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1124B1 - 물배출과 골재 선별 기능을 향상시킨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 Google Patents

물배출과 골재 선별 기능을 향상시킨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1124B1
KR102061124B1 KR1020170157930A KR20170157930A KR102061124B1 KR 102061124 B1 KR102061124 B1 KR 102061124B1 KR 1020170157930 A KR1020170157930 A KR 1020170157930A KR 20170157930 A KR20170157930 A KR 20170157930A KR 102061124 B1 KR102061124 B1 KR 102061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protrusion
aggregate
modular body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7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0102A (ko
Inventor
이민철
이민석
Original Assignee
이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철 filed Critical 이민철
Priority to KR1020170157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1124B1/ko
Publication of KR20190060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0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1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1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모듈러 바디(10); 상기 모듈러 바디(10)의 상면에 구비된 돌출부(14); 상기 돌출부(14)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된 복수개의 스크린홀(12);을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14)는 상기 모듈러 바디(10)의 상하단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블록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크린홀(12)은 상기 돌출부(14)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홀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배출과 골재 선별 기능을 향상시킨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Aggregates screen module with enhanced water drain and aggregates screening function}
본 발명은 골재들을 선별하기 위하여 진동 스크린장치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에 비하여 단위 시간당 물 배출 효율과 골재 선별 능력을 더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공사나 터널 공사 등을 위하여 석산을 발파하거나 채석장에서 돌을 채취하기 위하여 석산을 발파하는 공정에서 다량의 잡석이 발생되며, 이러한 잡석은 도로 노면의 보조기층 등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아스팔트포장이나 건축물의 기초공사 등 건설 및 건축분야에서 잡석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도로 노면의 보조 기층 형성이나 건축물 기초 공사 등을 위하여 잡석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남아도는 잡석의 양이 상당하므로, 근래에는 잡석을 파쇄기에 의해 파쇄하고, 이렇게 파쇄된 잡석을 별도의 골재선별장치에 의해 입자별로 크기가 다른 골재로 선별하여 재활용하도록 하고 있다.
골재 선별장치 등에는 골재를 사이즈별로 선별하기 위하여 골재가 지나가는 선별용 스크린이 필요하다. 골재 선별장치 등에 구비되는 골재 선별용 스크린을 골재 투입단에 대략 경사지게 설치하고, 선별용 스크린 위로 골재가 투입되어 지나가도록 함과 동시에 선별용 스크린에 바이브레이션(진동)을 가하여 골재를 선별하게 되어 있다. 즉, 선별용 스크린은 떨리도록 작동시키고 골재는 선별용 스크린 위로 투입되어 지나가도록 함으로써, 소정 입자 사이즈의 골재가 선별용 스크린에 형성된 다수의 선별공을 통과하여 낙하되므로, 골재를 선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골재를 선별하기 위한 선별용 스크린은 골재 투입 개소에 경사지게 설치하고, 이처럼 경사지게 배치된 선별용 스크린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골재는 투입단으로부터 선별용 스크린에 공급하여 경사진 선별용 스크린을 따라 흘러 내려가게 하면서 선별용 스크린에 형성된 다수의 선별용 홀을 통해 골재가 빠지는 방식으로 골재를 선별하는 방식을 많이 채용한다.
이때,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는 물과 골재가 섞인 스크린 대상 유체가 흘러내려가면서 물을 배출하고 골재만 걸러내는 스크린 작동을 하게 되는데, 단위 시간당 스크린 대상 유체가 흘러가는 동안 단위 시간당 물을 더 빠르게 배출하거나 물의 배출량을 늘리면 골재 선별 작업이 보다 단축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등의 바람직한 점이 있는데, 기존에는 일반 평판과 같은 스크린 모듈러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바람직한 효과를 발휘하는데 미흡한 면이 있었다.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220036호(2001.04.16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0497499호(2005.07.01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256897호(2013.04.16 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골재들을 선별하기 위하여 진동 스크린장치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모듈러 바디 위로 돌출부를 구비하고 돌출부에 스크린홀을 구비함으로써 기존에 비하여 단위 시간당 물 배출 효율을 더 높이고 골재 선별 능력을 더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모듈러 바디; 상기 모듈러 바디의 상면에 구비된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된 복수개의 스크린홀;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모듈러 바디의 상하단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블록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크린홀은 상기 돌출부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홀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모듈러 바디 위에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에 스크린홀이 구비되어 있어서, 기존에 비하여 단위 시간당 물의 배출 속도 내지 배출량이 많아지게 되므로, 물 배출 효율을 더 높이고 골재 선별 능력을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의 상면이 볼록하게 굴곡지게 형성되면, 스크린홀의 면적 자체가 기존의 스크린 모듈러의 상면이 평편한 것(플랫한 것)보다 더 넓어져서 물 배출 효율을 보다 높이고 이로 인해 골재 선별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골재 선별용 스크린 모듈러의 상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종단면도
도 4는 도 1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골재 선별용 스크린 모듈러의 상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골재 선별용 스크린 모듈러의 상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골재 선별용 스크린 모듈러의 상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저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는 크게 모듈러 바디(10)와 돌출부(14) 및 돌출부(14)에 형성된 스크린홀(12)을 구비한다.
상기 모듈러 바디(10)는 상판부의 둘레부에 테두리부가 하향 돌출된 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모듈러 바디(10)는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모듈러 바디(10)는 상판부가 없이 테두리부만 구비될 수도 있다. 테두리부만 구비된 경우 모듈러 바디(10)는 사각 테두리 형상으로 구성된다. 모듈러 바디(10)가 상판부와 테두리부를 구비한 경우에는 상판부의 상면과 저면 사이의 두께가 테두리부의 상면과 저면 사이의 두께보다 더 얇게 구성되어, 테두리부와 상판부의 저면 사이에 오목 공간부가 확보될 수 있다. 즉, 상판부의 저면은 테두리부의 저면보다 더 위로 올라와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면과 상판부의 저면 사이에 오목 공간부가 확보되어 있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상기 모듈러 바디(10)의 좌우 측단부는 결합 돌부와 결합 홈부로 구성된다. 결합 돌부는 수놈 돌기이고 결합 홈부는 암놈 홈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4)는 모듈러 바디(10)의 상면에서 위로 돌출된다. 돌출부(14)는 상단부와 하단부와 좌우 측단부를 구비한 일정 길이의 돌출 바아 구조로서, 돌출부(14)의 상단부와 하단부와 좌우 측단부가 모듈러 바디(10)에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돌출부(14)는 모듈러 바디(10)의 상하단 방향(다시 말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돌출 바아 구조이면서 동시에 모듈러 바디(10)의 상면에서 위로 볼록한 돌출 원주형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모듈러 바디(10)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 및 돌출부(14)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 영역을 절단한 종단면도로 볼 때에 돌출부(14)가 모듈러 바디(10)의 상면에서 위로 돌출된 단면 원주형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돌출부(14)가 종단면도로 볼 때에 단면 아치 형상이라 할 수 있으며, 모듈러 바디(10)의 상면에서 볼 때에는 돌출부(14)가 원주형으로 돌출된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돌출부(14)는 모듈러 바디(10)의 상하단 방향(즉,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원주형 블록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돌출부(14)는 상단부와 하단부 중에서 적어도 상단부가 곡면부(16)로 구성된다. 상기 모듈러 바디(10)의 상단부에서부터 하단부 및 돌출부(14)의 상단부에서 하단부를 지나가도록 모듈러 바디(10)의 상면과 돌출부(14)의 상면으로 골재(주로 모래)와 물이 섞인 스크린 대상 유체가 흘러내리는데, 상기 스크린 대상 유체가 지나가기 시작하는 돌출부(14)의 상단부가 곡면부(16)로 구성된 것이다. 블록부의 옆에서 볼 때에 곡면부(16)가 상기 모듈러 바디(10)의 상면부와 돌출부(14)에 이어진 원주형 곡면부(16)로 구성된다.
상기 돌출부(14)는 상기 모듈러 바디(10)의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14)는 모듈러 바디(10)의 상면에서 위로 볼록한 돌출 원주형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돌출부(14)는 좌우 폭이 상하단 길이에 비하여 더 작으며, 복수개의 돌출부(14)가 모듈러 바디(10)의 좌우 방향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격자 배열 형태로 복수개의 돌출부(14)가 모듈러 바디(10)에 구비된다. 모듈러 바디(10)의 상면부에 복수개의 돌출부(14)가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모듈러 바디(10)의 상면부에 격자형으로 복수개의 돌출부(14)가 배열된다. 복수개의 돌출부(14)가 농경지의 지면에 설치된 비닐 하우스처럼 모듈러 바디(10)의 상면부에서 원주형 블록 형상으로 돌출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14)에는 복수개의 스크린홀(12)이 구비된다. 각각의 스크린홀(12)을 돌출부(14)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된다. 각각의 스크린홀(12)이 돌출부(14)의 상면에서 모듈러 바디(10)의 저면까지 연통된 구조이다. 각각의 스크린홀(12)에 의해 돌출부(14)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물이 배출되어 모듈러 바디(10)의 저면 아래로 배출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홀(12)에 의해 본 발명의 골재 스크린 모듈러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물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돌출부(14)는 모듈러 바디(10)의 상하단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블록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스크린홀(12)은 돌출부(14)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홀 형상으로 구성된다. 모듈러 바디(10)의 상면부와 돌출부(14)의 상면부를 따라 흐르는 물이 모듈러 바디(10)의 상단부에서 하단부 쪽으로 흐르고 돌출부(14)의 상단부에서 하단부 쪽으로도 흐르는데, 이처럼 물이 흐르는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 하면 상기 스크린홀(12)은 상기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장홀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14)는 모듈러 바디(10)의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14)는 모듈러 바디(10)의 상면에서 위로 볼록한 돌출 원주형 블록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돌출 원주형 블록 형상의 돌출부(14)의 좌우 측단부 방향으로 스크린홀(12)이 길게 연장되므로, 상기 스크린홀(12)의 원주형 장홀 형상으로 구성된다. 돌출부(14)의 원주형 경로를 따라 스크린홀(12)이 길게 연장되므로, 상기 스크린홀(12)이 원주형 장홀 형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스크린홀(12)은 돌출부(14)의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구비된다. 돌출부(14)의 좌우 폭 방향과 상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스크린홀(12)이 배열된다. 스크린홀(12)은 상하 폭에 비하여 좌우 폭이 더 긴 원주형 장홀 형상으로 구성되는데, 복수개의 스크린홀(12)이 돌출부(14)의 좌우 폭 방향과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구조이다. 각각의 돌출부(14)의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복수개의 스크린홀(12)이 배열된 구조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크린홀(12)은 돌출부(14)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갈수록 내경이 점점 더 커지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14)의 저면에는 스크린홀(12)의 둘레부에서 하향 연장된 홀연장편(13)이 구비되며, 상기 홀연장편(13)의 내부까지 스크린홀(12)이 이어지며, 상기 홀연장편(13) 중에서 적어도 상부 홀연장편(13)과 하부 홀연장편(13)이 돌출부(14)의 상면에서부터 모듈러 바디(10)의 저면 쪽으로 갈수록 점점 더 벌어져서 스크린홀(12)의 내경이 점점 더 커지도록 구성된다. 홀연장편(13)이 상부 홀연장편(13)과 하부 홀연장편(13)에 이어진 좌측 홀연장편(13)과 우측 홀연장편(13)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좌측 홀연장편(13)과 우측 홀연장편(13)도 돌출부(14)의 상면에서부터 모듈러 바디(10)의 저면 쪽으로 갈수록 점점 더 벌어지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골재 선별용 스크린 모듈러는 골재가 흘러내리는 위치에 상하 좌우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즉, 본 발명의 골재 선별용 스크린을 상하 좌우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다수개 연결 배치하되, 골재가 흘러내리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모듈러 바디(10)의 양쪽 측면에 구비된 보강 사이드편의 연결 홈부와 연결 돌부끼리 맞물린 상태에서 본 발명의 골재 선별용 스크린 모듈러가 상하 좌우 방향을 빠라 복수개로 연결된 상태에서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물과 골재(주로, 모래)가 섞인 스크린 대상 유체가 최상단 모듈러 바디(10)의 상단부에서부터 최하단 모듈러 바디(10)의 하단부까지 흘러 내리면서 각각의 모듈러 바디(10) 위로 스크린 대상 유체가 지나가게 되는데, 상기 스크린 대상 유체가 모듈러 바디(10) 위에서 흘러내리면서(지나가면서) 물은 스크린홀(12)에 의해 아래로 배출되므로, 골재를 선별할 수 있게 된다. 물론, 본 발명의 골재 선별용 스크린 모듈러를 진동 골재선별장치에 전후 좌우 방향으로 다수개 수평 배치하여 진동에 의해 골재를 본 발명의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에 형성된 각각의 스크린홀(12)을 통해 물을 배출하고 골재를 선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서는 모듈러 바디(10) 위에 돌출부(14)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14)에 스크린홀(12)이 구비되어 있어서, 기존에 비하여 단위 시간당 물의 배출 속도 내지 배출량이 많아지게 되므로, 물 배출 효율을 더 높이고 골재 선별 능력을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의 상면이 볼록하게 굴곡지게 형성되면, 스크린홀(12)의 면적 자체가 기존의 스크린 모듈러의 상면이 평편한 것(플랫한 것)보다 더 넓어져서 물 배출 효율을 보다 높이고 이로 인해 골재 선별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모듈러 바디(10)에 구비된 복수개의 돌출부(14)에 의해 모듈러 바디(10)의 상면이 다수 개소의 굴곡이 진 부분이 생기고 각각의 굴곡이 진 부분을 형성하는 돌출부(14)에 스크린홀(12)이 구비되어, 스크린홀(12) 자체이 면적이 기존의 평평한 면에 형성된 스크린홀(12)의 면적보다 더 커지게 되므로, 물 배출 효율을 보다 높이고 이로 인해 골재 선별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모듈러 바디(10)의 상면과 돌출부(14)의 상면으로 골재와 물이 섞인 스크린 대상 유체가 일정 두께를 가지로 흘러내려가는데, 물은 표면 장력이 있어서, 물이 한 방울씩 똑똑 떨어지는 것보다 고이면서 연속적으로 흘러 내려가는 물을 땡기는 양이 더 많아지게 되는데, 물의 표면 장력으로 인하여 스크린홀(12)의 밑으로 물이 빠지는 양이나 물이 빠져나가는 속도가 더 커지게 되므로, 상기와 같은 물 배출 효율을 보다 높이고 이로 인해 골재 선별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물이 똑똑 떨어지지 않고 모듈러 바디(10)와 돌출부(14)의 상면으로 일정 두께를 가지고 연속으로 흘러내려가고, 이러한 물이 흘러내리는 과정에서 모듈러 바디(10)의 밑에서는 음압에 생겨서 물을 땡겨주므로, 단위 시간당 흘러내리는 물의 배출 효율을 더 높이고, 이로 인해 골재 선별 능력을 더 높이게 된다.
특히, 상기 스크린홀(12)은 스크린 대상 유체가 흘러내리는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스크린홀(12) 자체는 원주형 블록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14)를 따라 연장되어 원주형 장홀 형상으로 구성되므로, 스크린홀(12)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것에 비하여 물이 걸려서 스크린홀(12)로 빠지는 비율이 더 커지므로, 단위 시간당 흘러내리는 물의 배출 효율을 더 높이고, 이로 인해 골재 선별 능력을 더 높이게 되는데 더욱더 도움이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스크린홀(12)의 사이즈(내경)이 아래로 갈수록 더 커지게 구성되어 있어서, 스크린홀(12)로 빠지는 물과 함께 골재가 배출되더라도 골재가 스크린홀(12)에 걸리는 경우(즉, 돌출부(14) 저면의 홀연장편(13)에 걸리는 경우)가 생기지 않고 원활하게 스크린홀(12)에서 빠지게 된다. 골재가 스크린홀(12)을 통해 아래로 빠질 때에 스크린홀(12)의 내경이 아래로 갈수록 점점 더 커지면 골재가 스크린홀(12)에 걸리지 않고 잘 빠지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처럼 골재가 걸리지 않고 아래로 잘 빠지도록 스크린홀(12)의 내경이 돌출부(14)의 상면에서 모듈러 바디(10)의 저면 쪽으로 갈수록 점점 더 커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골재 중에서 모래를 물과 따로 선별하는 경우가 많은데, 스크린홀(12)의 사이즈(내경)이 아래로 갈수록 더 커지게 되어서, 모래가 빠질 때 아래로 갈수록 사이즈(내경)이 더 커지는 스크린홀(12)에 모래가 걸리지 않고 잘 빠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적어도 상부 홀연장편(13)과 하부 홀연장편(13)이 돌출부(14)의 상면에서 모듈러 바디(10)의 저면쪽으로 갈수록 점점 더 벌어지므로, 상부 홀연장편(13)과 하부 홀연장편(13) 사이에 골재(예를 들어, 모래)가 걸리는 경우가 없이 원활하게 스크린홀(12)에서 아래로 빠지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스크린 대상 유체에서 스크린홀(12)을 통해 물을 아래로 배출할 때에 골재가 혹시 걸리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도록 스크린홀(12)의 내경을 아래로 갈수록 점점 더 벌어지게 구성한 것에서 의미가 크다 하겠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돌출부(14)의 상단부와 하단부 중에서 적어도 상단부가 곡면부(16)로 구성되어, 상기 스크린 대상 유체가 흘러내릴 때에 골재가 곡면부(16)를 타고 부드럽게 돌출부(14)의 상단부에서 옆으로 빠져나가므로, 상기 돌출부(14)의 상단부가 흘러내리는 골재에 의해 마모가 되는 경우를 방지하고, 이로 인하여 본 발명의 스크린 모듈러의 수명을 보다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14)의 상단부가 곡면부(16)가 아니라 모듈러 바디(10)의 상면부와 직각을 이루는 플랜한 면으로 된 경우에는 골재가 흘러내릴 때에 돌출부(14)의 상단부에 걸려서 잘 내려가지 못하게 되어, 골재 선별시 효율이 떨어지고 돌출부(14)의 상단부에 걸린 골재를 나중에 떨어내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길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돌출부(14)의 상단부가 곡면부(16)로 구성되어, 골재가 흘러내릴 때에 돌출부(14)의 상단부에 걸려서 잘 내려가지 못하는 경우가 방지되므로, 골재 선별시 효율이 떨어지는 경우가 방지되며 돌출부(14)의 상단부에 걸린 골재를 나중에 떨어내야 하는 번거로움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돌출부(14)의 하단부도 곡면부(16)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서는 상기 돌출부(14)의 좌우 폭이 전술한 실시예에 비하여 더 크게 형성되고, 각각의 돌출부(14)에 복수개의 스크린홀(12)이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각 열의 돌출부(14)가 중간에 분할되지 않고 일자형으로 연결된 구조를 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모듈러 바디(10)가 상면부가 없이 테두리부만 구비된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모듈러 바디(10)의 테두리부 상면에 복수개의 돌출부(14)가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돌출부(14)에 복수개의 스크린홀(12)이 형성된 구조를 취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는 돌출부(14)의 사이즈와 형태에서만 차이가 있으며, 그 기능과 효과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기능 및 효과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0. 모듈러 바디 12. 스크린홀
13. 홀연장편 14. 돌출부
16. 곡면부

Claims (6)

  1. 모듈러 바디(10);
    상기 모듈러 바디(10)의 상면에 구비된 돌출부(14);
    상기 돌출부(14)의 상면에서 저면으로 연통된 복수개의 스크린홀(1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돌출부(14)는 상기 모듈러 바디(10)의 상하단 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블록 형상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모듈러 바디(10)의 상하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돌출부(14)는 상기 모듈러 바디(10)의 상면에서 위로 볼록한 돌출 원주형 블록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돌출 원주형 블록 형상의 상기 돌출부(14)의 좌우 측단부 방향으로 상기 스크린홀(12)이 연장되어, 상기 스크린홀(12)이 상기 돌출부(14)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원주형 장홀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홀(12)의 내경은 상기 돌출부(14)의 상면에서부터 상기 모듈러 바디(10)의 저면 쪽으로 갈수록 점점 더 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KR1020170157930A 2017-11-24 2017-11-24 물배출과 골재 선별 기능을 향상시킨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KR102061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930A KR102061124B1 (ko) 2017-11-24 2017-11-24 물배출과 골재 선별 기능을 향상시킨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7930A KR102061124B1 (ko) 2017-11-24 2017-11-24 물배출과 골재 선별 기능을 향상시킨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102A KR20190060102A (ko) 2019-06-03
KR102061124B1 true KR102061124B1 (ko) 2019-12-31

Family

ID=66849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7930A KR102061124B1 (ko) 2017-11-24 2017-11-24 물배출과 골재 선별 기능을 향상시킨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11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981B1 (ko) * 2008-02-20 2008-04-28 김인규 데브리스 필터 시스템을 위한 스크린장치
KR101272468B1 (ko) 2012-12-06 2013-06-21 김동현 광석 선별용 스크린망
KR101648738B1 (ko) 2016-05-09 2016-08-17 주식회사 윌스크린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스크리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036Y1 (ko) 2000-11-06 2001-04-16 주식회사협진산업 진동식 스크린
KR100497499B1 (ko) 2002-10-01 2005-07-01 안두혁 골재 선별용 스크린 철망
KR101256897B1 (ko) 2011-06-30 2013-04-22 이민석 골재 선별용 러버 스크린 모듈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5981B1 (ko) * 2008-02-20 2008-04-28 김인규 데브리스 필터 시스템을 위한 스크린장치
KR101272468B1 (ko) 2012-12-06 2013-06-21 김동현 광석 선별용 스크린망
KR101648738B1 (ko) 2016-05-09 2016-08-17 주식회사 윌스크린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한 스크리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0102A (ko) 2019-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6623B2 (en) Vibrating screen panel
RU2414967C2 (ru) Просеи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JP6149143B1 (ja) 篩装置のスクリーン用の流れ阻害具、篩装置用のスクリーン及び篩装置
KR100722574B1 (ko) 진동스크린
KR102061124B1 (ko) 물배출과 골재 선별 기능을 향상시킨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CN103203322B (zh) 具有带孔的陶瓷部件的筛子中膜元件
KR200462438Y1 (ko) 다단 쇄석 선별장치
KR102189925B1 (ko) 설치 편리성을 향상시킨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KR101296333B1 (ko) 골재 선별용 스크린
KR102178743B1 (ko) 인장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어셈블리
KR102216533B1 (ko)
KR102421181B1 (ko) 골재 선별 스크린 막힘 방지장치
KR102129090B1 (ko) 건설폐기물 골재·토사 선별용 러버형 스크린
KR100533943B1 (ko) 광석 선별망
KR200395460Y1 (ko) 선별장치용 선별판 구조
KR100967417B1 (ko) 수력식 비중분리 선광기
KR200377477Y1 (ko) 광석 선별망
CA2844177C (en) Vector slot
RU2655861C2 (ru) Просеивающая поверхность
CN220941832U (zh) 一种新型防堵聚氨酯筛网
KR102178753B1 (ko) 벤딩 서포트부재가 내장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KR102178747B1 (ko) 벤딩 서포트 구조를 구비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CN201447652U (zh) 单一粒级石料精筛分机构
CN205496067U (zh) 长孔筛板
KR200423457Y1 (ko) 샌드 유니트용 모래 선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