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4568B1 - 모래분급장치 - Google Patents

모래분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4568B1
KR100614568B1 KR1020050030251A KR20050030251A KR100614568B1 KR 100614568 B1 KR100614568 B1 KR 100614568B1 KR 1020050030251 A KR1020050030251 A KR 1020050030251A KR 20050030251 A KR20050030251 A KR 20050030251A KR 100614568 B1 KR100614568 B1 KR 100614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mixture
rotary
screen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환
Original Assignee
김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환 filed Critical 김동환
Priority to KR1020050030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45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03B5/3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using heavy liquids or suspensions
    • B03B5/32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using heavy liquids or suspensions using centrifugal force
    • B03B5/34Applications of hydrocycl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7/00Combinations of wet processes or apparatus with other processes or apparatus, e.g. for dressing ores or garb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07B1/288Tumbling screens

Landscapes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래분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 중 일정크기 이상의 혼합물을 미리 분리하여 사이클론과 탈수스크린의 작동능력을 향상시키고, 혼합물을 사이클론으로 강제 이동시키는 펌프의 과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모래분급장치는, 일측부에 투입구(101)로 공급된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을 분리시키기 위해 이동시키도록 펌프(42)가 연결된 사이클론(40);과, 모래와 잔토가 혼합된 혼합물을 모래와 잔토로 분리 배출시키도록 진동모터(34)가 연결된 스크린판(31)이 형성되는 탈수스크린(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모래분급장치에 있어서,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을 이동시키며 스크린판(31) 상측을 지나 모래분급몸체(100)의 투입구(101)로 연결 형성되는 슈트(10);와, 스크린판(31) 상측에 위치되는 상기 슈트(10)의 어느 한 부분의 하측에 회전분리공(21)이 형성되고, 회전분리공(21)의 하측에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이 이동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날개(22)가 형성되는 회전분리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모래분급장치 {SAND UNIT}
도 1은 종래의 모래분급장치의 구성상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래분급장치의 구성상태를 나타내는 전면 및 측면 단면상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래분급장치에 적용되는 회전분리부의 전면 및 측면의 확대단면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래분급장치에 적용되는 높이조절수단의 측면의 확대단면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슈트 20 : 회전분리부
21 : 회전분리공 22 : 회전날개
23 : 가이드 24 : 회전모터
25 : 상부지지대 25a : 이동기어
26 : 측부지지대 27 : 높이조절수단
28 : 회전기어 29 : 회전레버
30 : 탈수스크린 31 : 스크린판
32 : 진동스프링 33 : 진동연결구
34 : 진동모터 40 : 사이클론
41 : 측부공급구 42 : 펌프
43 : 측부공급관 44 : 하부배출구
45 : 상부배출구 46 : 상부배출관
50 : 리사이클링박스 51 : 침전수배출구
52 : 침전수공급구 53 : 플로팅밸브
100 : 모래분급몸체 101 : 투입구
본 발명은 모래분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 중 일정크기 이상의 혼합물을 미리 분리하여 사이클론과 탈수스크린의 작동능력을 향상시키고, 혼합물을 사이클론으로 강제 이동시키는 펌프의 과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모래분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래가 혼합된 혼합물을 모래와 잔토 및 물 등으로 선별 분리하는 모래분급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측부에 투입구(101)로 공급된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을 분리시키기 위해 이동시키도록 펌프(42)가 연결된 측부공급구(41)가 형성되고, 하부에 하부배출구(44)가 위치되며, 상부에 잔토와 물을 배출시 킬 수 있는 상부배출구(45)가 형성되어 분급몸체의 일측에 위치되는 사이클론(40);과, 모래와 잔토가 혼합된 혼합물을 모래와 잔토로 분리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배출구(44)의 하측이면서 스크린몸체(35)의 하부에 스크린판(31)이 형성되며, 스크린몸체(35)의 전후 양측에 진동스프링(32)이 형성되면서 스크린몸체(35)의 일측에 진동모터(34)가 형성되는 탈수스크린(30);과, 상기 상부배출구(45)와 연결되어 유입되는 잔토와 물을 침전조로 배출시키는 침전수배출구(51)가 일측에 형성되고, 잔토와 물의 일부가 공급되어 모래분급몸체(100)의 일정 수위를 유지하도록 플로팅밸브(53)가 장착된 침전수공급구(52)가 모래분급몸체(100)와 연결되는 리사이클링박스(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모래분급장치는 입자의 크기가 4~5mm인 혼합물이 펌프(42)에 의해 사이클론(40)으로 강제 이동시킬 경우 펌프(42)의 능력에 한계가 있어 과부하가 일어나 펌프(42)에 무리를 주면서 펌프(42)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또한 입자의 크기가 4~5mm인 다량의 혼합물이 펌프(42)에 의해 사이클론(40)으로 바로 이동되어 회전 분리되기 때문에 사이클론(40)에도 무리가 생기며 작동능력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어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 중 일정크기 이상의 혼합물을 미리 분리한 후 남은 일정크기 이하의 혼합물을 펌프(42)를 통해 사이클론(40)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 중 일정크기 이상의 혼합물을 미리 분리하여 사이클론과 탈수스크린의 작동능력을 향상시키고, 혼합물을 사이클론으로 강제 이동시키는 펌프의 과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모래분급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래분급장치는, 일측부에 투입구(101)로 공급된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을 분리시키기 위해 이동시키도록 펌프(42)가 연결된 측부공급구(41)가 형성되고, 하부에 하부배출구(44)가 위치되며, 상부에 잔토와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상부배출구(45)가 형성되어 분급몸체의 일측에 위치되는 사이클론(40);과, 모래와 잔토가 혼합된 혼합물을 모래와 잔토로 분리 배출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배출구(44)의 하측이면서 스크린몸체(35)의 하부에 스크린판(31)이 형성되며, 스크린몸체(35)의 전후 양측에 진동스프링(32)이 형성되면서 스크린몸체(35)의 일측에 진동모터(34)가 형성되는 탈수스크린(30);과, 상기 상부배출구(45)와 연결되어 유입되는 잔토와 물을 침전조로 배출시키는 침전수배출구(51)가 일측에 형성되고, 잔토와 물의 일부가 공급되어 모래분급몸체(100)의 일정 수위를 유지하도록 플로팅밸브(53)가 장착된 침전수공급구(52)가 모래분급몸체(100)와 연결되는 리사이클링박스(5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모래가 혼합된 혼합물을 모래와 잔토로 선별하는 모래분급장치에 있어서,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을 이동시키며 스크린판(31) 상측을 지나 모래분급몸체(100)의 투입구(101)로 연결 형성되는 슈트 (10);와, 스크린판(31) 상측에 위치되는 상기 슈트(10)의 어느 한 부분의 하측에 회전분리공(21)이 형성되고, 회전분리공(21)의 하측에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이 이동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날개(22)가 형성되는 회전분리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 중 일정크기 이상의 혼합물을 미리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회전분리부(20)의 일측에 회전모터(24)가 장착되되 회전날개(22)에 연결되어 회전날개(22)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분급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회전분리부(20)의 일측에 회전날개(2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분급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래분급장치의 구성상태를 나타내는 전면 및 측면 단면상태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래분급장치는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을 선별하되 사이클론(40)을 통해 잔토와 모래를 분리하고 탈수스크린(30)을 통해 재생가능한 모래를 선별하며 모래를 선별하고 남은 잔여물을 재차 사이클론(40)으로 이동시켜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결과적으로 모래를 선별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모래분급장치는 모래분급몸체(100)의 일측 중간에 형성된 투입구(101)로 공급된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을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모래분급몸체(100)의 일측에 사이클론(40)이 형성된다.
아울러 사이클론(40)은 공급된 혼합물을 사이클론(40)의 내부로 이동시키도록 일측부에 펌프(42)와 연결된 측부공급구(41)가 형성되되, 측부공급구(41)는 측부공급관(43)에 의해 펌프(42)와 연결되고 상기 펌프(42)는 측부공급관(43)에 의해 모래분급몸체(100)의 하부에 연결 형성된다.
또한 사이클론(40)은 하부에 하부배출구(44)가 위치되되 하부배출구(44)는 모래분급몸체(100)의 상부인 스크린판(31)(후술됨)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측부에 잔토와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상부배출구(45)가 형성되며, 사이클론(40)은 상하부배출구(44,45)를 통해 각각 잔토와 모래가 용이하게 분리 배출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부배출구(45)에는 상부배출관(46)이 연결되고, 모래분급몸체(100)의 하부는 혼합물이 하부로 모이도록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모래분급몸체(100)의 상측에는 사이클론(40)에 의해 잔토가 일부 분리되어 하부배출구(44)로 배출된 모래와 잔토가 혼합된 혼합물을 모래와 잔토로 분리할 수 있도록 탈수스크린(30)이 형성된다.
아울러 탈수스크린(30)은 스크린몸체(35)의 하부에 혼합물이 이동 가능하게 스크린판(31)이 형성되되 하부배출구(44)의 하측에 스크린판(31)의 일단이 위치되며, 스크린몸체(35)의 스크린판(31)이 진동되어 모래와 잔토가 분리되도록 스크린몸체(35)의 전후 양측에 진동연결구(33)가 형성되면서 진동연결구(33)와 모래분급몸체(100)의 일측에 진동스프링(32)이 형성되고, 스크린몸체(35)의 일측에 진동모 터(34)가 형성된다.
다른 한편 사이클론(40)의 일측이면서 모래분급몸체(100)의 일측에는 상부배출구(45)로 배출되는 잔토와 물이 일시적으로 모였다가 잔토와 물의 대부분이 침전조로 배출되고 잔토와 물의 일부는 모래분급몸체(100)의 내부로 재공급될 수 있도록 리사이클링박스(50)가 형성된다.
아울러 리사이클링박스(50)는 일측에 상부배출관(46)에 의해 상부배출구(45)와 연결되어 유입되는 잔토와 물을 침전조로 배출시키는 침전수배출구(51)가 형성되고, 타측에 잔토와 물의 일부가 공급되어 모래분급몸체(100)의 일정 수위를 유지하도록 플로팅밸브(53)가 장착된 침전수공급구(52)가 모래분급몸체(100)와 연결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모래분급장치는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 중 일정크기 이상의 혼합물을 미리 분리하여 사이클론(40)과 탈수스크린(30)의 작동능력을 향상시키고, 혼합물을 사이클론(40)으로 강제 이동시키는 펌프(42)의 과부하를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모래분급장치에 적용되는 회전분리부(20)의 전면 및 측면의 확대단면상태도이다.
따라서 석산에서 채취된 골재는 분리와 파쇄를 반복하여 5mm 이하의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을 공급받아 이동시키도록 모래분급몸체(100)의 투입구(101)에 슈트(10)가 연결 형성되되, 스크린판(31)의 위를 지나 투입구(101)에 연결된다.
그리고 일정한 크기 이상의 혼합물을 미리 분리하여 스크린판(31)을 통해 모 래와 잔토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스크린판(31)의 상부를 지나는 슈트(10)의 일측 하부에 회전분리부(20)가 형성된다.
또한 회전분리부(20)는 스크린판(31)의 위를 지나는 슈트(10)의 어느 한 부분의 하측에 회전분리공(21)이 형성되고, 분리 배출되는 혼합물이 양측으로 분산되지 않고 바로 하측에 떨어지도록 혼합물이 이동되는 방향의 회전분리공(21) 양측 하단에 가이드(23)가 회전날개(22)의 회전반경에 맞게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아울러 슈트(10)의 상부에 상부지지대(25)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지대(25)의 양단에는 측부지지대(26)가 하방으로 형성되며, 회전분리공(21)의 하측에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이 이동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회전날개(22)가 양측 측부지지대(26)에 의해 지지 형성된다.
그리고 슈트(10)는 투입구(101)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투입되는 혼합물이 하중에 의해 자연스럽게 투입구(101)로 이동되면서 회전분리부(20)에 의해 일부 배출되게 할 수 있으며, 상부지지대(25)의 상부에 회전모터(24)가 장착되되 풀리 등에 의해 회전날개(22)에 연결되어 회전날개(22)를 회전시킴으로써 혼합물의 입자의 크기에 따라서 회전날개(22)의 회전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여기서 점선부분은 회전모터(24)를 장착한 상태이다.
한편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회전분리부(20)의 일측에 상부지지대(25)와 측부지지대(26)를 상하이동시킴으로써 회전날개(2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수단이 설치되는데, 높이조절수단은 상부지지대(25)의 일측부에 이동기어(25a)가 형성되고 슈트(10)의 상부 일측에는 회전기어(28)가 회전가능하게 상기 이 동기어(25a)에 치합 형성되면서 회전기어(28)의 상부에는 회전기어(28)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레버(29)가 형성된다. 여기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래분급장치에 적용되는 높이조절수단의 측면의 확대단면상태도이며, 점선부분은 회전모터(24)를 장착한 상태이다.
여기서 이동기어(25a)는 수평으로 요홈 형성된 나사산이 수직으로 배열되며, 회전기어(28)는 경사지게 원주면에 요홈 형성된 나사산이 수직으로 배열되고, 이때 가이드(23)는 회전날개(22)가 슈트(10) 내부까지 높이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수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높이조절수단은 일예로서 설명된 것이며 회전날개(22)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회전날개(22)를 비롯한 상부지지대(25)와 측부지지대(26)를 상하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수단이든지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모래분급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을 분리 선별하되 회전분리부(20)를 통해 일정한 크기 이상의 혼합물을 분리시킨 다음 탈수스크린(30)을 통해 모래를 선별하고, 모래분급몸체(100)에 투입된 혼합물은 사이클론(40)을 통해 잔토와 모래를 분리한 후 다시 탈수스크린(30)을 통해 재생가능한 모래를 선별하며, 모래를 선별하고 남은 잔여물을 재차 사이클론(40)으로 이동시키는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결과적으로 모래를 선별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3a 및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은 슈트(10)를 통해 이동되다가 일정크기 이상의 혼합물(주로 4~5mm 이하)은 회전날개(22)가 회전하는 회전분리공(21)으로 배출되고 일정크기 이하의 혼합물(주로 3mm 이하)은 슈트(10)를 따라 모래분급몸체(100)의 투입구(101)로 이동 투입된다. 도 3a 및 도 3b는 혼합물의 이동경로를 보여준다. 이때 회전분리공을 크게 개구시킬수록 처리용량을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슈트(10)를 통해 이동되는 혼합물은 물과 함께 이동되되, 입자가 크고 비중이 큰 혼합물일수록 슈트(10)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이동되고 입자가 작고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은 혼합물일수록 슈트(10)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이동된다.
더불어 입자의 크기와 비중에 따라 위치를 달리하여 이동되는 혼합물은 회전분리공(21)의 상측을 이동할 때, 입자가 크고 비중이 큰 혼합물은 회전날개(22)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날개(22)와 회전날개(22) 사이에 담겼다가 회전날개(22)가 회전할 때 같이 회전하여 하측으로 낙하하고, 상대적으로 입자가 작고 비중이 작은 혼합물은 회전날개(22)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날개(22)의 회전력에 의해 혼합물이 이동되던 방향으로 다시 이동된다.
여기서 회전분리부(20)에 의해 입자와 비중에 따라 혼합물이 분리되지만, 대체적으로 분리되는 것이며 회전분리공(21)으로 입자가 작고 비중이 작은 혼합물이 낙하될 수 있고, 슈트(10)를 따라 입자가 크고 비중이 큰 혼합물이 이동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회전분리공(21)으로 낙하된 혼합물은 탈수스크린(30)의 스크린 판(31)으로 이동되어 재생가능한 모래를 선별 이동시키고, 모래로 사용하기 어려운 잔토와 물은 스크린판(31) 하측으로 낙하하여 모래분급몸체(100) 하부에 모이게 된다.
또한 슈트(10)를 통해 이동되는 혼합물은 투입구(101)로 투입되어 스크린판(31) 하측으로 낙하된 잔토 및 물과 함께 모래분급몸체(100) 하부로 모이게 되고, 모래분급몸체(100)의 내부에 모여 섞인 혼합물은 펌프(42)에 의해 사이클론(40)의 측부공급구(41)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측부공급구(41)로 공급되는 혼합물은 사이클론(40) 내부에서 공급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비중이 작은 잔토와 물은 상부배출구(45)로 배출되고, 비중이 큰 모래가 주를 이루는 혼합물은 하부배출구(44)로 배출된다.
이어서 하부배출구(44)로 배출되는 혼합물은 스크린판(31) 위로 낙하되어 재차 모래를 선별하면서 잔토와 물을 모래분급몸체(100)로 낙하시키며, 상부배출구(45)로 배출되는 잔토와 물은 리사이클링박스(50)로 이동된다.
아울러 리사이클링박스(50)로 이동된 잔토와 물은 대부분 침전수배출구(51)를 통해 침전조로 이동되고, 잔토와 물의 일부는 펌프(42)에 의해 혼합물을 강제 이동시키는 매체로 사용되도록 침전수공급구(52)를 통해 모래분급몸체(100)에 다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침전수공급구(52)에는 플로팅밸브(53)가 장착되어 모래분급몸체(100)의 수위에 따라 침전수공급구(52)를 개폐하여 작동하게 되므로, 모래분급몸체(100)의 수위가 낮아 잔토가 혼합된 물이 부족해지면 플로팅밸브(53)가 침전수공급 구(52)를 개방시키고 모래분급몸체(100)의 수위가 높아 잔토가 혼합된 물이 충분해지면 플로팅밸브(53)가 침전수공급구(52)를 페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모래분급장치는 모래와 잔토를 분리 선별하는 장치로서, 석산에서 채취된 골재에서 모래를 선별하는 데 사용할 수 있고, 그 외에 건설폐기물 중 재생골재를 선별하는 과정에 사용되는 등 모래를 분리 선별할 수 있는 경우라면 다른 어떤 경우에도 사용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래분급장치는 모래와 잔토 등의 혼합물이 펌프에 의해 사이클론으로 바로 이동시키기 전에 먼저 일정크기 이상의 혼합물을 선별하여 혼합물 중 모래를 선별할 수 있도록 슈트가 탈수스크린 상부를 지나 투입구에 연결되며 탈수스크린 상측의 슈트 일부분에 회전날개를 설치함으로써, 펌프의 과부하를 줄이면서 펌프와 사이클론의 수명을 연장시키며 종래의 모래분급장치보다 처리용량이 2~3배 이상 증가되는 등 모래와 잔토의 선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날개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수단을 슈트의 일측에 형성시킴으로써 입자의 크기나 양에 따라 회전날개의 높이를 조절하여 모래의 선별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

  1. 일측부에 투입구(101)로 공급된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을 분리시키기 위해 이동시키도록 펌프(42)가 연결된 측부공급구(41)가 형성되고, 하부에 하부배출구(44)가 위치되며, 상부에 잔토와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상부배출구(45)가 형성되어 분급몸체의 일측에 위치되는 사이클론(40);과,
    모래와 잔토가 혼합된 혼합물을 모래와 잔토로 분리 배출시키도록 상기 하부배출구(44)의 하측이면서 스크린몸체(35)의 하부에 스크린판(31)이 형성되며, 스크린몸체(35)의 전후 양측에 진동스프링(32)이 형성되면서 스크린몸체(35)의 일측에 진동모터(34)가 형성되는 탈수스크린(30);과,
    상기 상부배출구(45)와 연결되어 유입되는 잔토와 물을 침전조로 배출시키는 침전수배출구(51)가 일측에 형성되고, 잔토와 물의 일부가 공급되어 모래분급몸체(100)의 일정 수위를 유지하도록 플로팅밸브(53)가 장착된 침전수공급구(52)가 모래분급몸체(100)와 연결되는 리사이클링박스(5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모래가 혼합된 혼합물을 모래와 잔토로 선별하는 모래분급장치에 있어서,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을 이동시키며 스크린판(31) 상측을 지나 모래분급몸체(100)의 투입구(101)로 연결 형성되는 슈트(10);와,
    스크린판(31) 상측에 위치되는 상기 슈트(10)의 어느 한 부분의 하측에 회전분리공(21)이 형성되고, 회전분리공(21)의 하측에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이 이동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날개(22)가 형성되는 회전분리부(20);를 포함하여 이루 어져, 모래와 잔토의 혼합물 중 일정크기 이상의 혼합물을 미리 분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분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분리부(20)의 일측에 회전모터(24)가 장착되되 회전날개(22)에 연결되어 회전날개(22)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분급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분리부(20)의 일측에 회전날개(2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이조절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분급장치.
KR1020050030251A 2005-04-12 2005-04-12 모래분급장치 KR100614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251A KR100614568B1 (ko) 2005-04-12 2005-04-12 모래분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251A KR100614568B1 (ko) 2005-04-12 2005-04-12 모래분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4568B1 true KR100614568B1 (ko) 2006-08-25

Family

ID=37601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251A KR100614568B1 (ko) 2005-04-12 2005-04-12 모래분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45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68180A (zh) * 2014-09-02 2015-06-03 梁三英 建筑用筛分机
CN109107746A (zh) * 2018-09-15 2019-01-01 浙江双金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细料回收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69576A2 (en) 1986-11-18 1988-06-01 Libra S.A. Equipment and method for the separate recovery of coarse aggregates, fine aggregates and residual water and cement from concrete mix
KR20000009498A (ko) * 1998-07-24 2000-02-15 이종구 건축용 조골재 및 쇄석모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205219Y1 (ko) 2000-07-05 2000-12-01 장재영 골재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69576A2 (en) 1986-11-18 1988-06-01 Libra S.A. Equipment and method for the separate recovery of coarse aggregates, fine aggregates and residual water and cement from concrete mix
KR20000009498A (ko) * 1998-07-24 2000-02-15 이종구 건축용 조골재 및 쇄석모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205219Y1 (ko) 2000-07-05 2000-12-01 장재영 골재선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68180A (zh) * 2014-09-02 2015-06-03 梁三英 建筑用筛分机
CN109107746A (zh) * 2018-09-15 2019-01-01 浙江双金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细料回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84507C (en) Axial flow, bi-rotor concrete reclaimer
KR100529690B1 (ko) 건축 폐기물 분류장치 및 그 방법
Falconer Gravity separation: old technique/new methods.
KR100650509B1 (ko) 침강저류조를 포함하여 제공되는 진동스크린 분리방법 및그 장치
JP4676245B2 (ja) 再生細骨材の製造方法、並びに、再生細骨材
KR101988351B1 (ko) 석발기
JP2022509901A (ja) 粒状物質を洗浄および等級付け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20170151573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fines recovery
KR102236386B1 (ko) 곡물 분쇄 시스템
CN108031554A (zh) 餐厨垃圾分选系统
KR100614566B1 (ko) 입도별 모래선별장치
KR100614568B1 (ko) 모래분급장치
KR101785001B1 (ko) 건식 및 습식 혼용 재생 잔골재 생산방법
KR101956741B1 (ko) 골재 파쇄물을 이용한 모래 제조방법
US65613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lightweight particulates during processing of a primary material
CN112476851A (zh) 一种复杂尾料破碎多级分选系统
CN109939789B (zh) 一种矿浆粗颗粒筛分研磨装置
KR20040057498A (ko) 폐콘크리트를 이용한 재생골재의 생산방법 및 장치
JP2004337747A (ja) 分級装置
CN206824186U (zh) 在石灰岩石料中提取石屑、机制砂和矿粉的设备
CN112827641B (zh) 一种极细粒萤石选矿重选工艺及其设备
KR100631036B1 (ko) 건설폐기물 중 이물질 및 경량모래 선별방법
KR20030051484A (ko) 공기분급기를 이용한 건식 모래 생산장치 및 그 방법
CN219463497U (zh) 一种筛分设备
KR20060072021A (ko) 골재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