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8134B1 -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8134B1
KR101438134B1 KR1020120113326A KR20120113326A KR101438134B1 KR 101438134 B1 KR101438134 B1 KR 101438134B1 KR 1020120113326 A KR1020120113326 A KR 1020120113326A KR 20120113326 A KR20120113326 A KR 20120113326A KR 101438134 B1 KR101438134 B1 KR 101438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rbage
separating
screen
unit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3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1491A (ko
Inventor
엄진석
구본상
오영기
이성일
정경미
정태웅
오명석
박종관
Original Assignee
엠엔테크(주)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엔테크(주),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엠엔테크(주)
Priority to KR1020120113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134B1/ko
Publication of KR20140051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4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Landscapes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olid Fuels And Fuel-Associated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쓰레기 분리시 스크린부재에서 눈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지속적인 작업이 가능하고, 아울러 매립쓰레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선별부로부터 배출된 쓰레기를 공급받아 90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를 이송용컨베이어를 통하여 유입 및 배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쓰레기분리부와, 상기 쓰레기분리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부와 하부를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교번되게 반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쓰레기분리부의 상부 내측면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포개어지면서 펼쳐지는 것에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중에 30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를 끼임됨 없이 하부로 배출시키고 30mm 이상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는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분리부용스크린과, 상기 쓰레기분리부의 하부 양측면에 각각의 일단이 각각 고정되고, 타단은 분리부용스크린을 일정 간격으로 고정시키도록 분리부용스크린의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쓰레기분리부가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 분리부용스크린이 일정 구간씩 포개어지면서 펼쳐지는 것에 의해 쓰레기가 걸림됨 없이 하부로 배출됨과 아울러 쓰레기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크린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Separator of high water content waste for improving heating value of refused derived fuel}
본 발명은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투입되는 쓰레기를 선별부에서 선별하여 공급되는 쓰레기를 고형화연료로 사용할 쓰레기와 매립할 쓰레기로 자동 분리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매립쓰레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쓰레기 분리시 스크린부재에서 눈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지속적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현장 또는 가정에서 발생되는 각종 쓰레기는 일부 소각하게 되고 나머지는 대부분 땅에 전량 매립하게 된다.
이와 같이 쓰레기의 매립으로 인하여 파생되는 여러가지 문제점은 매우 심각한 수준에 있다.
일례로 합성수지 및 섬유류 등과 같은 내부식성 쓰레기를 땅에 그냥 매립하였을 경우, 이들은 썩거나 분해되지 않은 채 거의 영구적인 공해물질로 남아 있어 자연환경을 파괴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그러므로 매립 쓰레기는 성분 별로 분류하여 재생 가능한 물질을 생산공장에 보내서 원료로 재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자원절약과 환경보전적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 혼합된 쓰레기로부터 필요한 물질만을 선별 분리하는 것이 더욱 더 중요해 졌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출원번호 10-2010-0026495호에 발리스틱 선별유닛, 이를 포함하는 쓰레기 비중 선별장치가 개시된 바와 있다.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발리스틱 선별유닛은, 선별대상물이 위치하는 일정 면을 형성하고, 상기 면이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진동을 하면서 선별대상물을 선별하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와,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의 하부에 연결되고 삽입홀이 형성되는 연결부재,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크랭크 샤프트 및 회전 중심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크랭크 샤프트의 양측에 결합되고 적어도 일부가 다각형 형상으로 함몰된 제1결합부가 회전 중심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크랭크 암을 포함하는 크랭크 암 모듈과, 상기 제1결합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결합부에 삽입되는 다각형의 삽입부가 양 끝단에 형성되고, 서로 마주보는 크랭크 암 모듈의 각 크랭크 샤프트의 중심이 상기 제1결합부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결합부가 형성하는 다각형의 복수 개 외각 중 하나 이상의 합에 대응하는 각도를 형성하도록 결합하는 회전축 샤프트 및 상기 크랭크 암 모듈이 상기 회전축 샤프트를 축으로 회전운동을 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발리스틱 선별유닛은,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의 홀이 형성된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진동을 하면서 선별대상물을 선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플레이트로 낙하한 쓰레기가 상기 홀을 통과 할 때, 상기 홀에 대한 직경 변화가 불가능하므로 상기 홀에 끼임된 쓰레기를 제거할 수 없어 눈막힘 현상이 발생될 수 밖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발리스틱 선별유닛은, 다수의 홀이 형성된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진동을 하면서 선별대상물을 선별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플레이트로 낙하한 쓰레기가 상기 홀에 끼임되어 홀을 막을 경우, 장치를 멈춤시킨 후, 상기 홀을 막고 있는 쓰레기를 제거하여야 하므로 지속적인 작업이 곤란할 수 밖에 없어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출원번호 10-2010-0026495호, 출원일자;2010년3월24일 발명의 명칭; 발리스틱 선별유닛, 이를 포함하는 쓰레기 비중 선별장치, 도 1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투입되는 쓰레기를 선별부에서 선별하여 공급되는 쓰레기를 직경 변화가 가능한 다수의 배출홀을 갖는 스크린부재를 통하여 고형화연료로 사용할 쓰레기와 매립할 쓰레기로 자동 분리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가능하도록 한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에 있어서,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가 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부 일측과 타측면에는 90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를 이송용컨베이어를 통하여 유입 및 배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쓰레기분리부와, 상기 쓰레기분리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분리부용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부와 하부를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교번되게 반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동력전달수단과, 상기 쓰레기분리부의 상부 내측면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포개어지면서 펼쳐지는 것에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중에 30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를 끼임됨 없이 하부로 배출시키고 30mm 이상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는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분리부용스크린과, 상기 쓰레기분리부의 하부 양측면에 각각의 일단이 각각 고정되고, 타단은 분리부용스크린을 일정 간격으로 고정시키도록 분리부용스크린의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쓰레기분리부가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 분리부용스크린이 일정 구간씩 포개어지면서 펼쳐지는 것에 의해 쓰레기가 걸림됨 없이 하부로 배출됨과 아울러 쓰레기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크린고정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쓰레기분리부의 하부 저면 일측에는, 쓰레기분리부 일단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쓰레기의 이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인입출가능하게 작동되는 피스톤을 갖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에 따르면, 투입되는 쓰레기를 선별부에서 선별하여 공급되는 쓰레기를 직경 변화가 가능한 다수의 배출홀을 갖는 스크린부재를 통하여 고형화연료로 사용할 쓰레기와 매립할 쓰레기로 자동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쓰레기 분리시 스크린부재에서 눈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지속적인 작업이 가능하고, 아울러 매립쓰레기의 양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가 폐기물 선별시스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가 폐기물 선별시스템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를 확대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의 일실시 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100)는, 선별부(11)에서 선별하여 공급되는 쓰레기를 고형화연료로 사용할 쓰레기와 매립할 쓰레기로 자동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가 설치되어 폐기물을 선별가능하도록 구성된 폐기물 선별시스템을 먼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한 폐기물 선별시스템(10)은, 공급부(A)로부터 공급된 쓰레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일측 상부에는 유입구(11a)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배출구(11b)가 형성되되, 내부에는 유입구(11a)를 통하여 유입된 쓰레기를 이송시키면서 일정 이하의 입도 즉, 90mm이하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는 하부로 배출시키고 비닐류 및 필름류쓰레기는 흡입공기로 흡입시켜 배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선별부(11)와, 상기 선별부(11)의 일측에 설치되어 하부로 배출되는 쓰레기를 이송용컨베이어(12)를 통하여 공급받아 이송시키는 중에 매립용 쓰레기와 고형화연료용 가연성쓰레기로 선별 분리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고형화연료용 쓰레기의 분리장치(100)와, 상기 고형화연료용 쓰레기의 분리장치(100)의 일측에 설치되어 선별부(11)와 고형화연료용 쓰레기의 분리장치(100)로부터 배출되는 고형화연료용 가연성쓰레기를 선별분리용컨베이어(14)를 통하여 공급받아 이송시키는 중에 근적외선(NIR)감지센서(미도시함)로 비가연성 쓰레기를 감지하여 배출시키는 것에 의해 고형화연료용 가연성쓰레기만을 얻을 수 있도록 구비되는 선별분리부(15)와, 상기 고형화연료용 쓰레기 선별장치(100)와 이송용컨베이어(12), 분리부(13), 선별분리용컨베이어(14) 그리고 선별분리부(15)를 제어가능하도록 다수의 버튼을 갖추어 구비되는 제어부(미도시함)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폐기물 선별시스템에 설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부(11)의 일측에 설치되어 선별부(11)의 하부로 배출되는 90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를 이송용컨베이어(12)를 통하여 공급받아 이송시키는 중에 매립용 쓰레기 즉, 30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는 하부로 배출시키고 30mm 이상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는 고형화연료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선별분리부(15)측으로 배출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100)는, 선별부(11)의 일측에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가 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부 일측과 타측면에는 선별부(11)의 하부측으로 배출된 90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를 이송용컨베이어(12)를 통하여 유입 및 배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쓰레기분리부(110)와, 상기 쓰레기분리부(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분리부용구동모터(12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부와 하부를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교번되게 반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동력전달수단(130)과, 상기 쓰레기분리부(110)의 상부 내측면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포개어지면서 펼쳐지는 것에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중에 30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를 끼임됨 없이 하부로 배출시키고 30mm 이상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는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분리부용스크린(140)과, 상기 쓰레기분리부(110)의 하부 양측면에 각각의 일단이 각각 고정되고, 타단은 분리부용스크린(140)을 일정 간격으로 고정시키도록 분리부용스크린(140)의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쓰레기분리부(110)가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 분리부용스크린(140)이 일정 구간씩 포개어지면서 펼쳐지는 것에 의해 쓰레기가 걸림됨 없이 하부로 배출됨과 아울러 쓰레기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크린고정수단(15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쓰레기분리부(110)의 하부 저면 일측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분리부(110) 일단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쓰레기의 이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인입출가능하게 작동되는 피스톤(161)을 갖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160)가 더 구비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100)의 쓰레기분리부(110)는, 선별부(11)의 일측에 설치되어 저면 일단은 피스톤(161)에 연결되어 이단으로 구비되는 분리부용프레임(111)의 상부에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부 일측에는 선별부(11)의 하부측으로 배출되어 이송용컨베이어(12)를 통하여 이송된 90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분리부용유입구(112a)가 형성되고, 타측면은 분리부용스크린(140)에 의해 분리 배출되지 않은 30mm 이상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를 배출가능하도록 분리부용배출구(112b)가 형성된 분리부용하우징(112)과, 상기 분리부용프레임(111)의 내측 하부에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타측에는 분리부용스크린(140)에 의해 분리 배출된 30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부배출구(113a)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분리부용이동부(11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분리부용하우징(112)의 상면은 분리부용스크린(140)의 보수 및 교체시 작업이 용이하도록 개폐가능한 다수의 도어(132c)로 구성된다.
상기한 동력전달수단(130)은 쓰레기분리부(110)의 분리부용프레임(111) 일측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하는 분리부용구동모터(120)의 구동력을 분리부용이동부(113)로 전달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분리부용이동부(113)와 분리부용하우징(112)을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동력전달수단(130)은 쓰레기분리부(110)의 분리부용프레임(111) 일측 상부에 고정 설치된 분리부용구동모터(120)로부터 벨트 또는 체인(도면부호 생략)을 매개로 연결되어 분리부용구동모터(120) 하부에 축(도면부호 생략)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캠(131)과, 상기 캠(131)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분리부용이동부(113)의 일측면에 고정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비되는 연결바(132)와, 상기 연결바(132)를 통하여 분리부용이동부(113)가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 분리부용하우징(112)이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쓰레기를 이동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분리부용이동부(113)의 양측에 일단이 각각 고정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분리부용하우징(112)의 양측면에 고정 연결되되, 중간부는 분리부용프레임(111)의 양측면에 회동축(도면부호 생략)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연결링크바(133)로 구성된다.
상기한 분리부용스크린(140)은,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쓰레기분리부(110)의 분리부용하우징(112) 내부 양측면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고정되어 분리부용하우징(112)과 분리부용이동부(113)가 서로에 대하여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일정 구간씩 포개어지면서 펼쳐지는 것에 의해 쓰레기가 끼임됨 없이 하부로 배출 및 이송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분리부용스크린(140)은 탄성력을 갖는 폴리우레탄 또는 러버재질로 성형되어 쓰레기분리부(110)의 분리부용하우징(112) 내부 양측면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고정가능한 판상으로 형성되되, 판상에는 분리부용하우징(112)과 분리부용이동부(113)가 서로에 대하여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30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는 하부로 배출시키고 30mm 이상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는 분리부용배출구(112b)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스크린고정수단(150)에 의해 일정 구간씩 포개어지면서 펼쳐짐에 따른 직경이 축경 및 확경되는 다수의 배출홀(141)이 천공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스크린고정수단(150)은 동력전달수단(130)의 연결링크바(133) 사이의 분리부용이동부(113) 양측면에 각 일단이 각각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편(151)과, 상기 고정편(151)의 각 타단에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어 분리부용스크린(140)의 저면에 종방향으로 일정 간격 설치된 후, 상기 분리부용스크린(140)을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분리부용하우징(112)이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 분리부용스크린(140)이 포개어지면서 펼쳐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고정바(15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를 통하여 고형화연료용 쓰레기를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어부의 버튼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100)가 설치된 폐기물 선별시스템(10)이 구동하게 된다.
상기 폐기물 선별시스템(10)이 구동하므로 인해 공급부(A)로부터 쓰레기를 공급받은 선별부(11)에서 비닐류 및 필름류쓰레기와 90mm이하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를 선별하게 되고, 상기 선별부(11)에 의해 선별된 90mm이하의 쓰레기는 이송용컨베이어(12)를 통하여 고형화연료용 쓰레기의 분리장치(100)의 쓰레기분리부(110) 분리부용하우징(112)에 형성된 분리부용유입구(112a)측으로 투입된다.
상기 분리부용유입구(112a)측으로 투입된 90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중에서 매립을 위한 30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는 이동하는 중에 분리부용스크린(140)에 형성된 배출홀(141)을 통하여 분리부용이동부(113)측으로 배출되고, 30mm 이상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는 분리부용배출구(112b)를 통하여 선별분리부(15)측으로 공급을 위해 구비된 선별분리용컨베이어(14)측으로 배출된다.
즉, 상기 분리부용하우징(112)에 형성된 분리부용유입구(112a)측으로 투입된 90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는 분리부용구동모터(12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는 동력전달수단(130)의 연결링크바(133)에 의해 분리부용이동부(113)와 분리부용하우징(112)이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교번되게 반복적으로 이동되 그로 인해 분리부용스크린(140)은 스크린고정수단(150)에 의해 포개어지면서 펼쳐지게 된다.
이때, 30mm 이상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는 분리부용스크린(140)를 통하여 이동되면서 분리부용배출구(112b)측으로 배출되고, 30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는 분리부용스크린(140)에 형성된 배출홀(141)측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분리부용스크린(136)이 포개지면서 펼쳐지므로 인해 배출홀(141)이 확경되어 30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가 배출홀(141)을 통하여 배출되므로 상기 배출홀(141)에 쓰레기가 끼임됨 없이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를 통하여 쓰레기를 분리하게 되면, 신속하게 매립용 쓰레기만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기
110 ; 쓰레기분리부
120 ; 분리부용구동모터
130 ; 동력전달수단
140 ; 분리부용스크린
150 ; 스크린고정수단
160 ; 공압실린더

Claims (6)

  1.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에 있어서,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가 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부 일측과 타측면에는 90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를 이송용컨베이어(12)를 통하여 유입 및 배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쓰레기분리부(110)와;
    상기 쓰레기분리부(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분리부용구동모터(12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부와 하부를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교번되게 반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동력전달수단(130)과;
    상기 쓰레기분리부(110)의 상부 내측면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포개어지면서 펼쳐지는 것에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중에 30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를 끼임됨 없이 하부로 배출시키고 30mm 이상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는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분리부용스크린(140)과;
    상기 쓰레기분리부(110)의 하부 양측면에 각각의 일단이 각각 고정되고, 타단은 분리부용스크린(140)을 일정 간격으로 고정시키도록 분리부용스크린(140)의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쓰레기분리부(110)가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 분리부용스크린(140)이 일정 구간씩 포개어지면서 펼쳐지는 것에 의해 쓰레기가 걸림됨 없이 하부로 배출됨과 아울러 쓰레기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크린고정수단(150)을 포함하되,
    상기 쓰레기분리부(110)의 하부 저면 일측에는, 쓰레기분리부(110) 일단의 경사각을 조절하여 쓰레기의 이송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인입출가능하게 작동되는 피스톤(161)을 갖는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16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
  2. 삭제
  3.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에 있어서,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가 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부 일측과 타측면에는 90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를 이송용컨베이어(12)를 통하여 유입 및 배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쓰레기분리부(110)와;
    상기 쓰레기분리부(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분리부용구동모터(12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부와 하부를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교번되게 반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동력전달수단(130)과;
    상기 쓰레기분리부(110)의 상부 내측면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포개어지면서 펼쳐지는 것에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중에 30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를 끼임됨 없이 하부로 배출시키고 30mm 이상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는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분리부용스크린(140)과;
    상기 쓰레기분리부(110)의 하부 양측면에 각각의 일단이 각각 고정되고, 타단은 분리부용스크린(140)을 일정 간격으로 고정시키도록 분리부용스크린(140)의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쓰레기분리부(110)가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 분리부용스크린(140)이 일정 구간씩 포개어지면서 펼쳐지는 것에 의해 쓰레기가 걸림됨 없이 하부로 배출됨과 아울러 쓰레기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크린고정수단(150)을 포함하되,
    상기 쓰레기분리부(110)는, 선별부(11)의 일측에 설치되어 저면 일단은 피스톤(161)에 연결되어 이단으로 구비되는 분리부용프레임(111)의 상부에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부 일측에는 선별부(11)의 하부측으로 배출되어 이송용컨베이어(12)를 통하여 이송된 90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분리부용유입구(112a)가 형성되고, 타측면은 분리부용스크린(140)에 의해 분리 배출되지 않은 30mm 이상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를 배출가능하도록 분리부용배출구(112b)가 형성된 분리부용하우징(112)과, 상기 분리부용프레임(111)의 내측 하부에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타측에는 분리부용스크린(140)에 의해 분리 배출된 30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부배출구(113a)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분리부용이동부(113)로 구성되되, 상기 분리부용하우징(112)의 상면은 분리부용스크린(140)의 보수 및 교체시 작업이 용이하도록 개폐가능한 다수의 도어(132c)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
  4.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에 있어서,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가 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부 일측과 타측면에는 90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를 이송용컨베이어(12)를 통하여 유입 및 배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쓰레기분리부(110)와;
    상기 쓰레기분리부(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분리부용구동모터(12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부와 하부를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교번되게 반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동력전달수단(130)과;
    상기 쓰레기분리부(110)의 상부 내측면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포개어지면서 펼쳐지는 것에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중에 30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를 끼임됨 없이 하부로 배출시키고 30mm 이상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는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분리부용스크린(140)과;
    상기 쓰레기분리부(110)의 하부 양측면에 각각의 일단이 각각 고정되고, 타단은 분리부용스크린(140)을 일정 간격으로 고정시키도록 분리부용스크린(140)의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쓰레기분리부(110)가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 분리부용스크린(140)이 일정 구간씩 포개어지면서 펼쳐지는 것에 의해 쓰레기가 걸림됨 없이 하부로 배출됨과 아울러 쓰레기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크린고정수단(150)을 포함하되,
    상기 동력전달수단(130)은, 쓰레기분리부(110)의 분리부용프레임(111) 일측 상부에 고정 설치된 분리부용구동모터(120)로부터 연결되어 분리부용구동모터(120) 하부에 축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캠(131)과, 상기 캠(131)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고 타단은 분리부용이동부(113)의 일측면에 고정가능하게 연결되어 구비되는 연결바(132)와, 상기 연결바(132)를 통하여 분리부용이동부(113)가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 분리부용하우징(112)이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쓰레기를 이동 및 배출시킬 수 있도록 분리부용이동부(113)의 양측에 일단이 각각 고정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분리부용하우징(112)의 양측면에 고정 연결되되, 중간부는 분리부용프레임(111)의 양측면에 회동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연결링크바(13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
  5.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에 있어서,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가 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부 일측과 타측면에는 90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를 이송용컨베이어(12)를 통하여 유입 및 배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쓰레기분리부(110)와;
    상기 쓰레기분리부(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분리부용구동모터(12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부와 하부를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교번되게 반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동력전달수단(130)과;
    상기 쓰레기분리부(110)의 상부 내측면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포개어지면서 펼쳐지는 것에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중에 30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를 끼임됨 없이 하부로 배출시키고 30mm 이상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는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분리부용스크린(140)과;
    상기 쓰레기분리부(110)의 하부 양측면에 각각의 일단이 각각 고정되고, 타단은 분리부용스크린(140)을 일정 간격으로 고정시키도록 분리부용스크린(140)의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쓰레기분리부(110)가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 분리부용스크린(140)이 일정 구간씩 포개어지면서 펼쳐지는 것에 의해 쓰레기가 걸림됨 없이 하부로 배출됨과 아울러 쓰레기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크린고정수단(150)을 포함하되,
    상기 분리부용스크린(140)은 탄성력을 갖는 폴리우레탄 또는 러버재질로 성형되어 쓰레기분리부(110)의 분리부용하우징(112) 내부 양측면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고정가능한 판상으로 형성되되, 판상에는 분리부용하우징(112)과 분리부용이동부(113)가 서로에 대하여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30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는 하부로 배출시키고 30mm 이상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는 분리부용배출구(112b)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스크린고정수단(150)에 의해 일정 구간씩 포개어지면서 펼쳐짐에 따른 직경이 축경 및 확경되는 다수의 배출홀(141)이 천공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
  6.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에 있어서,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가 서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부 일측과 타측면에는 90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를 이송용컨베이어(12)를 통하여 유입 및 배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쓰레기분리부(110)와;
    상기 쓰레기분리부(1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분리부용구동모터(12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부와 하부를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교번되게 반복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동력전달수단(130)과;
    상기 쓰레기분리부(110)의 상부 내측면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어 포개어지면서 펼쳐지는 것에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중에 30mm 이하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를 끼임됨 없이 하부로 배출시키고 30mm 이상의 입도를 갖는 쓰레기는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분리부용스크린(140)과;
    상기 쓰레기분리부(110)의 하부 양측면에 각각의 일단이 각각 고정되고, 타단은 분리부용스크린(140)을 일정 간격으로 고정시키도록 분리부용스크린(140)의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쓰레기분리부(110)가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 분리부용스크린(140)이 일정 구간씩 포개어지면서 펼쳐지는 것에 의해 쓰레기가 걸림됨 없이 하부로 배출됨과 아울러 쓰레기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크린고정수단(150)을 포함하되,
    상기 스크린고정수단(150)은 동력전달수단(130)의 연결링크바(133) 사이의 분리부용이동부(113) 양측면에 각 일단이 각각 고정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편(151)과, 상기 고정편(151)의 각 타단에 일단과 타단이 고정되어 분리부용스크린(140)의 저면에 종방향으로 일정 간격 설치된 후, 상기 분리부용스크린(140)을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분리부용하우징(112)이 일방향 및 타방향으로 이동시, 분리부용스크린(140)이 포개어지면서 펼쳐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고정바(15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
KR1020120113326A 2012-10-12 2012-10-12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 KR101438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326A KR101438134B1 (ko) 2012-10-12 2012-10-12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3326A KR101438134B1 (ko) 2012-10-12 2012-10-12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491A KR20140051491A (ko) 2014-05-02
KR101438134B1 true KR101438134B1 (ko) 2014-09-04

Family

ID=50885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3326A KR101438134B1 (ko) 2012-10-12 2012-10-12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81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437A (ko) * 2019-12-10 2021-06-18 주식회사 세성 완충기능이 강화된 주형 분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형 분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9744B1 (ko) * 2021-08-04 2021-11-19 시흥도시공사 폐전지 선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4955A (ja) 2006-03-20 2007-10-04 Hitachi Constr Mach Co Ltd リサイクル作業機
KR100770755B1 (ko) 2006-09-25 2008-01-08 (주)성부콘베어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
JP2009160551A (ja) 2008-01-09 2009-07-23 Jfe Material Co Ltd 触媒中のボール回収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9291772A (ja) * 2008-06-02 2009-12-17 Taiyo Machinery Co Ltd 振動篩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4955A (ja) 2006-03-20 2007-10-04 Hitachi Constr Mach Co Ltd リサイクル作業機
KR100770755B1 (ko) 2006-09-25 2008-01-08 (주)성부콘베어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
JP2009160551A (ja) 2008-01-09 2009-07-23 Jfe Material Co Ltd 触媒中のボール回収方法及びシステム
JP2009291772A (ja) * 2008-06-02 2009-12-17 Taiyo Machinery Co Ltd 振動篩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3437A (ko) * 2019-12-10 2021-06-18 주식회사 세성 완충기능이 강화된 주형 분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형 분쇄 시스템
KR102349110B1 (ko) * 2019-12-10 2022-01-12 주식회사 세성 완충기능이 강화된 주형 분쇄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형 분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491A (ko) 2014-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7806B2 (ja) 袋体入り汚染物の解体選別設備
CN215657025U (zh) 生活垃圾分选设备
KR20140098352A (ko) 매립쓰레기에서 선별된 가연성의 고순도 연료화 제조장치
KR101931687B1 (ko) 폐기물 선별기
CN110562768A (zh) 垃圾分散装置
KR20140141342A (ko) 순환 골재 생산장치
CN211802999U (zh) 一种垃圾分选装置
KR101136047B1 (ko) 토사와 골재에 혼재된 이물질 분리 선별장치
KR101071464B1 (ko) 퇴비용 이물질 선별장치
CN103934204A (zh) 垃圾处理预分选装置
KR101434571B1 (ko) 쓰레기 재활용 자원선별시스템
KR20100100362A (ko) 혼합쓰레기 전처리 과정에서의 선별방법
KR101591343B1 (ko) 가연성쓰레기의 고순도 선별 연료화 시스템
KR101438134B1 (ko) 고형화연료의 발열량 향상을 위한 고함수율 폐기물 선별장치
CN101306420B (zh) 一种餐厨垃圾分选装置
KR100441430B1 (ko) 이중 스크린망 트럼멜 및 이를 갖는 건설폐기물 선별장치
KR101530653B1 (ko) 정량 연속 투입장치
CN110586629B (zh) 垃圾粗处理方法
KR100423207B1 (ko) 폐기물 흡입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선별 시스템
KR100494579B1 (ko) 폐기물선별장치
KR100971723B1 (ko) 폐기물 선별분리 시스템
KR200194531Y1 (ko) 폐기물의 현장처리 장치
KR102160806B1 (ko) 펄프 재생공정의 불순물 처리시스템
KR200370561Y1 (ko) 건설폐기물의 파쇄선별장치
CN201105281Y (zh) 一种餐厨垃圾分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