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7081B1 - 건식 재생 모래골재 분급 방법 및 건식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 - Google Patents

건식 재생 모래골재 분급 방법 및 건식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081B1
KR101987081B1 KR1020180143720A KR20180143720A KR101987081B1 KR 101987081 B1 KR101987081 B1 KR 101987081B1 KR 1020180143720 A KR1020180143720 A KR 1020180143720A KR 20180143720 A KR20180143720 A KR 20180143720A KR 101987081 B1 KR101987081 B1 KR 101987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blade
separated
sand
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두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미이엔씨
안두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미이엔씨, 안두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미이엔씨
Priority to KR1020180143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0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1/00Disintegrating plant with or without drying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08Separating or sorting of material, associated with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3/00Auxiliary methods o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groups or not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group
    • B02C23/18Adding fluid, other than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fluid energy
    • B02C23/24Passing gas through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 B02C23/30Passing gas through crushing or disintegrating zone the applied gas acting to effect material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04B5/10Centrifuges combined with other apparatus, e.g. electrostatic separators; Sets or systems of several centrifu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using momentum effects
    • B07B13/11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using momentum effects involving travel of particles over surfaces which separate by centrifugal force or by relative friction between particles and such surfaces, e.g. helical so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2Agglomerated materials, e.g. artificial aggre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생골재로부터 소정 입자 크기의 모래를 다단계로 채취하여 분급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산업골재로서의 이용 효율을 증대시키며, 재생 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는 재생 모래골재 분급 방법 및 건식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생골재로부터 모재골재를 분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재생골재를 다단계 파쇄 및 분쇄를 통해 전처리하여 모래 입자 크기의 재생골재를 마련하는 재생골재 전처리 단계; 상기 전처리된 재생골재를 투입하여 와류 현상을 이용한 1차 분급장치를 통해 상기 전처리된 재생골재로부터 1차 모래골재와 미분을 분리 선별하고, 1차 모래골재는 하방으로 낙하되어 모아지고, 분리된 미분 포함 분리물은 1차 분급장치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는 1차 분급 단계; 및 상기 배출되어 나오는 미분 포함 분리물을 제공받아 싸이클론 현상을 이용한 2차 분급장치를 통해 상기 미분 포함 분리물을 다시 2차 모래골재와 미분으로 분리 선별하여 2차 모래골재는 하방으로 낙하되어 모아지고, 미분 분리물은 2차 분급장치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처리되도록 하는 2차 분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재생 모래골재 분급 방법과 분급 설비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건식 재생 모래골재 분급 방법 및 건식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DRY TYPE SAND CLASSIFYING METHOD AND DRY TYPE SAND CLASSIFYING EQUIPMENT BASED ON RECLAMATION AGGREGATE}
본 발명은 재생 모래골재 분급 방법 및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생골재로부터 소정 입자 크기의 모래를 다단계로 채취하여 분급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산업골재로서의 이용 효율을 증대시키며, 재생 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는 건식 재생 모래골재 분급 방법 및 건식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에 관한 것이다.
천연으로 생산되는 강모래는 채취량에 한계가 있어 건설공사 수요를 충족시키기 어려웠으며, 부족한 강모래를 대체하기 위하여 해사(海沙)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 역시 채취량이 제한되어 있을 뿐 아니라 해사에 포함된 염화물량(Cl-)에 의해 구조물의 내구성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점점 원거리(EEZ)에서 채취하기 때문에 생산비용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물리적 경제적 이유뿐만 아니라 자연환경을 훼손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골재 부족을 보충하기 위하여 다양한 골재 자원을 확보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골재 부족난을 해결하고 자원 재활용 측면에서 석산 등에서 생산하는 부순 모래나 건설폐기물을 원료로 파쇄 및 분쇄하고, 이물질을 선별하여 순환 잔골재를 생산하는 방법이 등장하였다.
건축물의 노후화 등으로 각종의 건설폐기물이 다량으로 배출되고 있으나 매립지의 부족, 불법투기 등으로 인하여 자연환경의 파괴가 만연하는 과정에서 1993년 9월 24일 입법된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1996년 12월 24일 개정된 동법 시행령에 의하여 건설 폐기물 중 지정 부산물을 재활용하도록 의무화하였다.
이에 따라 약 100여 개 업체가 폐기물관리법 26조에 의해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업' 허가를 취득하여 재생골재를 생산하고 있으나 기술 및 인식의 부족으로 인하여 재생골재 재활용 의무화는 유명무실한 상태가 되었고 각 건설업체도 하급의 재생골재를 기피하여 재생골재는 복토, 성토재 등으로 사용이 국한되어 막대한 자원의 낭비를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국내의 건설폐기물 발생 특성은 배출 사업자의 환경의식 결여와 해체공 사시 사전 분리작업의 미비로 인하여 단순 건설폐기물이 아닌 혼합폐기물의 형태로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기술로는 양질의 재생골재 생산이 불가능한 상태에 있다. 국내 재생골재 생산 업체의 쓰레기 분류 작업방법은 풍력에 의한 선별(벨트 컨베이어 낙하지점), 수력에 의한 선별(저수조를 이용하여 쓰레기 분류)등 건설 폐기물은 1차 파쇄 →선별 →2차 파쇄 →선별의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작업방법은 국내 건설폐기물의 발생 여건상 재생골재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없으며 이렇게 생산된 재생골재는 각 건설현장에서 사용할 수 없어 대부분 복토 또는 단순 매립용으로 사용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그 예로 한국 등록 실용신안공보 등록 제20-0303298호(건축 폐기물을 이용한 재생모래 생산장치)에는 미분이나 이물질이 없는 모래를 생산하기 위하여 파쇄 후 선별된 석분(모래)에 수막을 형성하여 1차 세척시키고 이를 다시 물탱크에 설치된 스크류콘베이어(screw conveyor)로 이동시키면서 2차 세척하며 물탱크 내의 부유 쓰레기와 슬러지는 각 컨베이어로 배출시키는 기술이 기재되었으나 이 역시 고가의 설비 투자 및 생산 비용의 증가와 함께 2차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었다.
이러한 습식형 모래 생산 설비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한국등록 실용신안공보 등록 제20-0308843호(부순모래 생산을 위한 시스템 구성 장치)에는 석산 골재를 파쇄하여 모래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와 이물질을 습식 세척이나 수중 세척을 하지 않고 분진이 많이 발생하는 각 파쇄기와 선별기에 각각 분진 흡입 슈트와 주름관과 싸이클론을 설치하여 미분이 발생할 때마다 제거하는 장치가 개발되었으나, 미분(dust)이 발생하는 장치마다 별도의 복잡한 분진제거시설을 하여야 하므로 과도한 시설비와 생산비 증가로 채산 악화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94451(2009.04.24.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3-0064185(2003.07.31.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03298(2003.02.07.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08843(2003.03.28. 공고)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재생골재로부터 소정 입자 크기의 모래를 다단계로 채취하여 분급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산업골재로서의 이용 효율을 증대시키며, 재생 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는 재생 모래골재 분급 방법 및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석산 골재 또는 건설폐기물을 다단계 파쇄 및 분쇄를 통해 모래 입자 크기로 전처리된 골재를 원료로 하여 소정 크기 입자의 모래를 다단계로 채취하면서, 발생하는 미분이나 미세하게 파쇄된 이물질을 분리함으로써 양질의 모래골재를 제공할 수 있는 재생 모래골재 분급 방법 및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재생골재로부터 모재골재를 분급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재생골재를 다단계 파쇄 및 분쇄를 통해 전처리하여 모래 입자 크기의 재생골재를 마련하는 재생골재 전처리 단계; 상기 전처리된 재생골재를 투입하여 와류 현상을 이용한 1차 분급장치를 통해 상기 전처리된 재생골재로부터 1차 모래골재와 미분을 분리 선별하고, 1차 모래골재는 하방으로 낙하되어 모아지고, 분리된 미분 포함 분리물은 1차 분급장치로부터 배출되도록 하는 1차 분급 단계; 및 상기 배출되어 나오는 미분 포함 분리물을 제공받아 싸이클론 현상을 이용한 2차 분급장치를 통해 상기 미분 포함 분리물을 다시 2차 모래골재와 미분으로 분리 선별하여 2차 모래골재는 하방으로 낙하되어 모아지고, 미분 분리물은 2차 분급장치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처리되도록 하는 2차 분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재생 모래골재 분급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석션 블로어가 연결되어 투입되는 재생골재에 포함되는 모래골재를 분급하기 위한 설비로서, 설비 프레임; 상기 설비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다단계 파쇄 및 분쇄를 통해 전처리된 모래 입자 크기의 재생골재가 투입되어 와류 현상으로 재생골재와 미분을 분리하며, 분리 선별된 1차 모래골재는 하방으로 낙하되어 모아지고, 미분 포함 분리물은 일측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1차 분급장치; 상기 1차 분급 장치에서 배출되어 나오는 미분 포함 분리물을 제공받아 싸이클론 현상을 이용하여 다시 2차 모래골재와 미분으로 분리하며, 분리 선별된 2차 모래골재는 하방으로 낙하되어 모아지고, 미분 분리물은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2차 분급 장치; 및 상기 2차 분급 장치에서 배출되는 미분 분리물을 집진하여 모으는 미분 분리물 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1차 분급장치는 투입되는 재생골재가 하방으로 떨어지도록 안내하는 메인덕트; 일단부가 상기 메인덕트의 상부 측에 연통되어 공기가 하향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제1 공기유입덕트; 상기 메인덕트의 하부 일측면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하기 와류형성부 측으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제2 공기유입덕트; 상기 제2 공기유입덕트와 평행하게 상기 메인덕트의 일측에 구성되고, 하기 와류형성부에서 분리 선별되는 미분 분리물이 배출되는 집진 덕트; 호 형상의 내부 공간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메인덕트의 하부 타측면에 연통되고, 그 연통부가 상기 집진 덕트의 연통부와 마주하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집진 덕트 측을 향하여 와류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와류형성부; 및 상기 집진 덕트의 연통부에 구성되고, 하부의 공기 흡입량보다 상부의 공기 흡입량을 크게 하여 와류를 증대시키도록 상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에 집적되는 미분을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미분제거 블레이드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미분제거 블레이드 유닛은 상기 집진덕트의 연통부에 설치되고, 블레이드의 단면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되어 블레이드가 슬라이딩 가능한 다수의 블레이드 통과홈이 구비되는 블레이드 프레임; 상기 블레이드 각각의 양단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상기 집진 덕트에 형성되는 블레이드 노출홈; 상기 블레이드 노출홈을 통해 돌출된 블레이드의 일단부들에 일면이 연결되어 블레이드를 횡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도록 연결되는 블레이드 연결구; 상기 블레이드 연결구의 타면에 연결되어 블레이드 연결구를 왕복구동시키는 왕복구동부; 상기 집진덕트와 왕복구동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블레이드 노출홈 및 블레이드 연결구를 커버하는 보호커버; 및 상기 왕복구동부를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미분제거 블레이드 유닛은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부와 블레이드 연결구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블레이드 연결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2차 분급 장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서 맴돌이 흐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바디; 유입단이 상기 바디의 상부 측에 법선 방향으로 연통되어 상기 1차 분급장치로부터 미분 포함 분리물이 유입되는 유입덕트; 상기 바디 내부에 구성되어 유입되는 미분 포함 분리물을 2차 모래골재와 미분으로 분리시키기 위한 골재-미분 분리 증강수단; 상기 바디 내에서 분리되어 낙하하는 2차 모래골재를 배출시키기 위한 분리골재 배출수단; 일단부는 상기 바디의 중앙부 양측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바디 내에서 분리되는 미분이 석션되어 배출되는 미분 배출 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골재-미분 분리 증강수단은 상기 바디의 내부 일측에서 그 바디의 내벽과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1차 분급장치에서 유입되는 미분 포함 분리물을 다류 흐름으로 분리하면서 내부 타측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제1 골재-미분 분리 부재; 및 상기 바디의 내부 타측에서 그 바디의 내벽과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골재-미분 분리 부재를 따라 가이드되어 오는 미분 포함 분리물을 다류 흐름으로 분리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 골재-미분 분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제1 골재-미분 분리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유입덕트의 유입단 측에 위치되고 소정 곡률을 가지면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바디의 내부 일측에서 그 바디의 내벽과 소정 간격을 갖고 구비되는 단면 호 형상의 플레이트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골재-미분 분리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분리골재 배출수단의 배출구 측에 위치되고 소정 곡률을 가지면서 일정 길이 연장되어 바디의 내부 타측에서 그 바디의 내벽과 소정 간격을 갖고 구비되는 단면 호 형상의 플레이트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미분 배출 덕트는 상기 바디에 연통되는 단부가 상기 바디의 중심 측으로 돌출되어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모래골재 분급 방법 및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재생골재로부터 소정 입자 크기의 모래를 다단계로 채취하여 분급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산업골재로서의 이용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재생 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성을 도모하고, 친환경적인 재생골재 생산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전처리된 재생골재를 원료로 하여 소정 크기 입자의 모래를 다단계로 채취하면서, 발생하는 미분이나 미세하게 파쇄된 이물질을 보다 효율적이고 확실하게 분리함으로써 양질의 모래골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모래골재 분급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에 포함되는 1차 분급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의 1차 분급 장치에 구성되는 미분제거 블레이드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의 1차 분급 장치에 구성되는 미분제거 블레이드 유닛의 블레이드 연결수단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의 1차 분급 장치에 구성되는 미분제거 블레이드 유닛의 블레이드 연결수단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의 1차 분급 장치에 구성되는 미분제거 블레이드 유닛의 블레이드 연결수단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의 1차 분급 장치에 구성되는 미분 배출 유닛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의 1차 분급 장치에 구성되는 미분 배출 유닛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에 포함되는 2차 분급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에 포함되는 2차 분급 장치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재생 모래골재 분급 방법 및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모래골재 분급 방법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모래골재 분급 과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모래골재 분급 방법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생골재(예를 들면, 건설폐기물)를 다단계 파쇄 및 분쇄를 통해 전처리하여 모래 입자 크기의 재생골재를 마련하는 재생골재 전처리 단계(S100); 상기 재생골재 전처리 단계(S100)를 거친 전처리된 재생골재를 투입하여 와류 현상을 이용한 1차 분급장치를 통해 상기 전처리된 재생골재에서 1차 모래골재와 미분을 분리 선별하여 선별된 1차 모래골재는 1차 분급장치의 하방으로 낙하되어 모아지고, 분리된 미분 포함 분리물은 1차 분급장치의 집진 덕트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1차 분급 단계(S200); 및 상기 1차 분급 단계(S200)에서 배출되어 나오는 미분 포함 분리물을 제공받아 싸이클론 현상을 이용한 2차 분급장치를 통해 상기 미분 포함 분리물을 다시 2차 모래골재와 미분으로 분리 선별하여 2차 모래골재는 하방으로 낙하되어 모아지고, 미분 분리물은 2차 분급장치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모이도록 하는 2차 분급 단계(S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재생골재는 건설폐기물인 재생골재뿐만 아니라 석산 골재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1차 분급 단계(S200)의 1차 분급장치 및 상기 2차 분급 단계(S300)의 2차 분급장치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될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에 대한 설명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에 포함되는 1차 분급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의 1차 분급 장치에 구성되는 미분제거 블레이드 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의 1차 분급 장치에 구성되는 미분제거 블레이드 유닛의 블레이드 연결수단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의 1차 분급 장치에 구성되는 미분제거 블레이드 유닛의 블레이드 연결수단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의 1차 분급 장치에 구성되는 미분제거 블레이드 유닛의 블레이드 연결수단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의 1차 분급 장치에 구성되는 미분 배출 유닛의 일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의 1차 분급 장치에 구성되는 미분 배출 유닛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에 포함되는 2차 분급 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에 포함되는 2차 분급 장치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는, 도 2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석션 블로어가 연결되어 투입되는 재생골재에 포함되는 모래골재를 분급하기 위한 설비로서, 후술하는 각 구성부가 지지 설치되는 설비 프레임(10); 상기 설비 프레임(10)의 일측에 설치되고, 다단계 파쇄 및 분쇄를 통해 전처리된 모래 입자 크기의 재생골재가 투입되어 와류 현상을 이용하여 재생골재와 미분을 분리 선별하며, 선별된 1차 모래골재는 하방으로 낙하되어 모아지고, 분리된 미분 포함 분리물은 일측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1차 분급장치(100); 상기 1차 분급 장치에서 배출되어 나오는 미분 포함 분리물을 제공받아 싸이클론 현상을 이용하여 다시 2차 모래골재와 미분으로 분리 선별하며, 분리 선별된 2차 모래골재는 하방으로 낙하되어 모아지고, 미분 분리물은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2차 분급 장치(200); 및 상기 2차 분급 장치(200)에서 배출되는 미분 분리물을 집진하여 모으는 미분 분리물 처리 장치(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차 분급장치(1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1차 분급장치(100)는, 투입되는 재생골재가 하방으로 떨어지도록 안내하는 메인덕트(110)와, 일단부가 상기 메인덕트(110)의 상부 측에 연통되어 공기가 하향 공급되도록 이루어지고, 공기 유량을 조절하는 공기조절댐퍼(121)가 구성되는 제1 공기유입덕트(120)와, 상기 메인덕트(110)의 하부 일측면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하기 와류형성부 측으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이루어지며, 공기 유량을 조절하는 공기조절댐퍼(121)가 구성되는 제2 공기유입덕트(130)와, 상기 제2 공기유입덕트(130)와 평행하게 상기 메인 덕트(110)에 설치되고, 하기 와류형성부에서 분리 선별된 미분 분리물이 배출되는 집진 덕트(140)와, 호 형상의 내부 공간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메인덕트(110)의 하부 타측면에 연통되고, 그 연통부가 상기 집진 덕트(140)와 메인덕트(110)의 연통부와 마주하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집진 덕트(140) 측을 향하여 와류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와류형성부(150), 및 상기 메인 덕트(110)와 집진 덕트(140)의 연통부에 구성되고, 상기 집진 덕트(140)의 단부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되 하부의 공기 흡입량보다 상부의 공기 흡입량을 크게 하여 와류를 증대시키는 다수의 블레이드(161)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161)에 집적되는 미분을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미분제거 블레이드 유닛(160)을 포함한다.
상기 와류형성부(150)에는 개폐도어(15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와류형성부(150)는 상기 메인덕트(110)에 대하여 일단부를 축으로 개폐가능하게 구성되어 개방 시 내부를 청소하거나 내부 구성요소들을 유지 보수할 수 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미분제거 블레이드 유닛(160)은, 상기 메인덕트(110)와 집진덕트(140)의 연통부에 설치되고, 블레이드(161)의 단면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되어 블레이드(161)가 통과하는 다수의 블레이드 통과홈(171)이 구비되어 그 블레이드 통과홈(171)을 통해 블레이드(161)들이 좌우로 슬라이딩될 수 있는 블레이드 프레임(170)과, 상기 블레이드(161) 각각의 양단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상기 집진 덕트(140)에 형성되는 블레이드 노출홈(172)과, 상기 블레이드 노출홈(172)을 통해 돌출된 블레이드들의 일단부들에 일면이 연결되어 블레이드를 좌우로 슬라이딩시키는 블레이드 연결구(180)와, 상기 블레이드 연결구(180)의 타면에 연결되어 블레이드 연결구(180)를 왕복운동시키는 왕복구동부(185)와, 상기 집진덕트(140)와 왕복구동부(185) 사이에 위치하여, 블레이드 노출홈(172) 및 블레이드 연결구(180)를 외부와 차단시키는 보호커버(186), 및 상기 왕복구동부(185)를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미분제거 블레이드 유닛(160)은 상기 왕복구동부(185)가 블레이드 연결구(180)를 왕복운동시키면, 블레이드 연결구(180)는 다수의 블레이드(161)들을 다수의 블레이드 통과홈(171) 및 블레이드 노출홈(172)에 통과된 상태로 좌우로 슬라이딩된다. 따라서 블레이드(161)에 점착된 미분들은 블레이드 통과홈(171) 및 블레이드 노출홈(172)의 마찰(스크래핑)에 의해 블레이드(161)로부터 제거되게 된다.
상기 블레이드 프레임(170)은 블레이드(161)의 종방향(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수 개 배치되는 블레이드 프레임(170)들의 간격은 상호 동일하게 된다. 그리고 양단 측에 위치되는 블레이드 프레임(170)과 블레이드 노출홈(172)의 간격 또한 블레이드 프레임(170)들의 간격과 동일하다.
상기 블레이드 노출홈(172)은 블레이드 통과홈(171)과 마찬가지로 블레이드(161)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레이드 연결구(180)는 다수의 블레이드들의 일단부들에 연결되는 막대형상의 블레이드 연결바(181), 및 블레이드 연결바(181)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왕복구동부(185)에 연결되는 왕복구동부 연결바(1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연결구(180)의 왕복운동의 범위는 블레이드 프레임(170)들의 간격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왕복구동부 연결바(182)의 길이는 블레이드 프레임(170)들의 간격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왕복구동부(185)는 유압실린더 또는 전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186)는 블레이드 연결구(180) 및 블레이드 노출홈(172)이 외부로부터 영향받는 것을 보호한다. 블레이드 연결구(186)가 위치되는 집진덕트(140)의 일측면의 반대 측인 타측면에 구비되는 블레이드 노출홈(172)에도 보호커버(187)가 설치될 수 있다. 집진 덕트(140)의 타측면의 블레이드 노출홈(172)에서도 블레이드가 돌출되어 왕복운동을 하게 되므로 블레이드의 보호 및 안전사고의 예방을 위해 보호커버(187)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왕복구동부(185)는 보호커버(181)에 부착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왕복구동부(185)를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지 아니하여도 무방하게 된다.
상기 구동제어부는, 일정시간의 간격을 두고 간헐적으로 왕복구동부(185)를 작동시킨다. 블레이드(161)의 미분을 제거시키기 위해 왕복구동부(185)가 계속적으로 작동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일정시간 동안 미분이 점착되더라도 설비의 작동에는 크게 무리가 없으므로, 설비의 효율이 저하되는 시기에 맞춰 간헐적이고 반복적으로 왕복구동부(185)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이는 블레이드의 슬라이딩에 의한 마찰을 저감하여 블레이드의 유지에도 도움을 준다.
또한, 본 발명의 미분제거 블레이드 유닛(160)은 블레이드(161)의 일단부와 블레이드 연결구(186)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블레이드 연결수단(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 연결수단(400)은 블레이드(161)의 교체를 이용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왕복구동부(185) 및 보호커버(186)의 탈 거 후 블레이드 연결수단(400)을 통해 선택적으로 블레이드 연결구(186)와 블레이드(161)를 분리시킴으로써, 블레이드 노출홈(172)을 통해 블레이드(161)를 슬라이딩시켜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새 블레이드(161)를 블레이드 노출홈(172)을 통해 설치 후 블레이드 연결수단(400)을 통해 블레이드 연결구(186)와 블레이드(161)를 연결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블레이드 연결수단(400)은 일 실시 형태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레이드 연결구(186)에서 돌출되는 블레이드 연결턱(401)과, 블레이드(161)에 천공되는 블레이드 볼트홀(402)과, 블레이드 연결턱(401)에 천공되는 블레이드연결턱 볼트홀(403)과, 블레이드볼트홀 및 블레이드연결턱볼트홀에 통과되는 볼트(404), 볼트와 결합되는 너트(40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레이드 연결수단(400)은 블레이드연결구에서 돌출되는 블레이드 연결턱(401)과, 블레이드(161)에 천공되는 블레이드 핀홀(411)과, 블레이드 연결턱(401)에 천공되는 블레이드연결턱 핀홀(412)과, 블레이드 볼트홀 및 블레이드연결턱 볼트홀에 통과되는 연결핀(413)과, 연결핀의 고정시키는 연결핀 고정부재(414)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핀(413)은 연결핀머리(415)가 걸려서 고정된다. 동작 시 연결핀(413)이 이탈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연결핀 고정부재(414)를 포함하게 된다. 도 6에서 연결핀 고정부재는 일자형의 핀으로 나타내고 있으나 고정링 또는 볼트 또는 너트 또는 쐐기를 포함하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블레이드 연결턱(401)은, 블레이드의 상부면 및 하부면 양쪽 모두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블레이드와 밀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 형태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레이드 연결수단(400)은 블레이드에 천공되는 블레이드 걸림홀(421)과, 블레이드 연결구(186)에서 돌출된 후 절곡되어 블레이드 걸림홀(421)에 삽입되는 블레이드연결턱 걸림고리(42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분제거 블레이드 유닛(160)은 다수의 블레이드들을 포함하므로, 블레이드연결턱 걸림고리(422)는 다수 개 설치되며, 다수의 블레이드연결턱 걸림고리(422)들이 다수의 블레이드 걸림홀(421)들에 삽입되는 방향은 모두 동일해야 한다.
계속해서, 상기 미분제거 블레이드 유닛(160)에서, 블레이드와 블레이드 노출홈 사이의 유격을 통해 집진덕트(140) 내부의 미분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데, 이렇게 유출된 미분은 보호커버(186)의 내부에 집적되게 된다. 이러한 미분의 집적은 설비의 오작동을 초래할 소지가 있으므로 수시로 미분을 배출시키고 보호커버(186)의 내부를 세척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미분제거 블레이드 유닛(160)에서 상기 보호커버(186)의 하부에는 그 보호커버(186)의 내부에 집적되는 미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미분배출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미분배출수단은 보호커버(186)의 하부면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미분배출구(188)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보호커버(186)의 하부면은 미분배출구(188)를 향해 하향의 경사를 구비하는 미분배출경사면(189)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미분배출구(188)에는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미분배출구 커버(188a)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미분배출수단은 타단 측의 보호커버(187)에도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한 미분제거 블레이드 유닛(160)은 블레이드 프레임 및 블레이드 연결구 및 왕복구동부를 포함하여 1차 분급 장치 내부의 블레이드에 점착된 미분을 용이하게 제거하고, 블레이드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소모성 부품인 블레이드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2차 분급 장치(200)에 대하여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2차 분급 장치(200)는, 상기한 1차 분급 장치(100)에서 배출되어 나오는 미분 포함 분리물을 제공받아 싸이클론 현상을 이용하여 미분 포함 분리물에 포함되어 있는 소정 입자 크기의 2차 모래골재와 미분으로 분리 선별하며, 분리 선별된 2차 모래골재는 하방으로 낙하되도록 하고, 미분은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2차 분급 장치(200)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서 맴돌이 흐름을 형성하도록 하는 바디(210)와, 유입단이 상기 바디(210)의 상부 측에 법선 방향으로 연통되어 상기 1차 분급장치(100)로부터 미분 포함 분리물이 유입되는 유입덕트(220)와, 상기 바디(210) 내부에 구성되어 유입되는 미분 포함 분리물을 2차 모래골재와 미분으로 분리시키기 위한 골재-미분 분리 증강수단과, 상기 바디(210) 내에서 분리되어 낙하하는 2차 모래골재를 배출시키기 위한 분리골재 배출수단(230)과, 일단부는 상기 바디(210)의 중앙부 양측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바디(210) 내에서 분리되는 미분이 석션되어 배출되는 미분 배출 덕트(24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210)는 적어도 1개소에서 일단부를 축으로 개폐가능한 개폐도어(211)가 구성되어 개방 시 내부를 청소하거나 내부 구성요소들을 유지 보수할 수 있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개폐도어(211)는 실린더(212)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동작시킬 수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골재-미분 분리 증강수단은 상기 바디(210)의 내부 일측에 바디(210)의 내벽과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1차 분급장치(100)에서 유입되는 미분 포함 분리물을 다류 흐름으로 1차 분리하면서 내부 타측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제1 골재-미분 분리 부재(221), 및 상기 바디(210)의 내부 타측에 바디(210)의 내벽과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골재-미분 분리 부재(221)를 따라 가이드되어 오는 미분 포함 분리물을 다류 흐름으로 2차 분리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 골재-미분 분리 부재(22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골재-미분 분리 부재(221)는 일단부가 상기 유입덕트(220)의 유입단 측에 위치되고 소정 곡률을 가지면서 일정 길이 연장되어 바디(210)의 내부 일측에서 그 바디(210)의 내벽과 소정 간격을 갖고 구비되는 단면 호 형상의 플레이트 부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 골재-미분 분리 부재(222)는 일단부가 상기 분리골재 배출수단(230)의 배출구 측에 위치되고 소정 곡률을 가지면서 일정 길이 연장되어 바디(210)의 내부 타측에서 그 바디(210)의 내벽과 소정 간격을 갖고 구비되는 단면 호 형상의 플레이트 부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1 및 제2 골재-미분 분리 부재(221, 222)는 상기 바디(210)의 내부에서 맴돌이 흐름되는 미분 포함 분리물을 바깥쪽(바디의 내벽을 향하는 측)에는 무거운 물질(즉, 2차 모래골재)이 흐르도록 하고, 내측(바디의 중심을 향하는 측)에는 가벼운 물질(즉, 미분)이 흐르도록 하여 그 바디(210) 내부에서 미분이 2차 모래골재와 분리되어 바디(210)의 중심부 측에 모이도록 한다. 상기 바디(210)의 중심부 측에 모이는 미분은 바디(210)의 중앙부 양측에 연통되는 미분 분리 덕트(240)를 통해 바디(21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분리골재 배출수단(230)은 상기 바디(210)의 하방에 연통되는 분리골재 배출덕트(231)와, 상기 분리골재 배출덕트(231)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낙하되는 분리골재(2차 모래골재)를 일측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232), 및 상기 이송스크류(232)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233)을 포함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미분 배출 덕트(240)에 있어, 상기 바디(210)에 연통되는 미분 배출 덕트(240)의 각 단부(241)(도 11 참조)는 바디(210)의 중심 측으로 돌출되어, 즉 바디(210)의 중심에 가깝에 마주하여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미분 배출 덕트(240)는 맴돌이 흐름으로 바디(210)의 중심부에 모이는 미분을 위주로 효율적으로 확실하게 셕션하게 된다.
상기 2차 분급 장치(300)에서 분리된 미분을 집진하여 모으는 미분 분리물 처리 장치(300)는, 하부에 배출 호퍼(311)가 구성되는 하우징(310), 및 상기 하우징(310) 내에 구비되는 복수의 집진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미분 분리물 처리 장치(300)는 상기 집진부재를 좌우로 요동시켜 집진된 미분이 하방으로 용이하게 낙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집진부재 요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재생 모래골재 분급 방법 및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에 의하면, 재생골재로부터 소정 입자 크기의 모래를 다단계로 채취하여 분급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산업골재로서의 이용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재생 자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경제성을 도모하고, 친환경적인 재생골재 생산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처리된 재생골재를 원료로 하여 소정 크기 입자의 모래를 다단계로 채취하면서, 발생하는 미분이나 미세하게 파쇄된 이물질을 보다 효율적이고 확실하게 분리함으로써 양질의 모래골재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설비 프레임
100: 1차 분급장치
110: 메인덕트
120: 제1 공기유입덕트
130: 제2 공기유입덕트
140: 집진 덕트
150: 와류형성부
160: 미분제거 블레이드 유닛
161: 블레이드
170: 블레이드 프레임
171: 블레이드 통과홈
172: 블레이드 노출홈
180: 블레이드 연결구
185: 왕복구동부
186, 187: 보호커버
200: 2차 분급 장치
210: 바디
220: 유입덕트
221: 제1 골재-미분 분리 부재
222: 제2 골재-미분 분리 부재
230: 분리골재 배출수단
240: 미분 배출 덕트
300: 미분 분리물 처리 장치
400: 블레이드 연결수단
401: 블레이드 연결턱
402: 블레이드 볼트홀
403: 블레이드연결턱 볼트홀
404: 볼트
405: 너트

Claims (9)

  1. 삭제
  2. 석션 블로어가 연결되어 투입되는 재생골재에 포함되는 모래골재를 분급하기 위한 설비로서,
    설비 프레임;
    상기 설비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되고, 다단계 파쇄 및 분쇄를 통해 전처리된 모래 입자 크기의 재생골재가 투입되어 와류 현상으로 재생골재와 미분을 분리하며, 분리 선별된 1차 모래골재는 하방으로 낙하되어 모아지고, 미분 포함 분리물은 일측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는 1차 분급장치;
    상기 1차 분급 장치에서 배출되어 나오는 미분 포함 분리물을 제공받아 싸이클론 현상을 이용하여 다시 2차 모래골재와 미분으로 분리하며, 분리 선별된 2차 모래골재는 하방으로 낙하되어 모아지고, 미분 분리물은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는 2차 분급 장치; 및
    상기 2차 분급 장치에서 배출되는 미분 분리물을 집진하여 모으는 미분 분리물 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1차 분급장치는, 투입되는 재생골재가 하방으로 떨어지도록 안내하는 메인덕트와; 일단부가 상기 메인덕트의 상부 측에 연통되어 공기가 하향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제1 공기유입덕트와; 상기 메인덕트의 하부 일측면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하기 와류형성부 측으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제2 공기유입덕트와; 상기 제2 공기유입덕트와 평행하게 상기 메인덕트의 일측에 구성되고, 하기 와류형성부에서 분리 선별되는 미분 분리물이 배출되는 집진 덕트와; 호 형상의 내부 공간을 갖도록 돌출 형성되어 상기 메인덕트의 하부 타측면에 연통되고, 그 연통부가 상기 집진 덕트의 연통부와 마주하며, 내부 공간에서 상기 집진 덕트 측을 향하여 와류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와류형성부; 및 상기 집진 덕트의 연통부에 구성되고, 하부의 공기 흡입량보다 상부의 공기 흡입량을 크게 하여 와류를 증대시키도록 상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블레이드에 집적되는 미분을 제거하도록 구성되는 미분제거 블레이드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미분제거 블레이드 유닛은, 상기 집진덕트의 연통부에 설치되고, 블레이드의 단면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되어 블레이드가 슬라이딩 가능한 다수의 블레이드 통과홈이 구비되는 블레이드 프레임과; 상기 블레이드 각각의 양단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상기 집진 덕트에 형성되는 블레이드 노출홈과; 상기 블레이드 노출홈을 통해 돌출된 블레이드의 일단부들에 일면이 연결되어 블레이드를 횡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도록 연결되는 블레이드 연결구와; 상기 블레이드 연결구의 타면에 연결되어 블레이드 연결구를 왕복구동시키는 왕복구동부와; 상기 집진덕트와 왕복구동부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블레이드 노출홈 및 블레이드 연결구를 커버하는 보호커버; 및 상기 왕복구동부를 제어하는 구동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제거 블레이드 유닛은
    상기 블레이드의 일단부와 블레이드 연결구를 착탈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블레이드 연결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분급 장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서 맴돌이 흐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바디;
    유입단이 상기 바디의 상부 측에 법선 방향으로 연통되어 상기 1차 분급장치로부터 미분 포함 분리물이 유입되는 유입덕트;
    상기 바디 내부에 구성되어 유입되는 미분 포함 분리물을 2차 모래골재와 미분으로 분리시키기 위한 골재-미분 분리 증강수단;
    상기 바디 내에서 분리되어 낙하하는 2차 모래골재를 배출시키기 위한 분리골재 배출수단;
    일단부는 상기 바디의 중앙부 양측에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바디 내에서 분리되는 미분이 석션되어 배출되는 미분 배출 덕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미분 분리 증강수단은
    상기 바디의 내부 일측에서 그 바디의 내벽과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1차 분급장치에서 유입되는 미분 포함 분리물을 다류 흐름으로 분리하면서 내부 타측으로 가이드하기 위한 제1 골재-미분 분리 부재; 및
    상기 바디의 내부 타측에서 그 바디의 내벽과 이격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골재-미분 분리 부재를 따라 가이드되어 오는 미분 포함 분리물을 다류 흐름으로 분리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 골재-미분 분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골재-미분 분리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유입덕트의 유입단 측에 위치되고 소정 곡률을 가지면서 일정 길이 연장되어 상기 바디의 내부 일측에서 그 바디의 내벽과 소정 간격을 갖고 구비되는 단면 호 형상의 플레이트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골재-미분 분리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분리골재 배출수단의 배출구 측에 위치되고 소정 곡률을 가지면서 일정 길이 연장되어 바디의 내부 타측에서 그 바디의 내벽과 소정 간격을 갖고 구비되는 단면 호 형상의 플레이트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 배출 덕트는 상기 바디에 연통되는 단부가 상기 바디의 중심 측으로 돌출되어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
KR1020180143720A 2018-11-20 2018-11-20 건식 재생 모래골재 분급 방법 및 건식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 KR101987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720A KR101987081B1 (ko) 2018-11-20 2018-11-20 건식 재생 모래골재 분급 방법 및 건식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720A KR101987081B1 (ko) 2018-11-20 2018-11-20 건식 재생 모래골재 분급 방법 및 건식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7081B1 true KR101987081B1 (ko) 2019-06-10

Family

ID=66847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720A KR101987081B1 (ko) 2018-11-20 2018-11-20 건식 재생 모래골재 분급 방법 및 건식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0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19648A (zh) * 2021-03-02 2021-06-25 合肥水泥研究设计院有限公司 一种废弃混凝土再生砂粉高效制备系统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298Y1 (ko) 2002-11-13 2003-02-07 (주)대명크라샤 건축 폐기물을 이용한 재생모래 생산장치
KR200308843Y1 (ko) 2002-12-23 2003-03-28 엠비렌탈주식회사 부순 모래 생산을 위한 시스템 구성 장치
KR20030064185A (ko) 2002-01-26 2003-07-31 (주)대명크라샤 건설폐기물 골재화 장치 및 재생모래 생산장치
KR100894451B1 (ko) 2008-09-23 2009-04-24 경동기계 주식회사 건식 모래 분급장치
KR20140117223A (ko) * 2013-03-26 2014-10-07 주식회사 한미이엔씨 공기 분급장치
CN204620430U (zh) * 2015-01-13 2015-09-09 福建省绿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选粉分级一体机
KR101559914B1 (ko) * 2015-07-03 2015-10-14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골재의 미분 분리장치
KR101785001B1 (ko) * 2016-04-12 2017-10-12 주식회사 한미이엔씨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4185A (ko) 2002-01-26 2003-07-31 (주)대명크라샤 건설폐기물 골재화 장치 및 재생모래 생산장치
KR200303298Y1 (ko) 2002-11-13 2003-02-07 (주)대명크라샤 건축 폐기물을 이용한 재생모래 생산장치
KR200308843Y1 (ko) 2002-12-23 2003-03-28 엠비렌탈주식회사 부순 모래 생산을 위한 시스템 구성 장치
KR100894451B1 (ko) 2008-09-23 2009-04-24 경동기계 주식회사 건식 모래 분급장치
KR20140117223A (ko) * 2013-03-26 2014-10-07 주식회사 한미이엔씨 공기 분급장치
CN204620430U (zh) * 2015-01-13 2015-09-09 福建省绿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选粉分级一体机
KR101559914B1 (ko) * 2015-07-03 2015-10-14 주식회사 한강이앰피 골재의 미분 분리장치
KR101785001B1 (ko) * 2016-04-12 2017-10-12 주식회사 한미이엔씨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19648A (zh) * 2021-03-02 2021-06-25 合肥水泥研究设计院有限公司 一种废弃混凝土再生砂粉高效制备系统
CN113019648B (zh) * 2021-03-02 2024-04-30 合肥水泥研究设计院有限公司 一种废弃混凝土再生砂粉高效制备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192080U (zh) 报废汽车车身整体破碎及综合回收处理线
EP0979677B1 (en) Shredder dust treatment process
US7387266B2 (en) Aggregate recycling apparatus having air circulation type foreign substance and fine particle separation means, and method thereof
US4070273A (en) Glass recovery
KR101305130B1 (ko) 폐차 잔재물의 폴리우레탄 폼 및 섬유 선별 장치
KR101107504B1 (ko) 플라스틱 스크랩에 혼합된 분진제거장치
KR101685025B1 (ko) 건설폐기물의 순환골재 선별처리장치
CN108237135A (zh) 一种建筑垃圾预处理系统的设备
JP2022509901A (ja) 粒状物質を洗浄および等級付け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9482623A (zh) 装修垃圾处理设备
KR100582847B1 (ko) 건축 폐기물 순환골재 선별장치 및 그 선별방법
KR100889809B1 (ko) 건식 공정으로 도로공사용 또는 콘크리트용 순환골재를생산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2541391B1 (ko) 미립자를 제거한 친환경 구조용 바텀애시 경량골재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987081B1 (ko) 건식 재생 모래골재 분급 방법 및 건식 재생 모래골재 분급 설비
CN111185384B (zh) 一种建筑垃圾用筛选机
JPH11244838A (ja) シュレッダーダストの資源化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設備
CN112827641B (zh) 一种极细粒萤石选矿重选工艺及其设备
CN101585042B (zh) 废弃电路板中有价成分的水介质物理回收工艺及其设备
KR100734520B1 (ko) 건설폐기물의 에어 선별장치
CN209049496U (zh) 一种盘式方刀粉碎机
KR20040028023A (ko) 건설폐기물의 파/분쇄및 선별장치
KR100649953B1 (ko) 건설폐기물을 이용한 골재 및 토분 생산장치
CN212329234U (zh) 一种玻璃回收系统
CN208583790U (zh) 一种振动脱水分离机
KR20030064185A (ko) 건설폐기물 골재화 장치 및 재생모래 생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