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5188B1 - 계량포장장치 - Google Patents

계량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5188B1
KR100345188B1 KR1020000045307A KR20000045307A KR100345188B1 KR 100345188 B1 KR100345188 B1 KR 100345188B1 KR 1020000045307 A KR1020000045307 A KR 1020000045307A KR 20000045307 A KR20000045307 A KR 20000045307A KR 100345188 B1 KR100345188 B1 KR 100345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lever
input hopper
weight
discharge h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5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3803A (ko
Inventor
추문효
Original Assignee
추문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문효 filed Critical 추문효
Priority to KR1020000045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5188B1/ko
Publication of KR20000063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3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5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51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00Packaging fluent solid material, e.g. powders, granular or loose fibrous material, loose masses of small articles, in individual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or jars
    • B65B1/04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 B65B1/06Methods of, or means for, filling the material in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by gravity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43/00Forming, feeding, opening or setting-up containers or receptacle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43/42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 B65B43/46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 B65B43/465Feeding or positioning bags, boxes, or cartons in the distended, opened, or set-up state; Feeding preformed rigid containers, e.g. tins, capsules, glass tubes, glasses, to the packaging position; Loca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t the filling position; Support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during the filling operation using grippers fo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량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입호퍼로 투입되는 사료나 비료 등의 내용물의 낙하거리를 감소시켜서 내용물이 과다하게 저장포대로 투입되는 것을 신속하게 차단하여 정확한 계량을 할 수 있으며, 저장포대에 저장된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작동하는 지렛대부를 항상 정확한 위치에서 작동하도록 구성하여 지렛대부의 오작동에 의한 계량오차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계량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이송컨베이어(40)를 거쳐 이송된 내용물이 투입되는 투입호퍼(10)와, 상기 투입호퍼(10)의 하측방에서 투입호퍼(10)와 연통되고 하중에 의하여 상하로 슬라이드 되는 배출호퍼(20)와, 상기 배출호퍼(20)의 중단 양측방에 설치되어 개폐실린더(28)와 간격유지로드(29)의 작동으로 배출호퍼(20)를 개폐하고 저장포대(45)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하는 포대집게부(25)와, 상기 투입호퍼(10)와 배출호퍼(20)를 연계하여 저장포대(45)에 저장된 내용물의 하중에 의하여 승하강하며 측방으로 웨이트(33)를 걸 수 있는 계량레버(31)가 돌출된 지렛대부(30)와, 상기 배출호퍼(2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지렛대부(30)의 일측 끝단 상부에 얹혀져서 배출호퍼(20)와 지렛대부(30)가 연동되도록 연결하는 승하강작동구(21)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투입호퍼(10)의 내부에는 투입호퍼(10)의 하단을 개폐하는 한 쌍의 개폐게이트(11)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투입호퍼(10)의 외측면에는 상기 개폐게이트(11)의 게이트축(12)을 회동시키는 게이트실린더(14)가 설치되며,상기 지렛대부(30)에는 일측 끝단에 원뿔형상의 승하강추(37)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하부로 개방된 원추홈(36a)이 형성된 위치고정구(36)를 설치하고, 상기 투입호퍼(10)의 외벽 하단에는 상기 위치고정구(36)에 형성된 원추홈(36a)을 지지하는 중심추(18)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호퍼(20)에 일단이 고정된 승하강작동구(21)의 상단에는 원추홈(22b)이 하부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누름구(22)를 지렛대부(30)의 승하강추(37)에 얹혀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계량포장장치{A weighing and packing machine}
본 발명은 계량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투입호퍼로 투입되는 사료나 비료 등의 내용물의 낙하거리를 감소시켜서 내용물이 과다하게 저장포대로 투입되는 것을 신속하게 차단하여 정확한 계량을 할 수 있으며, 저장포대에 저장된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작동하는 지렛대부를 항상 정확한 위치에서 작동하도록 구성하여 지렛대부의 오작동에 의한 계량오차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계량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내용물을 계량하여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계량포장장치는 공개실용신안공보 제 99-6466호(고안의 명칭 : 거름정량 포장장치)에 알려져 있으며, 이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며, 도 3a는 도 1의 "A"부를 학대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거름정량 포장장치의 구성은,이송컨베이어(40)를 거쳐 이송된 거름이 투입되는 투입호퍼(10)와, 상기 투입호퍼(10)의 하측방에 위치하여 하중에 의하여 상하로 슬라이드 되는 배출호퍼(20)와, 상기 배출호퍼(20)의 중단 양측방에 설치되어 저장포대(45)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하는 포대집게부(25) 및 상기 투입호퍼(10)와 배출호퍼(20)를 연계하며 저장포대(45)에 저장된 거름의 하중에 의하여 작동하는 지렛대부(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투입호퍼(10)와 배출호퍼(20)는 서로 연통되어 있고, 상기 포대집게부(25)는 개폐실린더(28)의 개폐작용에 의해 저장포대(45)를 집어서 고정할 수 있으며, 상기 지렛대부(30)의 전방측으로는 다양한 하중을 지닌 웨이트(33)를 걸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 개의 행거공(31a)이 계량레버(31)가 돌출되어 있고, 지렛대부(30)의 일측단은 상기 배출호퍼(20)에 연결된 승하강작동구(21)와 연동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에서 지렛대부(30)에는 투입호퍼(10)의 내벽에 고정되어 있는 위치고정구(16)의 상부에 얹혀지도록 원뿔형상의 중심추(35)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지렛대부(30)의 끝단에는 승하강작동구(21)의 최상단에 위치한 누름구(22)의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원뿔형상의 승하강추(37)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에서 위치고정구(16)는 상부로 개방된 V홈(16a)이 형성되어 상기 V홈(16a)에 중심추(35)가 얹혀지도록 지지하며, 상기 누름구(22)에는 하부로 개방된 V홈(22a)이 형성되어 상기 V홈(22a)이 승하강추(37)에 얹혀져 있다.
즉, 전체적으로 지렛대부(30)가 투입호퍼(10)의 위치고정구(16)에 얹혀져서좌우로 균형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렛대부(30)는 계량레버(31)에 걸린 웨이트(33)의 하중과 승하강작동구(21)와 연동되는 배출호퍼(20)의 하단에 결합된 포대집게부(25)의 하중으로 균형이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거름정량 포장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개폐실린더(28)를 작동하여 포대집게부(25)에 저장포대(45)가 고정되는 초기 상태에서는 원하는 하중의 웨이트(33)를 계량레버(31)에 형성된 행거공(31a)에 걸어서 지렛대부(3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저장포대(45)를 포대집게부(25)에 고정하여 지렛대부(30)의 균형을 맞춘 후, 이송컨베이어(40)로 거름을 투입호퍼(10)로 투입한다.
상기와 같이 투입호퍼(10)로 투입된 거름은 투입호퍼(10)와 연통된 배출호퍼(20)를 통해 저장포대(45)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송컨베이어(40)에서 낙하된 거름이 저장포대(45)에 쌓이게 되면 저장포대(45)의 하중이 늘어나게 되므로 저장포대(45)가 고정된 배출호퍼(20)가 하측방으로 슬라이드 되며 이에 따라 배출호퍼(20)에 연결된 승하강작동구(21)도 함께 하측방으로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승하강작동구(21)가 하측방으로 하강하게 되면 상기 지렛대부(30)는 위치고정구(16)에 얹혀진 중심추(35)를 기준으로 승하강추(37)는 하강하고 계량레버(31)는 상승하면서 지렛대부(30)가 기울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렛대부(30)가 지렛대의 원리로 계량레버(31)가 상측방으로 지정된 높이까지 상승하면 감지센서(15)가 이를 감지하여 이송컨베이어(40)의 동작을 멈춘 후 개폐실린더(28)를 작동하여 포대집게부(25)를 초기상태로 회복시켜서 저장포대(45)를 하측방으로 탈거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거름이 채워진 저장포대(45)를 포대집게부(25)에서 탈거시키게 되면 배출호퍼(20)의 하중이 가벼워지므로 기울어진 지렛대부(30)는 원상태로 균형을 유지하게 되고, 하강한 배출호퍼(20)는 상측방으로 상승하여 초기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거름을 반자동으로 저장포대(45)에 일정한 중량으로 저장한 후 포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거름정량 포장장치는, 투입호퍼(10)와 배출호퍼(20)가 연통되어 있으므로, 내용물이 저장포대(45)에 적량에 근접하도록 채워진 상태에서 이송컨베이어(40)에서 저장포대(45)로 거름이 낙하되면, 거름의 낙하충격에 의하여 지렛대부(30)가 충격을 받아 상하로 요동치게 되고 이를 감지센서(15)가 잘못 감지하여 저장포대(45)에 거름이 설정된 중량만큼 채워지지 않거나 과다하게 채워지게 되는 일이 자주 발생하였다.
따라서, 저장포대(45)에 거름이 기준치에 부적합하게 채워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되어 저장포대(45)에 저장되는 거름의 중량이 균일하지 못하고 심한 오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지렛대부(30)에 돌출된 계량레버(31)에는 웨이트(33)를 걸 수 있도록 행거공(31a)이 계량레버(31)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렛대부(3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웨이트(33)를 계량레버(33)에 걸기 위해서는 원하는 하중의 웨이트(33)를 다수 개의 행거공(31a)에 차례대로 시험한 후 가장 적당한 곳의 행거공(31a)에 걸어서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방법은 행거공(31a)과 행거공(31a)사이에 웨이트(33)를 걸 수 없는 디지털 방식이므로 미세한 조정을 하기가 어렵고, 계량레버(31)에 행거공(31a)이 잘못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어 계량을 할 때마다 오차가 발생하는 폐단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위치고정구(16)는 중심추(35)를 아래쪽에서 지지하고 있으므로 위치고정구(10)에 형성된 V홈(16a)에 이물질이 많이 달라붙어서 지렛대부(30)의 작동에 미세한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물질을 자주 제거해 주어야 제대로 작동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위치고정구(16)는 투입호퍼(10)의 내벽에 고정되고 중심추(35)는 투입호퍼(10)의 내부에서 위치고정구(16)의 상부에 얹혀지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위치고정구(16)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투입호퍼(10)와 지렛대부(30) 전체를 분해하여야만 이물질 제거작업이 가능하였으므로 이물질 제거작업이 용이하지 않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위치고정구(16)에 이물질이 붙어 있는지의 여부를 외부에서 식별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중심추(35)를 지지하는 위치고정구(16)와 승하강추(37)에 얹혀지는 누름구(22)에는 각각 V홈(16a, 22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렛대부(30)가 상하로 승하강 될 때 원뿔형상의 중심추(35)와 승하강추(37)가 V홈(16a, 22a)의 길이 방향으로 좌우로 슬라이드 되면서 지렛대부(30)를 흔들리게 하므로 계량오차를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송컨베이어에서 투입호퍼로 투입되는 사료나 비료 등의 내용물의 낙하거리를 줄여서 낙하충격을 감소시키고 내용물이 과다하게 저장포대로 투입되는 것을 신속하게 차단하여 정확한 계량을 할 수 있으며, 저장포대에 저장된 내용물의 하중에 의해 작동하는 지렛대부를 항상 정확한 위치에서 작동하도록 구성하여 지렛대부의 오작동에 의한 계량오차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이송컨베이어를 거쳐 이송된 내용물이 투입되는 투입호퍼와, 상기 투입호퍼의 하측방에서 투입호퍼와 연통되고 하중에 의하여 상하로 슬라이드 되는 배출호퍼와, 상기 배출호퍼의 중단 양측방에 설치되어 개폐실린더와 간격유지로드의 작동으로 배출호퍼를 개폐하고 저장포대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하는 포대집게부와, 상기 투입호퍼와 배출호퍼를 연계하여 저장포대에 저장된 내용물의 하중에 의하여 승하강하며 측방으로 웨이트를 걸 수 있는 계량레버가 돌출된 지렛대부와, 상기 배출호퍼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지렛대부의 일측 끝단 상부에 얹혀져서 배출호퍼와 지렛대부가 연동되도록 연결하는 승하강작동구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투입호퍼의 내부에는 투입호퍼의 하단을 개폐하는 한 쌍의 개폐게이트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투입호퍼의 외측면에는 상기 개폐게이트의 게이트축을 회동시키는 게이트실린더가 설치되며, 상기 지렛대부에는 일측 끝단에 원뿔형상의 승하강추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하부로 개방된 원추홈이 형성된 위치고정구를 설치하고, 상기 투입호퍼의 외벽 하단에는 상기 위치고정구에 형성된 원추홈을 지지하는 중심추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호퍼에 일단이 고정된 승하강작동구의 상단에는 원추홈이 하부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누름구를 지렛대부의 승하강추에 얹혀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a는 도 1의 "A"부를 학대한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내부구성과 작동상태를 간략히 보인 정단면도.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도 6a에 도시된 확대도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투입호퍼 11 : 개폐게이트 12 : 게이트축
13 : 게이트회동구 14 : 게이트실린더 15 : 감지센서
16 : 위치고정구 16a : V홈 17 : 완충구
18 : 중심추 20 : 배출호퍼 21 : 승하강작동구
22 : 누름구 22a : V홈 22b : 원추홈
25 : 포대집게부 26 : 외측집게부 27 : 내측집게부
28 : 개폐실린더 29 : 간격유지로드 30 : 지렛대부
31 : 계량레버 31a : 행거공 32 : 하중웨이트
33 : 웨이트 34 : 미세조정추 35 : 중심추
36 : 위치고정구 36a : 원추홈 37 : 승하강추
40 : 이송컨베이어 41 : 투입구 45 : 저장포대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계량포장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계량포장장치의 내부구성과 작동상태를 간략히 보인 정단면도이고,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계량포장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7은 도 6a에 도시된 부분 확대도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계량포장장치는, 이송컨베이어(40)를 거쳐 이송된 내용물이 투입되는 투입호퍼(10)의 하측방에서 투입호퍼(10)와 연통되고 하중에 의하여 상하로 슬라이드 되는 배출호퍼(20)가 설치된다.
상기 투입호퍼(10)의 내부에는 투입호퍼(10)의 하단을 개폐하는 부채꼴형상의 한 쌍의 개폐게이트(11)가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투입호퍼(10)의 전방 외측면에는 상기 개폐게이트(11)의 게이트축(12)에서 측방으로 돌출된 게이트회동구(13)를 회동시키는 게이트실린더(1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투입호퍼(10)의 하단부에는 후술할 지렛대부(30)의 소정 부위가 얹혀져서 지지되는 원뿔형상의 중심추(18)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호퍼(20)의 중단 전방측으로는 지렛대부(3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원뿔형상의 승하강추(37)를 하측방으로 눌러주는 누름구(22)를 상부 끝단에 형성한 승하강작동구(21)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호퍼(20)의 중단 양측방에는 저장포대(45)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하는 포대집게부(25)가 설치된다.
상기에서 누름구(22)에는 하부로 개방되도록 원추홈(22b)이 형성되어 있어 원뿔형상의 승하강추(37)의 꼭지점에 원추홈(22b)의 꼭지점이 얹혀지도록 서로 피벗(pivot)결합이 이루어지며, 상기 원추홈(22b)은 승하강추(37)보다 폭은 넓고 높이는 낮게 형성되어 꼭지점이 피벗결합 된 상태에서 승하강추(37)가 원추홈(22b)에서 추축(樞軸)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포대집게부(25)는 외측집게부(26)와 내측집게부(27)가 각각 한 쌍씩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되며, 상기 포대집게부(25)에는 양측의 외측집게부(26)를 작동시키는 개폐실린더(28)가 설치되며, 외측집게부(26)와 내측집게부(27)에는 간격유지로드(29) 한 쌍이 개폐실린더(28)의 작동에 따라 연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투입호퍼(10)의 하단으로는 지렛대부(30)의 중단부위에 설치되어 원추홈(36a)이 하부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위치고정구(36)를 지지하는 중심추(18)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위치고정구(36)에 형성된 원추홈(36a)은 중심추(18)보다 폭은 넓고 높이는 낮게 형성되어 원추홈(36a)에서 중심추(18)가 추축운동을 할 수 있도록 중심추(18)에 얹혀지는 피벗결합이 이루어진다.
상기 지렛대부(30)의 측방으로는 끝단에 다양한 중량의 웨이트(33)를 걸 수 있는 계량레버(31)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계량레버(31)의 하단부에는 계량레버(31)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미세조정추(3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투입호퍼(10)의 측방으로는 상기 지렛대부(30)의 하단을 지지하며 충격을 감소시키는 완충구(17)가 돌출되며, 투입호퍼(10)의 전방으로는 상기 지렛대부(30)의 상승 높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5)가 설치되어 본 발명에 따른 계량포장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이 이루어진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2는 하중웨이트이고, 41은 투입구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개폐실린더(28)를 작동하여 포대집게부(25)에 저장포대(45)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한 후, 이송컨베이어(40)에 의해 이송된 비료나 사료 등의 내용물을 투입호퍼(10)로 투입한다.
우선, 개폐실린더(28)를 작동하여 포대집게부(25)에 저장포대(45)가 고정되는 초기 상태에서는 원하는 하중의 웨이트(33)를 계량레버(31)에 끝단에 걸어서 지렛대부(30)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에서 지렛대부(30)가 수평을 정확하게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계량레버(31)의 하단에서 슬라이드 되도록 설치된 미세조정추(34)를 계량레버(31)의 길이 방향으로 조금씩 이동하여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키도록 한다.
상기 미세조정추(34)는 계량레버(31)에서 연속적으로 슬라이드 되는 아날로그 방식이므로 미세한 중량도 용이하게 계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저장포대(45)를 포대집게부(25)에 고정하고 지렛대부(30)를 수평으로 균형을 조절한 후, 이송컨베이어(40)로 비료나 사료 등의 내용물을 투입호퍼(10)로 투입한다.
상기와 같이 투입호퍼(10)로 투입된 내용물은 투입호퍼(10)와 연통된 배출호퍼(20)를 통해 저장포대(45)로 저장되며, 저장포대(45)에 내용물이 쌓이면서 저장포대(45)의 하중이 무거워지면 배출호퍼(20)가 하측방으로 하강을 하면서 배출호퍼(20)에 설치된 승하강작동구(21)도 함께 하측방으로 하강을 하게 된다.
상기 승하강작동구(21)가 하강을 하게 되면 승하강작동구(21)의 상부 끝단에 형성된 누름구(22)가 지렛대부(30)의 끝단에 형성된 승하강추(37)에 힘을 가하면서 하측방으로 눌러주게 된다.
한편, 상기 지렛대부(30)의 중단에 형성된 위치고정구(36)는 투입호퍼(10)에 고정된 중심추(18)의 상단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지렛대부(30)의 승하강추(37)가 하강하게 되면, 중심추(18)와 원추홈(36a)이 피벗결합 된 위치고정구(36)를 기준으로 지렛대부(30)가 시소(seesaw)처럼 좌우로 기울어지면서 계량레버(31)가 상측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렛대부(30)가 중심추(18)에 피벗결합 된 위치고정구(36)를 기준으로 기울어져서 지렛대부(30)가 설정된 높이까지 상승하게 되면 투입호퍼(10)에 설치된 감지센서(15)가 이를 감지하여 게이트실린더(14)를 작동시켜개폐게이트(11)가 투입호퍼(10)의 하단을 차단시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개폐게이트(11)가 투입호퍼(10)의 하단을 차단하게 되면, 이송컨베이어(40)의 작동이 멈추기 전에 낙하되던 내용물은 개폐게이트(11)에 쌓이게 되고, 개폐게이트(11)가 투입호퍼(10)의 하단을 차단하기 전에 개폐게이트(11)를 통과한 내용물만 저장포대(45)로 배출되므로 이송컨베이어(40)에서 개폐게이트(11)사이의 공간에서 낙하되는 양만큼 내용물이 저장포대(45)로 과다하게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양의 내용물을 저장포대(45)에 저장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개폐게이트(11)가 투입호퍼(10)의 하단을 차단한 후에는 개폐실린더(28)를 작동시켜 저장포대(45)를 집어서 고정하고 있던 포대집게부(25)를 원상태로 회복시켜 저장포대(45)를 포대집게부(25)에서 탈거시킨다.
상기와 같이 포대집게부(25)에서 저장포대(45)가 탈거되면 배출호퍼(20)의 하중이 가벼워지므로 지렛대부(30)가 원상태로 회복되면서 배출호퍼(20)는 상측으로 상승되어 계량포장장치가 초기상태로 모두 복원된다.
상기와 같이 포장장치가 초기상태로 복원되면 별도의 저장포대(45)를 포대집게부(25)에 고정한 후, 개폐게이트(11)를 개방시켜 개폐게이트(11)에 쌓인 내용물과 이송컨베이어(40)를 통해 공급되는 내용물을 저장포대(45)로 투입하여 계량하는 공정을 반복하면 저장포대(45)에 균일한 하중의 내용물을 신속하게 투입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공정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제어장치와 각종 센서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행되며 저장포대(45)를 포대집게부(25)에 장착하는 작업은 수동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지렛대부(3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원뿔형상의 승하강추(37)에 지지되는 누름구(22)의 하부에 원뿔형상의 원추홈(22b)을 형성하여 원추홈(22b)의 꼭지점과 승하강추(37)의 꼭지점이 맞닿아 피벗결합이 이루어지고, 지렛대부(30)의 중단부에 형성된 위치고정구(36)의 하부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원추홈(36a)은 투입호퍼(10)의 외벽 하단부에 고정설치된 원뿔형상의 중심추(18)와 서로 피벗결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지렛대부(30)가 중심추(18)에 지지된 위치고정구(36)를 기준으로 좌우로 기울어지고 원위치로 회복되는 과정이 반복되더라도 누름구(22)와 위치고정구(36)에 형성된 원추홈(22b, 36a)의 꼭지점에서 중심추(18)와 승하강추(37)의 꼭지점이 피벗결합되어 원위치를 벗어나지 않으므로 지렛대부(30)가 위치고정구(36)를 기준으로 전후로 슬라이드가 되지 않고 정해진 위치에서 작동하므로 한층 더 정확한 계량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누름구(22)와 위치고정구(36)에 형성된 원추홈(22b, 36a)은 모두 하부로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물질이 원추홈(22b, 36a)에 잘 달라붙지 않아서 내용물을 계량하는데 따른 계량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고, 상기 원추홈(22b, 36a)이 형성된 누름구(22)와 위치고정구(36)가 모두 투입호퍼(10)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누름구(22)와 위치고정구(36)의 원추홈(22b, 36a)에 이물질이 달라붙어 있는지의 여부를 눈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물질을 제거하는작업도 외부에서 에어건 등으로 제거하기만 하면 되므로 쉽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계량포장장치는, 투입호퍼의 내부에 투입호퍼의 하단을 차단하는 개폐게이트를 설치하여 저장포대로 정확한 양의 내용물을 투입할 수 있으며, 승하강추를 눌러주는 누름구와 중심추에 지지되는 위치고정구에 각각 하부로 개방되도록 원추홈을 형성하여 계량오차를 발생시키는 이물질이 원추홈에 잘 달라붙지 않도록 하여 계량오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중심추와 중심추에 지지되는 위치고정구를 투입호퍼의 외벽에 설치하여 위치고정구에 이물질이 달라붙어 있는지의 여부를 눈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이물질 제거작업도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누름구와 위치고정구에 형성된 원추홈에는 승하강추와 중심추가 각각 피벗결합되어 있으므로 지렛대부가 좌우로 시소운동을 반복하더라도 승하강추와 중심추가 원추홈의 중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정해진 위치에서 작동하므로 종래에 지렛대부가 전후로 슬라이드 되어 계량오차를 발생시키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계량레버의 하단부에 계량레버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되고 미세한 중량에도 반응하는 미세조정추를 설치하여 보다 정확한 계량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이송컨베이어(40)를 거쳐 이송된 내용물이 투입되는 투입호퍼(10)와, 상기 투입호퍼(10)의 하측방에서 투입호퍼(10)와 연통되고 하중에 의하여 상하로 슬라이드 되는 배출호퍼(20)와, 상기 배출호퍼(20)의 중단 양측방에 설치되어 개폐실린더(28)와 간격유지로드(29)의 작동으로 배출호퍼(20)를 개폐하고 저장포대(45)를 개방된 상태로 고정하는 포대집게부(25)와, 상기 투입호퍼(10)와 배출호퍼(20)를 연계하여 저장포대(45)에 저장된 내용물의 하중에 의하여 승하강하며 측방으로 웨이트(33)를 걸 수 있는 계량레버(31)가 돌출된 지렛대부(30)와, 상기 배출호퍼(2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지렛대부(30)의 일측 끝단 상부에 얹혀져서 배출호퍼(20)와 지렛대부(30)가 연동되도록 연결하는 승하강작동구(21)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투입호퍼(10)의 내부에는 투입호퍼(10)의 하단을 개폐하는 한 쌍의 개폐게이트(11)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투입호퍼(10)의 외측면에는 상기 개폐게이트(11)의 게이트축(12)을 회동시키는 게이트실린더(14)가 설치되며,
    상기 지렛대부(30)에는 일측 끝단에 원뿔형상의 승하강추(37)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하부로 개방된 원추홈(36a)이 형성된 위치고정구(36)를 설치하고,
    상기 투입호퍼(10)의 외벽 하단에는 상기 위치고정구(36)에 형성된 원추홈(36a)을 지지하는 중심추(18)가 설치되며,
    상기 배출호퍼(20)에 일단이 고정된 승하강작동구(21)의 상단에는 원추홈(22b)이 하부로 개방되도록 형성된 누름구(22)를 지렛대부(30)의 승하강추(37)에 얹혀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포장장치.
KR1020000045307A 2000-08-04 2000-08-04 계량포장장치 KR100345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5307A KR100345188B1 (ko) 2000-08-04 2000-08-04 계량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5307A KR100345188B1 (ko) 2000-08-04 2000-08-04 계량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803A KR20000063803A (ko) 2000-11-06
KR100345188B1 true KR100345188B1 (ko) 2002-07-24

Family

ID=19681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5307A KR100345188B1 (ko) 2000-08-04 2000-08-04 계량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51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9181B1 (ko) * 2014-01-22 2016-01-27 주식회사 이오디지텍 자동 포장기의 게이트
KR101707624B1 (ko) 2016-08-19 2017-02-16 이충규 모래주머니 제작장치
KR101951347B1 (ko) 2017-07-03 2019-02-25 다우산업주식회사 자동 포대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3803A (ko) 200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6874B2 (en) Weighing device for a packaging machine
US20040182469A1 (en) Apparatus for filling bags with loose material and automatic machine equipped with said apparatus
EP0502201A1 (en) Combinational metering machine for simply realizing high precision measuring of a wide range of work including viscous substances
WO2007142039A1 (ja) 貯溜ホッパ、それを備えた組合せ計量装置及び包装装置
US3990212A (en) Carton filling and weighing device
KR100345188B1 (ko) 계량포장장치
JPH05172300A (ja) 高圧ガス充填方法
CN207882102U (zh) 混凝土骨料含水量自动检测系统
US6462288B1 (en) Metering device
FR2838515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pesage d&#39;articles en continu, et installation correspondante pour le calibrage de coquillages, et notamment d&#39;huitres
CN108225971A (zh) 混凝土骨料含水量自动检测系统
EP3798586B1 (en) Automated weighing apparatus
JPH10211908A (ja) 充填包装装置
JP2019081552A (ja) 包装機及び包装方法
KR200273160Y1 (ko) 유기질비료 정량 포장용 계량기
KR200436784Y1 (ko) 계량포장장치
JP4820146B2 (ja) ペレット状ドライアイスの充填装置
GB2436322A (en) Handling of bags to be filled
JP2003210109A (ja) 製茶用計量袋詰機の計量器
KR19990006466U (ko) 거름정량포장장치
JP2517678Y2 (ja) 粉粒体包装装置の計量充填機構
JP7463714B2 (ja) 物質排出装置
JP2003246301A (ja) 製茶用計量袋詰機の移送装置
EP0849571B1 (en) Weighing system and method for weighing material to be filled into a transport container, for instance a big sack
CN211520580U (zh) 用于中药精准称量的药房配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