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939B1 - 입형개선 및 입도조절용 개량형 트롬멜 - Google Patents

입형개선 및 입도조절용 개량형 트롬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939B1
KR101964939B1 KR1020180116976A KR20180116976A KR101964939B1 KR 101964939 B1 KR101964939 B1 KR 101964939B1 KR 1020180116976 A KR1020180116976 A KR 1020180116976A KR 20180116976 A KR20180116976 A KR 20180116976A KR 101964939 B1 KR101964939 B1 KR 101964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screen
fine aggregate
roller
mortar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호성
이혁
Original Assignee
동부이엔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이엔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이엔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6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9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18Drum screens
    • B07B1/22Revolving drums
    • B07B1/24Revolving drums with fixed or moving interior agit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02C4/08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with co-operating corrugated or toothed crushing-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286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28Details
    • B02C4/30Shape or construction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48Stretching devices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07B1/50Cleaning
    • B07B1/52Cleaning with brushes or scrapers
    • B07B1/522Cleaning with brushes or scrapers with brushes
    • B07B1/524Cleaning with brushes or scrapers with brushes the brushes being rotating

Abstract

본 발명은 순환잔골재의 제조공정중 입형개선 및 잔여 모르타르를 제거하기 위한 트롬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형개선 및 입도조절용 개량형 트롬멜은 내부로 반입된 순환잔골재가 회전에 따라 복수 개의 타공홀을 지나면서 모르타르를 선별하는 원통스크린, 상기 원통스크린을 회전시키는 회전기구, 상기 원통스크린의 내주에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원통스크린의 회전에 따라 내부로 유입된 순환잔골재를 타격하여 모르타르를 떨어내는 충격돌기, 상기 원통스크린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며 상기 타공홀을 청소하는 청소브러시, 및 상기 원통스크린의 내부에서 회전하며 상기 순환잔골재를 가압하여 부셔 입형을 개선하거나 입도를 조절하는 가압개선롤러를 포함한다. 따라서, 순환잔골재에서 모르타르의 선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입형개선 및 입도조절용 개량형 트롬멜{a trommel of improved type}
본 발명은 순환잔골재의 제조공정중 입형개선 및 잔여 모르타르를 제거하기 위한 트롬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폐기물은 부패되지 않기 때문에 매립하여 폐기할 경우, 환경오염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건축폐기물은 순환굵은골재 및 순환잔골재로 변형하는 형태로 건축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재사용한다.
한편, 순환굵은골재는 건축폐기물을 파쇄하는 형태로 쉽게 얻을 수 있지만, 순환잔골재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으며 순환잔골재에 모르타르가 붙은 경우, 박리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순환잔골재에서 모르타르를 분리하는 기술은 중요하다.
이러한, 순환잔골재에서 모르타르를 분리하기 위해 평면 형태의 스크린을 통과하거나, 원통형태의 스크린을 통과시키는 방법이 있으나, 평면형태의 스크린으로 모르타르를 분리하는 방법보다 원통형태의 스크린을 통과시키는 방법이 선별속도는 느리지만, 순환잔골재에서 모르타르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모르타르의 선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원통형태의 스크린을 이용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원통형태의 스크린을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로는 종래에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83098호(2012.9.20공고)에 "트롬멜"로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트롬멜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된 드럼; 상기 드럼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수단; 및 상기 배출공의 막힘을 방지하도록 상기 드럼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드럼에 규칙적인 충격을 가해주는 충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트롬멜은 충격수단이 드럼을 충격하여 배출공의 막힘을 최소화하여 순환잔골재에서 모르타르를 선별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트롬멜은 단순히 회전하는 드럼의 배출공에 의해서만 모르타르를 분리하기 때문에 순환잔골재에 모르타르가 굳거나 뭉친 모르타르의 경우, 분리되지 않은 채로 배출되어 선별성이 하락될 뿐만 아니라, 배출공을 통과할 수 있는 크기라도 입형에 따라 배출공을 통과하지 못하거나, 미세한 크기차이로 인해 모르타르를 선별하지 못하고 그대로 배출하여 선별성이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순환잔골재에서 모르타르의 선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순환잔골재 및 모르타르의 입경을 개선하고 입도를 조절하여 선별할 수 있는 입형개선 및 입도조절용 개량형 트롬멜을 제공하는 것으로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형개선 및 입도조절용 개량형 트롬멜은 내부로 반입된 순환잔골재가 회전에 따라 복수 개의 타공홀을 지나면서 모르타르를 선별하는 원통스크린, 상기 원통스크린을 회전시키는 회전기구, 상기 원통스크린의 내주에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원통스크린의 회전에 따라 내부로 유입된 순환잔골재를 타격하여 모르타르를 떨어내는 충격돌기, 상기 원통스크린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며 상기 타공홀을 청소하는 청소브러시, 및 상기 원통스크린의 내부에서 회전하며 상기 순환잔골재를 가압하여 부셔 입형을 개선하거나 입도를 조절하는 가압개선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가압개선롤러는 상기 순환잔골재를 가압 시 상기 원통스크린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격돌기는 상기 순환잔골재의 충격 후 상기 원통스크린의 하부로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상기 순환잔골재가 유입되는 반대방향에 위치된 면이 상기 충격돌기가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원통스크린의 하부를 향해 경사진 배출유도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통스크린은 상기 충격돌기에 의해 원통스크린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선별구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복수 개의 선별구역은 상기 가압개선롤러가 설치되어 입형을 개선하여 선별하는 롤러선별구역과 상기 가압개선롤러가 설치되지 않고 타공홀에 의해서만 선별을 수행하는 타공선별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개선롤러는 상기 원통스크린의 회전하는 회전방향과 마주하는 방향에 설치되어 미리 설정된 크기의 순환잔골재만 상기 가압개선롤러로 유입되도록 상기 순환잔골재의 유입크기를 조절하는 유입조절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통스크린의 내부에 충격돌기가 형성되어 원통스크린의 회전에 따라 충격돌기가 순환잔골재를 충격하여 순환잔골재에 굳거나, 뭉친 모르타르를 쉽게 떨어내거나 분리하여 순환잔골재에서 모르타르의 선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순환잔골재와 모르타르가 가압개선롤러에 의해 가압되어 잘개 쪼개짐으로써, 입형이 개선되고 입도가 조절되어 모르타르의 선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순환잔골재와 모르타르를 분리하는 선별구역을 충격돌기에 의해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분하여 선별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충격돌기가 경사진 배출안내면을 가져 순환잔골재의 적체를 최소화하여 신속한 선별이 가능하다.
또한, 청소브러시가 설치되어 타공홀의 막힘에 따른 선별성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가압개선롤러에 유입조절판이 설치되어 상대적으로 큰 순환잔골재가 가압개선롤러와 원통스크린의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형개선 및 입도조절용 개량형 트롬멜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형개선 및 입도조절용 개량형 트롬멜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형개선 및 입도조절용 개량형 트롬멜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형개선 및 입도조절용 개량형 트롬멜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형개선 및 입도조절용 개량형 트롬멜(100)은 원통스크린(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원통스크린(110)은 내부가 빈 원통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원통스크린(110)의 전체적인 둘레에는 선별할 모르타르의 입경과 동일한 입경을 갖는 타공홀(111)이 복수 개가 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원통스크린(110)은 타공홀이 형성된 형태가 아닌 일정 입경의 모르타르만 통과할 수 있는 망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원통스크린(110)은 상부에서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배치되어 개방된 상부를 통해 순환잔골재가 투입되고, 순환잔골재에서 분리되는 모르타르는 회전하는 원통스크린(110)의 하부로 이동하면서 선별된 모르타르는 원통스크린(110)의 둘레 하부로 분리되어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원통스크린(110)에서 선별되지 않은 모르타르 또는 순환잔골재는 원통스크린(110)의 개방된 하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형개선 및 입도조절용 개량형 트롬멜(100)은 회전기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회전기구(120)는 원통스크린(1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회전기구(120)는 구동모터에 의해 벨트를 회전시키고, 벨트는 원통스크린(110)의 둘레에 걸쳐져 벨트의 회전에 따라 원통스크린(110)이 회전하도록 구성되거나, 회전기구(120)는 구동모터에 마찰롤러가 설치되고, 마찰롤러에 원통스크린(110)의 외면이 지지되어 마찰롤러의 회전에 따라 원통스크린(110)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회전기구(120)는 원통스크린(110)의 중앙에 위치되는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원통스크린(110)의 둘레를 회전시키는 다양한 공지된 형태의 회전기구(120)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형개선 및 입도조절용 개량형 트롬멜(100)은 충격돌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충격돌기(130)는 원통스크린(110)의 내주에서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원통스크린(110)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원통스크린(110)의 내주로 유입되는 순환잔골재를 충격하여 순환잔골재에 굳거나, 서로 뭉쳐진 모르타르를 파쇄할 수 있다.
한편, 충격돌기(130)는 순환잔골재를 충격할 때, 쉽게 부서지지 않도록 순환잔골재의 경도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재료(예컨대, 하이망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충격돌기(130)의 돌출되는 높이는 원통스크린(110)으로 유입되는 순환잔골재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으며, 원통스크린(110)으로 유입되는 순환잔골재의 원활하게 하부로 이동시키도록 마치 임펠러와 같이 회전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설치되거나, 충격돌기(130)가 회전하는 방향에서 그 반대방향을 향해 기울어진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충격돌기(130)는 충격된 순환잔골재가 원통스크린(110)의 하부로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배출유도면(1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배출유도면(131)은 충격돌기(130)에서 원통스크린(110)으로 순환잔골재가 유입되는 면과는 반대방향의 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배출유도면(131)은 순환잔골재가 하부로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충격돌기(130)가 회전하는 방향에서 그 반대방향을 향해 갈수록 원통스크린(110)의 하부를 향해 경사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출유도면(131)은 충격돌기(130)를 평면에서 바라봤을 때 순환잔골재가 유입되는 면과 반대방향에 위치된 면이 마치 충격돌기(130)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형상으로 충격돌기(130)가 회전하는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배출유도면(131)은 충격돌기(130)에 충격된 순환잔골재가 배출유도면(131)을 통해 원통스크린(110)의 하부로 이동하여 충격돌기(130)가 형성된 부분에서 순환잔골재의 이동적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충격돌기(130)는 동일 원주상에 복수 개의 충격돌기(130)가 한 그룹을 이뤄 원통스크린(11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의 그룹이 설치되어 각 충격돌기(130)의 그룹에서 충격돌기(130)에 의해 순환잔골재의 배출이 더뎌지면서 서로 다른 선별기능을 수행하도록 복수 개의 선별구역(113)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선별구역(113)으로 구획하는 충격돌기(130)는 원주상에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되어 순환잔골재에 맞닿아 충격하는 충격비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선별구역(113)으로 구획하는 충격돌기(130)는 각 선별구역(113)마다 높낮이가 다르게 설치되어 순환잔골재의 충격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물론, 한 그룹 내에서 충격돌기(130)의 높낮이가 서로 다를 수도 있으며, 충격돌기(130)의 형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순환잔골재를 충격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선별구역(113)에 대해서는 하기의 가압개선롤러(150)를 설명할 때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형개선 및 입도조절용 개량형 트롬멜(100)은 청소브러시(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청소브러시(140)는 원통스크린(110)의 내주에 설치되어 원통스크린(110)의 내주면을 청소하는 형태로 모르타르에 의한 타공홀(111)의 막힘을 해소할 수 있다.
한편, 청소브러시(140)는 원통스크린(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원통스크린(110)의 내주에 설치될 수 있으며, 청소브러시(140)는 원통스크린(110)의 내주에 밀착되어 회전하는 형태로 원통스크린(110)의 내주를 청소할 수 있다.
그리고, 청소브러시(140)는 원통스크린(11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청소하거나,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여 청소할 수 있으며, 청소브러시(140)는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청소브러시(140)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거나 서로 다른 각기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청소브러시(140)는 원통스크린(110)의 내주에 마찰되어 원통스크린(110)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으며, 별도의 동력기구를 통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청소브러시(140)가 별도의 동력기구에 의해 회전할 경우에는 원통스크린(110)의 구동모터의 동력을 공유하면서, 공지된 동력전달기구인 벨트 또는 기어맞물림에 의해 회전방향을 달리하거나, 회전속도를 달리하는 형태로 청소브러시(140)가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청소브러시(140)의 반경은 원통스크린(110)에서 충격돌기(130)의 높이보다는 크게 형성되어 청소브러시(140)가 회전하는 회전축이 원통스크린(11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충격돌기(130)에 걸리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청소브러시(140)는 충격돌기(130)의 그룹에 의해 구획된 복수 개의 선별구역(113)에 각각 배치되어 선별구역(113)마다 청소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형개선 및 입도조절용 개량형 트롬멜(100)은 가압개선롤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가압개선롤러(150)는 순환잔골재를 가압하여 순환잔골재에 굳은 모르타르를 떨어내거나, 순환잔골재를 가압하여 부수거나 마모시키는 형태로 순환잔골재의 입자를 작은 크기의 입자로 입형의 개선 또는 입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가압개선롤러(150)는 원통스크린(110)의 내주에 밀착될 수 있으며, 가압개선롤러(150)는 가압개선롤러(150)와 원통스크린(110)의 내주로 유입되는 순환잔골재에서 모르타르를 가압하여 탈락시키거나, 순환잔골재 또는 모르타르를 가압하여 작은 크기의 입자로 입형을 개선하거나, 입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가압개선롤러(150)는 탄성력을 가져 탄성변형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가압개선롤러(150)가 탄성력을 갖지 않는 경우에는 가압개선롤러(150)와 원통스크린(110)의 사이로 유입되는 순환잔골재에 의해 원통스크린(110)이 찌그러지거나, 타공홀(111)의 변형이 가해지는 등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가압개선롤러(150)를 형성하는 탄성력을 갖는 재료는 폐벨트를 압축한 재료로 가압개선롤러(150)를 형성하여 버려지는 폐벨트를 재활용함으로써, 환경오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가압개선롤러(150)는 원통스크린(110)의 내주에 밀착되어 원통스크린(110)과의 마찰력에 의해 가압개선롤러(150)가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되거나, 별도의 동력기구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원통스크린(110)을 회전시키는 회전기구(120)의 구동모터의 동력만 공유하고, 벨트 또는 기어맞물림에 의해 서로 다른 회전 방향과 서로 다른 회전 속도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가압개선롤러(150)는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원통스크린(110)의 내주에 탄성력에 의해 밀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가압개선롤러(150)는 탄성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형태로 원통스크린(110)에 밀착되는 밀착력을 조절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가압개선롤러(150)의 반경은 충격돌기(130)의 높이보다 크게 형성되어 충격돌기(130)의 회전에 따라 가압개선롤러(150)를 지지하는 롤러축이 충격돌기(130)에 걸리지 않고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가압개선롤러(150)는 복수 개의 구획된 선별구역(113)에 어느 한 선별구역(113) 이상에 설치될 수 있고, 가압개선롤러(150)가 설치되는 선별구역(113)은 강제적으로 입형을 개선하거나 입도를 조절하여 선별하는 롤러선별구역(114)이 될 수 있으며, 가압개선롤러(150)가 설치되지 않은 선별구역(113)은 스크린에 의해서만 선별하는 타공선별구역(115)이 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원통스크린(110)의 상부에서부터 차례로 3번째 구역까지에 가압개선롤러(150)를 설치하여 가압개선롤러(150)의 입형개선 및 입도조절을 하기 위한 롤러선별구역(114)으로 구분하였고, 나머지 선별구역(113)에는 가압개선롤러(150)를 설치하지 않고 원통스크린(110)의 타공홀(111)에서만 모르타를 선별하는 타공선별구역(115)으로 구획하였다.
물론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실시예에서와 같이 롤러선별구역(114)만 연속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 개의 롤러선별구역(114)의 사이마다에 타공선별구역(115)이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가압개선롤러(150)의 외면에는 나선형상의 안내홈이 형성되어 가압개선롤러(150)로 유입된 순환잔골재가 안내홈에 의해 원통스크린(110)의 하부로 배출을 안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형개선 및 입도조절용 개량형 트롬멜(100)은 유입조절판(16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유입조절판(160)은 가압개선롤러(150)와 회전스크린의 사이로 유입되는 순환잔골재의 크기를 설정하여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순환잔골재가 가압개선롤러(150)와 회전스크린의 사이에 끼어 가압개선롤러(150)가 회전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유입조절판(160)은 가압개선롤러(150)의 회전 하는 방향에 따라 가압개선롤러(150)와 원통스크린(110)의 사이로 순환잔골재가 유입되는 방향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유입조절판(160)은 원통스크린(110)의 내주에서 이격되도록 설치되어 가압개선롤러(150)의 사이로 유입될 수 있는 순환잔골재의 크기를 설정하고, 유입되지 못하는 크기의 순환잔골재는 유입조절판(160)에 걸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유입조절판(160)은 원통스크린(110)의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가압개선롤러(150)에 근접하게 경사지게 설치되어 원통스크린(110)의 회전 시 유입조절판(160)에 걸린 순환잔골재가 유입조절판(160)의 하부로 안내되는 형태로 원통스크린(110)의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가압개선롤러(150)를 중심으로 원통스크린(110)에서 상부에 위치되는 유입조절판(160)의 끝단에는 원통스크린(110)의 상부에서 가압개선롤러(150)와 유입조절판(160)의 사이로 순환잔골재의 유입을 차단하는 차단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형개선 및 입도조절용 개량형 트롬멜(100)은 원통스크린(110)이 회전기구(120)에 의해 회전하면, 원통스크린(110)의 내주에 위치된 충격돌기(130)가 원통스크린(110)과 함께 회전하며, 가압개선롤러(150)도 원통스크린(110)에 마찰되어 함께 회전한다.
이때, 청소브러시(140)도 원통스크린(110)에 의해 회전하거나 별도의 동력기구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원통스크린(110)의 개방된 상부로 순환잔골재가 유입되면, 순환잔골재는 회전하는 충격돌기(130)에 의해 충돌하여 순환잔골재에 경화된 모르타르를 분리하거나, 모르타르 뭉치를 분쇄하고, 분리된 모르타르는 원통스크린(110)의 타공홀(111)을 통해 미리 설정된 크기의 모르타르만 통과하여 하부로 분리된다.
이와 동시에 일부 타공홀(111)을 통과하지 못한 모르타르 또는 순환잔골재는 가압개선롤러(150)와 원통스크린(110)의 사이로 유입되면서, 작은 크기의 입형이 개선되거나, 입도가 조절되면서, 타공홀(111)을 통과하거나, 타공홀(111)을 통과하지 못한 모르타르 및 순환잔골재는 그 하부에 위치된 롤러선별구역(114)으로 진입하여, 다시 충격돌기(130)와 가압개선롤러(150)에 의해 모르타르의 입형이 개선되거나 입도가 조절되면서 선별된다.
이때, 충격돌기(130)는 순환잔골재에 충돌 시 하부로 안내하는 배출유도면(131)에 의해 이동이 유도되어 순환잔골재의 적체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하부에 위되는 롤러선별구역(114)으로 제공된다.
그리고, 순환잔골재가 가압개선롤러(150)의 사이로 유입 시 가압개선롤러(150)는 탄성력을 갖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강도가 강한 순환잔골재가 가압개선롤러(150)와 원통스크린(110)의 사이로 유입되더라도 원통스크린(110)의 찌그러짐과 같은 변형 또는 파손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가압개선롤러(150)에는 유입조절판(160)이 설치되어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순환잔골재는 하부로 이송시키고, 유입조절판(160)과 원통스크린(110)의 사이 간격으로 유입될 수 있는 크기의 순환잔골재 또는 모르타르만 가압개선롤러(150)에 의해 가압되어 입형의 개선 및 입도가 조절됨으로써,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순환잔골재가 원통스크린(110)과 가압개선롤러(150)의 사이에 끼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렇게 롤러선별구역(114)을 지난 순환잔골재는 마지막에 위치되는 타공선별구역(115)으로 진입하여 타공홀(111)에 의해 선별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선별되지 못한 순환잔골재는 원통스크린(110)의 하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형개선 및 입도조절용 개량형 트롬멜(100)은 원통스크린(110)의 내부에서 돌출되는 충격돌기(130)가 순환잔골재를 충격하며, 순환잔골재의 잔여 모르타르를 떨어내거나, 뭉쳐진 모르타르를 분쇄하여 모르타르의 선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충격돌기(130)에 경사진 배출유도면(131)이 형성되어 순환잔골재의 배출을 유도함으로써, 순환잔골재의 배출적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가압개선롤러(150)가 원통스크린(110)의 사이로 유입되는 순환잔골재 또는 모르타르를 가압하여 입형의 개선 및 입도를 조절하여 더 많은 량의 모르타르를 선별해 낼 수 있다.
또한, 원통스크린(110)은 충격돌기(130)에 의해 구획되어 가압개선롤러(150)에 의해 선별되는 롤러선별구역(114)과 타공홀(111)에 의해 선별하는 타공선별구역(115)으로 구획되어 모르타르를 선별하는 선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청소브러시(140)가 설치되어 타공홀(111)의 막힘을 방지하여 모르타르의 선별성이 하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입형개선 및 입도조절용 개량형 트롬멜
110: 원통스크린 111: 타공홀
113: 선별구역 114: 롤러선별구역
115: 타공선별구역 120: 회전기구
130: 충격돌기 131: 배출유도면
140: 청소브러시 150: 가압개선롤러
160: 유입조절판

Claims (5)

  1. 내부로 반입된 순환잔골재가 회전에 따라 복수 개의 타공홀을 지나면서 모르타르를 선별하는 원통스크린,
    상기 원통스크린을 회전시키는 회전기구,
    상기 원통스크린의 내주에 방사상으로 복수 개가 설치되어 상기 원통스크린의 회전에 따라 내부로 유입된 순환잔골재를 타격하여 모르타르를 떨어내는 충격돌기,
    상기 원통스크린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며 상기 타공홀을 청소하는 청소브러시, 및
    상기 원통스크린의 내부에서 회전하며 상기 순환잔골재를 가압하여 부셔 입형을 개선하거나 입도를 조절하는 가압개선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돌기는
    상기 충격돌기에 충격되는 순환잔골재가 충격 후 상기 원통스크린의 하부로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상기 순환잔골재가 유입되는 반대방향에 위치된 면이 상기 충격돌기가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원통스크린의 하부를 향해 경사진 배출유도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형개선 및 입도조절용 개량형 트롬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개선롤러는
    상기 순환잔골재를 가압 시 상기 원통스크린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탄성력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형개선 및 입도조절용 개량형 트롬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스크린은
    상기 충격돌기에 의해 원통스크린의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선별구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복수 개의 선별구역은 상기 가압개선롤러가 설치되어 입형을 개선하여 선별하는 롤러선별구역과 상기 가압개선롤러가 설치되지 않고 타공홀에 의해서만 선별을 수행하는 타공선별구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형개선 및 입도조절용 개량형 트롬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개선롤러는
    상기 원통스크린의 회전하는 회전방향과 마주하는 방향에 설치되어 미리 설정된 크기의 순환잔골재만 상기 가압개선롤러로 유입되도록 상기 순환잔골재의 유입크기를 조절하는 유입조절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형개선 및 입도조절용 개량형 트롬멜.
KR1020180116976A 2018-10-01 2018-10-01 입형개선 및 입도조절용 개량형 트롬멜 KR101964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976A KR101964939B1 (ko) 2018-10-01 2018-10-01 입형개선 및 입도조절용 개량형 트롬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976A KR101964939B1 (ko) 2018-10-01 2018-10-01 입형개선 및 입도조절용 개량형 트롬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4939B1 true KR101964939B1 (ko) 2019-04-02

Family

ID=66167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976A KR101964939B1 (ko) 2018-10-01 2018-10-01 입형개선 및 입도조절용 개량형 트롬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939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2086A (zh) * 2019-05-23 2019-08-20 郭庆庆 一种物料粉碎研磨机及其使用方法
CN110639650A (zh) * 2019-08-24 2020-01-03 安徽友邦新材料有限公司 一种石灰石用粉碎筛分一体机
CN110935512A (zh) * 2019-12-10 2020-03-31 永康悠长矿产开采技术有限公司 一种采石场采石破碎装置
CN113333076A (zh) * 2021-05-20 2021-09-03 漳州新立基沥青有限公司 一种旧沥青混凝土回收装置
CN113663902A (zh) * 2021-08-25 2021-11-19 浙江三门永泰建材有限公司 一种再生混凝土骨料筛选系统
CN113680429A (zh) * 2021-08-23 2021-11-23 余寿添 一种基于石墨烯颗粒材料处理工艺
CN114192228A (zh) * 2021-12-09 2022-03-18 淮北淮海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土木工程用建筑垃圾粉碎装置
CN114247508A (zh) * 2021-12-20 2022-03-29 联合优发生物质能源徐州有限公司 一种生物质能源原料加工装置
CN114558653A (zh) * 2022-03-19 2022-05-31 聊城市交通发展有限公司 路桥施工用破碎筛分装置
CN114653441A (zh) * 2022-03-24 2022-06-24 漳州鑫华港饲料有限公司 一种肉用仔鸡配合饲料生产专用的粉碎机
CN114769111A (zh) * 2022-03-10 2022-07-22 郑州铁路职业技术学院 一种化工能源用原料筛选装置
CN114985091A (zh) * 2022-04-22 2022-09-02 安池(山东)动物营养研究院有限公司 一种饲料原材料粉碎筛选装置
CN115254292A (zh) * 2022-09-27 2022-11-01 甘肃建投矿业有限公司 一种采矿用碎石筛分装置
CN115634735A (zh) * 2022-11-21 2023-01-24 无锡市三晓新材料有限公司 一种活化粉原料过筛粉碎机
WO2024074733A1 (fr) * 2022-10-06 2024-04-11 Green Creative Dispositif de collecte de particules solides contenues dans une soupe de matieres organiqu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9287A (ja) * 1997-12-24 1999-07-06 Nikko Co Ltd 建設残土篩分装置
JP2000093895A (ja) * 1998-09-22 2000-04-04 Fukazawa Kenzai:Kk 掘削残土・汚泥の土質別分離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395132B1 (ko) * 2001-09-26 2003-08-21 주식회사 진흥중공업 재생골재 선별기
KR100923325B1 (ko) * 2009-02-13 2009-10-22 동부이엔티 주식회사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시설의 순환골재용 입형 개선 및 이물질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9287A (ja) * 1997-12-24 1999-07-06 Nikko Co Ltd 建設残土篩分装置
JP2000093895A (ja) * 1998-09-22 2000-04-04 Fukazawa Kenzai:Kk 掘削残土・汚泥の土質別分離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395132B1 (ko) * 2001-09-26 2003-08-21 주식회사 진흥중공업 재생골재 선별기
KR100923325B1 (ko) * 2009-02-13 2009-10-22 동부이엔티 주식회사 건설폐기물 중간처리 시설의 순환골재용 입형 개선 및 이물질 제거장치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2086A (zh) * 2019-05-23 2019-08-20 郭庆庆 一种物料粉碎研磨机及其使用方法
CN110639650A (zh) * 2019-08-24 2020-01-03 安徽友邦新材料有限公司 一种石灰石用粉碎筛分一体机
CN110639650B (zh) * 2019-08-24 2021-04-13 安徽友邦新材料有限公司 一种石灰石用粉碎筛分一体机
CN110935512A (zh) * 2019-12-10 2020-03-31 永康悠长矿产开采技术有限公司 一种采石场采石破碎装置
CN110935512B (zh) * 2019-12-10 2020-11-20 苏州贡湖精密制造产业发展有限公司 一种采石场采石破碎装置
CN113333076A (zh) * 2021-05-20 2021-09-03 漳州新立基沥青有限公司 一种旧沥青混凝土回收装置
CN113680429A (zh) * 2021-08-23 2021-11-23 余寿添 一种基于石墨烯颗粒材料处理工艺
CN113663902A (zh) * 2021-08-25 2021-11-19 浙江三门永泰建材有限公司 一种再生混凝土骨料筛选系统
CN114192228A (zh) * 2021-12-09 2022-03-18 淮北淮海建设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土木工程用建筑垃圾粉碎装置
CN114247508A (zh) * 2021-12-20 2022-03-29 联合优发生物质能源徐州有限公司 一种生物质能源原料加工装置
CN114247508B (zh) * 2021-12-20 2023-03-14 联合优发生物质能源徐州有限公司 一种生物质能源原料加工装置
CN114769111B (zh) * 2022-03-10 2023-02-28 郑州铁路职业技术学院 一种化工能源用原料筛选装置
CN114769111A (zh) * 2022-03-10 2022-07-22 郑州铁路职业技术学院 一种化工能源用原料筛选装置
CN114558653A (zh) * 2022-03-19 2022-05-31 聊城市交通发展有限公司 路桥施工用破碎筛分装置
CN114653441A (zh) * 2022-03-24 2022-06-24 漳州鑫华港饲料有限公司 一种肉用仔鸡配合饲料生产专用的粉碎机
CN114985091A (zh) * 2022-04-22 2022-09-02 安池(山东)动物营养研究院有限公司 一种饲料原材料粉碎筛选装置
CN115254292A (zh) * 2022-09-27 2022-11-01 甘肃建投矿业有限公司 一种采矿用碎石筛分装置
CN115254292B (zh) * 2022-09-27 2022-12-20 甘肃建投矿业有限公司 一种采矿用碎石筛分装置
WO2024074733A1 (fr) * 2022-10-06 2024-04-11 Green Creative Dispositif de collecte de particules solides contenues dans une soupe de matieres organiques
FR3140554A1 (fr) * 2022-10-06 2024-04-12 Green Creative Dispositif de collecte de particules solides contenues dans une soupe de matières organiques
CN115634735A (zh) * 2022-11-21 2023-01-24 无锡市三晓新材料有限公司 一种活化粉原料过筛粉碎机
CN115634735B (zh) * 2022-11-21 2024-02-06 无锡市三晓新材料有限公司 一种活化粉原料过筛粉碎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4939B1 (ko) 입형개선 및 입도조절용 개량형 트롬멜
KR101964940B1 (ko) 콘크리트용 순환잔골재를 제조하는 트롬멜을 이용한 개량형 회전 마쇄장치
DE102005046207B4 (de) Vorrichtung zum Zerkleinern von Haufwerk
KR101460659B1 (ko) 토사선별장치의 망막힘 방지장치
JP6538979B2 (ja) アルミニウムの平らな製品片および非金属中間層片の分離のための方法およびスクリーニング装置
WO2017001500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lassierung von superabsorberpartikeln
EP0687514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generierung von Giessereialtsand
CN110935549A (zh) 一种用于化妆品加工的研磨装置
EP0350616B1 (de) Sichter zum Sichten von körnigem, gegebenenfalls agglomeriertem Gut
KR100413325B1 (ko) 폐콘크리트 재생골재의 입형 및 품질개선장치
KR100570901B1 (ko) 건설폐기물에서 추출되는 재생골재 가공장치
KR101909640B1 (ko) 판상의 인조대리석 마블칩 및 판상의 폐인조대리석 파쇄시스템
CN218981733U (zh) 一种建筑垃圾粉碎装置
CN111570490A (zh) 一种建筑废弃物混杂料再生利用设备
DE19848233A1 (de) Gasdurchströmte Zerkleinerungsmaschine mit einem rotierenden Schlagradsystem, insbesondere Messerkranzzerspaner
DE4310689C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fbereitung mit metallischen Materialien und/oder Gewebefäden bewehrten Gummi- und/oder Kunststoffstücken
CN112844647B (zh) 高产量棒磨机
JPH06226123A (ja) ハンマークラッシャー
KR20040053627A (ko) 원통형스크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793169B1 (ko) 건설폐기물의 입도개선 몰탈제거 및 모래생산용 원통형의스크류 드럼벨
KR200229577Y1 (ko) 폐콘크리트 재생골재의 입형 및 품질 개선장치
KR100506029B1 (ko) 정역회전이 가능한 이물질선별용 원심분리기
KR200310857Y1 (ko) 원통형스크린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150054091A (ko) 입도 선별장치
KR102367721B1 (ko) 폐타이어 고무 재활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