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438Y1 - 다단 쇄석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다단 쇄석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438Y1
KR200462438Y1 KR2020120003070U KR20120003070U KR200462438Y1 KR 200462438 Y1 KR200462438 Y1 KR 200462438Y1 KR 2020120003070 U KR2020120003070 U KR 2020120003070U KR 20120003070 U KR20120003070 U KR 20120003070U KR 200462438 Y1 KR200462438 Y1 KR 2004624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coupling
stage
protrus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0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우
Original Assignee
용현폴리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용현폴리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용현폴리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30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4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4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4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04Stationary flat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 B07B1/4663Multi-layer screen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Abstract

본 고안은 좁은 공간에서도 쇄석들을 효율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다단 쇄석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하부 선별망들을 갖는 제1단 선별유닛; 상기 제1단 선별유닛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상부 선별망들을 갖는 제2단 선별유닛; 상기 제1단 선별유닛과 상기 제2단 선별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지지부재; 상부에는 이웃하는 두 개의 하부 선별망들의 하단부와 각각 끼움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는 앵글부재와 결합되는 결합유닛; 그리고 상기 결합유닛과 상기 앵글부재를 동시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핀을 포함하는 다단 쇄석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단 쇄석 선별장치{Multi-stage sorting apparatus for crushed stone}
본 고안은 다단 쇄석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좁은 공간에서도 쇄석들을 효율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다단 쇄석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석산에서 채취된 쇄석은 쇄석 선별기에 의하여 입자의 크기에 따라 분류된다. 상기 쇄석 선별기에는 상기 쇄석을 크기에 따라 분류하기 위하여 금속재질의 쇄석 선별망이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쇄석 선별망은 상기 쇄석과의 마찰로 인하여 쉽게 마모되어 수명이 짧아지고, 잦은 교체작업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상기 쇄석의 선별 작업중에 많은 소음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쇄석 선별망은 외력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진동하게 하게 되는데, 상기 진동에 의하여 상기 쇄석 선별망과 지지프레임을 결합시키는 볼트 조임력의 이완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쇄석 선별망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쇄석 선별망은 하나의 평면상에서 상기 쇄석에 대한 분류가 수행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의 쇄석을 효율적으로 분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상기 쇄석 선별망의 체결구조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5827(고안의 명칭: 쇄석선별기의 쇄석선별망 설치구조)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좁은 공간에서도 쇄석들을 효율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다단 쇄석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하부 선별망들을 갖는 제1단 선별유닛; 상기 제1단 선별유닛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상부 선별망들을 갖는 제2단 선별유닛; 상기 제1단 선별유닛과 상기 제2단 선별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지지부재; 이웃하는 두 개의 하부 선별망들의 하단부와 각각 끼움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결합유닛 몸체를 갖는 결합유닛; 상기 결합유닛 몸체와 결합되는 앵글부재; 그리고, 상기 결합유닛과 상기 앵글부재를 동시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핀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유닛 몸체의 하단부에는 상기 앵글부재의 상면프레임과 대응되는 단차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유닛 몸체에는 상기 결합핀이 관통되는 제1 핀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핀은 핀몸체와, 상기 핀몸체의 테두리에 형성된 압입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핀은 상기 제1 핀관통홀을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상면프레임에 형성된 제2 핀관통홀을 관통하면서 끼움결합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는 함몰형성되는 함몰홈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이웃하는 두 개의 하부 선별망들 중 제2 하부 선별망의 제1 하단 우측돌기와 결합되며, 상기 제1 결합부는 함몰되는 방향으로 폭이 점점 좁아지는 제1 결합경사면과, 상기 제1 결합 경사면의 끝단에 함몰형성되는 제1 결합홈부를 가지고, 상기 제1 하단 우측돌기는 상기 제2 하부 선별망의 우측 하단면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제1 하단 우측 경사면과, 상기 제1 하단 우측 경사면에서 연장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구형상을 가지는 제1 하단 우측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1 하단 우측 경사면은 상기 제1 결합경사면과 대응되고, 상기 제1 하단 우측 돌출부는 상기 제1 결합홈부와 대응되며, 상기 제1 결합홈부의 내부직경은 상기 제1 결합 경사면과 연결되는 연결부위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 하단 우측 돌출부가 상부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쇄석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상기 복수 개의 하부 선별망들 중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 하부 선별망과 결합되는 제1 측벽과, 상기 복수 개의 상부 선별망들 중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 상부 선별망과 결합되는 제2 측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벽과 제2 측벽은 각각 제1 체결부재 및 제2 체결부재에 의하여 지지프레임에 고정결합될 수 있다.
상기 중간지지부재는 지지부재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 몸체의 상면에는 이웃하는 두 개의 상부 선별망들의 하단부와 각각 결합되는 제1 함몰홈 및 제2 함몰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 몸체의 하면에는 상기 이웃하는 두 개의 하부 선별망들의 상단과 각각 결합되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부 선별망과 제3 하부 선별망이 이웃하여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2 하부 선별망의 우측 상단면에 형성된 제1 상단 우측홈에는 상기 제1 돌출부가 끼움결합되고, 상기 제3 하부 선별망의 좌측 상단면에 형성된 제1 상단 좌측홈에는 상기 제2 돌출부가 끼움결합될 수 있다.
제2 상부 선별망과 제3 상부 선별망이 이웃하여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상부 선별망의 우측 하단면에 형성된 제2 하단 우측돌기는 상기 제1 함몰홈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제3 상부 선별망의 좌측 하단면에 형성된 제2 하단 좌측돌기는 상기 제2 함몰홈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삭제
본 고안에 따른 다단 쇄석 선별장치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1단 선별유닛과 제2단 선별유닛을 상하로 배치하고, 중간지지부재를 통하여 상기 제1단 선별유닛과 상기 제2단 선별유닛을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쇄석을 효율적으로 선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하나의 크로스 프레임 상에서 상기 제1단 선별유닛과 상기 제2단 선별유닛이 동시에 지지됨으로써 추가적인 크로스 프레임이 필요 없게 되어 쇄석 선별장치의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비용이 줄어들게 되는 이점이 있다.
셋째, 앵글부재와 결합유닛을 결합핀으로 고정하고, 제1단 선별유닛의 복수개의 선별망들이 상기 결합유닛게 끼움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쇄석 선별장치의 조립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다단 쇄석 선별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단 쇄석 선별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다단 쇄석 선별장치에 구비된 하부선별망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다단 쇄석 선별장치에 구비된 상부선별망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다단 쇄석 선별장치에 구비된 중간지지부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다단 쇄석 선별장치에 구비된 제1 측벽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다단 쇄석 선별장치에 구비된 결합유닛, 앵글부재 및 결합핀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단 쇄석 선별장치의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다단 쇄석 선별장치는 지지프레임(10), 제1단 선별유닛(100), 제2단 선별유닛(200), 중간지지부재, 제1 측벽(400), 제2 측벽(500), 결합유닛, 결합핀, 앵글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1단 선별유닛(100)은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하부 선별망들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제2단 선별유닛(200)은 상기 제1단 선별유닛(100) 상부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상부 선별망들을 갖는다.
상기 하부 선별망들 및 상기 상부 선별망들의 갯수는 다양하게 변형가능하고, 상기 앵글부재, 상기 중간지지부재, 상기 결합유닛 및 상기 결합핀의 갯수는 상기 선별망들의 개수에 따라서 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하부 선별망들이 4개, 상기 상부 선별망들이 4개 구비되는 경우에 한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단 선별유닛(100)은 좌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 하부선별망(110), 상기 제1 하부선별망(110)을 기준으로 우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웃하여 결합되는 제2 하부선별망(120), 제3 하부선별망(130) 및 제4 하부선별망(14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단 선별유닛(200)은 좌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 상부선별망(210), 상기 제1 상부선별망(210)을 기준으로 우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웃하여 결합되는 제2 상부선별망(220), 제3 상부선별망(230) 및 제4 상부선별망(24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중간지지부재는 상기 제1 하부선별망(110)과 상기 제2 하부선별망(120)에 결합되는 제1 중간지지부재(310)와, 상기 제1 중간지지부재(310)를 기준으로 우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일정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제2 중간지지부재(320) 및 제3 중간지지부재(3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앵글부재는 상기 제1 측벽(400)과 결합되는 제1 앵글부재(710), 상기 제1 앵글부재(710)를 기준으로 우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일정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제2 앵글부재(720), 제3 앵글부재(730), 제4 앵글부재(740) 및 제5 앵글부재(75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제2 앵글부재(720)와 결합되는 제1 결합유닛(610), 상기 제3 앵글부재(730)와 결합되는 제2 결합유닛(620), 상기 제4 앵글부재(740)와 결합되는 제3 결합유닛(63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핀은 상기 제1 결합유닛(610)과 상기 제1 앵글부재(71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1 결합핀(미도시), 상기 제2 결합유닛(620)과 상기 제2 앵글부재(72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2 결합핀(820), 상기 제3 결합유닛(630)과 상기 제3 앵글부재(730)를 고정시키기 위한 제3 결합핀(미도시)을 포함한다.
이하에서, 상기 하부 선별망들은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제2 하부선별망(120)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나머지 하부 선별망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2 하부선별망(120)은 폴리우레탄으로 제작되며, 내부에는 보강재가 구비된다. 상기 제2 하부선별망(120)에는 선별 대상물을 선별하기 위한 제1 선별공(121)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하부선별망(120)의 우측 상단면에는 제1 상단 우측홈(12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하부 선별망(120)의 우측 하단면에는 제1 하단 우측돌기(125)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상단 우측홈(123)은 상기 제2 중간지지부재의 제1 돌출부(325)와 끼움결합되고, 상기 제1 하단 우측돌기(125)는 상기 제2 결합유닛의 제1 결합부(621)와 끼움결합된다.
상기 제1 상단 우측홈(123)은 제1 상단 우측 경사면(123a)과, 상기 제1 상단 우측 경사면(123a)과 연장되는 제1 상단 우측 함몰부(123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상단 우측 경사면(123a)은 함몰되는 방향으로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상단 우측 함몰부(123b)는 상기 제1 상단 우측 경사면(123a)의 끝단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구형상을 가지면서 함몰형성된다.
상기 제1 상단 우측 함몰부(123b)의 내부직경은 상기 제1 상단 우측 경사면(123a)과 연결되는 연결부위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1 돌출부(325)가 삽입될 때는 쉽게 삽입되지만 분리될 때는 상부방향으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하단 우측돌기(125)는 상기 제2 하부 선별망(120)의 우측 하단면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제1 하단 우측 경사면(125a)과, 상기 제1 하단 우측 경사면(125a)에서 연장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구형상을 가지는 제1 하단 우측 돌출부(125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하단 우측 경사면(125a)은 상기 제1 결합부의 제1 결합 경사면(621a)과 대응되고, 상기 제1 하단 우측 돌출부(125b)는 상기 제1 결합부의 제1 결합 홈부(621b)와 대응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 결합 홈부(621b)의 내부직경은 상기 제1 결합경사면(621a)과 연결되는 연결부위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 하단 우측 돌출부(125b)가 상기 제1 결합경사면(621a)을 따라 쉽게 삽입되지만, 분리될 때는 상기 제1 하단 우측 돌출부(125b)가 상기 제1 결합홈부(621b)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제2 하부선별망(120)의 좌측 상단면에는 제1 상단 좌측홈(12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하부 선별망의 좌측 하단면에는 제1 하단 좌측돌기(124)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상단 좌측홈(122)은 상기 제1 중간지지부재의 제2 돌출부와 끼움결합되고, 상기 제1 하단 좌측돌기(124)는 상기 제1 결합유닛의 제2 결합부와 끼움결합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1 상단 좌측홈(122)은 제1 상단 좌측 경사면(122a)과, 상기 제1 상단 좌측 경사면(122a)과 연장되는 제1 상단 좌측 함몰부(122b)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하단 좌측돌기(124)는 상기 제2 하부 선별망의 좌측 하단면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제1 하단 좌측 경사면(124a)과, 상기 제1 하단 좌측 경사면(124a)에서 연장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구형상을 가지는 제1 하단 좌측 돌출부(124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선별공(121)의 형상은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바뀔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타원형의 형상을 가지지만, 원형 또는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선별공(121)의 단면적은 상기 제2 하부선별망(120)을 하부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점점 커지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제1 선별공(121)의 크기는 상기 제2 하부선별망(120)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 상부선별망(220)의 제2 선별공(22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단 선별유닛(200)은 상기 제1단 선별유닛(10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며, 이웃하여 배치되면서 결합되는 복수 개의 상부 선별망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선별망들은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도 1, 도 2,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제2 상부선별망(220)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나머지 상부 선별망들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 상부선별망(220)은 상술한 상기 제2 하부선별망(120)과 마찬가지로, 폴리우레탄으로 제작되며, 내부에는 보강재가 구비된다. 상기 제2 상부선별망(220)에는 선별 대상물을 선별하기 위한 제2 선별공(221)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상부선별망(220)의 우측 하단면에는 제2 하단 우측돌기(223)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상부선별망(220)의 좌측 하단면에는 제2 하단 좌측돌기(222)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하단 우측돌기(223)는 상기 제2 중간지지부재의 제1 함몰홈(321)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제2 하단 좌측돌기(222)는 상기 제1 중간지지부재의 제2 함몰홈에 끼움결합된다.
상기 제2 하단 우측돌기(223)는 상기 제2 상부 선별망(220)의 우측 하단면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제2 하단 우측 경사면(223a)과, 상기 제2 하단 우측 경사면(223a)에서 연장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구형상을 가지는 제2 하단 우측 돌출부(223b)를 포함한다.
상기 제2 하단 우측 경사면(223a)은 상기 제1 함몰홈(321)의 제1 상부 경사면(321a)과 대응되고, 상기 제2 하단 우측 돌출부(223b)는 상기 제1 함몰홈의 제1 상부 함몰부(321b)와 대응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하단 좌측돌기(222)는 상기 제2 상부 선별망의 좌측 하단면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제2 하단 좌측 경사면(222a)과, 상기 제2 하단 좌측 경사면(222a)에서 연장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구형상을 가지는 제2 하단 좌측 돌출부(222b)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중간지지부재는 상단에서는 이웃하는 두 개의 하부 선별망들과 결합되고, 하단에서는 이웃하는 두 개의 상부 선별망들과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중간지지부재들은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도 1, 도 2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2 중간지지부재(320)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나머지 중간지지부재들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2 중간지지부재(320)는 지지부재 몸체(323)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 몸체(323)의 상면에는 이웃하는 두 개의 상부 선별망들의 하단부와 각각 결합되는 제1 함몰홈(321) 및 제2 함몰홈(322)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 몸체(323)의 하면에는 상기 이웃하는 두 개의 하부 선별망들의 상단과 각각 결합되는 제1 돌출부(325) 및 제2 돌출부(326)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2의 B에서와 같이, 상기 제1 함몰홈(321)은 상기 제2 상부 선별망의 제2 하단 우측돌기(223)와 끼움결합되고, 상기 제2 함몰홈(322)은 상기 제3 상부 선별망의 제2 하단 좌측돌기(232)와 끼움결합된다.
상기 제1 함몰홈(321)은 제1 상부 경사면(321a)과, 상기 제1 상부 경사면(321a)에서 연장되는 제1 상부 함몰부(321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상부 경사면(321a)은 함몰되는 방향으로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상부 함몰부(321b)는 상기 제1 상부 경사면(321a)의 끝단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구형상을 가지면서 함몰형성된다.
상기 제1 상부 함몰부(321b)의 내부직경은 상기 제1 상부 경사면(321a)과 연결되는 연결부위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2 하단 우측돌기(223)가 삽입될 때는 쉽게 삽입되지만 분리될 때는 상부방향으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함몰홈(322)은 제2 상부 경사면(322a)과, 상기 제2 상부 경사면(322a)과 연장되는 제2 상부 함몰부(322b)를 포함한다
한편, 도 2의 D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돌출부(325)는 상기 제2 하부 선별망의 제1 상단 우측홈(123)과 끼움결합되고, 상기 제2 돌출부(326)는 상기 제3 하부 선별망의 제1 상단 좌측홈(132)과 끼움결합된다.
상기 제1 돌출부(325)는 제1 하부 경사면(325a)과, 상기 제1 하부 경사면(325a)에서 연장되는 제1 하부 돌출헤드(325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하부 경사면(325a)은 돌출되는 방향으로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하부 돌출헤드(325b)는 상기 제1 하부 경사면(325a)의 끝단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구형상을 가지면서 돌출형성된다. 상기 제1 하부 경사면(325a)은 상기 제1 상단 우측 경사면(123a)과 대응되고, 상기 제1 하부 돌출헤드(325b)는 상기 제1 상단 우측 함몰부(123b)와 대응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돌출부(326)는 제2 하부 경사면(326a)과, 상기 제2 하부 경사면(326a)에서 연장되는 제2 하부 돌출헤드(326b)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 측벽(400)은 상기 복수 개의 하부 선별망들 중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 하부선별망(110)의 테두리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측벽(400) 및 상기 제3 측벽(1400)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도 1,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제1 측벽(40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제1 측벽(400)은 제1 측벽몸체(410)와, 상기 제1 측벽몸체(41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결합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측벽(400)의 하부에는 제1 앵글부재(710)가 배치된다.
상기 제1 측벽몸체(410)에는 상기 지지프레임(10)과의 결합을 위한 측벽 결합홀(411)이 형성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체결부재(32)에 의하여 상기 제1 측벽(400)은 상기 지지프레임(10)에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측벽 결합홀(411)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체결부재(32)는 볼트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결합부(420)에는 상기 제1 하부 선별망(110)의 제1 하단 좌측돌기(114)와 끼움결합되는 제1 측벽홈(4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측벽홈(423)은 제1 측벽 경사면(423a)과, 상기 제1 측벽 경사면(423a)에서 연장되는 제1 측벽 함몰부(423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측벽 경사면(423a)은 함몰되는 방향으로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측벽 함몰부(423b)는 상기 제1 측벽 경사면(423a)의 끝단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구형상을 가지면서 함몰형성된다.
상기 제1 측벽 함몰부(423b)의 내부직경은 상기 제1 측벽 경사면(423a)과 연결되는 연결부위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1 하부 선별망의 제1 하단 좌측돌기(114)가 삽입될 때는 쉽게 삽입되지만 분리될 때는 상부방향으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2 측벽(500)은 상기 복수 개의 상부 선별망들 중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 상부선별망(210)의 테두리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2 측벽(500) 및 상기 제4 측벽(1500)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도 1,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제2 측벽(50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상기 제2 측벽(500)의 구조는 상기 제1 측벽(400)의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측벽(500)은 제2 체결부재(31)에 의하여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결합되고, 상기 제2 측벽의 제2 측벽홈(523)에는 제1 상부선별망의 제2 하단 좌측돌기(212)가 끼움결합 된다.
한편, 상기 결합유닛들은 모두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도 1, 도 2 및 도 7을 참조하여, 제2 결합유닛(620)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나머지 결합유닛들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 및 도 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결합유닛(620)은 결합유닛 몸체(625)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유닛 몸체(625)에는 제2 하부선별망의 제1 하단 우측돌기(125)와 끼움결합되는 제1 결합부(621)와, 상기 제3 하부선별망의 제1하단 좌측돌기(134)와 끼움결합되는 제2 결합부(6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 결합부(621) 및 상기 제2 결합부(622)는 함몰홈의 형상을 가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결합부(621)는 제1 결합 경사면(621a)과, 상기 제1 결합 경사면(621a)에서 함몰형성되는 제1 결합홈부(621b)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결합 경사면(621a)은 함몰되는 방향으로 폭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결합홈부(621b)는 상기 제1 결합 경사면(621a)의 끝단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구형상을 가지면서 함몰형성된다.
상기 제1 결합홈부(621b)의 내부직경은 상기 제1 결합 경사면(621a)과 연결되는 연결부위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상기 제2 하부선별망의 제1 하단 우측돌기(125)가 삽입될 때는 쉽게 삽입되지만 분리될 때는 상부방향으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결합부(622)는 제2 결합경사면(622a)과, 상기 제2 결합 경사면(622a)에서 함몰형성되는 제2 결합 홈부(622b)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결합유닛 몸체(625)는 제2 결합핀(820)에 의하여 제3 앵글부재(730)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3 앵글부재(730)는 상면 프레임(731)과, 상기 상면프레임(731)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수직프레임(733)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유닛 몸체(625)의 하단부에는 상기 상면프레임(731)과 대응되는 단차홈(6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유닛 몸체(625)에는 상기 제2 결합핀(820)이 관통하는 제1 핀관통홀이(623)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면 프레임(731)에는 상기 제2 결합핀(820)이 관통하는 제2 핀관통홀(731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결합핀(820)은 핀몸체(821)와, 상기 핀몸체(821)의 테두리에 형성된 압입돌기(823)를 포함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2 결합핀(820)은 상기 제1 핀관통홀(623)을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제2 핀관통홀(731a)을 관통하면서 끼움결합됨으로써 상기 제3 앵글부재(730)와 상기 제2 결합유닛(62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100: 제1단 선별유닛 110: 제1 하부선별망
120: 제2 하부선별망 200: 제2단 선별유닛
210: 제1 상부선별망 220: 제2 상부선별망
310: 제1 중간지지부재 320: 제2 중간지지부재
400: 제1 측벽 500: 제2 측벽
610: 제1 결합유닛 620: 제2 결합유닛
710: 제1 앵글부재 720: 제2 앵글부재
820: 제2 결합핀

Claims (8)

  1.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복수 개의 하부 선별망들을 갖는 제1단 선별유닛;
    상기 제1단 선별유닛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간격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상부 선별망들을 갖는 제2단 선별유닛;
    상기 제1단 선별유닛과 상기 제2단 선별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지지부재;
    이웃하는 두 개의 하부 선별망들의 하단부와 각각 끼움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결합유닛 몸체를 갖는 결합유닛;
    상기 결합유닛 몸체와 결합되는 앵글부재; 그리고,
    상기 결합유닛과 상기 앵글부재를 동시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핀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유닛 몸체의 하단부에는 상기 앵글부재의 상면프레임과 대응되는 단차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유닛 몸체에는 상기 결합핀이 관통되는 제1 핀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핀은 핀몸체와, 상기 핀몸체의 테두리에 형성된 압입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핀은 상기 제1 핀관통홀을 관통함과 동시에 상기 상면프레임에 형성된 제2 핀관통홀을 관통하면서 끼움결합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는 함몰형성되는 함몰홈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이웃하는 두 개의 하부 선별망들 중 제2 하부 선별망의 제1 하단 우측돌기와 결합되며,
    상기 제1 결합부는 함몰되는 방향으로 폭이 점점 좁아지는 제1 결합경사면과, 상기 제1 결합 경사면의 끝단에 함몰형성되는 제1 결합홈부를 가지고,
    상기 제1 하단 우측돌기는 상기 제2 하부 선별망의 우측 하단면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제1 하단 우측 경사면과, 상기 제1 하단 우측 경사면에서 연장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구형상을 가지는 제1 하단 우측 돌출부를 가지며,
    상기 제1 하단 우측 경사면은 상기 제1 결합경사면과 대응되고, 상기 제1 하단 우측 돌출부는 상기 제1 결합홈부와 대응되며, 상기 제1 결합홈부의 내부직경은 상기 제1 결합 경사면과 연결되는 연결부위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1 하단 우측 돌출부가 상부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쇄석 선별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하부 선별망들 중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 하부 선별망과 결합되는 제1 측벽과, 상기 복수 개의 상부 선별망들 중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1 상부 선별망과 결합되는 제2 측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측벽과 제2 측벽은 각각 제1 체결부재 및 제2 체결부재에 의하여 지지프레임에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쇄석 선별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지지부재는 지지부재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 몸체의 상면에는 이웃하는 두 개의 상부 선별망들의 하단부와 각각 결합되는 제1 함몰홈 및 제2 함몰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 몸체의 하면에는 상기 이웃하는 두 개의 하부 선별망들의 상단과 각각 결합되는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쇄석 선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제2 하부 선별망과 제3 하부 선별망이 이웃하여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2 하부 선별망의 우측 상단면에 형성된 제1 상단 우측홈에는 상기 제1 돌출부가 끼움결합되고, 상기 제3 하부 선별망의 좌측 상단면에 형성된 제1 상단 좌측홈에는 상기 제2 돌출부가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쇄석 선별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제2 상부 선별망과 제3 상부 선별망이 이웃하여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제2 상부 선별망의 우측 하단면에 형성된 제2 하단 우측돌기는 상기 제1 함몰홈에 끼움결합되고, 상기 제3 상부 선별망의 좌측 하단면에 형성된 제2 하단 좌측돌기는 상기 제2 함몰홈에 끼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쇄석 선별장치.
  8. 삭제
KR2020120003070U 2012-04-16 2012-04-16 다단 쇄석 선별장치 KR2004624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070U KR200462438Y1 (ko) 2012-04-16 2012-04-16 다단 쇄석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070U KR200462438Y1 (ko) 2012-04-16 2012-04-16 다단 쇄석 선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438Y1 true KR200462438Y1 (ko) 2012-09-11

Family

ID=47074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070U KR200462438Y1 (ko) 2012-04-16 2012-04-16 다단 쇄석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43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8799A1 (en) * 2017-10-04 2019-04-11 Metso Sweden Ab SCREENING SYSTEM
KR200491449Y1 (ko) * 2019-08-22 2020-05-15 서석호 보수가 용이한 2단 우레탄 쇄석 선별 장치
CN112090743A (zh) * 2020-09-26 2020-12-18 东莞市新泰粮食有限公司 一种大米加工用筛分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827Y1 (ko) 2002-11-14 2003-03-03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쇄석선별기의 쇄석선별망 설치구조
KR200344818Y1 (ko) 2003-12-09 2004-03-10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쇄석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827Y1 (ko) 2002-11-14 2003-03-03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쇄석선별기의 쇄석선별망 설치구조
KR200344818Y1 (ko) 2003-12-09 2004-03-10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쇄석 선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8799A1 (en) * 2017-10-04 2019-04-11 Metso Sweden Ab SCREENING SYSTEM
KR200491449Y1 (ko) * 2019-08-22 2020-05-15 서석호 보수가 용이한 2단 우레탄 쇄석 선별 장치
CN112090743A (zh) * 2020-09-26 2020-12-18 东莞市新泰粮食有限公司 一种大米加工用筛分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2438Y1 (ko) 다단 쇄석 선별장치
KR100770755B1 (ko)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
KR20150086498A (ko) 스크린 패널용 스냅핏 고정 시스템
KR20130003480A (ko) 골재 선별용 러버 스크린 모듈 및 그 제조방법
AU2020227061B2 (en) Polyurethane screen
US9308555B2 (en) Screen panel
KR20060109794A (ko) 진동스크린
KR101181901B1 (ko) 다단 선별기
JP2004532119A (ja) 振動式フィーダのバースクリーンモジュール
KR200465249Y1 (ko) 쇄석 선별장치
CN103203322B (zh) 具有带孔的陶瓷部件的筛子中膜元件
US8991613B2 (en) Screen panel with improved apertures
KR101232452B1 (ko) 체용 마스크
KR101272468B1 (ko) 광석 선별용 스크린망
US20120118796A1 (en) Screening panel
KR100868807B1 (ko)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
US9592535B2 (en) Screen frame
KR100642149B1 (ko) 광석 선별용 스크린
KR200305827Y1 (ko) 쇄석선별기의 쇄석선별망 설치구조
RU2655861C2 (ru) Просеивающая поверхность
KR200441646Y1 (ko) 선별 스크린
KR101203633B1 (ko) 원료 선별용 스크린장치
KR20200082671A (ko) 설치 편리성을 향상시킨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KR100533943B1 (ko) 광석 선별망
CN202621449U (zh) 钢制条形筛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