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0232B1 - 회전유도구간이 구비된 멸치선별구 - Google Patents

회전유도구간이 구비된 멸치선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0232B1
KR100860232B1 KR1020070087025A KR20070087025A KR100860232B1 KR 100860232 B1 KR100860232 B1 KR 100860232B1 KR 1020070087025 A KR1020070087025 A KR 1020070087025A KR 20070087025 A KR20070087025 A KR 20070087025A KR 100860232 B1 KR100860232 B1 KR 100860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vy
sorting
section
plate
sor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7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5256A (ko
Inventor
김윤호
Original Assignee
김윤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호 filed Critical 김윤호
Priority to KR1020070087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232B1/ko
Publication of KR20070095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2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4Sorting fish; Separating ice from fish packed in ice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8Holding, guiding, or conveying fish before, during or after its preparation ; Devices for sizing fish; Automatically adapting conveyors or processing machines to the measured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7/00Jigging conveyors
    • B65G27/10Applications of device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jigging mov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뉘여진채, 일 방향으로 진행하는 멸치를 회전시키게 하기위한 돌기(Embossing)를 구비하고,
선별구에 박힌 멸치를 탈출시켜 낙하시키게 하기위한 회전유도 돌출구간을 구비한 멸치선별구로 이루어진 선별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별판에 형성된 선별공에서,
이 선별공 사이에는 일정 간격 이격된채 선별판의 상측으로 돌기가 형성되어, 뉘어진채 진행하던 멸치가 이 돌기에 걸려 진행하던 방향에 변화를 일으킨 후, 다시 일 방향으로 진행하게 하는 돌기(Embossing)를 구비한 채,
상기 선별공은 멸치진행방향 과 동일방향의 가이드구간(G)과 멸치의 진행방향으로부터 사선(斜線)방향의 선별구간(W)과, 상기 선별구간(W)에는 가이드구간을 따라 연장되는 홈에 대응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구간이 형성되며, 이 돌출구간은 멸치진행방향에 대하여 급격한 사선을 유지하고 있는 선별구간에 구비된 이유로서, 선별구간(W) 혹은 가이드구간(G)을 통과하다가 3점지지 상태로 걸려버린 멸치머리가 상기 돌출구간에 진입되는 순간 2점지지 상태로 변하게 되어 상기 선별판에 작용되고 있는 진동에 의해 사선방향의 선별구간(W) 방향을 따라 회전 되므로서 용이하게 탈출하며, 하측으로 낙하하도록 하는 멸치선별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기술의 선별판에 비하여 선별의 정확도는 유지되면서, 멸치를 통과시키게 하기위한 선별구의 공극(空隙)률을 극대화 시키므로서 단위면적 당 처리능력을 향상시키며, 사선방향의 선별구간(W)에 작은 돌출구간만을 추가로 구성하고서 멸치머리의 걸림(막힘,박힘,끼임)현상을 획기적으로 해소하는 효과를 창출하므로서 선별에 들어가는 시간과 비용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Figure 112007062934083-pat00001
선별판, 선별구, 선별구간, 가이드구간

Description

회전유도구간이 구비된 멸치선별구{ANCHOVY SORTING HOLE}
멸치선별기, 멸치 가공공장에서 사용하는 멸치선별기에 장착되는 멸치선별판 및, 멸치선별판에 천공 되어있는 멸치머리의 막힘현상을 개선시킨 멸치선별구.
기존의 멸치선별판은 진동 수단이 구비된 프레임에 장착, 고정 된 상태로서 멸치선별판 상측에 투입되어 눕혀진 멸치는 눕혀진 방향 그대로 일측방향으로 전진만을 하였다. 따라서 선별판에 천공된 가이드구간이나 선별구간과 동일하지 않은 각도를 유지한채 눕혀진 멸치는 선별공에서 선별될 기회를 갖지 못하고 천공된 선별구 상측을 전진만을 하므로서 선별효율이 낮을수 밖에 없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선별구에 박힌 멸치는 선별구간(W) 혹은 가이드구간(G)에 완전히 갇혀진 형태로 최소한 3점지지로서 걸쳐지게 되며,
이러한 박힌 멸치를 탈출시켜 낙하하게 하기 위해서는 과다한 공간을 구비한 낙하구간이 필요하였고, 이 과다한 낙하구간으로 인하여 선별판의 공극률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뉘여진채, 일 방향으로 진행하는 멸치를 회전시키게 하기위한 돌기(Embossing)를 구비하고,
선별구에 박힌 멸치를 탈출시켜 낙하시키게 하기위한 회전유도구간을 구비한 멸치선별구를 문제 해결 수단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선별판에 형성된 선별공에서,
이 선별공 사이에는 일정 간격 이격된채 선별판의 상측으로 돌기가 형성되어, 뉘어진채 진행하던 멸치가 이 돌기에 걸려 진행하던 방향에 변화를 일으킨 후, 다시 일 방향으로 진행하게 하는 돌기(Embossing)를 구비한 채,
상기 선별공은 멸치진행방향 과 동일방향의 가이드구간(G)과 멸치의 진행방향으로부터 사선방향의 선별구간(W)과, 상기 선별구간(W)에는 가이드구간을 따라 연장되는 홈에 대응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구간이 형성되며, 이 돌출구간은 멸치진행방향에 대하여 급격한 사선을 유지하고 있는 선별구간에 구비된 이유로서, 선별구간(W) 혹은 가이드구간(G)을 통과하다가 3점지지 상태로 걸려버린 멸치머리가 상기 돌출구간에 진입되는 순간 2점지지 상태로 변하게 되어 상기 선별판에 작용되고 있는 진동에 의해 사선방향의 선별구간(W) 방향을 따라 회전 되므로서 용이하게 탈출하며, 하측으로 낙하하도록 하는 멸치선별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기술의 선별판에 비하여 선별의 정확도는 유지되면서, 멸치를 통과시키게 하기위한 선별구의 공극(空隙)률 극대화 시키므로서 단위면적당 처리능력을 향상시키며, 사선방향의 선별구간(W)에 작은 돌출구간만을 추가로 구성하고서 멸치머리의 걸림(막힘,박힘,끼임)현상을 획기적으로 해소하는 효과를 창출하므로서 선별에 들어가는 시간과 비용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기술의 선별판에 비하여 선별은 더욱 정확해 지고, 멸치를 통과시키게 하기위한 선별구의 공극(空隙)률을 극대화 시키므로서 단위면적당 처리능력이 대폭 향상되며, 사선방향의 선별구간(W)에 작은 돌출구간만을 추가 로 구성한 상태로서 멸치머리의 걸림(막힘,박힘,끼임)현상을 획기적으로 해소하는 효과를 창출하므로서 선별에 들어가는 시간과 비용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여 제품의 생산성,품질,경쟁력있는 가격형성의 효과를 낼 수 있게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멸치를 회전시키게 하기위한 돌기(Embossing)(E)가 구비된 멸치 선별판(20)(이하 '선별판' 이라 함)과 회전유도 돌출구간(13)을 구비한 멸치선별구(10)(이하 '선별구' 이라 함)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종래에 개시된 유사한 종류의 멸치 선별기에서 선별판(20)에 돌기(E)를 추가구성 시키고, 선별구(10)의 구성을 새롭게 하여 기존의 멸치선별기의 난제였던 멸치머리의 막힘현상을 해소하도록 한 기술로서, 선별판(20)을 고정하는 프레임, 선별판(20)을 진동시키는 모터, 멸치를 투입하는 투입부 등의 구성은 종래에 공개된 발명의 내용과 모두 동일하므로 선별판(20) 이외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모두 생략한다.
도 1은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등록(10-387666호)된 멸치선별구이다.
이러한 기술은 선별구간(W)이 멸치의 진행방향과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선별구간(W)과 가이드구간(G)이 90°로 교차되도록 구성 되었으며, 이러한 선별구는 선별되던 멸치가 선별구간(W) 혹은 가이드구간(G)을 통과하다가 최소한 3점지지 상태로 박히게 될 경우 P2 점과, P3 점은 박힌 멸치를 완전히 포위한 상태 를 유지하므로서 뾰쪽하고 구부러진 형태의 마른멸치는 한번 선별구에 박힌 후 진동에 의하여 더욱 단단히 박히게 되어 머리는 선별판의 상측을 향하고, 몸통은 선별판의 하측에 메어달린채 흔들거리다가 멸치머리가 잘려져 훼손이 되고 나서야 낙하되던지, 선별판을 막은채 다른 멸치의 진행을 방해하는 역할을 하였던 것이다.
도 2는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등록(10-652225호)된 멸치선별구이다.
이러한 기술은 도 1의 기술에서 발생한 멸치머리의 막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한 선별구간(W)에 낙하구간(11)을 형성 하므로서 박혔던 멸치머리가 이 낙하구간(11)까지 이동한 후, 낙하되도록 한 유용한 발명이었던 것이었다.
그러나 도 2에서 보여지듯, 이러한 기술은 멸치머리가 통과되게 하기위한 상기 낙하구간(11)의 면적이 지나치게 크게 형성 되므로서,
상기 선별구간(W)의 폭, 즉 W1 의 폭이나, 상기 가이드구간(G)의 폭, 즉 G1 의 폭보다 가이드구간(G)과 가이드구간(G) 사이의 폭(T)이 더욱 넓기 때문에 선별판(20)의 공극률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렇게 넓어진 상기 폭(T) 상측에 얹혀진 멸치는 상기 가이드구간(G)을 통과하여 하측으로 낙하하려는 통과력이 현저히 저하되어 적극적으로 선별되지 못한채 상기 선별구(10)들 사이를 쉽게 통과해 버리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던 것이었다.
또한, 이러한 기술은 상기 낙하구간(11)을 통하여 멸치머리가 낙하하되, 상기 낙하구간(11)은 통과할 멸치머리의 단면의 면적(크기) 및, 단면의 모양과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아가미를 벌린채 삶아진 후 건조되어진 멸치나, 입을 벌린채 삶아진 후 건조되어진 멸치나, 지나치게 기형상으로 구부러진 멸치등 멸치머리의 단면보다 조금이라도 이형(異形)을 유지하게된 멸치는 예외없이 막히는 문제점이 있었고,
상기 낙하구간(11)은 멸치를 통과시킬 상기 선별구간(W)의 폭인 W1 이나 상기 가이드구간(G)의 폭인 G1 보다 지나치게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과다한 개구공을 통하여 통과하지 말아야할 큰 멸치들이 통과하므로서 멸치의 선별 정밀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기술은 상기한 가이드구간(G)과 가이드구간(G) 사이의 폭(T)을 최소화 하기위해 생성된 날카로운 역 돌출구간(12)을 구비하게 되어있어 이 역 돌출구간(12)에 진행하던 멸치의 아가미가 걸려 어체손상이 발생하거나, 멸치의 비늘이 벗겨져서 멸치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특허등록(10-652225호)의 문제점은 도 3에서 보여지듯, 비록 선별구(10)의 선별구간(W)이 멸치의 진행방향에 대한 가로방향을 따라 약 10°혹은 15°정도의 미미한 파형으로 배치된다 해도 똑같은 효과일 뿐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소 하기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저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멸치를 회전시키게 하기위한 돌기(E)가 구비된 멸치 선별판(20) 및, 회전유도 돌출구간(13)을 구비한 멸치선별구(10)를 나타낸 사시도 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판(20) 및, 선별구(10)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판(20)이 장착된 멸치선별기의 전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구(10)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에서 보여지듯, 본 발명에 따른 선별구(10)는 선별구간(W)이 멸치의 진행방향으로부터 가로방향을 따라 45°로 기울어진채 구성 되어졌으며 이러한 구성이 본 발명의 핵심 사항이 된다.
도 9 내지, 도 14에서 보여지듯, 선별구(10) 상측을 통과하며 진행하던 멸치는 상기 선별구간(W) 및, 상기 가이드구간(G)을 통해서 그 크기별로 선별되며 W1 및, G1의 폭보다 더욱 두꺼운 멸치는 선별구(10) 하측으로 낙하하지 않고 상기 선별구(10) 상측으로 계속 진행하여 큰 멸치로서 분류되는 것이며,
W1 및, G1의 폭보다 더욱 얇은 멸치는 선별구(10) 하측으로 낙하하여 작은 멸치로서 분류되는 것인데,
이때, 비록 상기 선별구간(W)의 외측으로, " H1 " 두께만큼 돌출되어있는 회전유도 돌출구간(13)이 복수개 형성 되어있을 지라도 " H1 " 두께는 대단히 미세한 치수이기 때문에 W1 의 폭보다 더욱 넓은 멸치가 낙하되지는 않으므로서 본 발명에 의한 멸치선별구(10)는 고도의 선별 정밀도를 유지하기에 적합한 구조가 되는 것이다. 도 2에서 보여지듯, 종래의 낙하구간(11)은 선별구간(W)의 외측으로 돌출된 두께인 " H2 " 가 지나치게 커서 이 낙하구간(11)의 과다한 공간때문에 멸치의 정밀한 선별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유도 돌출구간(13)이 상기 선별구간(W)의 외측으로, " H1 " 두께로 미세한 폭 만큼만 돌출되어도 멸치의 머리 막힘현상이 해소될 수 있는 이유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구(10)는 선별구간(W)이 멸치의 진행방향으로부터 가로방향을 따라 45°로 기울어진채 구성 되어졌기 때문인 것인데 이를 도 11,12,13,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일 상기 선별구간(W)의 외측에 상기 회전유도 돌출구간(13)이 없을경우 도 11의 모양이 될것이다. 즉, 상기 회전유도 돌출구간(13)이 없는 도 11의 형상에서 선별작업중 뾰쪽한 몸통 및, 꼬리는 선별구(10)의 가이드구간(G)을 통과한채, 멸치머리는 상기 가이드구간(G)을 통과하지 못하여 상기 선별구(10)의 상측에 박혀있게 될때, 이 멸치는 진동에 의하여 전진하다가 P1, P2, P3의 최소한 3점 지지로서 더이상 진행하지 못한채 막혀있게 될 것이다.
그러나 이때 P2의 접점은 멸치머리가 이동이 불가능할 정도로 멸치머리를 완전히 포위한 상태가 되지만, P3의 접점은 멸치머리 단면의 끝 부분을 간신히 접촉하고 있을 뿐이므로, 이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구간(G)을 따라 연장되는 홈에 대응하여 외측으로 종래 기술인 " H2 " 두께에 비하여 현저하게 작은 두께인 " H1 " 두께만큼 미세한 상기 회전유도 돌출구간(13)을 연장시켜 준다면,
도 13에서 보여지듯 P1 점과 P2점은 그대로 존재하지만, 멸치머리의 미세한 전진방향으로의 이동으로 인하여 P3인 접촉점은 없어지게 되며 상기 선별판(10)에 작용하고 있는 진동에 의해 좌, 우로 흔들거리다가 부드러운 곡선을 갖은 상기 회전유도 돌출구간(13)의 형상으로 인하여 자연스럽게 P3 쪽으로 멸치의 어체가 회전 되고, 이로서 P1, P2, P3 모두가 멸치와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이 된 상태가 되므로서 멸치는 더이상 막혀있지않고 낙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설명은 종래기술에 비하여 매우 적은 " H1 "의 돌출면적만 가지고도 더욱 정밀한 선별을 구현해낼 수 있게 된 것이며, 더욱 다양한 형태를 가진 이형(異形)의 멸치도 막히지 않게 진보된 기술을 구사하게 된 것이며, 종래기술에 비하여 가이드구간(G)과 가이드구간(G)의 사이가 현저히 좁아진 T2 의 간격을 유지하기에 가능한 구조가 되므로서, 멸치 선별판(10)의 공극률을 최대로 높여 멸치선별기의 처리능력을 향상시키기에 바람직한 구조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설명을 다른 표현으로 다시 설명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선별구(10)는 멸치진행방향 과 동일방향의 가이드구간(G)과, 멸치의 진행방향으로부터 사선방향의 선별구간(W)과, 상기 선별구간(W)에는 가이드구간을 따라 연장되는 홈에 대응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구간이 형성되며, 이 돌출구간은 멸치진행방향에 대하여 급격한 사선을 유지하고 있는 선별구간에 구비된 이유로서, 선별구간(W) 혹은 가이드구간(G)을 통과하다가 3점지지 상태로 걸려버린 멸치머리가 상기 돌출구간에 진입되는 순간 2점지지 상태로 변하게 되어 상기 선별판에 작용되고 있는 진동에 의해 사선방향의 선별구간(W) 방향을 따라 회전 되므로서 용이하게 탈출하며, 하측으로 낙하하도록 하므로서, 종래기술의 선별판에 비하여 선별의 정확도는 유지되면서, 멸치를 통과시키게 하기위한 선별구의 공극(空隙)률을 극대화 시키므로서 단위면적당 처리능력을 향상시키며, 사선방향의 선별구간(W)에 작은 돌출구간만을 추가로 구성하고서 멸치 머리의 걸림(막힘,박힘,끼임)현상을 획기적으로 해소하는 효과가 창출된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선별구간(W)이 멸치의 진행방향으로부터 가로방향을 따라 45°로 기울어진채 구성 되어진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것은 아니다.
이러한 경사각도는 30°에서 55°혹,은 이 각도를 다시 표현하자면 멸치의 진행방향에 대한 가로방향을 따라 약 35°혹은 60°정도의 경사각도에서 본 발명이 추구하는 기술적 사상은 거의 동일하게 나타난다.따라서 본 발명의 선별구간(W) 경사각도는 광의의 범위에서 멸치의 진행방향에 대한 가로방향을 따라 약 35°혹은 60°정도를 설명한 것으로 보는것이 타당하다 할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유도 돌출구간(13)을 구비한 멸치선별구(10)는, 멸치선별판(20)내의 상기 멸치선별구(10)와 멸치선별구(10) 사이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배열 되어있는 멸치를 회전시키게 하기위한 돌기(E)가 같이 구성되어 져야만 그 효력을 극대화 시켜 발휘할 수 있게된다.
투입구를 통하여 멸치선별판(20)에 투입된 멸치는 상기 멸치선별판(20)의 상측에 낙하 되자마자 뉘여진채로서, 상기 멸치선별판(20)에 가해진 진동에 의하여 앞으로 전진만을 하게되는데, 이때 한번 눕혀진 멸치는 본래의 눕혀진 상태 그대로 즉, 멸치의 진행방향에 대한 가로방향에 대하여 투입되어 눕혀진 각도와 모양을 그대로 유지한채 물 흐르듯이 상기 멸치선별판(20)의 상측을 미끄러지듯 이동하게 된 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서 종래의 어떠한 멸치선별구에도 선별구간(W) 혹은 가이드구간(G)의 방향과 일치하지 않은채 투입되어진 멸치는 멸치선별구(10)중 타공된 선별구간(W)과 가이드구간(G) 이외의 공간에 너무 많이 걸쳐진채 진행하게 된다면,
낙하해야할 멸치임에도 불구하고,
낙하하지 못하고 진행만을 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으며, 아무리 효과적인 멸치선별구(10)가 설계되어진다 할지라도 그 효과는 반감될 수 밖에 없었던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상기 멸치선별판(20) 상측에서 진행하던 상기 멸치들을 회전시키게 하기위한 돌기(E)를 제공한다.
도 4에서 보여지듯, 상기 멸치를 회전시키게 하기위한 돌기(E)는 엠보싱(Embossing)의 형태로서 구성하며 판상의 금속재인 상기 멸치선별판(20)에 프레싱하여 가공하므로서 형성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판상의 금속재인 상기 멸치선별판(20)에 미리 구멍을 천공한채, 이 구멍에 리벳팅을 하므로서 리벳작업을 한 결과물로서 생성된, 타원이면서 구 형상을 띄는 부드러운 곡선돌기를 구성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부드러운 곡선돌기인 상기 멸치를 회전시키게 하기위한 돌기(E)는 같은 방향을 유지한채 전방을 향해서 전진만을 하던 이동하던 멸치가 상기 돌기(E)를 접하는 순간 눕혀졌던 멸치의 진행각도와, 접점의 무게중심등의 조건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멸치의 어체가 회전을 하거나 건드려져 원래의 진행각도에 변화가 일어날 것이며, 멸치가 상기 돌기(E)와 접하는 순간에 가해지고 있던 상기 멸치선별판(20)내에 작용하던 진동의 타이밍에 따라서는 멸치가 멸치진행방향의 수직방향인 폭 방향으로도 이동할수있는 가능성이 발생하여 종래기술의 멸치선별판에 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멸치선별판(20)의 멸치의 정밀선별효과 및, 멸치선별기의 처리능력에 획기적인 진보성이 발생되는 바람직한 구성이 되는 것이다.
그런 이유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멸치를 회전시키게 하기위한 돌기(Embossing)(E)가 구비된 멸치 선별판(20)(이하 '선별판' 이라 함)과 회전유도 돌출구간(13)을 구비한 멸치선별구(10)(이하 '선별구' 이라 함)는 필수적으로 함께 조합된 상태로서 운용되어야 최상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것이다.
또한 상기 멸치선별판(20)은 판상의 금속재로 이루어졌으므로 내구성을 위해서 종래기술에서는 평철, 혹은 "ㄱ" 자(子)로 절곡된 판상의 금속재를 상기 멸치선별판(20)의 하측에 밀착시킨채 알곤용접, 혹은 스포트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하여 일체형으로서 취부하여 왓었으나 이러한 방법은 계속해서 진동이 가해지는 상기 멸치선별판(20)의 특성으로 인하여 용접부위가 떨어져 나가는 일이 빈번히 발생하여 사후처리에 곤란을 겪어왔던 사실이 있는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 멸치를 회전시키게 하기위한 돌기(E)를 생성하기 위하여 판상의 금속재인 상기 멸치선별판(20)에 미리 구멍이 천공되어진 동일한 치수의 천공구멍을 가진 선별판보강대(21)를 구비하여 이 선별판보강대(21)가 상기 멸치선별 판(20)의 하측에 고정결합 되는 동시에, 상기 멸치선별판(20)의 상측으로는 상기 멸치를 회전시키게 하기위한 돌기(E)가 구성되어질 수 있도록 두 가지의 구성을 한번의 리벳작업에 의해서 일괄 작업하는 것을 제공한다.
이러한 작업에 의하여 상기 멸치선별판(20)과 상기 선별판보강대(21)는 일체형으로서 튼튼히 고정결합되는 구조가 되므로서 멸치선별판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멸치선별기의 소음발생을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바람직한 구성이 되는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멸치선별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또다른 종래기술의 멸치선별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또다른 종래기술의 멸치선별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판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판 전체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판이 포함된 멸치선별기의 전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멸치선별구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멸치선별구의 선별구간 각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구간의 선별폭을 나타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구간의 선별폭을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멸치선별구에 돌출구간이 없을경우를 가정한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멸치를 회전시키게 하기위한 돌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별구에서 멸치머리가 탈출하여 낙하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별구에서 멸치머리가 탈출하여 낙하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Claims (3)

  1. 진동수단이 구비된 선별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멸치를 크기별로 분류하는 선별판(20)에 있어서,
    선별판(20)에는 멸치가 통과하는 다수의 선별구(10)가 형성되며,
    상기 선별구(10)는,
    멸치진행방향 과 동일방향의 복수개의 가이드구간(G)과 멸치의 진행방향으로부터 30°내지 55°로 형성된, 급 사선방향의 선별구간(W)과, 상기 선별구간(W)에는 가이드구간을 따라 연장되는 홈에 대응하여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회전유도 돌출구간(13)으로 형성되며,
    이 회전유도 돌출구간(13)은 선별구간(W) 혹은 가이드구간(G)을 통과하다가 3점지지 상태로 걸려버린 멸치머리가 상기 돌출구간에 진입되는 순간 2점지지 상태로 변하게 되어 상기 선별판에 작용되고 있는 진동에 의해 사선방향의 선별구간(W) 방향을 따라 회전 되므로서 멸치머리를 멸치선별판(20)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출시킨 후, 선별판(20) 하측으로 용이하게 낙하하도록 한것을 특징으로하는 멸치 선별판(20).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계속해서 진동이 가해지는 멸치선별판(20)의 조건에서도 견고하게 고정결합되게 하기위한;
    상기 멸치선별판(20)에 미리 구멍이 천공되어진 동일한 치수의 천공구멍을 가진 선별판보강대(21)가 상기 멸치선별판(20)의 하측에서 상기 멸치선별판(20)과 리벳팅의 방법으로서 일체형으로 조합, 구성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멸치선별판(20).
KR1020070087025A 2007-08-29 2007-08-29 회전유도구간이 구비된 멸치선별구 KR1008602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025A KR100860232B1 (ko) 2007-08-29 2007-08-29 회전유도구간이 구비된 멸치선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7025A KR100860232B1 (ko) 2007-08-29 2007-08-29 회전유도구간이 구비된 멸치선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256A KR20070095256A (ko) 2007-09-28
KR100860232B1 true KR100860232B1 (ko) 2008-09-24

Family

ID=38688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7025A KR100860232B1 (ko) 2007-08-29 2007-08-29 회전유도구간이 구비된 멸치선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02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755B1 (ko) * 2014-09-09 2015-05-19 김윤호 압축배치를 가능케 한 원형투입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191Y1 (ko) 2002-04-29 2002-08-13 김윤호 개량된 건멸치의 선별판
KR20020070094A (ko) * 2002-01-11 2002-09-05 안종운 멸치 선별기
KR20050016922A (ko) * 2003-08-04 2005-02-21 안종운 멸치 선별기용 공급장치
KR100652225B1 (ko) 2003-09-19 2006-11-30 김윤호 선별기
KR20070083438A (ko) * 2007-07-09 2007-08-24 김윤호 계단식 선별판으로 구성된 선별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0094A (ko) * 2002-01-11 2002-09-05 안종운 멸치 선별기
KR200285191Y1 (ko) 2002-04-29 2002-08-13 김윤호 개량된 건멸치의 선별판
KR20050016922A (ko) * 2003-08-04 2005-02-21 안종운 멸치 선별기용 공급장치
KR100652225B1 (ko) 2003-09-19 2006-11-30 김윤호 선별기
KR20070083438A (ko) * 2007-07-09 2007-08-24 김윤호 계단식 선별판으로 구성된 선별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256A (ko) 200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55885A (en) Vibrating screen
JP5275852B2 (ja) 振動篩装置
ES2284834T3 (es) Aparato y procedimiento para separar elementos o materiales de diferentes tamaños.
KR100860232B1 (ko) 회전유도구간이 구비된 멸치선별구
KR100652225B1 (ko) 선별기
KR20120127369A (ko) 투과구간의 하측에 경사판을 구비한 막힘없는 멸치선별판
US3455445A (en) V-trough grader
JP2004532119A (ja) 振動式フィーダのバースクリーンモジュール
JP2003009766A (ja) 製茶用選別装置
JP5625153B2 (ja) 乾電池の選別装置
JP2012076082A (ja) 選別プレート
JP6086063B2 (ja) 柱状体分別方法および柱状体分別装置
JP4221010B2 (ja) 篩網及び篩網による分別方法
KR101203633B1 (ko) 원료 선별용 스크린장치
JP2009066498A (ja) 篩網
KR20070083438A (ko) 계단식 선별판으로 구성된 선별체
US6755307B1 (en) Separating device comprising a screen lining
KR102216533B1 (ko)
KR200357192Y1 (ko) 물품 선별장치
KR100205796B1 (ko) 진동 선별기
US20210387233A1 (en) Screening media
KR20070000942U (ko) 스토퍼가 추가구성된 멸치 선별판
KR20070077207A (ko) 스토퍼가 장착된 멸치 선별판
JPH07241528A (ja) 桿状粒の分級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4782073B2 (ja) 振動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