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570B1 - 피드체인을 이용한 종계의 모이 정량 공급시스템 - Google Patents

피드체인을 이용한 종계의 모이 정량 공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570B1
KR101810570B1 KR1020160141903A KR20160141903A KR101810570B1 KR 101810570 B1 KR101810570 B1 KR 101810570B1 KR 1020160141903 A KR1020160141903 A KR 1020160141903A KR 20160141903 A KR20160141903 A KR 20160141903A KR 101810570 B1 KR101810570 B1 KR 101810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hopper
plate
transverse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완주
김덕열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주) 진영케이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주) 진영케이지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주) 진영케이지
Priority to KR1020160141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5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9/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poultry or other birds
    • A01K39/01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 A01K39/012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filling automatically, e.g. by gravity from a reserv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9/00Feeding or drinking appliances for poultry or other birds
    • A01K39/01Feeding devices, e.g. chainfeeders
    • A01K39/014Feed troughs; Feed thr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rds (AREA)
  • Feeding And Watering For Cattle Raising And Animal Husband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계장에서 키우는 모든 종계에게 모이를 공급할 때 정량을 공급할 수 있도록 개선된 피드체인을 이용한 종계의 모이 정량 공급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종계에게 모이를 공급할 때 전체적으로 균일한 정량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종계 사육을 효율적이고 생산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피드체인을 이용한 종계의 모이 정량 공급시스템{Quantitative breeding bird feed supply system using a chain}
본 발명은 피드체인을 이용한 종계의 모이 정량 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양계장에서 키우는 모든 종계에게 모이를 공급할 때 정량을 공급할 수 있도록 개선된 피드체인을 이용한 종계의 모이 정량 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계사육 농가에서는 많은 일손을 들이지 않으면서도 위생적으로 닭을 사육하여 농가의 수익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아파트형 케이지(cage)를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양계장에서 사육되는 종계는 모이를 너무 많이 먹어 비만이 되거나 또는 모이의 공급이 부족하여 영양 상태가 좋지 않게 되면 알을 낳지 못하거나 알을 낳더라도 비정상적인 알을 낳게 되는 경우가 많아 양계장에서는 적당량의 모이를 종계에게 공급하기 위한 모이 공급시스템이 설치된다.
모이 공급시스템의 일례를 들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6815호, 제10-1654273호에는 아파트형 케이지의 사료 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를 보면, 여러 칸으로 구획된 양측 케이지가 복층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아파트형 케이지가 구비되고, 이 케이지의 주변에 호퍼, 모이판, 연결관, 순환형 코일스프링, 동작부로 이루어진 사료 공급장치가 설치되어 각각의 케이지로 모이를 공급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아파트형 케이지의 사료 공급장치는 케이지에서 사육하는 종계에 모이를 공급할 때 모든 종계에 정량의 모이를 공급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모이판이 순환형으로 이동하면서 모이를 공급하기 때문에 모이 공급이 시작되는 위치의 케이지에서 사육되는 종계와 모이 공급이 끝나는 위치의 케이지에서 사육되는 종계는 모이를 먹는 시간과 양이 달라 정량 모이 공급에 차이가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호퍼는 항상 일정한 양의 모이가 공급되기 때문에 사육되는 종계의 개체수에 따라 모의의 양을 호퍼에서 용이하게 조절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6815호(등록일: 2016년05월27일), 발명의 명칭: "아파트형 케이지의 사료 공급장치"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54273호(등록일: 2016년08월30일), 발명의 명칭: "아파트형 케이지의 사료 공급장치" 3)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02935호(등록일: 2007년03월28일), 발명의 명칭: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 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51620호(등록일: 2006년02월06일), 발명의 명칭: "살포형 사료공급장치"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아파트형 케이지에 사육되는 모든 종계에 정량의 모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종계의 개체수가 줄거나 늘었을 때 공급되는 모이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개선된 피드체인을 이용한 종계의 모이 정량 공급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은, 여러 칸으로 구획되고 복층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종계들이 사육되는 아파트형 케이지; 복층으로 설치되고, 양측과 하부가 막혀 있고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모이통로가 형성된 덕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케이지에 모이를 공급할 수 있도록 같은 층에 배치된 케이지를 따라 종방향 모이통부와 횡방향 모이통부가 서로 연결되어 순환 형태로 설치된 모이통; 수직으로 세워지고,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모이저장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단에는 모이저장공간으로 모이를 투입할 수 있게 투입구가 개구되고, 하단은 모이가 배출되지 않게 막혀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횡방향 모이통부가 모이저장공간의 일부분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위에서 보았을 때 모이저장공간의 일부분은 횡방향 모이통부에 의해 차단되고 나머지 부분은 연통되도록 구성되며, 모이저장공간의 내부에는 다수의 경사판이 설치되되, 경사판의 하단은 모이저장공간 내에 위치하는 횡방향 모이통부의 상면 중간에 위치하고 상단은 횡방향 모이통부보다 상부에서 모이저장공간의 내벽에 고정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호퍼; 상기 호퍼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모이저장공간 내에서 횡방향 모이통부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개방시켜 모이가 횡방향 모이통부 내로 선택적으로 인입되도록 하는 모이공급차단수단; 상기 호퍼의 투입구로 모이를 공급함과 아울러 모이저장공간 내에서 횡방향 모이통부의 상면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작동시키면 모이저장공간 내에서 횡방향 모이통부 내로 인입되는 모이를 모이통 내로 순환시켜 모이통 전체에 모이가 공급되도록 하는 모이공급수단; 상기 호퍼에서 모이가 배출되는 횡방향 모이통부에 설치되어, 횡방향 모이통부를 따라 공급되는 모이의 양을 조절하는 모이양조절수단; 및 상기 호퍼로 모이를 공급하는 수단과 모이공급차단수단과 모이공급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모이공급수단을 통해 모이가 모이통 전체로 공급될 때 모이통에 모이가 균일하게 채워진 상태에서 모든 종계가 같이 모이를 먹을 수 있도록 모이가 모이통에 전체적으로 채워질 때는 모이통을 따라 모이가 빠르게 순환하여 종계들이 모이를 쉽게 먹지 못하도록 하고 모이통에 모이가 전체적으로 채워지면 모이가 모이통을 따라 천천히 순환하면서 모든 종계들이 같이 모이를 먹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체인을 이용한 종계의 모이 정량 공급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이공급차단수단은, 상기 호퍼의 일면에서 모이저장공간 내로 관통되게 형성된 차단판공과, 상기 차단판공을 통해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모이저장공간 내로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횡방향 모이통부의 상면을 차단 또는 개방하게 설치된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에 로드가 연결되게 설치되어 로드가 신장되면 차단판이 전진하고 로드가 수축되면 차단판이 후진하게 작동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차단판의 양측에서 각각 호퍼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내측에 차단판의 단부가 끼워지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차단판이 전진 또는 후진할 때 가이드홈을 따라 안내되어 흔들림없이 이동하도록 잡아주는 가이더브라켓과, 상기 가이더브라켓의 단부를 연결하게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가 설치되어 지지되는 실린더브라켓을 포함하여, 상기 차단판이 전진하면 호퍼 내의 모이저장공간으로 삽입되어 횡방향 모이통부의 상면을 차단하여 모이가 횡방향 모이통부 내로 인입되지 않게 하고 후진하면 횡방향 모이통부의 상면을 개방시켜 모이가 횡방향 모이통부 내로 인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모이공급수단은, 상기 모이통의 바닥에 전체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된 모이이송체인과, 상기 모이이송체인의 일부분에서 모이이송체인에 이맞물림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게 되면 이맞물림되어 있는 모이이송체인을 당겨서 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체인기어와, 상기 체인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상기 횡방향 모이통부의 상면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작동시키면 모이저장공간 내에서 횡방향 모이통부 내로 인입되는 모이를 모이통을 따라 모이이송체인이 순환하면서 모이를 끌고가 모이통 전체에 모이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모이양조절수단은, 상기 횡방향 모이통부의 상부에서 호퍼의 외면에 밀착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중간에 상하로 긴 장공 형태의 조절공이 관통 형성되며, 하강하였을 때 횡방향 모이통부의 모이통로를 차단하게 설치된 조절판과, 상기 조절판의 전방에서 조절판의 전면에 밀착되고 횡방향 모이통부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중간에는 상기 조절공과 대응되는 연통공이 관통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호퍼에 연통공과 대응되는 부분에 관통 형성된 나사공과, 상기 고정판의 전면에 밀착되게 설치된 가압링과, 상기 가압링을 관통하여 연통공과 조절공을 통해 나사공에 체결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볼트가 나사공에 체결되면서 전진하려는 가압력에 의해 가압링과 고정판이 조절판을 호퍼로 가압하여 조절판이 고정되도록 하고, 고정볼트를 푼 상태에서 조절공이 고정볼트에 가이드되는 방식으로 조절판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켜 모이통로의 바닥과 조절판의 하단 사이의 공간을 조절하여 횡방향 모이통부를 따라 공급되는 모이의 양을 조절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피드체인을 이용한 종계의 모이 정량 공급시스템을 적용하면 아파트형 케이지에 사육되는 모든 종계에 정량의 모이를 자동으로 편리하게 공급할 수 있으며, 종계의 개체수가 줄거나 늘었을 때 공급되는 모이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하면 종계에게 모이를 공급할 때 전체적으로 균일한 정량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종계 사육을 효율적이고 생산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드체인을 이용한 종계의 모이 정량 공급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호퍼의 구성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호퍼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호퍼에서 모이양조절수단과 모이공급차단수단 부분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일부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모이양조절수단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작동도,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모이양조절수단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작동도,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진동기의 설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와 평단면도,
도 11과 도 12는 도 10의 작동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피드체인을 이용한 종계의 모이 정량 공급시스템은 아파트형 케이지(10), 모이통(100), 호퍼(200), 모이공급차단수단(300), 모이공급수단(400), 모이양조절수단(500),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지(10)는 종계들이 사육되는 곳으로, 망 형태를 가지고 여러 칸으로 구획되고 복층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모이통(100) 내측에서 좌측과 우측에 각각 설치된다.
모이통(100)은 케이지(10)의 복층을 고려하여 복층으로 설치되고, 양측과 하부가 막혀 있고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모이통로(102)가 형성된 덕트 형상의 단면을 가진다. 그리고 케이지(10)에 모이를 공급할 수 있도록 같은 층에 배치된 케이지(10)를 따라 종방향 모이통부(120)와 횡방향 모이통부(110)가 서로 연결되어 순환 형태로 설치된다. 이때, 종방향 모이통부(120)는 케이지(10)의 개체수에 따라 길이가 결정되는 것으로 길게 형성되며, 횡방향 모이통부(110)는 후술하는 호퍼(200)에 설치되는 것으로 길이가 짧게 형성되어, 서로 연결되었을 때 트랙 형상을 갖게 된다.
호퍼(200)는 수직으로 세워지게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모이저장공간(210)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단에는 모이저장공간(210)으로 모이를 투입할 수 있게 투입구(202)가 개구되고, 하단은 모이가 배출되지 않게 막혀 있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부가 상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된 횡방향 모이통부(110)가 모이저장공간(210)의 일부분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위에서 보았을 때 모이저장공간(210)의 일부분은 횡방향 모이통부(110)에 의해 차단되고 나머지 부분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횡방향 모이통부(110)는 복층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호퍼(200)에 상하로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 군데에 설치된다. 그리고 모이저장공간(210)의 내부에는 다수의 경사판(220)이 설치된다. 다수의 경사판(220)은 지그재그로 설치되는데, 상부에 위치한 경사판(220)은 하단이 모이저장공간(210) 내에 위치하는 횡방향 모이통부(110)의 상면 중간에 위치하고 상단은 횡방향 모이통부(110)보다 상부에서 모이저장공간(210)의 내벽에 고정되도록 우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하부에 위치한 경사판(220)은 횡방향 모이통부(110)의 하부에서 상부에 위치한 경사판과 대칭되게 좌측으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호퍼(200)의 투입구(202)로 모이를 투입하면 모이가 상부에 위치한 경사판(220)과 하부에 위치한 경사판(220)을 지그재그로 타고 내려가면서 호퍼(200)에 전체적으로 채워지게 된다. 물론, 하부에 위치한 경사판(220)은 생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모이공급차단수단(300)은 호퍼(200)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모이저장공간(210) 내에서 횡방향 모이통부(110)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개방시켜 모이가 횡방향 모이통부(110) 내로 선택적으로 인입되도록 설치된다.
즉, 모이공급차단수단(300)은 호퍼(200)의 일면에서 모이저장공간(210) 내로 관통되게 형성된 차단판공(240)과, 차단판공(240)을 통해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모이저장공간(210) 내로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횡방향 모이통부(110)의 상면을 차단 또는 개방하게 설치된 차단판(310)과, 차단판(310)에 로드(322)가 연결되게 설치되어 로드(322)가 신장되면 차단판(310)이 전진하고 로드(322)가 수축되면 차단판(310)이 후진하게 작동시키는 실린더(320)로 구성된다. 그리고 차단판(310)의 양측에서 각각 호퍼(200)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내측에 차단판(310)의 단부가 끼워지는 가이드홈(332)이 형성되어 차단판(310)이 전진 또는 후진할 때 가이드홈(332)을 따라 안내되어 흔들림없이 이동하도록 잡아주는 가이더브라켓(330)과, 가이더브라켓(330)의 단부를 연결하게 설치되고 실린더(320)가 설치되어 지지되는 실린더브라켓(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모이공급차단수단(300)은 차단판(310)이 전진하면 호퍼(200) 내의 모이저장공간(210)으로 삽입되어 횡방향 모이통부(110)의 상면을 차단하여 모이가 횡방향 모이통부(110) 내로 인입되지 않게 되고, 후진하면 횡방향 모이통부(110)의 상면을 개방시켜 모이가 횡방향 모이통부(110) 내로 인입되도록 작동된다.
모이공급수단(400)은 호퍼(200)의 투입구(202)로 모이를 공급함과 아울러 모이저장공간(210) 내에서 횡방향 모이통부(110)의 상면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작동시키면 모이저장공간(210) 내에서 횡방향 모이통부(110) 내로 인입되는 모이를 모이통(100) 내로 순환시켜 모이통(100) 전체에 모이가 공급되도록 한다.
즉, 모이공급수단(400)은 모이통(100)의 바닥에 전체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된 모이이송체인(410)과, 모이이송체인(410)의 일부분에서 모이이송체인(410)에 이맞물림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게 되면 이맞물림되어 있는 모이이송체인(410)을 당겨서 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체인기어(420)와, 체인기어(42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모이이송체인(410)은 체인기어(420)와 이맞물림되게 구성되는 것과 아울러 이동하면 상부에 놓인 모이를 끌고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모이공급수단(400)은 횡방향 모이통부(110)의 상면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작동시키면 모이저장공간(210) 내에서 횡방향 모이통부(110) 내로 인입되는 모이를 모이통(100)을 따라 모이이송체인(410)이 순환하면서 모이를 끌고가 모이통(100) 전체에 모이가 공급되도록 작동된다.
모이양조절수단(500)은 호퍼(200)에서 모이가 배출되는 횡방향 모이통부(110)에 설치되어, 횡방향 모이통부(110)를 따라 공급되는 모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즉, 모이양조절수단(500)은 횡방향 모이통부(110)의 상부에서 호퍼(200)의 외면에 밀착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중간에 상하로 긴 장공 형태의 조절공(512)이 관통 형성되며, 하강하였을 때 횡방향 모이통부(110)의 모이통로(102)를 차단하게 설치된 조절판(510)과, 조절판(510)의 전방에서 조절판(510)의 전면에 밀착되고 횡방향 모이통부(110)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중간에는 조절공(512)과 대응되는 연통공(522)이 관통 형성된 고정판(520)과, 호퍼(200)에 연통공(522)과 대응되는 부분에 관통 형성된 나사공(230)과, 고정판(520)의 전면에 밀착되게 설치된 가압링(530)과, 가압링(530)을 관통하여 연통공(522)과 조절공(512)을 통해 나사공(230)에 체결되는 고정볼트(5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조절판(510)은 상단에는 조절판(510)을 사육자가 손으로 들어올렸나 내렸다 할 수 있도록 손잡이부(514)가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횡방향 모이통부(110)의 양측 상단은 모이통로(102) 방향으로 수평으로 일부 절곡되게 절곡부(104)가 형성되고, 고정판(520)에는 양측에 횡방향 모이통부(110)의 절곡부(104)와 대응되는 고정홈(524)이 형성되어, 고정판(520)은 고정홈(524)이 절곡부(104)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상하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면서 횡방향 모이통부(110)을 따라 이동할 수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고정판(520)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조절판(510)을 가압하면 조절판(510)의 위치가 고정되고 고정판(520)이 후방으로 이동하면 조절판(510)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절곡부(104)에는 조절판(510)을 삽입할 수 있는 절개홈(106)이 형성된다.
따라서 모이양조절수단(500)은 고정볼트(540)가 나사공(230)에 체결되면서 전진하려는 가압력에 의해 가압링(530)과 고정판(520)이 조절판(510)을 호퍼로 가압하여 조절판(510)이 고정되도록 하고, 고정볼트(540)를 푼 상태에서 조절공(512)이 고정볼트(540)에 가이드되는 방식으로 조절판(510)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켜 모이통로(102)의 바닥과 조절판(510)의 하단 사이의 공간을 조절하여 횡방향 모이통부(110)를 따라 공급되는 모이의 양을 조절하게 작동된다.
미도시된 제어부는 미도시된 사료통에서 호퍼(200)로 모이를 공급하는 수단과 모이공급차단수단(300)과 모이공급수단(400)의 작동을 제어하게 설치되어 종계들에게 모이를 정량으로 공급하게 작동된다.
한편, 본 발명은 호퍼(200)에 진동기를 설치하여 호퍼(200)에 처음으로 모이를 채워 넣을 때 진동기가 진동하면서 호퍼(200)를 진동시켜 호퍼(200) 내에 모이가 채워질 때 공극 없이 확실하게 채워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호퍼(200)에는 진동기를 별도의 고정수단을 통해 교체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설치하여 이상이 있을 때 용이하게 유지보수를 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정수단은 브라켓을 설치하여 별도의 공구 없이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은 진동기(10)의 전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되 진동기(10) 보다 직경이 큰 사이즈로 형성된 설치판(11)과, 호퍼(200)의 측면 외측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내면에 설치판(11)이 끼워지는 삽입홈(21)이 형성되되 삽입홈(21)은 설치판(11)이 상부에서 끼워지도록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며 전면 중앙에는 진동기(10)가 노출될 수 있게 개구부(22)가 형성된 U자 형상의 고정브라켓(20)과, 고정브라켓(20)의 상단 양측면에 설치되어 삽입홈(21)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체로 구성하면 된다.
여기서, 개폐체는 고정브라켓(20)의 상단 양측면에 형성된 막대공(23)과, 고정브라켓(20)의 측면에서 이격되게 호퍼(200)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일부분에는 막대공(23)과 대응되는 슬라이드공(31)이 관통 형성된 지지블럭(30)과, 막대공(23)과 슬라이드공(31)에 끼워지게 조립되어 막대공(23)과 슬라이드공(31)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하게 설치되며 전방에는 제1고정공(41)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후방에는 제2고정공(42)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차단막대(40)와, 지지블럭(30)의 정면에 고정되고 핀공(32a)이 관통 형성된 지지대(32)와, 핀공(32a)에 삽입되게 조립되고 정면에는 핀공(32a)을 통해 이탈되지 않게 핀공(32a)보다 직경이 큰 핀머리(51)가 일체로 형성되며 후단은 제1고정공(41) 또는 제2고정공(42)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차단막대(40)의 이동을 제한하는 고정핀(50)과, 고정핀(50)의 중간 일부분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고정핀(50)이 제1고정공(41) 또는 제2고정공(42)에 삽입될 때 차단막대(40)에 밀착되는 스프링받치(52)과, 지지대(32)와 스프링받치(52)의 사이에서 고정핀(50)에 끼워지게 조립되어 고정핀(50)을 고정공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5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진동기(10)를 고정적으로 설치할 때는 도 11과 같이 고정핀(50)의 핀머리(51)를 잡고 고정핀(50)을 정면으로 잡아당겨 고정핀(50)이 제2고정공(42)에서 이탈되도록 한 상태에서 차단막대(40)를 측방향으로 잡아당겨 고정브라켓(20)의 삽입홈(21)이 상방향으로 개방되게 한다. 이때, 고정핀(50)은 제1고정공(4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도 12와 같이 고정브라켓(20)의 삽입홈(21)에 진동기(10)에 고정된 설치판(11)을 끼워 넣은 다음, 다시 고정핀(50)의 핀머리(51)를 잡고 정면으로 잡아당겨 고정핀(50)이 제2고정공(42)에서 이탈되도록 한 상태에서 차단막대(40)를 측방향으로 밀어 넣어 차단막대(40)가 삽입홈(21)의 상단을 막아, 도 10과 같이 고정브라켓(20)이 삽입홈(21)의 상방향으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막는다. 이때, 고정핀(50)은 제2고정공(42)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고정핀(50)은 스프링(53)을 통해 고정공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고정핀(50)을 정면으로 잡아당겼을 때는 스프링(53)이 압축되었다가 고정핀(50)을 놓으면 스프링(53)이 복원되면서 그 힘에 의해 제1고정공(41) 또는 제2고정공(42)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진동기(10)를 유지보수를 위해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고정핀(50)을 정면으로 잡아당겨 제2고정공(42)에서 이탈되도록 한 후, 차단막대(40)를 잡아당겨 차단막대(40)가 삽입홈(21)의 상단에서 빠지도록 한 다음, 도 12과 같이 고정핀(50)이 제1고정공(41)에 삽입되도록 한 후, 설치판(11)과 함께 진동기(10)를 고정브라켓(20)의 삽입홈(21)에서 분리하면 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피드체인을 이용한 종계의 모이 정량 공급시스템의 작동 관계를 설명한다.
본 발명을 이용하여 종계에게 정량이 모이를 공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종계의 개체수에 따라 모이양조절수단(500)을 이용하여 공급하고자 하는 모이의 양을 조절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판(510)을 하강시켜 모이가 배출되는 공간을 작게 설치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모이가 공급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판(510)을 상승시켜 모이가 배출되는 공간을 크게 설치하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모이가 공급된다. 따라서 조절판(510)의 높이 조절에 따라 모이통(100)으로 공급되는 모이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조절판(510)의 높이 조절은 고정볼트(540)를 푼 상태에서 사육자가 조절판(510)의 손잡이부(514)를 잡고 상하로 높이 조절하면 되고, 조절판(510)의 높이 조절이 완료되면 고정볼트(540)를 나사공(230)에 체결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볼트(540)가 가압링(530)과 고정판(520)을 밀어 조절판(510)이 호퍼(200)에 밀착되도록 가압하여 조절판(510)이 고정되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이 공급하고자 하는 모이의 양을 조절한 상태에서 본 발명을 작동시키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호퍼(200)의 투입구(202)로 정해진 양의 모이가 공급되고 모이공급차단수단(300)과 모이공급수단(400)이 작동된다. 즉, 호퍼(200)에는 항상 모이가 꽉 채워진 상태로 있는데 모이 공급을 위해 모이가 빠져나가게 되면 그만큼 로드셀을 이용하여 미도시된 사료통에서 모이가 공급되어 다시 호퍼(200)에 모이가 채워지게 된다. 그리고 모이공급차단수단(300)이 차단판(310)이 개방위치로 작동되고, 모이공급수단(400)의 구동모터(430)가 작동되면서 모이이송체인(410)이 모이를 끌고가 모이통(100)에 전체적으로 모이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모이공급차단수단(3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판(310)이 전진하여 호퍼(200) 내의 모이저장공간(210) 내에서 횡방향 모이통부(110)의 상면을 차단하여 모이가 횡방향 모이통부(110) 내로 인입되지 않도록 하고 있는 상태에서, 모이를 공급할 때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320)에 의해 차단판(310)이 후진하면서 횡방향 모이통부(110)의 상면을 개방시켜 모이가 횡방향 모이통부(110) 내로 인입되도록 작동된다. 그리고 모이가 횡방향 모이통부(110) 내로 인입될 때는 모이공급수단(400)이 작동되고 있기 때문에 모이이송체인(410)이 모이를 끌고가 모이통(100)에 전체적으로 모이를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은 제어부가 모이통(100)에 모이를 공급할 때와 종계들이 편안하게 모이를 먹을 때 모이공급수단(400)의 속도를 차별적으로 제어한다. 즉, 모이가 모이통(100) 전체로 공급하기 위해 모이이송체인(410)이 처음 1회전 할 때는 모이통(100)에 모이가 균일하게 채워진 상태에서 모든 종계가 같이 모이를 먹을 수 있도록 모이이송체인(410)이 빠르게 작동하여 모이통(100)을 따라 모이가 빠르게 순환하여 종계들이 모이를 쉽게 먹지 못하도록 하고, 모이통(100)에 모이가 전체적으로 채워지면 모이이송체인(410)이 천천히 작동되면서 모이가 모이통(100)을 따라 천천히 순환하면서 모든 종계들이 같이 모이를 먹을 수 있도록 제어한다. 물론, 모이가 모이통(100)에 공급되어 전체적으로 정량이 채워진 상태에서는 모이공급차단수단(300)이 다시 작동하여 도 7과 같이 차단판(310)이 전진해 모이가 횡방향 모이통부(110) 내로 인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에 따라 본 발명은 종계에게 모이를 공급할 때 전체적으로 균일한 정량을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종계 사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같이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케이지 100: 모이통
102: 모이통로 110: 횡방향 모이통부
120: 종방향 모이통부 200: 호퍼
210: 모이저장공간 220: 경사판
230: 나사공 240: 차단판공
300: 모이공급차단수단 310: 차단판
320: 실린더 400: 모이공급수단
410: 모이이송체인 420: 체인기어
430: 구동모터 500: 모이양조절수단
510: 조절판 512: 조절공
520: 고정판 522: 연통공
530: 가압링 540: 고정볼트

Claims (4)

  1. 여러 칸으로 구획되고 복층을 이루도록 설치되며 종계들이 사육되는 아파트형 케이지;
    복층으로 설치되고, 양측과 하부가 막혀 있고 상부가 개구되어 내부에 모이통로가 형성된 덕트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케이지에 모이를 공급할 수 있도록 같은 층에 배치된 케이지를 따라 종방향 모이통부와 횡방향 모이통부가 서로 연결되어 순환 형태로 설치된 모이통;
    수직으로 세워지고,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모이저장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단에는 모이저장공간으로 모이를 투입할 수 있게 투입구가 개구되고, 하단은 모이가 배출되지 않게 막혀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횡방향 모이통부가 모이저장공간의 일부분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위에서 보았을 때 모이저장공간의 일부분은 횡방향 모이통부에 의해 차단되고 나머지 부분은 연통되도록 구성되며, 모이저장공간의 내부에는 다수의 경사판이 설치되되, 경사판의 하단은 모이저장공간 내에 위치하는 횡방향 모이통부의 상면 중간에 위치하고 상단은 횡방향 모이통부보다 상부에서 모이저장공간의 내벽에 고정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호퍼;
    상기 호퍼의 일부분에 설치되어 모이저장공간 내에서 횡방향 모이통부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차단 또는 개방시켜 모이가 횡방향 모이통부 내로 선택적으로 인입되도록 하는 모이공급차단수단;
    상기 호퍼의 투입구로 모이를 공급함과 아울러 모이저장공간 내에서 횡방향 모이통부의 상면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작동시키면 모이저장공간 내에서 횡방향 모이통부 내로 인입되는 모이를 모이통 내로 순환시켜 모이통 전체에 모이가 공급되도록 하는 모이공급수단;
    상기 호퍼에서 모이가 배출되는 횡방향 모이통부에 설치되어, 횡방향 모이통부를 따라 공급되는 모이의 양을 조절하는 모이양조절수단; 및
    상기 호퍼로 모이를 공급하는 수단과 모이공급차단수단과 모이공급수단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 모이공급수단을 통해 모이가 모이통 전체로 공급될 때 모이통에 모이가 균일하게 채워진 상태에서 모든 종계가 같이 모이를 먹을 수 있도록 모이가 모이통에 전체적으로 채워질 때는 모이통을 따라 모이가 빠르게 순환하여 종계들이 모이를 쉽게 먹지 못하도록 하고 모이통에 모이가 전체적으로 채워지면 모이가 모이통을 따라 천천히 순환하면서 모든 종계들이 같이 모이를 먹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체인을 이용한 종계의 모이 정량 공급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이공급차단수단은,
    상기 호퍼의 일면에서 모이저장공간 내로 관통되게 형성된 차단판공과,
    상기 차단판공을 통해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모이저장공간 내로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횡방향 모이통부의 상면을 차단 또는 개방하게 설치된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에 로드가 연결되게 설치되어 로드가 신장되면 차단판이 전진하고 로드가 수축되면 차단판이 후진하게 작동시키는 실린더와,
    상기 차단판의 양측에서 각각 호퍼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내측에 차단판의 단부가 끼워지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차단판이 전진 또는 후진할 때 가이드홈을 따라 안내되어 흔들림없이 이동하도록 잡아주는 가이더브라켓과,
    상기 가이더브라켓의 단부를 연결하게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가 설치되어 지지되는 실린더브라켓을 포함하여,
    상기 차단판이 전진하면 호퍼 내의 모이저장공간으로 삽입되어 횡방향 모이통부의 상면을 차단하여 모이가 횡방향 모이통부 내로 인입되지 않게 하고 후진하면 횡방향 모이통부의 상면을 개방시켜 모이가 횡방향 모이통부 내로 인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체인을 이용한 종계의 모이 정량 공급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이공급수단은,
    상기 모이통의 바닥에 전체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된 모이이송체인과,
    상기 모이이송체인의 일부분에서 모이이송체인에 이맞물림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전하게 되면 이맞물림되어 있는 모이이송체인을 당겨서 일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체인기어와,
    상기 체인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상기 횡방향 모이통부의 상면을 개방시킨 상태에서 작동시키면 모이저장공간 내에서 횡방향 모이통부 내로 인입되는 모이를 모이통을 따라 모이이송체인이 순환하면서 모이를 끌고가 모이통 전체에 모이가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체인을 이용한 종계의 모이 정량 공급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이양조절수단은,
    상기 횡방향 모이통부의 상부에서 호퍼의 외면에 밀착되어 상하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중간에 상하로 긴 장공 형태의 조절공이 관통 형성되며, 하강하였을 때 횡방향 모이통부의 모이통로를 차단하게 설치된 조절판과,
    상기 조절판의 전방에서 조절판의 전면에 밀착되고 횡방향 모이통부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중간에는 상기 조절공과 대응되는 연통공이 관통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호퍼에 연통공과 대응되는 부분에 관통 형성된 나사공과,
    상기 고정판의 전면에 밀착되게 설치된 가압링과,
    상기 가압링을 관통하여 연통공과 조절공을 통해 나사공에 체결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여,
    상기 고정볼트가 나사공에 체결되면서 전진하려는 가압력에 의해 가압링과 고정판이 조절판을 호퍼로 가압하여 조절판이 고정되도록 하고, 고정볼트를 푼 상태에서 조절공이 고정볼트에 가이드되는 방식으로 조절판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켜 모이통로의 바닥과 조절판의 하단 사이의 공간을 조절하여 횡방향 모이통부를 따라 공급되는 모이의 양을 조절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드체인을 이용한 종계의 모이 정량 공급시스템.
KR1020160141903A 2016-10-28 2016-10-28 피드체인을 이용한 종계의 모이 정량 공급시스템 KR101810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903A KR101810570B1 (ko) 2016-10-28 2016-10-28 피드체인을 이용한 종계의 모이 정량 공급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903A KR101810570B1 (ko) 2016-10-28 2016-10-28 피드체인을 이용한 종계의 모이 정량 공급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0570B1 true KR101810570B1 (ko) 2017-12-19

Family

ID=60924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903A KR101810570B1 (ko) 2016-10-28 2016-10-28 피드체인을 이용한 종계의 모이 정량 공급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5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235A (ko) * 2018-02-08 2019-08-19 나완주 아파트형 종계 케이지
KR20210015307A (ko) 2019-08-01 2021-02-10 김태희 종계 음수 첨가용 티백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10071483A (ko) 2019-12-06 2021-06-16 나완주 미세조절이 가능한 체인식 모이공급장치
CN117121842A (zh) * 2023-10-27 2023-11-28 山东四方新域农牧科技股份有限公司 震动式精准喂料设备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235A (ko) * 2018-02-08 2019-08-19 나완주 아파트형 종계 케이지
KR102025932B1 (ko) * 2018-02-08 2019-09-26 나완주 아파트형 종계 케이지
KR20210015307A (ko) 2019-08-01 2021-02-10 김태희 종계 음수 첨가용 티백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210071483A (ko) 2019-12-06 2021-06-16 나완주 미세조절이 가능한 체인식 모이공급장치
KR102298758B1 (ko) 2019-12-06 2021-09-03 나완주 미세조절이 가능한 체인식 모이공급장치
CN117121842A (zh) * 2023-10-27 2023-11-28 山东四方新域农牧科技股份有限公司 震动式精准喂料设备
CN117121842B (zh) * 2023-10-27 2023-12-26 山东四方新域农牧科技股份有限公司 震动式精准喂料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0570B1 (ko) 피드체인을 이용한 종계의 모이 정량 공급시스템
KR101830356B1 (ko) 피드체인을 이용한 종계의 모이 정량 공급시스템
KR100702935B1 (ko) 양계용 사료 공급장치
EP2744326B1 (en) Feeding device and method for feeding poultry, such as cocks, and poultry house provided with such a feeding device
US4722301A (en) Brooder feeding apparatus
US4815417A (en) Brooder feeding apparatus
KR101830355B1 (ko) 피드체인을 이용한 종계의 모이 정량 공급시스템
KR20150089136A (ko) 양계용 케이지의 급수장치
CN107047370B (zh) 一种雏鸡饲育系统
KR101870972B1 (ko) 피드체인을 이용한 종계의 모이 정량 공급시스템
KR101609844B1 (ko) 모돈의 자동 급이장치
KR101401897B1 (ko) 수냉식 사료급이장치
KR20190002068A (ko) 아파트형 양계용 케이지의 사료공급 분배장치
JP6666833B2 (ja) 播種機
KR102025932B1 (ko) 아파트형 종계 케이지
CN113749008A (zh) 一种养禽笼舍的喂料系统
CN208875083U (zh) 一种畜牧业用定量喂食装置
CN212487893U (zh) 一种畜牧养殖用喂食装置
US20220095592A1 (en) Controlled Pan Feeder for Distribution of Livestock Feed
JP2002034383A (ja) 飼料定量切り出し装置
JP3887215B2 (ja) 養殖用給餌装置
CN206658827U (zh) 一种阶梯式喂料机
CN110679511A (zh) 一种能够自动下料的家禽喂食装置
JPH06327373A (ja) 養鶏用給餌方法及び給餌装置
KR890008605Y1 (ko) 양계장용 사료의 자동 급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