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385B1 -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 - Google Patents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385B1
KR102120385B1 KR1020190168605A KR20190168605A KR102120385B1 KR 102120385 B1 KR102120385 B1 KR 102120385B1 KR 1020190168605 A KR1020190168605 A KR 1020190168605A KR 20190168605 A KR20190168605 A KR 20190168605A KR 102120385 B1 KR102120385 B1 KR 102120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hole
mesh body
connecting rod
mine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8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우
박종덕
이기영
윤홍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신우레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609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ing surfaces or meshes
    • B07B1/4636Regulation of screen aper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마모성 및 내수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향상된 탄성력을 이용하여 선별되는 광물이 끼거나 막히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선별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통공이 구비되는 메쉬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메쉬본체에는 상기 통공 측으로 진입하는 광물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에 반대되는 반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신장되는 탄성부재가 매설된 특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URETHANE MESH FOR SORTING MINERALS}
본 발명은 광물 선별장치에 사용되는 메쉬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내마모성 및 내수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광물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에 관한 것이다.
광물 선별장치에 사용되는 광물 선별용 메쉬는 제철, 쇄석, 광산 등 각종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광물을 선별하는 것으로, 원자재인 광물로부터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광물을 선별하기 위한 거름망이다.
광물 선별용 메쉬는 형태 및 재질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는데, 예전에는 주로 철망과 같은 금속 재질의 와이어메쉬를 주로 이용하였으나, 최근에는 폴리우레탄이나 고무로 이루어진 메쉬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 와이어메쉬에 비해 내마모성 및 내수성이 우수하고, 교체 및 수리가 용이하며, 제작에도 유리한 이점이 있어 현재 대부분의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메쉬의 통공 크기와 비슷한 크기를 가지는 광물은 선별 과정에서 메쉬의 통공을 통과하지 못하고 메쉬의 통공에 끼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되고 있으며, 다량의 광물이 메쉬의 통공에 끼는 경우 광물의 선별 효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분을 함유하거나 점성이 높은 광물은 선별 과정에서 메쉬의 통공 주변부에 고착되면서 통공의 크기를 제한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폴리우레탄이나 고무 소재로 이루어진 메쉬는 와이어메쉬에 비해 교체 및 수리의 이점에도 불구하고 선별할 광물의 크기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메쉬 전체를 교환해야 하기 때문에 교체 작업 등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선별 과정에서 통공의 잦은 막힘으로 인하여 청소 등 잦은 유지보수를 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효율적인 선별 작업이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광물 선별용 메쉬가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6-0001534호(2016.01.06.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내마모성 및 내수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향상된 탄성력을 이용하여 선별되는 광물이 통공에 끼거나 막히는 현상을 억제하여 선별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공의 크기를 조절하여 다양한 크기의 광물을 보다 효율적으로 선별할 수 있으며, 구조물의 정비 시간 및 교체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는,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통공이 구비되는 메쉬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메쉬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통공 측으로 진입하는 광물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에 반대되는 반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신장되는 탄성부재가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상기 통공의 사이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에 있어서, 상기 메쉬본체는 상기 통공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통공 크기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에 있어서, 상기 통공 크기조절부는, 상기 메쉬본체의 제1 가이드홀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이격하여 배치되며, 상기 메쉬본체의 제2 가이드홀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 연결봉; 상기 제2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 연결봉; 및 상기 제1 연결봉 및 제2 연결봉과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제1 연결봉 및 상기 제2 연결봉과의 나사 결합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이격시키거나 근접시키며 이웃하는 상기 통공의 측벽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출몰되도록 하는 제1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에 있어서, 상기 통공 크기조절부는, 상기 메쉬본체의 내부에 매설되는 제1 이동블록; 상기 제1 이동블록과 이격하여 배치되며, 상기 메쉬본체의 내부에 매설되는 제2 이동블록; 상기 제1 이동블록에 결합되는 제3 연결봉; 상기 제2 이동블록에 결합되는 제4 연결봉; 및 상기 제3 연결봉 및 제4 연결봉과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제3 연결봉 및 상기 제4 연결봉과의 나사 결합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이동블록 및 상기 제2 이동블록을 이격시키거나 근접시키며 이웃하는 상기 통공의 측벽이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하는 제2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에 있어서, 상기 메쉬본체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메쉬본체의 내부에 매설되는 복수의 보강심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 이동블록 및 상기 제2 이동블록 각각은 상기 통공에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심재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에 있어서, 상기 통공 크기조절부는, 상기 메쉬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의 회전 시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통공을 완전 개방하거나 상기 통공의 일부를 덮도록 마련되는 회전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부재 및 상기 메쉬본체를 연결하며, 상기 베이스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에 있어서, 상기 메쉬본체는 작업자의 편의를 위해 상기 메쉬본체의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마모성 및 내수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선별 과정에서 통공에 충돌하는 광물에 강한 반력을 제공하는 고탄성의 메쉬본체를 통하여, 선별 중인 광물이 통공에 끼거나 막히는 현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선별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쉬의 교체 없이 원하는 크기의 광물 선별을 위한 통공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정비 시간 및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선별 작업의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평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공 크기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스크린 메쉬의 측면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통공 크기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스크린 메쉬의 저면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공 크기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스크린 메쉬의 측면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메쉬본체를 설명하기 위한 스크린 메쉬의 측면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공 크기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스크린 메쉬의 측면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통공 크기조절부를 설명하기 위한 스크린 메쉬의 저면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는 광물 선별장치에 적용되는 것으로, 벌크 상태의 광물은 광물 선별장치를 통과하면서 서로 다른 크기의 광물들로 선별될 수 있다.
광물 선별장치에는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 및 진동유닛이 구비될 수 있다.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는 복수의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의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는 적층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측에는 상대적으로 큰 통공을 가지는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가 배치되고, 하측에는 상대적으로 작은 통공을 가지는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가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서로 다른 크기의 통공을 가지는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를 적층하여 배치함으로써 광물의 선별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진동유닛은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에 진동을 가하는 것으로,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에 진동을 가함에 따라 광물의 선별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예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부분 평면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는 메쉬본체(100)를 포함한다.
메쉬본체(100)에는 복수의 통공(110)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통공(110)은 선별할 광물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배열 구조를 가질 수 있는데, 복수의 통공(110)은 메쉬본체(100)의 평면 상에서 제1 방향(A1)과 제1 방향(A1)과 직교하는 제2 방향(A2)을 따라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각 통공(110)은 상측이 상대적으로 좁고 하측이 상대적으로 넓은 상협하광 구조로 형상될 수 있다. 상협하광 구조의 통공(110)을 통하여 예를 들면, 수분이 포함되거나 점성이 높은 광물이라 하더라도 선별 과정에서 통공(110)의 주변부에 고착되어 통공(110)의 크기를 제한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메쉬본체(100)는 금속 또는 폴리머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내마모성 및 내수성이 우수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이나 고무와 같이 탄성소재로 제작될 경우 제품 수명을 보장할 수 있고, 금속 재질에 비해 자체 탄성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통공(110)에서의 막힘 현상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선별 효율도 높일 수 있다.
한편 메쉬본체(100)의 일측면에는 결합돌기(101)가 구비될 수 있고, 타측면에는 결합돌기(101)와 대응하는 결합홈(102)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쉬본체(100)는 선별장치의 크기 및 용량 등에 따라 복수의 메쉬본체(100)를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메쉬본체(100)를 모듈 형태로 구성함으로서, 선별장치의 현장 설치 시 호환성이 우수하고, 부분 손상 시 교체 작업이 용이하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메쉬본체(100)에는 탄성부재(1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130)는 메쉬본체(100)의 평면 상에서 제1 방향(A1) 및 제2 방향(A2)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방향(A1) 및 제2 방향(A2)을 따라 이웃하는 통공(110)의 사이 공간마다 매설될 수 있다.
이처럼 탄성부재(130)가 매설된 메쉬본체(100)는 통공(110) 측으로 진입하는 광물(m)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에 반대되는 반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부재(130)는 코일스프링(131) 및 유연커버(132)가 적용될 수 있다. 유연커버(132)는 PVC, 고무 등 유연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코일스프링(132)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유연커버(132)는 코일스프링(131)의 신축 작용과 연동하여 신축될 수 있다.
코일스프링(131) 및 유연커버(132)는 메쉬본체(100)의 성형 제작 시 인서트될 수 있으며, 유연커버(132)는 메쉬본체(100)의 성형 제작 과정에서 코일스프링(131)과 성형물을 분리시킴으로써 성형물과의 간섭에 의한 코일스프링(131)의 신축력이 저하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선별 중인 광물(m)은 기본적으로 통공(110)의 가장자리부에 충돌하게 되는데, 만약 통공(110)의 크기와 비슷하거나 약간 큰 광물(m)은 통공(110)의 가장자리부와의 잦은 충돌 과정에서 통공(110)의 내부로 진입하게 되면서 통공(110)에 낄 수 있다.
하지만 도 3 (a)에서와 같이, 탄성부재(130)는 메쉬본체(100)의 탄성력을 증대시켜 통공(110) 주변부에 광물(m)이 충돌될 시 강한 반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광물(m)은 통공(110) 측으로 진입되지 못하고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메쉬본체(100)는 통공(110)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광물만을 통과시키고, 통공(110)의 크기보다 약간 큰 광물(m)이 통공(110)에 끼워져 통공(110)을 막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도 3 (b)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력이 증대된 메쉬본체(100)라 하더라도 비정형의 광물(m) 특성 상, 선별 과정에서 통공(110)의 크기와 유사한 크기를 가지는 광물(m)이 경우에 따라 낄 수 있는데, 이러한 광물(m)은 선별 과정에서 작동되는 진동유닛에 의한 메쉬본체(100)의 진동에 의하여 통공(11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쉬본체(100)에는 통공 크기조절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의 통공 크기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4는 통공 크기조절부의 측면 예시도이며, 도 5는 통공 크기조절부의 저면 예시도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통공 크기조절부(200)는 제1 방향(A1) 및 제2 방향(A2)을 따라 이웃하는 통공(110)의 사이 공간에 설치될 수 있는데, 전술한 탄성부재(130)와 중첩되지 않는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통공 크기조절부(200)는 제1 플레이트(210), 제1 연결봉(230), 제2 플레이트(220), 제2 연결봉(240), 제1 조절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210)는 일측 통공(110)과 연통하도록 메쉬본체(100)에 관통 형성되는 제1 가이드홀(201)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플레이트(210)는 제1 가이드홀(201)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제1 가이드홀(201)을 관통하여 일측 통공(110) 측으로 일부분이 돌출될 수 있다.
제1 연결봉(230)은 일단이 제1 플레이트(210)에 결합되며 제1 플레이트(210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1 연결봉(230)의 외주면에는 나사가공부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210)는 제1 플레이트(210)와 이격하여 배치되며, 이웃하는 타측 통공(110)과 연통하도록 메쉬본체(100)에 관통 형성되는 제2 가이드홀(202)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플레이트(220)는 제2 가이드홀(202)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제2 가이드홀(202)을 관통하여 타측 통공(110) 측으로 일부분이 돌출될 수 있다.
제2 연결봉(240)은 일단이 제2 플레이트(220)에 결합되며 제2 플레이트(220)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2 연결봉(240)의 외주면에는 나사가공부가 구비될 수 있다.
제1 연결봉(230) 및 제2 연결봉(240)에 각각 형성된 나사가공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조절부재(250)는 제1 연결봉(230) 및 제2 연결봉(240)과 결합되는 것으로, 제1 조절부재(250)의 내주면에는 제1 연결봉(230) 및 제2 연결봉(240)과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가공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연결봉(230)과 나사 결합되는 부분 및 제2 연결봉(240)과 나사 결합되는 부분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가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조절부재(250)와 제1 연결봉(230) 및 제2 연결봉(240)과의 나사 결합 정도에 따라, 제1 플레이트(210) 및 제2 플레이트(220)는 서로 이격되거나 근접되게 이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이웃하는 통공(110)의 측벽에 대해 제1 플레이트(210) 및 제2 플레이트(220)는 출몰될 수 있고, 결국 제1 조절부재(250)의 회전 동작만으로 서로 이웃하는 통공(110)의 크기(h1,h2)를 일괄하여 조절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통공 크기조절부(200)는 사각형 형상의 통공(110)을 중심으로 상하, 좌우 측면에 각각 동일한 구성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하, 좌우 측면에 배치된 모든 통공 크기조절부(200)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최소 크기로 축소된 정사각형 형상의 통공(110)으로 조절할 수 있고, 상하 혹은 좌우 측면에 배치된 통공 크기조절부(200)만을 선택적으로 조작하는 경우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통공(110)으로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러한 통공(110)의 크기 및 형상은 선별할 광물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의 통공 크기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으로, 통공 크기조절부의 측면 예시도이고,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통공 크기조절부가 적용된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의 평면 예시도이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메쉬본체(100)의 내부에는 메쉬본체(100)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복수의 보강심재(150)가 매설될 수 있으며, 보강심재(150)는 제1 보강심재(151) 및 제2 보강심재(1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강심재(151)는 통공(110)을 피해서 메쉬본체(100)의 제1 방향(A1)을 따라 연장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보강심재(151)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보강심재(151)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보강심재(151)는 이웃하는 통공(110)에 인접하도록 각각 매설될 수 있다.
제2 보강심재(152)는 통공(110)을 피해서 메쉬본체(100)의 제2 방향(A2)을 따라 연장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보강심재(152) 역시 적어도 한 쌍의 제2 보강심재(152)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보강심재(152)는 이웃하는 통공(110)에 인접하도록 각각 매설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메쉬본체(100)의 평면 상에서 격자 구조로 배치되는 제1 보강심재(151) 및 제2 보강심재(152)를 통하여 메쉬본체(100)는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제2 실시예에 따른 통공 크기조절부(300) 역시 제1 방향(A1) 및 제2 방향(A2)을 따라 이웃하는 통공(110)의 사이 공간에 설치될 수 있는데, 탄성부재(130)와 중첩되지 않는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통공 크기조절부(300)는 제1 이동블록(310), 제3 연결봉(330), 제2 이동블록(320), 제4 연결봉(340), 제2 조절부재(3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블록(310)은 일측 통공(110)에 인접하도록 메쉬본체(100)의 내부에 매설될 수 있다. 제1 이동블록(310)은 메쉬본체(100)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강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블록(310)은 일측 통공(11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보강심재(150)를 감싸는 형태로 보강심재(150)와 결합될 수 있다.
제3 연결봉(330)은 일단이 제1 이동블록(310)에 결합되며 보강심재(15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구비될 수 있다. 메쉬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3 연결봉(330)의 외주면에는 나사가공부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이동블록(320)은 제1 이동블록(310)과 이격하여 배치되며, 이웃하는 타측 통공(110)에 인접하도록 메쉬본체(100)의 내부에 매설될 수 있다. 제2 이동블록(320) 역시 제1 이동블록(310)과 마찬가지 메쉬본체(100)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강성을 가지는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이동블록(320)은 타측 통공(11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보강심재(150)를 감싸는 형태로 보강심재(150)와 결합될 수 있다.
제4 연결봉(340)은 일단이 제2 이동블록(320)에 결합되며 보강심재(15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구비될 수 있다. 메쉬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4 연결봉(340)의 외주면에는 나사가공부가 구비될 수 있다.
제3 연결봉(330) 및 제4 연결봉(340)에 각각 형성된 나사가공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조절부재(350)는 제3 연결봉(330) 및 제4 연결봉(340)과 결합되는 것으로, 제2 조절부재(350)의 내주면에는 제3 연결봉(330) 및 제4 연결봉(340)과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가공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3 연결봉(330)과 나사 결합되는 부분 및 제4 연결봉(340)과 나사 결합되는 부분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가공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조절부재(350)와 제3 연결봉(330) 및 제4 연결봉(340)과의 나사 결합 정도에 따라, 제1 이동블록(310) 및 제2 이동블록(320)은 서로 이격되거나 근접되게 이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제1 이동블록(310) 및 제2 이동블록(320)이 각각 인접하는 통공(110)의 측벽이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고, 결국 제2 조절부재(350)의 회전 동작만으로 서로 이웃하는 통공(110)의 크기(h1,h2)를 일괄하여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1 이동블록(310) 및 제2 이동블록(320)은 통공(11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보강심재(150)와 결합되어 있음으로서 보강심재(150)를 통공(110) 측으로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하여, 탄성 변형된 통공(110) 측벽부에 대한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광물 선별 과정에서 통공(110)의 주변부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블록(310) 및 제2 이동블록(320)의 이동 시 보강심재(150)와 함께 통공(110) 측으로 이동될 수 있기 때문에, 통공(110) 측벽부의 돌출 과정 시, 그 변형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지만, 전술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공 크기조절부(300)는 통공(110)을 중심으로 상하, 좌우 측면에 각각 동일한 구성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통공 크기조절부(300)의 선택적인 조작으로부터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도록 통공(110)을 조절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의 통공 크기조절부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8은 통공 크기조절부의 측면 예시도이며, 도 9는 통공 크기조절부의 저면 예시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통공 크기조절부(400)는 베이스부재(410), 제1 회전플레이트(420), 제2 회전플레이트(430), 고정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재(410)는 이웃하는 통공(110)의 사이 공간에서 메쉬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부재(410)의 중심 회전축(411)이 메쉬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440)는 베이스부재(410)의 회전축(411)에 결합되어 메쉬본체(100)에 대해 베이스부재(410)를 고정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부재(440)는 회전축(411)의 일단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회전축(411)과 나사 결합됨에 따라 베이스부재(410)를 메쉬본체(100)에 밀착시켜 베이스부재(410)가 회전되지 않는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회전축(411)과의 나사 결합 상태를 느슨하게 푼 상태에서는 베이스부재(41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회전플레이트(420)는 베이스부재(410)의 일측에 결합되며, 베이스부재(410)의 회전 시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일측 통공(110)의 완전 개방 상태를 유지하거나 통공(110)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회전플레이트(430)는 베이스부재(410)의 타측에 결합되며, 베이스부재(410)의 회전 시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이웃하는 타측 통공(110)의 완전 개방 상태를 유지하거나 타측 통공(110)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도 9 (a)에서와 같이, 최대 크기(h1)로 개방된 통공(110)을 이용하여 광물 선별 작업을 수행하다가 비교적 작은 크기의 광물 선별을 필요로 할 경우에는 고정부재(440)를 느슨하게 푼 상태에서 베이스부재(410)를 회전시키게 되면, 도 9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플레이트(420)는 좌측 통공(110)의 일부를 덮게 되고, 제2 회전플레이트(430)는 우측 통공(110)의 일부를 덮게 됨으로써, 이웃하는 통공(110)의 크기를 일괄하여 축소시킬 수 있다.
한편 제3 실시예에 따른 통공 크기조절부(4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제1 실시예에 따른 통공 크기조절부(200) 혹은, 도 6에 도시된 제2 실시예에 따른 통공 크기조절부(300)와 조합하여 메쉬본체(100)에 함께 적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통공 크기조절부(200)(300)의 하측 또는 상측에 제3 실시예에 따른 통공 크기조절부(400)를 추가적으로 적층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통공(110)의 측벽으로부터 직선 이동되면서 통공(110)의 크기를 조절하는 방식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통공 크기조절부(200)(300)와, 통공(110)을 향해 회전 이동되면서 통공(110)의 크기를 조절하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통공 크기조절부(400)를 함께 적용하는 경우에는, 선별되는 광물에 따라,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통공 크기조절부(200)(300)를 통하여 통공(110)의 크기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또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통공 크기조절부(400)를 통하여 통공(110)의 크기를 일시에 큰 폭으로 축소시킬 수도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공 크기조절부(200,300,400)를 조합하여 메쉬본체(100)에 구성하는 경우에는 통공(110)의 크기를 보다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메쉬본체(100)에는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재(500)가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재(500)는 메쉬본체(100)의 상부면에서 제1 방향(A1) 또는 제2 방향(A2)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메쉬본체(100)의 통공(110)과 중첩되지 않도록 이웃하는 통공(110)의 사이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재(500)는 상대적으로 상측이 좁고 하측이 넓은 상협하광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돌출부재(500)의 측면에는 경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재(500)의 경사부는 우레탄 메쉬의 상측으로 광물이 투하되는 과정에서 투하되는 광물이 통공(110) 측으로 도입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재(500)는 우레탄 메쉬의 상부를 이동하는 작업자에게 충분한 마찰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따라, 우레탄 메쉬의 상부를 이동하는 작업자는 미끄럼 없이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고, 우레탄 메쉬의 청소 등 유지 보수를 수월하게 할 수 있다. 특히, 우레탄 메쉬가 경사형 데크 상에 설치되는 경우 미끄럼 없이 작업자의 안전한 이동을 더욱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재(500)는 경사진 상태로 배치된 우레탄 메쉬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낙하하는 광물의 충돌을 유도하여 광물의 이송을 정체시키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보다 효율적인 선별이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는 통공(110)과 충돌하는 광물에 강한 반력을 제공하여, 광물이 통공(110)에 끼거나 막히는 현상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선별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는 통공 크기조절부(200,300,400)를 통하여 우레탄 메쉬의 교체 없이 원하는 크기의 광물 선별을 위한 통공(110) 크기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우레탄 메쉬의 정비 시간 및 교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선별 작업의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는 상부면에 배치되는 돌출부재(500)를 통하여, 우레탄 메쉬가 설치된 현장에서 작업자의 접근성이 용이하여 우레탄 메쉬의 청소 등 정비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메쉬본체
110: 통공
130: 탄성부재
200,300,400; 통공 크기조절부

Claims (8)

  1.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통공 측으로 진입하는 광물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에 반대되는 반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신장되는 탄성부재가 내부에 매설되는 메쉬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메쉬본체는 상기 통공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통공 크기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공 크기조절부는,
    상기 메쉬본체의 제1 가이드홀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와 이격하여 배치되며, 상기 메쉬본체의 제2 가이드홀 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 연결봉;
    상기 제2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2 연결봉; 및
    상기 제1 연결봉 및 제2 연결봉과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제1 연결봉 및 상기 제2 연결봉과의 나사 결합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를 이격시키거나 근접시키며 이웃하는 상기 통공의 측벽에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플레이트가 출몰되도록 하는 제1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이웃하는 상기 통공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
  3. 삭제
  4. 삭제
  5.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통공 측으로 진입하는 광물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에 반대되는 반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신장되는 탄성부재가 내부에 매설되는 메쉬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메쉬본체는 상기 통공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통공 크기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공 크기조절부는,
    상기 메쉬본체의 내부에 매설되는 제1 이동블록;
    상기 제1 이동블록과 이격하여 배치되며, 상기 메쉬본체의 내부에 매설되는 제2 이동블록;
    상기 제1 이동블록에 결합되는 제3 연결봉;
    상기 제2 이동블록에 결합되는 제4 연결봉; 및
    상기 제3 연결봉 및 제4 연결봉과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제3 연결봉 및 상기 제4 연결봉과의 나사 결합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이동블록 및 상기 제2 이동블록을 이격시키거나 근접시키며 이웃하는 상기 통공의 측벽이 볼록하게 돌출되도록 하는 제2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본체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메쉬본체의 내부에 매설되는 복수의 보강심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이동블록 및 상기 제2 이동블록 각각은 상기 통공에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심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
  7.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통공 측으로 진입하는 광물로부터 가해지는 가압력에 반대되는 반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신장되는 탄성부재가 내부에 매설되는 메쉬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메쉬본체는 상기 통공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통공 크기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공 크기조절부는,
    상기 메쉬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부재의 회전 시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통공을 완전 개방하거나 상기 통공의 일부를 덮도록 마련되는 회전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부재 및 상기 메쉬본체를 연결하며, 상기 베이스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
  8. 제1항, 제5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본체는 작업자의 편의를 위해 상기 메쉬본체의 상부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
KR1020190168605A 2019-10-02 2019-12-17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 KR1021203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22162 2019-10-02
KR1020190122162 2019-10-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0385B1 true KR102120385B1 (ko) 2020-06-09

Family

ID=71082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8605A KR102120385B1 (ko) 2019-10-02 2019-12-17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38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605B1 (ko) * 2020-06-30 2020-10-07 이상원 골재 선별 장치
CN112076988A (zh) * 2020-08-20 2020-12-15 湖南金昇茶油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应用于山茶油、芝麻油和山苍子油压榨前的处理工艺
CN112090756A (zh) * 2020-07-16 2020-12-18 衢州学院 一种苹果初步分选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865A (ko) * 2001-10-04 2003-04-11 주식회사 포스코 개량된 하단 스크린 매트를 갖는 원료 입도선별기
KR100770755B1 (ko) * 2006-09-25 2008-01-08 (주)성부콘베어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
KR20120124245A (ko) * 2011-05-03 2012-11-13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 배기가스 청정설비의 활성탄 선별 크기 조절장치 및 조절 방법
KR20130003480A (ko) * 2011-06-30 2013-01-09 이민석 골재 선별용 러버 스크린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1534A (ko) 2014-06-27 2016-01-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원료 선별용 스크린 플레이트 구조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8865A (ko) * 2001-10-04 2003-04-11 주식회사 포스코 개량된 하단 스크린 매트를 갖는 원료 입도선별기
KR100770755B1 (ko) * 2006-09-25 2008-01-08 (주)성부콘베어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
KR20120124245A (ko) * 2011-05-03 2012-11-13 주식회사 포스코 소결 배기가스 청정설비의 활성탄 선별 크기 조절장치 및 조절 방법
KR20130003480A (ko) * 2011-06-30 2013-01-09 이민석 골재 선별용 러버 스크린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01534A (ko) 2014-06-27 2016-01-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원료 선별용 스크린 플레이트 구조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605B1 (ko) * 2020-06-30 2020-10-07 이상원 골재 선별 장치
CN112090756A (zh) * 2020-07-16 2020-12-18 衢州学院 一种苹果初步分选机
CN112090756B (zh) * 2020-07-16 2022-02-01 衢州学院 一种苹果初步分选机
CN112076988A (zh) * 2020-08-20 2020-12-15 湖南金昇茶油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应用于山茶油、芝麻油和山苍子油压榨前的处理工艺
CN112076988B (zh) * 2020-08-20 2021-11-05 湖南金昇茶油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应用于山茶油、芝麻油和山苍子油压榨前的处理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0385B1 (ko) 광물 선별용 우레탄 메쉬
AU2008253590B2 (en) Vibrating screen panel
KR101964939B1 (ko) 입형개선 및 입도조절용 개량형 트롬멜
KR100770755B1 (ko) 선별 구멍의 확장이 가능한 러버 스크린
KR100748077B1 (ko) 자동 습식 체분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흙 분류 방법
JP2016520423A (ja) 減衰ピッチのスパイラルアセンブリを有するトロンメルアセンブリ
US20130236250A1 (en) Fiberglass Roof and Rib Plate
EP2459323B1 (en) Improved screen panel and its relating production process
EP1293265B1 (en) Improv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airing screens
US8991613B2 (en) Screen panel with improved apertures
KR200462438Y1 (ko) 다단 쇄석 선별장치
KR100868807B1 (ko) 광석 선별용 러버 스크린
KR101364060B1 (ko) 원료 입도 선별 장치
KR20040053627A (ko) 원통형스크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1554781B1 (ko) 입도 선별장치
KR200403390Y1 (ko) 그리즈리스크린이 장착된 골재선별기
US2617533A (en) Vibrating equipment
WO1996030132A1 (en) Screen cleaning means
CA2059863C (en) Sifter for sifting an assemblage of components of various sizes and densities
EP2747907B1 (en) Ore screening panel
US9849485B2 (en) System, apparatus and/or method for repairing sifting and/or filtering screens using plugs with a mesh layer
AU2012211382A1 (en) Vibrating screen panel
KR200310857Y1 (ko) 원통형스크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2164111B1 (ko) 나사못 보관부재의 배출장치
KR200395460Y1 (ko) 선별장치용 선별판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