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8807B1 -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 - Google Patents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8807B1
KR100868807B1 KR1020070035304A KR20070035304A KR100868807B1 KR 100868807 B1 KR100868807 B1 KR 100868807B1 KR 1020070035304 A KR1020070035304 A KR 1020070035304A KR 20070035304 A KR20070035304 A KR 20070035304A KR 100868807 B1 KR100868807 B1 KR 100868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layer
cord yarn
yarn layer
s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5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2027A (ko
Inventor
서강운
Original Assignee
(주)성부콘베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부콘베어 filed Critical (주)성부콘베어
Priority to KR1020070035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8807B1/ko
Publication of KR20080092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2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8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8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Abstract

본 발명은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러버 스크린에 있어서; 러버 스크린에 있어서; 종방향이나 횡방향으로 범포지, 보강 코드사중 어느 하나가 1겹 이상 내재된 콘베어 벨트, 또는 내마모 고무 재질로 직사각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는 제 1코드사층과; 상기 제 1코드사층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코드사층의 상면에 적층되는 충격 완화 고무층과; 상기 제 1코드사층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고, 종방향이나 횡방향으로 범포지, 보강 코드사중 어느 하나가 1겹 이상 내재된 콘베어 벨트 또는 내마모 고무 재질로 직사각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충격 완화 고무층의 상면에 적층되는 제 2코드사층; 및 원형, 사각형, 마름모꼴, 다각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 2코드사층과 충격 완화 고무층 및 제 1코드사층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선별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코드사층과 코드사층 사이에 충격 완화 고무층을 형성함으로써 선별 구멍을 타공시 내측면이 수직으로 형성되면서, 원하는 사이즈의 선별 구멍을 얻을 수 있다.
러버 스크린, 선별 구멍, 타공, 고무층, 수직

Description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RUBBER SCREEN FOR ASSORTING ORE}
도 1은 일반적인 러버 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절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10 : 제 1코드사층 120 : 충격 완화 고무층
130 : 제 2코드사층 140 : 선별 구멍
본 발명은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코드사와 코드사 사이에 충격 완화 고무층을 형성하도록 하는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석 선별 장치는 광산이나 건설현장 및 폐기물 처리장 등에서 다양한 크기의 선별 물체들을 필요로 하는 크기별로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설비이다.
광석 선별 장치는 다수의 러버 스크린을 연결하면서 이들 러버 스크린들을 다수의 빔들에 의해서 지지하고, 양측 단부는 프레임에 연결하는 구성으로 구비된다.
인장형의 러버 스크린은 통상 양측의 프레임 사이에서 양단부가 양측의 프레임에 일정한 장력으로 고정되는 방식에 의해 구비되며, 이때 프레임 사이에서 선별 물체의 이동 방향을 따라 다수의 러버 스크린이 연속해서 배열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양측의 프레임과 이들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러버 스크린은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함으로써 러버 스크린의 상부에서 선별 물체들이 낙하되게 하면 상측으로부터 자중에 의해 선별 물체들이 하향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
특히 러버 스크린은 고무 등과 같이 그 자체적으로도 일정한 탄력을 갖는 재질로서 구비하기도 하며, 또한 일정한 두께를 갖는 판면에는 수직으로 관통되도록 한 선별 구멍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하고, 이 러버 스크린의 양측 단부는 금속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체결구가 일체로 결합되도록 한다.
러버 스크린에 형성되는 선별 구멍은 선별하고자 하는 선별 물체의 크기에 따라서 구멍 크기 및 형상이 다양하다.
그리고 러버 스크린에 결합되는 체결구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휘어지는 형상이며, 체결구는 걸림구와 볼트에 의해서 프레임측으로 인장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러버 스크린은 이런 장력으로 인해 항상 일정한 탄성을 갖게 된다.
따라서 프레임의 상측에서 선별 물체를 러버 스크린에 공급하게 되면 선별 물체들은 경사진 형상으로 연속 배열된 러버 스크린을 따라서 하향 이동하게 되고, 이렇게 이동하는 선별 물체들은 러버 스크린에 형성한 선별 구멍을 통해 선별 구멍의 크기보다 작은 선별 물체들이 낙하하면서 선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러버 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러버 스크린(20)은 일정 간격으로 수직 관통시켜 다수의 선별 구멍(21)이 형성되고, 이들 선별 구멍(21)은 일정한 패턴을 갖고 배열되도록 하며, 선별 구멍(21)의 형상이나 크기는 선별하고자 하는 선별 물체에 따라서 원형, 사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하도록 한다.
러버 스크린(20)의 체결구(22)는 일정한 높이로 상향 연장되게 하면서 안쪽으로 굽어진 형상으로 구비되고, 체결구(22)의 하단에는 받침판이 더 설치된다.
이때 러버 스크린(20)은 통상 폴리우레탄이나 고무를 주로 사용하며, 체결구(22)는 보다 견고한 재질은 금속 재질로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러버 스크린(20)의 양측 단부에서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한편, 종래의 러버 스크린은 원형 또는 사각형의 선별 구멍을 타공하게 되면 타원형이나 직사형의 선별 구멍이 타공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공개공보 1996-0028984호(라버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이 개발되었는데, 선별 구멍의 내주연 중심부에 라운드볼록부를 형성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타공 방법은 라운드볼록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라운드볼록부가 급격히 마모되고, 이로 인해 선별 구멍이 확공되어 원하는 치수의 선별 물체를 선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공개공보 1997-0069261호(고무 제품의 펀칭 방법)이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고무 제품, 즉 러버 스크린의 펀칭 방법은 길이 방향의 직경 또는 길이는 가공하고자 하는 선별 구멍의 직경 또는 길이에 2~5%를 더하여 타공하고, 폭 방향의 직경 또는 길이는 가공하고자 하는 선별 구멍의 직경 또는 길이에 7~12%를 더하여 타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타공 방법은 선별 구멍을 타공하기가 어렵고, 타공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코드사층과 코드사층 사이에 충격 완화 고무층을 형성함으로써 선별 구멍을 타공시 내측면이 수직으로 형성되면서, 원하는 사이즈의 선별 구멍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러버 스크린에 있어서; 종방향이나 횡방향으로 범포지, 보강 코드사중 어느 하나가 1겹 이상 내재된 콘베어 벨트 또는 내마모 고무 재질로 직사각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는 제 1코드사층과; 상기 제 1코드사층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코드사층의 상면에 적층되는 충격 완화 고무층과; 상기 제 1코드사층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고, 종방향이나 횡방향으로 범포지, 보강 코드사중 어느 하나가 1겹 이상 내재된 콘베어 벨트 또는 내마모 고무 재질로 직사각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충격 완화 고무층의 상면에 적층되는 제 2코드사층; 및 원형, 사각형, 마름모꼴, 다각형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 2코드사층과 충격 완화 고무층 및 제 1코드사층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선별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충격 완화 고무층은 내마모 고무 재질이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완화 고무층은 그 두께가 1~10㎜ 사이이고, 1층 이상 적층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충격 완화 고무층은 1층 이상 적층시 이들 사이에 코드사층이 더 적층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충격 완화 고무층은 1층 이상 적층시 각각의 두께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여기에서 또, 상기 선별 구멍은 폭방향이 더 긴 타원형으로 형성되되, 원하는 선별 치수의 직경 또는 길이 대비 10% 더 길게 폭방향으로 타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절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100)은, 제 1코드사층(110)과, 충격 완화 고무층(120)과, 제 2코드사층(130)과, 선별 구멍(140)으로 구성된다.
먼저, 제 1코드사층(110)은 종방향이나 횡방향으로 범포지, 보강 코드사중 어느 하나가 1겹 이상 내재된 콘베어 벨트 또는 내마모 고무 재질로 직사각형의 판 형태로 형성된다. 보강 코드사로는 타이어 코드사와 같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내마모 고무 재질로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충격 완화 고무층(120)은 내마모 고무 재질로, 제 1코드사층(110)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코드사층(110)의 상면에 미가황 접착고무에 의해 부착된다. 여기에서, 충격 완화 고무층(120)은 그 두께가 1~10㎜ 사이이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층 이상 적층될 수 있는데, 1층 이상 적층시 이들 사이에 코드사층(110, 130)이 더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층 이상 적층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두께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상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내마모 고무 재질은 폴리우레탄과 같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2코드사층(130)은 제 1코드사층(110)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고, 종방향이나 횡방향으로 범포지, 보강 코드사중 어느 하나가 1겹 이상 내재된 콘베어 벨트 또는 내마모 고무 재질로 직사각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어 충격 완화 고무층(120)의 상면에 미가황 접착고무에 의해 부착된다. 여기서, 보강 코드사로는 타이어 코드사와 같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내마모 고무 재질로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선별 구멍(140)은 타원형의 형태를 가지며 제 2코드사층(130)과 충격 완화 고무층(120) 및 제 1코드사층(11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여기에서, 선별 구멍(140)은 제 1코드사층(110)과 충격 완화 고무층(120) 및 제 2코드사층(130)의 탄성에 의해 원하는 선별 치수의 직경 대비 10% 더 길게 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타공시 내측면이 수직면(141)을 이룬다. 여기에서 또한, 선별 구멍(140)은 선택에 따라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100)의 길이 방향으로 일렬로 등간격을 유지하며 연속하여 형성되되, 이웃하는 열과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 즉 천조발 타입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웃하는 열과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 즉 병렬발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100)에는 체결구(미도시)가 볼트 또는 리벳 방식에 의해 양단에 체결되는데, 이러한 구성은 공지의 구성을 그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1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코드사층(110)을 2겹으로 제 2코드사층(130)을 1겹으로 형성할 수도 있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와 반대로도 형성할 수 있으며, 어떠한 형태로도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의 제작 과정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직사각형의 제 1코드사층(110)의 상면에 미가황 접착고무를 도포하고, 이와 동일한 형상(동일 크기)으로 형성된 충격 완화 고무층(120)을 부착 고정시킨다. 충격 완화 고무층(120)의 두께는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100)의 무게를 줄이도록 제 1코드사층(110)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충격 완화 고무층(120)의 상면에 미가황 접착고무를 도포하고, 제 1코드사층(110)과 동일한 형상(동일 크기) 및 동일한 두께로 형성된 제 2코드사층(130)을 부착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제 1코드사층(110)과 충격 완화 고무층(120) 및 제 2코드사층(130)이 적층된 상태에서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100)을 타공 작업하는데, 타공시 선별 구멍(140)을 타원형으로 선별 치수 직경 대비 10% 더 길게 타공하면 체결구에 의해 체결시 탄성에 의해 선별 구멍(140)이 원형으로 변형되어 원하는 선별 치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1코드사층(110)과 충격 완화 고무층(120)의 탄성과 제 2코드사층(130)의 탄성이 서로 상이하여 타공시 선별 구멍(140)의 내측면이 수직면을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에 따르면, 코드사층과 코드사층 사이에 충격 완화 고무층을 형성함으로써 선별 구멍을 타공시 내측면이 수직으로 형성되면서, 원하는 사이즈의 선별 구멍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6)

  1. 러버 스크린에 있어서;
    종방향이나 횡방향으로 범포지, 보강 코드사중 어느 하나가 1겹 이상 내재된 콘베어 벨트, 내마모 고무 재질로 직사각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는 제 1코드사층과;
    상기 제 1코드사층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코드사층의 상면에 적층되는 충격 완화 고무층과;
    상기 제 1코드사층과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고, 종방향이나 횡방향으로 범포지, 보강 코드사중 어느 하나가 1겹 이상 내재된 콘베어 벨트 또는 내마모 고무 재질로 직사각형의 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충격 완화 고무층의 상면에 적층되는 제 2코드사층; 및
    상기 제 2코드사층과 충격 완화 고무층 및 제 1코드사층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복수의 선별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화 고무층은,
    내마모 고무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화 고무층은,
    그 두께가 1~10㎜ 사이이고, 1층 이상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화 고무층은,
    1층 이상 적층시 이들 사이에 코드사층이 더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완화 고무층은,
    1층 이상 적층시 각각의 두께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 구멍은,
    폭방향이 더 긴 타원형으로 형성되되, 원하는 선별 치수의 직경 또는 길이 대비 10% 더 길게 폭방향으로 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
KR1020070035304A 2007-04-10 2007-04-10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 KR100868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304A KR100868807B1 (ko) 2007-04-10 2007-04-10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5304A KR100868807B1 (ko) 2007-04-10 2007-04-10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027A KR20080092027A (ko) 2008-10-15
KR100868807B1 true KR100868807B1 (ko) 2008-11-17

Family

ID=40152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5304A KR100868807B1 (ko) 2007-04-10 2007-04-10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88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897B1 (ko) * 2011-06-30 2013-04-22 이민석 골재 선별용 러버 스크린 모듈 제조방법
KR102129090B1 (ko) 2020-01-21 2020-07-01 주식회사 청정플랜트 건설폐기물 골재·토사 선별용 러버형 스크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743B1 (ko) * 2018-08-22 2020-11-13 이민철 인장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어셈블리
CA3132852C (en) * 2019-07-08 2024-01-09 Polydeck Screen Corporation Polymer reinforced screening panel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1400B1 (ko) * 1995-01-13 1998-06-01 송인란 라버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KR200218203Y1 (ko) 2000-09-16 2001-03-15 송인란 광석 선별 장치
JP2004114018A (ja) * 2002-09-30 2004-04-15 Komatsu Ltd 建設廃材の粗選別装置、その粗選別ライン、選別処理施設及び粗選別車両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1400B1 (ko) * 1995-01-13 1998-06-01 송인란 라버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KR200218203Y1 (ko) 2000-09-16 2001-03-15 송인란 광석 선별 장치
JP2004114018A (ja) * 2002-09-30 2004-04-15 Komatsu Ltd 建設廃材の粗選別装置、その粗選別ライン、選別処理施設及び粗選別車両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897B1 (ko) * 2011-06-30 2013-04-22 이민석 골재 선별용 러버 스크린 모듈 제조방법
KR102129090B1 (ko) 2020-01-21 2020-07-01 주식회사 청정플랜트 건설폐기물 골재·토사 선별용 러버형 스크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2027A (ko) 200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0755B1 (ko)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
RU2747000C2 (ru) Просеивающее средство для вибрационных сепараторов
KR100868807B1 (ko)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
CA2681085C (en) Supporting structure and a support carrier
US8246771B2 (en) Filtering screen
US9308555B2 (en) Screen panel
US2015020265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reening
US6685028B1 (en) Screening equipment
KR200218203Y1 (ko) 광석 선별 장치
KR101661521B1 (ko) 개선된 선별영역을 가지는 스크린 패널
US11167315B2 (en) Universal belted chain
KR200403390Y1 (ko) 그리즈리스크린이 장착된 골재선별기
CN105188962B (zh) 筛分衬
RU2094134C1 (ru) Вибрационное сито
KR100525123B1 (ko) 광석 선별 장치
WO2000067921A1 (en) Improved grading screens
US20160325313A1 (en) Screen assembly for vibratory screening machines
US20210387233A1 (en) Screening media
EP1679948B1 (en) Web covers for conveyor screens
AU773208C (en) Screening equipment
AU2013204826B2 (en) Supporting structure and a support carrier
KR20100027343A (ko) 쇄석선별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