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507U - 폐기물 파쇄장치 - Google Patents

폐기물 파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507U
KR20150003507U KR2020140002058U KR20140002058U KR20150003507U KR 20150003507 U KR20150003507 U KR 20150003507U KR 2020140002058 U KR2020140002058 U KR 2020140002058U KR 20140002058 U KR20140002058 U KR 20140002058U KR 20150003507 U KR20150003507 U KR 201500035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crushing
housing
ho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0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1529Y1 (ko
Inventor
오명석
이종윤
박종관
이상엽
Original Assignee
엠엔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엔테크(주) filed Critical 엠엔테크(주)
Priority to KR20201400020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529Y1/ko
Publication of KR201500035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5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5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5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62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 rotor elements extending axially in close radial proximity of a concentrically arranged slotted or perforated 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기물 파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파쇄되지 않는 폐기물이 없도록 함과 아울러 폐기물 파쇄에 따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이러한 목적은 지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상,하부가 개구된 하우징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되, 양단에는 하우징에 서로에 대하여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파쇄날이 각각 형성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파쇄용회전축과,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어 폐기물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폐기물을 하우징내측으로 투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개구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호퍼와, 상기 프레임과 하우징에 일단과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호퍼에 형성된 개구홀을 통하여 호퍼내측으로 왕래하여 폐기물을 한 쌍의 파쇄용회전축사이로 가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폐기물압축수단과, 상기 한 쌍의 파쇄용회전축의 일단에 각각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파쇄용회전축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폐기물 파쇄장치{Waste crushing apparatus}
본 고안은 폐기물 파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호퍼를 통하여 투입된 폐기물을 파쇄날측으로 가압시킬 수 있도록 폐기물 파쇄장치를 구성함으로써, 파쇄되지 않는 폐기물이 없도록 함과 아울러 폐기물 파쇄에 따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폐기물 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쾌적한 생활과 청정한 자연환경을 보전하기 위하여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는 각종 생활쓰레기 등의 폐기물에 대한 적절한 처리방안은 다수가 제안되어 있으며, 그 일부는 현재 광범위하게 실시되고 있다.
대부분 이러한 폐기물의 처리는, 영구폐기방식과 재활용처리방식으로 구분되는데, 특히 처리의 효율성과 원활함을 위해 폐기물을 수거한 후, 소정의 선별과정을 거친 각종의 폐기물을 이송받아 호퍼를 통해 이를 파쇄기에 투입하여 일정한 크기로 고르게 파쇄시켜 재가공처리를 위한 공정으로 이송함이 보편적이다.
이러한 폐기물의 파쇄와 절단에 의한 파쇄기는,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20-2006-000844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내부에 파쇄날이 외주면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파쇄축이 파쇄용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것에 의해 호퍼를 통하여 투입된 폐기물을 절단 파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일반적인 파쇄기는 호퍼측으로 폐기물이 투입되면, 단순히 회전하는 한 쌍의 파쇄축에 형성된 파쇄날에 의해 파쇄와 절단이 이루어지는 방식에만 의존하다 보니 파쇄날의 파쇄 및 절단 능력에 비하여 투입된 폐기물의 파쇄 및 절단작업 능률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파쇄기의 호퍼측으로 투입된 마지막 폐기물 중에는 한 쌍의 파쇄축 사이로 통과하지 못하는 폐기물이 발생하게 되어 이들만을 위해 별도의 재처리 작업을 거쳐야 하므로 효율성과 작업성의 측면에서 개선되어야 할 여러가지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20-2006-0008444호, 출원일; 2006년3월30일 고안의 명칭;폐기물 파쇄장치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호퍼를 통하여 투입된 폐기물을 외주면에 다수의 파쇄날이 형성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한 쌍의 파쇄축 사이에 가압시킬 수 있도록 폐기물 파쇄장치를 구성함으로써, 파쇄되지 않는 폐기물이 없도록 함과 아울러 폐기물 파쇄에 따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한 폐기물 파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상,하부가 개구된 하우징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되, 양단에는 하우징에 서로에 대하여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파쇄날이 각각 형성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파쇄용회전축과, 상기 하우징의 상단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어 폐기물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폐기물을 하우징내측으로 투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개구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호퍼와, 상기 프레임과 하우징에 일단과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호퍼에 형성된 개구홀을 통하여 호퍼내측으로 왕래하여 폐기물을 한 쌍의 파쇄용회전축사이로 가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폐기물압축수단과, 상기 한 쌍의 파쇄용회전축의 일단에 각각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파쇄용회전축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고안은 지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폐기물파쇄용프레임과, 상기 폐기물파쇄용프레임의 상면에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폐기물파쇄용하우징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되, 양단에는 폐기물파쇄용하우징에 서로에 대하여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파쇄날이 각각 형성되어 구비되는 구동회전축과, 상기 구동회전축과 수평되게 설치되어 기어부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종동회전축과, 상기 폐기물파쇄용하우징의 상단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어 폐기물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폐기물을 폐기물파쇄용하우징내측으로 투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구비되는 폐기물파쇄용호퍼와, 상기 폐기물파쇄용프레임과 폐기물파쇄용하우징에 일단과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폐기물을 구동회전축과 종동회전축사이로 가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폐기물가압수단과, 상기 구동회전축의 일단에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구동회전축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의 상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구비되는 폐기물구동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폐기물가압수단은, 폐기물파쇄용호퍼의 내부 경사면에 설치되게 일단은 폐기물파쇄용호퍼에 고정 설치된 고정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작동하는 폐기물가압용피스톤을 갖추어 구비되는 폐기물가압용실린더와, 상기 폐기물가압용실린더의 폐기물가압용피스톤에 배면 중앙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폐기물가압용실린더가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투입된 폐기물을 구동회전축과 종동회전축사이로 직선 왕복운동하여 가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폐기물가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파쇄장치에 따르면, 호퍼를 통하여 투입된 폐기물을 외주면에 다수의 파쇄날이 형성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한 쌍의 파쇄축 사이에 가압시킬 수 있도록 폐기물 파쇄장치를 구성함으로써, 파쇄되지 않는 폐기물이 없도록 함과 아울러 폐기물 파쇄에 따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파쇄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파쇄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파쇄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파쇄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파쇄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기물 파쇄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파쇄장치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고안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파쇄장치는 퍼측으로 투입된 폐기물을 외주면에 파쇄날이 각각 형성된 한 쌍의 파쇄축 사이로 가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폐기물의 파쇄 및 절단작업 능률을 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호퍼측에 잔류 폐기물이 발생됨 없이 파쇄 및 전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파쇄장치(100)는 지면에 일단이 앵커볼트와 같은 고정부재(도면부호 생략)를 매개로 고정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상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상,하부가 개구된 하우징(120)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되, 양단에는 하우징(120)에 베어링(도면부호 생략)을 개재시켜 서로에 대하여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파쇄날(131a,132a)이 각각 형성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파쇄용회전축(130)과, 상기 하우징(120)의 상단에 일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 연결되어 폐기물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폐기물을 하우징(120)내측으로 투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개구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호퍼(140)와, 상기 프레임(110)과 하우징(120)에 일단과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호퍼(140)에 형성된 개구홀을 통하여 호퍼(140)내측으로 왕래하여 폐기물을 한 쌍의 파쇄용회전축(130)사이로 가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폐기물압축수단(150)과, 상기 한 쌍의 파쇄용회전축(130)의 일단에 각각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파쇄용회전축(130)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110)의 상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구동모터(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하우징(120)의 전면은 한 쌍의 파쇄용회전축(130)이 폐기물을 파쇄하는 중에 파쇄날(131a,132a)과 한 쌍의 파쇄용회전축(130)에 폐기물이 끼임되거나 또는 감김시 이를 제거할 수 있도록 프레임의 상단에 일단이 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작동하는 도어개폐용피스톤(172)을 갖추어 구비되는 도어개폐용실린더(171)와, 상기 도어개폐용실린더(171)의 도어개폐용피스톤(172)에 외측면 일단이 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상단은 호퍼(140)에 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도어개폐용실린더(171)의 구동에 대응되게 하우징(120)의 일측면을 개폐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도어(173)와, 상기 개폐도어의 내내측면 일측에 일단이 슬라이드방식으로 끼움 고정되는 것에 의해 투입된 폐기물을 한 쌍의 파쇄용회전축(130)사이로 투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가이드판(174)으로 구성된 이물질제거용개폐부(170)가 더 구비된다.
이하에서,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파쇄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파쇄장치(100)의 프레임(11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볼트를 매개로 일단이 지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연결 수평바(111)를 매개로 고정 설치되되, 상면 중앙부는 파쇄된 폐기물이 저면에 설치된 이송용컨베이어벨트측으로 배출가능하도록 천공되게 구비되는 프레임틀(111)과, 상기 프레임틀(111)의 양측 상부에 일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 연결되어 작업자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발판부(112)로 구성된다.
상기한 한 쌍의 파쇄용회전축(130) 즉, 제1,2파쇄용회전축(131,132)은 각각의 일단과 타단에 베어링을 개재시켜 하우징(120)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폐기물을 파쇄 및 절단가능하도록 파쇄날(131a,132a)이 다수 형성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한 쌍의 구동모터(160) 즉, 제1,2구동모터(161,162)로부터 구동력을 각각 전달받아 서로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때, 상기한 제2파쇄용회전축(132)은 호퍼(140)의 개구홀을 통하여 호퍼(140) 내측으로 회동되는 후술할 폐기물압축수단(150)의 회동가압부(153)에 의해 투입된 폐기물이 제1파쇄용회전축(131) 사이로 신속하게 가압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파쇄용회전축(131)에 대해서 하우징(120) 내측에서 10°~ 20°각도를 갖도록 더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호퍼(140)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0)의 상단에 일단 즉, 하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 연결되는 것에 의해 하우징(120) 내부와 연통되게 설치되어 폐기물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폐기물을 하우징(120)내측으로 투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되, 일측면 하부 즉, 이물질제거용개폐부(160)가 구비되는 반대면 하부는 후술할 폐기물압축수단(150)의 회동가압부(153)를 내측으로 왕래시킬수 있도록 개구홀(도면부호 생략)이 형성되어 구비된다.
상기한 폐기물압축수단(150)은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20)과 호퍼(140)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호퍼(140)에 형성된 개구홀을 통하여 호퍼(140)내측으로 왕래하여 폐기물을 제1,2파쇄용회전축(131,132)사이로 가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한 폐기물압축수단(150)은 프레임(110)의 프레임틀(111)에 일단이 회동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작동하는 폐기물압축용피스톤(152)을 갖추어 구비되는 폐기물압축용실린더(151)와, 상기 폐기물압축용실린더(151)의 폐기물압축용피스톤(152)에 저면 일측에 회동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저면 타측은 하우징(120)의 상단 일측에 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면(153a)을 형성하여 설치되는 것에 의해 폐기물압축용실린더(151)의 구동에 대응되게 호퍼(140)의 개구홀측으로 왕래하여 투입된 폐기물을 제1,2파쇄용회전축(131,132)사이로 가압시킬 수 있도록 가압면(153b)을 형성하여 부채꼴 형상의 단면으로 구비되는 회동가압부(15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한 회동가압부(153)의 가압면(153b)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퍼(140)의 개구홀측으로 왕래하여 폐기물을 제1,2파쇄용회전축(131,132)사이로 가압가능하도록 경사지게 돌출되어 구비된다.
한편, 첨부된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폐기물 파쇄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폐기물 파쇄장치(200)는 지면에 일단이 앵커볼트와 같은 고정부재를 매개로 고정되는 폐기물파쇄용프레임(210)과, 상기 폐기물파쇄용프레임(210)의 상면에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폐기물파쇄용하우징(220)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되, 양단에는 폐기물파쇄용하우징(220)에 베어링을 개재시켜 서로에 대하여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파쇄날(231,241)이 각각 형성되어 구비되는 구동회전축(230)과, 상기 구동회전축(230)과 수평되게 설치되어 기어부(도면부호 생략)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종동회전축(240)과, 상기 폐기물파쇄용하우징(220)의 상단에 일단이 용접에 의해 고정 연결되어 폐기물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폐기물을 폐기물파쇄용하우징(220)내측으로 투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구비되는 폐기물파쇄용호퍼(250)와, 상기 폐기물파쇄용프레임(210)과 폐기물파쇄용하우징(220)에 일단과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폐기물을 구동회전축(230)과 종동회전축(240)사이로 가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폐기물가압수단(260)과, 상기 구동회전축(230)의 일단에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구동회전축(23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210)의 상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구비되는 폐기물구동모터(2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폐기물가압수단(260)은 폐기물파쇄용호퍼(250)의 내부 경사면에 설치되게 일단은 폐기물파쇄용호퍼(250)에 용접과 같은 방법에 의해 고정 설치된 고정브라켓(261)에 회동용핀(도면부호 생략)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작동하는 폐기물가압용피스톤(262)을 갖추어 구비되는 폐기물가압용실린더(263)와, 상기 폐기물가압용실린더(263)의 폐기물가압용피스톤(262)에 배면 중앙부가 회동용축(도면부호 생략)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폐기물가압용실린더(263)가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투입된 폐기물을 구동회전축(230)과 종동회전축(240)사이로 직선 왕복운동하여 가압시킬 수 있도록 "ㄷ"자 형상의 단면으로 구비되는 폐기물가압부(26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폐기물 파쇄장치를 이용하여 폐기물을 파쇄 절단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폐기물공급부에 의해 폐기물이 호퍼(150)를 통하여 하우징(120)내측으로 투입되면, 제1,2구동모터(161,162)에 의해 상기 하우징(120)내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2파쇄용회전축(131,132) 사이로 유입되면서 상기 제1,2파쇄용회전축(131,132)의 외주면에 형성된 파쇄날(131a,132a)에 의해 파쇄 및 절단되면서 프레임(110) 하부측으로 배출된다.
이때,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폐기물압축수단(150)이 구동하므로 인해 하우징(120)내측으로 투입된 폐기물은 신속하게 제1,2파쇄용회전축(131,132) 사이로 유입된다.
즉, 제2파쇄용회전축(132)이 제1파쇄용회전축(131)에 대하여 하우징(120)내부에서 20°의 각도를 갖도록 상부에 경사지게 설치되어 회전하므로 폐기물이 호퍼(140)를 통하여 하우징(120)측으로 투입되면, 이물질제거용개폐부(170)의 가이드판(174)에 의해 제1,2파쇄용회전축(131,132) 사이로 모이게 되고, 이때, 폐기물압축수단(150)이 구동하므로 인해 회동가압부(153)가 제1,2파쇄용회전축(131,132) 사이로 모인 폐기물을 가압시키게 되므로 하우징 내부에 잔류폐기물이 남지 않고 폐기물을 신속하게 파쇄 및 전달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200 ; 폐기물 파쇄장치 110 ; 프레임
120 ; 하우징 130; 파쇄용회전축
140 ; 호퍼 150 ; 폐기물압축수단
160 ; 구동모터 170 ; 이물질제거용개폐부
210 ; 폐기물파쇄용프레임 220 ; 폐기물파쇄용하우징
230 ; 구동회전축 240 ; 종동회전축
250 ; 폐기물파쇄용호퍼 260 ; 폐기물가압수단
270 ; 폐기물구동모터

Claims (3)

  1. 폐기물 파쇄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상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상,하부가 개구된 하우징(120)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되, 양단에는 하우징(120)에 서로에 대하여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파쇄날(131a,132a)이 각각 형성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파쇄용회전축(130)과;
    상기 하우징(120)의 상단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어 폐기물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폐기물을 하우징(120)내측으로 투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되, 외주면에는 개구홀이 형성되어 구비되는 호퍼(140)와;
    상기 프레임(110)과 하우징(120)에 일단과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호퍼(140)에 형성된 개구홀을 통하여 호퍼(140)내측으로 왕래하여 폐기물을 한 쌍의 파쇄용회전축(130)사이로 가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폐기물압축수단(150)과;
    상기 한 쌍의 파쇄용회전축(130)의 일단에 각각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한 쌍의 파쇄용회전축(130)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110)의 상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구비되는 한 쌍의 구동모터(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파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압축수단(150)은, 프레임(110)의 프레임틀(111)에 일단이 회동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작동하는 폐기물압축용피스톤(152)을 갖추어 구비되는 폐기물압축용실린더(151)와, 상기 폐기물압축용실린더(151)의 폐기물압축용피스톤(152)에 저면 일측에 회동축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됨과 아울러 저면 타측은 하우징(120)의 상단 일측에 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면(153a)을 형성하여 설치되는 것에 의해 폐기물압축용실린더(151)의 구동에 대응되게 호퍼(140)의 개구홀측으로 왕래하여 투입된 폐기물을 제1,2파쇄용회전축(131,132)사이로 가압시킬 수 있도록 가압면(153b)을 형성하되, 상기 가압면(153b)은, 호퍼(140)의 개구홀측으로 왕래하여 폐기물을 제1,2파쇄용회전축(131,132)사이로 가압가능하도록 경사지게 돌출되어 구비되는 회동가압부(15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파쇄장치.
  3. 폐기물 파쇄장치에 있어서,
    지면에 일단이 고정되는 폐기물파쇄용프레임(210)과;
    상기 폐기물파쇄용프레임(210)의 상면에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폐기물파쇄용하우징(220)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되, 양단에는 폐기물파쇄용하우징(220)에 서로에 대하여 수평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파쇄날(231,241)이 각각 형성되어 구비되는 구동회전축(230)과, 상기 구동회전축(230)과 수평되게 설치되어 기어부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종동회전축(240)과;
    상기 폐기물파쇄용하우징(220)의 상단에 일단이 고정 연결되어 폐기물공급부를 통하여 공급되는 폐기물을 폐기물파쇄용하우징(220)내측으로 투입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구비되는 폐기물파쇄용호퍼(250)와;
    상기 폐기물파쇄용프레임(210)과 폐기물파쇄용하우징(220)에 일단과 타단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폐기물을 구동회전축(230)과 종동회전축(240)사이로 가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폐기물가압수단(260)과;
    상기 구동회전축(230)의 일단에 연결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구동회전축(23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프레임(210)의 상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구비되는 폐기물구동모터(270)를 포함하되,
    상기 폐기물가압수단(260)은, 폐기물파쇄용호퍼(250)의 내부 경사면에 설치되게 일단은 폐기물파쇄용호퍼(250)에 고정 설치된 고정브라켓(261)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되게 작동하는 폐기물가압용피스톤(262)을 갖추어 구비되는 폐기물가압용실린더(263)와, 상기 폐기물가압용실린더(263)의 폐기물가압용피스톤(262)에 배면 중앙부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폐기물가압용실린더(263)가 구동하는 것에 대응되게 투입된 폐기물을 구동회전축(230)과 종동회전축(240)사이로 직선 왕복운동하여 가압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폐기물가압부(26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파쇄장치.
KR2020140002058U 2014-03-14 2014-03-14 폐기물 파쇄장치 KR2004815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058U KR200481529Y1 (ko) 2014-03-14 2014-03-14 폐기물 파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058U KR200481529Y1 (ko) 2014-03-14 2014-03-14 폐기물 파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507U true KR20150003507U (ko) 2015-09-23
KR200481529Y1 KR200481529Y1 (ko) 2016-10-11

Family

ID=54341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058U KR200481529Y1 (ko) 2014-03-14 2014-03-14 폐기물 파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529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616B1 (ko) * 2015-10-30 2016-03-10 김성호 시설원예용 식물분쇄기
KR102223289B1 (ko) * 2020-06-29 2021-03-11 이상현 자동차 부품용 사출물 제작 시스템
KR102223292B1 (ko) * 2020-06-29 2021-03-11 이상현 자동차 부품용 사출물 제작 방법
KR102242365B1 (ko) * 2020-06-03 2021-04-20 이광주 선박 및 버스 바닥재 패턴용 칩 제조 분쇄기
KR20220019080A (ko) * 2020-08-08 2022-02-15 김대모 선체안에 소각장 시설이 설치된 선박
CN117697994A (zh) * 2024-02-06 2024-03-15 江苏百思德新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聚酯树脂生产的粉碎筛分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0893B1 (ko) * 2016-10-24 2017-10-26 김재철 토련기용 도자기 반죽물의 안전투입장치
KR102242967B1 (ko) * 2020-02-14 2021-04-20 최태식 파쇄장치
CN112547263B (zh) * 2021-01-28 2021-11-19 曹春红 一种兽医用草药粉碎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5405A (ja) * 1992-04-07 1993-11-02 Kubota Corp 破砕機
JP3174731B2 (ja) * 1996-07-02 2001-06-11 株式会社クボタ 一軸破砕機
KR200419232Y1 (ko) 2006-03-30 2006-06-19 이용쾌 폐기물 파쇄장치
KR20090005825U (ko) * 2007-12-10 2009-06-15 케이알티(주) 재활용 시스템용 파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5405A (ja) * 1992-04-07 1993-11-02 Kubota Corp 破砕機
JP3174731B2 (ja) * 1996-07-02 2001-06-11 株式会社クボタ 一軸破砕機
KR200419232Y1 (ko) 2006-03-30 2006-06-19 이용쾌 폐기물 파쇄장치
KR20090005825U (ko) * 2007-12-10 2009-06-15 케이알티(주) 재활용 시스템용 파쇄기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고안의 명칭;폐기물 파쇄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616B1 (ko) * 2015-10-30 2016-03-10 김성호 시설원예용 식물분쇄기
KR102242365B1 (ko) * 2020-06-03 2021-04-20 이광주 선박 및 버스 바닥재 패턴용 칩 제조 분쇄기
KR102223289B1 (ko) * 2020-06-29 2021-03-11 이상현 자동차 부품용 사출물 제작 시스템
KR102223292B1 (ko) * 2020-06-29 2021-03-11 이상현 자동차 부품용 사출물 제작 방법
KR20220019080A (ko) * 2020-08-08 2022-02-15 김대모 선체안에 소각장 시설이 설치된 선박
CN117697994A (zh) * 2024-02-06 2024-03-15 江苏百思德新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聚酯树脂生产的粉碎筛分装置
CN117697994B (zh) * 2024-02-06 2024-04-26 江苏百思德新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聚酯树脂生产的粉碎筛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529Y1 (ko) 201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1529Y1 (ko) 폐기물 파쇄장치
KR101778990B1 (ko) 폐자재용 파쇄장치
KR20180093512A (ko) 음식물쓰레기용 압축 처리장치
KR100973771B1 (ko) 파쇄기
EP2857103B1 (de) Zerkleinerungsvorrichtung
WO2016104550A1 (ja) 粒断機
KR102178018B1 (ko) 가연성 폐기물 압축절단파쇄기
CN106000603A (zh) 一种垃圾转移装置
KR200426412Y1 (ko) 압축 파쇄기
CN207413547U (zh) 一种固体废物处理装置
KR102151565B1 (ko) 플라스틱 및 페트병 파쇄기
JP4803793B2 (ja) 一軸型破砕機
KR100916972B1 (ko) 파쇄기 자동 클리닝 장치
KR20160106921A (ko) 분쇄 건조 성형 일체형 폐기물 srf 제조장치
KR102048929B1 (ko) 폐합성수지의 더블 절삭 파쇄 장치
KR101303610B1 (ko) 폐기물의 상호접촉에 의한 파쇄 및 이종재질간 선별이 가능한 드럼형 고속회전 파쇄기
KR102242967B1 (ko) 파쇄장치
CN201625551U (zh) 有机垃圾锤片式破碎机
CN104943025A (zh) 塑料垃圾撕碎机
KR100973074B1 (ko) 음식물류 폐기물 순간분쇄기
KR100642253B1 (ko) 압축 파쇄기
CN107999239A (zh) 多功能单轴破碎机
KR20090008517U (ko) 파쇄기의 구동장치
CN201086025Y (zh) 回收物品旋转破碎机
CN205797439U (zh) 一种有机垃圾破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