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738B1 -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계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계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738B1
KR101828738B1 KR1020170010360A KR20170010360A KR101828738B1 KR 101828738 B1 KR101828738 B1 KR 101828738B1 KR 1020170010360 A KR1020170010360 A KR 1020170010360A KR 20170010360 A KR20170010360 A KR 20170010360A KR 101828738 B1 KR101828738 B1 KR 101828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soning
unit
plate
seasoned lav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탁
Original Assignee
강신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탁 filed Critical 강신탁
Priority to KR1020170010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87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02Adaptations of coun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06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by rollers or balls, e.g. betwe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10Pusher and like movable registers; Pusher or gripper devices which move articles into registered position
    • B65H9/101Pusher and like movable registers; Pusher or gripper devices which move articles into registered position acting on the edge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3Bevel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50Driving mechanisms
    • B65H2403/53Articul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70Other elements in edg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e.g. registering, orientating, gui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5/00Actuating means
    • B65H2555/20Actuating means ang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미김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일정 개수씩 적재하면서 정렬하는 장치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상기 조미김의 일면을 정렬한 상태로 연속 안내하는 안내롤러(11)와 도입롤러(13)를 구비하는 도입유니트(10); 상기 도입유니트(10)에서 조미김을 하부의 공간으로 낙하시키면서 4면을 정렬시키는 정렬유니트(20); 및 상기 정렬 상태로 적재된 조미김을 일시에 배출하는 배출유니트(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조미김 가공 분야의 양산 적용에 있어서 구워서 조미된 상태로 이송되는 김을 일정 개수씩 적재하면서 가지런한 상태로 정렬시켜 후속공정으로 보내므로 조미김의 파손 없이 공수절감에 의한 생산성 향상과 후속공정의 불량을 최소화하는 등 자동화라인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계수장치{Counting device for automatic seasoned laver Processing line}
본 발명은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조미김 가공 분야의 양산 적용에 있어서 구워서 조미된 상태로 이송되는 김을 일정 개수씩 적재하면서 가지런한 상태로 정렬시켜 후속공정으로 보내므로 조미김의 파손 없이 공수절감에 의한 생산성 향상과 후속공정의 불량을 최소화하는 등 자동화라인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는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최근에는 김 가공방법이 다양해져 소비자가 가공된 김을 손쉽게 구입하여 먹기에 간편하도록 일회용으로 포장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포장 김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김의 표면에 향유를 바르고 조미료를 뿌린 다음 이를 불에 구워 적정크기로 절단하고 포장하는 일련의 가공 공정이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이와 관련하여 참조할 수 있는 본 출원인에 의한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3764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8307호 등이 알려져 있다.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3764호에 따르면 종절단기, 횡절단기를 거쳐 일정 크기로 절단된 김을 가이드레일 상에서 연속적으로 트레이에 적재하는 장치에 있어서: 다수의 트레이를 다열의 적층 상태로 수용하며, 배출블록의 전후진 운동으로 하층열 트레이를 낙하하는 트레이공급기; 상기 횡절단기의 김을 적재판에 일시적으로 수용하면서, 트레이에 김을 낙하하되, 전면에 멈춤편을 지닌 브라켓에 지지대와 적재판을 전후진 운동 가능하게 탑재하여 적재판의 전진시 김을 받고 후진시 멈춤편에 의해 김을 낙하하는 적재기; 상기 김이 담긴 트레이를 이송대로 밀어 포장라인으로 보내는 배출기; 및 상기 종절단기, 횡절단기, 트레이공급기, 적재기, 배출기의 작동 플로우를 조절하되, 가이드레일 상에 설치되는 이송기구를 종절단기 및 횡절단기와 연계되는 타이밍으로 스텝 단위로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되어 이송되는 김을 트레이에 연속적으로 담아 포장함에 따라 생력화가 가능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다른 예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8307호에 따르면 로딩되는 원재료 김을 용기에 포장하도록 설정된 크기로 연속 절단하는 장치에 있어서: 가이드레일 상으로 원재료 김을 연속으로 이송하는 공급기; 상기 공급기의 하류상에 가이드레일이 일직선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하되 김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대를 양단에 구비하고, 이송기구로 간헐 이송되는 원재료 김을 일차로 등분하는 커터를 구비하는 종절단기; 및 상기 종절단기의 하류에 가이드레일이 수직으로 연결되도록 설치하되 김의 이탈을 방지하는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의 높이를 조절하는 조절대를 양단에 구비하고, 이송기구로 간헐이송되는 원재료 김을 이차로 등분하는 커터를 구비하는 횡절단기;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구이김을 연속공정으로 투입하여 균일한 크기로 절단하는 공정을 자동화하여 생산성을 향상할 뿐 아니라 절단에 따른 파손을 방지하여 품질을 높이고 절단 과정에서의 손실량을 최소화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에 의하면 김 가공 분야에서 주요 공정 중 일부 공정에 의한 부분적인 자동화로 생산성 향상을 추구하지만, 여전히 양산 시스템의 안정화를 달성함에 있어 전반적인 양산화와 거리가 있어 생산성을 증대하는 방향으로 한계성을 보여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등 개선할 여지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에 의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9930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5217호 등을 제안하였다. 이는 정해진 시컨스에 따라 김구이기로부터 구워진 조미김을 순차적으로 계수, 정렬, 이송을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이러한 조미김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계수, 정렬하여 후속공정으로 공급하는 과정을 자동화함에 있어 이송되는 김을 일정 개수씩 적재하면서 가지런한 상태로 정렬시켜 후속공정으로 보내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는 것이 중요한 설계 요소 중의 하나이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3764호 "김적재 장치"(등록일자: 2009. 08. 18.)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18307호 "김절단 장치"(등록일자: 2009. 09. 14.)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9930호 "김 가공을 위한 자동화장치"(등록일자: 2014. 11. 03.)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5217호 "조미김 가공을 위한 자동화장치"(등록일자: 2015. 10. 27.)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미김 가공 분야의 양산 적용에 있어서 구워서 조미된 상태로 이송되는 김을 일정 개수씩 적재하면서 가지런한 상태로 정렬시켜 후속공정으로 보내므로 조미김의 파손 없이 공수절감에 의한 생산성 향상과 후속공정의 불량을 최소화하는 등 자동화라인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는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계수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미김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일정 개수씩 적재하면서 정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미김의 일면을 정렬한 상태로 연속 안내하는 안내롤러와 도입롤러를 구비하는 도입유니트; 상기 도입유니트에서 조미김을 하부의 공간으로 낙하시키면서 4면을 정렬시키는 정렬유니트; 및 상기 정렬 상태로 적재된 조미김을 일시에 배출하는 배출유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정렬유니트는 조미김의 일측면과 후면에 접하여 정렬하는 고정판, 조미김의 정면과 타측면에 접하여 정렬하는 정렬판, 정렬판 상에 연결하여 베벨기어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축, 회동축에 링크로 연결하여 회동운동을 유발하는 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도입유니트는 조미김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일면을 정렬한 상태로 유도하도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유도판, 유도판의 하류단에 조미김의 계수를 검출하는 카운터센서, 안내롤러로부터 조미김을 안내받아 낙하시키는 유입로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도입유니트는 안내롤러와 도입롤러의 직하방에 조미김의 이송상태에서 발생하는 김부스러기를 집하하는 집하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배출유니트는 유입로프로부터 낙하된 조미김을 전달받아 정렬 상태를 유지하도록 받쳐주는 배출판, 배출판 상에서 정렬된 조미김을 링크에 의해 낙하운동을 유발하는 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계수장치는 조미김 가공 분야의 양산 적용에 있어서 구워서 조미된 상태로 이송되는 김을 일정 개수씩 적재하면서 가지런한 상태로 정렬시켜 후속공정으로 보내므로 조미김의 파손 없이 공수절감에 의한 생산성 향상과 후속공정의 불량을 최소화하는 등 자동화라인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계수장치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계수장치를 측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계수장치를 평면에서 나타내는 구성도 및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계수장치의 주요 구성만을 나타내는 구성도 및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조미김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일정 개수씩 적재하면서 정렬하는 장치에 관련되며, 특히 이송되는 김을 일정 개수씩 적재하면서 가지런한 상태로 정렬시켜 후속공정으로 보내므로 자동화라인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는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계수장치에 관하여 제안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계수장치는 상류단에 김구이기가 배치되고, 이 하류단에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정렬기, 포장기 또는 절단기가 선택적으로 배치되어 조미김을 생성하는 자동화시스템이다. 한편, 조미김을 생성하는 것에 대하여 예시하지만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조미김뿐만 아니라, 조미되지 않은 김도 가능하다. 그리고 김을 2열로 이송하는데, 이외에도 다양한 변형, 즉 3열 내지 4열 등으로 이송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2열로 이송하는 것에 대하여 예시하지만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미김의 일면을 정렬한 상태로 연속 안내하는 안내롤러(11)와 도입롤러(13)를 구비하는 도입유니트(10)가 사용된다. 도입유니트(10)는 김구이기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구워진 조미김을 공급 받고, 2열로 안내되어 후속된 정렬유니트(20)로 전달된다. 도입유니트(10)는 안내롤러(11)와 도입롤러(13)를 구성되는데, 안내롤러(11)는 도 1처럼 김구이기로부터 공급된 조미김을 안내한다. 이러한 안내롤러(11)는 도입롤러(13)의 모터(14)에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하여 김구이기로부터 공급된 조미김을 도입롤러(13)로 안내한다. 도입롤러(13)는 도 1처럼 안내롤러(11)의 사이에 위치하는데, 안내롤러(11)와는 달리 모터(14)에 의해 회전하여 후속하는 정렬유니트(20)로 조미김을 전달한다.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도입유니트(10)는 조미김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일면을 정렬한 상태로 유도하도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유도판(15), 유도판(15)의 하류단에 조미김의 계수를 검출하는 카운터센서(16), 안내롤러(11)로부터 조미김을 안내받아 낙하시키는 유입로프(1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입유니트(10)는 도 1처럼 안내롤러(11)와 도입롤러(13) 상에 유도판(15)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유도판(15)은 이송되는 방향으로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되어 안내되는 조미김의 일면을 정렬한 상태로 후속하는 정렬유니트(20)로 안내한다. 그리고 조미김을 후속하는 정렬유니트(20)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카운터센서(16)를 구비하는데, 카운터센서(16)는 도 1처럼 유도판(15)의 끝단에 설치되어 정렬유니트(20)로 전달되는 조미김의 계수를 검출한다. 이러한 카운터센서(16)는 여러 센서와 서로 연계 작동하고 제어박스(미도시)를 통해 시컨스 작동을 수행한다. 그리고 유입로프(17)는 도 1 및 도 3처럼 안내롤러(11)의 최종 하류단에 설치되는데, 이러한 유입로프(17)는 안내롤러(11)로부터 조미김을 안내받아 후속하는 정렬유니트(20)로 낙하시킨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도입유니트(10)는 안내롤러(11)와 도입롤러(13)의 직하방에 조미김의 이송상태에서 발생하는 김부스러기를 집하하는 집하통(19)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입유니트(10)는 집하통(19)을 구비하는데, 집하통(19)은 도 1처럼 안내롤러(11)와 도입롤러(13)의 직하방에 위치하여 조미김이 이송상태에서 발생되는 김부스러기를 집하하여 기계 내부에 대한 청결한 상태를 유지시켜 준다. 이러한 집하통(19)은 본체로부터 슬라이딩방식으로 인출하여 집하통에 집하된 김부스러기를 배출하는데, 도면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체로부터 집하통을 인출하는 이외의 방식으로도 가능하다할 것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도입유니트(10)에서 조미김을 하부의 공간으로 낙하시키면서 4면을 정렬시키는 정렬유니트(20)를 구비한다. 정렬유니트(20)는 도 1 내지 도 4처럼 도입유니트(10), 즉 유입로프(17)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전달된 조미김을 정렬하여 후속장치로 이송한다. 이러한 정렬유니트(20)는 도입유니트(10)로부터 낙하된 조미김의 4면을 일치되도록 정렬시켜 후속장치로 전달한다.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정렬유니트(20)는 조미김의 일측면과 후면에 접하여 정렬하는 고정판(21)(22), 조미김의 정면과 타측면에 접하여 정렬하는 정렬판(23)(24), 정렬판(23)(24) 상에 연결하여 베벨기어(26)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축(25), 회동축(25)에 링크(27)로 연결하여 회동운동을 유발하는 모터(2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먼저 정렬유니트(20)는 도입유니트(10)의 유입로프(17)에 의해 낙하된 조미김이 배출판(31)에 전달되는데, 배출판(31)의 상부에는 낙하된 조미김의 4면을 정렬하는 고정판(21)(22)과 정렬판(23)(24)이 위치하고, 이러한 배출판(31)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배출유니트(30)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정렬유니트(20)는 고정판(21)(22), 정렬판(23)(24), 회동축(25), 모터(28)로 구성된다. 고정판(21)(22)은 도 3a처럼 배출판(31)에 낙하된 조미김의 일측면과 후면에 접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이러한 고정판(21)(22)은 명칭처럼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여 후술하는 정렬판(23)(24)의 작동에 의해 조미김의 일측면과 후면에 접하여 정렬하게 된다. 그리고 정렬판(23)(24)은 고정판(21)(22)과는 달리 회동하여 배출판(31)에 낙하된 조미김의 정면과 타측면에 접하여 정렬하게 된다. 이러한 정렬판(23)(24)은 도 4a처럼 회동축(25)상에 베벨기어(26)가 연결되고, 회동축(25)은 링크(27)로 연결하여 모터(28)에 의해 회동운동을 유발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정렬 상태로 적재된 조미김을 일시에 배출하는 배출유니트(30)를 구비한다. 배출유니트(30)는 도 1 및 도 2처럼 유입로프(17)의 직하방에 설치되어 정렬되지 않은 상태의 조미김을 안착하는 동시에 정렬유니트(20)의 작동에 의해 정렬 상태로 적재된 조미김을 일시에 후속장치로 배출한다. 도면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러한 배출유니트(30)의 직하방에는 후속장치인, 컨베이어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부구성에 의하면 상기 배출유니트(30)는 유입로프(17)로부터 낙하된 조미김을 전달받아 정렬 상태를 유지하도록 받쳐주는 배출판(31), 배출판(31)상에서 정렬된 조미김을 링크(33)에 의해 낙하운동을 유발하는 실린더(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배출유니트(30)는 배출판(31), 실린더(35)로 구성되는데, 도 2처럼 배출판(31)은 도입유니트(10)의 유입로프(17)에 의해 낙하된 조미김을 안착시켜 상기의 정렬유니트(20)에 의해 조미김이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때까지 받쳐준 다음, 조미김의 정렬이 완료되면 이를 하부로 배출한다. 이러한 배출판(31)은 링크(33)에 연결된 실린더(35)의 작동에 의해 회동하여 낙하운동을 유발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작동에 있어서, 김구이기로부터 공급된 조미김은 안내롤러(11)와 도입롤러(13)를 통하여 이송되고 유입로프(17)에 의해 조미김이 낙하될 시점에 카운터센서(16)에 의해 조미김의 계수를 검출한다. 이어서, 배출유니트(30)의 배출판(31)에 정렬되지 않은 상태의 조미김을 안착하는 동시에 정렬판(23)(24)이 모터(28)에 의해 조미김의 정면과 타측면에 접하여 정렬한다. 이때 정렬판(23)(23)의 작동에 의해 조미김은 고정판(21)(22)에 의해 일측면과 후면에 접하여 정렬한다. 이로서 조미김의 4면은 배출판(31)상에서 가지런히 정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실린더(35)의 작동에 의해 배출판(31)이 회동하여 조미김을 낙하시켜 후속하는 장치로 배출하여 전달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미김 가공 분야의 양산 적용에 있어서 구워서 조미된 상태로 이송되는 김을 일정 개수씩 적재하면서 가지런한 상태로 정렬시켜 후속공정으로 보내므로 조미김의 파손 없이 공수절감에 의한 생산성 향상과 후속공정의 불량을 최소화하는 등 자동화라인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도입유니트 11: 안내롤러
13: 도입롤러 15: 유도판
16: 카운터센서 17: 유입로프
19: 집하통 20: 정렬유니트
21,22: 고정판 23,24: 정렬판
25: 회동축 26: 베벨기어
28: 모터 30: 배출유니트
31: 배출판 35: 실린더

Claims (5)

  1. 조미김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일정 개수씩 적재하면서 정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미김의 일면을 정렬한 상태로 연속 안내하는 안내롤러(11)와 도입롤러(13)를 구비하는 도입유니트(10);
    상기 도입유니트(10)에서 조미김을 하부의 공간으로 낙하시키면서 4면을 정렬시키는 정렬유니트(20); 및
    상기 정렬 상태로 적재된 조미김을 일시에 배출하는 배출유니트(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정렬유니트(20)는 조미김의 일측면과 후면에 접하여 정렬하는 고정판(21)(22), 조미김의 정면과 타측면에 접하여 정렬하는 정렬판(23)(24), 정렬판(23)(24) 상에 연결하여 베벨기어(26)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축(25), 회동축(25)에 링크(27)로 연결하여 회동운동을 유발하는 모터(28)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계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유니트(10)는 조미김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일면을 정렬한 상태로 유도하도록 점차적으로 좁아지는 유도판(15), 유도판(15)의 하류단에 조미김의 계수를 검출하는 카운터센서(16), 안내롤러(11)로부터 조미김을 안내받아 낙하시키는 유입로프(1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계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유니트(10)는 안내롤러(11)와 도입롤러(13)의 직하방에 조미김의 이송상태에서 발생하는 김부스러기를 집하하는 집하통(19)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계수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니트(30)는 유입로프(17)로부터 낙하된 조미김을 전달받아 정렬 상태를 유지하도록 받쳐주는 배출판(31), 배출판(31)상에서 정렬된 조미김을 링크(33)에 의해 낙하운동을 유발하는 실린더(3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계수장치.
KR1020170010360A 2017-01-23 2017-01-23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계수장치 KR101828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360A KR101828738B1 (ko) 2017-01-23 2017-01-23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계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360A KR101828738B1 (ko) 2017-01-23 2017-01-23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계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8738B1 true KR101828738B1 (ko) 2018-02-13

Family

ID=61231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360A KR101828738B1 (ko) 2017-01-23 2017-01-23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계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87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208B1 (ko) 2019-08-09 2020-08-31 강신탁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
KR102183819B1 (ko) 2020-07-10 2020-11-27 이상구 김 계수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754B1 (ko) * 2010-04-07 2011-01-19 김기문 김 계수장치
KR101450445B1 (ko) * 2013-04-23 2014-10-13 강신탁 김 공급장치
KR101565217B1 (ko) * 2013-07-20 2015-11-02 강신탁 조미김 가공을 위한 자동화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754B1 (ko) * 2010-04-07 2011-01-19 김기문 김 계수장치
KR101450445B1 (ko) * 2013-04-23 2014-10-13 강신탁 김 공급장치
KR101565217B1 (ko) * 2013-07-20 2015-11-02 강신탁 조미김 가공을 위한 자동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0208B1 (ko) 2019-08-09 2020-08-31 강신탁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
KR102183819B1 (ko) 2020-07-10 2020-11-27 이상구 김 계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5217B1 (ko) 조미김 가공을 위한 자동화장치
US6834755B2 (en) Conveying machines
US8583279B2 (en) Device and method for handling flat objects, in particular nappies
US7258604B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ordered deposition of parted sausage portions
JP4127738B2 (ja) ハム等の食物原木スライス装置
US891045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slices of a food product and loading them on a conveying surface, and treatment plant including said apparatus
JP6042913B2 (ja) ロッド状要素を配置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並びに、廃棄シガレットからたばこを回収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9296567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veying strip- or plate-shaped products
CN109850249B (zh) 用于运输包装的设备
KR101828738B1 (ko)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계수장치
KR101459930B1 (ko) 김 가공을 위한 자동화장치
EP1638160B1 (en) Battery plate synchronization assembly
DK201770858A1 (en) Fish delivery device, fish transfer system equipped with said fish delivery device and method for the automated delivery of fish to a fish processing device
US20220411203A1 (en) Insert feed unit as well as a method for its operation
US20220396435A1 (en) Direct transfer loading apparatus for tubular food articles and method of operation
CA2495152A1 (en) Method and arrangement as well as apparatus for transverse conveyance of reams
CN213355106U (zh) 一种全自动面条定量分装装置
US2955696A (en) Article separating mechanism
JP2984196B2 (ja) 米飯計量供給装置
JPH0624408A (ja) 食品のコンテナ詰め装置
KR101758294B1 (ko) 가공품 자동 정렬기
JP2020062150A (ja) 搬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被搬送体処理装置
CN108633936A (zh) 一种石子石头饼生产线
US3244320A (en) Handling and transfer mechanism for small elongate articles
CN111977109B (zh) 一种全自动面条、米粉定量分装装置及其分装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