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6898B1 - 라벨기용 채혈관 자동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라벨기용 채혈관 자동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6898B1
KR101796898B1 KR1020170078292A KR20170078292A KR101796898B1 KR 101796898 B1 KR101796898 B1 KR 101796898B1 KR 1020170078292 A KR1020170078292 A KR 1020170078292A KR 20170078292 A KR20170078292 A KR 20170078292A KR 101796898 B1 KR101796898 B1 KR 101796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ly
pin
unit
blood collection
stand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레도웨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레도웨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레도웨이
Priority to KR1020170078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8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898B1/ko
Priority to US15/772,820 priority patent/US10807756B2/en
Priority to PCT/KR2017/014368 priority patent/WO201823601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6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 B65G47/2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ingle conveyor
    • B65G47/29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ingle conveyor by temporarily stopping movement
    • B65G47/295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arranging the article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articles during transit by a single conveyor by temporarily stopping movement by means of at least two stopp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2Devices for moving articles, e.g. containers, past labelling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01L3/5082Test tubes per 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3/00Labelling other than flat surfaces
    • B65C3/02Affixing labels to elongated objects, e.g. wires, cables, bars,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3/00Labelling other than flat surfaces
    • B65C3/06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6Devices for presenting articles in predetermined attitude or position at labelling s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40Controls;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6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 B65G1/08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means for presenting articles for removal at predetermined position or level the articles being fed by gra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65G47/8807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with one stop
    • B65G47/8815Reciprocating stop, moving up or down in the path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65G47/8876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with at least two stops acting as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B65G47/8876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with at least two stops acting as gates
    • B65G47/8884Stops acting asynchronously, e.g. one stop open, next one closed or the opposi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 G01N35/00722Communications; Identification
    • G01N35/00732Identification of carriers, materials or components in automatic analys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5/00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 B65G2205/04Stopping elements used in conveyors to stop articles or arrays of articles where the stop device is not adapta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0584Control arrangements for automatic analysers
    • G01N35/00722Communications; Identification
    • G01N35/00732Identification of carriers, materials or components in automatic analysers
    • G01N2035/00861Identification of carriers, materials or components in automatic analysers printing and sticking of identifi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5/00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 G01N35/02Automatic analysis not limited to methods or materials provided for in any single one of groups G01N1/00 - G01N33/00; Handling materials therefor using a plurality of sample containers moved by a conveyor system past one or more treatment or analysis stations
    • G01N35/04Details of the conveyor system
    • G01N2035/0401Sample carriers, cuvettes or reaction vessels
    • G01N2035/0406Individual bottles or tubes

Landscapes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라벨기용 채혈관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채혈관이 거치되기 위한 복수의 거치홈을 갖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전단부를 통해 이동되는 채혈관을 상기 라벨기로 공급하기 위한 배출부, 공급핀을 갖고, 상기 각 거치홈의 최전측에 거치된 채혈관의 위치를 유지시키거나 채혈관의 위치 유지를 해제하여 배출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공급부, 해당 채혈관의 개방공에 위치되기 위한 정지핀을 갖고, 상기 공급부에 의해 단속된 최전측 채혈관들의 다음에 위치된 채혈관들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대기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채혈관의 종류와 개수를 선택하도록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급부와 대기부를 제어함에 따라, 라벨링이 필요한 하나 이상의 채혈관을 상기 배출부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공급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라벨링을 위한 채혈관을 필요에 따라, 순차적으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어 종래보다 비용을 절감시킴은 물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라벨기용 채혈관 자동 공급장치{Blood collection tube automatic supplying device for labeling machine}
본 발명은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채혈관을 거치 및 이송시키고, 효율적으로 라벨기로 공급하여 오작동을 방지 및 최소화시킴은 물론, 비용을 절감시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라벨기용 채혈관 자동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상 실험의 기술이 급격히 진보됨에 따라 혈청 생화학검사, 혈청 면역검사, 혈구검사 등을 포함한 광범위한 혈액검사가 질병의 예방과 초기단계의 진단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혈액 검사는 검사의 대상 및 종류에 무관하게 일정량의 혈액을 채취하고 이를 보관, 운반 및 처리하는 과정 동안 특수 용기인 채혈관에 담아두게 된다.
한편, 각 혈액샘플이 담긴 채혈관에는 해당 개인 및 혈액검사 정보가 기재된 라벨을 인쇄한 후 채혈관의 표면에 부착하여 다른 혈액샘플과 바뀌는 의료사고를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개인 및 혈액검사 정보가 기재된 라벨을 작업자가 직접 프린터로 인쇄하고, 인쇄된 라벨을 손으로 채혈관에 부착함에 따라, 바쁜 업무 중에 타인의 정보가 기재된 라벨을 잘못 부착하는 등의 실수가 빈번히 발생하여 이를 자동화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종래 자동화장치는 등록특허 제0866410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채혈관을 파지하여 라벨을 부착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 종래 장치는 채혈관 더미를 파렛트에 수납한 상태로 수용되어 각각의 채혈관을 하측으로 추락하여 파지한 다음, 내부로 이송하여 라벨을 부착하여 배출함에 따라, 파렛트에서 각 채혈관을 하측으로 추락하는 구조가 복잡하고, 별도의 비용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채혈관 더미가 수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파렛트에서 각 채혈관을 추락시킴에 따라, 추락하는 채혈관이 기울어져 고장 발생이 빈번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구조가 간단하고, 채혈관의 오차를 방지 및 절감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복수의 채혈관이 거치되기 위한 복수의 거치홈을 갖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전단부를 통해 이동되는 채혈관을 상기 라벨기로 공급하기 위한 배출부, 공급핀을 갖고, 상기 각 거치홈의 최전측에 거치된 채혈관의 위치를 유지시키거나 채혈관의 위치 유지를 해제하여 배출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공급부, 해당 채혈관의 개방공에 위치되기 위한 정지핀을 갖고, 상기 공급부에 의해 단속된 최전측 채혈관들의 다음에 위치된 채혈관들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대기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채혈관의 종류와 개수를 선택하도록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급부와 대기부를 제어함에 따라, 라벨링이 필요한 하나 이상의 채혈관을 상기 배출부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공급제어부,를 포함하여 라벨링을 위한 채혈관을 필요에 따라, 순차적으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어 종래보다 비용을 절감시킴은 물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라벨기용 채혈관 자동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채집된 혈이 수용되는 투명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중앙부에 개방공을 갖는 덮개 및 상기 개방공을 통해 노출되도록 몸체와 덮개 사이에 구비되어 몸체를 폐쇄시키는 탄성재질의 마개를 갖되, 상기 덮개의 높이가 다르게 형성된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복수의 채혈관을 라벨기로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각 채혈관의 몸체가 위치되어 덮개 하단부가 걸려 거치되는 복수의 거치홈을 갖되, 각 전단부에는 해당 채혈관의 덮개가 통과될 수 있는 공급공이 형성되고, 상기 각 거치홈은 상면이 후단부에서 전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거치된 채혈관들이 자중에 의해 전측으로 이동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전단부를 통해 이동되는 채혈관을 상기 라벨기로 공급하기 위한 배출부, 공급핀을 갖고, 상기 각 거치홈의 최전측에 거치된 채혈관의 위치를 유지시키거나 채혈관의 위치 유지를 해제하여 배출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공급부, 해당 채혈관의 개방공에 위치되기 위한 정지핀을 갖고, 상기 공급부에 의해 단속된 최전측 채혈관들의 다음에 위치된 채혈관들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대기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채혈관의 종류와 개수를 선택하도록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급부와 대기부를 제어함에 따라, 라벨링이 필요한 하나 이상의 채혈관을 상기 배출부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공급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거치부는, 복수의 거치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후단부에서 전단부로 갈수록 하향경사진 거치플레이트, 상기 거치플레이트의 양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한 쌍의 거치프레임, 및 상기 각 채혈관의 덮개가 통과될 수 있도록 상기 각 거치홈의 전단부에 각각 형성된 공급공,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라벨기의 상부판은 양측부판의 상단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내부를 개폐시키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라벨기의 상부판에 구비되어 함께 슬라이딩되되, 상기 배출부와 공급부, 대기부가 구비된 전단부가 라벨기를 이탈되지 않도록 상부판이 슬라이딩된다.
또한, 상기 공급부는, 공급프레임, 상기 공급공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공급프레임에 설치되는 공급핀, 상기 공급핀을 공급공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공급구동부, 및 상기 공급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핀을 공급공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공급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공급구동부에 의해 상기 공급핀이 공급공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거치홈의 최전측에 거치된 채혈관이 공급공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2공급구동부에 의해 상기 공급핀이 공급공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거치홈의 최전측에 거치된 채혈관이 공급공을 통해 상기 배출부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대기부는, 대기프레임, 상기 거치홈의 최전측 채혈관의 다음에 위치된 채혈관의 덮개 개방공에 위치되어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대기프레임에 설치되는 대기핀, 상기 대기핀을 거치홈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대기구동부, 및 상기 대기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대기핀을 거치홈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대기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대기구동부에 의해 상기 대기핀이 거치홈방향으로 이동되어 해당 채혈관의 개방공에 위치됨에 따라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2대기구동부에 의해 상기 대기핀이 거치홈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개방공에서 이탈됨에 따라, 거치홈의 최전측으로 이동된다.
또한, 상기 제2공급구동부와 제2대기구동부는, 해당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며, 내부공간부가 형성되고, 외주를 따라 코일이 감싸져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솔레노이드, 하단부가 해당 핀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상단부가 해당 프레임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의 내부공간부에 위치되며,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해당 핀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봉, 및 상기 구동봉을 따라 이동되는 해당 핀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해당 프레임에 구비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공급구동부와 제1대기구동부는, 상기 해당 프레임의 하단 외측으로 돌출된 해당 핀의 외주를 따라 돌출형성된 제1공급턱, 탄성을 갖고, 상기 제1공급턱과 해당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제1공급턱을 하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해당 핀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공급스프링, 및 상기 제1공급스프링에 의해 이동되는 해당 핀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구동봉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제1스토퍼,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급제어부는, 상기 제1공급구동부를 제어하여 공급핀이 공급공의 일부를 가리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해당 거치홈에 복수의 채혈관을 거치시키고, 상기 제1대기구동부를 작동시켜 대기핀이 상기 최전측 채혈관의 다음에 위치된 채혈관의 덮개 개방공에 위치되어 이동을 제한시키며, 상기 제2공급구동부를 제어하여 공급핀이 공급공을 개방시키도록 상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최전측 채혈관이 상기 배출부로 이송된 후, 상기 제1공급구동부를 작동시켜 공급핀이 공급공의 일부를 다시 가리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제2대기구동부를 제어하여 대기핀을 상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채혈관이 상기 거치홈의 최전측으로 이동되되, 상기 공급핀에 의해 이동이 단속되며, 상기 제1대기구동부를 제어하여 대기핀이 상기 거치홈의 최전측으로 이동시 함께 이동된 다른 채혈관의 덮개 개방공에 위치되어 이동을 제한하고, 이를 계속하여 반복한다.
그리고 상기 각 핀은, 내부에 인입공을 갖고, 상단부가 구동봉에 연결되며, 하단부 외주를 따라 제1공급턱이 형성된 핀몸체, 및 상기 핀몸체의 인입공에 위치되는 핀선단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핀선단부는, 직경이 동일한 원기둥형상이거나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테이퍼링된다.
그리고 해당 채혈관의 덮개 높이에 따라, 상기 핀선단부를 인입시키기 위한 미세조절부,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미세조절부는, 상기 핀몸체에 구비되어 핀선단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와 모터 중 어느 하나이다.
그리고 상기 대기핀은 수직방향으로 상하이동되고, 상기 공급핀은 하측으로 갈수록 후측으로 경사지게 상하이동된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터치스크린이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는, 내부에 배출공간부를 갖고, 거치프레임의 일단부 구비되는 배출프레임, 상기 라벨기로 채혈관을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배출공간부의 저면 중앙에 형성되는 배출공, 및 상기 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채혈관을 상기 배출공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배출공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가이드블럭,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프레임은, 상기 한 쌍의 거치프레임의 일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내부에 상기 배출공간부를 형성하는 한 쌍의 배출프레임몸체, 상기 배출공간부를 전측으로 개폐하도록 상기 한 쌍의 배출프레임몸체 사이에 구비되는 배출프레임도어, 및 상기 배출프레임도어를 상기 한 쌍의 배출프레임몸체에서 개폐시키기 위한 도어개폐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출프레임도어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배출공간부를 외측에서 확인 가능하다.
그리고 도어개폐부는, 상기 각 가이드블럭의 전면에 돌출형성되는 고정돌기, 상기 고정돌기가 관통되도록 상기 배출프레임도어에 형성되는 관통공, 상기 관통공에 관통된 고정돌기가 걸려 배출프레임도어를 한 쌍의 배출프레임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배출프레임몸체는, 의료용 시료관을 수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제2공급공,이 포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라벨기용 채혈관 자동 공급장치에 의하면, 라벨링을 위한 채혈관을 필요에 따라, 순차적으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어 종래보다 비용을 절감시킴은 물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혈관 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채혈관 공급장치의 거치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부와 대기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제어부에 의해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핀과 대기핀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혈관 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채혈관 공급장치의 거치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부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부와 대기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급제어부에 의해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핀과 대기핀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라벨기용 채혈관 자동 공급장치(10)는 거치부(100)와 배출부(200), 공급부(300), 대기부(400), 조작부(500) 및 공급제어부(6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채혈관(30)은 몸체(32)와 덮개(34) 및 마개(36)로 구성된다.
몸체(32)는 투명한 재질로 채집된 혈이 수용되고, 덮개(34)는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중앙부에 개방공(35)이 형성된다.
그리고 마개(36)는 탄성재질로 개방공(35)을 통해 노출되도록 몸체(32)와 덮개(34) 사이에 구비되어 몸체(32)를 폐쇄시키도록 구비된다.
이 채혈관(30)은 종류에 따라 다른 사이즈로 형성되는 것으로, 각 채혈관(30)의 종류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의 각 검사를 위해 구분되어 제작되는 각 채혈관을 의미한다.
각 채혈관(30)은 각 사이즈별로 덮개(34)의 높이와 몸체(32)의 길이가 상이하게 형성된다.
대신 각 사이즈를 갖는 채혈관(30) 덮개(34)의 직경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형성되어 각 몸체(32)는 거치부(100)의 거치홈(140)에 위치되고, 각 덮개(34)는 거치홈(140)의 상면에 걸려 거치된다.
이 거치부(100)를 자세히 살펴보면,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채혈관(30)의 몸체(32)가 위치되어 덮개(34) 하단부가 걸려 거치되는 복수의 거치홈(140)을 갖되, 각 전단부에는 해당 채혈관(30)의 덮개(340)가 통과될 수 있는 공급공(130)이 형성된다.
각 거치홈(140)은 상면이 후단부에서 전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거치된 채혈관(30)들이 자중에 의해 전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배출부(200)는 거치부(100)의 전단부를 통해 이동되는 채혈관(30)을 라벨기(20)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공급부(300)는 공급핀(320)을 갖고, 각 거치홈(140)의 최전측에 거치된 채혈관(30)의 위치를 유지시키거나 채혈관(30)의 위치 유지를 해제하여 배출부(200)로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대기부(400)는 해당 채혈관(30)의 개방공(35)에 위치되기 위한 정지핀(420)을 갖고, 공급부(300)에 의해 단속된 최전측 채혈관(30)들의 다음에 위치된 채혈관(30)들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
조작부(500)는 거치부(100)에 거치된 채혈관(30)의 종류와 개수를 선택하도록 조작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공급제어부(600)는 조작부(500)의 신호를 수신하여 공급부(300)와 대기부(400)를 제어함에 따라, 라벨링이 필요한 하나 이상의 채혈관(30)을 배출부(200)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한, 거치부(100)는 거치플레이트(110)와 거치프레임(120) 및 공급공(130)으로 구성된다.
거치플레이트(110)는 복수의 거치홈(140)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후단부에서 전단부로 갈수록 하향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거치프레임(120)은 일정간격 이격된 한 쌍으로, 거치플레이트(110)의 양단부를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공급공(130)은 각 채혈관(30)의 덮개(34)가 통과될 수 있도록 각 거치홈(140)의 전단부에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라벨기(20)의 상부판(22)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부판(24)의 상단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내부를 개폐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거치부(100)는 라벨기(20)의 상부판(22)에 구비되어 함께 슬라이딩되되, 배출부(200)와 공급부(300), 대기부(400)가 구비된 전단부가 라벨기(20)의 후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부판(22)의 슬라이딩 거리가 제한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급부(300)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프레임(310)과 공급핀(320), 제1공급구동부(330) 및 제2공급구동부(340)로 구성된다.
공급핀(320)은 공급공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공급프레임(310)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1공급구동부(330)는 공급핀(320)을 공급공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제2공급구동부(340)는 공급프레임(310)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급핀(320)을 공급공(13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공급부(3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제1공급구동부(330)에 의해 공급핀(320)이 공급공방향으로 이동되어 거치홈(140)의 최전측에 거치된 채혈관(30)이 공급공(130)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2공급구동부(340)에 의해 공급핀(320)이 공급공(13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거치홈(140)의 최전측에 거치된 채혈관이 공급공(130)을 통해 배출부(200)로 이동된다.
또한 대기부(400)는 대기프레임(410)과 대기핀(420), 제1대기구동부(430) 및 제2대기구동부(440)로 구성된다.
대기핀(420)은 거치홈(140)의 최전측 채혈관(30)의 다음에 위치된 채혈관(30')의 덮개(34') 개방공(35')에 위치되어 이동을 제한하도록 대기프레임(410)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1대기구동부(430)는 대기핀(420)을 거치홈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제2대기구동부(440)는 대기프레임(410)의 내부에 구비되어 대기핀(420)을 거치홈(14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대기부(400)의 작동상태를 더욱 자세히 살펴보면, 제1대기구동부(430)에 의해 대기핀(420)이 거치홈방향으로 이동되어 해당 채혈관(30')의 개방공(35')에 위치됨에 따라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2대기구동부(440)에 의해 대기핀(420)이 거치홈(14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개방공(35')에서 이탈됨에 따라, 거치홈(140)의 최전측으로 이동된다.
여기서, 제2공급구동부(340)와 제2대기구동부(440)는 솔레노이드(342, 442)와 구동봉(344, 444) 및 제2스토퍼(346, 446)로 구성된다.
솔레노이드(342, 442)는 해당 프레임(310, 410)의 내부에 구비되며, 내부공간부가 형성되고, 외주를 따라 코일(343, 443)이 감싸져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한다.
그리고 구동봉(344, 444)은 하단부가 해당 핀(320, 420)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상단부가 해당 프레임(310, 410)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솔레노이드(342, 442)의 내부공간부에 위치되며,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해당 핀을 상측으로 이동시킨다.
제2스토퍼(346, 446)는 구동봉(344, 444)을 따라 이동되는 해당 핀(320, 420)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해당 프레임(310, 410)에 구비된다.
또한 제1공급구동부(330)와 제1대기구동부(430)는 제1공급턱(332, 432)과 제1공급스프링(334, 434) 및 제1스토퍼(336, 436)로 구성된다.
제1공급턱(332, 432)은 해당 프레임(310, 410)의 하단 외측으로 돌출된 해당 핀의 외주를 따라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제1공급스프링(334, 434)은 탄성을 갖고, 제1공급턱(332, 432)과 해당 프레임(310, 410) 사이에 구비되어 제1공급턱(332, 432)을 하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해당 핀(320, 420)을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제1스토퍼(336, 436)는 제1공급스프링(334, 434)에 의해 이동되는 해당 핀(320, 420)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구동봉(344, 444)의 상단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1공급구동부(330)와 제1대기구동부(430) 및 제2공급구동부(340)와 제2대기구동부(440)는 공급제어부(600)에 의해 제어된다.
먼저, 공급제어부(600)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급구동부(330)를 제어하여 공급핀(320)이 공급공(130)의 일부를 가리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해당 거치홈(140)에 복수의 채혈관(30, 30')을 거치시킨다.
그리고 제1대기구동부(430)를 작동시켜 대기핀(420)이 최전측 채혈관(30)의 다음에 위치된 채혈관(30')의 덮개 개방공(35')에 위치되어 이동을 제한시킨다.
이후, 조작부(500)의 조작신호에 따라, 해당 제2공급구동부(340)를 제어하여 공급핀(320)이 공급공(130)을 개방시키도록 상측으로 이동시켜 최전측 채혈관(30)이 배출부(200)로 이송된다.
또한 제1공급구동부(330)를 작동시켜 공급핀(320)이 공급공(130)의 일부를 다시 가리도록 위치시키고, 제2대기구동부(440)를 제어하여 대기핀(420)을 상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채혈관(30')이 거치홈(140)의 최전측으로 이동되되, 공급핀(320)에 의해 이동이 단속된다.
그리고 제1대기구동부(430)를 제어하여 대기핀(420)이 거치홈(140)의 최전측으로 이동시 함께 이동된 다른 채혈관(30")의 덮개 개방공(35")에 위치되어 이동을 제한한다.
이후에도, 상술한 과정을 계속하여 반복한다.
여기서, 각 핀(320, 420)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핀몸체(322, 422)와 핀선단부(324, 424)로 구성된다.
핀몸체(322, 422)는 내부에 인입공(323, 423)을 갖고, 상단부가 구동봉(344, 444)에 연결되며, 하단부 외주를 따라 제1공급턱(332, 432)이 형성된다.
그리고 핀선단부(324, 424)는 핀몸체(322, 422)의 인입공(323, 423)에 위치된다.
여기서, 핀선단부(324, 424)는 직경이 동일한 원기둥형상이거나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테이퍼링된다.
일 예로, 공급부(300)의 핀선단부(324)는 직경이 동일한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최전측의 채혈관(30)의 덮개(34)가 용이하게 걸려 공급공(130)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대기부(400)의 핀선단부(424)는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테이퍼링되어 해당 덮개의 개방공(35')에 용이하게 위치되도록 가이드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공급부(300)와 대기부(400)에는 미세조절부(700)가 더 구비된다.
이 미세조절부(700)는 해당 채혈관의 덮개 높이에 따라, 핀선단부(324, 424)를 인입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미세조절부(700)는 핀몸체(322, 422)에 구비되어 핀선단부(324, 424)를 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와 모터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대기핀(420)은 수직방향으로 상하이동되고, 공급핀(320)은 하측으로 갈수록 후측으로 경사지게 상하이동되도록 구비되어 해당 채혈관의 단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500)는 필요로 하는 채혈관(30)의 종류와 개수를 선택하도록 조작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조작부(500)는 일 실시 예로,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채혈관(30)의 종류와 개수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선택할 수 있다.
물론, 관련정보는 해당 기관의 데이터베이스(미 도시)에 저장되어 있으며, 이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됨이 당연하다.
그리고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부(200)는 배출프레임(210)과 배출공(220) 및 가이드블럭(230)으로 구성된다.
배출프레임(210)은 내부에 배출공간부(202)를 갖고, 거치프레임(120)의 일단부에 구비된다.
또한 배출공(220)은 라벨기로 채혈관을 이송시키기 위해 배출공간부(202)의 저면 중앙에 형성된다.
가이드블럭(230)은 한 쌍으로, 공급부(300)에 의해 공급되는 채혈관(30)을 배출공(220)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배출공(22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배출프레임(210)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배출프레임몸체(212)와 배출프레임도어(214) 및 도어개폐부(216)로 구성된다.
배출프레임몸체(212)는 한 쌍으로, 한 쌍의 거치프레임(120)의 일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내부에 배출공간부(202)를 형성한다.
또한 배출프레임도어(214)는 배출공간부(202)를 전측으로 개폐하도록 한 쌍의 배출프레임몸체(212) 사이에 구비된다.
도어개폐부(216)는 배출프레임도어(214)를 한 쌍의 배출프레임몸체(212)에서 개폐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배출프레임도어(214)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배출공간부(202)를 외측에서 확인 가능하다.
이러한 배출프레임도어(214)는 상단부 중간에 통공 형성된 도어손잡이(2142)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도어개폐부(216)는 고정돌기(2162)와 관통공(2164) 및 고정공(2166)으로 구성된다.
고정돌기(2162)는 각 가이드블럭(230)의 전면에 돌출형성되고, 관통공(2164)은 고정돌기(2162)가 관통되도록 배출프레임도어(214)에 형성된다.
또한 고정공(2166)은 관통공(2164)에 관통된 고정돌기(2162)가 걸려 배출프레임도어(214)를 한 쌍의 배출프레임몸체(212)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도어개폐부(216)에 의해 배출프레임도어(214)를 폐쇄 또는 개방시킬 수 있어 배출되던 채혈관(30)이 걸리는 등의 오작동이 발생될 경우,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배출프레임몸체(212)는 의료용 시료관을 수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제2공급공(218)이 더 포함된다.
이 제2공급공(218)은 거치부(100)와 공급부(300), 대기부(400)를 거치지 않고, 의료용 시료관을 배출부(200)로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주로 채혈관이 공급된다.
10 : 공급장치 30, 30', 30" : 채혈관
100 : 거치부 200 : 배출부
300 : 공급부 400 : 대기부
500 : 조작부 600 : 공급제어부

Claims (10)

  1. 채집된 혈이 수용되는 투명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중앙부에 개방공을 갖는 덮개 및 상기 개방공을 통해 노출되도록 몸체와 덮개 사이에 구비되어 몸체를 폐쇄시키는 탄성재질의 마개를 갖되, 상기 덮개의 높이가 다르게 형성된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복수의 채혈관을 라벨기로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각 채혈관의 몸체가 위치되어 덮개 하단부가 걸려 거치되는 복수의 거치홈을 갖되, 각 전단부에는 해당 채혈관의 덮개가 통과될 수 있는 공급공이 형성되고, 상기 각 거치홈은 상면이 후단부에서 전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거치된 채혈관들이 자중에 의해 전측으로 이동되는 거치부;
    상기 거치부의 전단부를 통해 이동되는 채혈관을 상기 라벨기로 공급하기 위한 배출부;
    공급핀을 갖고, 상기 각 거치홈의 최전측에 거치된 채혈관의 위치를 유지시키거나 채혈관의 위치 유지를 해제하여 배출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공급부;
    해당 채혈관의 개방공에 위치되기 위한 정지핀을 갖고, 상기 공급부에 의해 단속된 최전측 채혈관들의 다음에 위치된 채혈관들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대기부;
    상기 거치부에 거치된 채혈관의 종류와 개수를 선택하도록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 및
    상기 조작부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공급부와 대기부를 제어함에 따라, 라벨링이 필요한 하나 이상의 채혈관을 상기 배출부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공급제어부;를 포함하는 라벨기용 채혈관 자동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라벨기의 상부판은 양측부판의 상단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내부를 개폐시키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라벨기의 상부판에 구비되어 함께 슬라이딩되되, 상기 배출부와 공급부, 대기부가 구비된 전단부가 라벨기를 이탈되지 않도록 상부판이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기용 채혈관 자동 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공급프레임;
    상기 공급공방향 또는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공급프레임에 설치되는 공급핀;
    상기 공급핀을 공급공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공급구동부; 및
    상기 공급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핀을 공급공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공급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공급구동부에 의해 상기 공급핀이 공급공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거치홈의 최전측에 거치된 채혈관이 공급공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2공급구동부에 의해 상기 공급핀이 공급공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거치홈의 최전측에 거치된 채혈관이 공급공을 통해 상기 배출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기용 채혈관 자동 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부는,
    대기프레임;
    상기 거치홈의 최전측 채혈관의 다음에 위치된 채혈관의 덮개 개방공에 위치되어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대기프레임에 설치되는 대기핀;
    상기 대기핀을 거치홈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대기구동부; 및
    상기 대기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대기핀을 거치홈의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대기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대기구동부에 의해 상기 대기핀이 거치홈방향으로 이동되어 해당 채혈관의 개방공에 위치됨에 따라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2대기구동부에 의해 상기 대기핀이 거치홈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개방공에서 이탈됨에 따라, 거치홈의 최전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기용 채혈관 자동 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급구동부와 제2대기구동부는,
    해당 프레임의 내부에 구비되며, 내부공간부가 형성되고, 외주를 따라 코일이 감싸져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하는 솔레노이드;
    하단부가 해당 핀의 상단부와 연결되고, 상단부가 해당 프레임의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의 내부공간부에 위치되며, 형성된 자기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해당 핀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봉; 및
    상기 구동봉을 따라 이동되는 해당 핀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해당 프레임에 구비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는 라벨기용 채혈관 자동 공급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급구동부와 제1대기구동부는,
    상기 해당 프레임의 하단 외측으로 돌출된 해당 핀의 외주를 따라 돌출형성된 제1공급턱;
    탄성을 갖고, 상기 제1공급턱과 해당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제1공급턱을 하측으로 가압함에 따라, 해당 핀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공급스프링; 및
    상기 제1공급스프링에 의해 이동되는 해당 핀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구동봉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제1스토퍼;를 포함하는 라벨기용 채혈관 자동 공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핀과 정지핀은,
    내부에 인입공을 갖고, 상단부가 구동봉에 연결되며, 하단부 외주를 따라 제1공급턱이 형성된 핀몸체; 및
    상기 핀몸체의 인입공에 위치되는 핀선단부;를 포함하는 라벨기용 채혈관 자동 공급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해당 채혈관의 덮개 높이에 따라, 상기 핀선단부를 인입시키기 위한 미세조절부;가 더 구비되는 라벨기용 채혈관 자동 공급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절부는,
    상기 핀몸체에 구비되어 핀선단부를 이동시키기 위한 실린더와 모터 중 어느 하나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기용 채혈관 자동 공급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핀은 수직방향으로 상하이동되고,
    상기 공급핀은 하측으로 갈수록 후측으로 경사지게 상하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벨기용 채혈관 자동 공급장치.
KR1020170078292A 2017-06-21 2017-06-21 라벨기용 채혈관 자동 공급장치 KR101796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292A KR101796898B1 (ko) 2017-06-21 2017-06-21 라벨기용 채혈관 자동 공급장치
US15/772,820 US10807756B2 (en) 2017-06-21 2017-12-08 Apparatus of automatically supplying blood collection tubes for a labeling machine
PCT/KR2017/014368 WO2018236014A1 (ko) 2017-06-21 2017-12-08 라벨기용 채혈관 자동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292A KR101796898B1 (ko) 2017-06-21 2017-06-21 라벨기용 채혈관 자동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6898B1 true KR101796898B1 (ko) 2017-11-13

Family

ID=60386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292A KR101796898B1 (ko) 2017-06-21 2017-06-21 라벨기용 채혈관 자동 공급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07756B2 (ko)
KR (1) KR101796898B1 (ko)
WO (1) WO2018236014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032A (ko) * 2017-11-29 2019-06-07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수직방향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
KR20190065564A (ko) * 2017-12-04 2019-06-12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채혈관 라벨지 정렬 및 처리장치
KR20190065568A (ko) * 2017-12-04 2019-06-12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자동공급장치를 구비한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
KR102011069B1 (ko) * 2019-01-04 2019-08-14 주식회사 크레도웨이 라벨기용 채혈관 자동 준비장치
US20200393479A1 (en) * 2018-02-23 2020-12-17 Siemens Healthcare Diagnostics Inc. Clinical analyzers and methods for transporting cuvettes
EP3746798B1 (en) * 2018-01-31 2024-03-13 Laboratory Corporation of America Holdings Sample receiving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8204B (zh) * 2019-07-17 2021-02-23 苏州翌恒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抽气式采血管采血前移动准备装置
CN114803459A (zh) * 2022-05-18 2022-07-29 四川沃文特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样本管初筛输送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410B1 (ko) * 2007-09-10 2008-11-03 테스코 주식회사 시험관 준비 장치
JP4321789B2 (ja) * 1999-02-25 2009-08-26 株式会社新盛インダストリーズ ラベルを貼着するための試験管の堆積状態からの搬送装置
KR101749455B1 (ko) 2016-04-12 2017-06-22 홍민지 라벨기용 채혈관 자동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10097A (en) * 1980-08-05 1982-01-12 Marlboro Marketing, Inc. Gravity feed combined display and storage unit
US5788091A (en) * 1996-02-16 1998-08-04 The Mead Corporation Article-dispensing system having an attraction device
US5893263A (en) * 1996-07-19 1999-04-13 Techno Medica Co., Ltd. Automatic bar code label applying apparatus for test tubes
US6523719B2 (en) * 2000-12-04 2003-02-25 True Manufacturing Co., Inc. Container dispenser for merchandiser
US7383965B2 (en) * 2001-05-15 2008-06-10 Techno Medica Co., Ltd. Blood-collection tube preparation device
KR101269670B1 (ko) * 2009-02-17 2013-05-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라벨 자동 부착 장치
CN102460179B (zh) * 2009-06-24 2014-07-16 株式会社Afc 采血管储料器及采血管准备装置
EP2873977B1 (en) * 2012-07-10 2020-04-01 Techno Medica Co., Ltd. Double-decker tube dispenser
KR101431740B1 (ko) * 2012-10-30 2014-08-19 제니스전장주식회사 자기장 가변형 솔레노이드 장치
US9315286B2 (en) * 2014-05-22 2016-04-19 Milad A. Hanna Test tube labeling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21789B2 (ja) * 1999-02-25 2009-08-26 株式会社新盛インダストリーズ ラベルを貼着するための試験管の堆積状態からの搬送装置
KR100866410B1 (ko) * 2007-09-10 2008-11-03 테스코 주식회사 시험관 준비 장치
KR101749455B1 (ko) 2016-04-12 2017-06-22 홍민지 라벨기용 채혈관 자동 공급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032A (ko) * 2017-11-29 2019-06-07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수직방향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
KR102092886B1 (ko) 2017-11-29 2020-03-24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수직방향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
KR20190065564A (ko) * 2017-12-04 2019-06-12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채혈관 라벨지 정렬 및 처리장치
KR20190065568A (ko) * 2017-12-04 2019-06-12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자동공급장치를 구비한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
KR102092887B1 (ko) 2017-12-04 2020-03-24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채혈관 라벨지 정렬 및 처리장치
KR102092888B1 (ko) 2017-12-04 2020-03-24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자동공급장치를 구비한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
EP3746798B1 (en) * 2018-01-31 2024-03-13 Laboratory Corporation of America Holdings Sample receiving system
US20200393479A1 (en) * 2018-02-23 2020-12-17 Siemens Healthcare Diagnostics Inc. Clinical analyzers and methods for transporting cuvettes
KR102011069B1 (ko) * 2019-01-04 2019-08-14 주식회사 크레도웨이 라벨기용 채혈관 자동 준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07756B2 (en) 2020-10-20
WO2018236014A1 (ko) 2018-12-27
US20200299019A1 (en) 2020-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6898B1 (ko) 라벨기용 채혈관 자동 공급장치
US6926058B2 (en) Sample pretreatment system
US868532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purification of biomolecules
RU270343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ымания яиц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е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переноса яиц
JP6054726B2 (ja) 仕分け装置
WO2005045749B1 (e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device and method
ATE278967T1 (de) Becherhandhabungssystem für automatische analysevorrichtung
KR101815829B1 (ko) 라벨기용 채혈관 자동 공급장치
RU2638311C1 (ru) 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яиц и связанные с ним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JP2014505889A (ja) 空気圧式メールシステムと、研究所自動化システムへバイオ製品容器を供給するシステムとの間にある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US6843962B2 (en) Apparatus for and methods of handling biological sample containers
EP3109642B1 (e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racks of disposable pipette tips in a laboratory automation system and laboratory automation system
EP3239716B1 (en) Sample smearing apparatus
US9261440B2 (en) Punching device with gripper unit
JP2003329693A (ja) 分注装置のカートリッジラック構造
JP2003515139A (ja) 回転式サンプル・ラック・キャリアを有する分析器
KR20110053598A (ko) 과일 선별장치
JP7316763B2 (ja) 分析、特に医学分析の自動実行のための自動デバイス
KR101749455B1 (ko) 라벨기용 채혈관 자동 공급장치
CN117607474A (zh) 一种全自动分杯系统
CN110596408B (zh) 一种全自动干式免疫分析设备
US5568881A (en) Pipette tip dispenser
CN216614602U (zh) 一种用于单个细胞分选中的自动收集模块
CN110802036B (zh) 一种弹簧全自动外径分选机
US20220065885A1 (en) Automated laboratory system for automatically handling laboratory samp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