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2671A - 설치 편리성을 향상시킨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 Google Patents

설치 편리성을 향상시킨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2671A
KR20200082671A KR1020180173496A KR20180173496A KR20200082671A KR 20200082671 A KR20200082671 A KR 20200082671A KR 1020180173496 A KR1020180173496 A KR 1020180173496A KR 20180173496 A KR20180173496 A KR 20180173496A KR 20200082671 A KR20200082671 A KR 202000826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ar
bar
modular body
cross
aggreg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3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9925B1 (ko
Inventor
이민철
Original Assignee
이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철 filed Critical 이민철
Priority to KR1020180173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925B1/ko
Publication of KR202000826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6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6Constructional details of screens in general; Cleaning or heating of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골재를 크기별로 선별하도록 양면으로 관통된 다수개의 선별홀(20H)(10H)을 구비하고 양쪽 측단부에는 연결홈(22)과 연결 지지편(24)이 구비된 모듈러 바디(20)(10); 상기 모듈러 바디(20)(10)의 양쪽 측단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모듈러 바디(20)에 내장된 적어도 두 개의 사이드 보강바아(32); 상기 모듈러 바디(20)의 양쪽 측단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모듈러 바디(20)에 내장되며 양단부는 상기 사이드 보강바아(32)에 연결되며 상기 사이드 보강바아(32)에 연결된 양단부 사이의 영역은 벤딩 가능한 강성 바아로 구성된 적어도 두 개의 크로스 보강바아(3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설치 편리성을 향상시킨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Aggregates screen moduler with increased mounting convenience}
본 발명은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골재 선별이 필요한 현장 설치시에 편리성을 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공사나 터널 공사 등을 위하여 석산을 발파하거나 채석장에서 돌을 채취하기 위하여 석산을 발파하는 공정에서 다량의 잡석이 발생되며, 이러한 잡석은 도로 노면의 보조기층 등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아스팔트포장이나 건축물의 기초공사 등 건설 및 건축분야에서 잡석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도로 노면의 보조 기층 형성이나 건축물 기초 공사 등을 위하여 잡석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남아도는 잡석의 양이 상당하므로, 근래에는 잡석을 파쇄기에 의해 파쇄하고, 이렇게 파쇄된 잡석을 별도의 골재선별장치에 의해 입자별로 크기가 다른 골재로 선별하여 재활용하도록 하고 있다.
골재 선별장치 등에는 골재를 사이즈별로 선별하기 위하여 골재가 지나가는 선별용 스크린이 필요하다. 골재 선별장치 등에 구비되는 골재 선별용 스크린을 골재 투입단에 대략 경사지게 설치하고, 선별용 스크린 위로 골재가 투입되어 지나가도록 함과 동시에 선별용 스크린에 바이브레이션(진동)을 가하여 골재를 선별하게 되어 있다. 즉, 선별용 스크린은 떨리도록 작동시키고 골재는 선별용 스크린 위로 투입되어 지나가도록 함으로써, 소정 입자 사이즈의 골재가 선별용 스크린에 형성된 다수의 선별공을 통과하여 낙하되므로, 골재를 선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골재를 선별하기 위한 선별용 스크린은 골재 투입 개소에 경사지게 설치하고, 이처럼 경사지게 배치된 선별용 스크린에 진동을 가함으로써, 골재는 투입단으로부터 선별용 스크린에 공급하여 경사진 선별용 스크린을 따라 흘러 내려가게 하면서 선별용 스크린에 형성된 다수의 선별용 선별홀을 통해 골재가 빠지는 방식으로 골재를 선별하는 방식을 많이 채용한다.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에는 고무 재질로 구성되어 내부에 보강 프레임이 내장된 것이 있다. 이때, 고무 재질의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는 양쪽 측단부에 암놈 홈 형태의 연결홈과 숫놈 돌편 형태의 연결 지지편이 구비되도록 구성되며, 보강 프레임이 내장된 고무 재질의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를 골재 투입 개소에 경사지게 설치하되 상하 좌우 방향으로 복수개의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를 이어서 설치한다. 복수개의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를 상하 좌우 방향으로 배치하여 연결하여 설치할 때에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설치되는 각각의 개별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는 한쪽 측단부의 연결홈과 연결 지지편은 이웃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의 연결 지지편과 연결홈에 끼워서 결합하게 된다. 세 개의 이웃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를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가운데의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의 한쪽 측단부에 구비된 연결홈에는 한쪽에 인접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의 연결 지지편이 결합되고, 가운데의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의 연결 지지편은 한쪽에 인접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의 연결 지지편 밑으로 들어가서 한쪽에 인접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의 연결홈에 들어가서 연결되는 한편, 가운데의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의 다른 쪽 측단부에 구비된 연결 지지편은 다른 쪽에 인접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의 연결홈에 들어가서 결합되고, 상기 다른 쪽에 인접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의 연결 지지편은 가운데에 있는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의 다른 쪽 측단부에 있는 연결 지지편의 아래로 들어가서 가운데의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의 다른 쪽 측단부에 있는 연결홈에 들어가서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골재 선별이 필요한 곳에 복수개의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연결되어 설치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상하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여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각각의 개별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는 좌우 측단부 사이의 영역이 적당하게 벤딩이 되어야 각각의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들의 연결홈과 연결 지지편들을 끼워주는 방식으로 복수개의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들을 손쉽게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내부에 금속재의 보강 프레임이 들어가 있는 고무재의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는 내부에 있는 금속재의 보강 프레임으로 인하여 좌우 측단부 사이의 영역이 적당하게 벤딩되지 못하기 때문에,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들을 연결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개별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들이 연결홈과 연결 지지편들이 있는 양쪽 측단부 사이의 영역에서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적당히 벤딩되어야 상기와 같이 서로 이웃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들의 연결홈과 연결 지지편들을 끼워넣는 방식으로 쉽게 연결할 수 있지만 기존에는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의 내부에 들어가 있는 금속재의 보강 프레임 때문에 개별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들의 양쪽 측단부 사이의 영역이 벤딩되지 못하므로, 서로 이웃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들의 연결홈과 연결 지지편들을 끼워넣는 방식으로 연결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220036호(2001.04.16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0497499호(2005.07.01 등록) 국내등록특허 제10-1256897호(2013.04.16 등록)
본 발명은 골재들을 선별하기 위하여 주로 진동 스크린장치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취급이 비교적 간편하면서도 현장 설치시 편리성을 기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골재를 크기별로 선별하도록 양면으로 관통된 다수개의 선별홀(10H)을 구비하고 양쪽 측단부에는 연결홈과 연결 지지편이 구비된 모듈러 바디(10); 상기 모듈러 바디(10)의 양쪽 측단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모듈러 바디에 내장된 적어도 두 개의 사이드 보강바아; 상기 모듈러 바디의 양쪽 측단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모듈러 바디에 내장되며 양단부는 상기 사이드 보강바아에 연결되며 상기 사이드 보강바아에 연결된 양단부 사이의 영역은 벤딩 가능한 강성 바아로 구성된 적어도 두 개의 크로스 보강바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편리성을 향상시킨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가 제공된다.
상기 모듈러 바디는 고무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사이드 보강바아는 금속 재질의 바아로 구성되고, 상기 크로스 보강바아는 띠형 금속판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편리성을 향상시킨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상기 모듈러 바디는 상단부와 하단부 및 좌우 양쪽 측단부를 구비한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모듈러 바디의 양쪽 측단부에 상기 연결홈과 연결 지지편이 구비되고, 상기 사이드 보강바아들은 상기 모듈러 바디의 좌우 양쪽 측단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모듈러 바디에 내장되고, 상기 크로스 보강바아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상기 모듈러 바디의 상단부와 하단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크로스 보강바아의 양단부가 상기 사이드 보강바아들에 연결되고, 상기 크로스 보강바아의 양면은 상기 모듈러 바디의 상면과 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크로스 보강바아의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폭은 상기 크로스 보강바아의 양면 사이의 폭에 비하여 더 큰 띠형 금속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로스 보강바아는 단면 직사각 바아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로스 보강바아에는 양면으로 연통된 복수개의 구멍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이드 보강바아는 양단부에서 가운데 쪽으로 연장된 바아 결합슬릿이 구비되어, 상기 크로스 보강바아의 양단부측이 상기 바아 결합슬릿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바아 결합슬릿에 끼워진 크로스 보강바아는 용접에 의해 상기 사이드 보강바아에 접합될 수 있다.
상기 크로스 보강바아에는 연결 브라켓편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 브라켓편이 상기 사이드 보강바아에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거나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골재 선별 모듈러는 복수개로 이어져서 설치하고자 할 때에 모듈러 바디를 적당하게 벤딩시켜서 이웃한 모듈러 바디에 연결홈과 연결 지지편 부분을 손쉽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현장 설치시 매우 간편하면서도 설치 작업시 시간이 많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현장 설치 작업시 매우 편리하면서도 설치시에는 시간 소요가 줄어든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의미가 크다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에 내장되는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에 프레임이 내장된 상태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에 프레임의 주요부인 크로스 보강바아가 내장된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를 측단부끼리 인접되도록 설치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를 설치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과 도 12는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를 측단부끼리 인접되도록 설치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크로스 보강바아를 사이드 보강바아에 결합하는 구조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크로스 보강바아를 사이드 보강바아에 결합하는 구조의 또 다른 변형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골재 선별용 스크린 모듈러는 진동장치에 장착되어 진도엥 의해 골재를 선별하는 것으로, 골재를 크기별로 선별하도록 양면으로 관통된 다수개의 선별홀(20H)(10H)을 구비하고 양쪽 측단부에는 연결홈(22)과 연결 지지편(24)이 구비된 모듈러 바디(20)(10)와, 상기 모듈러 바디(20)에 내장된 적어도 두 개의 사이드 보강바아(32)와, 상기 모듈러 바디(20)의 양쪽 측단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모듈러 바디(20)에 내장되고 양단부는 사이드 보강바아(32)들에 연결된 적어도 두 개 이상의 크로스 보강바아(34)를 구비한다.
상기 모듈러 바디(20)는 고무 재질로 구성된다. 모듈러 바디(20)는 상단부와 하단부 및 좌우 양쪽 측단부를 구비한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모듈러 바디(20)의 양쪽 측단부에는 연결홈(22)과 연결 지지편(24)이 구비된다. 연결홈(22)과 연결 지지편(24)이 모듈러 바디(20)의 양쪽 측단부에 하나씩 구비된다. 이때, 상기 모듈러 바디(20)의 한쪽 측단부의 연결홈(22)과 연결 지지편(24)은 다른 쪽 측단부의 연결홈(22)과 연결 지지편(24)과 어긋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모듈러 바디(2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를 정면으로 놓고 볼 때에 한쪽 측단부의 연결홈(22)과 연결 지지편(24)은 다른 쪽 측단부의 연결홈(22)과 연결 지지편(24)과 상하로 엇갈린 위치에 배치된다. 모듈러 바디(2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를 정면으로 놓고 본 상태에서 모듈러 바디(20)의 한쪽 측단부의 연결홈(22)은 모듈러 바디(20)의 다른 쪽 측단부의 연결 지지편(24)과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모듈러 바디(20)의 한쪽 측단부의 연결 지지편(24)은 모듈러 바디(20)의 다른 쪽 측단부의 연결홈(22)과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 모듈러 바디(2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를 정면으로 놓고 본 상태에서 모듈러 바디(20)의 한쪽 측단부의 위쪽에 연결홈(22)이 배치되고 아래쪽에 연결 지지편(24)이 배치되는 경우라면, 상기 모듈러 바디(20)의 다른 쪽 측단부의 위쪽에 연결 지지편(24)이 배치되고 아래쪽에 연결홈(22)이 배치된다.
상기 사이드 보강바아(32)는 금속 재질의 바아로 구성된다. 사이드 보강바아(32)는 예를 들어 단면 사각형의 금속 재질의 바아로 구성된다.
상기 크로스 보강바아(34)는 띠형 금속판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크로스 보강바아(34)는 모듈러 바디(20)의 양쪽 측단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모듈러 바디(20)에 내장된다. 크로스 보강바아(34)의 양단부는 상기 사이드 보강바아(32)에 연결된다. 상기 크로스 보강바아(34)는 사이드 보강바아(32)에 연결된 양단부 사이의 영역은 벤딩 가능한 강성 바아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이드 보강바아(32)가 두 개가 나란하게 배치되고, 두 개의 크로스 보강바아(34)의 양단부가 두 개의 사이드 보강바아(32)들에 연결되어, 사이드 보강바아(32)들과 크로스 보강바아(34)들이 사각틀 형상으로 구성된다. 사각틀 형상을 이루는 두 개의 사이드 보강바아(32)와 두 개의 크로스 보강바아(34)가 고무 재질의 모듈러 바디(20)에 내장된다. 상기 모듈러 바디(20)(10)의 양쪽 측단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적어도 두 개의 사이드 보강바아(32)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모듈러 바디(20)에 적어도 두 개의 사이드 보강바아(32)가 내장된다.
상기 사이드 보강바아(32)들은 모듈러 바디(20)의 좌우 양쪽 측단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모듈러 바디(20)에 내장된다. 사이드 보강바아(32)들은 모듈러 바디(20)의 좌우 양쪽 측단부에 구비된 연결홈(22)과 연결 지지편(24)들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크로스 보강바아(34)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모듈러 바디(20)의 상단부와 하단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크로스 보강바아(34)의 양단부가 사이드 보강바아(32)들에 연결된다. 상기 크로스 보강바아(34)는 모듈러 바디(20)의 상단부와 하단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적어도 두 개의 크로스 보강바아(34)가 상기 사이드 보강바아(32)들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크로스 보강바아(34)의 양면은 모듈러 바디(20)의 상면과 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크로스 보강바아(34)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폭은 상기 크로스 보강바아(34)의 양면 사이의 폭에 비하여 더 큰 띠형 금속판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크로스 보강바아(34)가 사이드 보강바아(32)에 연결된 양단부 사이의 영역은 벤딩 가능한 강성 바아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크로스 보강바아(34)는 단면 직사각 바아 형상으로 구성된다. 크로스 보강바아(34)가 모듈러 바디(20)에 내장된 상태에서 모듈러 바디(20)를 측단면이나 상하측 단면으로 볼 때에 크로스 보강바아(34)가 단면 직시각 바아 형상으로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크로스 보강바아(34)가 강성 띠형상 금속판 구조라는 것은 크로스 보강바아(34)의 양단부 사이를 벤딩시켰다가 벤딩시키는 힘을 해제하면 크로스 보강바아(34)가 원래의 상태로 펼쳐질 수 있는 강성을 가진 띠형상의 금속판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크로스 보강바아(34)에서 모듈러 바디(20)의 상면과 저면에 나란한 양면(즉, 상면과 저면) 사이의 폭은 크로스 보강바아(34)에서 모듈러 바디(20)의 상단부와 하단부와 나란한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폭에 비하여 더 얇아서 상기 모듈러 바디(20)의 양쪽 측단부 사이의 영역이 벤딩되는 힘(구부러지려는 힘)이 작용할 때에 크로스 보강바아(34)의 양단부 사이의 영역이 같이 벤딩될 수 있어서 상기 모듈러 바디(20)의 양쪽 측단부 사이의 영역도 크로스 보강바아(34)와 함께 벤딩될 수 있다. 상기 모듈러 바디(2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를 정면으로 본 상태에서 모듈러 바디(20)의 양쪽 측단부 사이의 영역에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벤딩시키려는 힘이 작용하면 상기 크로스 보강바아(34)가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벤딩되면서 상기 모듈러 바디(20)도 양쪽 측단부 사이의 영역이 크로스 보강바아(34)와 함께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벤딩될 수 있게 된다. 모듈러 바디(20)의 양쪽 측단부 사이를 폭방향이라 하고 모듈러 바디(20)의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를 길이 방향이라 하면, 상기 모듈러 바디(20)의 폭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벤딩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를 상하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여 설치한다.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각각의 개별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의 한쪽 측단부의 연결홈(22)과 연결 지지편(24)은 이웃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의 연결 지지편(24)과 연결홈(22)에 끼워서 결합하게 된다. 세 개의 이웃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를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가운데의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의 한쪽 측단부에 구비된 연결홈(22)에는 한쪽에 인접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의 연결 지지편(24)이 결합되고, 가운데의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의 연결 지지편(24)은 한쪽에 인접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의 연결 지지편(24) 밑으로 들어가서 한쪽에 인접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의 연결홈(22)에 들어가서 연결되는 한편, 가운데의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의 다른 쪽 측단부에 구비된 연결 지지편(24)은 다른 쪽에 인접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의 연결홈(22)에 들어가서 결합되고, 상기 다른 쪽에 인접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의 연결 지지편(24)은 가운데에 있는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의 다른 쪽 측단부에 있는 연결 지지편(24)의 아래로 들어가서 가운데의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의 다른 쪽 측단부에 있는 연결홈(22)에 들어가서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골재 선별이 필요한 곳에 복수개의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연결되어 설치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모듈러 바디(20)에서 연결홈(22)과 연결 지지편(24)이 있는 좌우 양쪽 측단부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얇은 금속판 형태의 크로스 보강바아(34)가 내장되어 있어서 모듈러 바디(20)의 좌우 양쪽 측단부 사이의 영역을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벤딩시키려는 힘을 작용시키면, 상기 모듈러 바디(20)는 고무 재질이어서 자체로 벤딩될 수 있는 성질이 있고 상기 크로스 보강바아(34)는 모듈러 바디(20)의 상하면 방향으로 얇은 금속판 형태로 배치되어 있어서 크로스 보강바아(34)가 모듈러 바디(20)를 양쪽 측단부 사이의 영역에서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벤딩시키는 힘이 작용할 때에 크로스 보강바아(34)도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벤딩되면서 모듈러 바디(20)의 좌우 양쪽 측단부 사이의 영역이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벤딩될 수 있으므로, 모듈러 바디(20)의 한쪽 측단부의 연결홈(22)과 연결 지지편(24)을 한쪽에 이웃한 모듈러 바디(20)의 연결 지지편(24)과 연결홈(22)에 끼워서 결합하고 모듈러 바디(20)의 다른 쪽 측단부의 연결 지지편(24)과 연결홈(22)은 다른 쪽에 이웃한 모듈러 바디(20)의 연결홈(22)과 연결 지지편(24)에 삽입하여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를 측단부끼리 인접되도록 설치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종단면도로서, 예를 들어, 세 개의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에서 서로 이웃한 골재 선별 모듈러의 결합홈과 결합 지지편을 끼워맞출 때에 가운데의 스크린 모듈러의 크로스 보강바아(34)가 벤딩된 상태를 보여준다.
한편,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는 모듈러 바디(20)의 양쪽 측단부에 구비된 연결홈(22)과 연결 지지편(24)이 모듈러 바디(20)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서 볼 때에 옆으로 동일 선상에 배치되고 연결홈(22)은 위쪽에 배치되고 연결 지지편(24)은 아래쪽에 배치된 A형 스크린 모듈러와 상기 연결 지지편(24)이 위쪽에 배치되고 연결홈(22)이 아래쪽에 배치된 B형 스크린 모듈러가 있는데, 본 발명의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가 A형 스크린 모듈러와 B형 스크린 모듈러로 제작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A형 스크린 모듈러와 B형 스크린 모듈러를 좌우 옆쪽으로 나란하게 설치할 때에 A형 스크린 모듈러 또는 B형 스크린 모듈러의 모듈러 바디(20)에 내장된 상기 크로스 보강바아(34)와 모듈러 바디(20)를 함께 벤딩시킨 상태에서 이웃한 A형 스크린 모듈러와 B형 스크린 모듈러의 연결 결합편과 연결홈(22)을 맞추어서 끼울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골재 선별 모듈러는 복수개로 이어져서 설치하고자 할 때에 모듈러 바디(20)를 적당하게 벤딩시켜서 이웃한 모듈러 바디(20)에 연결홈(22)과 연결 지지편(24) 부분을 손쉽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현장 설치시 매우 간편하면서도 설치 작업시 시간이 많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복수개의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를 상하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여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각각의 개별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에서 모듈러 바디(20)의 좌우 측단부 사이의 영역이 적당하게 벤딩이 되어야 각각의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들의 연결홈(22)과 연결 지지편(24)들을 끼워주는 방식으로 복수개의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들을 손쉽게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되는데, 본 발명은 이처럼 모듈러 바디(20) 부분을 적당히 벤딩시켜 줄 수 있으므로, 복수개의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들을 손쉽게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주요부인 고무재질의 모듈러 바디(20)에 적당한 힘에 의해 벤딩이 가능하면서도 휘어주는 힘이 해제되면 원래 상태로 복귀하는 강성 금속판 형태의 크로스 보강바아(34)가 내장되어 있어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들의 양쪽 측단부 사이의 영역, 다시 말해서 모듈러 바디(20)의 양쪽 측단부 사이의 영역이 필요한 정도로 적당히 벤딩되기 때문에, 서로 이웃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들의 연결홈(22)과 연결 지지편(24)들을 끼워넣는 방식으로 연결하는데 있어서 어려움을 해소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주요부인 모듈러 바디(20)를 고무재질로 이루어져서 기본적으로 무게가 가벼우므로 현장 설치 작업시 보다 편리하다. 비교적 가벼운 본 발명의 스크린 모듈러를 현장에 설치하게 되므로, 현장에서 작업자들이 느끼는 편리성이 매우 높다.
또한, 본 발명에서 크로스 보강바아(34)에는 양면으로 연통된 복수개의 구멍(34H)이 구비된다. 상기 사이드 보강바아(32)와 크로스 보강바아(34)는 고무재질의 모듈러 바디(20)에 내장되는데, 성형 금형에 사이드 보강바아(32)와 크로스 보강바아(34)가 재치된 상태에서 액상의 모듈러 바디(20) 성형 고무액을 성형 금형에 주입할 때에 상기 크로스 보강바아(34)의 복수개의 구멍(34H)들로 성형 고무액이 채워져서 성형 고무액이 경화된 다음에는 크로스 보강바아(34)의 구멍(34H)들에 채워진 지지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핀부가 모듈러 바디(20)의 내부에 연결된 구조가 된다.
따라서, 상기 크로스 보강바아(34)가 복수개의 구멍(34H)에 채워진 복수개의 지지핀부에 의해 모듈러 바디(20)에 보다 견고하게 내장되어 있게 되며, 복수개의 구멍(34H)들에 채워져서 모듈러 바디(20)에 일체형으로 연결된 복수개의 지지핀부에 의해 모듈러 바디(20) 내부에서 크로스 보강바아(34)가 박리되는 경우를 방지하므로, 크로스 보강바아(34)가 모듈러 바디(20)를 지지하는 강도가 약해지는 경우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또한, 크로스 보강바아(34)의 각 구멍(34H)들에 모듈러 바디(20)의 성형을 위한 액상의 고무 재료가 채워지면서 모듈러 바디(20)에 크로스 보강바아(34)가 내장되므로, 성형 금형에 크로스 보강바아(34)를 투입한 상태에서 액상의 고무 재료를 주입하여 모듈러 바디(20)를 성형할 때에 크로스 보강바아(34)가 위치가 틀어지지 않고 제위를 그대로 잡고 있으므로, 모듈러 바디(20)의 성형 작업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사이드 보강바아(32)는 양단부에서 가운데 쪽으로 연장된 바아 결합슬릿이 구비되어, 상기 크로스 보강바아(34)의 양단부측이 상기 바아 결합슬릿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성형 금형에 사이드 보강바아(32)와 크로스 보강바아(34)를 투입하여 액상의 고무 재료를 주입하여 모듈러 바디(20)를 성형할 때에 크로스 보강바아(34)가 사이드 보강바아(32)에 배치된 위치가 틀어지지 않고 정확하게 모듈러 바디(20)를 성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사이드 보강바아(32)의 상기 바아 결합슬릿에 끼워진 크로스 보강바아(34)는 용접에 의해 사이드 보강바아(32)에 접합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사이드 보강바아(32)와 크로스 보강바아(34)를 용접으로 접합하는 과정에서 크로스 보강바아(34)의 위치가 사이드 보강바아(32)에서 틀어지는 경우가 방지되어 크로스 보강바아(34)와 사이드 보강바아(32) 사이를 보다 손쉽게 접합이 가능하고 접합 작업시에 위치의 틀어짐으로 인한 접합 작업 시간의 낭비를 방지한다.
한편, 상기 크로스 보강바아(34)에는 연결 브라켓편이 구비되어, 상기 연결 브라켓편이 사이드 보강바아(32)에 체결구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크로스 보강바아(34)를 체결구를 풀어서 사이드 보강바아(32)에서 분리할 수 있으므로 크로스 보강바아(34)와 사이드 보강바아(32)의 조립 작업이 보다 편리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0. 모듈러 바디 20H. 선별홀
22. 연결홈 24. 연결 지지편
32. 사이드 보강바아 34. 크로스 보강바아
34H. 구멍

Claims (4)

  1. 골재를 크기별로 선별하도록 양면으로 관통된 다수개의 선별홀(20H)(10H)을 구비하고 양쪽 측단부에는 연결홈(22)과 연결 지지편(24)이 구비된 모듈러 바디(20)(10);
    상기 모듈러 바디(20)(10)의 양쪽 측단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모듈러 바디(20)에 내장된 적어도 두 개의 사이드 보강바아(32);
    상기 모듈러 바디(20)의 양쪽 측단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모듈러 바디(20)에 내장되며 양단부는 상기 사이드 보강바아(32)에 연결되며 상기 사이드 보강바아(32)에 연결된 양단부 사이의 영역은 벤딩 가능한 강성 바아로 구성된 적어도 두 개의 크로스 보강바아(3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편리성을 향상시킨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바디(20)는 고무 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사이드 보강바아(32)는 금속 재질의 바아로 구성되고, 상기 크로스 보강바아(34)는 띠형 금속판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편리성을 향상시킨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러 바디(20)는 상단부와 하단부 및 좌우 양쪽 측단부를 구비한 사각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모듈러 바디(20)의 양쪽 측단부에 상기 연결홈(22)과 연결 지지편(24)이 구비되고, 상기 사이드 보강바아(32)들은 상기 모듈러 바디(20)의 좌우 양쪽 측단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모듈러 바디(20)에 내장되고, 상기 크로스 보강바아(34)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상기 모듈러 바디(20)의 상단부와 하단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크로스 보강바아(34)의 양단부가 상기 사이드 보강바아(32)들에 연결되고, 상기 크로스 보강바아(34)의 양면은 상기 모듈러 바디(20)의 상면과 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크로스 보강바아(34)의 상기 상단부와 하단부 사이의 폭은 상기 크로스 보강바아(34)의 양면 사이의 폭에 비하여 더 큰 띠형 금속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편리성을 향상시킨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보강바아(34)는 단면 직사각 바아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치 편리성을 향상시킨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KR1020180173496A 2018-12-31 2018-12-31 설치 편리성을 향상시킨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KR102189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496A KR102189925B1 (ko) 2018-12-31 2018-12-31 설치 편리성을 향상시킨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3496A KR102189925B1 (ko) 2018-12-31 2018-12-31 설치 편리성을 향상시킨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671A true KR20200082671A (ko) 2020-07-08
KR102189925B1 KR102189925B1 (ko) 2020-12-11

Family

ID=71600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3496A KR102189925B1 (ko) 2018-12-31 2018-12-31 설치 편리성을 향상시킨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9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2288B1 (ko) * 2022-01-21 2022-08-12 주식회사 대신폴리텍 내열용 선별망, 내열용 선별망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036Y1 (ko) 2000-11-06 2001-04-16 주식회사협진산업 진동식 스크린
KR100497499B1 (ko) 2002-10-01 2005-07-01 안두혁 골재 선별용 스크린 철망
US20090071879A1 (en) * 2006-06-30 2009-03-19 Helmy Nashat N Sifting screen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1256897B1 (ko) 2011-06-30 2013-04-22 이민석 골재 선별용 러버 스크린 모듈 제조방법
KR101426327B1 (ko) * 2014-01-06 2014-08-05 주식회사 크리벨류스 조립식 벽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0036Y1 (ko) 2000-11-06 2001-04-16 주식회사협진산업 진동식 스크린
KR100497499B1 (ko) 2002-10-01 2005-07-01 안두혁 골재 선별용 스크린 철망
US20090071879A1 (en) * 2006-06-30 2009-03-19 Helmy Nashat N Sifting screen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1256897B1 (ko) 2011-06-30 2013-04-22 이민석 골재 선별용 러버 스크린 모듈 제조방법
KR101426327B1 (ko) * 2014-01-06 2014-08-05 주식회사 크리벨류스 조립식 벽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2288B1 (ko) * 2022-01-21 2022-08-12 주식회사 대신폴리텍 내열용 선별망, 내열용 선별망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925B1 (ko) 202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1520B1 (ko) 금형틀에 의한 전면에 자연석재판이 장착된 패널의 제조방법
KR20200082671A (ko) 설치 편리성을 향상시킨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KR102072043B1 (ko)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구조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95084B1 (ko) 주주용 베이스
KR200474402Y1 (ko) 거푸집 프레임 연결 및 지지장치
KR20160016472A (ko) 장식판재가 장착되는 옹벽블록
KR20200082679A (ko) 벤딩 서포트 구조를 구비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KR100799848B1 (ko) 결합구조를 보강한 현장 타설형 팽이파일
KR102178753B1 (ko) 벤딩 서포트부재가 내장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KR101197924B1 (ko) 장식판재가 장착된 패널
KR100870861B1 (ko) 강관 파일의 콘크리트 속채움식 두부 보강 장치
KR101435004B1 (ko) 데크 플레이트용 스페이서
KR102127192B1 (ko) 하중 저항력이 강화된 부벽형 옹벽 및 이의 제작방법
KR200434425Y1 (ko) 사면보강 조립식 거푸집
CN102962885A (zh) 一种混凝土模板固定装置
KR101164989B1 (ko) 지반 보강 구조물 조립체 및 그 시공 방법
KR102178743B1 (ko) 인장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어셈블리
JP4038803B2 (ja) 張り出し歩道の構造体
KR20130047096A (ko) 건설용 다용도 거푸집조립체
KR100642149B1 (ko) 광석 선별용 스크린
KR100772045B1 (ko) 개비온 클램프
KR101832715B1 (ko) 옹벽패널 제조방법
KR100940866B1 (ko) 보도블록
KR20190060099A (ko) 측면 보강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어셈블리
KR102421179B1 (ko)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