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7721B1 - 폐타이어 고무 재활용 장치 - Google Patents

폐타이어 고무 재활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7721B1
KR102367721B1 KR1020200166586A KR20200166586A KR102367721B1 KR 102367721 B1 KR102367721 B1 KR 102367721B1 KR 1020200166586 A KR1020200166586 A KR 1020200166586A KR 20200166586 A KR20200166586 A KR 20200166586A KR 102367721 B1 KR102367721 B1 KR 102367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late
waste tire
main body
tuyere
rot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명
Priority to KR1020200166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77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7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7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2Permanent magnets [P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234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using gravity, e.g. separating by weight differences in a wind sif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68Separation of metals
    • B29B2017/0272Magnetic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68Crushing, i.e. disintegrating into small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공간이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최상단에 형성되고, 폐타이어 미립자가 공급되는 투입구, 상기 투입구와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 바람을 경사지게 공급하는 송풍구,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송풍구의 바람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단부가 상기 본체 내측 벽면과 소정 거리의 간극을 갖도록 형성되는 경사 안내판, 상기 간극의 하측에 연속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1 유도판 및 상기 제1 유도판의 절곡 방향에 평행하게 연속적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 유도판을 포함하는, 폐타이어 고무 재활용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폐타이어 고무 재활용 장치{WASTE TIRE RUBBER FIBER RECYCLING APPARATUS}
본 발명은 폐타이어 고무 재활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폐타이어를 분쇄한 후, 폐타이어에 포함된 섬유를 분리하여 고무를 재활용할 수 있는 폐타이어 고무 재활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는 외부가 고무로 이루어지고, 내부에는 여러 층의 금속층과 직물층이 매립된 구조로 이루어 진다. 이러한 폐타이어를 분쇄하여 고무분말과 철심을 분리해서 재활용시키는 방안이 많이 모색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폐타이어 파쇄선별장치는 폐타이어를 1차, 2차로 파쇄해서 고무분말과 철심을 선별하더라도, 분리된 철심에 여전히 고무성분이 많이 존재하여 재활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종래의 폐타이어 파쇄선별장치는 철심에서 고무를 제거하는 기능보다는 입도를 작게 분쇄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후속공정으로 철심에서 고무를 분리할 때 고무의 분리가 더 어렵고, 작업공간 내에서 비산되는 고무분말로 인해 작업자의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폐타이어에 포함된 섬유를 분리하여 고무를 재활용할 수 있는 폐타이어 고무 재활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타이어 고무 재활용 장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최상단에 형성되고, 폐타이어 미립자가 공급되는 투입구, 상기 투입구와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 바람을 경사지게 공급하는 송풍구,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송풍구의 바람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단부가 상기 본체 내측 벽면과 소정 거리의 간극을 갖도록 형성되는 경사 안내판, 상기 간극의 하측에 연속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1 유도판 및 상기 제1 유도판의 절곡 방향과 평행하게 연속적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 유도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극에 위치하여 상기 송풍구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동 블레이드를 갖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 부재 및 상기 제1 회전 부재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구동 블레이드에 의해 연속적으로 충격받아 회전되는 피동 블레이드를 갖는 제2 회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구동 블레이드는 상기 송풍구 측으로 만곡되고, 상기 각각의 피동 블레이드는 상기 구동 블레이드와 마찰이 일어나도록 선형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 부재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유도판 및 제2 유도판은 상기 본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측 및 타측으로 연속적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도판 또는 제2 유도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자력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타이어 고무 재활용 장치는 폐타이어에 포함된 섬유를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체가 수직으로 배치되고, 그 내부 공간에 송풍구, 제1 유도판 및 제2 유도판이 수직적으로 배치되고, 송풍구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에 의한 양력 및 자중을 이용하므로 단순한 구성으로 섬유 및 고무의 분리의 신뢰도가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타이어 고무 재활용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내부가 나타나도록 부분 절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타이어 고무 재활용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내부가 나타나도록 부분 절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타이어 고무 재활용 장치는 본체(100), 투입구(110), 송풍구(120), 경사 안내판(130), 제1 유도판(140) 및 제2 유도판(1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0)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고, 소정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본체(100)는 복수의 수평 및 수직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지지 프레임(1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지지되고, 하측에 별도의 포집 자루(S)가 구비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출구(180)를 통해 낙하되는 재활용 고무 분말이 포집될 수 있다.
투입구(110)는 본체(100)의 최상단에 형성되고, 이를 통해 폐타이어 가루가 본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폐타이어 고무칩이 파쇄되고, 복수의 파쇄기 및 분쇄기를 통과하여 분쇄된 상태의 폐타이어 미립자가 투입구(110)를 통하여 본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투입될 수 있다.
송풍구(120)는 투입구(110)와 인접하게 형성되고, 본체(100)의 내부 공간으로 바람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송풍구(120)의 설치 방향은 후술하는 경사 안내판(130)의 경사 각도와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투입구(110)로부터 공급되는 폐타이어 가루는 낙하됨과 동시에 송풍구(120)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을 타고 경사 안내판(130)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경사 안내판(130)은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되, 송풍구(120)의 바람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단부가 본체(100) 내측 벽면과 소정 거리의 간극(G)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간극(G)의 크기는 투입구(110)로부터 투입되는 폐타이어 가루의 입자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제1 유도판(140)은 간극(G)의 하측에 연속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유도판(140)은 본체(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형성되되, 본체(100) 내부에서 일측 방향 및 타측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투입구(110)를 통하여 투입된 폐타이어 가루가 제1 유도판(140)에 의해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상면에 충돌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유도판(150)은 제1 유도판(140)의 절곡 방향에 평행하게 연속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유도판(140) 및 제2 유도판(150) 사이에는 일측 및 타측으로 연속적으로 절곡되는 유동 통로가 마련될 수 있다.
투입구(110)를 통하여 투입되는 폐타이어 가루에 포함된 재활용 고무는 자중에 의해 제1 유도판(140)의 어느 상면 및 제2 유도판(150)의 어느 상면에 순차적으로 충돌하면서 낙하되고, 이 과정에서 상대적으로 가벼운 무게를 갖는 섬유는 송풍구(120)의 공기압에 의해 본체(100)의 최상부에 형성되는 공기와류 측으로 유도되어 분진 배출구(111)로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분진 배출구(111) 측으로 배출되는 분진에 작은 재활용 고무가 바람에 의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터 부재(113)가 설치될 수 있다.
필터 부재(113)는 복수의 구멍을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필터 부재(113)의 테두리 형상은 본체(100)로부터 배출되는 배출관(112)의 유동 면적이 사각형인 경우에는 사각형으로 형성되고, 배출관(112)의 유동 면적이 원형인 경우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간극(G)에는 송풍구(120)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블레이드(162)를 갖고 본체(100)의 내측 마주보는 벽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 부재(161)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 부재(161)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구동 블레이드(162)에 의해 연속적으로 충격받아 회전되는 피동 블레이드(172)를 갖는 제2 회전 부재(171)가 포함될 수 있다.
제1 회전 부재(161)는 상기 본체의 내측 마주보는 벽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제2 회전 부재(171)는 피동 블레이드(172)가 구동 블레이드(162)와 간섭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피동 블레이드(172)는 구동 블레이드(162)와의 마찰이 가능하도록 평평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피동 블레이드(172)의 형상은 일 예로, 직사각형의 판형 구조일 수 있다.
제1 회전 부재(161)의 구동 블레이드(162)는 송풍구(120) 측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동 블레이드(162)가 송풍구(120) 측으로 만곡됨으로써 송풍구(120)를 통해 공급되는 바람의 저항을 직접적으로 전달받게 된다. 이로 인해, 제1 회전 부재(161)는 도면 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즉, 제1 회전 부재(161)의 반경 방향 외측에 소정 간격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구동 블레이드(162)가 바람의 저항으로 인해 제1 회전 부재(16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각각의 구동 블레이드(162)가 대응되어 충격하는 제2 회전 부재(171)의 피동 블레이드(172)를 회전시키게 된다.
구동 블레이드(162)와 피동 블레이드(172) 간의 충격 과정에서 구동 블레이드(162) 및 피동 블레이드(172)의 사이를 통과하는 폐타이어 미립자를 마찰시키게 되고, 폐타이어 미립자에 포함된 섬유는 바람의 양력으로 인해 분진 배출구(111)로 배출되지만, 상대적으로 무거운 철심은 지속적으로 상승하지 못하고 제2 회전 부재(171) 측으로 순간적으로 비산된다.
이때, 제2 회전 부재(171)는 영구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구동 블레이드(162)와 피동 블레이드(172) 간의 마찰 과정에서 비산되는 철심이 영구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제2 회전 부재(171)의 인력에 의해 제2 회전 부재(171)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폐타이어 미립자에 포함된 섬유는 상대적으로 가벼운 무게이므로 분진 배출구(111)를 통하여 본체(100)의 외부로 배출되고, 폐타이어 미립자에 철심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1 회전 부재(161) 및 제2 회전 부재(171)의 사이에서 비산하다가 제2 회전 부재(171)에 부착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무거운 무게를 갖는 재활용 고무는 자중에 의해 제1 유도판(140) 및 제2 유도판(150)의 상면에 연속적으로 충돌하면서 낙하하게 된다.
여기서, 제1 유도판(140) 및 제2 유도판(150)의 상면에 자력 부재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제2 회전 부재(171)에서 걸러지지 않은 철심이 재차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자력 부재는 제1 유도판(140) 및 제2 유도판(150)의 상면에 접착되거나, 코팅될 수 있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유도판(140) 및 제2 유도판(150)의 최하단에는 최종적으로 재활용 고무가 배출되는 양을 조절하기 위한 개폐 부재(18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폐 부재(181)는 본체(100)의 폭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개도만큼 조절될 수 있다.
즉, 개폐 부재(181)는 그 개도를 조절하여 송풍구(120)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의 압력에 대한 부압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타이어 고무 재활용 장치는 폐타이어에 포함된 섬유를 제거함과 동시에 철심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체가 수직으로 배치되고, 그 내부 공간에 송풍구, 제1 유도판 및 제2 유도판이 수직적으로 배치되고, 송풍구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에 의한 양력 및 자중을 이용하므로 단순한 구성으로 섬유 및 고무의 분리의 신뢰도가 증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타이어 고무 재활용 장치를 예시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 의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100: 본체
110: 투입구
111: 분진 배출구
112: 배출관
113: 필터 부재
120: 송풍구
130: 경사 안내판
140: 제1 유도판
150: 제2 유도판
161: 제1 회전 부재
162: 구동 블레이드
171: 제2 회전 부재
172: 피동 블레이드
180: 배출구
181: 개폐 부재
G: 간극

Claims (6)

  1. 내부 공간이 마련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최상단에 형성되고, 폐타이어 미립자가 공급되는 투입구;
    상기 투입구와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 바람을 경사지게 공급하는 송풍구;
    상기 본체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송풍구의 바람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되며, 단부가 상기 본체 내측 벽면과 소정 거리의 간극을 갖도록 형성되는 경사 안내판;
    상기 간극의 하측에 연속적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되는 제1 유도판;
    상기 제1 유도판의 절곡 방향과 평행하게 연속적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2 유도판;
    상기 간극에 위치하여 상기 송풍구로부터 공급되는 바람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동 블레이드를 갖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회전 부재; 및
    상기 제1 회전 부재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구동 블레이드에 의해 연속적으로 충격받아 회전되는 피동 블레이드를 갖는 제2 회전 부재를 포함하는, 폐타이어 고무 재활용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구동 블레이드는 상기 송풍구 측으로 만곡되고, 상기 각각의 피동 블레이드는 상기 구동 블레이드와 마찰이 일어나도록 선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폐타이어 고무 재활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부재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폐타이어 고무 재활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도판 및 제2 유도판은 상기 본체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측 및 타측으로 연속적으로 절곡되는, 폐타이어 고무 재활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도판 또는 제2 유도판의 상면에 형성되는 자력 부재를 포함하는, 폐타이어 고무 재활용 장치.
KR1020200166586A 2020-12-02 2020-12-02 폐타이어 고무 재활용 장치 KR102367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586A KR102367721B1 (ko) 2020-12-02 2020-12-02 폐타이어 고무 재활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586A KR102367721B1 (ko) 2020-12-02 2020-12-02 폐타이어 고무 재활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7721B1 true KR102367721B1 (ko) 2022-02-28

Family

ID=80497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586A KR102367721B1 (ko) 2020-12-02 2020-12-02 폐타이어 고무 재활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77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1626A (ja) * 1993-08-20 1995-02-28 Hitachi Ltd 風力分別方法及び装置
KR101354027B1 (ko) * 2013-07-12 2014-01-24 사람과철 주식회사 폐타이어용 고순도 철심분리 선별장치
KR101798044B1 (ko) * 2017-05-17 2017-11-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회전타격체의 타격 및 낙하 충돌을 이용한 건설폐토석의 이물질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102132932B1 (ko) * 2020-02-11 2020-07-14 (유)대한이앤이 풍력 토사 선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1626A (ja) * 1993-08-20 1995-02-28 Hitachi Ltd 風力分別方法及び装置
KR101354027B1 (ko) * 2013-07-12 2014-01-24 사람과철 주식회사 폐타이어용 고순도 철심분리 선별장치
KR101798044B1 (ko) * 2017-05-17 2017-11-1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회전타격체의 타격 및 낙하 충돌을 이용한 건설폐토석의 이물질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102132932B1 (ko) * 2020-02-11 2020-07-14 (유)대한이앤이 풍력 토사 선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7266B2 (en) Aggregate recycling apparatus having air circulation type foreign substance and fine particle separation means, and method thereof
US5692688A (en) Comminuting screen for hammermills
EP1837088B1 (en) Dry washing device
KR101798044B1 (ko) 회전타격체의 타격 및 낙하 충돌을 이용한 건설폐토석의 이물질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101616633B1 (ko) 건식 모래용 분급기
JP2007301490A (ja) 気流式連続ふるい分け装置
US4077574A (en) Impact pulverizing mill with an attrition chamber and a vertical airflow classification chamber
KR102367721B1 (ko) 폐타이어 고무 재활용 장치
KR100501454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장치
CN116422408A (zh) 一种破碎机除尘装置
KR100801412B1 (ko) 파쇄 분급 장치
CN104399556B (zh) 一种中草药粉状原料生产设备
JP2939712B2 (ja) 空きびん等の分別破砕処理装置
WO2011064930A1 (ja) 磨鉱装置及び再生骨材の生産方法
CN104383980B (zh) 一种中药粉碎筛分装置
CN104258932B (zh) 一种中草药粉末生产设备
KR20150123623A (ko) 순환골재 생산장치
KR100767817B1 (ko) 건설폐기물의 파쇄, 입도개선, 몰탈제거, 선별, 모래생산용드럼벨
CN217431870U (zh) 建筑用的建筑垃圾粉碎装置
US531012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lverizing glass
CN104437754B (zh) 一种药物原料粉碎筛分一体设备
JP4182049B2 (ja) 風力選別装置
KR102295856B1 (ko) 공기 순환형 골재 내 이물질 선별 장치
CN211755444U (zh) 一种粉碎机过滤装置
TWI700126B (zh) 分級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