250 : 이송스크류
270 : 베어링 290 : 모터
본 발명은 건설폐기물을 파쇄하여 한국공업규격(KS F 2573)의 1종 규격을 충족시키는 품질을 갖는 순환골재를 제공하고자 하는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순환골재의 생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매일 100,000여 톤이 발생하는 건설 폐기물을 파쇄하여 한국공업규격 중 순환골재 1등급에 해당하는 골재를 생산하여 부족한 국내 골재자원으로 재활용을 도모하며, 매립으로 인한 한경오염 방지와 매립지 부족현상을 해소하고자 하는 과제를 갖고 출발한 것이다.
그동안 국내, 외에서 골재를 재생하기 위해 개발 및 시행되고 있는 기술들을 살펴보면, 국내에서는 파쇄 후 입도 분리를 통하여 순환골재를 생산하고 있는바, 종래의 기술들은 순환골재 중에 토분이나 이물질이 적게는 2~5%, 많게는 7-8% 까지 이물질을 함유하는 결과가 되어 구조물용 골재로서의 재사용이 곤란한 문제점을 갖 고 있었다.
건설폐기물의 분포를 살펴 보면, 콘크리트 덩어리와 철근,폐 목재, 폐 비닐, 부직포나 헝겊덩어리 등 각종 이물질과 상당량의 토분이 약 5~20% 에 걸쳐 뒤섞여서 반입되고 있는바, 인력에 의한 선별로서는 폐 목재, 폐 비닐, 부직포나 헝겊덩어리 등 식별이 가능하고 큰 부피를 갖는 이물질은 기계적 선별이나 인력 선별이 가능하나 이들 이물질들이 파쇄되어 부피가 작아진 폐 스치로폼 알갱이, 목재 파쇄물, 파쇄비닐, 파쇄헝겁 등의 분쇄된 이물질은 인력 선별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정부에서는 불량 순환골재 사용으로 인한 부실공사를 차단하기 위하여 2007년 1월부터는 순환골재의 공급기준을 더욱 엄격이 규제하여 이물질의 허용함량을 1% 미만으로 규격기준을 강화함에 따라 더욱 양질의 골재를 공급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본원은 정부의 품질인증제도에 부응하기 위하여 순환골재 속의 이물질 양을 전체 부피비의 1% 이하로 생산하기 위한 효율적인 분리방법을 찾고자 하는 과제를 갖고 출발하였다.
본원 발명은 특별히 하나의 장치 내에서 골재세척과 이물질 선별과 골재 입도별 분리를 수행할 수 있는 구조의 골재선별장치로 수조와 트로멜스크린을 이용하여 골재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골재를 생산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단 골재를 파쇄하고 이물질을 제거한 후 골재입자크기에 따라서 골재를 분류하고 골재를 깨끗하게 세척해야 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 골재를 입자크기별로 분류하는 공정, 골재의 세척 공정 등은 각각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므로 시간을 단축하면서도 좀더 효과적인 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트로멜(trommel)이란 철사로 된 망을 붙인 원통이 경사진 축 주위로 회전하면서 광물의 알갱이를 골라내는 기계의 하나로서 파쇄된 골재를 입자크기별로 분류하는 공정에 사용되며, 버켓(bucket)은 석탄, 자갈, 광석 등 야적(野積)되어 있는 비포장물을 담아 올려 운반하는 기구의 일종이다.
본원에서는 파쇄된 골재를 투입하였을 때 수조에 어느 정도 잠겨있는 트로멜스크린에 의해 골재를 입자크기별로 분류함과 동시에 물의 부력에 의해 물에 뜨는 이물질은 제거하면서 골재를 세척할 수 있는 골재 선별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과제를 갖고 출발한 발명이다.
상기 골재 선별장치는 골재의 이물질 제거공정, 분류 공정, 세척 공정 등의 공정들을 한 번의 공정으로 단축하면서, 이물질 제거와 골재의 분류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골재 선별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이에 본원에서는 외면으로는 이송 스크류가 마련되고, 일측단으로 투입버켓이 구비되며 타측단과 중간단으로 다수 개의 배출 버켓이 구비되어 있는 트로멜스크린이 단면반원형의 수조에 내재 되어 회전하는 구조를 이룸으로서 이물질 제거공정, 분류 공정, 세척 공정 등의 공정들을 한 번의 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는 골재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기술사상이 개시된다.
또한, 상기 트로멜스크린의 내주면으로는 내부 가이드 스크류가 마련되어 트로멜스크린의 일측으로 투입된 골재를 타측으로 이송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며, 트로멜스크린 내부의 골재는 스크린 망을 통해 입도별로 트로멜스크린 망 외부로 나와서 트로멜스크린 외면으로 형성된 이송 스크류에 의해 일측으로 입도별 버켓홈부에 모이게 되며, 버켓홈부에 모인 골재는 배출버켓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며, 외부로 배출된 골재들은 탈수스크린을 통하여 물기를 제거한 후 벨트콘베어 등의 이송수단을 통해 각각의 입도별 저장장소로 이동되어 저장되는 수단에 의해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
본원의 골재 선별장치는 단면반원형의 수조에 반쯤 잠긴 트로멜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골재선별장치로서, 상기 트로멜스크린의 외면 일측단에 투입버켓이 설치되고, 타측 단과 중간 단에는 다수 개의 배출버켓이 설치되며, 상기 버켓과 버켓 사이에는 이송스크류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스크류 사이에는 트로멜스크린에서 골재가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는 체망이 형성되되, 각 배출 버켓의 구간 사이마다 체망의 크기가 서로 달리 형성함으로서 배출되는 골재의 입자크기를 달리하여 골재를 분류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골재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기술사상이 개시된다.
상기 수조는 트로멜스크린과 트로멜스크린에 고정설치되어 함께 회전하는 투입 버켓과 배출 버켓의 크기에 맞추어진 단면 반원형 수조로서, 일 측으로부터 물 이 공급하는 수단이 마련되어 수조 내부로 물을 채우면서 반대 측으로 물을 배출하는 수단을 마련하고, 배출 버켓에서 배출되는 골재들을 모아 저장장소로 이송하는 안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물의 배출부에는 물과 함께 배출되는 이물질을 처리하기 위한 이물질 처리수단과 배출버켓에서 배출되는 골재로부터 물기를 제거하기 위한 물기제거수단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로멜스크린은 내부가 뚫린 체망 형태의 원통으로서 체망은 5mm 이하의 골재, 5mm ~ 25mm 이하의 골재, 25mm 이상 40mm 이하의 골재를 분리하는 체망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트로멜스크린의 중심 축으로 샤프트가 구비되고, 트로멜스크린 외면으로 입도별로 분류된 골재를 버켓부로 이송하기 위한 스크류가 설치되어 버켓부로 보내주는 구조로 제공된다.
상기 트로멜스크린은 샤프트를 중심으로 회전하기 위한 회전수단, 트로멜스크린 내부로 골재를 투입하기 위한 골재투입수단, 투입된 골재에서 이물질을 선별하기 위한 이물질 선별수단, 투입된 골재를 트로멜스크린 내부에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수단, 트로멜스크린 내부에서 골재를 입자크기별로 분류하기 위한 골재분류수단, 입자크기별로 분리된 골재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트로멜스크린의 회전수단은 샤프트의 양단에 베어링을 설치하고, 모터와 감속장치가 샤프트에 연결되어 샤프트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트로멜스크린의 골재투입수단은 투입된 골재를 트로멜스크린의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투입버켓을 트로멜스크린의 외면 일 측단에 설치하는 수단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투입버켓은 내부쪽으로 투입된 골재를 받아 트로멜스크린 내부로 골재를 안내하기 위한 연결통로가 뚫려 있어 트로멜스크린의 회전수단에 의해 회전하면서 투입되는 골재를 골고루 분산하여 트로멜스크린의 내부로 안내하는 구조로 이루게 된다.
상기 트로멜스크린의 이물질 선별수단은 수조의 물에 의해 반쯤 잠겨 있는 트로멜스크린의 내부가 투입된 이물질이 물의 부력에 의하여 떠서 배출수단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트로멜스크린의 내부로 투입된 골재는 트로멜스크린의 회전에 의해 계속 이동하면서 수조의 물에 의해 세척되면서 이물질이 분리되는 세척 효과를 고양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트로멜스크린의 이동수단으로는, 상기 트로멜스크린을 약 3°~ 5°정도 기울이고 높은 측의 상단 부분으로 투입버켓을 설치함으로써, 투입된 골재가 자연스럽게 하단으로 이동 가능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경사도를 두지 않는 경우에는 트로멜스크린의 내주면으로 회전방향에 따라 내용물을 후진시키는 가이드스크류가 제공되어 설치되거나 또는 경사각도를 더욱 높이고 빠른 이송을 제어하기 위해 트로멜스크린의 내주면으로 흐름 방해판 등을 설치하여 골재의 이송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트로멜스크린의 내부에서 골재를 입도별 크기별로 분류하기 위한 골재분류수단은, 트로멜스크린의 내부의 골재들이 이동수단에 의해 이동하면서 트로멜 스크린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체망을 통하여 골재들이 트로멜스크린에서 빠져나오면서 트로멜스크린의 외면에 설치된 이송스크류에 의해 배출버켓이 있는 수조 밑바닥으로 이동시켜 모아주는 구조를 이루고, 또한 상기 트로멜스크린은 일정 길이 간격으로 배출버켓을 사이에 두고 체망의 크기를 달리 함으로써 배출버켓 쪽에 모아지는 골재가 자동적으로 입자크기를 각각 달리 하여 분류할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된다.
이때 체망의 크기는 투입버켓부터 첫번째 배출버켓까지 형성된 체망이 가장 작고, 마지막 배출버켓에 형성된 체망을 가장 크게 함으로써, 가장 작은 골재부터 체망의 크기별로 골재를 분류해낼 수 있다.
상기 트로멜스크린의 배출수단은 수조 밑바닥 배출버켓의 하단에 모아진 골재가 배출버켓이 회전하면서 버켓에 들어가 슈우트나 탈수스크린으로 배출하는 구조로 이루면서 배출시키고, 배출된 골재는 이송스크린을 통과하면서 골재의 물기를 어느 정도 제거할 수 있다.
상기의 구조로 제공되는 골재선별장치를 이용하여, 본원에서는, 수조의 투입호퍼(130)를 통해 투입버켓(230)으로 파쇄된 골재를 투입하는 골재투입단계; 상기 투입버켓(230)에서는 안내가이드(235)를 이용하여 투입된 골재를 트로멜스크린 내부로 안내하는 골재안내단계; 상기 트로멜스크린 내부로 들어온 골재는 트로멜스크린 자체가 회전하면서 골재를 세척시키면서 동시에 골재내 포함되어 있던 이물질을 떼어내서 물의 부력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 및 이물질 제거단계; 상기 트로멜스크린 내부로 들어온 골재를 배출버켓 쪽으로 이동시키는 골재이송단계; 상 기 체망에 뚫려 있는 배출공에서는 배출버켓 쪽으로 이동되는 골재 중 배출공의 크기 이하의 골재들을 트로멜스크린 외부로 빠져나오게 하는 골재분류단계; 트로멜스크린 외부로 빠져나온 분류된 골재들을 배출버켓으로 이송시키는 분류골재이송단계; 배출버켓에서는 분류되어 이송된 골재를 외부로 배출하는 분류골재배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골재 선별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원 발명의 기술사상을 표현하는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겸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에서는 일반적으로 순환골재를 생산하기 위한 전처리 시설에 적용되는 계통처리도를 나타내고자 하였는바, 본원의 장치는 도 1에 개시된 일반적 전 처리시설들을 통과하여 얻은 골재를 효과적으로 세척하고 이물질을 제거하며, 골재를 입도별로 분류하는 공정들을 하나의 시설에서 한번의 공정으로 단축하면서, 이물질 제거와 골재의 분류가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골재 선별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순환골재를 얻기 위한 통상의 적용 공정도를 참조하여 설명하여보면, 폐 콘크리트를 진동피더(1)와 그리즈리스크린(2)을 통해 죠크러셔 (3)로 투입하여 파쇄하고, 상기 그리즈리스크린(2)에 의해 걸러지는 선별물은 진동스크린A(5)과 송풍기(6)를 통해 토사와 에어선별물로 걸러지며, 상기 죠크러셔(3)를 통해 파쇄된 골재는 자력선별기A(4)를 통해 금속류가 걸러지고, 수작업선별공정(7)을 통해 불순물이 분리된 후 콘크러셔(8)에 투입되고, 상기 콘크러셔(8)를 통과하면서 파쇄된 골재 중에 금속류는 자력선별기B(9)를 통해 금속류로 보내지고 골재는 진동 스크린B(10)에 의해 입도별로 분리되어 순환골재를 얻는 공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의 일반공정에서는 40 mm이하의 골재를 선별하여 도 2의 골재선별장치로 보내주게 된다.
도 2는 본원의 골재선별장치를 바람직한 실시 예로 구성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평면도로서, 본원의 수조(100)와 둥근 원통형의 트로멜스크린(200)으로 구성되는 골재선별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수조(100)는 트로멜스크린(200)의 크기에 맞춰진 단면반원형상으로 제공되어 지며, 트로멜스크린보다 직경이 큰 투입버켓(230)과 3개의 배출버켓(240, 240', 240'')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와 위치에 맞도록 단면 반원홈(110, 120)이 구성되어 트로멜스크린에 정확하게 맞추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히, 골재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호퍼(130)을 마련하여 골재가 투입되면 투입버켓(230)의 내부에 마련된 투입공을 통하여 트로멜스크린(200) 내부로 골재가 를 투입할 수 있도록 하고, 수조(100) 유입부의 반대측 수면 상부로 고압수 분사장치(150)가 설치되어 고압수를 공급하면서 수조(100)상부에 부유하는 이물질 부유물을 배출구(160)을 통하여 물과 함께 배출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투입되는 골재는 이미 파쇄공정을 거쳐 일정한 크기 이하의 골재가 투입되며, 골재와 함께 투입되는 먼지나 이물질은 수조의 물에 의해 씻겨 내려가며, 이물질이 골재로부터 분리되어 배출구(160)로 배출되므로 배출구에는 망형태의 스크린(170)을 구비하여 이물질을 따로 빼어내어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트로멜스크린 내부로 유입된 골재는 트로멜스크린 내부를 회전하면서 3단의 스크린을 통하여 예를 들어 5mm 이하의 골재, 5mm ~ 25mm 이하의 골재, 25mm 이상 40mm 이하의 골재로 분리되어 체망 외부로 빠져나오고, 트로멜스크린 외주면을 따라 설치된 이송스크류(250)가 분류된 골재를 단면반원홈부(180)로 보내주고 입자크기별로 분류된 골재들은 배출버켓(240, 240', 240'')을 통하여 외부로 보내져서 각각의 탈수스크린(180, 180', 180'')에서 물기를 제거한 후, 벨트콘베어(181, 181', 181'') 등을 통하여 각각의 저장장소로 이동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트로멜스크린(200)은 원통의 중앙 축으로 샤프트(210)가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의 양단으로 각각 베어링(270, 270')이 샤프트와 연결되어 트로멜스크린을 지지하면서 모터(290)와 감속벨트(280)으로 트로멜스크린(200)을 회전시키는 구조를 가지나 상기 트로멜스크린(200)은 감속모터를 사용하여 회전속도는 약 3 ~ 10 rpm 정도의 저속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트로멜스크린의 일측 끝단으로는 투입버켓(230)이 설치되어 골재를 트로멜스크린 내부로 안내하고, 트로멜스크린의 타측 끝단과 중단에는 다수 개의 배출버켓(240, 240', 240'')이 설치되어 분류된 골재를 배출하며, 각각의 버켓(230, 240, 240', 240'') 사이로 트로멜스크린의 외면에는 수조 바닥의 골재를 수조의 단면반원홈부(180, 180', 180'')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스크류(250)가 설치되는 구조를 이룬다.
특히, 트로멜스크린의 외면은 체망 형태로서, 체망의 구멍을 통하여 골재가 트로멜스크린 사이를 통과하며 분류가 이루어지는바, 각 버켓 사이마다 체망의 크기를 달리 하여 골재를 입도별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투입버켓(230)과 첫번째 배출버켓(240) 사이에는 5mm 의 직경을 갖는 체망을 형성하여 5mm 이하의 골재만이 분류되어 트로멜스크린으로부터 빠져나와 첫번째 배출버켓(240)을 통하여 배출되고, 첫번째 배출버켓(240)과 두번째 배출버켓(240') 사이에는 25mm의 직경을 갖는 체망을 형성하여 5mm ~ 25mm 이하의 골재를 분류하여 두번째 배출버켓(240')으로 배출하게 되며, 두번째 배출버켓(240')과 세번째 배출버켓(240'') 사이에는 40mm의 직경을 갖는 체망을 형성함으로써 25mm 이상 40mm 이하의 골재를 분리하여 세번째 배출버켓(240'')으로 배출할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는바, 상기 체망은 원하는 크기로 얼마든지 변경하여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때, 마지막 세번째 배출버켓(240)을 통하여서도 배출되지 아니한 40mm 이상의 골재나 이물질은 회전하는 트르멜스크린에서 배출될 수 있으므로, 수조의 끝단에 탈수스크린(175)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투입버켓의 단면도로서, 투입된 골재를 트로멜스크린까지 안내하는 투입버켓의 기능을 도시하고 있는바, 수조의 일측으로 형성된 투입호퍼(130)를 통하여 골재가 투입되면, 상기 투입버켓(230)의 안내가이드(235)를 따라 골재가 트로멜스크린 내부로 들어가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내가이드(235)는 트로멜스크린 내부로 휘어지는 구조를 이룸으로써 골재가 수직으로 떨어져 투입호퍼(130)를 바로 통과하여 단면반원홈(110)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며, 단면반원홈(110)으로 떨 어진 골재들을 다시 퍼올려 트로멜스크린 내부로 들어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배출버켓의 단면도로서, 수조 바닥면에 쌓인 골재가 배출버켓의 버켓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버켓의 기능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배출버켓은 트로멜스크린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막혀 있어, 배출버켓(240)의 회전에 따라 버켓판(245)이 수조 밑바닥에서 골재를 퍼올려 들어올린 후 탈수스크린으로 배출하는 구조를 이룬다.
상기 배출버켓의 버켓판(245)은 수조 밑바닥의 골재를 퍼올리기 쉬우면서도 탈수스크린으로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배출버켓(240)의 회전방향으로 곡면을 그리거나 꺽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골재선별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골재선별장치의 체망을 각각 5mm망, 25mm망, 40mm 망으로 구분하여 설치하여 골재를 분류하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투입호퍼(130)로 투입되는 골재들은 투입버켓(230)을 통하여 트로멜스크린(200) 내부로 들어가며, 트로멜스크린의 회전에 의해 첫번째 배출버켓(24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5mm 이하의 입자크기를 가지는 골재들은 체망을 통과하여 트로멜스크린 밖으로 빠져나오며, 빠져나온 골재들은 트로멜스크린 외주면을 따라 설치된 이송스크류(250)가 분류된 골재를 단면반원홈부(180)로 보내주고 수조(100)의 밑바닥에 부분적으로 쌓인 골재들도 이송스크류(250)에 의해 배출버켓(240)쪽으로 이동하여 배출버켓(240)의 바로 아래에 있는 수조의 단면반원홈부(180, 180', 180'')로 모이게 된다. 이렇게 모여 쌓인 골재들은 배출버켓에 의해 들어올려져 외부로 배출되며, 동일한 원리에 의하여 5mm 이상이면서 25mm 이하의 입자크기를 가지는 골재는 두번째 배출버켓(240')으로, 25mm ~ 40mm 사이의 입자크기를 가지는 골재는 세번째 배출버켓(240'')으로 배출됨으로써, 입자크기별로 골재를 분류하는 공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트로멜스크린 내부에서 골재의 이동을 돕기 위한 이동수단이 제공된다. 이러한 이동수단은 도 7과 같이 기울어진 형태의 골재선별장치를 구성하여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골재가 이동하게 제공되거나, 또는 도 8과 같이 트로멜스크린 내부로도 가이드스크류(255)가 구비되어 골재를 이동시키는 형태의 골재선별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본원의 골재선별기를 이용하면, 파쇄된 골재들을 각각의 입자크기별로 분류함은 물론 부력에 의해 뜨는 이물질은 제거함과 동시에 골재의 세척까지 이루어지므로, 빠른 골재처리공정이 가능하여진다.
또한, 본원의 골재선별기는 그 구조와 구성이 간단하여 설치 및 유지보수가 수월하고 용이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트로멜스크린 속에 물이 반쯤 잠긴 상태에서 골재의 분류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분류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분류되어 배출된 골재는 탈수스크린을 통하여 물기를 제거하기만 하면 공정이 끝나게 되므로 전체적 인 골재생산처리가 감축된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트로멜스크린 내면으로 이송스크류를 구비함으로서, 굳이 트로멜스크린의 축을 경사지게 하지 않아도 트로멜스크린의 분류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6)
- 건설폐기물 파쇄물을 순환골재로 재생시켜 한국공업규격이나 건설부 고시 기준을 충족시키는 품질의 순환골재 선별장치에 있어서,반원형 수조(100)와 원통형 트로멜스크린(200)으로 구성되되,상기 수조(100)는 반원형 욕조 형태로 제공되어 회전하는 원통형 트로멜스크의 원통과 골재유입수단과 골재배출수단의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단면 반원형 수조를 이루며 트로멜스크린의 골재유입수단과 골재배출수단에서 분류된 골재를 단면반원홈부(180)에 저장할 수 있는 구조의 수조이며 일 측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고압수 공급장치와 타측으로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구비되어 제공되고,상기 트로멜스크린(200)은 골재의 입도별로 분류할 수 있는 다단의 원통 체망을 갖고, 원통 체망 외주연부로 골재유입수단과 골재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스크류와, 분류된 골재를 배출하기 위한 골재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구조로 제공되어,하나의 장치 내에서 세척기능과 이물질 배출기능과 골재의 입도별 분리기능을 수행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골재 선별장치.
- 제1항에 있어서,트로멜스크린은 중심부로 샤프트(210)가 설치되어 모터(290)에 의해 회전하고, 트로멜스크린의 일측 끝단에는 투입되는 골재를 트로멜스크린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투입버켓(230)이 설치되며, 상기 트로멜스크린 내부로 투입된 골재는 입도별 로 분류시키기 위한 단계별 체공을 갖는 트로멜스크린을 통해 골재 입도별로 분류되어 외부로 배출되고, 배출된 골재는 이송스크류(250)에 의해 골재 입도별로 각각의 단면반원홈부(180, 180', 180'')로 이송되며, 각각의 단면반원홈부에 쌓인 골재는 배출버켓(240, 240', 240'')이 설치되는 구조로 제공되어,입도별 분리기능을 수행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골재 선별장치.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수조와 트로멜스크린은 투입버켓(230)쪽이 더 높게 기울어진 형태로 제공되어, 트로멜스크린 내부에서 골재가 중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골재 선별장치.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투입버켓(230)은 투입된 골재를 트로멜스크린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가이드(235)를 구비하고,상기 배출버켓(240)은 배출버켓의 회전방향으로 곡면을 그리거나 꺽어지도록 구성되는 버켓(24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골재 선별장치.
- 제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트로멜스크린의 내주면으로 투입된 골재를 이동하기 위한 가이드스크류가 구비되어 골재가 배출버켓 쪽으로 자연스럽게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골재 선별장치.
- 건설폐기물 파쇄물을 순환골재로 재생시켜 한국공업규격이나 건설부 고시 기준을 충족시키는 품질의 순환골재의 선별방법에 있어서,반원형 욕조 형태로 제공되어 회전하는 원통형 트로멜스크의 원통과 골재유입수단과 골재배출수단의 돌출부를 수용하도록 단면 반원형 수조를 이루고, 트로멜스크린은 골재유입수단과 골재배출수단 및 분류된 골재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스크류를 갖는 순환골재의 생산시설을 이용하여,상기 수조의 투입호퍼(130)를 통해 투입버켓(230)으로 파쇄된 골재를 투입하는 골재투입단계;상기 투입버켓(230)에서는 안내가이드(235)를 이용하여 투입된 골재를 트로멜스크린 내부로 안내하는 골재안내단계;상기 트로멜스크린 내부로 들어온 골재에서 물의 부력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단계;상기 트로멜스크린 내부로 들어온 골재를 배출버켓 쪽으로 이동시키며 수조내에서 골재세척이 실시되는 골재세척 및 이동단계;상기 트로멜스크린 체망에 뚫려 있는 단계별 크기 배출공에서는 배출버켓 쪽으로 이동되는 골재 중 배출공의 크기 이하의 골재들을 트로멜스크린 외부로 빠져 나오게 하는 골재분류단계;트로멜스크린 외부로 빠져나온 분류된 골재들을 이송스크류에 의해 배출버켓쪽으로 으로 이송시키는 분류골재이송단계;배출버켓에서는 분류되어 이송된 골재를 외부로 배출하는 분류골재배출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선별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13025A KR100722569B1 (ko) | 2006-11-15 | 2006-11-15 | 트로멜과 버켓을 이용한 골재 선별 방법 및 그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13025A KR100722569B1 (ko) | 2006-11-15 | 2006-11-15 | 트로멜과 버켓을 이용한 골재 선별 방법 및 그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22569B1 true KR100722569B1 (ko) | 2007-05-28 |
Family
ID=38278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13025A KR100722569B1 (ko) | 2006-11-15 | 2006-11-15 | 트로멜과 버켓을 이용한 골재 선별 방법 및 그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22569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8065B1 (ko) * | 2009-11-27 | 2011-07-11 | 주식회사세영 | 순환골재의 슬러지 제거장치 |
KR101907579B1 (ko) * | 2017-12-27 | 2018-10-12 | 문정식 | 3단트롬멜을 갖는 수조식 골재 선별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골재 선별방법 |
KR20190091024A (ko) | 2018-01-26 | 2019-08-05 | 정원우 | 재생 및 순환골재 선별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86946Y1 (ko) | 2002-05-30 | 2002-08-24 | 인선이엔티 주식회사 | 폐골재용 세척수조 |
JP2003191161A (ja) * | 2001-12-21 | 2003-07-08 | Ube Machinery Corporation Ltd | 骨材研磨装置 |
JP2004130274A (ja) * | 2002-10-15 | 2004-04-30 | Ishigaki Co Ltd | スクリュー排出型脱水機並びにその運転方法 |
KR20060045128A (ko) * | 2004-10-14 | 2006-05-16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콘크리트 제조에 적합한 골재의 선별 및 세척장치와 이에의한 골재 채취 방법 |
-
2006
- 2006-11-15 KR KR1020060113025A patent/KR10072256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91161A (ja) * | 2001-12-21 | 2003-07-08 | Ube Machinery Corporation Ltd | 骨材研磨装置 |
KR200286946Y1 (ko) | 2002-05-30 | 2002-08-24 | 인선이엔티 주식회사 | 폐골재용 세척수조 |
JP2004130274A (ja) * | 2002-10-15 | 2004-04-30 | Ishigaki Co Ltd | スクリュー排出型脱水機並びにその運転方法 |
KR20060045128A (ko) * | 2004-10-14 | 2006-05-16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콘크리트 제조에 적합한 골재의 선별 및 세척장치와 이에의한 골재 채취 방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48065B1 (ko) * | 2009-11-27 | 2011-07-11 | 주식회사세영 | 순환골재의 슬러지 제거장치 |
KR101907579B1 (ko) * | 2017-12-27 | 2018-10-12 | 문정식 | 3단트롬멜을 갖는 수조식 골재 선별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골재 선별방법 |
KR20190091024A (ko) | 2018-01-26 | 2019-08-05 | 정원우 | 재생 및 순환골재 선별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23975B1 (ko) | 건설폐기물 내 부유물의 다단 선별 및 순환골재 회수 시스템 | |
KR100529690B1 (ko) | 건축 폐기물 분류장치 및 그 방법 | |
CN108855587B (zh) | 一种建筑垃圾筛选分离方法 | |
KR101223668B1 (ko) |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 |
KR20100138730A (ko) | 건축폐기물에서 순환골재와 이물질의 선별 분리장치 | |
KR20080005046A (ko) | 재생골재의 세척 및 이물질 선별장치 | |
KR102050101B1 (ko) | 재생 및 순환골재 선별기 | |
KR100434799B1 (ko) |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을 통한 재생 모래의 제조 방법 및그 장치 | |
CN102328360A (zh) | 一种聚乙烯管材破碎料或落地料分拣分离装置 | |
KR100870648B1 (ko) | 토사 및 골재에 포함된 이물질을 선별하는 선별장치 | |
KR101685025B1 (ko) |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 | |
KR101785001B1 (ko) |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 | |
KR101907579B1 (ko) | 3단트롬멜을 갖는 수조식 골재 선별장치 및 그를 이용한 골재 선별방법 | |
KR200370528Y1 (ko) | 재활용 모래 선별세척장치 | |
KR101952538B1 (ko) | 건축 자재용 골재 생산을 위한 파쇄 플랜트 시스템 | |
KR100722569B1 (ko) | 트로멜과 버켓을 이용한 골재 선별 방법 및 그 장치 | |
KR101897560B1 (ko) |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골재획득방법 | |
KR100764643B1 (ko) |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순환골재의 생산방법 및 그 장치 | |
KR20100005787A (ko) | 폐그물 파쇄 및 선별 시스템 | |
KR100498773B1 (ko) |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재생골재의 생산방법 및 장치 | |
KR101883989B1 (ko) | 건설폐기물 재활용 골재선별장치 | |
KR20030078574A (ko) | 재활용 모래 선별기 | |
KR101286605B1 (ko) | 습식 모래 선별시스템 | |
KR20050051428A (ko) | 건설폐기물인 폐 콘크리트를 이용한 모래 재생방법 및재생장치 | |
KR200370529Y1 (ko) | 재활용 모래 선별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622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