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0208B1 -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0208B1
KR102150208B1 KR1020190097842A KR20190097842A KR102150208B1 KR 102150208 B1 KR102150208 B1 KR 102150208B1 KR 1020190097842 A KR1020190097842 A KR 1020190097842A KR 20190097842 A KR20190097842 A KR 20190097842A KR 102150208 B1 KR102150208 B1 KR 102150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ver
loading
unit
bel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7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신탁
Original Assignee
강신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신탁 filed Critical 강신탁
Priority to KR1020190097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02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0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0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0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 B65H31/3081Arrangements for removing completed piles by acting on edge of the pile for moving it along a surface, e.g. by p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2Auxiliary devices for receiving articles during removal of a completed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4Apparatus for squaring-up piled articles
    • B65H31/38Apparatus for vibrating or knocking the pile during p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65H2301/4222Squaring-up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65H2301/4226Delivering, advancing piles
    • B65H2301/42266Delivering, advancing piles by acting on edge of the pile for moving it along a surface, e.g. pu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 가공을 위한 자동 김 적재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김 가공 분야의 양산 과정에서 낱장의 김을 수집하여 목표로 하는 수량의 적재 김을 형성하는 주요 공정을 자동화하여 제품 수율 및 품질의 향상과 함께 제조원가 절감에 의해 경쟁력을 제고하고 장치에 따른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여 설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자동 김 적재이송장치는, 낱장의 김을 도입하여 계수하며 수집구역(140)으로 이동시켜 수집하는 계수부(100); 및 상기 계수부(100)에 의해서 수집된 김의 수량이 소정의 기준단위에 도달하면 상기 기준단위의 수집 김을 상기 수집구역(140)으로부터 인출하여 정렬하며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정렬부(200); 상기 수집 김을 적재 대기구역(401)에서 전달받아 적재박스(402)로 도입하여 누적적으로 김을 적재함으로써 목표로 하는 수량의 적재 김을 형성하는 적재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부(400)는, 상기 적재 대기구역(401)으로부터 상기 수집 김을 인출하여 상기 적재박스(402)의 하방 투영 영역으로 인입하는 인입 슬라이드판(410)에 의해서 상기 적재박스(402)의 하방으로 이동된 상기 수집 김을 상기 적재박스(402)의 하부를 통하여 상기 적재박스(402)의 내부로 도입하는 적재승강부(420); 및 상기 적재박스(402)의 내부로 도입되는 김의 하부를 지지하여 보유하도록 상기 적재박스(402)의 측면에서 상기 적재박스(402)의 내부 공간을 대상으로 전개되거나 퇴출되는 구조의 보유클램프(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 {Apparatus for automatic collecting and transporting of dried lavers}
본 발명은 김 가공을 위한 자동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김 가공 분야의 양산 적용에 있어 주요 공정을 자동화하여 공정간의 안정화와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여 제품 수율 및 품질의 향상과 함께 제조원가 절감에 의해 경쟁력을 제고하고, 장치에 따른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여 설비 비용을 절감하면서 김의 파손을 최소화하여 청결하게 위생적으로 유지되는 등 장기간 고장 없이 관리할 수 있도록 김 가공을 위한 자동화하기 위한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최근에는 김 가공방법이 다양해저서 소비자가 가공된 김을 손쉽게 구입하여 먹기에 간편하도록 일회용으로 포장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포장 김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김의 표면에 향유를 바르고 조미료를 뿌린 다음 이를 불에 구워 적정크기로 절단하고 포장하는 일련의 가공 공정이 자동으로 연속적으로 수행된다.
본 출원인에 의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8738호는 조미김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일정 개수씩 적재하면서 정렬하는 장치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상기 조미김의 일면을 정렬한 상태로 연속 안내하는 안내롤러와 도입롤러를 구비하는 도입유니트; 상기 도입유니트에서 조미김을 하부의 공간으로 낙하시키면서 4면을 정렬시키는 정렬유니트; 및 상기 정렬 상태로 적재된 조미김을 일시에 배출하는 배출유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해당 발명은, 조미김 가공 분야의 양산 적용에 있어서 구워서 조미된 상태로 이송되는 김을 일정 개수씩 적재하면서 가지런한 상태로 정렬시켜 후속공정으로 보내므로 조미김의 파손 없이 공수절감에 의한 생산성 향상과 후속공정의 불량을 최소화하는 등 자동화라인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출원인에 의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34643호는 김 공급장치의 공급유니트와 이송유니트의 사이에서 다층으로 적재된 김을 하나씩 적재하여 인출하는 기구에 관련되며,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상기 공급유니트에서 적재된 김을 수용하는 리프트를 구비하고, 리프트의 수직방향으로 승강하도록 체인과 구동모터를 구비하는 적재유니트; 상기 적재유니트에서 리프트를 수직방향으로 승강을 안내하는 안내수단; 상기 적재유니트에서 적재된 김을 한 장씩 인출하도록 단속하는 단속판을 구비하고, 리프트로부터 잔여한 김을 적재하도록 설치하는 홀딩판을 구비하는 단속유니트; 상기 단속유니트에서 단속판과 상호 연계하여 한 장의 김만이 인출되도록 유입을 방지하는 반출수단; 상기 적재유니트에서 적재된 김을 한 장씩 인출하는 흡착판을 구비하고, 흡착판의 크랭크 운동하도록 로드, 캠링크, 구동모터와 흡입력을 발생하는 블로워를 구비하는 인출유니트; 및 상기 인출유니트에서 흡착판에 잔류한 흡입력을 배출하는 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해당 발명은, 김을 신속하게 적재 및 인출하는 과정을 보다 정밀하게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후속공정으로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여 후속공정의 불량을 최소화하면서 작동의 신속성과 정숙성은 물론 생산성 향상을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상기한 선행기술에 의하면 김 가공 분야에서 주요 공정 중 일부 공정에 의한 부분적인 자동화로 생산성 향상을 추구하지만, 여전히 양산 시스템의 안정화를 달성함에 있어 전반적인 자동화에 미치지 못하여 생산성 증대 측면에서 한계가 있는 등 개선할 여지가 있다.
기타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0515442호, 한국 공개특허 제2005-0069481호에 의하면 김 가공 분야에서 주요 공정 중 일부 공정을 자동화하여 생산성 향상을 추구하는 장치가 제안되기는 하였지만, 여전히 생산성 향상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8738호(2018.02.06)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34643호(2018.02.26)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김 가공 분야의 양산 적용에 있어 주요 공정을 자동화하여 공정간의 안정화와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여 제품 수율 및 품질의 향상과 함께 제조원가 절감에 의해 경쟁력을 제고하고, 장치에 따른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여 설비비용을 절감하면서 공정 중에 김의 파손을 최소화하여 청결하게 위생적으로 유지되는 등 장기간 고장 없이 관리할 수 있는 김 가공을 위한 자동화장치를 제공하려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는, 낱장의 김을 도입하여 계수하며 수집구역(140)으로 이동시켜 수집하는 계수부(100); 및 상기 계수부(100)에 의해서 수집된 김의 수량이 소정의 기준단위에 도달하면 상기 기준단위의 수집 김을 상기 수집구역(140)으로부터 인출하여 정렬하며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정렬부(200); 상기 정렬부(200)로부터 이송된 상기 수집 김을 적재 대기구역(401)에서 전달받아 적재박스(402)로 도입하여 누적적으로 김을 적재함으로써 목표로 하는 수량의 적재 김을 형성하는 적재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부(400)는, 상기 적재 대기구역(401)으로부터 상기 수집 김을 인출하여 상기 적재박스(402)의 하방 투영 영역으로 인입하는 인입 슬라이드판(410); 및 상기 인입 슬라이드판(410)에 의해서 상기 적재박스(402)의 하방 투영 영역으로 이동된 상기 수집 김을 상기 적재박스(402)의 하부를 통하여 상기 적재박스(402)의 내부로 도입하는 적재승강부(420); 상기 적재승강부(420)에 의해 상기 적재박스(402)의 내부로 도입되는 김의 하부를 지지하여 보유하도록 상기 적재박스(402)의 측면에서 상기 적재박스(402)의 내부 공간으로 전개된 자세와,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퇴출된 자세를 전환하여 형성하는 보유클램프(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에서 상기 계수부(100)는, 낱장의 김을 상기 수집구역(140)으로 이송하는 동안 상기 낱장 김의 자세를 정렬하는 기준면을 제공하며 상기 낱장 김과 함께 주행하는 측면 가이드벨트(120);를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에서 상기 정렬부(200)는, 무한궤도 형상을 가지며, 안내봉(220)이 주행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안내봉 벨트(221); 및 상기 안내봉 벨트(221)의 상부 주행구간에서 상기 안내봉(220)에 의해서 구획되어 이송되는 상기 수집 김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판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수집구역(140)과 적재 대기구역(401)에 걸쳐서 구비되며 진동 가진되어 상기 수집 김을 정렬하는 진동판(21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에서 상기 적재부(400)는, 상기 적재박스(402)에 인접되게 수취 선반(480)을 구비하며, 상기 수집 김을 누적하여 목표로 하는 수량의 적재 김을 형성하면 배출판(450)에 의해 상기 적재 김을 상기 수취선반(480)으로 배출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는, 상기 계수부(100) 및 정렬부(200), 적재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 적재이송 그룹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며, 상기 적재이송 그룹에서 제공되는 적재 김을 합류하여 배출지점까지 이송하는 이송부(800);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는 상기 적재이송 그룹에서 제공되는 적재 김을 이송부(800)에 합류하는 전환부(600)를 구비하며, 상기 전환부(600)는, 전환벨트(610)에 의해 적재 김을 이송하며 더불어 전체적으로 승강 구동되는 구조로 구비하되, 상기 전환벨트(610)의 주행궤적이 통과홈(641) 주위로 굴절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통과홈(641) 구간에서 상기 전환벨트(610)가 상기 이송부(800)의 공급벨트(810)와 간섭되지 않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는, 상기 적재부(400)와 전환부(600) 사이에 배달부(500)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배달부(500)는 상기 적재박스(402)에 인접된 지점에 승강 구조를 갖는 수취승강판(520)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적재부(400)가 상기 수집 김을 누적하여 목표로 하는 수량의 적재 김을 형성한 후 배출판(450)에 의해 상기 적재 김을 배출하면 상기 수취승강판(520)이 상승된 자세에서 수수하고 하강하여 배달이송면에 내려놓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는 조미김 가공 분야의 양산 적용에 있어 주요 공정을 완전 자동화하여 공정간의 안정화와 원활한 흐름을 유도하여 제품 수율 및 품질의 향상과 함께 제조원가를 절감에 의해 경쟁력을 제고하고, 장치에 따른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여 설비비용을 절감하면서 김의 파손을 최소화하여 청결하게 위생적으로 유지되는 등 장기간 고장 없이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 중 계수부의 평면, 측면, 후면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 중 정렬부의 평면, 측면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를 단일장치로 구성하는 경우에 적재부의 평면, 측면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를 복수의 단위 적재이송 그룹이 이송부와 조합된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에 적재부의 평면, 측면, 정면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 중 전환부의 평면, 정면, 세부도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 중 이송부의 평면, 정면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 중 계수부의 도입롤러의 예시적인 세부구조.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을 살펴보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계수부 및 정렬부, 적재부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모듈화하여 복수개로 이송부에 병렬 배치하여 확장 구성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 중 계수부의 평면, 측면, 후면을 각각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도입롤러를 통하여 진입되는 낱장의 김을 계수하여 소정의 단위 묶음으로 모아서 정렬부로 전달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 중 정렬부의 평면, 측면을 각각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계수부로부터 전달받은 소정의 단위 묶음의 김에 대하여 정렬기능을 수행한 후 적재부로 전달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를 단일장치로 구성하는 경우에 적재부의 평면, 측면을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정렬부로부터 정렬된 소정의 단위 묶음의 김을 수회 적재하여 적재 김을 형성하여 배출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를 복수의 단위 적재이송 그룹이 이송부와 조합된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에 적재부 및 배달부의 평면, 측면, 정면을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정렬부로부터 정렬된 소정의 단위 묶음의 김을 적재부에서 수회 적재하여 적재 김을 형성한 후 배달부로 전달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 중 전환부의 평면, 정면, 세부도를 각각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적재부로부터 적재된 김을 배달부를 통하여 전달받아 이송부에 원활하게 탑재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5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 중 이송부의 평면, 정면을 각각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복수의 적재이송 그룹으로부터 합류하여 탑재된 각각의 적재 김을 후속작업 공정을 위하여 순차적으로 원거리 이송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 중 계수부의 도입롤러의 예시적인 세부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표면에 낱장 김과의 마찰을 강화시키기 위한 돌기 등이 구비된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도 1 내지 17에서 세부구조를 나타내기 위하여, 복수의 구성이 있는 경우에는 일부 구성을 생략하여 도시함으로써 해당 구성에 의해 가려지는 구성이 보이도록 도시하거나, 구성의 일부 구간 또는 부분을 절개하여 도시함으로써 추가적인 세부 구조가 보이도록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1000)는, 도 1 내지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계수부(100) 및 정렬부(200), 적재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계수부(100)을 통하여 낱장의 김(L)을 도입하여 계수하며 소정의 기준단위로 수집한 수집 김(m)을 형성한 후 상기 정렬부(200) 측으로 상기 수집 김(m)을 전달하여 정렬하고, 상기 정렬부(200)를 통하여 정렬된 상기 수집 김(m)을 상기 적재부(400)로 전달하여 소정의 적재회수로 적재하여 적재 김(M)을 형성함으로써 목표로 하는 수량의 적재 김을 형성하여 송출하는 구조를 형성한다. 이외에도 상기 적재 김을 병렬적으로 송출하며 대량의 적재 김을 배출하기 위하여 배달부(500), 전환부(600), 이송부(800) 등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1000)에서 계수부(100)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롤러(110) 및 카운터센서(160), 계수부 구동기(19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계수부 구동기(19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아 구동되는 공급롤러(110)를 통하여 계수부(100)의 선단부에 도입된 낱장의 김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카운터센서(160)에 의하여 계수하며 계수부(100)의 종단부에 구비된 수집구역(140)에 소정의 기준단위로 김이 수집될 때까지 김을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공급롤러(110)는 계수부(100)의 선단부로부터 종단부까지 낱장의 김을 이송할 수 있도록 계수부 구동기(190)로부터 동력전달축(131)의 동력전달기어(185), 동력전달축(131)의 롤러동력기어(115), 동력전달벨트(180) 등을 통하여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될 수 있으며, 세부 구성 및 결합관계는 필요에 따라 변형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계수부(100)에 도입되는 낱장의 김이 원활하게 계수부(100)로 진입되도록 상기 계수부(100)의 선단부에는 마찰력이 강화된 도입롤러(110a)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도입롤러(110a)는 마찰력이 강화되도록 브러쉬 또는 표면 미세돌기가 구비된 형태 등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공급롤러(110) 또는 도입롤러(110a)는 도입된 낱장의 김이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정렬되어 이송되도록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양 측면 중에서 선택된 어느 일측면의 측벽에 김의 직선형 변을 접촉시킴으로써 자세 정렬하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2 내지 4에서는 계수부(100)에 김의 도입 이송 경로를 두 개를 구비하고 각각의 도입 이송 경로에서 공급롤러(110)는 낱장의 김이 두 도입 이송 경로의 사이가 아닌 바깥쪽의 측벽쪽으로 접근하며 이송되도록 각각의 공급롤러(110)를 도입 이송 경로에 대하여 사선으로 배치된 구조를 형성한 것이다. 더불어, 도입롤러(110a)는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구비된 브러쉬 또는 표면 미세돌기를 방향성을 갖는 나선형으로 형성하여 구비함으로써 상기 공급롤러(110)처럼 낱장의 김이 바깥쪽의 측벽쪽으로 접근하며 이송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공급롤러(110)에 의해 낱장의 김을 자세 정렬하기 위하여 낱장의 김을 측벽쪽으로 접근시켜서 이송하는 경우에 낱장의 김은 정지된 상태의 측벽과 마찰을 일으켜 정렬된 자세가 소폭 흐트러질 수 있으므로, 측벽은 마찰이 적은 재질로 형성하거나 표면처리하여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낱장의 김이 더욱 안정적으로 정렬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측벽을 김의 이송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즉, 공급롤러(110)의 이송 구간에 측벽에 해당하는 측면 가이드벨트(120)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 측면 가이드벨트(120)는 계수부(100)의 선단부 및 종단부에 각각 구비된 가이드벨트 풀리(122)에 의해 선회되어 주행하는 구조이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축(131)에 고정된 제1 연동기어(135)로부터 동력연동축(133)의 제2 연동기어(136)와, 동력연동축(133)의 연동 베벨기어(126), 가이드벨트 풀리(122)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피동 베벨기어(125) 등을 통하여 가이드벨트 풀리(122)로 동력이 전달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동력 전달 구조를 통하여 계수부 구동기(190)로부터 일부 동력을 제공받아 측면 가이드벨트(120)가 구동됨으로써 공급롤러(110)의 이송 구간에서 이동 측벽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공급롤러(110)에 의해서 낱장의 김을 이송하는 과정에서 김을 계수하기 위하여 카운터센서(160)가 구비되며, 상기 카운터센서(160)의 계수값이 소정의 기준단위에 도달하면 아래에서 설명하는 정렬부(200)를 이용하여 김의 정렬 공정을 수행하게 된다. 카운터센서(160)는 공급롤러(110)의 이송 경로 상에 자유롭게 위치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낱장 김의 자세 정렬상태를 고려하면 공급롤러(110)에 의한 이송 경로의 선단부보다 종단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1000)의 계수부(100)는 낱장 김의 이송과정에서 정전기 현상에 의해 김의 이동이 방해되거나 수집구역(140)에 수집되는 김 사이에 척력이 발생되어 김이 밀착되지 않고 흐트러지는 현상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정전기 방지기(165)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공급롤러(110)에 의해 이송된 낱장의 김을 수집구역(140)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아이들 롤러 형태의 안내롤러(114)를 공급롤러(110)에 의한 이송 경로의 종단부에 구비할 수 있다. 공급롤러(110) 상에 지지되어 자중에 의해서 마찰 회전하는 안내롤러(114)에 의해서 낱장의 김이 수집구역(140) 쪽으로 안내되어 진입하며, 수집구역(140)으로 낙하하는 과정에서 김의 자세 및 위치를 확보하기 위하여 유도판(150)을 수집구역(140)의 선단부 측벽에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1000)에서 정렬부(200)는, 계수부(100)에서 소정의 기준단위로 수집된 김(이하 ‘수집 김’이라 한다)을 인출하여 이송과정에서 정렬한 후 적재부(40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정렬 이송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진동판(210) 및 평면정렬판(231), 측면정렬판(241) 등에 의해서 정렬 기능을 수행하고, 안내봉(220) 및 안내봉 벨트(221) 등에 의해서 이송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를 가진다.
도 5 및 6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계수부(100)의 수집구역(140)에 소정의 기준단위로 김이 수집되어 수집 김이 형성되면 상기 수집구역(140)의 하부에 대기상태로 있던 복수의 안내봉(220)이 상승하며 수집 김을 상기 수집구역(140)으로부터 인출하여 이송한다. 상기 안내봉(220)은 무한궤도를 형성하는 안내봉 벨트(221)에서 안내봉 벨트(2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갖고 복수의 지점에 세워져 고정되며, 상기 안내봉 벨트(221)는 안내봉 벨트 구동기(290)의 동력이 안내봉 벨트 구동기어(222)로 전달되어 구동되는 구조를 가진다. 한편, 안내봉 벨트(221)의 선단부 선회지점과 종단부 선회지점을 각각 형성하는 안내봉 벨트 풀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스톱기어(260)를 구비하고 상기 스톱기어(260)는 외주면에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스톱기어(260)의 외주면 근처에 스톱센서(270)를 고정 배치함으로써, 안내봉 벨트(221)의 주행 및 정지를 제어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안내봉 벨트(221)의 주행에 따라 안내봉 벨트 풀리에 연동된 스톱기어(260)가 회전하면 상기 스톱기어(260)의 외주면 돌출부가 스톱센서(270)에 의해서 감지되어 안내봉 벨트(221)의 주행 거리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스톱센서(270)의 감지 신호에 따라 안내봉 벨트(221)의 주행을 정지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안내봉 벨트(221)의 정지 및 주행(stop and go) 운전방식을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정렬부(200)는 수집구역(140)의 수집 김을 인출할 수 있고 아래에서 설명하는 정렬기능을 수행하면서 적재 대기구역(401)으로 이송하여 적재부(400)에 전달할 준비를 하게 된다.
상기 정렬부(200)는 계수부(100)의 수집구역(140)으로부터 안내봉 벨트(221)의 선단부 선회지점을 지나 안내봉 벨트(221)의 종단부 선회지점까지 도달되는 범위에서 김의 하부를 지지하는 진동판(21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안내봉 벨트(221)에 고정되어 이동하는 상기 안내봉(220)은 상기 진동판(210)의 측면을 지나 상향 연장되는 길이를 가짐으로써 김은 진동판(210) 위에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안내봉(220)에 의해 밀려서 이송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진동판(210)은 진동판 구동기(280)로부터 동력을 제공받으며, 예시적인 세부 구조로서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진동판 구동기(280)의 동력이 진동판 벨트(218)에 의해 진동판 기어(213)로 전달되고 진동판 링크부(211)의 일측이 상기 진동판 기어(213)의 편심된 일지점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되고 진동판 링크부(211)의 타측이 상기 진동판(210)의 일측에 결합됨으로써 진동판(210)이 가진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진동판(210)의 진동에 의해서 상하방향으로 진동하는 김은 자중에 의한 낙하를 수반하여 수직방향 정렬이 이루어진다.
상기 진동판(210)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봉(220)에 밀려서 이동하는 김을 상부 또는 측면에서 가압하는 방식으로 추가로 정렬하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하는 김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가압하는 평면정렬판(231)을 구비하여 실린더 형태의 평면정렬판 구동기(232)에 의해서 상기 평면정렬판(231)을 하방으로 구동함으로써 김을 수직방향에 대하여 정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동하는 김의 측면에서 가압하는 측면정렬판(241)을 구비하여 실린더 형태의 측면정렬판 구동기(242)에 의해서 상기 측면정렬판(241)을 김의 측면에서 가압함으로써 김을 수평방향에 대하여 정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안내봉(220)을 고정한 상태로 주행하는 안내봉 벨트(221)는 상기 안내봉(220) 및 자중에 의해서 처짐 현상이 발생하므로 안내봉 벨트(211)의 주행 구간 하부에 안내봉 벨트 지지판(250)을 추가로 구비하여 안내봉 벨트 지지판(250)이 안내봉 벨트(211)의 주행 구간 하부에서 처짐을 지지함으로써 안내봉 벨트(211)의 처짐량을 감소시키거나 제한하는 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1000)는, 정렬부(200)에서 소정의 기준단위로 이송하며 정렬한 수집 김을 정렬부(200)의 종단부와 중첩되게 구비된 적재부(400)의 적재 대기구역(401)에서 인출하여 승강 방식으로 적재함으로써 목표로 하는 수량의 김(이하 ‘적재 김’이라 한다)을 형성하여 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적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인입 슬라이드판(410) 및 적재승강부(420), 보유클램프(430), 배출판(450) 등을 구비하여 적재 김의 형성 및 배출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를 가진다.
도 7 및 8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입 슬라이드판(410)은 정렬부(200)의 종단부와 중첩되게 구비된 적재부(400)의 적재 대기구역(401)에서 수집 김을 인출하여 적재부(400)의 내측으로 인입시키는 구성으로서 인입 슬라이드판(410)의 선단부는 정렬부(200)의 진동판(210) 종단부에 형성된 절개부 내측으로 내입되어 대기하며 정렬부(200)의 안내봉 벨트(221)가 주행하며 안내봉(220)에 의해서 구획되어 이송된 소정의 기준단위로 형성된 수집 김을 대기 중인 상기 인입 슬라이드판(410)에 내려 놓으며 빠져나가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안내봉(220)의 이동 궤적은 상기 인입 슬라이드판(410)과 간섭 또는 충돌이 일어나지 않도록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엇갈린 배치구조로 적재 대기구역(401)을 공유하여 운동한다. 상기 인입 슬라이드판(410)의 선단부는 수집 김을 인출할 때 김의 선단부를 이동방향쪽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상향 절곡된 연장부를 구비하며, 인입 슬라이드판(410)은 인입 슬라이드판 구동기(415)의 구동에 의해서 적재 대기구역(401)과 적재승강부(420)의 상부를 왕복 운동하며 수집 김의 이송을 수행한다.
상기 적재승강부(420)는 인입 슬라이드판(410)에 의해서 이송된 수집 김을 승강시켜서 적재박스(402)에 도입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수집 김의 도입을 수회 수행하여 목표로 하는 적재 김을 형성하게 된다. 적재승강부(420)는 상부에 수집 김의 지지를 위한 평면부가 인입 슬라이드판(410)과의 간섭 또는 충돌을 방지하는 구조로 구비되고 상기 평면부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수직부가 구비되며 상기 수직부의 타측 단부가 적재승강부 구동기(425)에 결합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적재승강부(420)의 수평부가 인입 슬라이드판(410)과 간섭 또는 충돌하지 않으면서 인입 슬라이드판(410)에 의해서 제공받은 수집 김을 적재박스(402)의 하부까지 전달할수 있게 된다.
상기 보유클램프(430)는 적재승강부(420)가 상승하여 적재박스(402)로 도입시킨 김을 하부에서 지지함으로써 적재승강부(420)가 하강하여 복귀하더라도 적재박스(402)에 김이 잔류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유클램프(430)는 보유클램프 구동기(435)에 의해서, 김의 보유를 위하여 적재박스(402)의 내측 공간으로 전개된 자세와, 김의 도입을 허용하기 위하여 적재박스(402)의 내측 공간으로부터 물러나서 은폐된 자세를 구현하게 되며, 적어도 한 쌍의 보유클램프(430)가 적재박스(402)의 양 측면에서 동시에 출몰하도록 보유클램프 연동링크(432)에 의해서 상기 한 쌍의 보유클램프(430)를 연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보유클램프(430)는 김을 지지하는 수평부가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수평부의 일측으로부터 하부로 연장된 수직부를 구비하여 수직부의 하측 부분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이 김을 원활하게 적재하기 위하여 바람직하다.
상기 적재박스(402)에 김이 적재되는 동안에 혹은 적재 완성된 후에 김의 정렬을 위하여 정렬판(470)에 의한 정렬 기능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적재박스(402)의 측벽에 구비된 정렬판(470)이 정렬판 구동기(475)에 의해서 구동되어 적재 김의 측면을 가압하여 적재박스(402) 내측 공간에서 추가적으로 김을 정렬하는 것이다.
상기 적재승강부(420) 및 보유클램프(430)에 의해서 적재박스(402) 내부에 적재된 김이 목표로 하는 수량에 도달하여 적재 김이 형성되면 상기 적재 김은 배출판(450)에 의해서 적재박스(402)에 인접하여 구비된 수취 선반(480)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배출판(450)이 배출판 구동기(455)에 의해서 구동되는데 이렇게 구동되어 이동되는 배출판(450’)으로 인하여 적재박스(402) 내부의 적재 김은 수취 선반(480) 측으로 배출되어 적재 김에 대한 포장 등의 후속 공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대기시킬 수 있고, 비로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의 작업공정을 일단락할 수 있다.
상기 적재박스(402) 내부에서 보유클램프(430) 측에 수집 김을 전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보유클램프(430)는 적재승강부(420)의 상승 종단 구간에서 상기 적재박스(402)의 내벽으로 물러남으로써 적재승강부(420)에 탑재된 수집 김이 적재박스(402) 내측으로 원활하게 진입하도록 하며 이때 이미 적재박스(402) 내측에 보유된 김은 새로 진입하는 수집 김 위에 적재되는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수회의 적재 과정을 거쳐서 적재 김을 형성하게 되면 배출판(450)에 의해서 적재 김을 배출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신속한 작동을 구현하기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지막 적재과정에서 적재승강부(420)가 수집 김을 적재박스(402) 내측에 진입시켜 적재한 후 곧바로 하강하지 않고 대기한 상태에서 배출판(450)에 의한 적재 김의 배출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적재승강부(420)가 수집 김을 적재박스(402) 내측에 진입시켜 마지막 적재한 후 이전의 적재과정처럼 그대로 하강하는 구조로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보유클램프(430)의 위치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수취 선반(480) 또는 배달부(500)의 수취승강판(520)의 바닥면과 같은 높이에 또는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적재 김의 원활한 배출을 위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적재박스(402)에서 적재 김이 배출되는 측면은 면상의 부재로 형성된 스톱퍼(460)에 의해서 개폐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면상의 스톱퍼(460)가 선상의 부재로 형성된 스톱퍼 지지로드(461)의 일측에 결합되고 스톱퍼 지지로드(461)의 타측에 스톱퍼 구동기(465)가 결합되어 상기 스톱퍼 구동기(465)의 구동에 의해서 스톱퍼(460)가 개폐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스톱퍼(460)의 개폐 동작을 원활하게 안내하기 위하여 스톱퍼 안내가이드(462)가 상기 스톱퍼(460) 또는 스톱퍼 지지로드(461)에 추가로 구비되고 주위의 고정된 부분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1000)는, 앞서 설명한 계수부(100) 및 정렬부(200), 적재부(400)가 하나의 적재이송 그룹을 형성하고 상기 적재이송 그룹을 복수개로 구비함으로써 적재이송 작업을 병렬적으로 수행하여 목표로 하는 적재 김을 신속하게 대량으로 제공하는 생산라인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독립적으로 형성된 각각의 적재이송 그룹에 의해 병렬적으로 제공되는 적재 김을 원활하게 이송하기 위하여 배달부(500) 및 전환부(600), 이송부(800) 등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도 9 내지 11에 예시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달부(500)는 상기 적재부(400)의 적재 김을 이송부(800)의 이송 대열에 합류시키기 위하여 상기 적재부(400)로부터 적재 김을 전달받아서 이송부(800) 측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세부적으로는, 상기 적재박스(402)에 인접된 지점부터 상기 이송부(800)의 근처까지 배달벨트(530)가 설치되고 상기 적재박스(402)와 인접된 배달벨트(530)의 선단부 영역에 수취승강판(520)이 배달벨트(530)와 간섭되지 않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적재부(400)의 배출판 구동기(455)에 의해서 구동되는 배출판(450)이 적재박스(402) 내부의 적재 김을 배출하면 상기 수취승강판(520)이 이를 전달받고, 상기 수취승강판(520)은 수취승강판 구동기(525)의 구동에 의해서 하강하여 상기 적재 김을 배달벨트(530)에 올려놓으면, 상기 배달벨트(530)는 소정의 거리를 주행하여 적재 김을 이송부(800) 측으로 점진적으로 혹은 단번에 이송한다. 즉, 이송부(800)에서 진행되고 있는 적재 김들의 물류 현황을 고려하여 적재 김을 이송부(800)에 합류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달벨트(530)는 이송 기능과 함께 보유공간 또는 시차 등을 조절하기 위한 임시 보유공간(buffer station)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수취승강판(520)에 의해서 적재 김을 전달받아 이송부(800) 측으로 이송하는 배달이송면은 배달벨트(530)로 제한되지 않는다. 즉, 예를 들어, 상기 배달이송면은 상기 배달벨트(530) 대신 복수의 배달롤러를 선반 형태로 배치하여 적재 김을 이송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수취승강판(520)이 배치된 구간에서는 상기 수취승강판(520)과 간섭되지 않는 구조가 되도록 상기 배달롤러를 조각화하여 배치하거나 혹은 더불어 아이들 롤러를 조합하여 배치하는 방식 등으로 배달이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배달벨트(530)의 이송구간이 길어지는 경우에 적재 김의 전복 또는 흐트러짐 등을 유발할 수 있는 배달벨트(530)의 처짐 현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송구간에 아이들 롤러 등과 같은 지지수단을 배달벨트(530)의 하면에 인접되게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달벨트(530)의 적재 김 이송 구간에 걸쳐서 직선의 면상 부재로 형성된 배달벨트 지지판(532)을 지지수단의 한 예로서 배달벨트(530)의 하면에 인접되게 구비함으로써 적재 김의 이송시 배달벨트(530)의 처짐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1000)는, 배달부(500)에 의해서 이송부(800) 측으로 이송된 적재 김을 이송부(800)에 원활하게 탑재하기 위하여 전환부(60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전환부(600)는 적재 김을 배달부(500)로부터 이송부(800)로 원활하게 합류시키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며, 세부 구성으로서, 전환벨트(610) 및 전환부 승강구동기(680), 전환벨트 구동기(69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환벨트(610)는 전환벨트 구동기(690)에 의해서 구동되어 배달부(500)로부터 전달되는 적재 김을 이송부(800)의 이송 경로 중 어느 한 지점인 합류지점의 상부로 이동시키며 상기 합류지점에서 전환부 승강구동기(680)의 구동에 의해 하강하여 적재 김을 이송부(800)의 공급벨트(810)에 내려놓음으로써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전환부(600)의 종단부는 이송부(800)의 상기 합류지점을 서로 공유하되 상호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므로, 전환벨트(610)는 이송부(800)의 공급벨트(810)와 간섭되지 않도록 소정의 주행 궤적을 구비할 필요가 있다.
상기 전환벨트(610)는, 도 12 내지 14에 예시적으로 제시된 바와 같이, 고정프레임(640) 상에 배치된 복수의 전환롤러(620)에 의해서 이송부(800)의 공급벨트(810)와 간섭되지 않는 주행 궤적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고정프레임(640)에 적어도 하나의 통과홈(641)이 형성되도록 전환롤러(620)에 의해서 전환벨트(610)의 주행 궤적 일부를 굴절시켜 구성한 것이다.
한편, 이송부(800)의 상기 합류지점에는 스톱 측벽(660)이 추가로 구비되어 전환부(600)의 전환벨트(610)에 의해서 이송부(800)의 합류지점으로 이동되는 적재 김의 초과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전환부(600)의 제어 구성을 간소화하거나 제어 정밀도 등을 보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1000)는, 도 1 및 15, 1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적재이송 그룹(100, 200, 400, 500, 600)으로부터 제공받은 적재 김을 포장 작업 등의 후속공정을 위한 배출지점까지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무한궤도 구조의 공급벨트(810)가 구비된 단위 이송구간을 적어도 하나 이상 조합하여 전체 이송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공급벨트(810)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송부(800)의 합류지점에서 전환부(600)의 종단부와 공유되어 전환부(600)로부터 적재 김을 전달받으며, 이는 전환부(600)의 통과홈(641)에 상기 공급벨트(810)가 통과하는 배치구조를 통하여 원활하게 수행된다.
이송부(800)의 상기 단위 이송구간은 공급벨트(810) 및 공급벨트 풀리(820), 공급벨트 구동기(815)를 구비하여 상기 공급벨트(810)를 주행 구동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공급벨트(810)의 중간 주행 구간에서의 처짐을 제한하기 위하여 직선의 면상 부재로 형성된 공급벨트 받침판(816)이 받침판 지지브라켓(817)에 의해서 지지되어 공급벨트(810)의 중간 주행 구간 하면에 인접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이송부(800)의 상기 단위 이송구간은 공급벨트 풀리(820)의 위치를 조절하여 공급벨트(810)의 장력을 조정하는 공급벨트 장력조절부(84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즉, 공급벨트 풀리(820)의 공급벨트 풀리축(821)을 고정하는 부분에 공급벨트 장력조절슬롯(842)을 형성하고 공급벨트 장력조절나사(841)에 의해서 상기 공급벨트 장력조절슬롯(842) 상에서 상기 공급벨트 풀리축(821)의 고정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공급벨트 풀리(820)의 장력을 조정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장력 조절 구조는 장치에 포함된 이송용 벨트 형태의 다른 구성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이송부(800)의 전체 이송 경로의 종단부에는 적재 김을 포장 작업 등의 후속공정을 위하여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승강 배출구조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이송부(800)의 전체 이송 경로의 종단부에서 승강 구동기(880)에 의해 공급벨트(810)의 하부에서 대기상태로 있던 배출판(860, 870)이 공급벨트(810)의 상부로 이동하여 돌출되고, 상기 돌출된 배출판(860’, 870’)이 배출 구동기(865, 875)에 의해서 수평으로 이동되며, 이렇게 이동된 배출판(860’’, 870’’)에 의해서 적재 김은 이송부(800)로부터 최종 배출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배출 후 복귀 동작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판(860, 870) 및 배출 구동기(865, 875)는 적어도 2개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배출판(860)은 적재 김의 하부지지를 위한 수평부를 필수적으로 구비하고 제2 배출판(870)은 적재 김의 측면을 가압하기 위한 측면부만 구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배출 동작시 제1 배출판(860) 및 제2 배출판(870)은 제1 배출 구동기(865)와 제2 배출 구동기(875)에 의해서 각각 독립적으로 수평 구동되되 동시에 구동되어 적재 김을 배출 위치로 이동시키며, 복귀 동작시 제1 배출판(860)이 먼저 퇴진하고 난 후 제2 배출판(870)이 퇴진하여 적재 김을 배출 위치에 보다 원활하게 잔류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이송부(800)의 단위 이송구간을 복수로 구비하여 전체 이송 경로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적재 김이 단위 이송구간 사이의 틈새로 유출되지 않도록 연결부 받침판(830)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선 설명에서는 적재부(400)에서 형성된 적재 김을 이송부(800)에 제공하기 위하여 배달부(500)를 이용하여 이송부(800) 측으로 이송한 후 전환부(600)에 의하여 이송부(800)에 합류시키는 구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배달부(500)를 생략하고 적재 김을 적재부(400)로부터 전환부(600)로 바로 전달하여 이송부(800)에 합류시키는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제시된 도 1 내지 14에서 각 구성의 구동을 위한 구동기가 실린더 형태 혹은 모터 형태 등으로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세부 구성 및 결합관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며, 각 구성의 구동을 구현할 수 있는 다른 구동 형태로 쉽게 변형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 또는 분할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 또는 분할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범위 안에서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방법의 단계는 단독으로 복수회 실시되거나 혹은 적어도 다른 어느 한 단계와 조합으로 복수회 수행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
100 : 계수부 110 : 공급롤러
110a : 도입롤러 114 : 안내롤러
115 : 롤러동력기어 120 : 측면 가이드벨트
122 : 가이드벨트 풀리 125 : 피동 베벨기어
126 : 연동 베벨기어 131 : 동력전달축
133 : 동력연동축 135 : 제1 연동기어
136 : 제2 연동기어 140 : 수집구역
150 : 유도판 160 : 카운터센서
165 : 정전기 방지기 180 : 동력전달벨트
185 : 동력전달기어 190 : 계수부 구동기
200 : 정렬부 210 : 진동판
211 : 진동판 링크부 218 : 진동판 벨트
213 : 진동판 기어 220 : 안내봉
221 : 안내봉 벨트 222 : 안내봉 벨트 구동기어
231 : 평면정렬판 232 : 평면정렬판 구동기
241 : 측면정렬판 242 : 측면정렬판 구동기
250 : 안내봉 벨트 지지판 260 : 스톱기어
270 : 스톱센서 280 : 진동판 구동기
290 : 안내봉 구동기
400 : 적재부 401 : 적재 대기구역
402 : 적재박스 410 : 인입 슬라이드판
415 : 인입 슬라이드판 구동기 420 : 적재승강부
425 : 적재승강부 구동기 430 : 보유클램프
432 : 보유클램프 연동링크 435 : 보유클램프 구동기
450 : 배출판 455 : 배출판 구동기
460 : 스톱퍼 461 : 스톱퍼 지지로드
462 : 스톱퍼 안내가이드 465 : 스톱퍼 구동기
470 : 정렬판 475 : 정렬판 구동기
480 : 수취 선반
500 : 배달부 520 : 수취승강판
525 : 수취승강판 구동기 530 : 배달벨트
532 : 배달벨트지지판 535 : 배달벨트 구동기
600 : 전환부 610 : 전환벨트
620 : 전환롤러 630 : 전환롤러축
640 : 고정프레임 641 : 통과홈
650 : 지지판 660 : 스톱 측벽
680 : 전환부 승강구동기 690 : 전환벨트 구동기
800 : 이송부 810 : 공급벨트
815 : 공급벨트 구동기 816 : 공급벨트 받침판
817 : 받침판 지지브라켓 820 : 공급벨트 풀리
821 : 공급벨트 풀리축 830 : 연결부 받침판
840 : 공급벨트 장력조절부 841 : 공급벨트 장력조절나사
842 : 공급벨트 장력조절슬롯 860 : 제1 배출판
865 : 제1 배출 구동기 870 : 제2 배출판
875 : 제2 배출 구동기 880 : 승강 구동기

Claims (8)

  1. 낱장의 김(L)을 수집하여 목표로 하는 수량의 '적재 김'(M)을 형성하여 제공하는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1000)에 있어서,
    낱장의 김(L)을 도입하여 계수하며 수집구역(140)으로 이동시켜 수집하는 계수부(100); 및
    상기 계수부(100)에 의해서 수집된 김의 수량이 소정의 기준단위에 도달하여 '수집 김'(m)을 형성하면 상기 수집 김(m)을 상기 수집구역(140)으로부터 인출하여 정렬하며 수평방향으로 이송하는 정렬부(200);
    상기 정렬부(200)로부터 이송된 상기 수집 김(m)을 적재 대기구역(401)에서 전달받아 적재박스(402)로 도입하여 적재하되 소정의 회수에 걸쳐서 누적적으로 김을 적재함으로써 목표로 하는 상기 적재 김(M)을 형성하여 반출하는 적재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1000)는,
    상기 계수부(100) 및 정렬부(200), 적재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 적재이송 그룹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며,
    켄베이어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적재이송 그룹에서 제공되는 적재 김을 합류하여 배출지점까지 이송하는 이송부(800);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적재이송 그룹에서 제공되는 적재 김을 이송부(800)에 합류하는 전환부(600)를 구비하며,
    상기 전환부(600)는, 전환벨트(610)에 의해 적재 김을 이송하며 더불어 전체적으로 승강 구동되는 구조로 구비하되, 상기 전환벨트(610)의 주행 궤적이 통과홈(641) 주위로 굴절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통과홈(641) 구간에서 상기 전환벨트(610)가 상기 이송부(800)의 공급벨트(810)와 간섭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부(100)는,
    낱장의 김을 상기 수집구역(140)으로 이송하는 동안 상기 낱장 김의 자세를 정렬하는 기준면을 제공하며 상기 낱장 김과 함께 주행하는 측면 가이드벨트(12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200)는,
    무한궤도 형상을 가지며, 안내봉(220)이 주행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안내봉 벨트(221); 및
    상기 안내봉 벨트(221)의 상부 주행구간에서 상기 안내봉(220)에 의해서 구획되어 이송되는 상기 수집 김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판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수집구역(140)과 적재 대기구역(401)에 걸쳐서 구비되며 진동 가진되어 상기 수집 김을 정렬하는 진동판(21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400)는,
    상기 적재 대기구역(401)으로부터 상기 수집 김을 인출하여 상기 적재박스(402)의 하방 투영 영역으로 인입하는 인입 슬라이드판(410); 및
    상기 인입 슬라이드판(410)에 의해서 상기 적재박스(402)의 하방 투영 영역으로 이동된 상기 수집 김을 상기 적재박스(402)의 하부를 통하여 상기 적재박스(402)의 내부로 도입하는 적재승강부(420);
    상기 적재승강부(420)에 의해 상기 적재박스(402)의 내부로 도입되는 김의 하부를 지지하여 보유하도록 상기 적재박스(402)의 측면에서 상기 적재박스(402)의 내부 공간으로 전개된 자세와,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퇴출된 자세를 전환하여 형성하는 보유클램프(4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400)는,
    상기 적재박스(402)에 인접되게 수취 선반(480)을 구비하며, 상기 수집 김을 누적하여 목표로 하는 수량의 상기 적재 김을 형성하면 배출판(450)에 의해 상기 적재 김을 상기 수취 선반(480)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400)와 전환부(600) 사이에 배달부(500)가 추가로 구비되며,
    상기 배달부(500)는 상기 적재박스(402)에 인접된 지점에 승강 구조를 갖는 수취승강판(520)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적재부(400)가 상기 수집 김을 누적하여 목표로 하는 수량의 상기 적재 김을 형성한 후 배출판(450)에 의해 상기 적재 김을 배출하면 상기 수취승강판(520)이 상승된 자세에서 수수하고 하강하여 배달이송면에 내려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90097842A 2019-08-09 2019-08-09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 KR102150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842A KR102150208B1 (ko) 2019-08-09 2019-08-09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7842A KR102150208B1 (ko) 2019-08-09 2019-08-09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0208B1 true KR102150208B1 (ko) 2020-08-31

Family

ID=72234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7842A KR102150208B1 (ko) 2019-08-09 2019-08-09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020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483B1 (ko) * 1989-01-17 1991-04-23 이수락 김 자동 제조 장치
JP2005323539A (ja) * 2004-05-14 2005-11-24 Nishihatsu Sangyo Kk 乾海苔束搬送ライン及び乾海苔束回転装置
KR101103380B1 (ko) * 2011-03-07 2012-01-06 김기문 김 계수장치
KR20150010545A (ko) * 2013-07-20 2015-01-28 강신탁 조미김 가공을 위한 자동화장치
KR101828738B1 (ko) 2017-01-23 2018-02-13 강신탁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계수장치
KR101834643B1 (ko) 2016-06-15 2018-03-06 강신탁 김 공급장치의 적재 인출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2483B1 (ko) * 1989-01-17 1991-04-23 이수락 김 자동 제조 장치
JP2005323539A (ja) * 2004-05-14 2005-11-24 Nishihatsu Sangyo Kk 乾海苔束搬送ライン及び乾海苔束回転装置
KR101103380B1 (ko) * 2011-03-07 2012-01-06 김기문 김 계수장치
KR20150010545A (ko) * 2013-07-20 2015-01-28 강신탁 조미김 가공을 위한 자동화장치
KR101834643B1 (ko) 2016-06-15 2018-03-06 강신탁 김 공급장치의 적재 인출기구
KR101828738B1 (ko) 2017-01-23 2018-02-13 강신탁 자동 조미김 가공라인용 계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9737B2 (en) Vertically staggered pallet stacking assembly line and method
JP3059990B2 (ja) 搬送物品の配分集積装置
RU261613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орядоченной подачи группы лотков на машину для запайки данных лотков с нанесением защитной пленки
KR101437642B1 (ko) 트레이 피더
US7607883B2 (en) Palletizing machine pusher with raised return rail
SE466701B (sv) Anordning foer stapling av satsvis anordnade foeremaal
JP2011225244A (ja) 箱詰め装置
US20060045725A1 (en) Device and method for stacking and transporting plates
KR20170018315A (ko) 컨테이너 승강 반송 장치
CN105059949A (zh) 一种塑料板材的全自动堆垛设备
US7080541B2 (en) Automatic feeding machine with switchable conveyor
KR102150208B1 (ko) 자동 김 적재이송 장치
ITBO930462A1 (it) Macchina combinata per alimentare ad una stazione di imballaggio, gruppi di prodotti impilati o gruppi formati ciascuno da un solo strato di prodotti molto alti.
KR101937384B1 (ko) 종이컵 적층 및 배출장치
KR101273607B1 (ko) 트레이 이송시스템
EP1806302A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für ein Verlagern von Waren, insbesondere Kommisionieren
CN107758280B (zh) 片材上料系统
JP2016098099A (ja) ワーク搬送装置およびワーク搬送方法
CN211541323U (zh) 一种卷料裁切装置及其系统
CN210635422U (zh) 一种高速理管机
CN114435896A (zh) 一种复判缓存设备及复判缓存方法
JPH0532344A (ja) 層状単位の運搬手段と層状単位の運搬および搬出方法
KR20180000045A (ko) 다공성 용지가 적용되는 옵쇄 인쇄장치
CN110758853A (zh) 一种隔板自动投放机
JP2011026041A (ja) 物品集積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