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2888B1 - 자동공급장치를 구비한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자동공급장치를 구비한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2888B1
KR102092888B1 KR1020170164846A KR20170164846A KR102092888B1 KR 102092888 B1 KR102092888 B1 KR 102092888B1 KR 1020170164846 A KR1020170164846 A KR 1020170164846A KR 20170164846 A KR20170164846 A KR 20170164846A KR 102092888 B1 KR102092888 B1 KR 102092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collection
collection tube
supply device
blood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5568A (ko
Inventor
이창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Priority to KR1020170164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2888B1/ko
Publication of KR20190065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8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3/00Labelling other than flat surfaces
    • B65C3/06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 B65C3/08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to container bodies
    • B65C3/14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to container bodies the container being positioned for labelling with its centre-line vertical
    • B65C3/16Affixing labels to short rigid containers to container bodies the container being positioned for labelling with its centre-line vertical by rolling the labels onto cylindrical containers, e.g.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2Devices for moving articles, e.g. containers, past labelling station
    • B65C9/04Devices for moving articles, e.g. containers, past labelling station having means for rotating the articles

Landscapes

  • Labeling Devices (AREA)

Abstract

실시예들은 자동공급장치를 구비한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로서,채혈관을 순차적으로 라벨러 본체에 수직 삽입하는 채혈관 공급장치; 및 상기 채혈관 공급장치의 하부에 배치되고, 채혈관을 공급받아 채혈관에 라벨링 처리를 수행하는 라벨러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채혈관 공급장치는, 채혈관이 수납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일 단부에 위치하고, 수납부를 이탈한 채혈관이 공급홀로 낙하하도록 측면의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채혈관 이동공간; 목적하는 채혈관이 상기 채혈관 이동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납부의 채혈관을 밀어주는 채혈관 이동기를 포함하되, 상기 수납부의 밑면은 복수개의 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수납부의 밑면은 상기 일 단부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공급장치를 구비한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에 관련된다.

Description

자동공급장치를 구비한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APPARATUS HAVING AUTOMATIC FEEDER FOR LABELING TUBE FOR BLOOD TEST}
본 발명은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수직방향으로 투입된 채혈관에 라벨링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채혈관 라벨링 장치는 채혈관을 옆으로 눕혀서 채혈관을 굴리면서 이동 시키고, 눕힌 상태로 라벨링을 진행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이 눕힌 상태로 라벨링을 하게되면, 채혈관의 이동 경로가 복잡해져 장치의 부피와 내부 구성이 복잡해 지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64689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채혈관을 라벨링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자동공급장치를 구비한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는, 채혈관을 순차적으로 라벨러 본체에 수직 삽입하는 채혈관 공급장치; 및 상기 채혈관 공급장치의 하부에 배치되고, 채혈관을 공급받아 채혈관에 라벨링 처리를 수행하는 라벨러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채혈관 공급장치는, 채혈관이 수납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일 단부에 위치하고, 수납부를 이탈한 채혈관이 공급홀로 낙하하도록 측면의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채혈관 이동공간; 목적하는 채혈관이 상기 채혈관 이동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납부의 채혈관을 밀어주는 채혈관 이동기를 포함하되, 상기 수납부의 밑면은 복수개의 롤러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밑면은 상기 일 단부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채혈관 공급장치는, 상기 채혈관 이동공간을 개방시키거나 닫을 수 있는 개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 채혈관을 눕혀 굴리는 형태로 이동 및 라벨링을 수행하는 장치에 비하여 장치의 구조가 단순하며, 장치의 부피가 매우 축소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채혈관에 기 인쇄된 영역을 검출하고 기 인쇄된 영역부터 라벨링을 수행함으로써 채혈관의 둘레가 가려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도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공급장치를 구비한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채혈관 공급장치100가 채혈관10을 라벨러 본체200에 공급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채혈관 공급장치100의 평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3c와 도 3d는 일 실시예에서 수납부110의 깊이와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채혈관10이 라벨러 본체200에 투입되고 라벨링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9는 라벨링 작업이 완료된 후 채혈관10이 배출구29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 10은 인쇄지가 기울어진 경우 라벨링 시작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 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unit)",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 등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object), 실행 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및/또는 컴퓨터(compute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컴퓨터의 양쪽이 모두 본 명세서의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공급장치를 구비한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동공급장치를 구비한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1000는 채혈관10을 순차적으로 라벨러 본체200에 수직 삽입하는 채혈관 공급장치100 및 채혈관 공급장치100의 하부에 배치되고, 채혈관10을 공급받아 채혈관10에 라벨링을 수행하는 라벨러 본체200로 구성된다.
라벨러 본체200는, 라벨링 처리장치1000의 동작상태 또는 다른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3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채혈관 공급장치100가 채혈관10을 라벨러 본체200에 공급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의 구성 내용을 살펴보기 위해, 도 1의 라벨링 처리장치1000에서 외부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다.
채혈관 공급장치200는, 채혈관10이 수납되는 수납부110, 수납부110의 일 단부에 위치하고, 수납부110를 이탈한 채혈관10A이 공급홀130로 낙하하도록 측면의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채혈관 이동공간120, 및 목적하는 채혈관이 채혈관 이동공간120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납부110의 채혈관10을 밀어주는 채혈관 이동기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10는, 서로 다른 깊이를 갖는 복수의 영역111,11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길이가 다른 채혈관이 동일한 높이로 수납부110에 수납될 수 있도록 수납부의 각 영역의 깊이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채혈관 이동기140가 일렬로 정렬된 채혈관10을 뒤에서 밀어서 가장 앞(채혈관 이동공간120 측)으로 하나의 채혈관10A이 밀려 수납부110 밖으로 나온 상태를 나타낸다. 도 2a에서 채혈관 10A는 공중에 부유된 상태로서 곧 아래로 낙하될 것이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수납부110의 밑면은 일 단부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기울어진 것일수 있다. 따라서 중력에의해 채혈관이 이동공간120 쪽으로 이동되는 힘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이동기140의 힘이 덜 필요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일 실시예에서 수납부110의 밑면은 복수개의 롤러로 구성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채혈관과 수납부110 밑면과의 마찰력이 줄어들어 이동기140의 힘이 덜 필요하게 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채혈관 공급장치는, 상기 채혈관 이동공간을 개방시키거나 닫을 수 있는 개폐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개폐부는 채혈관 이동공간에 손을 넣는 것과 같은 물리적인 힘을 가할 수 있도록 여닫는 장치일 수 있다. 예컨대 이동공간 120에 채혈관이 밀집되어 채혈관이 막히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채혈관 공급장치 전체 케이스를 열지 않고, 개폐부만을 개방함으로써 이동공간120의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 개폐부의 면적은 이동공간의 단면적에 대응되거나 이보다 소정 크기 작을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도 2a에 비해 채혈관10A가 약간 낙하한 상태를 나타낸다. 채혈관10A이 낙하될 수 있도록 채혈관 이동공간120의 일정 부분의 폭d는 채혈관의 지름보다 클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채혈관10A이 이동공간120에 끼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채혈관 이동공간120의 측면의 폭이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형태이기 때문에 낙하하는 채혈관10A는 측면을 타고 일률적으로 공급홀130로 이동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부110는 복수의 열column로 병렬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병렬로 배치된 경우라도 채혈관 이동기140가 채혈관을 하나씩 채혈관 이동공간120으로 밀어준다면 공급홀130에는 하나의 채혈관이 순차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2c 및 도 2d를 참조하면 채혈관 10A이 공급홀130에 투입되어 라벨러 본체200로 들어가는 상태가 나타난다. 만일 채혈관 이동기140가 짧은 시간간격으로 채혈관을 밀어 넣더라도, 공급홀130은 하나이고, 채혈관 이동공간120은 병목 형태를 갖기 때문에 채혈관이 순차적으로 공급홀130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채혈관 이동공간120은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기 때문에 복수의 채혈관10이 밀려 들어와도 이들을 수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예컨대 채혈관 이동공간120이 일정한 공간을 갖지 않는다면, 동시에 복수의 채혈관이 수납부110를 이탈한 경우 복수의 채혈관10이 라벨러 본체200로 가는 길목에 막혀버릴 수도 있다.
한편 위와 같이 이동공간의 형태가 아래로 오목한 형태를 갖는 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른 기계적인 장치를 통해서 채혈관이 하나씩 공급홀130로 이동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다른 기계적인 장치는 수직으로 세워진 채혈관이 경사면을 따라 수납되고 경사면의 아래쪽 단부에 공급홀130이 구비되는 것일 수 있고, 또는 채혈관을 집어서 공급홀로 이동시키는 로봇암일 수도 있다.
도 3a 및 도 3b는 채혈관 공급장치100의 평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진 채혈관 세트들이 서로 다른 수납부 영역111,112에 수납되어 있다. 수납부 영역112의 채혈관 일부는 채혈관 이동기140에의해 외부로 토출된다. 채혈관 이동기140는 리니어 모터와 같은 액추에이터에 의해 직선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으며, 제어부(미도시)의 명령에 따라서 채혈관10을 하나씩 수납부110에서 이탈 시킬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영역111,112에는 채혈관 이동기140가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채혈관10A는 공급홀130에 들어가고 채혈관 10B가 채혈관 10A를 뒤따라 채혈관 이동공간120으로 이동해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수납부110의 각 영역111,112의 깊이는 서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난다. 도 3b에서 깊이 차이는h1으로 도시된다. 수납부110의 각 영역의 깊이가 상이함으로 인해 수납부110에 수납된 채혈관의 길이가 서로 다르더라도 길이가 긴 채혈관이 깊이가 깊은 수납부에 수납됨으로써 수납부의 윗면을 구성하는 채혈관10의 캡들이 형성하는 윗면은 평행하게 될 수 있다.
도 3c와 도 3d는 일 실시예에서 수납부110의 깊이와 폭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물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제1구조물k1은 일정한 높이를 갖고 수납부110부의 밑면에 설치됨으로써 다른 수납부110와의 높이차이h1을 만들 수 있다. 도 3d를 참조하면 제2구조물k2은 1자 형태로 수납부110의 윗면에 설치되어 수납부의 윗면 폭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물을 통해서 일정한 규모의 수납부110가 있더라도 구비한 채혈관10의 사이즈에 맞게 수납부의 공간을 조절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8은 채혈관10이 라벨러 본체200에 투입되고 라벨링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 내지 도 8에서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을 제외하고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단 제어부는 필수적 구성이나 컨트롤러 또는 프로세서와 같은 정보처리장치로서 도시되지 않았다.
채혈관10은 채혈관 캡11, 바디12로 구성될 수 있다. 캡11은 다양한 외형 및 색을 가질 수 있다. 바디12는 다양한 지름과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디12에는 채혈관 제조사에의해 부착된 인쇄물13이 기 인쇄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채혈관10이 라벨러 본체200로 수직으로 투입되고 있다. 일 실시예에서 라벨러 본체200는 수직 삽입되는 채혈관이 투입되는 투입구20, 삽입된 채혈관10의 밑면을 받치는 받침대270, 및 삽입된 채혈관10의 바디에 소정의 정보가 인쇄된 라벨지를 라벨링하는 라벨링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대270는 채혈관의 길이에 따라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받침대 270의 높이 조절에 따라서 투입된 채혈관1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라벨링부260는 높이가 조절된 채혈관10에 라벨지를 라벨링할 수 있다. 채혈관10의 길이는 다양할 수 있기 때문에, 받침대270는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채혈관10의 라벨링 대상 영역이 라벨링 가능 영역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라벨링 대상 영역은 사용자가 해당 채혈관10에 라벨지를 붙이고자 하는 위치로서, 바디12의 일 영역일 수 있다. 또한 라벨링 가능 영역은 라벨링부260가 라벨링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3차원 공간상의 위치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 라벨러 본체200는 삽입된 채혈관의 길이를 측정하는 근접센서210(210A, 210B), 채혈관10의 라벨링 대상 영역이 라벨링 가능 영역에 위치하도록, 측정된 채혈관의 길이에 따라서 받침대의 높이를 조절하는 제어부(미도시), 및 삽입된 채혈관의 캡 색을 판별하는 컬러 센서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정보는 해당 채혈관이 이용되는 환자에 대한 정보, 해당 환자의 질환에 대한 정보 또는 해당 환자로부터 얻어야 하는 생체 정보 등일 수 있으며, 상기 소정의 정보는 캡 색과 상기 채혈관 길이를 참조하여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소정의 정보는 캡의 형태를 더 참조하여 결정될 수도 있다.
수직 삽입된 채혈관10은 우선 받침대270에 받쳐지고 근접센서210에의해 길이가 측정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근접센서210A와 210B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해 있는바, 두 근접센서 210A와 210B가 모두 채혈관을 인식하는 경우 채혈관의 길이는 근접센서210A의 측정 가능 높이에서부터 받침대270의 초기 위치까지로 측정될 수 있다. 또한 근접센서210A에서는 채혈관10이(임의 물체가) 인식되지 않고 근접센서210B에서만 채혈관10이 인식되면 두 근접센서210에서 측정된 경우보다 짧은 길이로 채혈관10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정확한 길이는 앞서 두 근접센서의 인식한 경우에 대한 설명한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근접센서210에 의해 측정된 채혈관10의 길이가 설정된 길이보다 길거나 짧은 경우 받침대270는 높이를 높이거나 낮춰서 채혈관10이 적절한 위치(라벨링 가능 영역)에 위치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채혈관10이 라벨링 가능 영역에 위치하거나, 또는 채혈관이 수직 삽입되어 받침대270에 위치한 즉시, 컬러 센서220는 채혈관 캡11의 색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다. 컬러센서220의 정확한 색 감지를 위해서 채혈관10을 일정 시간 동안 고정시키는 고정기구230가 구비될 수도 있다. 고정기구는 투입구20의 양측에 위치하고, 직선 양방향 운동 가능하며, 채혈관10을 잡을 수 있도록 오목한 단부를 가질 수 있다.
도 6은 높이가 조절된 채혈관10이 라벨링 처리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라벨러 본체200는 높이가 조절된 채혈관10을 회전시키는 롤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라벨링부260는 소정각도 회전된 채혈관10에 라벨지를 라벨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채혈관10은 제조사에 의해 소정의 인쇄지가 부착되어 판매된다. 즉 인쇄지13가 이미 채혈관의 바디12의 대부분을 덮고 있는 상태이다. 그런데 이러한 인쇄지13가 부착된 채혈관 위에 소정 정보를 가진 라벨지를 더 붙이게 되면 채혈관의 바디12의 일정 부분의 둘레를 모두 가려버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벨러 본체200는 삽입된 채혈관을 촬영하여 채혈관에 기부착된 인쇄지 영역을 검출하는 이미지 센서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채혈관의 인쇄물 영역을 검출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280를 포함하는 라벨러 본체200의 내부 주요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롤러는 상기 라벨링부260가 상기 인쇄지13 위에 라벨링을 할 수 있도록, 상기 채혈관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렇게 회전된 채혈관10에 대하여 라벨링부260는 라벨링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 즉 라벨링부260의 라벨링 시작 위치가 기부착된 인쇄지13 영역의 단부로 맞춰지도록 채혈관이 적절히 회전되어 라벨링부260의 라벨링 가능 영역에 위치되어 라벨링 작업이 시작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라벨링부는, 기부착된 인쇄지 영역의 최외곽 모서리 지점 E1 또는 두 번째 모서리 지점E2부터 라벨링을 시작할 수도 있다. 도 10은 인쇄지가 기울어진 경우 라벨링 시작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두 번째 모서리 지점E2은 최외각 모서리E1와 수직방향으로 이웃하는 모서리를 의미한다.
예컨대 기부착된 인쇄지가 비스듬하게 부착된 경우, 라벨링부는 기부착된 인쇄지 영역의 최외각 모서리 지점E1부터 기부착된 인쇄지 방향으로 라벨링을 시작하여 기울어진 인쇄지 영역을 가릴 수 있다. 또는 두 번째 모서리 지점E2부터 라벨링을 시작할 수도 있다. 두 번째 모서리 지점부터 시작하더라도 최외각 모서리 지점E1과 두 번째 모서리 지점은 비스듬하므로 채혈관이 가려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라벨링부는 모서리 지점E3 또는 E4까지만 라벨링할 수 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라벨링 작업 전, 라벨링 작업 중 또는 라벨링 작업 후 롤러240는 소정거리 뒤로 이동할 수 있다. 채혈관 캡의 둘레가 채혈관 바디보다 크기 때문에 배출구290로 채혈관이 배출될 때, 채혈관 캡이 롤러240에 걸리지 않기 위함이다.
도 8은 인쇄물이 부착된 채혈관 위에 라벨링되는 종래 문제점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교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종래 방식의 경우 제조사의 인쇄물13을 고려하지 않고 새로운 라벨지14를 라벨링 함으로써 채혈관의 둘레가 모두 가려져 채혈관 내 혈액의 양이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 제조사의 인쇄물13 위에 새로운 라벨지14를 라벨링 함으로써 채혈관의 전체 길이에 있어서 내부를 볼 수 있는 영역을 확보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채혈관 내 혈액의 양과 상태를 보다 전체적으로 알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9는 라벨링 작업이 완료된 후 채혈관10이 배출구29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나타낸다. 배출된 채혈관10은 저장소로 이동하여 보관될 수 있다. 저장소는 라벨러 본체200의 하부에 위치하는 일정한 공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채혈관
100 : 채혈관 공급장치
200 : 라벨러 본체
300 : 디스플레이
1000 : 라벨링 처리장치

Claims (3)

  1. 자동공급장치를 구비한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로서,
    채혈관을 순차적으로 라벨러 본체에 수직 삽입하는 채혈관 공급장치; 및 상기 채혈관 공급장치의 하부에 배치되고, 채혈관을 공급받아 채혈관에 라벨링 처리를 수행하는 라벨러 본체를 포함하되,
    상기 채혈관 공급장치는,
    서로 다른 크기의 채혈관을 동시에 수납가능한 수납부;
    상기 수납부의 일 단부에 위치하고, 수납부를 이탈한 채혈관이 공급홀로 낙하하도록 측면의 폭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채혈관 이동공간;
    목적하는 채혈관이 상기 채혈관 이동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납부에 일렬로 정렬된 채혈관을 뒤에서 밀어주는 채혈관 이동기를 포함하되,
    상기 수납부의 밑면은 복수개의 롤러로 구성되고,
    상기 라벨러 본체는,
    수직 삽입된 채혈관의 밑면을 받치고, 채혈관의 길이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공급장치를 구비한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의 밑면은 상기 일 단부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공급장치를 구비한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채혈관 공급장치는,
    상기 채혈관 이동공간을 개방시키거나 닫을 수 있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공급장치를 구비한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
KR1020170164846A 2017-12-04 2017-12-04 자동공급장치를 구비한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 KR1020928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846A KR102092888B1 (ko) 2017-12-04 2017-12-04 자동공급장치를 구비한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846A KR102092888B1 (ko) 2017-12-04 2017-12-04 자동공급장치를 구비한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568A KR20190065568A (ko) 2019-06-12
KR102092888B1 true KR102092888B1 (ko) 2020-03-24

Family

ID=66845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846A KR102092888B1 (ko) 2017-12-04 2017-12-04 자동공급장치를 구비한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288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6577A (ja) * 1998-07-01 2000-01-18 N Tec:Kk インフィード装置
CN204776364U (zh) * 2015-07-13 2015-11-18 青岛华诺医学科技有限公司 试管输送机构及试管标签粘贴设备
JP2016527089A (ja) * 2013-04-15 2016-09-08 エナジウム リミテッド 試験管グリッパー、試験管ラベリングユニット及びこれを含む試験管準備装置
KR101770353B1 (ko) 2015-08-25 2017-09-12 주식회사 아세테크 라벨 부착 장치
CN206569376U (zh) 2017-01-19 2017-10-20 杭州世诺科技有限公司 拨片式真空采血管输送分离及定位机构
KR101796898B1 (ko) 2017-06-21 2017-11-13 주식회사 크레도웨이 라벨기용 채혈관 자동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823B1 (ko) * 2008-09-18 2011-01-19 씨브이씨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설명서 부착 장치
KR101764689B1 (ko) 2015-09-08 2017-08-14 주식회사 와이즈메디텍 채혈관 인식 및 라벨링 처리 자동화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16577A (ja) * 1998-07-01 2000-01-18 N Tec:Kk インフィード装置
JP2016527089A (ja) * 2013-04-15 2016-09-08 エナジウム リミテッド 試験管グリッパー、試験管ラベリングユニット及びこれを含む試験管準備装置
CN204776364U (zh) * 2015-07-13 2015-11-18 青岛华诺医学科技有限公司 试管输送机构及试管标签粘贴设备
KR101770353B1 (ko) 2015-08-25 2017-09-12 주식회사 아세테크 라벨 부착 장치
CN206569376U (zh) 2017-01-19 2017-10-20 杭州世诺科技有限公司 拨片式真空采血管输送分离及定位机构
KR101796898B1 (ko) 2017-06-21 2017-11-13 주식회사 크레도웨이 라벨기용 채혈관 자동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568A (ko) 2019-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13445A (ko) 수직방향 채혈관 공급 처리장치
JPH0237080Y2 (ko)
US20160088197A1 (en) Nail information detection device, drawing apparatus, and nail information detection method
EP2234004A3 (en) Coordinate inputting/detecting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designed to precicely recognize a designating state of a designating device designating a position
KR102092887B1 (ko) 채혈관 라벨지 정렬 및 처리장치
US9781989B2 (en) Drawing apparatus, operation control method of drawing apparatus, and operation control program of drawing apparatus
CN105574979B (zh) 一种即开票自动出票装置
KR102092888B1 (ko) 자동공급장치를 구비한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
JP2009160338A (ja) メダルカップホルダ
KR102352559B1 (ko) 파지 시스템
EP3047912A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pray pattern
KR20190083729A (ko) 의약품용 레이저마킹장치
KR102092886B1 (ko) 수직방향 채혈관 라벨링 처리장치
CN101487697B (zh) 检测光学透镜支架的设备及相关方法
CN203450485U (zh) 自动贴标机
CN104755875B (zh) 拉链拉头组装机的拉链拉头检查装置
KR101721558B1 (ko) 스크린 야구용 피칭 머신의 볼 안내 및 공급 장치
KR102258421B1 (ko) 채혈관 정렬 및 라벨링 처리장치
WO2009067103A9 (en) Liquid handling device
CN105899932B (zh) 检测药片的方法和装置
KR20200113446A (ko) 분리 가능한 투입부를 구비한 채혈관 공급 처리장치
US5898650A (en) CD player with linear array of stationary disc holders
CN104035298B (zh) 图像形成设备
KR102410537B1 (ko) 용지 잔여량 모니터링이 가능한 용지 보관공급장치
JPH0477553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