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70755B1 -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 - Google Patents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70755B1
KR100770755B1 KR1020060093022A KR20060093022A KR100770755B1 KR 100770755 B1 KR100770755 B1 KR 100770755B1 KR 1020060093022 A KR1020060093022 A KR 1020060093022A KR 20060093022 A KR20060093022 A KR 20060093022A KR 100770755 B1 KR100770755 B1 KR 100770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hole
main body
rubber screen
sor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3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강운
Original Assignee
(주)성부콘베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부콘베어 filed Critical (주)성부콘베어
Priority to KR1020060093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7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04Stationary flat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러버 스크린에 있어서; 종방향, 횡방향, 종·횡방향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범포지나 코드사가 1겹 이상 내재된 콘베어 벨트, 폴리우레탄 또는 내마모 고무 재질로 직사각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와; 원형, 사각형, 마름모꼴, 다각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등간격을 유지하며 연속하여 형성되되, 이웃하는 열간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선별 구멍과;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선별 구멍을 절취시켜 상기 선별 구멍의 크기를 확장시키는 절취부; 및 상기 본체를 양측 프레임에 취부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선별 구멍과 이웃하는 선별 구멍 사이를 절취 또는 선별 구멍의 측면을 일부 절취하여 선별시 선별 구멍이 진동에 따라 벌어지도록 하여 모가지거나 각진 선별 물체도 선별할 수 있고, 체결구를 S자 형태로 절곡하여 절곡시 곡면이 직선상으로 절곡되어 걸림구와 정확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진동에 의해 체결구가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광석, 선별, 러버, 스크린, 선별 구멍, 절취

Description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Expandable rubber screen of select hole}
도 1은 일반적인 러버 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는 도 5a의 A-A 단면도,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의 선별 구멍에 절취부가 형성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의 안착홈이 형성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9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이 프레임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 능한 러버 스크린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 설명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2a 내지 도 12e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1 : 프레임 110 : 본체
111 : 고정 볼트 115 : 지지구
117 : 안착홈 120 : 선별 구멍
121 : 절취선 123 : 보조 선별 구멍
130 : 절취부 140 : 체결구
본 발명은 러버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석 선별 장치는 광산이나 건설현장 및 폐기물 처리장 등에서 다양한 크기의 선별 물체들을 필요로 하는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설비이 다.
광석 선별 장치는 다수의 러버 스크린을 연결하면서 이들 러버 스크린들을 다수의 빔들에 의해서 지지하고, 양측 단부는 프레임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구비된다.
인장형의 러버 스크린은 통상 양측의 프레임 사이에서 양단부가 양측의 프레임에 일정한 장력으로 고정되는 방식에 의해 구비되며, 이때 프레임 사이에서 선별 물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다수의 러버 스크린이 연속해서 배열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양측의 프레임과 이들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러버 스크린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함으로써 러버 스크린의 상부에서 선별 물체들이 낙하되게 하면 상측으로부터 자중에 의해 선별 물체들이 하향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러버 스크린은 고무 등과 같이 그 자체적으로도 일정한 탄력을 갖는 재질로서 구비하기도 하며, 또한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면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도록 한 선별 구멍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하고, 이 러버 스크린의 양측 단부는 금속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체결구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한다.
러버 스크린에 형성되는 선별 구멍은 선별하고자 하는 선별 물체의 크기에 따라서 구멍 크기 및 형상이 다양하다.
그리고 러버 스크린에 결합되는 체결구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휘어지는 형상이며, 체결구는 걸림구와 볼트에 의해서 프레임측으로 인장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러버 스크린은 이런 장력으로 인해 항상 일정한 탄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프레임의 상측에서 선별 물체를 러버 스크린에 공급하게 되면 선별 물체들은 경사진 형상으로 연속 배열된 러버 스크린을 따라서 하향 이동하게 되고, 이렇게 이동하는 선별 물체들은 러버 스크린에 형성한 선별 구멍을 통해 선별 구멍의 크기보다 작은 선별 물체들이 낙하하면서 선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러버 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러버 스크린(20)은 일정 간격으로 수직 관통시켜 다수의 선별 구멍(21)이 형성되고, 이들 선별 구멍(21)은 일정한 패턴을 갖고 배열되도록 하며, 선별 구멍(21)의 형상이나 크기는 선별하고자 하는 선별 물체에 따라서 원형, 사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하도록 한다.
러버 스크린(20)의 체결구(22)는 일정한 높이로 상향 연장되게 하면서 안쪽으로 굽어진 형상으로 구비되고, 체결구(22)의 하단에는 받침판이 더 설치된다.
이때 러버 스크린(20)은 통상 폴리우레탄이나 고무를 주로 사용하며, 체결구(22)는 보다 견고한 재질은 금속 재질로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러버 스크린(20)의 양측 단부에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러버 스크린은 원형 또는 사각형의 선별 구멍의 크기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모가지거나 각이진 선별 물체가 선별 구멍을 빠져나가지 못하고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러버 스크린은 선별 구멍의 타공시 선별 물체보다 10~50% 큰 직경으로 타공하기 때문에 설계가 어렵고, 불필요하게 재료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종래의 러버 스크린은 체결구가 안쪽으로 굽어진 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형상을 절곡시 곡면이 직선상으로 절곡되지 않고, 울퉁불퉁하게 절곡되거나 휘게 되어 걸림구와 결합시 정확하게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진동에 의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종래의 러버 스크린의 체결구는 일직선 상으로 볼트홀을 형성하여 러버 스크린 및 받침판과 볼트 또는 리벳에 의해 결합시키기 때문에 러버 스크린에 동일 선상으로 홀이 형성되어 하중이 많이 걸리는 경우 동일 선상에 피로 집중으로 인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종래의 러버 스크린은 체결구가 리벳 방식으로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러버 스크린이 파손되거나 마모시 용이하게 러버 스크린을 교환하고자 할 때 체결구까지 모두 교체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선별 구멍과 이웃하는 선별 구멍 사이를 절취 또는 선별 구멍의 측면을 일부 절취하여 선별시 선별 구멍이 진동에 따라 벌어지도록 하여 모가지거나 각진 선별 물체도 선별할 수 있는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별 물체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로 선별 구멍을 형성하고, 선별 구멍과 이웃하는 선별 구멍 사이를 절취 또는 선별 구멍의 측면을 일부 절취하여 선별시 선별 구멍이 진동에 따라 벌어지기 때문에 타공시 선별 물체와 동일하게 선별 구멍을 뚫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계가 간단하고, 불필요한 재료 낭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체결구를 S자 형태로 절곡하여 절곡시 곡면이 직선상으로 절곡되어 걸림구와 정확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진동에 의해 체결구가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체결구에 볼트홀을 지그재그로 천공하여 볼트 또는 리벳에 의해 결합시켜 결합 위치를 분산시킴으로써 하중이 많이 걸리는 경우 동일 선상에 피로 집중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체결구를 리벳 방식이 아닌 볼트 방식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러버 스크린이 파손되거나 마모시 용이하게 러버 스크린을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선별 구멍이 형성되는 러버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선별 구멍과 이웃하는 선별 구멍을 절취시키거나 또는 상기 선별 구멍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절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러버 스크린에 있어서; 종방향, 횡방향, 종·횡방향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범포지나 코드사가 1겹 이상 내재된 콘베어 벨트, 폴리우레탄 또는 내마모 고무 재질로 직사각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와; 원형, 사각형, 마름모꼴, 다각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등간격을 유지하며 연속하여 형성되되, 이웃하는 열간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선별 구멍과;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선별 구멍을 절취시켜 상기 선별 구멍의 크기를 확장시키는 절취부; 및 상기 본체를 양측 프레임에 취부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러버 스크린에 있어서; 종방향, 횡방향, 종·횡방향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범포지나 코드사가 1겹 이상 내재된 콘베어 벨트, 폴리우레탄 또는 내마모 고무 재질로 직사각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와; 원형, 사각형, 마름모꼴, 다각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등간격을 유지하며 연속하여 형성되되, 이웃하는 열간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되고, 내측면에서 외측으로 절취된 절취선이 구비되는 복수의 선별 구멍; 및 상기 본체를 양측 프레임에 취부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러버 스크린에 있어서; 종방향, 횡방향, 종·횡방향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범포지나 코드사가 1겹 이상 내재된 콘베어 벨트, 폴리우레탄 또는 내마모 고무 재질로 직사각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와; 원형, 사각형, 마름모꼴, 다각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등간격을 유 지하며 연속하여 형성되되, 이웃하는 열간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대각선 방향 양측면에 각각 보조 선별 구멍이 구비되는 복수의 선별 구멍; 및 상기 본체를 양측 프레임에 취부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 1실시예》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러버 스크린은 본체(110)에 형성된 선별 구멍(120)과 이웃하는 선별 구멍(120)을 절취시키거나 또는 선별 구멍(12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절취시킨다. 이때, 선별 구멍(120)은 원형, 사각형, 마름모꼴, 다각형(예를 들어, 육각형, 팔각형 등)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일렬로 등간격을 유지하며 연속하여 형성되되, 이웃하는 열간 서로 어 긋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열간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2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는 도 5a의 A-A 단면도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의 선별 구멍에 절취부가 형성되는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의 안착홈이 형성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100)은, 본체(110)와, 선별 구멍(120)과, 절취부(130) 및 체결구(140)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체(110)는 종방향, 횡방향, 종·횡방향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범포지나 코드사가 1겹 이상 내재된 콘베어 벨트, 폴리우레탄 또는 내마모 고무 재질로 직사각형의 판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본체(110)는 하기에서 설명할 체결구(140)와 고정 볼트(111)에 의해 결합되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제 1볼트홀(113)이 구비되고,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구(115)가 그 저면에 결합되고, 그 길이 방향 양단 상하면에 체결구(140)가 안착되는 안착홈(117)이 각각 형성된다. 한편, 안착홈(117)은 본체(110) 의 두께가 4~6㎜인 경우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117)을 미형성한 상태에서 양단 끝단에 체결구(140)와 지지구(115)를 결합시키고, 두께가 7~9㎜인 경우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 안착홈(117)을 지지구(115)의 두께로 형성한 상태에서 양단 끝단에 체결구(140)와 지지구(115)를 결합시키며, 두께가 10~14㎜인 경우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117)을 체결구(140)와 지지구(115)의 두께로 형성한 상태에서 양단 끝단에 체결구(140)와 지지구(115)를 결합시키고, 두께가 15~35㎜인 경우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117)을 체결구(140)와 지지구(115)보다 더 깊게 형성한 상태에서 양단 끝단에 체결구(140)와 지지구(115)를 결합시킨다. 또한, 안착홈(117)을 형성하는 방법은 일끝단을 수직으로 범포지 또는 코드사의 상단까지 절취시키고, 러버 컷 단면 절단기를 이용하여 수평으로 융용시키면서 절취시켜 범포지 또는 코드사의 상면을 절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절취시키면 절취면, 즉 안착홈(117)의 절단면이 매끄럽고, 절취시간이 단축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고정 볼트(111)는 헤드(111-1)와, 헤드(111-1)의 저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되,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안착부(111-3)와, 안착부(111-3)의 중심에서 수직으로 연장형성되는 볼트 몸체(111-5)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또, 너트의 상면에는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의 마모를 방지하도록 내마모 고무 재질로 덮개판(150)이 더 적층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또, 지지구(115)는 본체(110)의 제 1볼트홀(113)과 대응되는 제 2볼트홀(115-1)이 형성되되, 진동에 의해 고정 볼트(111)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고, 체결이 용이하도록 고정 볼트(111)의 안착부(111-3)가 삽입되도록 제 2볼트홀(115-1)의 외주연에 사각 안착홈(115-3)이 더 형성된다.
그리고, 선별 구멍(120)은 선별 물체와 동일 크기로 타공되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마름모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각형,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원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며 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등간격을 유지하며 연속하여 형성되되, 이웃하는 열과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 즉 천조발 타입으로 형성된다. 또한, 선별 구멍(120)은 도 5d에 도시된 바와 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등간격을 유지하며 연속하여 형성되되, 이웃하는 열과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 즉 병렬발 타입으로 형성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각형의 경우도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와 같이 선별 구멍(120)을 병렬로 형성하면 어느 하나의 선별 구멍을 중심으로 그 둘레에 6각형으로 선별 구멍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한, 선별 구멍(120)을 형성시 범포지나 코드사의 삽입 유무와, 본체(110)의 경도, 두께 등에 따라 선별 구멍(120)의 수직으로 형성되지 않고, 내측면에 라운드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또, 선별 구멍(120)을 형성시 본체(110)의 길이가 일정 길이 이상 길어지는 경우 본체(110)에 선별 구멍(120)을 일부분에 미형성시키는 무공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절취부(130)는 길이 방향 일끝단의 선별 구멍과 이웃하는 제 1선별 구멍과 절취시키고, 제 1선별 구멍과 이웃하는 제 2선별 구멍은 미절취시키고, 제 2 선별 구멍과 이웃하는 n선별 구멍은 절취시키는 방식으로 번갈아가며 형성하되, 마지막, 즉 길이 방향 타끝단의 선별 구멍에는 미형성한다. 한편, 절취부(130)는 선별 구멍(120)의 형성 후 별도의 금형에 올려져 절취되거나 선별 구멍(120)의 형성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절취부(130)는 길이 방향 일끝단의 선별 구멍과 이웃하는 제 1, 2선별 구멍과 연속해서 형성시키고, 제3선별 구멍은 미절취시키며, 제 3선별 구멍과 이웃하는 제 4, 5선별 구멍은 절취시키고, 이웃하는 n선별 구멍은 미절취시키는 방식으로 번갈아가며 형성할 수도 있고, 길이 방향 일끝단의 선별 구멍과 이웃하는 제 1, 2, 3선별 구멍과 연속해서 형성시키고, 제4선별 구멍은 미절취시키고, 제 4선별 구멍과 이웃하는 제 5, 6, 7선별 구멍은 절취시키고, 이웃하는 n선별 구멍은 미절취시키는 방식으로 번갈아가며 형성할 수도 있으며, 선택에 따라 4개 이상을 연속해서 절취한 후 미절취하고, 다시 연속 절취하는 방식으로도 할 수 있고, 길이 방향 일끝단의 선별 구멍과 이웃하는 선별 구멍들을 연속적으로 절취시킬 수 있는 등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하다.
또, 체결구(140)는 절곡시 곡면이 직선상으로 절곡되도록 S자 형태로 절곡되어 본체(110)의 길이 방향 양단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117)에 안착되어 지지구(115)와 고정 볼트(111)에 의해 결합되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제 3볼트홀(141)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체결구(140)의 볼트홀(141)을 지그재그로 천공하는 이유는 고정 볼트(111)에 의해 결합시 결합 위치를 분산시킴으로써 하중이 많이 걸리는 경우 동일 선상에 피로 집중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의 작용을 도 4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9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이 프레임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의 동작을 나타낸 동작 설명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110)은 프레임(101) 사이에서 체결구(140)가 양측의 프레임(101)에 일정한 장력으로 고정되는 방식에 의해 구비되며, 이때 프레임(101) 사이에서 선별 물체(103)의 이동 방향을 따라 다수의 러버 스크린이 연속해서 배열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체결구(140)와 프레임(101)을 연결하면, 체결구(140)의 곡면이 직선상으로 절곡되어 있고, 상단이 연장형성되기 때문에 강도가 보강되어 진동 발생시 프레임(101)과 이탈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러버 스크린이 진동을 하면, 선별 물체(103)가 러버 스크린의 상단에서 진동되면서 이동을 하고, 선별 구멍(120)의 크기 이하의 선별 물체(103)가 선별 구멍(120)을 통해 배출된다.
또한, 선별 물체(103)가 상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러버 스크린(100)이 진동을 하게 되면,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 구멍(120)과 선별 구멍(120) 사이에 형성된 절취부(130)가 하중에 의해 벌어지고, 이로 인해 선별 구멍(120)의 크기가 약간 커진다.
이로 인해 선별 구멍(120)을 통과할 크기를 갖으나 모가지거나 각이진 선별 물체(103)가 통과된다.
《제 3실시예》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a 내지 도 12e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2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100)은, 본체(110)와, 선별 구멍(120)과, 체결구(140)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체(110)와 체결구(140)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와 동일 구성을 가지므로 그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선별 구멍(120)은 원형, 사각형, 마름모꼴, 다각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며 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등간격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되, 이웃하는 열과 서로 어긋나도록 병렬 형성되고, 측면이 절취되어 절취선(12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선별 구멍(120)을 병렬로 형성하면 어느 하나의 선별 구멍을 중심으로 그 둘레에 6각형으로 선별 구멍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선별 구멍(120)을 형성시 본체(110)의 길이가 일정 길이 이상 길어지는 경우 본체(110에 선별 구멍(120)을 일부분에 미형성시키는 무공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또한, 절취선(121)은 본체(110)의 길이 방향, 폭방향, 사선 방향중 선택된 어느 한 방향으로 형성되데,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시킬 수 있는 데,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중심에서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1개의 절취선(121)을 일방향으로 각각 형성시키되, 이웃하는 선별 구멍과 일정 간격을 이격시킨다. 즉, 도 12a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좌측 끝단에 위치하는 첫 번째 선별 구멍(120)부터 마지막 선별 구멍 전의 선별 구멍까지 도면상 우측에 1개의 절취선(121)을 각각 형성하고, 마지막 선별 구멍에는 절취선(121)을 미형성한다.
또한, 절취선(121)은 도 12b 내지 도 12e와 같이 선별 구멍(120)에서 각각 2개 또는 각각 3개 또는 각각 4개씩 형성시킬 수도 있는 데,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끝단에 위치하는 첫 번째 선별 구멍(120)의 도면상 우측에 2개의 절취선(121)을 각각 형성하고, 두 번째 선별 구멍부터 마지막 선별 구멍의 전 선별 구멍까지는 도면상 좌측, 우측에 2개의 절취선(121)을 각각 형성하고, 마지막 선별 구멍의 도면상 좌측에 2개의 절취선(121)을 각각 형성할 수도 있다. 또,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하측에 2개의 절취선(121)을 형성할 수도 있고, 12d 및 1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절취선(121)을 형성할 수도 있으며, 도면상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선별 구멍(120)에서 절취선(121)을 5개 이상 형성시킬 수 있으며, 그 방향 및 개수는 선택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한편, 선별 구멍(120)의 절취선(121)은 선별 구멍(120)의 형성시 펀치의 측면에 칼날을 형성하여 일체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다.
그리고, 절취선(121)은 이웃하는 선별 구멍(120)의 절취선(121)과 이격되도 록 선별 구멍(120)의 지름 또는 길이와 대비하여 1/3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100)은 프레임(101) 사이에서 체결구(140)가 양측의 프레임(101)에 일정한 장력으로 고정되는 방식에 의해 구비되며, 이때 프레임(101) 사이에서 선별 물체(103)의 이동 방향을 따라 다수의 러버 스크린이 연속해서 배열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체결구(140)와 프레임(101)을 연결하면, 체결구(140)의 곡면이 직선상으로 절곡되어 있고, 상단이 연장형성되기 때문에 강도가 보강되어 진동 발생시 프레임(101)과 이탈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러버 스크린이 진동을 하면, 선별 물체(103)가 러버 스크린의 상단에서 진동되면서 이동을 하고, 선별 구멍(120)의 크기 이하의 선별 물체(103)가 선별 구멍(120)을 통해 배출된다.
또한, 선별 물체(103)가 상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러버 스크린(100)이 진동을 하게 되면, 선별 구멍(120)에 절취선(12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중에 의해 벌어지고, 이로 인해 선별 구멍(120)의 크기가 약간 커진다.
이로 인해 선별 구멍(120)을 통과할 크기를 갖으나 모가지거나 각이진 선별 물체(103)가 통과된다.
《제 4실시예》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100)은, 본체(110)와, 선별 구멍(120)과, 체결구(140)로 이루어진다.
먼저, 본체(110)와 체결구(140)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와 동일 구성을 가지므로 그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선별 구멍(120)은 원형, 사각형, 마름모꼴, 다각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며 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등간격으로 연속하여 형성되되, 이웃하는 열과 서로 어긋나도록 병렬 형성되고, 본체(110)의 대각선 방향 양측면에 각각 보조 선별 구멍(123)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선별 구멍(120)을 병렬로 형성하면 어느 하나의 선별 구멍을 중심으로 그 둘레에 6각형으로 선별 구멍이 형성된다.
여기에서, 선별 구멍(120)을 형성시 본체(110)의 길이가 일정 길이 이상 길어지는 경우 본체(110에 선별 구멍(120)을 일부분에 미형성시키는 무공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또한, 보조 선별 구멍(123)은 선별 구멍(120)의 형태와 동일 형태를 절취한 형태 즉, 원형인 경우 반구형, 사각형인 경우 직사각형, 마름모꼴인 경우 삼각형으로 형성되며, 선별 구멍(120)의 지름 또는 길이와 대비하여 1/3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100)은 프레임(101) 사이에서 체결구(140)가 양측의 프레임(101)에 일정한 장력으로 고정되는 방식에 의해 구비되며, 이때 프레임(101) 사이에서 선별 물체(103)의 이동 방향을 따라 다수의 러버 스크린이 연속해서 배열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체결구(140)와 프레임(101)을 연결하면, 체결구(140)의 곡면이 직선상으로 절곡되어 있고, 상단이 연장형성되기 때문에 강도가 보강되어 진동 발생시 프레임(101)과 이탈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러버 스크린이 진동을 하면, 선별 물체(103)가 러버 스크린의 상단에서 진동되면서 이동을 하고, 선별 구멍(120)의 크기 이하의 선별 물체(103)가 선별 구멍(120)을 통해 배출된다.
또한, 선별 물체(103)가 상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러버 스크린(100)이 진동을 하게 되면, 선별 구멍(120)에 보조 선별 구멍(12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중에 의해 벌어지고, 이로 인해 선별 구멍(120)의 크기가 약간 커진다.
이로 인해 선별 구멍(120)을 통과할 크기를 갖으나 모가지거나 각이진 선별 물체(103)가 통과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에 따르면, 선별 구멍과 이웃하는 선별 구멍 사이를 절취 또는 선별 구멍의 측면을 일부 절취하여 선별시 선별 구멍이 진동에 따라 벌어지도록 하여 모가지거나 각진 선별 물체도 선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선별 물체의 직경과 동일한 크기로 선별 구멍을 형성하고, 선별 구멍과 이웃하는 선별 구멍 사이를 절취 또는 선별 구멍의 측면을 일부 절취하여 선별시 선별 구멍이 진동에 따라 벌어지기 때문에 타공시 선별 물체와 동일하게 선별 구멍을 뚫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계가 간단하고, 불필요한 재료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체결구를 S자 형태로 절곡하여 절곡시 곡면이 직선상으로 절곡되어 걸림구와 정확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진동에 의해 체결구가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체결구에 볼트홀을 지그재그로 천공하여 볼트 또는 리벳에 의해 결합시켜 결합 위치를 분산시킴으로써 하중이 많이 걸리는 경우 동일 선상에 피로 집중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체결구를 리벳 방식이 아닌 볼트 방식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러버 스크린이 파손되거나 마모시 용이하게 러버 스크린을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선별 구멍이 형성되는 러버 스크린에 있어서;
    상기 선별 구멍과 이웃하는 선별 구멍을 절취시키거나 또는 상기 선별 구멍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절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
  2. 러버 스크린에 있어서;
    종방향, 횡방향, 종·횡방향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범포지나 코드사가 1겹 이상 내재된 콘베어 벨트, 폴리우레탄 또는 내마모 고무 재질로 직사각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와;
    원형, 사각형, 마름모꼴, 다각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등간격을 유지하며 연속하여 형성되되, 이웃하는 열간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선별 구멍과;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웃하는 선별 구멍을 절취시켜 상기 선별 구멍의 크기를 확장시키는 절취부; 및
    상기 본체를 양측 프레임에 취부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
  3. 러버 스크린에 있어서;
    종방향, 횡방향, 종·횡방향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범포지나 코드사가 1겹 이상 내재된 콘베어 벨트, 폴리우레탄 또는 내마모 고무 재질로 직사각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는 본체와;
    원형, 사각형, 마름모꼴, 다각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등간격을 유지하며 연속하여 형성되되, 이웃하는 열간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되고, 내측면에서 외측으로 절취된 절취선이 구비되는 복수의 선별 구멍; 및
    상기 본체를 양측 프레임에 취부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그 길이 방향 양단 상하면에 각각 안착홈이 더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와 고정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결합되도록 지그재그 형태로 제 1볼트홀이 구비되고,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구가 상기 안착홈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볼트는,
    헤드와;
    상기 헤드의 저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되,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중심에서 수직으로 연장형성되는 볼트 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의 상면에는,
    상기 너트의 마모를 방지하도록 내마모 고무 재질로 덮개판이 더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구는,
    상기 본체의 제 1볼트홀과 대응되는 제 2볼트홀이 형성되되, 상기 고정 볼트의 안착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제 2볼트홀의 외주연에 사각 안착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
  8.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 구멍은,
    원형, 사각형, 마름모꼴, 다각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등간격을 유지하며 연속하여 형성되되, 이웃하는 열간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는,
    길이 방향 일끝단의 선별 구멍과 이웃하는 제 1선별 구멍과 절취시키고, 상기 제 1선별 구멍과 이웃하는 제 2선별 구멍은 미절취시키고, 상기 제 2선별 구멍과 이웃하는 n선별 구멍은 절취시키는 방식으로 번갈아가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는,
    길이 방향 일끝단의 선별 구멍과 이웃하는 제 1, 2선별 구멍과 연속해서 형성시키고, 제3선별 구멍은 미절취시키며, 상기 제 3선별 구멍과 이웃하는 제 4, 5선별 구멍은 절취시키고, 이웃하는 n선별 구멍은 미절취시키는 방식으로 번갈아가며 형성하거나 또는 길이 방향 일끝단의 선별 구멍과 이웃하는 제 1, 2, 3선별 구멍과 연속해서 형성시키고, 제4선별 구멍은 미절취시키고, 상기 제 4선별 구멍과 이웃하는 제 5, 6, 7선별 구멍은 절취시키고, 이웃하는 n선별 구멍은 미절취시키는 방식으로 번갈아가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부는,
    길이 방향 일끝단의 선별 구멍과 이웃하는 선별 구멍들을 연속적으로 절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
  12.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은,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 폭방향, 사선 방향중 선택된 어느 한 방향으로 형성되데,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
  13.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는,
    S자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 양단 상면의 안착홈에 결합되며, 지그재그 형태로 제 3볼트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
  14. 러버 스크린에 있어서;
    종방향, 횡방향, 종·횡방향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 범포지나 코드사가 1겹 이상 내재된 콘베어 벨트, 폴리우레탄 또는 내마모 고무 재질로 직사각형의 판 형 태로 형성되는 본체와;
    원형, 사각형, 마름모꼴, 다각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등간격을 유지하며 연속하여 형성되되, 이웃하는 열간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대각선 방향 양측면에 각각 보조 선별 구멍이 구비되는 복수의 선별 구멍; 및
    상기 본체를 양측 프레임에 취부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 구멍은,
    원형, 사각형, 마름모꼴, 다각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등간격을 유지하며 연속하여 형성되되, 이웃하는 열간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
KR1020060093022A 2006-09-25 2006-09-25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 KR100770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022A KR100770755B1 (ko) 2006-09-25 2006-09-25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3022A KR100770755B1 (ko) 2006-09-25 2006-09-25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0755B1 true KR100770755B1 (ko) 2008-01-08

Family

ID=39215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3022A KR100770755B1 (ko) 2006-09-25 2006-09-25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0755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780B1 (ko) * 2008-05-26 2008-11-17 용원기계공업(주) 골재 생산용 스칼핑 스크린 장치
KR101438134B1 (ko) 2012-10-12 2014-09-04 엠엔테크(주)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
US9073089B2 (en) 2011-08-22 2015-07-07 Schenck Process Australia Pty Ltd Ore screening panel
CN109169482A (zh) * 2018-10-09 2019-01-11 深圳市福田区动物防疫监督所 运输中自动分筛虾类的装置
CN109482276A (zh) * 2018-11-15 2019-03-19 凤台县瑞普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防止饲料颗粒堵塞筛孔的饲料粉碎机
KR102120385B1 (ko) * 2019-10-02 2020-06-09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
KR102129090B1 (ko) 2020-01-21 2020-07-01 주식회사 청정플랜트 건설폐기물 골재·토사 선별용 러버형 스크린
CN112221945A (zh) * 2020-09-24 2021-01-15 江西三合环保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的多颗粒塑粉分离装置
KR102221660B1 (ko) 2020-07-29 2021-02-26 신현욱 골재 선별용 러버 스크린의 자동 제조방법
KR102221659B1 (ko) 2020-07-29 2021-02-26 신현욱 골재 선별용 러버 스크린의 자동 성형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128A (ko) * 1997-10-31 1999-05-15 양재신 지그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2단 실린더장치
KR200218203Y1 (ko) 2000-09-16 2001-03-15 송인란 광석 선별 장치
KR200266271Y1 (ko) 2001-11-16 2002-02-27 송인란 광석 선별장치
JP2004114018A (ja) * 2002-09-30 2004-04-15 Komatsu Ltd 建設廃材の粗選別装置、その粗選別ライン、選別処理施設及び粗選別車両
JP2004154063A (ja) * 2002-11-07 2004-06-03 Terada Seisakusho Co Ltd 製茶用選別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35128A (ko) * 1997-10-31 1999-05-15 양재신 지그장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2단 실린더장치
KR200218203Y1 (ko) 2000-09-16 2001-03-15 송인란 광석 선별 장치
KR200266271Y1 (ko) 2001-11-16 2002-02-27 송인란 광석 선별장치
JP2004114018A (ja) * 2002-09-30 2004-04-15 Komatsu Ltd 建設廃材の粗選別装置、その粗選別ライン、選別処理施設及び粗選別車両
JP2004154063A (ja) * 2002-11-07 2004-06-03 Terada Seisakusho Co Ltd 製茶用選別装置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780B1 (ko) * 2008-05-26 2008-11-17 용원기계공업(주) 골재 생산용 스칼핑 스크린 장치
US9073089B2 (en) 2011-08-22 2015-07-07 Schenck Process Australia Pty Ltd Ore screening panel
KR101438134B1 (ko) 2012-10-12 2014-09-04 엠엔테크(주)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
CN109169482A (zh) * 2018-10-09 2019-01-11 深圳市福田区动物防疫监督所 运输中自动分筛虾类的装置
CN109482276A (zh) * 2018-11-15 2019-03-19 凤台县瑞普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防止饲料颗粒堵塞筛孔的饲料粉碎机
CN109482276B (zh) * 2018-11-15 2020-06-16 凤台县瑞普农业发展有限公司 一种防止饲料颗粒堵塞筛孔的饲料粉碎机
KR102120385B1 (ko) * 2019-10-02 2020-06-09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
KR102129090B1 (ko) 2020-01-21 2020-07-01 주식회사 청정플랜트 건설폐기물 골재·토사 선별용 러버형 스크린
KR102221660B1 (ko) 2020-07-29 2021-02-26 신현욱 골재 선별용 러버 스크린의 자동 제조방법
KR102221659B1 (ko) 2020-07-29 2021-02-26 신현욱 골재 선별용 러버 스크린의 자동 성형장치
CN112221945A (zh) * 2020-09-24 2021-01-15 江西三合环保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的多颗粒塑粉分离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755B1 (ko)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
CA2681085C (en) Supporting structure and a support carrier
KR20150086498A (ko) 스크린 패널용 스냅핏 고정 시스템
US20040074819A1 (en) Screen assembly for a shale shaker
WO1997028906A1 (en) Screen for vibrating separator
KR100868807B1 (ko)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
US4278535A (en) Screen decks
CN104136176A (zh) 使用冲孔瓦刺穿皮革的设备和方法
US20090057205A1 (en) Vibratory separators and screens
US9308555B2 (en) Screen panel
RU2664082C1 (ru) Опора для натянутого просеивающего средства
KR200462438Y1 (ko) 다단 쇄석 선별장치
US20090184032A1 (en) Ore screening panel frame cover
US8991613B2 (en) Screen panel with improved apertures
EP0693004A1 (en) Screen for separating solids from drilling fluid
US20120118796A1 (en) Screening panel
KR200465249Y1 (ko) 쇄석 선별장치
KR200218203Y1 (ko) 광석 선별 장치
WO2000066281A1 (en) Screening equipment
KR101181901B1 (ko) 다단 선별기
RU2711423C2 (ru) Узел сита для вибрационных просеивающих машин
CN105188962B (zh) 筛分衬
EP3867173A1 (en) Universal belted chain
KR200441646Y1 (ko) 선별 스크린
WO2003047771A1 (en) Fastening means for scree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