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102U - 농산물 선별기의 선별롤러 간격조정장치 - Google Patents

농산물 선별기의 선별롤러 간격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102U
KR20160001102U KR2020140006978U KR20140006978U KR20160001102U KR 20160001102 U KR20160001102 U KR 20160001102U KR 2020140006978 U KR2020140006978 U KR 2020140006978U KR 20140006978 U KR20140006978 U KR 20140006978U KR 20160001102 U KR20160001102 U KR 201600011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ing
roller
screw
main body
sort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9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익삼
Original Assignee
권익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익삼 filed Critical 권익삼
Priority to KR20201400069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102U/ko
Publication of KR201600011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10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07B13/07Apparatus in which aggregates or articles are moved along or past openings which increase in size in the direction of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42Drive mechanisms, regulating or controlling devices, or balanc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Landscapes

  • Sorting Of Article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산물 선별기의 선별롤러 간격을 선별할 농산물 크기에 맞추어 조정하는 간격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것은, 선별기본체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장치되고 선별할 농산물이 공급되는 공급부쪽이 높고 배출부쪽이 낮게 경사를 지워 배치하고, 또한 다열의 선별롤러는 중앙부에 장치된 선별롤러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각각 배치된 제1,제2,제3의 선별롤러의 축봉을 선별기본체의 전후 벽체에 형성한 안내횡공으로 관통시키고 안내횡공을 관통하여 돌출된 선별롤러 축봉을 지지구에 끼워 지구베어링으로 지지시킨 다음 각 지지구의 상면에 연결편을 부착하여 연결편의 돌출단부를 선별기본체 전후벽에 형성한 안내횡공과 대응되는 높이에서 안내횡공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양단부가 선별기 본체의 축잡이에 끼워져 지구베어링으로 지지되고 표면에 중앙부의 선별롤러 양측에 배치된 제1,제2,제3의 선별롤러가 결합하는 동일 나사홈규격을 가지도록 좌나사부와 우나사부를 양측에 배치하고, 좌나사부와 우나사부의 나사홈은 제1선별롤러가 결합하는 제1나사부를 기준으로 나사의 핏치가 2배, 3배로 커지면서 일정길이의 나사부를 가지도록 제1나사부와 제2나사부와 제3나사부가 구분되게 형성한 조절나사봉의 나사홈에 연결돌기가 결합된 이동자의 상면에 결합하여 조절나사봉을 회전시키므로서 제1,제2,제3 선별롤러 중앙부 선별롤러쪽으로 모아지거나 벌어지는 간격조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농산물 선별기의 선별롤러 간격조정장치이다.

Description

농산물 선별기의 선별롤러 간격조정장치{Sorting of agricultural machinery sorting roller spacing device}
본 고안은 농산물 선별기의 선별롤러 간격을 선별할 농산물 크기에 맞추어 조정하는 간격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것은, 선별기본체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다열의 선별롤러를 선별기본체의 양측벽에 형성한 안내횡공으로 관통시켜 안내횡공 외측으로 돌출된 축봉에 지지구를 끼워 연결편을 결합하고 각 연결편의 돌출단부를 선별기 양측벽에 형성된 안내횡공과 대응되는 높이에서 선별롤러 양단축봉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장치되고 표면에 좌나사부와 우나사부가 양측으로 나누어져 배치되며, 각 나사부는 핏치 간격이 1,2,3의 비율로 길어지게 일정길이의 나사부가 형성된 조절나사봉의 나사홈에 연결돌기가 결합된 이동자의 상면에 결합하여 조절나사봉을 회전시킴에 따라 다열의 선별롤러 간격이 중간부 선별롤러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다수의 선별롤러 간격이 동시에 조절이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종래의 농산물 선별기에 장치된 선별롤러 간격조절장치는 선별롤러 축봉끝을 이동축대에 장치한 축잡이에 지지시키고 이동축대에 형성한 나사구멍에 나사봉을 결합하여 나사봉을 회전시킴으로써, 이동축대가 이동되어 롤러간격이 조정되도록 하거나(실용신안등록 공고 20-0162604호)롤러 축봉끝에 부착된 베어링하우스에 너트를 부착하고, 스크류축의 나사홈에 너트를 결합하여 스크류축을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롤러간격을 조정하게한 것이라 중앙부 선별롤러를 기준으로 양측에 설치된 다수의 선별롤러 간격을 동시에 좁히거나 늘일 수 없는 불편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다.
본 고안은 선별기본체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장치되고 선별할 농산물이 공급되는 공급부쪽이 높고 배출부쪽이 낮게 경사를 지워 배치하고, 또한 다열의 선별롤러는 중앙부에 장치된 선별롤러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각각 배치된 제1,제2,제3의 선별롤러의 축봉을 선별기본체의 전후 벽체에 형성한 안내횡공으로 관통시키고 안내횡공을 관통하여 돌출된 선별롤러 축봉을 지지구에 끼워 지구베어링으로 지지시킨 다음 각 지지구의 상면에 연결편을 부착하여 연결편의 돌출단부를 선별기본체 전후벽에 형성한 안내횡공과 대응되는 높이에서 안내횡공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양단부가 선별기 본체의 축잡이에 끼워져 지구베어링으로 지지되고 표면에 중앙부의 선별롤러 양측에 배치된 제1,제2,제3의 선별롤러가 결합하는 동일 나사홈규격을 가지도록 좌나사부와 우나사부를 양측에 배치하고, 좌나사부와 우나사부의 나사홈은 제1선별롤러가 결합하는 제1나사부를 기준으로 나사의 핏치가 2배, 3배로 커지면서 일정길이의 나사부를 가지도록 제1나사부와 제2나사부와 제3나사부가 구분되게 형성한 조절나사봉의 나사홈에 연결돌기가 결합된 이동자의 상면에 결합하여 조절나사봉을 회전시키므로서 제1,제2,제3 선별롤러 중앙부 선별롤러쪽으로 모아지거나 벌어지는 간격조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선별기본체 상면에 중앙부 선별롤러를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제1,제2,제3 선별롤러가 장치되어 각 선별롤러의 축봉이 선별기본체에 형성된 안내횡공으로 관통되고 안내횡공을 관통하여 돌출된 축봉은 지지구에 결합하여 지지구 상면을 연결편에 연결하고, 연결편의 돌출단부를 조절나사봉의 좌우나사부에 형성된 제1,제2,제3 나사부에 결합된 이동자와 결합하고, 제1,제2,제3 나사부의 나사홈 핏치는 제1나사부를 기준했을때 제2,제3 나사부의 나사홈 핏치가 2배, 3배 비율로 길어지면서 일정길이의 나사부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조절나사봉을 회전시키면 중앙부 선별롤러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배치된 제1,제2,제3 선별롤러 간격 동시에 좁히거나 넓어지게 조절되면서 제1선별롤러 보다 제2,제3 선별롤러의 조정거리가 2배, 3배로 이루어져 중앙부 선별롤러를 기준으로 제1,제2,제3 선별롤러의 이동간격을 같은 폭으로 넓히거나 좁힐 수 있는 이점이 있고, 또, 조절나사봉의 나사부에 결합된 이동자는 나사홈 양측에서 연결돌기가 결합되어 나사홈을 따라 이동되므로 이동동작이 안정되는 이점이 있고, 선별롤러의 축봉에 결합된 지지구는 선별롤러 축봉과 지지구 사이에 지구베어링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자가 조절나사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때 선별롤러축봉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각도편차를 무난하게 해소할 수 있게 되는바 조절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사시도
도 3은 선별롤러 일예시도
도 4는 선별롤러 연결편 부분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조립상태 예시도
도 6은 도 1의 일부 확대도
도 7은 구동체인 예시도
도 8은 지구베어링 확대도이다.
본 고안은 선별기본체(1)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농산물공급부(1a)가 있는 쪽의 높이가 높고 그 반대측인 배출부쪽이 낮게 경사를 이루도록 다열의 선별롤러가 장치되어 중앙부에 배치되는 중앙부선별롤러(2) 양측으로 각각 제1,제2,제3의 선별롤러(2a)(2a')(2b)(2b')(2c)(2c')가 배치되고, 각 선별롤러의 양측 축봉(2')은 선별기본체에 형성된 안내횡공(1')(1")으로 관통시켜 안내횡공 외측으로 돌출된 축봉을 안내횡공(1')(1") 상측에 형성된 안내홈(101)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수평안내돌기(3a)가 형성된 지지구(3)에 형성된 축공(3b)에 끼워 지구베어링(B)을 개입하여 지지시키고, 지지구(3) 상면에 일정각도를 가지는 연결자(4)를 부착하여 연결자(4)의 돌출단을 선별기본체(1)의 외측에서 안내횡공(1")(1")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양단 축부가 선별기본체의 축잡이(1c)(1d)에 형성된 축공에 삽입되어 지구베어링(B)으로 지지되는 회전축(5) 외면에 끼워져서 중앙부 선별롤러가 있는 중앙부(6a)를 중심으로 좌우측에 나사홈의 폭이 동일한 우나사부(6b)와, 좌나사부(6c)로 형성하고, 좌우나사부에는 또 제1선별롤러에 연관하는 제1나사부(가)(가')와, 제2선별롤러에 연관하는 제2나사부(나)(나')와, 제3선별롤러에 연관하는 제3나사부(다)(다')를 구분되게 형성하여 제2나사부와 제3나사부의 나사홈핏치가 제1나사부 핏치를 1로 했을 때 2배,3배로 길어지면서 일정길이의 나사부를 형성하도록 한 조절나사봉(6)에 결합된 이동자(7)의 상면에 부착하고 이동자(7)의 양측벽에서 나사홈을 향해 연결돌기(7a)(7b)가 돌출되어 나사홈에 결합하게한 구성이다.
본 고안의 조절나사봉(6)은 직경 45mm이고, 총길이 800mm 되는 파이프 표면에 좌우나사부(6b)(6c)를 구성하고, 나사홈은 나사홈 폭과 깊이가 4mm 이고, 제1나사부의 핏치는 8mm 이며, 제1나사부의 길이가 90mm 이고, 제2나사부의 핏치는 16mm 이며, 제2나사부의 길이가 130mm 이고, 제3나사부의 핏치는 24mm 이며, 제3나사부의 길이는 170mm로 하여 실시하였다.
그리고 회전축(5)은 일단에 기어를 부착하고, 손잡이가 달린 구동축의 기어와 접촉시켜서 수동으로 구동시키게 된다.
1 : 선별기본체 1'1" : 안내횡공
1a : 농산물공급부 1c,1d : 축잡이
2 : 중앙부선별롤러 2a,2a' : 제1선별롤러
2b,2b' : 제2선별롤러 2c,2c' : 제선별롤러
3 : 지지구 3a : 수평안내돌기
3b : 축공 4 : 연결자
5 : 회전축 6 : 조절나사봉
6a : 중앙부 6b : 우사나사부 6c : 좌나사부 7 : 이동자
7a,7b : 연결돌기 101 : 안내홈
B : 지구베어링 가,가' : 제1나사부
나,나' : 제2나사부 다,다' : 제3나사부

Claims (1)

  1. 선별기본체(1)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며, 선별할 농산물이 공급되는 농산물공급부(1a)가 있는 쪽의 높이가 높고 그 반대측인 배출부쪽이 낮게 경사를 이루도록 다열의 선별롤러가 장치되되 중앙부에 배치되는 중앙부선별롤러(2), 양측으로 제1선별롤러(2a)(2a'), 제2선별롤러(2b)(2b'), 제3선별로러(2c)(2c')가 배치되어 각 선별롤러의 양측 축봉을 선별기본체의 안내횡공(1')(1")으로 관통시켜 안내횡공 외측으로 돌출되게 한 다열의 선별롤러와,
    선별기본체의 안내횡공(1')(1") 상측에 형성된 안내홈(101)에 수평안내돌기(3a) 삽입되어 안내횡공 방향으로 슬라이드되고, 선별롤러 축봉이 관통되는 축공(3b)에 지구베어링(B)이 개입되어 선별롤러를 지지하는 지지구(3)와,
    지지구(3) 상면에 내측단이 부착되고 지지구에서 바깥쪽으로 일정한 각도를 가지며 돌출단이 이동자(7)에 부착되는 연결자(4)와,
    선별기본체(1)의 외측에서 안내횡공(1')(1")과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양단 축부가 선별기본체의 축잡이(1c)(1d)에 형성된 축공에 삽입되어 지구베어링(B)으로 지지되는 회전축(5) 외면에 끼워져서 중앙부 선별롤러와 마주하는 중앙부(6a)를 중심으로 양측에 동일 나사홈 규격을 가지는 우나사부(6b)와, 좌나사부(6c)를 형성하고 좌우나사부에는 또 제1선별롤러가 결합하는 제1나사부(가)(가')와 제2선별롤러가 결합하는 제2나사부(나)(나')와 제3선별롤러가 결합하는 제3나사부(다)(다')를 구분되게 형성하여 제2,제3 나사부의 나사홈 핏치는 제1나사부의 나사홈핏치를 1로 했을 때 2배 3배로 길어지게 핏치간격을 형성하여 일정길이를 가지도록 나사부를 형성시킨 조절나사봉(6)과,
    조절나사봉(6)의 나사부에 결합되어 양측벽에서 나사홈을 향해 연결돌기(7a)(7b)가 돌출되어 나사홈에 결합하는 이동자(7)로 구성된 농산물 선별기의 선별로러 간격조정장치
KR2020140006978U 2014-09-25 2014-09-25 농산물 선별기의 선별롤러 간격조정장치 KR2016000110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978U KR20160001102U (ko) 2014-09-25 2014-09-25 농산물 선별기의 선별롤러 간격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978U KR20160001102U (ko) 2014-09-25 2014-09-25 농산물 선별기의 선별롤러 간격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102U true KR20160001102U (ko) 2016-04-04

Family

ID=55790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978U KR20160001102U (ko) 2014-09-25 2014-09-25 농산물 선별기의 선별롤러 간격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102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40635A (zh) * 2016-08-03 2016-11-23 衢州乐创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箱型柑桔等级分类机
KR20210017113A (ko) * 2019-08-07 2021-02-17 박형석 다목적 선별기
KR20210153876A (ko) 2020-06-11 2021-12-20 최석현 간격 조절형 농수산물 선별기
KR102437134B1 (ko) * 2021-11-17 2022-08-29 장해욱 농수산물 크기 선별기
CN116984236A (zh) * 2023-09-26 2023-11-03 河南太行重型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矿料筛分的香蕉筛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40635A (zh) * 2016-08-03 2016-11-23 衢州乐创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箱型柑桔等级分类机
KR20210017113A (ko) * 2019-08-07 2021-02-17 박형석 다목적 선별기
KR20210153876A (ko) 2020-06-11 2021-12-20 최석현 간격 조절형 농수산물 선별기
KR102437134B1 (ko) * 2021-11-17 2022-08-29 장해욱 농수산물 크기 선별기
CN116984236A (zh) * 2023-09-26 2023-11-03 河南太行重型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矿料筛分的香蕉筛
CN116984236B (zh) * 2023-09-26 2023-12-19 河南太行重型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矿料筛分的香蕉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1102U (ko) 농산물 선별기의 선별롤러 간격조정장치
DE10350623B3 (de) Vorrichtung zum Vereinzeln von flachen Sendungen in stehender Position aus einem Sendungsstapel
EP0218550B1 (de) Vorrichtung zum Vereinzeln und zum Zuführen von länglichen Nahrungsmittelprodukten zu einer Verpackungsmaschine
KR101554578B1 (ko) 농산물 선별기의 선별롤러 간격 조정장치
KR20130005816A (ko) 다용도 자동선별기에서 스크류 로울러의 간격조정장치 및 이탈방지장치.
CH665410A5 (de) Vorrichtung zum beschicken einer verarbeitungseinrichtung fuer biegsame, flaechige erzeugnisse, insbesondere druckprodukte.
WO2017060198A1 (de) Ausrichtungsstation zum ausrichten von in einem fördersystem beförderten fördergut
EP1925575A1 (de) Fördermittel und automatische Transportstrecke für zylindrische Körper
JP2001122432A (ja) 小物部品用供給装置及び搬送チャンネル
KR200480080Y1 (ko) 벨트형 농산물 선별기
DD227038A5 (de) Vorrichtung zum gleichrichten von fischen
DE60102742T2 (de) Halter zum Positionieren von Einheiten die Textilfasern strecken und verdichten
EP3380420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einzeln und/oder prüfen von behältern
WO2019076772A1 (de) Fördervorrichtung
KR102259200B1 (ko) 다목적 선별기
DE20309072U1 (de) Vorrichtung zum Schlingen eines U-förmigen Teiglings zur Brezelform
CN110022996B (zh) 用于分级系统的调节机构
AT389857B (de) Vereinzelungsvorrichtung fuer rundhoelzer
DE102011050375B4 (de) Vorrichtung zum Schlingen von Teigrohlingen
DE102006044371A1 (de) Förderbandmodul mit einer oder mehreren Rollen
CN109185407A (zh) 一种用于自动输送机的皮带轮张紧机构
DE4202735A1 (de) Vorrichtung zum richten von flaechigen stanzteilen aus metall
CH667857A5 (de) Vibrationsfoerdereinrichtung.
DE3048231A1 (de) Vorrichtung zum transport, ausrichten und aneinanderreihen von runden laenglichen gegenstaenden
DE102017006620A1 (de) Verpackungsmaschinen-Förder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Tub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