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2468B1 - 광석 선별용 스크린망 - Google Patents

광석 선별용 스크린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2468B1
KR101272468B1 KR1020120140721A KR20120140721A KR101272468B1 KR 101272468 B1 KR101272468 B1 KR 101272468B1 KR 1020120140721 A KR1020120140721 A KR 1020120140721A KR 20120140721 A KR20120140721 A KR 20120140721A KR 101272468 B1 KR101272468 B1 KR 101272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e
sorting
screen
sorting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0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하
김동현
Original Assignee
김동현
이규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현, 이규하 filed Critical 김동현
Priority to KR1020120140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24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석 선별용 스크린망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종 파쇄기에서 파쇄된 다양한 크기의 광석을 일정한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용 스크린망으로 광석이 이송되어 올 때, 선별용 스크린망의 선별판 내부에 다수 형성된 미끄럼 방지턱에 의해 광석을 광석정체수용부에 정체시켜서 미처 선별하지 못한 광석들을 재차 선별하게 함으로써 선별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 구성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형의 판면에 테두리(11)를 돌출시켜 오목하게 형성된 선별판(10)과,
상기 선별판(10)에 수직으로 상부는 좁고 하부가 넓은 상협하광으로 천공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각형의 관통홀(12)로 구성된 광석 선별용 스크린망에 있어서, 상기 선별판(10)의 내부에 격자형으로 돌출하여 중앙부에서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형성함과 동시에 오목하게 다수개의 광석정체수용부(30)를 형성한 미끄럼 방지턱(20)과, 상기 선별판(10)의 보강을 위하여 일측 테두리(11)와 중앙부(13)의 내부에 각각 삽입장착할 수 있게 폭보다 높이가 길게 형성된 보강심재(40)와, 상기 보강심재(40)에는 선별판(10)과 보강심재(40)가 분리되지 않게 일체로 결합되도록 다수개가 천공된 연결홈(41)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석 선별용 스크린망{Screen for sorting aggregate}
본 발명은 광석 선별용 스크린망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각종 파쇄기에서 파쇄된 다양한 크기의 광석을 일정한 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용 스크린망으로 광석이 이송되어 올 때, 선별용 스크린망의 선별판 내부에 격자형으로 다수 형성된 미끄럼 방지턱에 의해 형성된 광석정체수용부에 광석을 정체시켜서 미처 선별되지 못한 광석들을 재차 선별하게 함으로써 선별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석 선별 스크린망은 광산이나 모래 채취장 또는 건자재를 재활용하는 곳에서 모래나 자갈과 같은 비교적 작은 입자의 광물을 필요로 하는 크기로 선별하기 위한 걸름망이다.
광석 선별 스크린망은 형태 및 재질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비되며, 예전에는 주로 철망을 이용하였으나 최근에는 폴리우레탄이나 고무로 이루어지는 선별망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폴리우레탄이나 고무는 종전의 철망에 비해 내구력이 좋을 뿐만 아니라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고, 또한 제작에도 유리한 이점이 있어 현재는 대부분의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도 고무는 자체적으로 갖고 있는 탄성력에 의해 충격 흡수력이 좋아 폴리우레탄에 비해서도 더욱 내구력이 좋을 뿐만 아니라 또한 설비의 진동에 더해서 자체 진동력 발생으로 더욱 선별 효율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광석 선별 스크린망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대부분의 광석 선별스크린망(1)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정사각 또는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고, 판면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는 형상으로 다수의 관통홀(1a)이 일정한 간격이 되게 형성되며, 서로 대응하는 양측의 단면에는 설비에 고정시킨 연결봉에 견고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끼움홈(1b)이 형성된다.
이러한 광석 선별스크린망은 설비에서 양측으로 구비되는 프레임 사이에 복수개가 서로 면간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선별기는 선별기의 상부면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광석이 선별기로 이송할 때 선별기의 상부면을 타고 미끄러지면서 선별공을 통해 선별되므로, 선별되어야 할 광석이 전량 선별되지 못하고 이송되어 다시 선별해야하는 불편으로 인해 선별효율을 높일 수 없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각종 파쇄기에서 파쇄된 다양한 크기의 광석을 일정크기별로 선별하는 선별 스크린망의 선별판 상부 표면에는 격자형으로 다수 돌출된 미끄럼 방지턱에 의해 광석정체수용부가 다수개(4개) 형성되기 때문에, 선별을 위해 이송되는 광석이 격자형의 미끄럼 방지턱에 걸려 광석정체수용부에 정체되는 동안 진동에 의해 미처 선별되지 못한 광석을 전량 선별할 수 있으므로 광석의 선별효율을 기존의 선별 스크린 망보다 15.5% 높일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별 스크린망의 규격을 5mmX300X300으로 하고 중량을 1.352kg으로 낮추어 기존의 선별 스크린망 보다 중량을 45% 감소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뿐만 아니라 동일한 규격의 선별스크린망에 기존에는 관통홀이 780개가 천공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선별스크린 망에는 관통홀을 896개 천공하여 선별효율의 증대를 가져오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그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2의 사시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형의 판면에 테두리(11)를 돌출시켜 오목하게 형성된 선별판(10)과,
상기 선별판(10)에 수직으로 상부는 좁고 하부가 넓은 상협하광으로 천공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각형의 관통홀(12)로 구성된 광석 선별용 스크린망에 있어서,
상기 선별판(10)의 내부에 격자형으로 돌출하여 중앙부에서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형성함과 동시에 오목하게 다수개의 광석정체수용부(30)를 형성한 미끄럼 방지턱(20)과,
상기 선별판(10)의 보강을 위하여 일측 테두리(11)와 중앙부(13)의 내부에 각각 삽입장착할 수 있게 폭보다 높이가 길게 형성된 보강심재(40)와,
상기 보강심재(40)에는 선별판(10)과 보강심재(40)가 분리되지 않게 일체로 결합되도록 다수개가 천공된 연결홈(41)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선별판의 규격을 5X300X300(mm)으로 하고 내부에 관통홀을 896개 천공하여 중량을 1.352kg으로 낮추어 전체 중량을 45% 감소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선별판(10)을 다수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측면에 연결홈(13)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각종 파쇄기에서 파쇄된 다양한 크기의 광석을 일정크기 별로 선별하는 선별 스크린망을 통과할 때, 선별스크린망에 격자형으로 형성된 미끄럼 방지턱에 광석이 걸려 광석정체수용부에 정체되게 하여 정체되는 동안 선별하고자 하는 광석을 전량 선별할 수 있도록 하였기 때문에, 광석의 선별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광석이 이송되면서 다수개가 연결된 선별 스크린망 마다 미끄럼 방지턱에 광석이 정체되면서 선별되게 함으로써 광석의 선별 효율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선별스크린망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스크린망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스크린망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 스크린망을 선별장치에 설치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석 선별 스크린망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선별 스크린망은 채석장과 탄광 및 광산 등에서 채석된 원석을 각종 파쇄기를 이용하여 적정한 크기로 파쇄시킨 다음, 광석 선별장치의 선별 스크린망을 통해 적정한 크기별로서 선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일정 크기별로 광석을 선별하기 위한 선별스크린망은 도 1과 같이 상부면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광석이 이송할 때, 선별 스크린망 위에 정체 없이 이송되기 때문에, 선별하고자 하는 광석이 완벽하게 선별되지 않고 이송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별 스크린망(100)에 광석이 일정시간 동안 정체되면서 선별하고자 하는 광석을 모두 선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도 2의 사시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형의 판면에 테두리(11)를 돌출시켜 내부를 오목하게 형성하여 선별판(10)을 구성한다. 그리고 도 3의 단면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선별판(10)에 수직으로 상부는 좁고 하부가 넓은 상협하광으로 천공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각형의 관통홀(12)을 다수개 천공한다. 이때 상기 관통홀(12)은 선별하고자 하는 광석의 크기별로 천공한다. 또한, 관통홀(12)이 상부는 좁고 하부를 넓게 형성한 것은 관통홀(12)을 통해 선별되는 광석이 관통홀(12)에 걸리지 않고, 하부로 빠르게 배출되게 함으로써 선별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선별판(10)을 [표 1]및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레탄으로 하고, 그 규격을 5X300X300(mm)으로 하고, 내부에 관통홀(12)을 896개 천공하여 중량을 1.352kg으로 낮추어 전체 중량을 45% 감소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선별 스크린망의 중량 감소율은 [표 1]과 같다.
망 규격(mm) 기 존 망 개 선 망 중량 감소율
5mm x 300 x 300 2.485Kg 1.352Kg 45%
진동선별기(Vibrating Screen): 폭2400mm x 길이7200mm x 데크수 3단일 경우 소요되는 망 개수는 2400mm÷300mm=8개, 7200mm÷300mm=24개 8개x24개=192개 (1단에 사용되는 망 의 숫자)
데크 수 3단이므로 192개x3단= 576개(진동선별기 1대의 총 소요 망 숫자)
기존 선별 스크린망을 사용했을 경우 망의 총중량은 576개x2.485Kg =1431.36Kg이다.
본 발명의 선별 스크린망을 사용했을 경우 망의 총중량은 576개x1.352Kg =778.75Kg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동선별기 1대당 선별 스크린망의 총중량 감소량은 [표 2]와 같다.
진동선별기 규격(mm) 기존망 장착시 개선망 장착시 총중량 감소량
2400 x 7200 x 3단 1431.36Kg 778.75Kg -652.608Kg
상기 진동선별기(Vibrating Screen)에 기존 선별 스크린망을 장착했을 경우와 본 발명의 선별 스크린망을 장착했을 경우 진동선별기(Vibrating Screen)의 진폭(Stroke)차이가 약 10% 차이가 나며 기존 선별 스크린망을 장착했을 경우 본 발명의 선별스크린망의 진폭(Stroke)과 대등한 진폭(Stroke)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편심중량을 진동기(Vibrator)에 더 추가해야 하고, 추가되는 편심중량 만큼 진동선별기(Vibrating Screen)의 본체와 베어링에 과부하가 걸려 선별기 본체의 파손 및 베어링의 수명감소가 예상되나, 개선망을 장착시 총중량 감소로 선별기 본체 및 베어링의 수명이 증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선별 스크린망은 [표 3]과 같이 개공율(Open Area)이 증가 되게 구성한다.
본 발명의 선별 스크린 망 구멍(Hole)개수 증가
망 규격(mm) 기 존 망 개 선 망 구멍(Hole) 증가수
5mm x 300 x 300 780개 896개 116개
기존 선별 스크린망의 구멍(Hole)에 비해서 구멍(Hole) 증가율은 116÷780 x100(%)= 14.87% 증가 된다.
기존 선별 스크린망 : 우레탄망 구멍(Hole) SIZE는 폭 5mm x 길이5mm 일 때, 개공율(Open Area)은 우레탄망 전체면적은 300mm x 300mm = 90000㎟ 이고 기존 선별 스크린망에서 구멍 면적은 5mmx5mmx780개=19500㎟ 그러므로 개공율은 (19500㎟÷90000㎟)x100=21.67% 이다.
본 발명의 선별 스크린망 : 우레탄망 구멍(Hole) SIZE는 폭 5mm x 길이l5mm 일 때, 개공율(Open Area)은 우레탄망 전체면적은 300mm x 300mm = 90000㎟ 이고, 본 발명의 선별 스크린망에서 구멍 면적은 5mmx5mmx896개=22400㎟ 그러므로 개공율은 (22400㎟÷90000㎟)x100=24.89%이다.
본 발명의 선별 스크린망의 개공율(Open Area) 증가율
망 규격(mm) 기 존 망 개 선 망 개공율(Open Area)
증가율(%)
5mm x 300 x 300 21.67% 24.89% 3.22%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선별판(10)의 내부에는 사방에서 격자형으로 돌출하여 중앙에서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미끄럼 방지턱(20)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미끄럼 방지턱(20)에 의해 선별판(10)에는 4개의 광석정체수용부(30)가 오목하게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선별판(10)을 다수개 연결하여 선별장치에 사용할 수 있도록 선별판(10)의 측면에는 연결홈(13)이 구성된다.
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선별판(10)에 대한 보강을 위하여 선별판(10)의 테두리(11)와 중앙부(14)의 내부에 폭보다 높이가 3~5배 긴 얇은 철판 형태의 보강심재(40)를 삽입함은 물론 상기 보강심재(40)에는 다수개의 연결공(41)이 천공되어 있다.
즉, 얇은 철판형태의 보강심재(40)는 폭이 좁고 높이가 높기 때문에, 상부에 가하는 수직하중에 잘 견딜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다수 천공된 연결공(41)은 성형시 우레탄이 연결공(41)을 통과하여 우레탄끼리 서로 연결되어 일체가 되므로 보강심재(40)가 우레탄으로 형성되는 선별판(10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작용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종래와 마찬가지로 소정의 경사각으로 구비되는 설비의 바닥면(20)에 광석이 유동하게 되는 방향으로 레일(30)을 형성하되, 이 레일(30)은 일정한 폭으로 이격되면서 설비의 양측 프레임 사이에서 선별판(10)이 복수개로 구비되도록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선별판(10)은 이러한 레일(30)들에 얹혀져서 견고하게 고정되어 사용되는 구성으로, 양측의 프레임 사이에는 하나의 선별판(10)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으나, 모듈라 타입으로 복수의 선별판(10)으로 구비되는 구성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고, 이 같은 구성으로 레일(30)을 따라 상호 긴밀하게 면간 밀착되면서 복수의 선별판(10)이 연속해서 배열되도록 하여 광석 선별 장치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이때 선별판(10)의 연결홈(13)은 광석선별장치에 결합되어 완벽하게 고정이 되는 것이다. 또한, 광석 선별 장치에 장착되어 진동에 유동되는 선별판(10)은 테두리(11)와 중앙부(14)에 각각 폭보다 높이가 길게 형성된 보강심재(40)가 삽입장착되어 보강심재(40)의 연결공(41)으로 성형시 우레탄이 삽입되어 보강심재(40)와 성형된 선별판(10)과 서로 일체가 되어 있기 때문에, 선별판(10)이 진동되어도 보강심재(40)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보강함은 물론 연결공(41)에 의해 선별판(10)이 보강심재(40)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 선별판(10)과 보강심재(40)는 진동에 의한 충격이 가해져도 서로 분리가 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선별판(10)을 따라 광석이 이송하게 되면, 광석은 선별판(10)의 테두리(11)와, 선별판(10) 내부에 형성된 미끄럼 방지턱(20)에 광석이 걸려 광석정체수용부(30)에 수용되어 정체되면서 선별판(10)의 진동에 의해 선별되고자 하는 크기의 광석을 선별하게 된다.
즉, 광석정체수용부(30)에 정체되어 있는 동안 미처 선별되지 못한 광석을 다시 선별할 수 있으므로 선별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선별된 광석은 관통홀(12)을 통해 하부로 빠르게 배출이 된다. 이때 관통홀(12)은 상협하광으로 천공되어 있기 때문에, 관통홀(12) 통과시 걸리지 않고 빠르게 하부로 배출이 되어 선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비록 다량의 광석들이 일시에 선별판(10)에 공급되어 유동하게 되더라도 선별판(10)에 격자형으로 형성된 미끄럼 방지턱(20)과 테두리(11) 부위를 지나면서 광석들은 걸려 광석정체수용부(30)에 수용되어 정체되면서 재차 선별이 되기 때문에 선별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이다.
즉, 종전과 같이 각 선별판(10)의 유동면에 미끄럼 방지턱(20)이 없이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에서는 다량의 광석들을 일시에 선별판(10)에 공급할 경우 비록 설비가 진동하게 되더라도 선별판(10)을 통해 미처 선별되지 못한 광석들이 정체 없이 비교적 크고 무거운 광석들과 함께 이송하게 되므로, 이들을 다시 모아 선별하여야 하는 폐단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송되는 광석들이 선별판(10)의 내부에 형성된 미끄럼 방지턱(20)과 테두리(11)에 걸려 광석정체수용부(30)에 정체되면서 미처 선별되지 못한 광석을 재차 선별하게 함으로써, 종래의 선별장치보다 선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우수한 기술 구성을 갖춘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용하는 본 발명의 미끄럼 방지턱에 대한 실시 예를 하기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1) 유연성(Flexible)과 미끄럼 방지턱이 선별에 미치는 영향
가) A 현장( 경북 영덕 소재 D 업체)
a) 기존 선별 스크린망 장착시
Figure 112012101167812-pat00001
b) 본 발명의 선별스크린 망 장착시
Figure 112012101167812-pat00002
▶진동선별기(Vibrating Screen) 통과 후 오버사이즈(Over Size)를 실험실에서 체가름하여 입도 분석한 결과 KS규격의 #4(4.75mm)를 통과하는 모래량은 [표 5]과 같다.
망 규격(mm) 기 존 망 개 선 망 선별 증가율
5mm x 300 x 300 50.9% 35.4% 15.5%
▶기존망에 비해서 개선망의 선별효율 15.5%증가
나) B현장( 경기도 안성 소재 K 업체)
a) 기존 선별 스크린망 장착시
Figure 112012101167812-pat00003
b) 본 발명의 선별 스크린망 장착시
Figure 112012101167812-pat00004
▶진동선별기(Vibrating Screen) 통과 후 오버사이즈(Over Size)를 실험실에서 체가름하여 입도 분석한 결과 KS규격의 #4(4.75mm)를 통과하는 모래량은 [표 6]와 같다.
망 SIZE(mm) 기 존 망 개 선 망 선별 증가율
5mm x 300 x 300 11.8% 2.6% 9.2%
▶기존망에 비해서 개선망의 선별효율 9.2%증가
2) 평균사용수명은 [표 7]과 같다.
망 SIZE(mm) 기 존 망 개 선 망 수명 증가율
5mm x 300 x 300 750시간 1125시간 50%
3) 압축강도는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시험성적서 참조{본 발명의 선별스크린 망=우레탄시편(A),기존 선별 스크린망=우레탄시편(B)}로 [표 8] 및 [표 9]와 같다.
Figure 112012101167812-pat00005
[표 9]
Figure 112012101167812-pat00006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 선별판 11. 테두리
12. 관통홀 13, 연결홈
20. 미끄럼 방지턱 30. 광석정체수용부
40. 보강심재 41. 연결공

Claims (4)

  1.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형의 판면에 테두리(11)를 돌출시켜 오목하게 형성된 선별판(10)과,
    상기 선별판(10)에 수직으로 상부는 좁고 하부가 넓은 상협하광으로 천공되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 각형의 관통홀(12)로 구성된 광석 선별용 스크린망에 있어서,
    상기 선별판(10)의 내부에 격자형으로 돌출하여 중앙부에서 서로 연결되지 않도록 형성함과 동시에 오목하게 다수개의 광석정체수용부(30)를 형성한 미끄럼 방지턱(20)과,
    상기 선별판(10)의 보강을 위하여 일측 테두리(11)와 중앙부(13)의 내부에 각각 삽입장착할 수 있게 폭보다 높이가 길게 형성된 보강심재(40)와,
    상기 보강심재(40)에는 선별판(10)과 보강심재(40)가 분리되지 않게 일체로 결합되도록 다수개가 천공된 연결홈(41)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석선별 스크린망.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20140721A 2012-12-06 2012-12-06 광석 선별용 스크린망 KR101272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721A KR101272468B1 (ko) 2012-12-06 2012-12-06 광석 선별용 스크린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0721A KR101272468B1 (ko) 2012-12-06 2012-12-06 광석 선별용 스크린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2468B1 true KR101272468B1 (ko) 2013-06-21

Family

ID=48866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0721A KR101272468B1 (ko) 2012-12-06 2012-12-06 광석 선별용 스크린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24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07006A (zh) * 2013-07-19 2013-11-27 江苏美科硅能源有限公司 切割室过滤装置
KR101938274B1 (ko) * 2017-05-17 2019-01-15 주식회사 광산기공 선별적 투과 스크린
KR102061124B1 (ko) 2017-11-24 2019-12-31 이민철 물배출과 골재 선별 기능을 향상시킨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203Y1 (ko) * 2000-09-16 2001-03-15 송인란 광석 선별 장치
KR200396114Y1 (ko) * 2005-07-01 2005-09-15 송인란 광석 선별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8203Y1 (ko) * 2000-09-16 2001-03-15 송인란 광석 선별 장치
KR200396114Y1 (ko) * 2005-07-01 2005-09-15 송인란 광석 선별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07006A (zh) * 2013-07-19 2013-11-27 江苏美科硅能源有限公司 切割室过滤装置
KR101938274B1 (ko) * 2017-05-17 2019-01-15 주식회사 광산기공 선별적 투과 스크린
KR102061124B1 (ko) 2017-11-24 2019-12-31 이민철 물배출과 골재 선별 기능을 향상시킨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66874C2 (ru) Полиуретановое вибрационное сито
KR101256897B1 (ko) 골재 선별용 러버 스크린 모듈 제조방법
RU2456098C2 (ru) Поддерживаю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и поддерживающий несущий элемент
US8887922B2 (en) Screen deck assembly
KR101272468B1 (ko) 광석 선별용 스크린망
CN102089087A (zh) 改进的细分筛
KR100722574B1 (ko) 진동스크린
CN103272763B (zh) 全振幅支承高频直线振动筛
CN104907250A (zh) 基于宝石分拣的直线振动筛
CN104550011B (zh) 一种用于煤炭分级的大型振动筛
CN103203322B (zh) 具有带孔的陶瓷部件的筛子中膜元件
CN210701135U (zh) 一种高弹性防堵塞聚氨酯筛板和筛分机
CN110694897A (zh) 一种高弹性防堵塞聚氨酯筛板及其制作方法和筛分机
KR200462438Y1 (ko) 다단 쇄석 선별장치
KR100642149B1 (ko) 광석 선별용 스크린
JP5976018B2 (ja) スクリーンパネル、およびスクリーンパネルが取り付けられているスクリーニングデッキ
KR200395460Y1 (ko) 선별장치용 선별판 구조
CN101249493B (zh) 镶嵌式弹性复合筛板
CN210483801U (zh) 溜井格筛
CN103464371B (zh) 一种无动力防卡篦条溜筛
RU186145U1 (ru) Каркас виброрамы вибросита
KR101342617B1 (ko) 슬래그 볼의 2열 병렬화 진동선별장치
KR200441646Y1 (ko) 선별 스크린
CN218655439U (zh) 振动筛
CN111215313A (zh) 一种重力式物料自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