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200B1 - 다목적 선별기 - Google Patents

다목적 선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200B1
KR102259200B1 KR1020190095836A KR20190095836A KR102259200B1 KR 102259200 B1 KR102259200 B1 KR 102259200B1 KR 1020190095836 A KR1020190095836 A KR 1020190095836A KR 20190095836 A KR20190095836 A KR 20190095836A KR 102259200 B1 KR102259200 B1 KR 102259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screw
interval
guid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5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7113A (ko
Inventor
박형석
Original Assignee
박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석 filed Critical 박형석
Priority to KR1020190095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200B1/ko
Publication of KR20210017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7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07B13/07Apparatus in which aggregates or articles are moved along or past openings which increase in size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일을 비롯하여 특정 해산물의 크기를 선별할 수 있도록 만든 스크류 타입 선별기를 개량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것은, 마주하는 한쌍의 스크류봉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하여 스크류봉 사이에 선별간격이 형성되는 선별통로를 형성하고, 선별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피선별물이 해당선별 간격에서 밑으로 떨어지게 구성하는 선별기에 있어서, 선별간격 하측에 낙하 간격조절용 롤러를 배치하고, 스크류봉 상면으로 피선별물이 선별통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6각봉으로 되어 스크류봉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가이드를 장치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한 선별이 달성되게 한 다목적 선별기이다.

Description

다목적 선별기{multi-purpose screening machine}
본 발명은 과일을 비롯하여 특정 해산물의 크기를 선별할 수 있도록 만든 스크류 타입 선별기를 개량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것은, 마주하는 한쌍의 스크류봉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하여 스크류봉 사이에 선별간격이 형성되는 선별통로를 형성하고, 선별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피선별물이 해당선별 간격에서 밑으로 떨어지게 구성하는 선별기에 있어서, 선별간격 하측에 낙하 간격조절용 롤러를 배치하고, 스크류봉 상면으로 피선별물이 선별통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6각봉으로 되어 스크류봉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가이드를 장치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안전한 선별이 달성되게 한 것이다.
종래의 농산물 선별기에 주로 사용되고 있는 스크류 타입 선별기는 봉체 표면에 스크류돌조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스크류봉을 투입구 쪽이 좁고, 배출부쪽이 점차 넓어지게 배치하여 스크류봉 사이에 선별간격이 형성되는 선별통로를 형성하고, 선별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피선별물이 해당 선별간격에 당도하면 아래로 낙하하여 선별간격 하측에 배치한 경사판의 안내홈통을 거쳐 수집용기에 모이도록 되어 있고, 스크류봉은 다열을 설치하여 복수의 선별통로를 형성함으로써, 한꺼번에 많은 피선별물을 각각의 선별통로로 통과시켜서 선별을 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스크류봉 사이에 형성되는 선별간격에 의하여 비교적 원활한 선별이 가능한 효과를 얻고 있는 실정에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스크류 타입의 선별기는 선별통로가 경사를 이루기 때문에 선별통로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피선별물이 선별통로를 이탈하는 일이 잦아 스크류봉 상면에 가림판을 설치하는데, 가림판이 판체로 되어 있어서 이동하는 피선별물이 가림판에 충돌하면 과일과 같은 피선별물은 쉽게 상처를 입어 신선도를 해치게 되는 불편이 있다.
또, 스크류타입의 선별기는 스크류봉 사이에 형성되는 선별간격 하단이 안내홈통 쪽으로 개방되어 있으므로, 선별간격을 통과하여 밑으로 떨어져 경사판에 닿는 단계에서 과도한 낙하충격을 받게 되므로 피선별물이 손상되는 일이 발생하는 불편이 있었다.
선행기술 공개특허공보 10-2015-0085933
본 발명은 상기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다.
본 발명은 표면에 스크류돌조가 형성된 스크류봉 두개를 피선별물이 공급되는 투입구쪽의 간격이 좁고, 배출부쪽으로 간격이 점차 넓게 형성되도록 배치하여 선별간격이 형성되게 하고, 투입구 쪽에서 배출부쪽으로 경사지게 선별통로를 형성하여 각 스크류봉은 선별통로 내측에서 바깥쪽으로 회전시키고, 두개의 스크류봉 사이에 형성되는 선별통로에 피선별물을 통과시켜 이동하는 피선별물이 해당선별 간격에서 밑으로 낙하하도록 한 선별기에 있어서,
스크류봉 사이에 형성되는 선별통로의 낙하간격 하측중간부에 길이방향으로 낙하간격조정용 롤러를 배치하여 선별간격에서 경사판으로 떨어지는 피선별물의 낙하높이를 조정하여 낙하충격이 작은 안전한 낙하가 이루어지게 하고, 스크류봉 상면에 6각봉으로 된 가이드를 장치하여 선별통로에서 바깥쪽으로 회전되게 함으로써, 피선별물이 선별통로를 따라 이동할 때, 선별통로에서 이탈되는 일이 없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두개의 스크류봉 사이에 형성된 선별통로로 피선별물을 통과시키게 되면, 스크류봉 사이를 이동하는 피선별물이 외경이 스크류봉 사이에 형성된 선별간격과 일치하는 위치에 당도할 때, 밑으로 떨어지고, 떨어지는 피선별물은 선별간격 하측에 배치된 낙하간격조정롤러 상면에 접촉하면서 아래로 떨어지게 되므로 간격을 통과하여 경사판으로 떨어지는 단계에서 피선별물이 받는 낙하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고, 낙하간격조정롤러는 그 위치를 상하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피선별물의 크기에 맞추어 낙하간격을 미세조정할 수 있게 되므로, 피선별물에 적합한 낙하간격을 구성할 수 있게 되어, 안전한 선별을 확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별통로를 구성하는 스크류봉의 상단부에 6각봉으로 된 가이드를 장치하여 선별통로 내측에서 바깥쪽으로 회전하게 함으로써, 선별통로를 따라 이동하는 피선별물이 선별 통로에서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복수의 선별통로를 다열로 형성할 때, 각 선별통로의 독립성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선별을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각종 과일을 비롯하여 멍게와 같은 수산물의 선별도 가능하게 되므로 활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스크류봉 구동부를 보이기 위해 덮개를 분리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가이드 구동부를 보이기 위해 덮개를 분리한 예시도
도 4는 도 1의 평면도
도 5는 도 1의 정면도
도 6은 도 2의 스크류봉 구동장치 예시도
도 7은 도 3의 가이드구동장치 예시도
도 8은 도 4의 가-가'선단면도
도 9는 낙하간격조정롤러 지지축지지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장치대(1) 상면에 봉체(20)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스크류돌조(20a)를 형성한 스크류봉(2)을 두개가 한조를 이루게 설치하되, 피선별물이 공급되는 공급통(3)의 배출구(3a)와 연결되는 투입구쪽은 간격이 좁고 반대측인 배출부쪽으로 향해 점차 간격이 넓어지게 장치하여 선별간격을 형성하고, 선별간격을 따라 선별통로(가)를 형성하며, 각 선별통로에 배치된 스크류봉(2) 회전축(2a)은 장치대의 축잡이에 지지하여 스크류봉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이동형 축잡이로 구성하고, 마주하는 스크류봉은 선별통로 내측에서 바깥쪽으로 회전할 수 있게 각 스크류봉의 회전축에 체인스프로킷(2b)을 장치하여 체인벨트(4)로 구동시키고, 선별통로 하측에 경사판(5)를 장치하며, 선별간격으로 낙하하는 피선별물이 경사판을 거쳐 안내홈통(5a)으로 배출되게 하는 선별기에 있어서,
두개의 스크류봉(2)이 형성하는 선별통로(가) 입구측과 배출부측 장치대에 각각 낙하간격 중간부가 되는 위치를 선택하여 세로방향으로 길이가 긴 안내공(6b)을 마주보게 형성하고, 안내공(6b) 하단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편(7)을 형성하여 돌출편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암나사공(7a)을 뚫어 상단에 지지축(6a) 지지부(8a)가 형성된 조정볼트(8)를 나사끼움하여 고정너트(8b)로 결합하고, 선별통로(가) 하방에 낙하간격조정롤러(6)를 장치하여 양측 지지축(6a)을 장치대(1)의 안내공(6b)을 통해 외부로 돌출시켜, 지지축(6a) 끝이 돌출편(7)의 암나사공(7a)에 장치된 조정볼트(8) 상단 지지축지지부(8a)에 적층되어 지지되게 하므로, 상하높이를 조정할 수 있게 하고, 스크류봉(2)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6각형으로 된 가이드(9)를 배치하여 가이드(9)의 양측 회전축(9a)을 장치대에 형성한 축잡이(9c)를 통해 외부로 돌출시키고, 회전축(9a)에 체인스크로킷(9b)을 부착하여 체인벨트(9d)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가이드(9)가 스트류봉 상면에서 선별통로 내측에서 바깥쪽으로 회전되게 한 구성이다.
1 : 장치대 2 : 스크류봉
2a : 회전축 2b : 체인스프로킷
3 : 공급통 3a : 배출구
4 : 체인벨트 5 : 경사판
5a : 안내홈통 6 : 낙하간격조정롤러
6a : 지지축 6b : 안내공
7 : 돌출편 7a : 암나사공
8 : 조정볼트 8a : 지지축지지부
8b : 고정너트 9 : 가이드
9a : 회전축 9b : 스프로킷
9c : 축잡이 9d : 체인벨트
20 : 봉체 20a : 스크류돌조

Claims (1)

  1. 장치대(1) 상면에 봉체(20)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스크류돌조(20a)를 형성한 스크류봉(2)을 두개가 한조를 이루게 설치하되, 피선별물이 공급되는 공급통(3)의 배출구(3a)와 연결되는 투입구쪽은 간격이 좁고 반대측인 배출부쪽으로 향해 점차 간격이 넓어지게 장치하여 선별간격을 형성하고, 선별간격을 따라 선별통로(가)를 형성하며, 각 선별통로에 배치된 스크류봉(2) 회전축(2a)은 장치대의 축잡이에 지지하여 스크류봉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이동형 축잡이로 구성하고, 마주하는 스크류봉은 선별통로 내측에서 바깥쪽으로 회전할 수 있게 각 스크류봉의 회전축에 체인스프로킷(2b)을 장치하여 체인벨트(4)로 구동시키고, 선별통로 하측에 경사판(5)를 장치하며, 선별간격으로 낙하하는 피선별물이 경사판을 거쳐 안내홈통(5a)으로 배출되게 하는 선별기에 있어서,
    두개의 스크류봉(2)이 형성하는 선별통로(가) 입구측과 배출부측 장치대에 각각 낙하간격 중간부가 되는 위치를 선택하여 세로방향으로 길이가 긴 안내공(6b)을 마주보게 형성하고, 안내공(6b) 하단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편(7)을 형성하여 돌출편 중앙에 상하방향으로 암나사공(7a)을 뚫어 상단에 지지축(6a) 지지부(8a)가 형성된 조정볼트(8)를 나사끼움하여 고정너트(8b)로 결합하고, 선별통로(가)에 형성된 선별간격 중앙부 하측에 낙하간격조정롤러(6)를 장치하여 양측 지지축(6a)을 장치대(1)의 안내공(6b)을 통해 외부로 돌출시켜, 지지축(6a) 끝이 돌출편(7)의 암나사공(7a)에 장치된 조정볼트(8) 상단 지지축지지부(8a)에 적층되어 지지되게 하고, 스크류봉(2)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6각형으로 된 가이드(9)를 배치하여 가이드(9)의 양측 회전축(9a)을 장치대에 형성한 축잡이(9c)를 통해 외부로 돌출시키고, 회전축(9a)에 체인스크로킷(9b)을 부착하여 체인벨트(9d)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가이드(9)가 스트류봉 상면에서 선별통로 내측에서 바깥쪽으로 회전되게 한 다목적 선별기.
KR1020190095836A 2019-08-07 2019-08-07 다목적 선별기 KR1022592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836A KR102259200B1 (ko) 2019-08-07 2019-08-07 다목적 선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5836A KR102259200B1 (ko) 2019-08-07 2019-08-07 다목적 선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113A KR20210017113A (ko) 2021-02-17
KR102259200B1 true KR102259200B1 (ko) 2021-05-31

Family

ID=74732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5836A KR102259200B1 (ko) 2019-08-07 2019-08-07 다목적 선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20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6318A (ko) 2021-03-08 2022-09-16 주식회사 금주마리너 멍게 선별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5933A (ko) 2014-01-17 2015-07-27 박윤희 농산물 선별기
KR200480080Y1 (ko) * 2014-09-02 2016-04-14 권익삼 벨트형 농산물 선별기
KR20160001102U (ko) * 2014-09-25 2016-04-04 권익삼 농산물 선별기의 선별롤러 간격조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7113A (ko) 202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1742B1 (ko) 과일 자동분류장치
KR102259200B1 (ko) 다목적 선별기
KR101752186B1 (ko) 마늘 선별기
CN107555372B (zh) 一种卧式旋盖整理设备
KR101932607B1 (ko) 다양한 크기 및 종류의 과일을 선별할 수 있는 과일 선별기
KR20150078718A (ko) 농산물 선별기
US10576504B2 (en) Gyratory sifter side fines chutes
KR101530890B1 (ko) 회전식 고속선별기
KR200480081Y1 (ko) 농산물 선별기
US6814211B2 (en) Slide for sorting machine
US4498576A (en) Product conveyor lane divider
CN103357569A (zh) 腰果果仁分级机
KR200480080Y1 (ko) 벨트형 농산물 선별기
KR20160148175A (ko) 농산물 선별기
TWM498630U (zh) 顆粒狀物品選別分級機
KR100590595B1 (ko) 입상형 작물의 영상획득장치, 작물분배장치 및 입상형작물을 선별하기 위한 작물선별장치
CN208303022U (zh) 一种筛选机
KR100639257B1 (ko) 생새우의 선별장치
KR101974428B1 (ko) 웜 분류 시스템
KR100460538B1 (ko) 농산물 선별기
US2209268A (en) Stone picker for self-feeders of threshing machines
US3439791A (en) Machine for feeding apricots one at a time single file from a bulk supply
KR200346440Y1 (ko) 전자부품용 핀 선별장치
CN108325859A (zh) 一种水果规格分选机
CN220547290U (zh) 果品分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