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327B1 - 조립식 벽돌 - Google Patents
조립식 벽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6327B1 KR101426327B1 KR1020140001172A KR20140001172A KR101426327B1 KR 101426327 B1 KR101426327 B1 KR 101426327B1 KR 1020140001172 A KR1020140001172 A KR 1020140001172A KR 20140001172 A KR20140001172 A KR 20140001172A KR 101426327 B1 KR101426327 B1 KR 1014263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ngaging
- coupling
- bricks
- assembled
- groo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12—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a general shape differing from that of a parallelepip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4—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 E04B2/06—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 E04B2/08—Walls having neither cavities between, nor in, the solid elements using elements having specially-designed means for stabilising the position by interlocking of projections or inserts with indentations, e.g. of tongues, grooves, dovetai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06—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of rectangular shap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1—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of triangular shap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13—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of round shap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15—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separate protrusions
- E04B2002/0217—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separate protrusions of prismatic shap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15—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separate protrusions
- E04B2002/0221—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separate protrusions of conical shap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26—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s and grooves next to each other on the end surfac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04—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B2002/023—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rabbets, e.g. stepp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56—Special feature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65—Building elements for making arcuate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돌은 두께를 가진 판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상단면과 하단면 사이의 일측면인 제1결합면에 상기 상단면에서 하단면으로 향하는 몸체의 길이 방향인 제1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제1결합홈과 제1결합돌기가 형성된 제1결합부, 및 상호 조립되는 다른 벽돌의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타측면인 제2결합면에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제2결합돌기와 제2결합홈이 형성된 제2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2결합홈은 입구부에서 최대폭을 가지도록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이고, 상기 제1,2결합돌기는 목부에서 최대폭을 가지도록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이며, 상기 제1결합홈과 제1결합돌기의 사이와 제2결합돌기와 제2결합홈의 사이에는 각각 상호 조립되는 벽돌이 상기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립식 벽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벽돌의 양측 결합면에 형성된 결합홈과 결합돌기에 의하여 동일 평면상에서 횡방향으로 조립이 가능하면서도 조립이 완료된 이후에는 수평방향으로의 탈거를 방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곡선 형태로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벽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축조 단계에 있어서 벽돌을 시공하는 경우 서로 인접하는 벽돌의 접합면 사이에 시멘트 또는 모르타르와 같은 접합용 충전재를 사용하여 조적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공 과정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조적 단계에서 충전재의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은 벽돌들이 부주의에 의하여 붕괴될 경우 안전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벽돌들의 경우 조적된 벽돌들의 수직과 수평의 줄을 맞추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숙련공의 노하우가 반드시 필요하고, 이러한 전문적인 숙련공에 의하여 조적 작업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수직과 수평의 줄이 맞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벽돌의 형상을 서로 끼움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조적 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립식 벽돌이 개발되었는데, 이러한 조립식 벽돌에 대해서는 하기 [문헌 1] 등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경우 단순히 결합면에 요철구조를 형성한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조적 단계에서 약간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결합된 벽돌들이 수평 방향으로 쉽게 탈거됨으로써 조립식 벽돌의 장점을 제대로 살리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하기 [문헌 1]과 같이 요철구조를 결합홈의 입구가 결합돌기의 폭보다 좁게 구성하여 조적 단계에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결합된 벽돌이 수평방향으로 탈거되지 않도록 구성한 조립식 벽돌이 개발되었으나, 이 경우에도 결합홈과 결합돌기의 결합을 위해서는 반드시 결합되는 벽돌이 피결합 벽돌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결합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표면이 거친 벽돌의 특성상 결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은 벽돌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더욱 가중된다.
또한, 하기 [문헌 1]과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경우 결합홈과 결합돌기의 구조상 오로지 직선으로만 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곡선 형상으로 조적이 이루어져야 할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2002-0088724호(2002. 11. 29. 공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벽돌의 양측 결합면에 형성된 결합홈과 결합돌기에 의하여 동일 평면상에서 횡방향으로 조립이 가능하면서도 조립이 완료된 이후에는 외력에 의하여 상호 조립된 벽돌이 양측 결합면 방향인 수평방향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벽돌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형성하는 결합면이 경사면을 이루도록 구성함으로써 조립이 완료된 이후에는 외력에 의하여 상호 조립된 벽돌이 몸체의 두께 방향으로도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립식 벽돌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결합면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필요에 따라서는 결합된 벽돌들의 탈거를 방지하면서도 곡면 형상의 조적이 가능한 조립식 벽돌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돌은 두께를 가진 판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상단면과 하단면 사이의 일측면인 제1결합면에 상기 상단면에서 하단면으로 향하는 몸체의 길이 방향인 제1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제1결합홈과 제1결합돌기가 형성된 제1결합부, 및 상호 조립되는 다른 벽돌의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타측면인 제2결합면에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제2결합돌기와 제2결합홈이 형성된 제2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2결합홈은 입구부에서 최대폭을 가지도록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이고, 상기 제1,2결합돌기는 목부에서 최대폭을 가지도록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이며, 상기 제1결합홈과 제1결합돌기의 사이와 제2결합돌기와 제2결합홈의 사이에는 각각 상호 조립되는 벽돌이 상기 제1결합면에서 제2결합면으로 향하는 방향인 제2방향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걸림부는, 벽돌을 조립하는 경우 상호 조립되는 벽돌의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형성하는 결합면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점대칭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결합홈과 제1,2결합돌기는 각각 단부가 원호 형상이고, 상기 제1결합홈과 제1결합돌기의 원호 중심점을 연결한 중심선과 상기 제2결합돌기와 제2결합홈의 원호 중심점을 연결한 중심선은 각각 상기 제1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는, 제1결합홈과 제1결합돌기가 연속적으로 이어진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호 조립되는 다른 벽돌의 제2결합부와 결합될 경우 상기 제1,2결합면의 중도에 S자형 결합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결합면에는 복수의 벽돌을 곡선 형태로 조립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제1결합부 또는 제2결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의 사이에 몸체의 내측 방향으로 깍여진 경사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결합면과 제2결합면에는 각각 상호 조립되는 벽돌이 상기 몸체의 두께 방향인 제3방향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걸림부는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형성하는 결합면이 상기 제3방향을 따라 경사면을 이루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걸림부는 제1,2결합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2결합부의 결합에 의하여 벽돌이 상호 조립되는 경우 상기 제2방향으로 서로 끼움결합되는 홈과 돌기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돌은 몸체의 양측면인 제1,2결합면에 형성된 제1,2결합부가 결합홈의 입구부와 결합돌기의 목부에서 최대폭을 가지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벽돌들의 조립이 동일 평면상에서 횡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들 결합홈과 결합돌기 사이에 형성된 걸림부 구조로 인하여 조립이 완료된 벽돌들이 외력에 의하여 벽돌의 양쪽 측면 방향인 수평방향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립식 벽돌과 대비할 때 조적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동력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돌은 제1,2결합면에 몸체의 두께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걸림부를 더 구성함으로써 상기 조립이 완료된 벽돌들이 외력에 의하여 몸체의 양쪽 측면 방향뿐만 아니라 몸체의 두께 방향으로도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돌은 결합면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조립된 벽돌들이 수평방향으로의 탈거가 방지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면 방향으로 결합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곡선 형태의 조적 작업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2와 도3은 각각 도1에 도시한 벽돌의 조립 방식 및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
도6a 내지 도6d는 각각 도5에 도시한 벽돌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형상 및 조립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8a와 도8b는 각각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와 평면도,
도9a와 도9b는 각각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와 평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12a 내지 도12c는 각각 도11에 도시한 벽돌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2와 도3은 각각 도1에 도시한 벽돌의 조립 방식 및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
도6a 내지 도6d는 각각 도5에 도시한 벽돌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형상 및 조립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8a와 도8b는 각각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와 평면도,
도9a와 도9b는 각각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와 평면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12a 내지 도12c는 각각 도11에 도시한 벽돌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
제1실시예
)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2와 도3은 각각 도1에 도시한 벽돌의 조립 방식 및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다른 변형예에 따른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은 건축물의 축조, 보도나 놀이터의 바닥재, 실내외 마감재 또는 장식재, 조립식 완구 등에 사용되는 벽돌(또는 블럭) 제품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진흙, 합성수지, 고무 또는 나무 등의 재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설명 중 제1방향, 제2방향, 제3방향 등의 방향성에 관한 정의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도면,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모두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은 몸체(1), 상기 몸체(1)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결합부(10), 및 상기 몸체(1)의 일측면과 대향하는 타측면에 형성되어 상호 조립되는 다른 벽돌의 상기 제1결합부(10)에 결합되는 제2결합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몸체(1)는 두께를 가진 패널 또는 판 형상의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어 전면(2)과 배면(미도시) 사이에서 상하 측면에 각각 상단면(3)과 하단면(4)을 구비하고, 상기 상단면(3)과 하단면(4) 사이에서 좌우 양측면에 각각 서로 대향하는 제1결합면(5)과 제2결합면(6)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상에서 몸체(1)의 우측 측면을 제1결합면(5)으로 구성하고, 이와 대향하는 몸체(1)의 좌측 측면을 제2결합면(6)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10)는 상기 몸체(1)의 상단면(3)에서 하단면(4)으로 향하는 몸체의 길이 방향인 제1방향(즉, 도2에서 몸체의 상단면에 수직한 상하 방향으로서 도1의 방향 표시상 x방향)을 따라 상기 제1결합면(5)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제1결합홈(11)과 제1결합돌기(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20)는 상호 조립되는 다른 벽돌의 상기 제1결합부(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타측면인 제2결합면(6)에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된 제2결합돌기(22)와 제2결합홈(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2결합홈(11,21)은 각각 상기 제1,2결합면(5,6)에 형성되는 입구부에서 최대폭을 가지도록 상기 제1,2결합면(5,6)에서 몸체(1)의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파여진 형상이고, 상기 제1,2결합돌기(12,22)는 각각 상기 제1,2결합면(5,6)에 형성되는 목부에서 최대폭을 가지도록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일예로서 상기 제1,2결합홈(11,21)과 제1,2결합돌기(12,22) 각각의 단부 형상을 도2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호 형상으로 구성하였으며, 상기 제1결합홈(11)과 제1결합돌기(12)의 원호 중심점을 연결한 중심선과 상기 제2결합돌기(22)와 제2결합홈(21)의 원호 중심점을 연결한 중심선은 각각 상기 제1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본 실시예의 경우 반시계 방향으로 20°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제1결합부(10)와 제2결합부(20)는 각각 결합홈(11,21)과 결합돌기(12,22)가 연속적으로 이어진 형상으로 구성되어 다른 벽돌과 상호 조립될 경우 서로 접하는 상기 제1,2결합면(5,6)의 중도에 S자형 결합면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결합부(10)와 제2결합부(20)에는 각각 제1결합홈(11)과 제1결합돌기(12)의 사이와, 제2결합돌기(22)와 제2결합홈(21)의 사이에 원호 형상의 걸림부(13,23)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13,23)는 벽돌을 조립하는 경우 상호 조립되는 벽돌의 제1결합부(10)와 제2결합부(20)가 형성하는 S자형 결합면의 중심점(P)을 기준으로 점대칭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걸림부(13,23)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호 조립되는 벽돌이 상기 제1방향에 수직인 제2방향(즉, 도2에서 몸체의 좌우 수평방향 또는 제1결합면에서 제2결합면 방향으로서 도1의 방향 표시상 y방향)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돌은 결합홈(11,21)과 결합돌기(12,22)가 각각 입구부와 목부에서 최대폭을 가지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벽돌 조립시 상호 조립되는 벽돌의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동일 평면상에서 횡방향으로 조립이 가능하여 수직 방향으로 끼워 맞춤하는 종래 기술과 대비할 때 벽돌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동력을 현저히 저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돌은 조립시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호 조립되는 벽돌이 양측 결합면(5,6)에 각각 형성된 결합홈(11,21)과 결합돌기(12,22)에 의하여 동일 평면상에서 횡방향으로 손쉽게 조립이 가능하면서도 조립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술한 걸림부(13,23)의 구성에 의하여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수평 방향(즉, 본 실시예의 경우 제2방향)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조립 방법 및 조립 상태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호 조립되는 2개의 벽돌(1a,1b)은 각각 제1결합면(5)과 제2결합면(6)이 서로 대향하는 상태에서 제1결합홈(11)과 제2결합돌기(22), 그리고 제2결합홈(21)과 제1결합돌기(12)가 서로 결합하게 되는데,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홈(11,21)의 입구부와 결합돌기(12,22)의 목부에서 최대폭을 가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2개의 벽돌(1a,1b)는 동일 평면상에서 횡방향으로 조립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2개의 벽돌(1a,1b)은 제1결합부(10)와 제2결합부(20)가 제1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본 실시예의 경우 반시계 방향으로 20°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서로 대응되는 결합홈(11,21)과 결합돌기(12,22)는 도2의 중심선(C)을 따라 동일 평면상에서 횡방향(즉, 도면의 화살표 방향)으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며, 동일한 방식에 의하여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벽돌(1a 내지 1d)이 직선 형태로 연속적으로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면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벽돌(1c,1d)은 좌측 제1벽돌(1c)의 제1결합홈(11)에 결합된 우측 제2벽돌(1d)의 제2결합돌기(22)의 저부(즉, 제1방향으로의 최저점)와, 제2벽돌(1d)의 제2결합홈(22)에 결합된 제1벽돌(1c)의 제1결합돌기(12)의 상부(즉, 제1방향으로의 최고점)는 걸림부(13,23)의 구성에 의하여 "d" 만큼의 높이 단차를 가지게 되기 때문에 상기 상호 조립된 2개의 벽돌(1c,1d)은 외력(제2방향의 외력 또는 몸체의 전면 방향(도1의 방향 표시상 z방향)으로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수평 방향인 제2방향(도면상에서는 벽돌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과 평행한 방향으로서 도1의 방향 표시상 y방향)으로 조립된 벽돌이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결합홈(11,21)과 결합돌기(12,22)가 각각 원호 형상의 단부가 연속적으로 이어진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 내에서는 도4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홈과 결합돌기의 단부 형상이 삼각형 또는 사각형으로 다양하게 구성되거나 도4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홈과 결합돌기의 단부가 연속적으로 이어지지 않은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제1결합부(10)와 제2결합부(20)가 각각 결합홈과 결합돌기로 이루어진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 내에서는 상기 제1결합부(10)와 제2결합부(20)는 각각 상호 결합가능한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
제2실시예
)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형상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6a 내지 도6d는 각각 도5에 도시한 벽돌의 조립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전술한 제1실시예의 경우 횡방향 조립이 가능하고 조립이 완료된 이후에도 외력에 의한 벽돌의 수평 방향 탈거를 방지할 수 있다는 종래 기술과 차별되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나, 제1결합면(5)과 제2결합면(6)의 구조상 직선 형태로의 조립만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경우 상술한 제1실시예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2결합면(5,6)의 구조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차별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결합면(5)과 제2결합면(6)에 각각 몸체의 상단면(3)과 제1,2결합부(10,20) 사이에 몸체의 내측 방향으로 깍여진 경사면(14,2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도면상에서 파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형상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형상을 가상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경사면(14,24)으로 인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은 도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벽돌(100a,100b)을 직선 형태로 조립할 경우 서로 대향하는 제1,2결합면(5,6) 사이에는 경사면(14,24)에 의하여 조립간극(3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조립간극(31)은 벽돌 조립시 충진재가 메워지는 면적을 증가시켜 조립식 벽돌로 이루어지는 담장 등의 구조물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벽돌을 곡선 형태로 조립할 수 있는 벽돌의 회동 유격을 제공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은 상술한 경사면(14,24) 또는 조립간극(31)을 구비하기 때문에 도6b 내지 도6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벽돌(100a 내지 100k)을 필요에 따라 다양한 곡선 형태로 조립할 수 있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곡선 형태의 조립은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립되는 벽돌 각각을 경사면(14,24)이 형성된 방향으로 조립간극(31)의 범위 내에서 필요한 각도만큼 회전시켜서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곡선 형태의 조립이 더욱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경사면(14)과 인접하고 상호 조립되는 벽돌의 제2결합돌기(22)를 수용하는 제1결합홈(11)은 벽돌의 회전시 상기 제2결합돌기(22)가 회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유격(32)을 제공하기 위하여 경사면(14)이 형성되지 않은 제2결합홈(21)보다 몸체(1)의 내측 방향으로 더 깊게 파여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제1,2결합면(5,6)의 일측(본 실시예의 경우 몸체의 상단면측)에 경사면(14,24)이 형성된 경우에는 조립되는 벽돌의 상단면과 하단면을 반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조립되는 곡선 형태의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
즉, 도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의 곡선으로 벽돌을 조립할 경우에는 몸체의 상단면(3)이 도면상에서 상부에 위치되도록 하여 조립이 이루어지고, 도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의 곡선으로 벽돌을 조립할 경우에는 몸체의 하단면(4)이 도면상에서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조립이 이루어진다.
또한,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시계 방향의 곡선으로 조립하다가 시계 방향의 곡선으로 조립하는 경우와 같이 변곡점이 있는 곡선 형태로 조립할 때에는 변곡점이 발생하는 부분에서 조립되는 벽돌(즉, 도6d의 100g)의 상단면과 하단면을 반전시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은 전술한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이 가지는 장점에 더하여 복수의 벽돌을 원하는 곡선 형태로도 조립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 경우 조립되는 벽돌이 형성하는 곡선의 반경은 상기 경사면(14,24)의 경사 각도, 제1결합홈(11)의 파여진 깊이, 또는 조립간극(31)의 범위 내에서 벽돌의 회동 정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상기 경사면(14,24)이 제1결합면(5)과 제2결합면(6)에 모두 형성된 경우를 일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제1결합면(5)과 제2결합면(6)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
제3실시예
)
도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형상 및 조립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전술한 제2실시예의 경우 횡방향 조립이 가능하고 조립이 완료된 이후에도 외력에 의한 벽돌의 수평 방향 탈거를 방지할 수 있으며, 곡선 형태로 벽돌의 조립이 가능하다는 종래 기술과 차별되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나, 곡선의 방향에 따라 조립되는 벽돌의 상단면과 하단면을 반전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경우 상술한 제2실시예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2결합면(5,6)에 형성된 경사면의 구조에 있어서 제2실시예와 차별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제2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결합면(5)과 제2결합면(6)에 각각 몸체의 상단면(3) 및 하단면(4)과 제1,2결합부(10,20) 사이에 몸체의 내측 방향으로 깍여진 경사면(14,2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제1,2결합면(5,6)의 상하부에 형성된 경사면(14,24)으로 인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벽돌(200a,200b)을 직선 형태로 조립할 경우 서로 대향하는 제1,2결합면(5,6) 사이에는 경사면(14,24)에 의하여 상하부에 조립간극(31a,31b)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은 제1,2결합면(5,6)의 상하부에 모두 조립간극(31a,31b)이 형성되기 때문에 벽돌 조립시 충진재가 메워지는 면적을 더욱 증가시켜 조립식 벽돌로 이루어지는 담장 등의 구조물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복수의 벽돌을 곡선 형태로 조립할 경우 제2실시예와 같이 곡선의 방향에 따라 벽돌의 상단면과 하단면을 반전시킬 필요없이 단순히 원하는 곡선의 방향으로 조립간극(31a,31b)의 범위 내에서 벽돌을 회전시키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벽돌의 조립을 더욱 편리하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 외, 본 실시예에 따른 벽돌을 직선 형태 또는 곡선 형태로 조립하는 방법은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
제4실시예
) 내지 (
제6실시예
)
도8a와 도8b는 각각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와 평면도, 도9a와 도9b는 각각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와 평면도, 및 도10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몸체의 전면(2)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결합홈과 결합돌기가 제1방향(또는 제2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기 때문에 벽돌이 제2방향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결합홈과 결합돌기의 측면부에 형성된 걸림부(13,23)에 의한 두께 방향의 걸림 구조에 의하여 외력의 작용 방향(즉, 몸체의 두께 방향으로서 도1 또는 도8a의 방향 표시상 z방향)으로 탈거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후술하는 제4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경우 상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와 대비할 때, 상호 조립된 벽돌이 외력에 의해 몸체의 두께 방향(즉, 몸체의 전면에서 배면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탈거되는 것을 더욱 방지하기 위한 제2걸림부(51,52,61,62)를 더 설치한 점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차별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경우 도8a와 도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결합홈(11,21)과 제1,2결합돌기(12,22)를 몸체의 두께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제2걸림부(51,52,61,62)를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은 몸체의 전면(2)에 수직한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호 조립된 벽돌의 제1,2결합부가 형성하는 S자형 결합면이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밀려날 때 상기 제2걸림부(51,52,61,62)가 형성하는 경사면이 걸림턱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상기 상호 조립된 벽돌이 몸체의 두께 방향(즉, 도면의 방향 표시상 z방향)으로 탈거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제2걸림부의 구조는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벽돌이 지면에 평면상으로 설치되는 보도 블록으로 사용되고, 상기 지면이 폭우 등으로 인하여 수직 방향으로 국부적으로 침강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호 조립된 벽돌이 지면이 침강하는 방향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은 제4실시예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1결합면(5)과 제2결합면(6)에 벽돌이 상호 조립되는 경우 상술한 제2방향으로 서로 끼움결합되는 홈과 돌기 구조로 이루어진 제2걸림부(51,52,61,6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2걸림부(51,52,61,62)는 제1결합면(5)에서 제1결합부(10)의 양측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1보조결합홈(51) 및 제1보조결합돌기(52)와, 이에 결합가능한 형태로 제2결합면(6)에서 제2결합부(20)의 양측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2보조결합홈(61) 및 제2보조결합돌기(62)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경우에도 몸체의 전면(2)에 수직한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호 조립된 벽돌의 제1,2결합부가 형성하는 S자형 결합면이 외력이 작용하는 방향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호 조립된 벽돌이 몸체의 두께 방향으로 탈거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걸림부를 형성하는 제1,2보조결합홈(51,61)과 제1,2보조결합돌기(52,62)는 도10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과 같이 각각 제1,2결합면(5,6)에 형성된 몸체 내측에 매설된 홈과 이에 결합가능한 돌기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은 상기 제2걸림부가 제1결합면(5)과 제2결합면(6)에 각각 형성된 홈과 돌기로 구성하였으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 내에서는 제1결합면과 제2결합면 중 어느 하나에는 홈(즉, 몸체 내부에 매설된 홈)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에는 이에 결합가능한 돌기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경사면(14,24)의 구성은 상술한 제4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효과는 이미 전술한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서 설명하였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
제7실시예
)
도11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12a 내지 도12c는 각각 도11에 도시한 벽돌의 조립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은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 내지 제6실시예와 대비할 때 제1,2결합부의 구성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의 경우 두께를 가진 판 형상의 몸체(1), 상기 몸체(1)의 상단면(3)과 하단면(4) 사이의 일측면인 제1결합면(5)에 형성된 결합홈(110), 및 상호 조립되는 다른 벽돌의 상기 결합홈(1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타측면인 제2결합면(6)에 형성된 결합돌기(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홈(110)은 입구부에서 최대폭을 가지도록 상기 몸체(1)의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이고, 상기 결합돌기(120)는 목부에서 최대폭을 가지도록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홈(110)과 결합돌기(120)는 상호 조립되는 벽돌이 상기 제1결합면(5)에서 제2결합면(6)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홈(110)과 결합돌기(120)의 결합시 결합돌기(120)의 일측이 결합홈(110)의 내부에서 결합홈(110)의 일측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은 도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홈(110)을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으로 제1결합면(5)에 형성된 입구부로부터 몸체의 내측 방향으로 매설된 홈 형상으로 구성하고, 상기 결합돌기(120)는 상기 결합홈(110)에 결합가능한 대응되는 돌기 형상으로 구성하되, 상기 결합홈(110)과 결합돌기(120)의 중심선(C)은 각각 상기 몸체의 제1결합면(5)에서 제2결합면(6)으로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은 2개의 벽돌(400a,400b)을 도12a의 화살표 방향을 따라 상호 조립하는 경우 도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돌기(120)의 일측 단부가 결합홈(110)의 입구측 단부와 단차를 가지게 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하여 상호 조립된 벽돌이 상기 제1결합면(5)에서 제2결합면(6)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은 매설홈 형상의 결합홈(110)의 내부에 결합돌기(120)가 내삽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몸체의 전면(2)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호 조립된 벽돌이 몸체의 두께 방향으로 탈거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벽돌은 필요에 따라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경사면(24)을 제1결합면 또는 제2결합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함으로써 도1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벽돌을 곡선 형태로 조립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형성된 경사면(24)으로 인하여 상호 조립되는 벽돌의 결합면에는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조립간극(131)이 형성된다.
이때, 곡선 형태의 조립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홈(110)과 결합돌기(120) 사이에는 결합홈(110)의 내부에서 결합돌기(120)가 움직일 수 있는 유격(132)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1 : 몸체 5 : 제1결합면
6 : 제2결합면 10 : 제1결합부
11 : 제1결합홈 12 : 제1결합돌기
13,23 : 걸림부 14,24 : 경사면
20 : 제2결합부 21 : 제2결합홈
22 : 제2결합돌기 31,31a,31b : 조립간극
6 : 제2결합면 10 : 제1결합부
11 : 제1결합홈 12 : 제1결합돌기
13,23 : 걸림부 14,24 : 경사면
20 : 제2결합부 21 : 제2결합홈
22 : 제2결합돌기 31,31a,31b : 조립간극
Claims (11)
- 두께를 가진 판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상단면과 하단면 사이의 일측면인 제1결합면에 상기 상단면에서 하단면으로 향하는 몸체의 길이 방향인 제1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제1결합홈과 제1결합돌기가 형성된 제1결합부; 및
상호 조립되는 다른 벽돌의 상기 제1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타측면인 제2결합면에 상기 제1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제2결합돌기와 제2결합홈이 형성된 제2결합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2결합홈은 각각 제1,2결합면에 형성된 입구부에서 최대폭을 가지도록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이고, 상기 제1,2결합돌기는 각각 제1,2결합면에 형성된 목부에서 최대폭을 가지도록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이며, 상기 제1,2결합부는 제1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을 따라 서로 결합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결합홈과 제1결합돌기의 사이와 제2결합돌기와 제2결합홈의 사이에는 각각 상호 조립되는 벽돌이 상기 제1,2결합면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인 제2방향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1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돌.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는, 벽돌을 조립하는 경우 상호 조립되는 벽돌의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형성하는 결합면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점대칭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돌.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결합홈과 제1,2결합돌기는 각각 단부가 원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돌.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부는, 제1결합홈과 제1결합돌기가 연속적으로 이어진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호 조립되는 다른 벽돌의 제2결합부와 결합될 경우 상기 제1,2결합면의 중도에 S자형 결합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돌.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결합면에는 복수의 벽돌을 곡선 형태로 조립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제1결합부 또는 제2결합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의 사이에 몸체의 내측 방향으로 깍여진 제1경사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돌.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면과 제2결합면에는 각각 상호 조립되는 벽돌이 상기 몸체의 두께 방향인 제3방향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2걸림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돌.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걸림부는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가 형성하는 결합면이 상기 제3방향을 따라 제2경사면을 이루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돌.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걸림부는 제1,2결합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2결합부의 결합에 의하여 벽돌이 상호 조립되는 경우 서로 끼움결합되는 홈과 돌기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돌. - 두께를 가진 판 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의 상단면과 하단면 사이의 일측면인 제1결합면에 형성된 결합홈; 및
상호 조립되는 다른 벽돌의 상기 결합홈에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타측면인 제2결합면에 형성된 결합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결합홈은 제1결합면에 형성된 입구부에서 최대폭을 가지도록 상기 몸체의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이고, 상기 결합돌기는 제2결합면에 형성된 목부에서 최대폭을 가지도록 상기 몸체의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이며, 상기 결합홈과 결합돌기는 제1,2결합면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인 제4방향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방향을 따라 서로 결합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홈과 결합돌기의 결합시 결합돌기의 일측이 결합홈의 내부에서 결합홈의 일측에 걸림으로써 상호 조립되는 벽돌이 상기 제4방향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돌.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단면이 원형 또는 사각형 형상으로 제1결합면에 형성된 입구부로부터 몸체의 내측 방향으로 매설된 홈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돌. -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결합면에는 복수의 벽돌을 곡선 형태로 조립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결합홈 또는 결합돌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의 사이에 몸체의 내측 방향으로 깍여진 경사면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벽돌.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1172A KR101426327B1 (ko) | 2014-01-06 | 2014-01-06 | 조립식 벽돌 |
PCT/KR2014/013011 WO2015102353A1 (ko) | 2014-01-06 | 2014-12-30 | 조립식 벽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01172A KR101426327B1 (ko) | 2014-01-06 | 2014-01-06 | 조립식 벽돌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426327B1 true KR101426327B1 (ko) | 2014-08-05 |
Family
ID=51749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01172A KR101426327B1 (ko) | 2014-01-06 | 2014-01-06 | 조립식 벽돌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6327B1 (ko) |
WO (1) | WO2015102353A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4542A (ko) * | 2014-07-03 | 2016-01-13 | 장대수 | 곡선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벽돌 |
WO2017058095A1 (en) * | 2015-10-02 | 2017-04-06 | Olivegren Form Ab | Fibre composite section and assembly |
KR20200082679A (ko) * | 2018-12-31 | 2020-07-08 | 이민철 | 벤딩 서포트 구조를 구비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
KR20200082677A (ko) * | 2018-12-31 | 2020-07-08 | 이민철 | 벤딩 서포트부재가 내장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
KR20200082671A (ko) * | 2018-12-31 | 2020-07-08 | 이민철 | 설치 편리성을 향상시킨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
KR102177790B1 (ko) | 2020-04-06 | 2020-11-12 | 주식회사 한스종합건축사사무소 | 건축용 조립식 벽돌 조립체 |
KR102266318B1 (ko) | 2020-11-04 | 2021-06-18 | 주식회사 한스종합건축사사무소 | 접착형 건축용 조립식 벽돌 조립체 |
KR20220146799A (ko) * | 2021-04-26 | 2022-11-02 | 강상식 | 가변형 옹벽 구조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563092B (zh) * | 2021-07-29 | 2023-12-22 | 阿尔赛(苏州)无机材料有限公司 | 一种空心球陶瓷纤维砖及其制备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8519Y1 (ko) * | 2001-04-18 | 2001-10-11 | 주식회사 태성콘크리트 | 조적블럭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3596Y1 (ko) * | 2008-05-27 | 2009-02-26 | 한장석 | 조적식 황토벽돌의 구조 |
KR20110011623U (ko) * | 2010-06-10 | 2011-12-16 | 윤정덕 | 끼움결합식 조립벽돌 |
-
2014
- 2014-01-06 KR KR1020140001172A patent/KR10142632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12-30 WO PCT/KR2014/013011 patent/WO2015102353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8519Y1 (ko) * | 2001-04-18 | 2001-10-11 | 주식회사 태성콘크리트 | 조적블럭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04542A (ko) * | 2014-07-03 | 2016-01-13 | 장대수 | 곡선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벽돌 |
KR102295764B1 (ko) | 2014-07-03 | 2021-08-30 | 장대수 | 곡선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벽돌 |
WO2017058095A1 (en) * | 2015-10-02 | 2017-04-06 | Olivegren Form Ab | Fibre composite section and assembly |
KR102178753B1 (ko) * | 2018-12-31 | 2020-11-13 | 이민철 | 벤딩 서포트부재가 내장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
KR20200082671A (ko) * | 2018-12-31 | 2020-07-08 | 이민철 | 설치 편리성을 향상시킨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
KR20200082677A (ko) * | 2018-12-31 | 2020-07-08 | 이민철 | 벤딩 서포트부재가 내장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
KR102178747B1 (ko) * | 2018-12-31 | 2020-11-13 | 이민철 | 벤딩 서포트 구조를 구비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
KR102189925B1 (ko) * | 2018-12-31 | 2020-12-11 | 이민철 | 설치 편리성을 향상시킨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
KR20200082679A (ko) * | 2018-12-31 | 2020-07-08 | 이민철 | 벤딩 서포트 구조를 구비한 골재 선별 스크린 모듈러 |
KR102177790B1 (ko) | 2020-04-06 | 2020-11-12 | 주식회사 한스종합건축사사무소 | 건축용 조립식 벽돌 조립체 |
KR102266318B1 (ko) | 2020-11-04 | 2021-06-18 | 주식회사 한스종합건축사사무소 | 접착형 건축용 조립식 벽돌 조립체 |
KR20220146799A (ko) * | 2021-04-26 | 2022-11-02 | 강상식 | 가변형 옹벽 구조물 |
KR102505314B1 (ko) * | 2021-04-26 | 2023-03-06 | 강상식 | 가변형 옹벽 구조물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5102353A1 (ko) | 2015-07-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26327B1 (ko) | 조립식 벽돌 | |
US9267260B2 (en) | Slant wall block and wall section including same | |
EP0105274B1 (en) | Improved building block or panel | |
JP4551616B2 (ja) | 人工石材のグラウンドカバー要素 | |
EP2622146B1 (en) | Construction block | |
CA2574647C (en) | Concrete block | |
US9021762B1 (en) | Interlocking concrete blocks with trapezoidal shape | |
EP2492416A1 (en) | System for floor covering | |
US20080295440A1 (en) | Building component | |
WO2017013501A1 (en) | Prefabricated element for flooring | |
CA2411032A1 (en) | Cast stone for fixing exterior traffic surfaces | |
US20040250495A1 (en) | Cast concrete paver block | |
KR20160004542A (ko) | 곡선 조립이 가능한 조립식 벽돌 | |
US9683368B1 (en) | Encompassing mortarless locking blocks | |
WO2016206166A1 (zh) | 一种高强度互托锁组合式环保地面砖及固定建筑物 | |
US990119A (en) | Building-block. | |
KR20170051628A (ko) | 다이블록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 |
TW202309383A (zh) | 具有機械鎖定裝置之建築板 | |
JP2008156912A (ja) | 組立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組立物。 | |
KR20180113106A (ko) | 모양과 크기, 두께가 다른 보강토 옹벽 블록 | |
KR101954280B1 (ko) | 조립식 인터락킹 블록 | |
EP4012136A1 (en) | Joint for floor panel covering and covering assembly comprising said joint | |
JP3626750B1 (ja) | 側溝ブロック | |
RU2237787C1 (ru) | Строительный блок | |
GB2428432A (en) | Surface covering panel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